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683A - 렌즈 배럴,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전자 뷰파인더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배럴,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전자 뷰파인더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2683A KR20150102683A KR1020150018869A KR20150018869A KR20150102683A KR 20150102683 A KR20150102683 A KR 20150102683A KR 1020150018869 A KR1020150018869 A KR 1020150018869A KR 20150018869 A KR20150018869 A KR 20150018869A KR 20150102683 A KR20150102683 A KR 20150102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opening
- frame
- support member
- display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부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렌즈부마다 복수의 개구부를 배치하는 경우 촬상 장치의 설계가 제약되고 촬상 장치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약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삽입부와 상기 개구폭이 다른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이용하여 렌즈부의 편심과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렌즈 배럴, 촬소 소자 지지 구조체 및 전자 뷰파인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배럴,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전자 뷰파인더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즈 배럴은, 광학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렌즈 지지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지지 프레임은, 렌즈 지지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핀홀을 마련하고, 렌즈 배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핀홀에 핀을 걸어맞춤으로써 광학 렌즈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지지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사홀을 마련하고, 렌즈 배럴의 외측으로부터 나사홀에 나사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광학 렌즈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촬상 장치 등에서 이용되는 렌즈 배럴은, 최근 화질 향상 요구에 따라 렌즈 지지 프레임이 광학 렌즈를 지지하는 정밀도를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제조 오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광학 렌즈의 편심 및 기울기를 수정하기 위한 조정 기능을 가진 렌즈 배럴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렌즈 배럴은, 광학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 프레임과, 렌즈 지지 프레임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제1 관통홀과 해당 제1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압입되는 제1 편심 부재와, 렌즈 지지 프레임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2 관통홀과 해당 제2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압입되는 제2 편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렌즈 배럴에서는, 제1 관통홀에 제1 편심 부재를 압입함으로써 렌즈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광학 렌즈의 편심을 조정하고, 제2 관통홀에 제2 편심 부재를 압입함으로써 렌즈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광학 렌즈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고배율 줌렌즈나 대구경 줌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에서는, 각 렌즈부마다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줌렌즈부를 지지하는 렌즈 배럴에서, 줌을 따라 렌즈 배럴이 이동할 때 각 렌즈부에 마련된 각각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렌즈 배럴을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고배율 줌렌즈나 대구경 줌렌즈 등의 렌즈 배럴을 설계하기 위해 렌즈 광학계의 설계가 제약될 수 있으며, 기본 광학 성능이 저하되거나 배럴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은, 렌즈부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을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며, 상기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와 상기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외벽부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내벽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에서, 상기 렌즈부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광학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전용 공구를 탈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외벽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줌 위치 중 와이드단에 배치된 경우, 상기 렌즈부의 편심 또는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전용 공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줌 위치 중 텔레단에 배치된 경우, 상기 렌즈부의 편심 또는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전용 공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는, 촬상 소자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촬상 소자 프레임;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을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상기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는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외벽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내벽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에서, 상기 촬상 소자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촬상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에서,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는, 표시 소자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표시 소자 프레임,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을 지지하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며, 상기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와 상기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에서, 상기 표시 소자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표시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에서,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유지하면서도 렌즈 배럴의 크기를 증기시키지 않고, 광학 소자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 및 전자 뷰파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이 결합된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텔레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텔레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를 A-A선에 따라 자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전자 뷰파인더를 B-B선에 따라 자른 전자 뷰파인더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와이드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텔레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렌즈 프레임 지지부가 텔레단으로 이동된 렌즈 배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를 A-A선에 따라 자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전자 뷰파인더를 B-B선에 따라 자른 전자 뷰파인더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100)이 결합된 촬상 장치(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의 좌우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촬상 장치(1)의 광축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촬상 장치(1)의 상하 방향을 Z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 장치(1)는 렌즈 배럴(100) 및 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에는, 제1 렌즈부(L1), 제2 렌즈부(L2), 제3 렌즈부(L3), 제4 렌즈부(L4), 제5 렌즈부(L5)가 광축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부(L1), 제2 렌즈부(L2), 제3 렌즈부(L3), 제4 렌즈부(L4), 제5 렌즈부(L5)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되는 광학 소자가 광학 렌즈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필터 부재, 회절 광학 소자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렌즈부(L3)는 광축 방향을 따라 제3-1 렌즈부(L31), 제3-2 렌즈부(L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렌즈부(L4)는 광축 방향을 따라 제4-1 렌즈부(L41), 제4-2 렌즈부(L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렌즈부(L5)는 광축 방향을 따라 제5-1 렌즈부(L51), 제5-2 렌즈부(L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렌즈부의 렌즈 구성을 간략히 서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 장치(1)에서 줌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1 렌즈부(L1), 제2 렌즈부(L2), 제3 렌즈부(L3), 제4 렌즈부(L4), 제5 렌즈부(L5)는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 줌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3 렌즈부(L3)와 제5 렌즈부(L5)는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촬상장치(1)에서 포커스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3-1 렌즈부(L31)는 촬상 장치(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4-1 렌즈부(L41)가 촬상장치(1)의 광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장치(1)의 흔들림이 보정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은, 마운트부(101), 고정부(102), 안내통(103), 캠통(104), 프레임 지지부(105),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 (107), 제3 렌즈 프레임(108), 제1 렌즈 지지부(109), 제2 렌즈 지지부(110), 제3 렌즈 지지부(111), 제4 렌즈 지지부(112), 제5 렌즈 지지부(113), 제6 렌즈 지지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마운트부(101), 고정부(102), 안내통(103), 캠통(104), 프레임 지지부(105),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 제1 렌즈 지지부(109), 제2 렌즈 지지부(110), 제3 렌즈 지지부(111), 제4 렌즈 지지부(112), 제5 렌즈 지지부(113), 제6 렌즈 지지부(114)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부(101)는 일 측, 예를 들어 피사체 측에 형성된 나사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101)는 타 측, 예를 들어 본체부(200) 측에 형성된 바요넷부를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2)는 나사부(미도시)에 의해 안내통(10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통(103)는, 본체부(200)에 대해 캠통(104), 프레임 지지부(105),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 제1 렌즈 지지부(109), 제2 렌즈 지지부(110), 제3 렌즈 지지부(111), 제4 렌즈 지지부(112), 제5 렌즈 지지부(113), 제6 렌즈 지지부(1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안내통(103)은, 안내통(103)의 외벽으로부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301, 302; 3도 2 참조)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탈부착하기 위한 개구부(103A; 도 11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통(103)은 광축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03B; 도 11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캠통(104)는 광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안내통(103)의 내벽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캠통(104)는 캠홈(104B; 도11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캠통(104)가 회동함에 따라 캠홈(104B)과 안내통(103)의 가이드 홈(103B)이 중첩되는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렌즈부(L1), 제2 렌즈부(L2), 제4 렌즈부(L4), 및 제3 렌즈부(L3)와 제5 렌즈부(L5)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105)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캠통(104)는, 캠통(104)의 외벽부로부터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301) 302: 도 2 참조)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탈부착하기 위한 개구부(104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는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부(105)의 상측에는 제6 렌즈 지지부(114)의 피사체측 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렌즈 프레임(106)의 내벽부에는, 제3-1 렌즈부(L31)를 지지하는 제3 렌즈 지지부(11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프레임(107)은 제3-2 렌즈부(L3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 프레임(108)은 제5-1 렌즈부(L5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6 렌즈 지지부(114)는 제5-2 렌즈부(L5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지지부(105)는 제3 렌즈부(L3)와 제5 렌즈부(L5)를 일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캠통(104)가 회동되고 프레임 지지부(105)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3 렌즈부(L3)와 제5 렌즈부(L5)는 일체적으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렌즈 프레임(106)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프레임(106)은 제3 렌즈 지지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3-1 렌즈부(L3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서 포커스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제3-1 렌즈부(L31)는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렌즈 지지부(109)는 나사부를 이용하여 캠통(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지지부(109)는 제1 렌즈부(L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부(L1)는 캠통(104)가 회동함에 따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렌즈 지지부(110)는 나사부를 이용하여 캠통(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지지부(110)는 제2 렌즈부(L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렌즈부(L2)는 캠통(104)의 회동에 따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4 렌즈 지지부(112)는 캠통(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 지지부(112)는 제4-1 렌즈부(L41)를 지지할 수 있다.
제5 렌즈 지지부(113)는 캠통(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 지지부(113)는 제4-2 렌즈부(L4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통(104)가 회동함으로써 제4 렌즈부(L4)는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 제4 렌즈 지지부(112)는 광축에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캠통(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렌즈 지지부(112)는 제4-1 렌즈부(L4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1 렌즈부(L41)가 광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흔들림이 보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100)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 배럴(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지지부(105),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은 제3 렌즈부(L3) 및 제5-1 렌즈부(L5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벽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 및 제3 관통홀(105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관통홀(105A)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제2 관통홀(105B)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제3 관통홀(105C)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관통홀(105B)은 제1 관통홀(105A) 보다 본체부(200)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관통홀105C)은 제2 관통홀(105B)보다 본체부(200)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프레임(106)은 제1 렌즈 프레임(106)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3개 이상의 제1 홈부(106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렌즈 프레임(106)에 형성되는 제1 홈부(106A)는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05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제1 홈부(106A)는 제1 렌즈 프레임(106)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프레임(107)은 제2 렌즈 프레임(107)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3개 이상의 제2 홈부(107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렌즈 프레임(107)에 형성되는 제2 홈부(107A)는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05B)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제2 홈부(107A)는 제2 렌즈 프레임(107)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 프레임(108)은 제3 렌즈 프레임(108)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3개 이상의 제3 홈부(108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렌즈 프레임(108)에 형성되는 제3 홈부(108A)는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105C)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제3 홈부(108A)는 제3 렌즈 프레임(108)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부(301)가 제1 나사(401)를 이용하여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1 관통홀(105A) 및 제1 렌즈 프레임(106)의 제1 홈부(106A)에 결합됨으로써 제1 렌즈 프레임(106)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삽입부(302)가 제2 나사(402)를 이용하여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2 관통홀(105B) 및 제2 렌즈 프레임(107)의 제2 홈부(107A)에 결합됨으로써 제2 렌즈 프레임(107)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삽입부(303)가 제3 나사(403)을 이용하여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3 관통홀(105C) 및 제3 렌즈 프레임(108)의 제3 홈부(108A)에 결합됨으로써 제3 렌즈 프레임(108)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지지부(105)에 의해 제3 렌즈부(L3) 및 제5-1 렌즈부(L51)가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 제1 삽입부(301), 제2 삽입부(302), 제1 나사(401), 제2 나사(40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 제1 삽입부(301), 제2 삽입부(302), 제1 나사(401), 제2 나사(402)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레임 지지부(105)에 제1 렌즈 프레임(106)과 제2 렌즈 프레임(107)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렌즈 프레임(106)의 제1 홈부(106A), 제2 렌즈 프레임(107)의 제2 홈부(107A),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 제1 삽입부(301), 제2 삽입부(302), 제1 나사(401), 및 제2 나사(402)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관통홀(105A), 및 제2 관통홀(105B)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확대 상면도이다.
도 8의 일점 쇄선이 나타내는 위치는, 도 6의 일점 쇄선이 나타내는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일점 쇄선은 제1 삽입부(301) 및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이다. 도 4,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관통홀(105A)에는, 각각 개구폭이 다른 복수의 개구, 예를 들어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E)가 프레임 지지부(105)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05B)에는, 각각 개구폭이 다른 복수의 개구, 예를 들어 제3 개구(105F) 및, 제4개구(105G)가 프레임 지지부(105)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관통홀(105A)에 형성된 개구의 수, 및 제2 관통홀(105B)에 형성된 개구의 수는 두 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관통홀(105A) 및, 제2 관통홀(105B)에는 3개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벽부에 위치한 제1 개구(105D) 및, 제3 개구(105F)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제2 개구(105E) 및, 제4 개구(105G)는 렌즈 배럴(100)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관통홀(105A)에 형성된 제1 개구(105D) 및, 제2 개구(105E) 중 적어도 1개의 개구, 예를 들어 제1 개구(105D)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1개의 다른 개구, 예를 들어 제2 개구 (105E)는 렌즈 배럴(100)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105B)에 형성된 제3 개구(105E) 및, 제4개구(105G)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 예를 들어 제3 개구 (105F)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개구(105G)는 렌즈 배럴(100)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E), 제3 개구(105F) 및, 제4 개구(105G)는 각각 평면시(平面視)에 타원형상이다. 제1 개구 (105D) 및 제3 개구(105F)는 타원형의 장축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며, 제2 개구(105E) 및 제4 개구(105G)는 타원형의 장축이 렌즈 배럴(100)의 광축과 평행하도록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벽부에 위치한 제1 개구(105D)의 개구폭은,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위치한 제2 개구(105E)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벽부에 위치한 제3 개구(105F)의 개구폭은,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벽부에 위치한 제4 개구(105G)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환언하면, 제2 개구(105E)의 개구 면적은 제1 개구(105D)의 개구 면적 보다 작다. 또 제4 개구(105G)의 개구 면적은 제3 개구(105F)의 개구 면적 보다 작다.
이에 따라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벽부로부터 제1 관통홀(105A) 및, 제2 관통홀(105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05A) 및, 제2 관통홀(105B)이 형성된 프레임 지지부(105)는 외측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구(105D)의 개구폭은 제2 개구(105E)의 개구폭보다 작을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개구(105D)의 개구부와 제2 개구(105E)의 개구부는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구(105F)의 개구부와 제4 개구(105G)의 개구부는 일부 중첩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세 개 이상의 제1 관통홀(105A)에 각각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제1 삽입부(301) 중 적어도 두 개는 제1 원통부(301A)(편심 원통부), 제1 원통부(301B)(동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세 개 이상의 제2 관통홀(105B)에 각각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제2 삽입부(302) 중 적어도 두 개는 제1 원통부(302A)(동심 원통부), 제2 원통부(302B)(편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1A)는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으로 형성되고, 제2 원통부(301B)는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원통부(302A)는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형성되고, 제2 원통부(302B)는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세 개의 제1 삽입부(301)는 제1 원통부(301A), 제2 원통부(301B), 제3 원통부(301C)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301)에 구비된 제1 원통부(301A), 제2 원통부(301B), 제3 원통부(301C)는 차례대로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삽입부(301)가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원통부(301A)의 외벽부는 제1 관통홀(105A)의 제1 개구(105D)의 내벽부와 접한다. 제1 삽입부(301)가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될 때, 제2 원통부(301B)의 외벽부는 제1 관통홀(105A)의 제2 개구(105E)의 내벽부에 접한다. 또한, 제1 삽입부(301)가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될 때, 제3 원통부(301C)의 외벽부는 제1 렌즈 프레임(106)의 제1 홈부(106A)의 내벽부에 접한다.
세 개의 제2 삽입부(302)는 각각 제4 원통부(302A), 제5 원통부(302B), 제6 원통부(30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원통부(302A), 제5 원통부(302B), 제6 원통부(302C)는 차례대로 제 2 관통홀(105B)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2 삽입부(302)가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될 때, 제4 원통부(302A)의 외벽부는 제2 관통홀(105B)의 제3 개구(105F)의 내벽부에 접한다. 또한, 제2 삽입부(302)가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될 때 제5 원통부(302B)의 외벽부는 제2 관통홀(105B)의 제4 개구(105G)의 내벽부와 접한다. 또한, 제2 삽입부(302)가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될 때, 제6 원통부(302C)의 외벽부는 제2 렌즈 프레임(107)의 제2 홈부(107A)의 내벽부에 접한다.
제1 삽입부(301)가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될 때,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1A)의 외벽부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개구(105D)의 내벽부에 접할 수 있다. 제1 나사(401)에 의한 제1 관통홀(105A)과 제1 삽입부(301)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키면 제1 렌즈 프레임(106)은 렌즈 배럴(100)의 광축 방향을 따라 기울어 질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된 3개의 제1 관통홀(105A)에 각각 삽입된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킴으로써 렌즈 배럴(100)의 광축에 대해 제1 렌즈 프레임(106)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으로 마련된 3개의 제1 관통홀(105A)에 각각 삽입된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1A)의 높이는,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1B)의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된 제1 삽입부(301)가 회동됨으로써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제1 원통부(301A)와 제1 관통홀(105A)의 제1 개구(105D)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은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원통부(301A)의 높이 및 제2 원통부(301B)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1 관통홀(105A)의 제1 개구(105D)의 깊이는 제2 개구(105E)의 깊이 보다 얕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관통홀(105A)에 삽입된 제1 삽입부(301)가 회동함으로써 제1 원통부(301A)와 제1 개구(105D)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제1 관통홀(105A)에 구비된 제1 개구(105D)의 깊이는 제2 개구(105E)의 깊이와 대략 일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개구(105D)의 깊이가 제2 개구(105E)의 깊이와 대략 일치하는 경우, 제2 삽입부(302)를 제1 관통홀(105A)에 삽입시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삽입부(302)에 구비된 회동축에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통부의 외벽부가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개구(105E)의 내벽부에 접하여 회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렌즈 프레임(106)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105A)을 마련함으로써 제1 렌즈 프레임(106)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된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105A)에,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통부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삽입부를 삽입시켜 회동시킴으로써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제2 삽입부(302)가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될 때,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2B)의 외벽부가, 렌즈 배럴(10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4 개구(105G)의 내벽부에 접할 수 있다. 제2 나사(402)에 의한 제2 관통홀 (105B)와 제2 삽입부(302)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 소정의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 프레임(107)이 렌즈 배럴(100)의 광축에 대해 편심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된 3개의 제2 관통홀(105B) 각각에 삽입된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렌즈 배럴(100)의 광축에 대해 제2 렌즈 프레임(107)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으로 마련된 3개의 제2 관통홀(105B) 각각에 삽입된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2B)의 높이는,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2A)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된 제2 삽입부(302)가 회동함으로써,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2B)와 제2 관통홀(105B)의 제4 개구(105G)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이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원통부(302A)의 높이 및 제2 원통부(302B)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2 관통홀(105B)의 제4 개구(105G)의 깊이는 제3 개구(105F)의 깊이 보다 얕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관통홀(105B)에 삽입된 제2 삽입부(302)가 회동함으로써 제2 원통부(302B)와 제4 개구(105G)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이 억제될 수 있다.
다만, 제2 관통홀(105B)의 제4 개구(105G)의 깊이는 제3 개구(105F)의 깊이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105G)의 깊이가 제3 개구(105F)의 깊이와 대략 일치하는 경우, 회동축에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통부의 외벽부가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3 개구(105F)의 내벽부와 접하는 삽입부를 제2 관통홀(105B)에 삽입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 프레임(107)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3개 이상의 제2 관통홀(105B)을 마련함으로써 제2 렌즈 프레임(107)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된 3개 이상의 제2 관통홀(105B)에,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통부를 적어도 1개 가진 삽입부를 삽입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1A)는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원통부(302A)는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원통부(301A), 제2 원통부(301B), 제3 원통부(301C)는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원통부(302A), 제2 원통부(302B), 제3 원통부(302C)는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1 삽입부(301)를 제1 관통홀(105A)에 삽입하여 회동시켜도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없다. 또한, 제2 삽입부(302)를 제2 관통홀(105B)에 삽입하여 회동시켜도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없다.
그러나 프레임 지지부(105)를 제조한 후에,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된 제1 관통홀(105A)의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E) 및 제2 관통홀(105B)의 제3 개구(105F), 제4 개구(105G)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지지부(105)의 금형을 수정함으로써 제1 관통홀(105A)의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E) 및 제2 관통홀(105B)의 제3 개구(105F), 제4 개구(105G)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105)에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 대신에 단순한 원통형 관통홀을 마련하고,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해 원통형 관통홀이 프레임 지지부(105)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프레임 지지부(105)의 금형을 수정하는 경우, 원통형 관통홀의 프레임 지지부(105)의 광축 방향의 위치 및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도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를 조정하고자 프레임 지지부(105)의 금형을 수정하여 원통형 관통홀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원통형 관통홀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 및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편심도 변화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지지부(105)에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이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F)의 형상만을 변화시키도록 금형을 수정하여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만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3 개구 (105E), 제4 개구(105G)의 형상만을 변화시키도록 금형을 수정하여 제3-1 렌즈부(L31)과 제3-2 렌즈부(L32)의 편심만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제3-1 렌즈부(L31)와 제2 렌즈(L32)의 편심과 기울기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 지지부(105)를 제조한 후에 프레임 지지부(105)에 형성된 제1 관통홀(105A)과 제2 관통홀(105B)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제3-1 렌즈부(L31)와 제2 렌즈(L3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3 관통홀(105C) 및 제3 삽입부(303)의 형상이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제3 관통홀(105C) 및 제3 삽입부(303)는 전술한 제1 관통홀(105A)과 제2 관통홀(105B) 및 제1 삽입부(301), 제2 삽입부(302)와 같은 형상이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관통홀(105C)에 제3 삽입부(303)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제3 렌즈 프레임(108)에 지지된 제5 렌즈부(L5)의 제1 렌즈 (L5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프레임 지지부(105)가 와이드단으로 이동한 상태의 렌즈 배럴(100)에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렌즈 배럴(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렌즈 배럴(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프레임 지지부(105)가 텔레단으로 이동한 상태의 렌즈 배럴(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렌즈 배럴(100)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서는, 촬상 장치(1)의 제조 공정에서 렌즈 배럴(100)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렌즈 배럴(100)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란, 각 렌즈 지지부(109)-(114)에 각 렌즈부(L1),(L2),(L31),(L41),(L42),(L52)가 지지되고, 제1-제3 렌즈 프레임(106)-(108)에 제3 렌즈 지지부(111), 렌즈부(L32),(L51)가 지지되고, 제1-제3 렌즈 프레임(106)-(108)이 프레임 지지부(105)에 지지되고, 각 렌즈 지지부(109)-(114) 및 프레임 지지부(105)를 캠통(104)에 결합하고, 캠통(104)를 안내통(103)에 결합한 상태로서, 제1 내지 제3 관통홀(105A)-(105C)에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3)를 삽입하고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3) 및 홈부(106A)-(108A)에 제1 내지 제3 나사(401)-(403)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이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3) 및 홈부(106A)-(108A)에 제1 내지 제3 나사(401)-(403)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란, 제1 내지 제3 관통홀(105A)-(105C)에 삽입된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3)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3) 및 홈부(106A)-(108A)에 제1 내지 제3 나사(401)-(403)를 체결한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의 렌즈 배럴(100)을 소정의 조정 지그(미도시)에 부착함으로써 렌즈 배럴(100) 전체에 대한 최종 광학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렌즈 배럴(100)의 줌 위치가 와이드단이 되도록 캠통(104)를 회동시키면, 안내통(103)의 개구부(103A)와 캠통(104)의 개구부(104A)가 중첩되어 안내통(103)의 외측에서 제1 삽입부(301)의 상부면이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안내통(103)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 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3-1 렌즈부(L31)의 제조 오차로 인해 촬상 장치(1)의 광학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줌 위치가 와이드단으로 되어 있을 때의 기울기 성분만큼일 수 있다. 환언하면,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배럴(100)이 배치되는 촬상 장치(1)에 대한 광학 성능이 가장 크게 변화되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위치는 줌 위치가 와이드단으로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1 삽입부(301)에 대해 안내통(103)의 외측으로부터 해당 전용 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안내통(103) 및 캠통(104)에 개구부(103A, 104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의 렌즈 배럴(100)의 줌 위치가 텔레단이 되도록 캠통(104)를 회동시키면, 안내통(103)의 개구부(103A)와 캠통(104)의 개구부(104A)가 중첩되어 안내통(103)의 외측에서 제2 삽입부(302) 및 제3 삽입부(303)의 상부면이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부(302)와 제3 삽입부(303)를 회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안내통(103)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 시킬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3 삽입부(303)를 회동시킴으로써 제5-1 렌즈부(L51)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3-2 렌즈부(L32)의 제조 오차로 인해 촬상 장치(1)의 광학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줌 위치가 텔레단으로 되어 있을 때의 편심 성분만큼 일 수 있다. 환언하면,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함으로써 렌즈 배럴(100)이 배치되는 촬상 장치(1)에 대한 광학 성능이 가장 크게 변화되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위치는, 줌 위치가 텔레단으로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2 삽입부(302)에 대해 안내통(103)의 외측으로부터 해당 전용 공구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개구부(103A) 및 개구부(104A)가 안내통(103) 및 캠통(10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100)에 의하면, 제1 관통홀(105A)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개구(105D), 제2 개구(105E) 중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개구(105D)에,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1A)를 삽입하고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제3-1 렌즈부(L31)을 지지하는 제1 렌즈 프레임(106)을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통부(301B)를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개구(105E)에 제1 삽입부(301)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1B)를 삽입하고, 제1 삽입부(301)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1 렌즈부(L31)의 편심을 조정하고, 제3-1 렌즈부(L31)을 지지하는 제1 렌즈 프레임(106)을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관통홀(105B)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3 개구(105F), 제4 개구(105G) 중 렌즈 배럴(10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4 개구(105G)에,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제2 원통부(302B)를 삽입하고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하고, 제3-2 렌즈부(L32)을 지지하는 제2 렌즈 프레임(107)을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부(302)의 회동축에 대해 제1 원통부(302A)를 편심시켜 제1 원통부(302A)를 제2 관통홀(105B)의 제3 개구(105F)에 삽입하고 제2 삽입부(30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2 렌즈부(L32)의 기울기를 조정하면서 제3-2 렌즈부(L32)를 지지하는 제2 렌즈 프레임(107)을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를 지지하는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에 대해,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 각각에, 프레임 지지부(105)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개구와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개구를 마련하지 않고, 프레임 지지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 각각에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하고,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을 프레임 지지부(105)에 결합할 수 있다.
즉, 프레임 지지부(105)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2개의 개구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레임 지지부(105)에 설치되는 개구를 줄임과 동시에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지지부(105)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2개의 개구를 배치함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한 설계상의 제약 및 기본 광학 성능의 저하와, 렌즈 배럴(100)의 크기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광학계의 설계 자유도를 유지하면서도 렌즈 배럴(100)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 제3-1 렌즈(L31), 및 제3-2 렌즈(L3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렌즈 배럴(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주측에 위치한 제1개구(105D), 제3개구(105F)의 개구폭은, 프레임 지지부(105)의 내주측에 위치한 제2 개구(105E), 제4 개구(105G)의 개구폭보다 크다. 이에 따라 프레임 지지부(105)의 외측으로부터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을 가공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1 관통홀(105A), 제2 관통홀(105B)이 형성된 프레임 지지부(105)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안내통(103), 캠통(104)에는, 프레임 지지부(105)의 제1 내지 제3 관통홀(105A),(105B),(105C)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2),(303)에 대해 안내통(103), 캠통(104)의 외측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2),(303)를 회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용 공구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개구부(103A),(104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렌즈 배럴(100)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제3 렌즈부(L3) 및 제5-1 렌즈부(L5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배럴(100)이 배치되는 촬상 장치(1)의 광학 성능이 가장 크게 변화되는 위치에 프레임 지지부가 배치되는 경우, 즉, 줌 위치가 와이드단인 경우. 제3-1 렌즈부(L31)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삽입부(301)에 대해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안내통(103), 캠통(104)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하기 위한 개구부(103A),(104A)가 안내통(103), 캠통(10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함으로써 렌즈 배럴(100)이 배치되는 촬상 장치(1)의 광학 성능이 가장 크게 변화되는 위치에 프레임 지지부가 배치되는 경우, 즉, 줌 위치가 텔레단인 경우, 제3-2 렌즈부(L32)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제2 삽입부(302)에 대해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안내통(103), 캠통(104)의 외측으로부터 탈부착하기 위한 개구부(103A),(104A)가 안내통(103), 캠통(10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렌즈 배럴(100)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제3 렌즈부(L3)의 편심 및 기울기 중 촬상 장치(1)의 광학 성능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조정 성분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렌즈부(L3) 및 제5-1 렌즈부(L51)의 편심을 조정하거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해당 구조는 촬상 소자를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에 대한 지지 부재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2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촬상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1)의 좌우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촬상장치(1)의 상하 방향을 Z축으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촬상장치(1)는 렌즈 배럴(100), 본체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의 본체부(200)는, 촬상 소자로서의 이미지 센서(201), 표시부로서의 액정 화면(20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0)에 배치된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상은 이미지 센서(201)에 의해 검출되어 액정 화면(202)에 표시된다. 이미지 센서(201)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일 수 있다.
도 17 및 도 1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지지 구조(210)를 도시한다. 촬상 소자 지지 구조(210)에서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는, 이미지 센서(201)를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 도 17의 일점쇄선은 제4 제4 삽입부(304)(도 18 참조)의 회동축을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이미지 센서(201), 액정 화면(202), 로우패스 필터(203), 기판(204), 촬상 소자 프레임(205), 판 부재(206), 완충 부재(207),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촬상 소자 프레임(205) 및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205)은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205) 내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0)측으로부터 액정 화면(202)측을 향하여 로우패스 필터(203), 이미지 센서(201), 기판(204)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촬상 소자 프레임(205)은 로우패스 필터(203)와 이미지 센서(201) 사이에 돌기부(205A)를 구비하고, 돌기부(205A)는 완충 부재(207)를 사이에 두고 이미지 센서(201)와 접촉할 수 있다. 또 로우패스 필터(203)는 고정 부재(209)에 의해 돌기부(205A)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201)와 로우패스 필터(203) 사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01)의 렌즈 배럴(100)측에 기판(204)이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로우패스 필터(203), 이미지 센서(201), 기판(204)을 지지할 수 있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은 제5 나사(500)에 의해 판 부재(206)에 고정될 수 있다.
판 부재(20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으로서, 중앙부에 직사각형의 개구부(206A)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205)은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제4 관통홀(208A)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는, 상변의 중앙부와 하변의 양단부에 3개의 제4 관통홀(208A)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 프레임(205)에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제4 홈부(20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 프레임(205)에 형성되는 제4 홈부(205B)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형성되는 제4 관통홀(208A)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상변의 중앙부와 하변의 양단부에 3개의 제4 홈부(205B)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제4 관통홀(208A)이 형성되는 위치 및 촬상 소자 프레임(205)에 제4 홈부(205B)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 실시형태 2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제4 관통홀(208A) 및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제4 홈부(205B)에 삽입되는 제4 삽입부(304)를 제4 나사(404)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안쪽에 촬상 소자 프레임(205)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의해 이미지 센서(201)가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4 관통홀(208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관통홀(105A),(105B),(105C)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 관통홀(208A)은 각각 개구폭이 다른 복수의 개구가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두께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관통홀(208A)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1개의 제5 개구(208B)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1개의 제6 개구(208C)는 촬상장치(1)의 광학계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외벽부측에 위치한 제5 개구(208B)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제6 개구(208C)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21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제5 개구(208B)의 개구폭은,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제6 개구(208C)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환언하면, 외벽부 측에 위치한 제5 개구(208B)의 개구면적은 내벽부 측에 위치한 홈구멍(208C)의 개구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되는 제4 삽입부(30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삽입부(301),(302),(303)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제4 관통홀(208A)에 각각 삽입되는 3 이상의 제4 삽입부(304) 중 적어도 2개의 제4 삽입부(304)는, 제1 원통부(304A)(편심 원통부), 제2 원통부(304B)(동심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4A)는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도 17의 일점쇄선)에 대해 편심 되도록 배치되며, 제2 원통부(304B)는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서, 3개의 제4 삽입부(304)는 각각 제1 원통부(304A), 제2 원통부(304B), 제3 원통부(304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4A), 제2 원통부(304B), 제3 원통부(304C)는 차례대로 제4 삽입부(304)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4 삽입부(304)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될 때 제1 원통부(304A)의 외벽부는 제4 관통홀(208A)의 제5 개구(208B)의 내벽부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4 삽입부(304)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될 때, 제2 원통부(304B)의 외벽부는 제4 관통홀(208A)의 제6 개구(208C)의 내벽부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4 삽입부(304)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될 때 제3 원통부(304C)의 외벽부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제4 홈부(205B)의 내벽부에 맞닿을 수 있다.
제4 삽입부(304)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될 때,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4A)의 외벽부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5 개구(208B)의 내벽부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4 나사(404)에 의한 제4 관통홀(208A)와 제4 삽입부(304)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촬상 소자 프레임(205)이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3개의 제4 관통홀(208A) 각각에 삽입된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에 대해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 3개의 제4 관통홀(208A) 각각에 삽입된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4A)의 높이는,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4B)의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4 관통홀(208A)에 끼워맞춰진 제4 삽입부(304)가 회동함으로써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4A)와 제4 관통홀(208A)의 제5 개구(208B)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통부(304A)의 높이 및 제2 원통부(304B)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4 관통홀(208A)의 제5 개구(208B)의 깊이는 제6 개구(208C)의 깊이에 비해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된 제4 삽입부(304)가 회동함에 따라 제1 원통부(304A)와 제5 개구(208B)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4 관통홀(208A)의 제5 개구(208B)의 깊이는 제6 개구(208C)의 깊이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5 개구(208B)의 깊이가 제6 개구(208C)의 깊이와 일치하는 경우, 회동축에 편심되도록 배치된 원통부의 외벽부가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6 개구(208C)의 내벽부에 접하는 삽입부를 제4 관통홀(208A)에 삽입시켜 회동시킴으로써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3개 이상의 제4 관통홀(208A)을 마련함으로써 촬상 소자 프레임(205)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 둘레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제4 관통홀(208A)에,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원통부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삽입부를 삽입시켜 회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 및 편심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4A)는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원통부(304A), 제2 원통부(304B), 제3 원통부(304C)는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삽입부(304)를 제4 관통홀(208A)에 삽입하여 회동시켜도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를 제조한 후에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형성된 제4 관통홀(208A)의 제5 개구(208B) 및 제6 개구(208C)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금형을 수정함으로써 제4 관통홀(208A)에 구비된 제5 개구(208B) 및 제6 개구(208C)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이 때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제4 관통홀(208A) 대신에 단순한 원통형 관통홀을 마련하고,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해 원통형 관통홀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만을 변화시키도록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금형을 수정하는 경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대한 원통형 관통홀의 광축 방향의 위치 및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도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를 조정하고자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금형을 수정하여 원통형 관통홀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원통형 관통홀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 및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도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제4 관통홀(208A)이 형성된 경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5 개구(208B)의 형상만을 변화시켜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만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6 개구(208C)의 형상만을 변화시켜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만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과 기울기는 중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영향을 주지 미치지 않고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를 제조한 후에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형성된 제4 관통홀(208A)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란, 촬상 소자 프레임(205)에 로우패스 필터(203), 이미지 센서(201), 기판(204)을 결합하고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나사(500)를 이용하여 판 부재(206)에 고정시키고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결합한 상태로서, 제4 관통홀(208A)에 제4 삽입부(304)를 삽입하고 제4 나사(404)를 이용하여제4 삽입부(304) 및 제4 홈부(205B)을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이다. 여기서 제4 삽입부(304) 및 제4 홈부(205B)에 나사 (404)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란, 제4 관통홀(208A)에 삽입된 제4 삽입부(304)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4 삽입부(304) 및 제4 홈부(205B)에 제4 나사(404)를 체결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의하면, 제4 관통홀(208A)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5 개구(208B) 및 제6 개구(208C) 중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5 개구(208B)에, 제4 삽입부(304)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4A)를 삽입하고,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이미지 센서(201)를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삽입부(304)의 회동축에 대해 제2 원통부(304B)를 편심되도록 배치시키고, 제2 원통부(304B)를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6 개구(208C)에 삽입하고, 제4 삽입부(304)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을 조정하고, 이미지 센서(201)를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결합할 수 있다.
환언하면, 이미지 센서(201)를 지지할 수 있는 촬상 소자 프레임(205)에 대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 각각에,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개구와 이미지 센서(201)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개구을 마련하지 않고,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1개의 제4 관통홀(208A)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하고, 촬상 소자 프레임(205)을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2개의 개구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에 마련되는 개구를 줄임과 동시에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2개의 개구를 배치함에 따라, 본체부(200)에 대한 설계 제약과 본체부(200)의 크기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200)의 설계 자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본체부(200)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 이미지 센서(201)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2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외주측에 위치한 제5 개구(208B)의 개구폭은,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내주측에 위치한 제6 개구(208C)의 개구폭보다 크다. 이에 따라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의 외측으로부터 제4 관통홀(208A)을 가공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4 관통홀(208A)을 포함할 수 있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208)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편심 및 기울기를조정할 수 있는 지지구조는, 전자 뷰파인더에서 표시 소자를 지지할 수 있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따른 전자 뷰파인더(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1)의 좌우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촬상장치(1)의 광축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촬상장치(1)의 상하 방향을 Z축으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촬상장치(1)는 렌즈 배럴(100), 본체부(200), 전자 뷰파인더(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는 본체부(200)에 촬상 소자,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201)와, 표시부, 예를 들어 액정 화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화살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0)에 배치된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상은 이미지 센서(201)에 의해 검출되어 액정 화면(202)에 표시된다. 이미지 센서(201)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01)에 의해 검출되어 생성된 상에 대한 데이터는 전자 뷰파인더(60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600)의 표시 소자(601)에 대한 지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의 일점쇄선은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을 나타낸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뷰파인더(600)는 기판(601), 표시 소자(602), 렌즈부(603)-(605), 표시 소자 프레임(606),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소자 프레임(606) 및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606)은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606) 내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0)측으로부터 액정 화면(202)측을 향하여 기판(601), 표시 소자(602)가 배치될 수 있다. 또 표시 소자 프레임(606)은 표시 소자(602)의 액정 화면(200)측에 돌기부(606A)를 구비할 수 있으며, 표시 소자(602)는 상기 돌기부(606A)와 기판(60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는, 렌즈 배럴(100)측에서부터 액정 화면(202)측을 향하여 표시 소자 프레임(606), 렌즈부(603)-(605)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제5 관통홀(607A)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상변의 중앙부와 하변의 양단부에 3개의 제5 관통홀(607A)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제5 홈부(606B)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 형성되는 제5 홈부(606B) 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형성되는 제5 관통홀(607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의 상변의 중앙부와 하변의 양단부에 3개의 제5 홈부(606B)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제5 관통홀(607A)이 형성되는 위치 및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 제5 홈부(606B)가 형성되는 위치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제5 관통홀(607A) 및 표시 소자 프레임(606)의 제5 홈부(606B)에 삽입되는 제5 삽입부(305) 삽입부(305)를 제5 나사(405)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안쪽에 표시 소자 프레임(606)이 결합된다.
이로써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의해 표시 소자(602)가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5 관통홀(607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관통홀(208A)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5 관통홀(607A)은 각각 개구폭이 다른 복수의 개구가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제5 관통홀(607A)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제7 개구(607B)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8 개구(607C)는 전자 뷰파인더(60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외주측에 위치한 제7 개구(607B)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내주측에 위치한 제8 개구(607C)는 전자 뷰파인더(60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외주측에 위치한 제7 개구(607B)의 개구폭은,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내주측에 위치한 제8 개구(607C)의 개구폭보다 클 수 있다. 환언하면, 외주측에 위치한 제7 개구(607B)의 개구면적은 내주측에 위치한 제8 개구(607C)의 개구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되는 제5 삽입부(305) 삽입부(30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삽입부(304)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제5 관통홀(607A)에 각각 삽입되는 3 이상의 제5 삽입부(305) 삽입부(305) 중 적어도 2개 제5 삽입부(305)는 제1 원통부(305A)(편심 원통부), 제2 원통부(305B)(동심 원통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원통부(305A)는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도 20의 일점쇄선)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며, 제2 원통부(305B) 및 제3 원통부(305C)는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5 삽입부(305)에 구비된 제1 원통부(305A), 제2 원통부(305B), 제3 원통부(305C)는 제5 삽입부(305)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5 삽입부(305)가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될 때에 제1 원통부(305A)의 외벽부는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의 내벽부에 맞닿는다. 또한, 제5 삽입부(305)가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될 때 제2 원통부(305B)의 외벽부는 제5 관통홀(607A)의 제8 개구(607C)의 내벽부에 맞닿는다. 또한, 제5 삽입부(305)가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될 때 제3 원통부(305C)의 외벽부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의 제5 홈부(606B)의 내벽부에 맞닿는다.
제5 삽입부(305)가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될 때에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5A)의 외벽부가,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7 개구(607B)의 내벽부와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5 나사(405)에 의한 제5 관통홀(607A)과 제5 삽입부(305)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 소자 프레임(606)이 전자 뷰파인더(600)의 광축 방향을 따라 기울어 질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3개의 제5 관통홀(607A) 각각에 삽입된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전자 뷰파인더(600)의 광축에 대해 표시 소자 프레임(606)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 3개의 제5 관통홀(607A)의 각각에 삽입된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5A)의 높이는,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는 제2 원통부(305B)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된 제5 삽입부(305)가 회동함으로써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5A)와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원통부(305A)의 높이 및 제2 원통부(305B)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의 깊이는 제8 개구(607C)의 깊이 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된 제5 삽입부(305)가 회동함에 따라 제1 원통부(305A)와 제7 개구(607B)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의 깊이는 제8 개구(607C)의 깊이와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통부(305A)는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원통부(305A), 제2 원통부(305B), 제3 원통부(305C)는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5 삽입부(305)를 제5 관통홀(607A)에 삽입하여 회동시키는 경우에도,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없다.
그러나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제조한 후에 해당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형성된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 및 제8 개구(607C)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 및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금형을 수정함으로써 제5 관통홀(607A)의 제7 개구(607B) 및 제8 개구(607C)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7 개구(607B)의 형상만을 변화시켜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만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8 개구(607C)의 형상만을 변화시켜 표시 소자(602)의 편심만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표시 소자(602)의 편심과 기울기 중 어느 하나만을 조정하고 다른 하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제조한 후에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형성된 제5 관통홀(607A)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표시 소자(60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소정의 전용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란,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 기판(601), 표시 소자(602)를 부착하고 해당 표시 소자 프레임(606) 및 렌즈부(603)-(605)를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부착한 상태로서, 제5 관통홀(607A)에 제5 삽입부(305)를 삽입하고 제5 삽입부(305) 및 제5 홈부(606B) 에 제5 나사(405)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이다. 여기서 제5 삽입부(305) 및 제5 홈부(606B)에 제5 나사(405)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란, 제5 관통홀(607A)에 삽입된 제5 삽입부(305)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제5 삽입부(305) 및 제5 홈부(606B)에 제5 나사(405)를 체결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600)에 의하면, 제5 관통홀(607A)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7 개구(607B) 및 제8 개구(607C) 중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7 개구(607B)에, 제5 삽입부(305)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제1 원통부(305A)를 삽입하고,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표시 소자(602)를 지지하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을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5 삽입부(305)의 회동축에 대해 제2 원통부(305B)를 편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제2 원통부(305B)를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8 개구(607C)에 삽입하고, 제5 삽입부(305)를 회동시킴으로써 표시 소자(602)의 편심을 조정하면서 표시 소자(602)를 지지하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을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결합할 수 있다.
환언하면, 표시 소자(602)를 지지하는 표시 소자 프레임(606)에 대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각각,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표시 소자(602)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한 개구와 표시 소자(602)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개구를 마련하지 않고,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1개의 제5 관통홀(607A)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표시 소자(60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하고, 표시 소자 프레임(606)을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부착할 수 있다.
즉,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2개의 홈구멍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에 설치되는 개구의 수를 줄임과 동시에 표시 소자(60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2개의 개구를 배치함에 따른, 전자 뷰파인더(600) 내부의 설계 제약이나 전자 뷰파인더(600)의 크기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뷰파인더(600)의 설계 자유도를 유지하면서 또한 전자 뷰파인더(60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표시 소자(60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외주측에 위치한 제7 개구(607B)의 개구폭은,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내주측에 위치한 제8 개구(607C)의 개구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의 외측으로부터 제5 관통홀(607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슬라이드 코어 방식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5 관통홀(607A)이 형성된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607)를 성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렌즈 프레임(106), 제2 렌즈 프레임(107), 제3 렌즈 프레임(10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렌즈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필터 부재, 회절 광학 소자 등 다른 광학 소자일 수 있다.
또한 렌즈부(L31),(L32)의 편심 및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촬상장치(1)에 대한 광학 성능의 변화량이 일정한 변화량 보다 큰 위치에 프레임 지지부(105)가 위치하는 경우는, 줌 위치가 와이드단 및 텔레단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1 촬상 장치
100 렌즈 배럴
103 안내통
103A 개구부
104 캠통
104A 개구부
105 렌즈 프레임 지지부
105A, 105B, 105C 제1, 제2, 제3 관통홀
105D, 105E, 105F, 105G 제1, 제2, 제3, 제4 개구
106 제1 렌즈 프레임
107 제2 렌즈 프레임
108 제3 렌즈 프레임
200 본체부
201 이미지 센서
205 촬상 소자 프레임
208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부
208A 제4 관통홀
208B, 208C 제5 개구, 제6 개구
210 촬상 소자 지지 구조
301, 302, 303, 304, 305 삽입부
301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1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302A 제1 원통부(동심 원통부)
302B 제2 원통부(편심 원통부)
304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4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305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5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600 전자 뷰파인더
602 표시 소자
606 표시 소자 프레임
607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부
607A 제5 관통홀
607B, 607C 제7 개구, 제8 개구
100 렌즈 배럴
103 안내통
103A 개구부
104 캠통
104A 개구부
105 렌즈 프레임 지지부
105A, 105B, 105C 제1, 제2, 제3 관통홀
105D, 105E, 105F, 105G 제1, 제2, 제3, 제4 개구
106 제1 렌즈 프레임
107 제2 렌즈 프레임
108 제3 렌즈 프레임
200 본체부
201 이미지 센서
205 촬상 소자 프레임
208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부
208A 제4 관통홀
208B, 208C 제5 개구, 제6 개구
210 촬상 소자 지지 구조
301, 302, 303, 304, 305 삽입부
301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1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302A 제1 원통부(동심 원통부)
302B 제2 원통부(편심 원통부)
304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4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305A 제1 원통부(편심 원통부)
305B 제2 원통부(동심 원통부)
600 전자 뷰파인더
602 표시 소자
606 표시 소자 프레임
607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부
607A 제5 관통홀
607B, 607C 제7 개구, 제8 개구
Claims (16)
- 렌즈부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렌즈 프레임;
상기 렌즈 프레임을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며,
상기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와 상기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외벽부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내벽부 측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광학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는,
렌즈 배럴.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프레임지지부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큰,
렌즈 배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전용 공구를 탈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외벽부에 구비된,
렌즈 배럴.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줌 위치 중 와이드단에 배치된 경우, 상기 렌즈부의 편심 또는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전용 공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탈부착되는
렌즈 배럴.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렌즈부가 줌 위치 중 텔레단에 배치된 경우, 상기 렌즈부의 편심 또는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전용 공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탈부착되는
렌즈 배럴. - 촬상 소자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촬상 소자 프레임;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을 지지하는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하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상기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는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외벽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축이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의 내벽부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촬상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는,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촬상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큰,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 표시 소자를 지지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 이상의 홈부가 배치되는 표시 소자 프레임,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을 지지하는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세 개 이상의 홈부에 삽입되는 세 개 이상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개구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개구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세 개 이상의 삽입부 중 두 개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동심 원통부 및 상기 삽입부의 회동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편심 원통부를 구비하는,
전자 뷰파인더.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이고, 나머지 개구 중 하나 이상은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이며,
상기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와 상기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인 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배치되는,
전자 뷰파인더.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의 편심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전자 뷰파인더의 광축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며,
상기 표시 소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편심 원통부가 상기 관통홀에구비된 복수의 상기 개구 중 장축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타원형상의 개구에 지지되는,
전자 뷰파인더.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외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이 상기 표시 소자 프레임 지지 부재의 내벽부 측에 위치한 상기 개구의 개구폭보다 큰
전자 뷰파인더. - 제1 항 내지 제7 항에 따른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38122 | 2014-02-28 | ||
JP2014038122 | 2014-02-28 | ||
JPJP-P-2014-165433 | 2014-08-15 | ||
JP2014165433A JP2015179238A (ja) | 2014-02-28 | 2014-08-15 | レンズ鏡筒、撮像素子保持構造及び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683A true KR20150102683A (ko) | 2015-09-07 |
KR102373461B1 KR102373461B1 (ko) | 2022-03-11 |
Family
ID=5400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8869A KR102373461B1 (ko) | 2014-02-28 | 2015-02-06 | 렌즈 배럴,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전자 뷰파인더 및 촬상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20160B2 (ko) |
EP (1) | EP3112913B1 (ko) |
JP (1) | JP2015179238A (ko) |
KR (1) | KR102373461B1 (ko) |
WO (1) | WO201513003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33961B2 (ja) * | 2015-03-09 | 2019-06-2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レンズ鏡筒および光軸調整方法 |
CN105445885B (zh) * | 2015-10-30 | 2019-06-18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
CN105445888B (zh) | 2015-12-21 | 2020-04-03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校准方法 |
CN106932878A (zh) * | 2015-12-31 | 2017-07-07 |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 一种六自由度调节装置 |
JP7046597B2 (ja) * | 2017-12-25 | 2022-04-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
WO2021000129A1 (zh) * | 2019-06-29 | 2021-01-07 |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 镜头模组 |
CN111983768B (zh) * | 2020-08-21 | 2022-03-01 | 中国科学院国家天文台南京天文光学技术研究所 | 用于天文光谱仪的精密调节兼高稳定的镜筒结构 |
CN117406536A (zh) * | 2022-07-08 | 2024-01-16 | 深圳市东正光学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后焦可调整的增倍镜结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6076A (ja) * | 1998-08-21 | 2000-03-03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レンズ鏡筒 |
JP2011154310A (ja) * | 2010-01-28 | 2011-08-11 | Nikon Corp | 光学装置及び光学機器 |
WO2012004995A1 (ja) * | 2010-07-07 | 2012-01-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 |
JP2013190475A (ja) * | 2012-03-12 | 2013-09-26 | Nikon Corp |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
US20130308211A1 (en) * | 2012-05-16 | 2013-11-21 | Canon Kabushiki Kaisha | Optical apparatus including decentering/tilting adjustment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67950U (ja) * | 1982-10-26 | 1984-05-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半導体撮像素子の取付装置 |
JPH082660Y2 (ja) * | 1989-02-10 | 1996-01-29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ファインダ光学系の視野枠位置調整装置 |
US6204979B1 (en) | 1998-08-21 | 2001-03-20 | Fuji Photo Optical Co., Ltd. | Lens assembly and eccentricity adjustment apparatus thereof |
US6262853B1 (en) | 1998-12-25 | 2001-07-17 | Olympus Optical Co., Ltd. | Lens barrel having deformable member |
JP2000214366A (ja) | 1999-01-20 | 2000-08-04 | Olympus Optical Co Ltd | 鏡枠装置 |
JP2002296476A (ja) | 2001-03-29 | 2002-10-09 | Olympus Optical Co Ltd | レンズ鏡枠 |
TWI229231B (en) * | 2002-02-21 | 2005-03-11 | Pentax Corp | Retractable lens system and method of retracting a retractable lens system |
WO2004031826A1 (ja) | 2002-09-30 | 2004-04-15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沈胴式レンズ鏡筒と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
JP4351429B2 (ja) * | 2002-09-30 | 2009-10-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沈胴式レンズ鏡筒 |
JP2004252365A (ja) * | 2003-02-21 | 2004-09-09 | Olympus Corp | レンズ鏡筒 |
KR100884009B1 (ko) * | 2004-07-26 | 2009-02-17 |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 렌즈 배럴, 카메라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 |
US8537478B2 (en) | 2004-07-26 | 2013-09-17 | Ricoh Company, Ltd. | Lens barrel, camera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JP4817876B2 (ja) | 2006-02-20 | 2011-11-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
CN102401973B (zh) * | 2010-09-10 | 2014-10-29 | 奥林巴斯映像株式会社 | 透镜镜筒和摄像装置 |
-
2014
- 2014-08-15 JP JP2014165433A patent/JP2015179238A/ja active Pending
-
2015
- 2015-02-06 EP EP15755272.0A patent/EP3112913B1/en active Active
- 2015-02-06 WO PCT/KR2015/001242 patent/WO20151300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2-06 KR KR1020150018869A patent/KR1023734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8-15 US US15/237,068 patent/US1012016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6076A (ja) * | 1998-08-21 | 2000-03-03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レンズ鏡筒 |
JP2011154310A (ja) * | 2010-01-28 | 2011-08-11 | Nikon Corp | 光学装置及び光学機器 |
WO2012004995A1 (ja) * | 2010-07-07 | 2012-01-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 |
US20130107381A1 (en) * | 2010-07-07 | 2013-05-02 | Panasonic Corporation | Lens unit |
JP2013190475A (ja) * | 2012-03-12 | 2013-09-26 | Nikon Corp |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
US20130308211A1 (en) * | 2012-05-16 | 2013-11-21 | Canon Kabushiki Kaisha | Optical apparatus including decentering/tilting adjustment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30032A1 (ko) | 2015-09-03 |
KR102373461B1 (ko) | 2022-03-11 |
EP3112913A1 (en) | 2017-01-04 |
EP3112913A4 (en) | 2018-02-14 |
US20160349478A1 (en) | 2016-12-01 |
JP2015179238A (ja) | 2015-10-08 |
EP3112913B1 (en) | 2021-07-07 |
US10120160B2 (en) | 2018-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02683A (ko) | 렌즈 배럴, 촬상 소자 지지 구조체, 전자 뷰파인더 및 촬상 장치 | |
JP4154223B2 (ja) |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 |
JP6415102B2 (ja) |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 |
CN109959997B (zh) |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 |
WO2018221723A1 (ja) |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
KR101197085B1 (ko) |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가진 촬상 장치 | |
JP5381404B2 (ja) | レンズ鏡筒 | |
JP5093036B2 (ja) |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 |
JP4867707B2 (ja) | 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 |
US8665359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in which image pickup element is movable in optical axis direction | |
US10345552B2 (en) |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17116715A (ja) |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 |
JP2005274837A (ja) | ズームレンズの偏芯調整方法 | |
JP2014235255A (ja) | 撮像装置 | |
JP2011007992A (ja) |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の製造方法 | |
JP5428384B2 (ja) |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 |
JP2008116594A (ja) |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 |
JP2007003842A (ja) | レンズ装置の調整方法およびレンズ装置 | |
JPH05288975A (ja) | ズームレンズ鏡胴 | |
JP2010044217A (ja) |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製造方法 | |
KR100946087B1 (ko) | 촬상모듈 제조장치 및 촬상모듈 제조방법 | |
JP4684636B2 (ja) | 撮像装置 | |
JP2004054131A (ja) | 結像レンズ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撮像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 |
JP2008176217A (ja) | レンズ鏡筒と、これを有する光学装置 | |
JP2001004898A (ja) |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