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286A -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286A
KR20210134286A KR1020210147816A KR20210147816A KR20210134286A KR 20210134286 A KR20210134286 A KR 20210134286A KR 1020210147816 A KR1020210147816 A KR 1020210147816A KR 20210147816 A KR20210147816 A KR 20210147816A KR 20210134286 A KR20210134286 A KR 2021013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astening
cable
sealing devic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134B1 (ko
Inventor
김경오
김준용
권혁기
이은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4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2Cable terminations
    • H02G15/23Cable-end sea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오에프 케이블(Oil Filled Cable)의 파단이나 손괴 또는 철거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내부 절연유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Sealing device installed in oil filled cable and installed method}
본 발명은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오에프 케이블(Oil Filled Cable)의 파단이나 손괴 또는 철거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내부 절연유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오에프 케이블(Oil Filled Cable)의 말단부 및 풀링아이(pulling eye) 연결부 등과 같은 절단부에는 오에프 케이블 내 절연유의 누유 방지 및 절연체 보호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드캡(end-cap)(2)이 설치된다.
엔드캡(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을 사용하여 금속시스(sheath)부(6)에 손상이 없도록 방식층(4)을 제거하고, 방식층(4) 제거 후 금속시스부(6)와 방식층(4) 사이의 콜타르(coaltar)에 천천히 열을 가하여 닦아 제거한 뒤 와이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금속시스부(6)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 연공 작업이 시작된다. 좌 연공은, 230℃~250℃의 열을 가하여 금속시스부(6)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도금하게 되고, 금속시스부(6)에 열이 남아있은 동안 연공 땜납으로 문지르면서 알루미늄 도금 표면을 덮어 씌운다.
좌 연공 작업이 완료되면 좌 연공부(8)의 단부를 직각으로 절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에 엔드캡(2)을 삽입시켜 엔드캡(2)과 좌 연공부(8)를 5겹 납땜 연공하게 된다. 엔드캡(2)과 좌 연공부(8)의 납땜 연공이 완료되면 앤드캡(2)의 커넥터를 닫아 오에프 케이블 내부 절연유가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엔드캡(2)을 설치하게 되면 납땜 연공 시 LPG 가스, 화기, 소화기, 땜납, 몰스킨, 스테아리산 등의 자재를 필요로 하고, 화재 및 밀폐 공간 산소 농도 하락으로 인한 질식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오에프 케이블 선로를 보수할 수 있는 인력이 많지 않기 때문에 비상상황이 다발적으로 발생할 경우, 인력 수배의 한계로 인하여 신속한 복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104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작업 시간 단축, 작업난이도 개선, 소요자재 단순화 및 작업 시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 실링 장치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도 숙련공이 아닌 일반 작업자가 설치 할 수 있는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 실링 장치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 실링 장치에 있어서,
실링 장치는 오에프 케이블의 금속시스(sheath)부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 장치는,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에 설치되는 체결 유닛과 금속시스부의 절단된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캡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 유닛은,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플랜지부;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 외주면에 장착되며, 제1플랜지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체결부;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 외주면에 끼워지며, 체결부의 전단에 끼워지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드캡 유닛은 체결 유닛 전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드캡 유닛은,
내측에 금속시스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킹부;
패킹부의 전단에 위치하며, 몸체부 내측에 패킹부가 삽입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부는 두 개의 체결부가 방식층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반호 형상인 것으로,
체결부의 외주면 양단부에는 체결부의 양단부로부터 체결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슬립(slip)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홈과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바이트(bite)부가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이트부에는 체결부의 중심축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형상의 스파이크(spike)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부는 링형상이며,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플랜지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부의 내주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 링형상이며,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플랜지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의 내주면은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제2경사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 보다 슬립부의 경사 각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 유닛이 방식층에 완전히 설치되었을 때,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는 슬립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체결홀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방식층에 설치되었을 때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체결홀은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는,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에는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엔드캡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드캡체결홀의 양측에는 제2플랜지체결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킹부는,
전단면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전단면의 중앙부가 일정 크기의 원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전단부;
전단부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는,
원통 형상이며, 전단이 폐쇄된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후단 둘레부에 형성되며, 몸체부의 외주면과 수직하도록 몸체부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
몸체부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며, 몸체부의 전단면을 관통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의 플랜지부에는 플랜지부의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플랜지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 유닛과 엔드캡 유닛이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었을 때, 캡부의 플랜지체결홀과 엔드캡체결홀은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와 캡부는,
캡부의 플랜지체결홀과 엔드캡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와 캡부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패킹부의 전단면은 캡부의 몸체부 내측 전단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플랜지체결홀, 제2플랜지체결홀, 엔드캡체결홀 및 플랜지체결홀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에는 실링 장치를 진공 차폐시키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체결홀 및 엔드캡체결홀과 수직으로 관통되는 볼트 풀림 방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트 풀림 방지 홀에는 제2플랜지체결홀 및 엔드캡체결홀에 삽입된 볼트와 밀착되도록 볼트 풀림 방지 볼트가 삽입되어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파이크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 실링 장치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에 체결 유닛이 설치되는 체결 유닛 설치 단계;
체결 유닛의 전단이며, 오에프 케이블 금속시스부의 절단된 단부에 엔드캡 유닛이 설치되는 엔드캡 유닛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체결 유닛 설치 단계는,
제1플랜지부가 끼워지는 단계;
제1플랜지부의 전단에 체결부가 장착되는 단계;
체결부의 전단에 제2플랜지부가 끼워지는 단계;
제1플랜지부의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부의 제2플랜지체결홀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체결홀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체결홀과 제2플랜지체결홀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는,
볼트가 제1플랜지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제1플랜지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단계;
제1플랜지체결홀을 관통한 볼트가 제2플랜지부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제2플랜지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가조립 단계;
제2플랜지체결홀을 관통한 볼트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1차클램프 단계;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면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의 경사부가 체결부의 양측 슬립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2차클램프 단계;를 포함한다.
엔드캡 유닛 설치 단계는,
패킹부의 전단면 내측면에 금속시스부의 절단된 단부가 닿도록 금속시스부의 단부에 패킹부를 끼우는 단계;
캡부의 내측에 패킹부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캡부를 패킹부에 외측에 끼우는 단계;
캡부의 플랜지체결홀이 제2플랜지부의 엔드캡체결홀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캡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플랜지체결홀과 엔드캡체결홀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플랜지체결홀과 엔드캡체결홀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는,
볼트가 캡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플랜지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며 삽입되는 단계;
플랜지체결홀을 관통한 볼트가 엔드캡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며 삽입되는 가조립 단계;
엔드캡체결홀을 관통한 볼트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캡부가 제2플랜지부를 향하여 점차 이동하는 1차클램프 단계;
캡부가 이동하면서 패킹부가 캡부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패킹부의 후단부 외주면이 캡부의 몸체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2차클램프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시간 단축, 작업난이도 개선, 소요자재 단순화 및 작업 시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도 숙련공이 아닌 일반 작업자가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엔드캡.
도 2는 종래의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 제거 사진.
도 3은 종래의 오에프 케이블의 좌 연공 사진.
도 4는 종래의 오에프 케이블의 납땜 연공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체결부.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제1플랜지부.
도 9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제2플랜지부.
도 10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패킹부.
도 11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캡부.
도 12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플러그.
도 13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볼트 풀림 방지 유닛.
도 14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조립 시 내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체결 유닛 결합 단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엔드캡 유닛 결합 단계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오에프 케이블의 말단부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오에프 케이블(Oil Filled Cable)의 파단이나 손괴 또는 철거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내부 절연유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오에프 케이블 말단부에 적용되는 실링 장치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중 오에프 케이블의 손괴 누유부에서 발생하는 약 5bar정도의 압력을 견디면서 진공 조건을 충족하도록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는 오에프 케이블의 금속시스(sheath)부(6)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4)에 설치되는 체결 유닛과 상기 금속시스부(6)의 절단된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엔드캡 유닛을 오에프 케이블에 체결하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4)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플랜지부(18),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4)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전단에 장착되는 체결부(10),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4)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체결부(10)의 전단에 끼워지는 제2플랜지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체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체결부(10)는 두 개의 체결부(10)가 상기 방식층(4)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반호 형상인 것으로, 정밀주조공법을 통하여 열처리된 고속도 공구강(High Speed Tool Steel)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0)의 단면은 테이퍼(taper) 형상인 것으로, 상기 체결부(10)의 외주면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부(10)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부(10)의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슬립(slip)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슬립부(12)는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볼트 체결을 통한 미끄러짐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5bar(kg) 이상의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립부(12)는 상기 체결부(10)의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양단에 형성된 상기 슬립부(12)의 경사 각도는 서로 같다.
상기 체결부(1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홈과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바이트(bite)부(14)가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부(14)에는 상기 체결부(10)의 중심축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된 형상의 스파이크(spike)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부(16)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파이크부(16)는, 상기 체결부(10)가 상기 방식층(4)에 장착될 때 상기 방식층(4)과 1차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방식층(4)을 파고들면서 상기 체결부(10)의 고정 위치를 잡아주게 되고, 상기 바이트부(14)는 상기 방식층(4)과 2차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체결부(10)가 상기 방식층(4)에 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제1플랜지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18)는 링형상인 것으로,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내주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제1경사부(2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후단부는 상기 오에프 케이블에서 방식층(4)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전단부는 금속시스부(6) 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후에서 설명되는 구성들의 전단 또는 후단 또한 상기와 같은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플랜지부(18)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플랜지체결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4개의 제1플랜지체결홀(22)을 도시하여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제2플랜지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24)는 링형상인 것으로,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내주면에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형상의 제2경사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24)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플랜지체결홀(28)이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의 개수는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의 개수와 서로 같으며,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가 상기 방식층(4)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은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플랜지체결홀(28)의 개수 또한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4개의 제2플랜지체결홀(28)을 도시하여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10), 상기 제1플랜지부(18) 및 상기 제2플랜지부(24)가 상기 방식층(4)에 차례로 장착되면, 볼트(54)를 이용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54)는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에 차례로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볼트 체결이 진행되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는 점차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제1경사부(20)와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제2경사부26()는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 형성된 슬립부(12)에 점점 더 밀착되어진다.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방식층(4)에 완전히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경사부(20)와 상기 제2경사부(26)는 상기 슬립부(12)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슬립부(12)와 상기 제1경사부(20) 및 상기 제2경사부(26)의 밀착을 위해 상기 제1경사부(20) 및 상기 제2경사부(26) 보다 상기 슬립부(12)의 경사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2플랜지부(24)에는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엔드캡체결홀(30)이 형성된다.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후에 설명되는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의 개수와 같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의 개수를 4개로 하여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도시하여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랜지부(24)에는 4개의 제2플랜지체결홀(28)과 4개의 엔드캡체결홀(30)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과 어느 하나의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은 서로 45도 각도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의 양측에는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이 각각 위치하는 형상이 된다.
상기 체결 유닛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기 엔드캡 유닛은, 내측에 상기 금속시스부(6)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킹부(36), 상기 패킹부(36)의 전단에 위치하며 몸체부(48) 내측에 상기 패킹부(36)가 삽입되는 캡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패킹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킹부(36)는 내유성과 마모성, 열노화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NBR(Nitrile Butadiene Rubber) 합성 고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합성 고무의 내부에는 2중 메쉬(mesh)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2중 메쉬 구조 사이에는 진공용 그리스(grease)가 도포되는 3중 진공차폐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4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에프 케이블 내부 절연유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부(36)는 전단부(38)와 후단부(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단부(38)는 전단면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전단면의 중앙부가 일정 크기의 원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40)는 상기 전단부(38)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캡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부(42)는, 원통 형상이며 전단이 폐쇄된 형상의 몸체부(48), 상기 몸체부(48)의 후단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48)의 외주면과 수직하도록 상기 몸체부(48)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44), 상기 몸체부(48)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48)의 전단면을 관통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오에프 케이블 내부에 절연유를 보충하거나 진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커넥터(5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 장치를 진공 차폐시키기 위한 플러그(52)가 끼워진다.
상기 캡부(42)의 플랜지부(44)에는 상기 플랜지부(44)의 전단면과 후단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플랜지체결홀(46)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체결홀(46)은 상기 캡부(42)를 상기 제2플랜지부(24)에 볼트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플랜지체결홀(46)을 관통한 볼트(54)는 상기 제2플랜지부(24)에 형성되는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캡부(42)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54)는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에 차례로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24)와 상기 캡부(42)가 완전히 볼트 체결 되었을 때, 상기 패킹부(36)의 전단면은 상기 캡부(42)의 몸체부(48) 내측 전단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볼트 풀림 방지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 및 엔드캡체결홀(30)과 수직으로 관통되는 볼트 풀림 방지홀(3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풀림 방지홀(32)에는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 및 엔드캡체결홀(30)에 삽입된 볼트(54)와 밀착되도록 볼트 풀림 방지 볼트(34)가 삽입되어 볼트(54)와 밀착되면서 볼트(54)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볼트(54)로는 인장강도 1200N/mm2, 항복점 1000 mm2, 의 열처리형 고장력 볼트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실링 장치를 상기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조립 시 내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조립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에프 케이블에 상기 실링 장치를 설치하기 이전에 먼저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누유부를 기준으로 상기 방식층(4)을 제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방식층(4)은 상기 누유부를 기준으로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길이방향 양단 70mm, 총 140mm가 제거된다.
상기 방식층(4) 제거하면 상기 금속시스부(6)가 드러나게 되고, 상기 금속시스부(6)가 드러난 위치에서 상기 오에프 케이블을 수직으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오에프 케이블이 절단되었을 때, 상기 방식층(4)의 단부로부터 상기 금속시스부(6)가 드러난 위치까지는 상기 몸체부(48)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상기 금속시스부(6)의 절단부 가장자리와 표면은 버(burr) 등에 의한 걸림이 없도록 연마 처리된다.
이후 상기 실링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방식층(4)의 단부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10m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4)에 상기 체결 유닛이 설치되는 체결 유닛 설치 단계, 상기 체결 유닛 설치 단계 완료 후 상기 체결 유닛의 전단이며, 상기 오에프 케이블 금속시스부(6)의 절단된 단부에 엔드캡 유닛이 설치되는 엔드캡 유닛 설치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체결 유닛 설치 단계는,
상기 제1플랜지부(18)가 방식층(4) 외측에 끼워지는 단계;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전단에 상기 체결부(10)가 끼워지는 단계;
상기 체결부(10)의 전단에 상기 제2플랜지부(24)가 끼워지는 단계;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체결 유닛 결합 단계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과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는,
볼트(54)의 헤드부가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후단에 닿을 때까지 상기 볼트(54)가 상기 제1플랜지부(18)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에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제1플랜지체결홀(22)을 관통한 상기 볼트(54)가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에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가조립 단계;
상기 제2플랜지체결홀(28)을 관통한 상기 볼트(54)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1차클램프 단계;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1플랜지부(18)와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경사부가 상기 체결부(10)의 양측 슬립부(12)에 완전히 밀착되는 2차클램프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체결 유닛의 상기 가조립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10)의 슬립부(12)와 상기 제1, 2경사부(20, 26) 형상에 따라 볼트 체결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상기 체결부의 상하 유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1차클램프 단계에서는 상기 가조립 된 4개의 볼트(54)를 10kg/mm2의 토크(torque)로 체결한 후 상기 스파이크부(16)가 상기 방식층(4)을 파고들어 적정한 위치에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스파이크부(16)의 고정 위치 확인 후 20kg/mm2의 토크(torque)로 체결하고, 상기 바이트부(14)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 유닛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엔드캡 유닛 설치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엔드캡 유닛 설치 단계는,
상기 패킹부(36)의 전단면 내측면에 금속시스부(6)의 절단된 단부가 닿도록 상기 금속시스부(6)의 단부에 상기 패킹부(36)를 끼우는 단계;
상기 캡부(42)의 내측에 상기 패킹부(36)의 전단부(38)가 삽입되도록 상기 캡부(42)를 상기 패킹부(36)에 외측에 끼우는 단계;
상기 캡부(42)의 플랜지체결홀(46)이 상기 제2플랜지부(24)의 엔드캡체결홀(30)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캡부(42)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링 장치의 엔드캡 유닛 결합 단계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는,
볼트(54)의 헤드부가 상기 캡부(42)의 플랜지부(44) 후단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볼트(54)가 상기 캡부(4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상기 플랜지체결홀(46)에 나사 결합되며 삽입되는 단계;
상기 플랜지체결홀(46)을 관통한 상기 볼트(54)가 상기 엔드캡체결홀(30)에 나사 결합되며 삽입되는 가조립 단계;
상기 엔드캡체결홀(30)을 관통한 상기 볼트(54)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기 캡부(42)가 상기 제2플랜지부(24)를 향하여 점차 이동하는 1차클램프 단계;
상기 캡부(42)가 이동하면서 상기 패킹부(36)가 상기 캡부(42)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36)의 후단부 외주면이 상기 캡부(42)의 몸체부(48) 내주면에 밀착되는 2차클램프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엔드캡 유닛의 가조립 단계에서는 4개의 볼트(54)를 상기 플랜지체결홀(46)과 상기 엔드캡체결홀(30)에 가조립 하게 되고, 상기 엔드캡 유닛의 상기 1차클램프 단계에서는 상기 패킹부(36)가 상기 금속시스부(6)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하면서 상기 볼트(54)를 일정 토크로 체결하다가 상기 2차클램프 단계에서 20kg/mm2의 토크로 체결하여 볼트(54)의 체결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볼트(54)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 풀림 방지홀(32)에 상기 볼트 풀림 방지 볼트(34)를 삽입하여 20kg/mm2의 토크로 체결하게 된다.
이후 상기 커넥터(50)에 진공이 걸리는지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링 장치 및 실링 장치의 설치 방법은 기존의 엔드캡(2)을 오에프 케이블의 좌 연공부(8)에 설치하던 방법과 달리 금속시스부(6)에 설치하기 때문에 기존의 좌 연공부(8)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행되던 작업들을 삭제할 수 있어 작업 시간 단축, 작업난이도 개선, 소요자재 단순화되며 작업 시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 연공부(8)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행되던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 숙련공이 아닌 일반 작업자가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 개소의 높이, 위치 등 형태와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절연유가 케이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 위험성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종래의 엔드캡(end-cap)
4 : 방식층
6 : 금속시스(sheath)부
8 : 좌 연공부
10 : 체결부
12 : 슬립(slip)부
14 : 바이트(bite)부
16 : 스파이크(spike)부
18 : 제1플랜지부
20 : 제1경사부
22 : 제1플랜지체결홀
24 : 제2플랜지부
26 : 제2경사부
28 : 제2플랜지체결홀
30 : 엔드캡체결홀
32 : 볼트 풀림 방지홀
34 : 볼트 풀림 방지 볼트
36 : 패킹부
38 : 패킹부의 전단부
40 : 패킹부의 후단부
42 : 캡부
44 : 캡부의 플랜지부
46 : 캡부의 플랜지체결홀
48 : 캡부의 몸체부
50 : 커넥터
52 : 플러그
54 : 볼트

Claims (1)

  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 장치는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금속시스(sheath)부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실링 장치는,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에 설치되는 체결 유닛과 상기 금속시스부의 절단된 단부에 설치되는 엔드캡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방식층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플랜지부;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상기 방식층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체결부;
    상기 오에프 케이블의 상기 방식층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체결부의 전단에 끼워지는 제2플랜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의 내주면은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프 케이블 실링 장치.
KR1020210147816A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36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816A KR102366134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71A KR102364291B1 (ko) 2017-06-28 2017-06-28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6A KR102366134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71A Division KR102364291B1 (ko) 2017-06-28 2017-06-28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286A true KR20210134286A (ko) 2021-11-09
KR102366134B1 KR102366134B1 (ko) 2022-02-23

Family

ID=6501688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71A KR102364291B1 (ko) 2017-06-28 2017-06-28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6A KR102366134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2A KR102366130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3A KR102366131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7A KR102366135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4A KR102366132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5A KR102366133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71A KR102364291B1 (ko) 2017-06-28 2017-06-28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812A KR102366130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3A KR102366131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7A KR102366135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4A KR102366132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210147815A KR102366133B1 (ko) 2017-06-28 2021-11-01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3642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435A (ja) * 1993-01-12 1994-08-05 Mitsubishi Cable Ind Ltd Ofケーブルの端末仮処理方法
KR960010462A (ko) 1994-09-28 1996-04-20 김태희 물과 물질분리 저장 구조 형성한 병
KR100884331B1 (ko) * 2008-07-21 2009-02-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20110009750A (ko) * 2009-07-23 2011-01-31 주수영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1596744B1 (ko) * 2015-10-14 2016-02-23 주식회사 조은엔지니어링 지중송전선로의 전선 보호관
CN205453066U (zh) * 2015-12-11 2016-08-10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电缆密封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435A (ja) * 1993-01-12 1994-08-05 Mitsubishi Cable Ind Ltd Ofケーブルの端末仮処理方法
KR960010462A (ko) 1994-09-28 1996-04-20 김태희 물과 물질분리 저장 구조 형성한 병
KR100884331B1 (ko) * 2008-07-21 2009-02-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20110009750A (ko) * 2009-07-23 2011-01-31 주수영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1596744B1 (ko) * 2015-10-14 2016-02-23 주식회사 조은엔지니어링 지중송전선로의 전선 보호관
CN205453066U (zh) * 2015-12-11 2016-08-10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电缆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28A (ko) 2019-01-07
KR20210133939A (ko) 2021-11-08
KR102366132B1 (ko) 2022-02-23
KR20210133941A (ko) 2021-11-08
KR20210133943A (ko) 2021-11-08
KR20210133940A (ko) 2021-11-08
KR102366130B1 (ko) 2022-02-23
KR20210133942A (ko) 2021-11-08
KR102366133B1 (ko) 2022-02-23
KR102366134B1 (ko) 2022-02-23
KR102366135B1 (ko) 2022-02-23
KR102366131B1 (ko) 2022-02-23
KR102364291B1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344B2 (ja) 炭化水素井戸を掘削および操作するためのねじ山付き管状接続部のコンポーネントの雄型端部のための保護装置ならびにその保護装置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方法
KR20200000990U (ko)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US20100173512A1 (en) High power, single pole electrical connector
US20190126444A1 (en) Wrench
KR102366133B1 (ko) 오에프 케이블에 설치되는 실링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US201801489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of a Cable to a Tubular Body
US20210108741A1 (en)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f a Cable to a Tubular Body
US420902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aling a leak in a pipeline
US20190234542A1 (en) Seal assembly
RU2769162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ватываемой концевой части стальной труб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рабочей колонне труб дл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CN210806030U (zh) 一种铠装光缆接地装置
CN203009695U (zh) 一种钢丝绳连接装置
CN206727624U (zh) 一种电缆软管卡套式接头
CN109818163B (zh) 连接装置及电力系统
CN210977451U (zh) 一种过泥浆铠装电缆密封装卡结构
US3635500A (en) Underground drive coupling
KR102607229B1 (ko) 병렬 클램프
CN218150948U (zh) 一种新型注浆机安全防护装置
RU184372U1 (ru) Протектор быстросъемный для обсадных труб
US10030457B2 (en) Downhole tool stop devi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217406154U (zh) 一种用于电缆封头的防滑槽电缆罩
CN211116477U (zh) 一种用于往复式压缩机活塞杆密封安装的保护装置
CN204647147U (zh) 用于钢丝绳末端的锁紧扣
RU2508491C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бурильных труб
AU2017239606A1 (en) Cable anchor grouting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