KR20110009750A -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750A
KR20110009750A KR1020090067100A KR20090067100A KR20110009750A KR 20110009750 A KR20110009750 A KR 20110009750A KR 1020090067100 A KR1020090067100 A KR 1020090067100A KR 20090067100 A KR20090067100 A KR 20090067100A KR 20110009750 A KR20110009750 A KR 20110009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ceiving
cable support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수영
주식회사 아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영, 주식회사 아주미 filed Critical 주수영
Priority to KR102009006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750A/ko
Publication of KR20110009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관로(12)내에 배치되는 3개의 케이블(14)이 밀폐상태로 포삽되고 수용관로(12)의 내면이 밀폐상태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를 제공한다.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수용관로(12)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24)와 이들 케이블지지구(24) 사이에 볼트공(34)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16), 수용관로(12)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24)와 이들 케이블지지구(24) 사이에 볼트공(34)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18)와, 케이블지지대(16)(18)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연으로 절결부(42)가 형성된 케이블 포삽공(40)과 이들 포삽공(40)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블지지대(16)(18)의 볼트공(34)과 정렬되어 너트(38)로 체결되는 볼트(36)가 삽입되는 볼트공(44)이 형성된 탄성고무의 케이블포삽관(20)(22)으로 구성되고, 각 케이블포삽관(20)(22)은 각각 내외측의 경질고무층(46)(48)과 이들 내외측 경질고무층(46)(48)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고무층(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67100
케이블수용관로, 케이블지지대, 케이블포삽관.

Description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CLOSING PLUG FOR END OF PIPELINE}
본 발명은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케이블, 예를들어 3개의 케이블이 수용배선되는 수용관로의 맨홀측단부를 완벽하게 폐쇄하여 수용관로측으로 우수 또는 오수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은 사전에 지중에 매설된 공관로내에 수용배선되며 관로와 관로사이에는 맨홀이 설치된다. 케이블이 수용배선되기 전의 관로를 공관로라하며 케이블이 수용된 관로는 수용관로라 한다. 이러한 관로는 공관로이든 수용관로이든 간에내부로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맨홀측에서 관로의 단부가 폐쇄된다. 공관로의 경우 케이블이 수용배설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그 단부의 폐쇄는 비교적 용이하나 케이블이 수용배선된 수용관로의 경우 그 단부의 폐쇄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다중케이블, 예를들어 3개의 케이블이 수용된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단부폐쇄장치는 관로의 내면과 각 케이블의 주면에 밀착되도록 외형은 원통형이며 내부에 주연측으로부터 케이블을 포삽할 수 있는 등간격의 케이블포삽공을 갖는 고무재질의 폐쇄플로그를 사용하며 이 폐쇄플러그의 중심에 볼트-너트의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볼트를 조이면 고무재질의 폐쇄플러그가 압축되면서 관로의 내면과 각 케이블의 부면에 밀착되게하므로서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한 것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중케이블용 수용관로 단부폐쇄장치는 관로의 불규칙한 내면에 고무재질 폐쇄플러그의 외면이 완전하게 밀착되는 밀폐효과를 보이고 있지 못하며, 특히 케이블포삽공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그 외주면이 심하게 울퉁불퉁한 외면불균일성을 보이므로 케이블포삽공에서 폐쇄플러그의 고무부분이 이러한 불균일한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용관로내에 배선된 3개의 케이블의 오주면과 수용관로의 내주면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수용관로내에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관로내에 배치되는 3개의 케이블이 밀폐상태로 포삽되고 수용관로의 내면이 밀폐상태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를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수용관로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와 이들 케이블지지구 사이에 볼트공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 수용관로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와 이들 케이블지지구 사이에 볼트공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와, 케이블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연으로 절결부가 형성된 케이블 포삽공과 이들 포삽공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블지지대의 볼트공과 정렬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탄성고무의 케이블포삽관으로 구성되고, 각 케이블포삽관은 각각 내외측의 경질고무층과 이들 내외측 경질고무층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고무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양측의 케이블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포삽관을 압착하여 케이블포삽관의 외주연부분이 팽창함으로서 수용관로의 내면에 밀착되고 각 포삽공의 내주연부분이 케이블측으로 팽창함으로서 각 케이블의 외주연에 밀착될 때, 케이블포삽관의 연질고무층이 먼저 팽창되고 이어서 경질고무층이 팽창하는 2단의 팽창과정으로 케이블포삽관이 팽창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질고무층의 경도가 50~55 (Shore A)의 범위이고 연질고무층의 경도가 30~35 (Shore A)의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의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맨홀벽(10)내에 결합된 수용관로(12)내에 배치되어 배선된 3개의 케이블(14)이 밀폐상태로 포삽되고 수용관로(12)의 내면이 밀폐상태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 나누어 전후 양측의 제1 및 제2 케이블지지대(16)(18)와 이들 케이블지지대(16)(18) 사이에 배치되는 두개의 제1 및 제2 케이블포삽관(20)(22)으로 구성된다. 케이블지지대(16)(18)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케이블포삽관(20)(22)은 탄성고무로 구성된다.
케이블지지대(16)(18)와 케이블포삽관(20)(22)은 원반형의 형태로 각각의 외경은 이들이 수용관로(12)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수용관로(12)의 내경에 거의 가까운 크기로 되어 있다.
경질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케이블지지대(16)(18)는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되고 반원저면을 갖는 3개의 'U'자형 케이블지지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케이블지지구(24)의 측내면에는 삽입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지지구(24)에는 이에 케이블(14)이 얹혀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지지대(16)(18)의 방사상 외측으로 남게 되는 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결합된다. 이 케이블지지구마개(28)는 내면이 케이블지지구(24)의 반원저면과 함께 케이블(14)의 전주면을 둘러싸도록 반원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을 케이블지지대(16)(18)의 외면과 일치하는 원호면을 갖는다. 이러한 케이블지지구마개(28)의 양측에는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케이블지지구(24)에 삽입시 내연 에 형성된 삽입홈(26)에 결합된다.
케이블지지대(16)(18)에는 케이블지지구(24)사이에 등간격으로 볼트공(34)이 형성되어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볼트(36)를 삽입한 다음 너트(38)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탄성고무로 만들어진 케이블포삽관(20)(22)에는 중앙에 케이블(14)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3개의 포삽공(40)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포삽공(40)에서 접선방향으로 케이블포삽관(20)(22)의 외주연까지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결부(42)는 포삽공(40)의 중심에서 볼 때에 일측으로 치우쳐 있다. 케이블포삽관(20)에서 포삽공(40)에 형성된 절결부(42)는 중심에서 볼 때 좌측으로 치우쳐 있는 반면에 케이블포삽관(22)에서 포삽공(42)에 형성된 절결부(42)는 중심에서 볼 때 우측으로 치우쳐 있어 케이블포삽관(20)(22)이 합체될 때 이들의 각 절결부(42)가 일치되게 정렬되지 않는다. 그리고 각 포삽공(40) 사이에는 등간격을 두고 볼트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트공(44)은 케이블지지대(16)(18)의 볼트공(34)과 일치되게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탄성고무로 만들어진 케이블포삽관(20)(22)은 각각 내외측의 경질고무층(46)(48)과 이들 내외측 경질고무층(46)(48)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고무층(5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고무층을 수식하는 "경질" 및 "연질"의 용어는 상대적인 용어로서, 예를 들어 경질고무층(46)(48)은 경도 50~55 (Shore A)의 범위이고 연질고무층(50)은 경도 30~35 (Shore A)의 범위이어서 고무층(46)(48)이 고무층(50) 보다 경질이고 그 반대로 고무층(50)은 연질이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내외측의 두 경질고무층(46)(48)으로 구성되는 각 케이블포삽관(20)(22)에서 이들 경질고무층(46)(48) 사이에 배치된 연질고무층(50)은 케이블지지대(16)(18)의 사이에 케이블포삽관(20)(22)이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36)와 너트(38)의 체결로 압축될 때 케이블포삽관(20)(22)의 외주면과 이들 케이블포삽관(20)(22)에 형성된 포삽공(40)에서 이들 케이블포삽관(20)(22)을 구성하고 있는 경질고무층(46)(48)과 함께 팽창되는 과정에서 연질고무층(50)이 경질고무층(46)(48) 보다 더 팽창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용관로 단부폐쇄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미 수용관로(12)내에 사전에 3개의 케이블(14)이 맨홀벽(10)으로 구성되는 맨홀을 통하여 연속되게 연장되어 있다.
수용관로(12)의 내부에 본 발명의 수용관로 단부폐쇄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케이블(14)이 본 발명의 수용관로 단부폐쇄장치에 결합되어야 한다.
수용관로(12)의 케이블(14)을 케이블지지대(16)(18)와 케이블포삽관(20)(22)에 결합하기 위하여서는 케이블(14)이 지지되는 케이블지지구(24)와 포삽공(40)이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케이블(14)은 수용관로(1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에서부터 결합된다. 즉,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케이블지지대(160, 케이블포삽관(20), 케이블포삽관(22)과, 케이블지지대(18)의 순서로 케이블(14)이 결합된다.
케이블지지대(16)는 먼저 각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분리되어 케이블지지구(24)가 방사상측으로 개방되고 이에 각 케이블(14)을 삽입한 다음 다시 케이블지지구마개(28)를 그 양측의 삽입돌기(32)가 케이블지지구(24)에 형성된 삽입홈(26) 으로 삽입되게 케이블지지구(24)에 삽입한다.
이어서 중첩되게 배치된 두 케이블포삽관(20)(22)에 각 케이블(140을 포삽연결한다. 즉, 탄성고무로 된 각 케이블포삽관(20)(22)은 그 내부의 각 포삼공(40)에서 외주연측으로 절결된 절결부(42)를 벌려 각 포삽공(40)에 각 케이블(14)이 포삽되게 한다.
다음으로 수용관로(12)의 외측에 배치될 케이블지지대(18)를 상기 케이블지지대(16)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이에 각 케이블(14)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블지지대(16), 케이블포삽관(20)(22)과, 케이블지지대(18)에 케이블(14)을 결합하기 전에 수용관로(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지지대(16)측으로부터 정렬되는 각 볼트공(34)(44)으로 볼트(36)를 관통시켜 전면측에서 너트(38)를 느슨히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지지대(16), 케이블포삽관(20)(22)과, 케이블지지대(18)를 수용관로(12)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각 케이블(14)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관로(12)의 내부에 삽입된 케이블지지대(16), 케이블포삽관(20)(22)과, 케이블지지대(18)는 볼트(36)와 너트(38)를 더욱 조임으로서 이들 케이블지지대(16), 케이블포삽관(20)(22)과, 케이블지지대(18)가 압축결합되게 한다.
볼트(36)와 너트(38)를 조이면 경질 합성수지로 된 양측의 케이블지지대(16)(18)가 이들 사이에 삽입된 탄성고무재질의 케이블포삽관(20)(22)이 압착된다. 이러한 케이블포삽관(20)(22)의 압착으로 이들은 이들의 외주연부분이 팽창하여 수용관로(12)의 내면에 밀착되고 각 포삽공(40)의 내주연부분이 케이블(14)측으 로 팽창하여 각 케이블(14)의 외주연에 밀착되므로서 전체적으로 수용관로(12)의 내면과 각 케이블(14)의 외주연 부분 사이의 공간이 폐쇄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케이블지지대(16)(18) 사이에서 탄성고무재질의 케이블포삽관(20)(22)이 압착되어 이들의 외주연부분과 각 포삽공(40)의 내주연부부이 팽창할 때, 케이블포삽관(20)(22)은 이들이 각각 양측의 경질고무층(46)(48)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연질고무층(5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먼저 연질고무층(50)이 팽창되고 이어서 경질고무층(46)(48)이 팽창하는 2단의 팽창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과정에서 연질고무층(50)의 팽창은 케이블포삽관(20)(22)의 외주연부분에서 먼저 연질고무층(50)이 수용관로(12)의 내면에 밀착되고 또한 수용관로(12)의 내면에 약간의 불균일면 부분이 있다하여도 이들 부분에 밀착밀폐되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케이블(14)은 그 외부면이 심하게 울퉁불퉁한 외면불균일성을 보이지만 각 포삽공(40)의 내주연부분에서 팽창되는 연질고무층(50)의 부분이 외주면의 외면불균일성을 보이는 케이블(14)의 외면을 거의 완벽하게 밀착화여 밀폐하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연질고무층(50)의 팽창효과는 이러한 연질고무층(50)을 감싸고 있는 경질고무층(46)(48)의 2차 팽창효과로 수용관로(12)와 케이블(14)에 대한 우수한 미례효과를 보일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밀폐효과는 경질고무층(46)(48)의 경도가 50~55 (Shore A)의 범위이고 연질고무층(50)의 경도가 30~35 (Shore A)의 범위일 때에 우수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관로내에 배선된 3개의 케이블의 외주면과 수용관로의 내주면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페쇄하여 수용관로내에 우수나 오수가 유입 되지 않도록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블지지대를 보이고 이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케이블지지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블포삽관을 보이고 이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케이블포삽관의 정면도.
도 4는 전후 양측의 두 케이블지지대 사이에 두 케이블포삽관이 배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수용관로내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후 양측의 두 케이블지지대 사이에서 두 케이블포삽관이 압축되게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수용관로내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이 결합되고 전후 양측의 두 케이블지지대 사이에서 두 케이블포삽관이 압축되게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제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수용관로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이 결합되고 전후 양측의 두 케이블지지대 사이에서 두 케이블포삽관이 압축되게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 수용관로, 14: 케이블, 16, 18: 케이블지지대, 20, 22: 케이블포삽관, 24: 케이블지지구, 28: 케이블지지구마개, 34, 44: 볼트공, 36: 볼트, 38: 너트, 40: 포삽공, 42: 절결부, 46, 48: 경질고무층, 50: 연질고무층.

Claims (3)

  1. 맨홀벽(10)에 결합된 수용관로(12)내에 배치되어 배선된 3개의 케이블(14)이 밀페상태로 포삽되고 수용관로(12)의 내면이 밀폐상태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수용관로(12)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24)와 이들 케이블지지구(24) 사이에 볼트공(34)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16), 수용관로(12)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외측에서 케이블지지구마개(28)가 결합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지지구(24)와 이들 케이블지지구(24) 사이에 볼트공(34)이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의 케이블지지대(18)와, 케이블지지대(16)(18)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연으로 절결부(42)가 형성된 케이블 포삽공(40)과 이들 포삽공(40)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블지지대(16)(18)의 볼트공(34)과 정렬되어 너트(38)로 체결되는 볼트(36)가 삽입되는 볼트공(44)이 형성된 탄성고무의 케이블포삽관(20)(22)으로 구성되고, 각 케이블포삽관(20)(22)은 각각 내외측의 경질고무층(46)(48)과 이들 내외측 경질고무층(46)(48)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고무층(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볼트(36)와 너트(38)에 의하여 양측의 케이블지지대(16)(18)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포삽관(20)(22)을 압착하여 케이블포삽관(20)(22) 의 외주연부분이 팽창함으로서 수용관로(12)의 내면에 밀착되고 각 포삽공(40)의 내주연부분이 케이블(14)측으로 팽창함으로서 각 케이블(14)의 외주연에 밀착될 때, 케이블포삽관(20)(22)의 연질고무층(50)이 먼저 팽창되고 이어서 경질고무층(46)(48)이 팽창하는 2단의 팽창과정으로 케이블포삽관(20)(22)이 팽창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질고무층(46)(48)의 경도가 50~55 (Shore A)의 범위이고 연질고무층(50)의 경도가 30~35 (Shore A)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20090067100A 2009-07-23 2009-07-23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110009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00A KR20110009750A (ko) 2009-07-23 2009-07-23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00A KR20110009750A (ko) 2009-07-23 2009-07-23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50A true KR20110009750A (ko) 2011-01-31

Family

ID=4361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00A KR20110009750A (ko) 2009-07-23 2009-07-23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7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4660A (en) * 2012-06-22 2014-02-12 Oxford Plastic Sys Ltd Pipe mounting system
KR101647368B1 (ko) * 2016-02-02 2016-08-11 새빛기술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관로 밀폐장치
CN106655031A (zh) * 2017-01-18 2017-05-10 威立雅环保设备江苏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体橡塑预埋件
KR20190001828A (ko) * 2017-06-28 2019-01-07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4660A (en) * 2012-06-22 2014-02-12 Oxford Plastic Sys Ltd Pipe mounting system
GB2504660B (en) * 2012-06-22 2016-12-14 Oxford Plastic Sys Ltd Pipe mounting system
KR101647368B1 (ko) * 2016-02-02 2016-08-11 새빛기술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관로 밀폐장치
CN106655031A (zh) * 2017-01-18 2017-05-10 威立雅环保设备江苏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体橡塑预埋件
CN106655031B (zh) * 2017-01-18 2018-06-15 威立雅环保设备江苏有限公司 一种电缆绝缘体橡塑预埋件
KR20190001828A (ko) * 2017-06-28 2019-01-07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3941A (ko) * 2017-06-2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3942A (ko) * 2017-06-2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3940A (ko) * 2017-06-2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3943A (ko) * 2017-06-2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3939A (ko) * 2017-06-28 2021-11-08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10134286A (ko) * 2017-06-28 2021-11-09 한국전력공사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3829B2 (ja) 自在パイプコネクタ及び所定の直径のパイプの端でシールされた接続を達成するための方法
KR20110009750A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US10041630B1 (en) Pipe fitting with sealable access opening for line testing
KR200319133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279518Y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0319134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1842837B1 (ko) 관 연결 소켓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100666481B1 (ko) 케이블 관체의 방수장치
KR100714907B1 (ko) 케이블 관로방수장치
KR0123565Y1 (ko) 맨홀의 지하수 유입방지장치
KR960001315B1 (ko) 수용관로 관구마개 장치
EP1779014B1 (en) Pipe sealing device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170121755A (ko) 관로구 방수장치
KR20050113587A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KR101647368B1 (ko) 시공이 용이한 관로 밀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