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340A -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340A
KR20150106340A KR1020150029626A KR20150029626A KR20150106340A KR 20150106340 A KR20150106340 A KR 20150106340A KR 1020150029626 A KR1020150029626 A KR 1020150029626A KR 20150029626 A KR20150029626 A KR 20150029626A KR 20150106340 A KR20150106340 A KR 2015010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ess
water
extrac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264B1 (ko
Inventor
야마구치 하루카
타구치 슈야
키시 타카히로
마츠다 요시히토
히라야마 요시타케
Original Assignee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우스 쇼쿠힝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경험이 풍부한 안전성이 높은 식품 재료에서 나오는 천연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숙취 증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1회 경구 섭취량 당 비사쿠론을 0.15 mg 이상 함유하되, 수분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인 조성물.

Description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Low Moisture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nent in curcuma}
본 발명은 숙취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비사쿠론(Bisacurone)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콘(생강과 우콘, Curcuma longa LINNE)은 동남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의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생강과 우콘 속의 약용 식물이다.
우콘의 뿌리 줄기에는 3~5%의 커큐민(황색 색소)이 함유되어 있다. 우콘 추출물 및 커큐민에는 다양한 유용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에서는 우콘 추출물 함유 음료는 알코올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알코올 본래의 "취기"를 알맞게 발현하면서 과취를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우콘 또는 이의 추출물을, 황벽 나무 또는 이의 추출물, 황련 또는 이의 추출물 및 생강 또는 이의 추출물과 혼합되어 함유하는 숙취 예방·치료를 위한 의약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우콘을 마늘 가공물과 함께 함유하는 알코올 섭취 후 짜증, 구토, 숙취 등의 불쾌한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을 가진 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여전히 숙취의 증상에 효과적인 치료제 및 예방제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음식 경험이 풍부하고 안전성이 높은 천연 유래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및 예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개 2003-226650호 공보 WO 2005/032569
하마 타쿠야 등 「우콘 추출물이 일반 성인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검토」응용 약리, 72(1/2)31-38(2007)
본 발명은 음식 경험이 풍부한 안전성이 높은 식품 재료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숙취의 증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연구한 결과, 우콘 추출물에 포함된 비사클론이 숙취 증상의 억제 작용을 가진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비사클론을 저수분계 조성물로 함으로써, 비사클론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경구 섭취하기 쉬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알아냄에 근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1] 1회 경구 섭취량 당 비사쿠론을 0.15 mg 이상 함유하되, 수분량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인 조성물.
[2] 상기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의 조성물.
[3] 상기 조성물은 커큐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의 조성물.
[4] 상기 조성물은 과립상, 츄어블정(Chewable tablets) 또는 분말 음료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의 조성물.
[5] 상기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의 조성물.
[6] [1]~[4]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증상의 억제제.
[7] 상기 숙취 증상은 두중감, 구토, 권태감, 알코올 잔존감 및/또는 위의 불쾌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의 억제제.
[8] 비사쿠론과 식용 원료를 혼합하여 수분량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사쿠론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상기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의 방법.
[10] 1회 경구 섭취량 당 0.15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사쿠론을 식용 원료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9]의 방법.
[11] 비사쿠론과 식용 원료를 혼합하여 수분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숙취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저수분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사쿠론의 섭취에 따른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비사쿠론 및 커큐민의 섭취에 따른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비사쿠론(0.15mg)의 섭취에 따른 숙취 증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음료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 및 과립상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에 관한 보존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1. 비사쿠론( Bisacurone )
본 발명에 있어서 「비사쿠론」이란, 비사볼란(Bisabolane) 형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류로 분류되는 화합물로서, 하기의 평면 구조식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의미한다. 비사쿠론은 평면구조식 중 * 으로 표시된 위치에 비대칭 탄소가 있어, 이에 의해 많은 종류의 광학이성질체가 존재하나, 본 명세서에 따른 비사쿠론은 이들 중 어떠한 것의 광학이성질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비사쿠론은 식물 원료로부터 추출 또는 정제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인위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해도 좋지만, 안전성의 관점에서 식물 원료에서 추출 또는 분획/정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원료로서는, 생강과 식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쿠르쿠마 롱가(Curcuma longa)(우콘), 쿠르쿠마 아로마티카(Curcuma aromatic), 쿠르쿠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쿠르쿠마 파에오카울리스(Curcuma phaeocaulis), 쿠르쿠마 쾅시엔시스(Curcuma kwangsiensis), 쿠르쿠마 원유진(Curcuma wenyujin), 쿠르쿠마 잔토르리자(Curcuma xanthorrhiza)가 바람직하다. 식물 원료의 근경 등 적당한 부위를 원형 그대로, 또는 적당한 길이 또는 형상으로 자른 형태로, 또는 분쇄물의 형태로, 비사쿠론의 제조를 위해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원료는 적당 건조된 것이 좋다.
식물 원료로부터 비사쿠론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석유 에테르, 헥산, 아세톤, 아세노니트릴, 초산 에틸(ethyl acetate), 동식물 유지, 또는 이들 용매의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비사쿠론을 용해 가능한 용제를 이용하여, 식물 원료로부터 용해 가용성분을 추출한다. 추출 용제로서는, 알코올 등의 친수성 추출 용제 및/또는 물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알코올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중량비로 10:90~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80~50: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얻어진 식물 원료의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 더욱, 용매 분획, 크로마토그래피(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 및/또는 재결정 등의 정제 수단에 더하여, 비사쿠론을 분리 또는 정제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비사쿠론은 우콘을 식물 원료로 하는 메탄올 추출물을 얻어, 해당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용출시켜,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의 혼합물) 보다도 높은 극성의 분획으로부터 분취용 HPLC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숙취의 증상의 억제제(이하,「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라고 기재한다.) 중에는 바람직하게는 1회의 경구 섭취량 당 비사쿠론을 0.15mg이상 함유한다. 비사쿠론은 식물 원료 추출물의 형태라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 중에는 1회 경구 섭취량 당 비사쿠론을 0.15 mg이상 함유하고, 상기 추출 용매를 이용해 얻어진 식물 원료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비사쿠론은 식물 원료 추출물보다 분리/정제된 형태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 중의 비사쿠론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를 초산 에틸로 용해하고, 원심 분리해 얻어진 상등액에서 초산 에틸을 감압 류거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액을 분석 시료로서,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HPLC)에 더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회의 경구 섭취량」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가 한 번에 경구 섭취되는 양, 또는 짧은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5분 이하인 시간)을 두고 연속적으로 여러 회로 경구 섭취되는 총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 1회 경구 섭취량이란 200 mg~2500 mg, 바람직하는 1000 mg~2000 mg(전형적으로는 200 mg, 300 mg, 400 mg, 500 mg, 600 mg, 700 mg, 800 mg, 900 mg, 1000 mg, 1100 mg, 1200 mg, 1300 mg, 1400 mg, 1500 mg, 1600 mg, 1700 mg, 1800 mg, 1900 mg, 2000 mg, 2100 mg, 2200 mg, 2300 mg, 2400 mg, 또는 2500mg)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도 「1회의 경구 섭취량」을 이러한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사쿠론을 0.15 mg 이상」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 1회 경구 섭취량 당 0.15 mg 이상의 비사쿠론이 포함되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형적으로는 0.15 mg이상, 0.2 mg이상, 0.3 mg이상, 0.4 mg이상, 0.5 mg이상, 0.6 mg이상, 0.7 mg이상, 0.8 mg이상, 0.9 mg이상, 1.0mg이상 또는 그 이상의 양의 비사쿠론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2. 우콘 색소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에는, 우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우콘 색소는, 우콘의 근경 부분을 온시 에탄올로 가열 시 유지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실온 시~가열 시 헥산이나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 이렇게 얻어진 우콘 색소는 주로 쿠르쿠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의 우콘 색소의 양은 1회의 경구 섭취량 당, 쿠르쿠민이 3 mg~10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g~7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5 mg, 전형적으로는 5 mg, 10 mg, 15 mg, 20 mg, 25 mg, 30 mg, 35 mg, 또는 40 mg이 되는 양의 우콘 색소가 함유되는 것이 좋다.
우콘 색소는 미립자화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우콘 색소 미립자화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소망의 입자 사이즈를 얻을 수 수 있도록 분쇄 처리(미립자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립자화 처리 방법으로는 물 난용성 물질의 미립자화 처리 방법으로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콘 색소를 친수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수계 용매 중에 분산시켜 미립자화하는 방법이나, 우콘 색소를 유화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분쇄 처리함으로써, 또는, 우콘 색소를 유화제, 다당류 등을 포함한 수계 용매 중에 분산시켜 얻은 분산 용액을 분쇄 처리하는 것에 의해 미립자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특개 2005-328839호 공보, 특개 2004-208555호 공보, 특개 2009-201371호 공보, 특개 2009-263638호 공보).
3. 산미료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는 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최종 형태에서 허용되는 산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산미료로는 예를 들면, 구연산, 사과산, 글루콘산, 주석산, 젖산, 인산, 또는 이들의 염 등이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산미료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를 섭취한 경우 산미료가 혀에 닿아 침 분비를 촉진시켜 구강 내에서 고형화기 기재가 붕괴, 분산하고, 빠르게 용해하여 그대로 침과 함께 삼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는 물을 안 마시고 섭취할 수 있다.
산미료의 양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음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커에 넣은 20℃의 물 100 ml에 1회 경구 섭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를 넣은 경우에 물의 pH가 2.0~5.0, 바람직하게는 2.5~4.5(전형적으로는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1 이상 3.2 이상 3.3 이상 3.4 이상, 3.5 이상 3.6 이상 3.7 이상 3.8 이상 3.9 이상 및 4.0 이하, 4.5 이하, 5.0 이하)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를 입 속에 넣었을 경우에 산미료의 작용으로 침 분비를 촉진하여 고형화 기재를 쉽게 붕괴, 분산, 용해하여 섭취하고 동시에 섭취에 적합한 산미, 또는 우콘 추출물 및/또는 우콘 색소에 기인한「쓴맛」이나 「떫은 맛」등의 불쾌한 정미을 억제할 수 있는 산미를 달성할 수 있다. 산미료로서 구연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중 고형분으로 1~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4. 다른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에는 식품과 의약품 등의 최종적 형태에서 허용되는 성분이면서, 경구 섭취 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형화 기재, 감미료, 비타민, 미네랄류,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색소, 향료, 보존제, 방부제, 가공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고형화 기재로는 상기 성분을 굳히고 성형하기 위한 결합재로서 기능을 하고 물에 용이하게 분산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당, 당 알코올, 전분, 각종 전분, 덱스트린,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고형화 기재는 더욱 일반적으로 결합제로서 이용되는, 물엿, 결정 셀룰로스, 각종 검제, 덱스트린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미료로는 포도당, 과당, 설탕, 젖당, 맥아당, 팔라티노오스, 트레할로오스, 자일로스 등의 단당과 이당, 이성화당(포도당 과당 액상당, 과당 포도당 액상당, 설탕 혼합 이성화당 등), 당알코올(에리트리톨(erythritol), 자일리톨, 락티톨(xylitol), 파라치니트(parachinit), 소르비톨(sorbitol), 환원물엿(reduced sugar syrup) 등), 꿀, 고감미도 감미료(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소마틴(thaumatin), 스티비아(stevia), 아스파탐(aspartame) 등)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나이아신(niacin), 이노시톨(inositol) 등을 들 수 있다.
미네랄류로서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비타민 C, 토코페롤(비타민 E), 효소 처리 루틴, 카테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각각 당업자가 식품과 의약품에 통상 채용하는 범위 내의 양으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5.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억제제는 저수분계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성분을 포함한 원료를 적당량의 물과 함께 혼합하여 조립(분무 조립, 압출 조립,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진동 과립 및 압축 조립 등), 정립, 압축 성형, 정제 제조 등의 처리 또는 여러 조합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조립 처리로서는 압출 조립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출 조립의 처리를 하여 제조된 과립상 조성물에서는 구성 성분에 치우침 없이, 균일한 과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과립제, 환제, 정제, 분말제, 츄어블제 등의 형태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을 안 마시고 섭취할 수 있는 과립제나 츄어블제 또는 분말 음료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당 조성물의 전체 중량 당 수분이 7 중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분량의 하한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의 전체 중량당 3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의 측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가열 건조법을 이용한 후에 건조 조제법(105℃에서 16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분 활성(Aw)이 0.7 이하, 전형적으로는 0.7 이하 0.6 이하 0.5 이하, 0.4 이하,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분 활성 값은 조성물 중에 포함된 당질과 염 등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수분 활성 측정은 공지의 수분 활성 측정 장치를 사용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바시나 사 제의 수분 활성 측정 장치를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분 및/또는 수분 활성을 상기 값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성물 중에 있어서 비사쿠론의 감쇠를 억제하고 저장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6.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섭취 후의 기상시의 이른바 숙취 증상(특히 두중감, 구토, 권태감, 알코올 잔존감, 위의 불쾌 증상)의 경감 작용을 가진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제공되어도 좋고 경구 투여용 의약품으로 제공되어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식품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식품이나 의약품용의 용기나 봉투로 사용하는 용기나 봉투에 수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제 용기나 봉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의 경구 섭취량마다 분포할 수 있다. 조성물을 용기나 봉투에 수용하는 수단은 임의이다.
[ 실시예 ]
I.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사쿠론(Bisacurone)의 효과
비사쿠론의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동물
각 실험 대상물에 대해, 7 주령의 수컷 SD 랫트(7 마리)를 사용하였다.
2.실험 대상물
비사쿠론:우콘(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물 추출액을 메탄올로서 재추출하여, 얻어진 메탄올 추출액으로부터 분취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사쿠론은, 0.5w/v% 메틸 셀룰로오스(와코 순약공업)에 용해하였다.
3.실험 방법
실험 동물의 입하 때로부터 본 사육 개시 전일까지 1 주간, 예비 사육을 수행하여 순화하였다.
실험 대상물은 위관을 사용하여 하기 투여량이 되도록 강제 위 내 투여하였다. 에탄올은 하기 투여량으로 하기 위해, 동시에 같은 경로로 투여하였다.
덱스트린(대조군): 덱스트린 2010 mg/kg
비사쿠론: 비사쿠론 250 mg/kg+덱스트린 1760 mg/kg
에탄올: 2 g/kg
에탄올 투여 후, 10, 30, 60, 120, 180, 240 분 시점에 꼬리 정맥으로부터 헤파린 가채혈을 수행하고, F-킷트 에탄올(J.K.인터네셔널)을 제조원의 지시서에 따라, 각 시점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4.실험 결과
결과를 도1에 나타낸다. 각 결과는 각 시점의 혈중 농도-시간곡선하면적(AUC)의 합계를 각각 나타낸다. 비사쿠론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혈중 에탄올 농도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I.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사쿠론 및 커큐민의 효과
비사쿠론 및 커큐민의 혈중 에탄올 농도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동물
각 실험 대상물에 대해, 7 주령의 수컷 SD 랫트(8 마리)를 사용하였다.
2.실험 대상물
대조군(control): 덱스트린(dextrin)(마츠타니 화학공업 주식회사)
커큐민: 터머릭 컬러(turmeric color) HJK (이나바타 향료 주식회사)
비사쿠론: 우콘(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물 추출액을 메탄올로서 재추출하여, 얻어진 메탄올 추출액으로부터 분취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커큐민 및 비사쿠론은, 0.5w/v% 메틸 셀룰로오스(와코 순약공업)에 용해하였다.
3.실험 방법
실험 동물의 입하 때로부터 본 사육 개시 전일까지 1 주간, 예비 사육을 수행하여 순화하였다.
실험 대상물은 위관을 사용하여 하기 투여량이 되도록 강제 위 내 투여하였다. 에탄올은 하기 투여량으로 하기 위해, 동시에 같은 경로로 투여하였다.
커큐민 단독: 125 mg/kg
커큐민+비사쿠론: 커큐민125 mg/kg+비사쿠론20 mg/kg
에탄올: 2 g/kg
에탄올 투여 후, 10, 30, 60, 120, 180, 240 분 시점에 꼬리 정맥으로부터 헤파린 가채혈을 수행하고, F-킷트 에탄올(J.K.인터네셔널)을 제조원의 지시서에 따라, 각 시점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4.실험 결과
결과를 도2에 나타낸다. 각 결과는 각 시점의 혈중 농도-시간곡선하면적(AUC)의 합계를 각각 나타낸다. 커큐민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도, 커큐민 및 비사쿠론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혈중 에탄올 농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II.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
비사쿠론의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1.실험 조성물(음료)
비사쿠론 함유 조성물(실시예 A)는, 물 이외의 성분(분말 원료)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 용해하여 100 mL의 수용액으로 하여, 93℃에서 가열한 것을 금속캔에 핫팩(hot pack)하여 제작하였다. 비교예 a는 핫팩한 후, 추가로 40℃에서 1주간 보관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A와 동일한 양상으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 음료의 pH 값은 3.1로 하였다. 비사쿠론은 산성 수용액 중에, 40℃에서 보관하는 것으로서 분해가 촉진되어, 실험 음료 중의 비사쿠론을 소실시킬 수 있다.
우콘 색소는, 우콘(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하여 아세톤을 휘발시키는 것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콘 색소에는 30 중량%의 커큐민이 함유되어, 각각의 조성물 중에는 커큐민이 30 mg 포함되었다.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의 형태를 사용하였다. 즉, 비사쿠론을 소정량 함유하는 우콘 추출물을 각각의 조성물 중에 배합하였다. 우콘 추출물은 우콘(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해 수득한 것이다. 각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의 양은, 각 조성물을 초산 에틸과 혼합하여, 원심분리해서 수득된 상등액으로부터 초산 에틸을 감압류거(減壓留去)한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액을 분석 시료로 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가하는 것으로부터 구하였다. HPLC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Thermo ODS HYPERSIL 250 mmxΦ4.6 mm
·이동상: 65%아세토니트릴(20분)⇒80%아세토니트릴(5 분)⇒65%아세토니트릴(10 분)
·유량: 0.7 mL/min
·온도: 40℃
·검출 파장: 242 nm
실시예 A 및 비교예 a는 이하의 조성을 가진다. 비사쿠론은 실시예 A에는 0.15 mg, 비교예 a에는 비사쿠론이 검출되지 않았다.
배합량(g)
성분 실시예 A 비교예 a
비사쿠론 0.00015 0
우콘 색소 0.1 0.1
비타민 C 0.2 0.2
비타민 E 0.01 0.01
비타민 B6 0.001 0.001
니아신 0.01 0.01
과당포도당액당 6 6
구연산 0.3 0.3
덱스트린 0.4 0.4
증점다당류 0.05 0.05
수크로오즈 0.006 0.006
향료 0.1 0.1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2.실험 대상자
실험 대상자는, 알코올 음료를 마실 수 있는 20~65세의 남녀로부터 선발한 13 명으로 하였다. 알코올 음료를 마실 수 없는 사람(자기신고), 통원 중인 사람, 복약 중인 사람, 신장·간장질환의 질병이 있는 사람, 각종 과민증인 사람은 실험 대상자로부터 제외하였다.
3.실험 방법
실시예 A 또는 비교예 a에 대하여 아래의 수순에 따라 숙취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의 내용의 실험은 1 주간을 간격으로 하여 2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일에 상기 실시예 A 또는 비교예 a를 섭취한 후, 2 시간에 걸쳐서 식사를 하면서 음주를 하였다. 개인에 따라 주량대로 식사의 메뉴 및 양을 관리하여, 2 회의 실험에서 거의 같은 주량 및 식사조건이 되도록 하였다.
음주 후에 취침하고, 7 시간을 목표로 하여 수면을 하였다. 음주 후 섭취할 수 있는 물의 양은 200 ml까지로 하였다. 기상 후의 숙취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하의 사항은 금지하였다.
숙취 개선 효과가 있는 의약, 식품의 섭취
4.실험 스케쥴
실험 대상자 5 명에 대하여, 실시예 A에 대하여 상기 실험(1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고, 다음에는 비교예 a에 대하여 상기 실험(2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 대상자 중 남은 8 명에 대해서 비교예 a를 실험 음료로 하여 섭취하는 상기 실험(1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고, 다음에 실시예 A에 대하여 상기 실험(2 번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5.설문조사에 따른 평가 항목
설문 조사는, 각 실험 대상자에게, 두통, 두중감, 구역질, 권태감, 알코올 잔존감, 위의 불쾌 증상의 6 항목에 대해서 VAS 법에 따른 자기평가결과를 기입하게 하였다.
VAS(Visual Analog Scale)법이라는 것은, 자각적 증상의 정도를 산측화하여 평가하는 검사이다. 직선상에,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상태를 우단, 최저를 좌단으로 하고 그 선분 상에 자신의 상태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임상 의학에서도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동일한 피실험자간의 투여 전후 상태의 비교 등에 사용된다.
6.실험 결과
각 실험 음료를 섭취하는 실험에서의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피험자 전원의 VAS 기입값을 집계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사쿠론 0.15 mg 을 함유하는 실시예 A에는, 비사쿠론을 함유하지 않지 않는 비교예 a와 비교하여, 숙취 증상인 두통, 두중감, 구역질, 권태감, 알코올이 남은 느낌, 위의 불쾌 증상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억제가 나타나, 특히 「두중감」이나 「위의 불쾌 증상」을 억제하는 작용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0.15 mg의 비사쿠론을 섭취하는 것에 의해서, 높은 숙취 증상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하게 되었다.
IV.보존 실험
조성물의 형태에 의한 비사쿠론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에는 과립상 조성물의 형태인 실시예 1(표 2)과 음료 조성물의 형태인 비교예 1-5(표 3)을 사용하였다.
과립상 조성물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성분 배합량(g)
우콘 색소 0.1
비사쿠론 0.0005
비타민 C 0.2
비타민 E 0.01
비타민 B6 0.001
니아신 0.01
환원 맥아당
(과립화기재)
45
콘스타치
(과립화 부형제)
45.6785
구연산 4
감미료 5
10
합계 100
단, 물 10 중량부는 제조의 과정에서 증발하여 제거한다.
우콘 색소는 상기 「III.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기재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의 형태로 이용하였다. 우콘 추출물은 상기 「III.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기재 방법에 의해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우콘 추출물 중의 비사쿠론의 양은 추출물을 초산 에틸과 혼합해 원심 분리해 얻어진 상등액에서 초산 에틸을 감압 류거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액을 분석 시료로하여 상기 「III.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기재의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량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HPLC)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1) 상기 표 1의 배합에 따라, 우콘 색소, 비사쿠론을 함유한 우콘 추출물, 환원 맥아당, 콘스타치(cornstarch), 구연산, 비타민 E, 비타민 C, 나이아신과 감미료를 혼합하여 「분체 배합」을 제조하였다.
(2) 물, 비타민 B를 혼합하여「가수 배합」을 제조하였다.
(3) 혼합기 내에서 분체 배합에 가수 배합을 적하 투입하여 충분히 혼련하여 도우를 제조하였다.
(4) 압출 분쇄기에 도우를 투입해 가압하는 것으로 입자 길이 5 mm 정도의 조립물을 제조하였다.
(5) 조립물을 유동층 건조기에서 수분치 7% 이하, 수분 활성(AW)0.7 이하까지 건조시켰다.
(6) 구멍 크기 355μm의 체로 미립자 분말을 체에 통과시켜 과립상 조성물을 얻었다.
음료 조성물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pH2.9 pH3.1 pH3.5 pH3.7 pH3.9
성분 배합량(g)
우콘 색소 0.1 0.1 0.1 0.1 0.1
비사쿠론 0.0005 0.0005 0.0005 0.0005 0.0005
비타민 C 0.2 0.2 0.2 0.2 0.2
비타민 E 0.01 0.01 0.01 0.01 0.01
비타민 B6 0.001 0.001 0.001 0.001 0.001
니아신 0.01 0.01 0.01 0.01 0.01
과당포도당액당 4 4 4 4 4
구연산 0.4 0.3 0.3 0.3 0.3
구연산3Na 0 0 0.05 0.1 0.2
덱스트린 0.4 0.4 0.4 0.4 0.4
증점다당류 0.05 0.05 0.05 0.05 0.05
수크로오즈 0.008 0.008 0.008 0.008 0.008
향료 0.1 0.1 0.1 0.1 0.1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우콘 색소 및 비사쿠론(우콘 추출물의 형태)는 상기 「III.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에 기재 방법에 의해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우콘 추출물 중의 비사쿠론의 양은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 음료 조성물의 pH 값 조정은 시트르산 및/또는 시트르산 3나트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표에서 pH 값은 품온 20℃에서 측정된 값을 말한다.
각 음료 조성물은 물 이외의 성분(분말 원료)를 혼합한 뒤 물에 첨가 용해하여 액체 원료를 투입해 100mL의 수용액으로 하여 93℃에 가열 살균한 것을 금속 용기에 핫 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과립상 조성물 및 각 음료 조성물을 40℃의 조건에 보존한 후 각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의 양을 상기 「III. 숙취 증상에 대한 효과」의 실험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40℃의 조건 하 보존하기 직전의 샘플의 비사쿠론 함량을 100%라고 할 때 각 샘플의 비사쿠론 함량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음료 조성물에서는 시간 경과적으로 비사쿠론 함량이 감쇠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pH 값이 낮을수록 감쇠 속도(그래프 기울기)가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과립상 조성물에서는 비사쿠론 함량이 약간 감소할 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정량(또는 유효량)의 비사쿠론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사쿠론 함유 조성물을 음료 조성물의 형태적 보다는 저수분계의 조성물의 형태로 할수록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산미료를 더해 조성물에 신맛을 부여하는 경우에서는 산미료 첨가에 의한 pH 값이 낮아지는 음료 조성물 중에 비사쿠론이 함유되는 것보다 저수분계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비사쿠론의 보존 안정상 유리하다.

Claims (11)

1회 경구 섭취량 당 비사쿠론을 0.15 mg 이상 함유하되, 수분량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인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커큐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립상, 츄어블정(Chewable tablets) 또는 분말 음료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증상의 억제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 증상은 두중감, 구토, 권태감, 알코올 잔존감 및/또는 위의 불쾌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억제제.
비사쿠론과 식용 원료를 혼합하여 수분량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사쿠론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사쿠론은 우콘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1회 경구 섭취량 당 0.15 mg 이상이 되는 양의 비사쿠론을 식용 원료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비사쿠론과 식용 원료를 혼합하여 수분이 7 중량% 이하 및/또는 수분 활성(Aw)이 0.7 이하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비사쿠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150029626A 2014-03-11 2015-03-03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KR101673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8155A JP5572775B1 (ja) 2014-03-11 2014-03-11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JPJP-P-2014-048155 201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40A true KR20150106340A (ko) 2015-09-21
KR101673264B1 KR101673264B1 (ko) 2016-11-07

Family

ID=5142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26A KR101673264B1 (ko) 2014-03-11 2015-03-03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72775B1 (ko)
KR (1) KR101673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9675B2 (ja) * 2016-10-14 2021-01-06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内即溶性顆粒の製造方法
JP7276991B2 (ja) * 2018-08-31 2023-05-18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ウコン由来成分を含む、口腔内で咀嚼される及び/又は口腔内で溶解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
JP7338822B2 (ja) * 2019-03-27 2023-09-05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ターメロノールbの揮発を抑制す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650A (ja) 2001-11-30 2003-08-12 Daito Kk 医薬用組成物
WO2005032569A1 (ja) 2003-10-02 2005-04-14 Kowa Co., Ltd. 医薬組成物
JP2011068569A (ja) * 2009-09-24 2011-04-07 House Foods Corp ウコン抽出物とガジュツ抽出物とを含有する組成物
JP2011105698A (ja) * 2009-10-22 2011-06-02 Kirin Holdings Co Ltd アルコール性疲労改善剤
JP2013166734A (ja) * 2012-02-16 2013-08-29 Nara Women's Univ アルコール摂取に起因する海馬神経活動の低下の抑制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650A (ja) 2001-11-30 2003-08-12 Daito Kk 医薬用組成物
WO2005032569A1 (ja) 2003-10-02 2005-04-14 Kowa Co., Ltd. 医薬組成物
JP2011068569A (ja) * 2009-09-24 2011-04-07 House Foods Corp ウコン抽出物とガジュツ抽出物と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20032034A (ko) * 2009-09-24 2012-04-04 하우스 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울금 추출물과 자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11105698A (ja) * 2009-10-22 2011-06-02 Kirin Holdings Co Ltd アルコール性疲労改善剤
JP2013166734A (ja) * 2012-02-16 2013-08-29 Nara Women's Univ アルコール摂取に起因する海馬神経活動の低下の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하마 타쿠야 등 「우콘 추출물이 일반 성인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검토」응용 약리, 72(1/2)31-38(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2012A (ja) 2015-10-01
KR101673264B1 (ko) 2016-11-07
JP5572775B1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080B1 (ko) 울금 추출물과 자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6387467B2 (ja) マンゴスチン抽出物またはアルファ、ガンママンゴス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US2012022505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inflamation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JP4689468B2 (ja) 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8598B1 (ko) 울금 중의 유용성분 및 울금 색소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JP6803893B2 (ja) Vcam−1発現抑制剤
KR101673264B1 (ko)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JP5759047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JPWO2014010656A1 (ja)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JP5543656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
JP5543655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安定的に含有する飲料
KR101823673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JP2018100247A (ja) デキストリン製剤
KR20170076496A (ko) 용해성이 개선된 안정한 무정형 쿠르큐미노이드 고체분산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84696B1 (ko) 울금 중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JP5437672B2 (ja) 血清中尿酸値の低減剤
KR101865819B1 (ko) 오미자 발효물 및 호두를 함유하는 정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87742B1 (ko) 표고버섯과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1772B1 (ko) 클로로필 및 로즈마린산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된 신경염증 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2103508A (ja) SARS-CoV-2ウイルス感染抑制剤及びSARS-CoV-2ウイルス感染抑制用組成物
JP2009096718A (ja) 破骨細胞分化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