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14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14A
KR20150100614A KR1020157009159A KR20157009159A KR20150100614A KR 20150100614 A KR20150100614 A KR 20150100614A KR 1020157009159 A KR1020157009159 A KR 1020157009159A KR 20157009159 A KR20157009159 A KR 20157009159A KR 20150100614 A KR20150100614 A KR 20150100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ying
purifying device
support
tai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539B1 (ko
Inventor
코우이치 카지와라
마사즈미 아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4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exhaus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increas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4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increas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y increasing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leav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9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eing a particulat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3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F02D41/1441Plura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8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arameters
    • F02D2200/0812Particle filter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콤바인은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구비하고, 엔진(14)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접속시키고 있다. 엔진 룸(97)과 탈곡장치(5)에 대향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114, 141)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포장에 식립한 곡간(穀稈)을 베어내어 곡립(穀粒)을 수집하는 콤바인, 또는 사료용 곡간을 베어내어 사료로서 수집하는 사료 콤바인 등의 콤바인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이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기체를 구비하고, 주행기체에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를 장착하고,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를 구동 제어해서 포장(圃場) 등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은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예취날 장치에 의해 절단하고, 곡간 반송수단으로서의 곡간 반송장치에 의해 탈곡장치에 그 곡간을 반송하고, 탈곡장치에 의해 그 곡간을 탈곡하여 곡립을 수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종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엔진 상면측에 수평 자세로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향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0-209813호 공보
상기 종래기술은 엔진 룸에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 부착부의 주변에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엔진 룸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용적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엔진에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시키는 구조에서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부착 위치가 제한되어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없음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지지 강성을 간단하게 향상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물 자동차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주행기체에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배기가스 정화장치 내의 배기가스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저하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콤바인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콤바인은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탈곡장치에 대향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하단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외측면의 지지 브래킷체 중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측의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엔진 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캐빈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캐빈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 좌석의 상방에 선 바이저를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선 바이저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곡물 탱크 사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 룸과 곡물 탱크 사이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일단측을 연통시킨 테일 파이프의 타단측을 이어설치시킨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상면 플랜지 부재를 돌출시키고, 상기 상면 플랜지 부재에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를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과 상기 테일 파이프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상면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상기 상면 커버체를 지지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을 상기 상면 커버체로 덮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킨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를 통해서 상기 탈곡장치 상면과 곡물 배출 컨베이어 하면 사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출구측을 이어 설치시킨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곡물 탱크에 대향하는 엔진 룸 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에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착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킨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전방부에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후방부에 다른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엔진 룸으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근시켜서 상기 엔진 룸 후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으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이어 설치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송풍 팬의 송풍로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센서 지지부를 배치하여 송풍 팬의 송풍로에 상기 센서 지지부를 통해서 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 등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 룸의 후측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 플랜지 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면 플랜지 부재의 좌측부에 테일 파이프 부착용의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면 플랜지 부재의 우측부에 배기가스 센서 부착용의 센서 지지부를 설치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탈곡장치에 대향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엔진 룸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상기 엔진의 배기관보다 고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룸과 탈곡장치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연결시킴으로써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지지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하단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외측면의 지지 브래킷체 중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측의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엔진 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 또는 상기 탈곡장치를 소정위치에 조립한 후,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또는 상기 탈곡장치의 기계 케이스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장착 또는 분리 작업(볼트 체결 조작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지지 브래킷체를 앞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다른쪽의 지지 브래킷체를 횡방향으로 돌설시켜서 상기 엔진 룸과 상기 탈곡장치가 대향 인접하는 코너각 공간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고강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캐빈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캐빈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착탈 작업 등이 용이한 상기 엔진 룸 외측의 개방 스페이스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저비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 좌석의 상방에 선 바이저를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선 바이저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착탈 작업 등이 용이한 상기 엔진 룸 외측의 개방 스페이스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저비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곡물 탱크 사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 룸과 곡물 탱크의 사이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일단측을 연통시킨 테일 파이프의 타단측을 이어 설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교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엔진 룸의 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과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측에 걸쳐서 상기 테일 파이프를 수평 자세로 장착할 수 있고, 상기 곡물 탱크의 측면 또는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상기 테일 파이프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상면 플랜지 부재를 돌출시키고, 상기 상면 플랜지 부재에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를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상면 플랜지 부재와 상기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지지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가스 출구관에 대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고정밀도로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배기가스 출구관과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 사이에 외기 도입용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과 상기 테일 파이프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상면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상기 상면 커버체를 지지시키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을 상기 상면 커버체로 덮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퇴적되는 먼지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상기 테일 파이프와 상기 상면 커버체를 일체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측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커버체의 부착부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배기가스 출구와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 사이에 외기 도입용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킨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를 통해서 상기 탈곡장치 상면과 곡물 배출 컨베이어 하면 사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출구측을 이어 설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과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측에 걸쳐서 상기 테일 파이프를 수평 자세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곡물 탱크의 측면 또는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상기 곡물 배출 컨베이어의 선회 동작 범위 밖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곡물 탱크에 대향하는 엔진 룸 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에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착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교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엔진 룸의 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에 근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립 공장 등에 있어서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통해서 체인 블록 등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세로로 긴 자세(장착 자세)로 매달아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안정된 자세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착탈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매달아 반송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장착 장소 이외에 관성 요동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무거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전방부에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후방부에 다른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엔진 룸으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근시켜서 상기 엔진 룸 후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세로로 긴 자세에 매달아 반송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것에 비교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후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상기 엔진 룸 후면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충돌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엔진 룸 후면의 장착 장소에 대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연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탈곡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으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이어 설치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에 지지 시킴과 아울러, 송풍 팬의 송풍로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센서 지지부를 배치하여 상기 송풍 팬의 송풍로에 상기 센서 지지부를 통해서 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 등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개재해서 상기 테일 파이프를 고정밀도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 등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상기 송풍 팬의 송풍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의 배선 등이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열 배출에 의해 열화 또는 소손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그것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 룸의 후측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 플랜지 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면 플랜지 부재의 좌측부에 테일 파이프 부착용의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면 플랜지 부재의 우측부에 배기가스 센서 부착용의 센서 지지부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와,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센서 지지부를 십자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에의 훅 걸거나 벗김 조작, 또는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에의 테일 파이프 착탈 조작, 또는 상기 센서 지지부에의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 등의 부착 조작 및 배선 조작 등의 작업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6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부착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8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좌측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 설명도이다.
도 12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좌측 부착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6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동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7은 배기가스 정화장치 부착부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9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부착부를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디젤엔진이 탑재된 제 1 실시형태의 콤바인의 전체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에 의해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베어내면서 거두어들이는 6조 예취용의 예취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장치(5)와, 그 탈곡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물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장치(5)가 주행기체(1)의 좌측에, 곡물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 세로 인출 컨베이어(8a)를 통해서 선회 가능한 곡물 배출 컨베이어(8)가 설치되고, 곡물 탱크(7)의 내부의 곡립이 곡물 배출 컨베이어(8)의 벼 배출구(9)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에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취장치(3)의 우측방이고 곡물 탱크(7) 전측방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의 전면 하부에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통해서 주행기체(1)에 운전 캐빈(10)의 전면 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여 기계 밖 전측방을 향해서 운전 캐빈(10)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 둘레로 운전 캐빈(10)을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주변속 레버(15)와, 부변속 레버(16)와, 탈곡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17)와,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8)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방의 주행기체(1)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칼럼과, 상기 각 레버(15, 16, 17, 18)를 설치한 레버 칼럼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앞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뒷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장치(3)의 예취 회동 지점축(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51)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51)의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일으켜세우는 6조분의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52)에 의해 베어내어진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장치(54)가 배치된다. 또한,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53)의 하부 전방에는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6조분의 분초체(55)가 돌출되어 있다.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장치(3)에 의해 포장에 식립된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베어내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탈곡장치(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급동(56)과, 급동(5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57) 및 풍구 팬(58)과, 급동(56)의 후방부으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59)과, 요동 선별반(57)의 후방부의 먼지를 배출하는 배진 팬(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장치(5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계승되어서 탈곡장치(5)에 반입되어 급동(56)에서 탈곡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57)에서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61)와,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57)은 급동(56)의 하방에 펼쳐 설치된 수망(67)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이 피드 팬(68) 및 채프 시브(69)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57)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 팬(5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1번 컨베이어(61)에 낙하된다. 1번 컨베이어(6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곡물 리프팅 컨베이어(grain lifting conveyor)(63)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반입되어 곡물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은 요동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69)로부터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채프 시브(69)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2번물을 바람으로 선별하는 선별 팬(71)을 구비한다. 채프 시브(69)로부터 낙하한 2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 및 짚부스러기가 선별 팬(71)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어 2번 컨베이어(62)에 낙하한다. 2번 컨베이어(62)의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66)를 통해서 피드 팬(68)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고, 2번물을 요동 선별반(67)의 상면측으로 되돌려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짚배출 체인(64)과 배출짚 커터(6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에서 짚배출 체인(64)에 계승된 배출짚(곡립이 탈립된 짚)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장치(5)의 후방부에 설치된 배출짚 커터(65)에서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기체(1)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4∼도 12를 참조하여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장치(74)(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및 그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는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는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를 갖는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79)(가스 정화체)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매연 필터(80)(가스 정화체)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도 7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직렬로 배열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 내의 디젤 산화 촉매(79)와 매연 필터(80)에 의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76)에 배기가스 입구관으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용접 고착함과 아울러 출구측 케이스(77)에 배기가스 출구관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의 일단측을 볼트 체결한다. 정화 출구관(82)의 타단측에 배기관으로서의 테일 파이프(83)의 일단측을 느슨하게 끼운 형상으로 피감시키고, 정화 출구관(82) 타단측과 테일 파이프(83) 일단측의 느슨하게 끼운 형상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흡입되도록 정화 출구관(82)에 테일 파이프(83)를 접속하고 있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정화 입구관(81)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에 도입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배기가스가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3)로 배출되며, 테일 파이프(83) 내에서 가스 온도가 저하한 뒤 기계 밖으로 방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는 복수 세트의 두꺼운 판형상 중간 플랜지체(84)와 복수개의 볼트(8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79)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매연 필터(80)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매연 필터(80)에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4∼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 상에 엔진 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주행기체(1) 상면측에 적재한 디젤엔진(14)의 후면측을 엔진 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싼다. 엔진 룸 프레임(91)은 왼쪽의 각파이프 형상 지주체(92)와, 오른쪽의 각파이프 형상 지주체(93)와, 좌우의 지주체(92, 93)에 양단측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는 각파이프 형상 횡프레임(94)을 갖는다. 또한, 운전 캐빈(10)의 저면 후방부에 고무제의 압접 다리체(95)를 설치하고, 횡프레임(94)의 좌우의 받침대(96) 상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운전 캐빈(10) 저부의 압접 다리체(95)를 접촉하고, 횡프레임(94)의 각 받침대(96)에 운전 캐빈(10)의 후방부을 상하 방향으로 접촉 이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저면측과 엔진 룸 프레임(91)으로 형성되는 엔진 룸(97)의 내부에 디젤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횡프레임(94)에 좌우 한쌍의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입구측 케이스(76)의 외측면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하 폭 중간부[정화 입구관(81)의 상방측]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이 배치된다. 좌우 한쌍의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 사이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의 전방부를 후측방으로부터 끼워 부착시켜, 좌우 한쌍의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와 전면 지지 브래킷(114)의 좌우 측면에 좌우 방향으로부터 나사 부착 조작하는 상부 볼트(116a)와 하부 볼트(116b)에 의해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맞물림 노치(111a)에 상부 볼트(116a)를 걸거나 벗길 수 있게 록킹시킴과 아울러,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위치 조절용 긴 구멍(111b)에 하부 볼트(116b)를 관통시킨다. 즉,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장착할 경우, 전면 지지 브래킷(114)에 상부 볼트(116a)를 가고정 체결시키고,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부착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근접시키며,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맞물림 노치(111a)에 상부 볼트(116a)를 결합시켜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가고정 지지시킨다. 그 후에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위치 조절용 긴 구멍(111b)에 하부 볼트(116b)를 관통시켜 전면 지지 브래킷(114)에 하부 볼트(116b)를 체결함과 아울러 전면 지지 브래킷(114)에 상부 볼트(116a)도 체결하고, 각 볼트(116a, 116b)를 통해서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고, 횡프레임(94)을 통해서 엔진 룸(97) 배면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U형상의 전면 지지 브래킷(114)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천판체(114a)와 저판체(114b)를 용접 고정하여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사각 상자형상의 고강성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즉, 캐빈(10)의 하방측에 엔진 룸(97)을 형성함과 아울러 주행기체(1)의 전방 상방(기계 외측방)을 향해서 캐빈(10)을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캐빈(10)을 지지하는 받침대(96)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지지하는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를 엔진 룸 프레임(91)의 동일 부위[횡프레임(94)]에 배치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대하여 캐빈(10)을 접촉 이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8,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입구측 케이스(76)의 좌측 외주면에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일체적으로 용접 고착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의 외측면 중 동일 원주 상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십자 방향)으로 배치한다. 측면 지지 브래킷(141)에 장착 조절판(142)의 일단측을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143) 체결함과 아울러, 탈곡장치(5)의 기계 케이스 프레임(144) 우측면에 장착 조절판(142)의 타단측을 볼트(145) 체결한다. 장착 조절판(142)을 통해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측면 지지 브래킷(141)과 기계 케이스 프레임(144)을 연결 고정시킨다. 정화 케이스 지지체(111)의 측면과 탈곡장치(5)의 우측이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환언하면, 엔진 룸(97)측[횡프레임(94)]에 입구측 케이스(76)의 전면을 체결 고정하는 한편, 탈곡장치(5)측[기계 케이스 프레임(144)]에 입구측 케이스(76)의 좌측면을 체결 고정하고 있다.
즉,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 프레임(91)에 입구측 케이스(7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중간부가 수직 자세로 고착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하단측의 배기가스 공급측 중,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앞측면에 정화 입구관(81)을 앞방향 자세로 설치하고, 엔진(14) 상면측[기체 전방]을 향해서 정화 입구관(81)이 이어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112)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주행기체(1)에 탑재한 엔진(14)의 전면측 상부에, 배기 매니폴드(117)와 과급기(118)를 배치하고 있다. 정화 입구관(81)에 절곡 가능한 주름상자 형상 배기 도입관(98)을 개재해서 배기 연결관(119)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과급기(118)의 배기 출구관(99)에 배기 연결관(119)의 타단측을 연결한다. 배기 매니폴드(117)에 과급기(118)와 배기 연결관(119)을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가 연통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5)의 우측방에 있어서 곡물 탱크(7)의 전면과 캐빈(10)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수직 자세)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배치하고, 배기 매니폴드(117), 과급기(118),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엔진(14)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탈곡장치(5)와 곡물 탱크(7) 사이의 상면측에서 후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 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도 7,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83)의 배기 입구측과 배기 출구측에 각각 고착하는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와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152)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상면부의 두꺼운 판형상 상단 플랜지체(86)의 좌측 단부를 탈곡장치(5)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단 플랜지체(86) 좌측 단부에 배기 지지대(153)의 일단측을 체결하여 상단 플랜지체(86) 좌측 단부로부터 탈곡장치(5)을 향해서 배기 지지대(153)의 타단측을 돌출시킨다. 배기 지지대(153)의 타단측에 입구측 브래킷(154) 하단측을 체결하고, 배기 지지대(153)에 입구측 브래킷(154)을 세워서 설치하고, 입구측 브래킷(154)의 상단측에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의 하단측을 체결한다.
또한, 탈곡장치(5) 상면의 우측부에 출구측 브래킷(155)을 세워서 설치하고, 출구측 브래킷(155)의 상단측에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152)의 하단측을 체결한다. 탈곡장치(5)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각 상면측에 세워서 설치시키는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와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152)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상면과 탈곡장치(5) 상면에 걸쳐서 테일 파이프(83)를 이어 설치시킨다. 탈곡장치(5)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각 상면측에 테일 파이프(83)가 지지된다. 정화 출구관(82) 외경보다 테일 파이프(83) 내경을 대경으로 형성하여 소경측 정화 출구관(82)과 개경측 테일 파이프(83)의 접속부에 간극을 형성한다. 정화 출구관(82)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3) 내로 이동하는 배기가스에 상기 간극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3) 내로 부압 흡입되는 외기를 혼합하여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면측을 덮는 우산 형상의 상면 커버체(156)를 구비한다.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정화 출구관(82)과의 접속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커버 지지 브래킷(157)을 용접 고정한다. 커버 지지 브래킷(157)에 상면 커버체(156)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158) 체결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면에 먼지나 짚부스러기 등이 퇴적되는 것을 상면 커버체(156)로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중 출구측 케이스(77)에 복수 세트의 두꺼운 판형상 상단 플랜지체(86)를 통해서 출구측 덮개체(78)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있다. 정화 출구관(82)의 하단측에 출구관 플랜지체(87)를 용접 고정하고, 출구측 덮개체(78)를 통해서 출구측 케이스(77)에 정화 출구관(82)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형성하고 있다.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는 두꺼운 판형상 상단 플랜지체(86)의 전단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를 방사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상단 플랜지체(86)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의 조립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또는 호이스트 등의 하역 매달림 장치의 훅을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에 록킹시키고, 상기 체인 블록 등에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상단 플랜지체(8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매달아,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운반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구측 케이스(77)의 우측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두꺼운 판형상 상단 플랜지체(86)에 센서 브래킷(121)을 볼트 체결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상단측의 우측부에 센서 브래킷(121)을 배치시킨다. 전기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122)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센서 브래킷(121)의 평탄한 상면에 부착된다. 또한, 차압 센서(1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 센서 배관(123)과 하류측 센서 배관(124)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내의 매연 필터(80)를 끼우도록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배치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125, 126)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123, 124)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매연 필터(80)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80)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22)를 통해서 검출된다. 매연 필터(80)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80)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2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80)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재생 제어 가능 범위 이상으로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더욱 증가했을 때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착탈 분해하여 매연 필터(80)를 청소하고,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하여진다.
또한, 차압 센서(122)의 외측 케이스부에 전기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해서 전기배선함과 아울러,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취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센서(128)와,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센서(130)를 구비한다. 상류측 가스 온도센서(128)의 전기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센서(130)의 전기배선 커넥터(131)를 센서 브래킷(121)에 고착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부에 센서 브래킷(121)을 통하여 배기가스용 차압 센서(122)와 배기 온도센서용 커넥터로서의 전기배선 커넥터(129, 131)가 배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122)의 전기배선 커넥터와, 상류측 가스 온도센서(128)의 전기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센서(130)의 전기배선 커넥터(131)의 각 접속 방향을 동일 방향을 향하게 한 자세로 상기 각 커넥터(129, 131)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캐빈(10) 배면에 설치된 공기조절용 팬(115)의 공기 배출부에 대향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조절용 팬(115)의 배기에 의해 차압 센서(122) 또는 각 커넥터(129, 131)의 배선 등을 냉각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측의 배기열에 의해 그것들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것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도 7,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8)를 지지하는 세로 인출 컨베이어(8a)에 곡물 탱크(7)의 후방부을 지지하고, 인출 컨베이어(8a) 둘레로 곡물 탱크(7) 앞측을 수평 회동시켜 기계 외측방을 향해서 곡물 탱크(7)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곡물 탱크(7)에 대향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의 후면측에 복수의 커버 지지대(136)를 용접 고정하고, 각 커버 지지대(136)에 후면 커버체(137)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138) 체결하고 있다. 즉, 엔진 룸(97)[엔진 룸 프레임(91)]과 곡물 탱크(7)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를 배치하고, 곡물 탱크(7)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 사이에 후면 커버체(137)를 배치하고 있다. 기계 외측방을 향해서 곡물 탱크(7)를 이동시켜서 엔진 룸(97) 후방측을 개방해서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75)에 접촉하는 것을 후면 커버체(137)에서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3∼도 19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부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도 19에 나타내는 콤바인은 제 1 실시형태의 운전 캐빈(10) 대신에, 운전 좌석(12) 등이 배치된 운전 조작부(159)의 상방을 덮기 위한 차광용의 선 바이저(160)를 장착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후방측에 세워서 설치시키는 문형의 배면 프레임(161)을 구비한다. 엔진 룸 프레임(91)으로서의 횡프레임(94)에 배면 프레임(161)의 하단측을 고착하고 있다. 배면 프레임(161)의 상단측에 지점 브래킷(162)을 설치하고, 지점 브래킷(162)에 조절 지축(164)을 개재해서 좌우의 요동 암(163)의 일단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좌우의 요동 암(163)의 타단측에 선 바이저(160)를 설치하고 있다. 조절노브(165)를 잡고서 조절 지축(164)을 느슨하게 해서 좌우의 요동 암(163)의 지지 각도를 변경하여, 선 바이저(160)를 임의 위치로 승강 또는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선 바이저(160)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74)가 엔진 룸(97) 뒷측의 횡프레임(94)에 고강성으로 지지된다. 또한, 엔진 룸(97) 우측의 기계 외측면에 냉각풍 취입 커버(166)를 구비하고, 냉각풍 취입 커버(166)의 기계 내측면과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사이에 엔진(14) 흡기용 에어 클리너(167)를 배치함과 아울러, 배면 프레임(161)에 배관 브래킷(168)을 통해서 강관제의 흡입기관(169)을 고착하고, 흡기관(169)의 상단측에 프리 클리너(170)을 지지시킨다. 에어 클리너(167)에 흡기관(169)을 개재해서 프리 클리너(170)를 접속시킴으로써 프리 클리너(170) 및 에어 클리너(167)를 통하여 엔진(14)의 흡기 매니폴드에 신기체를 취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배면 프레임(161)에 배면판(171)을 고착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설치부와 운전 좌석(12) 사이를 배면판(171)으로 칸막이하여 엔진(14) 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측으로부터 운전 좌석(12) 방향으로 배열충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도 1,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97)과 탈곡장치(5)에 대향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로서의 전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방사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교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엔진 룸(97)에 근접시킨 위치에서 디젤엔진(14)의 배기관[배기 출구관(99)]보다 고위치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룸(97)과 탈곡장치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과 측면 지지 브래킷(141)을 개재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연결시킴으로써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기계 진동 등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지지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하단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1)을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로서의 정화 출구관(82)을 배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외측면의 지지 브래킷체[전면 지지 브래킷(114), 측면 지지 브래킷(141)] 중 정화 입구관(81)측의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통하여 엔진 룸(97)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4) 또는 탈곡장치(5)를 소정 위치에 장착한 후, 엔진 룸(97)의 횡프레임(94) 또는 탈곡장치(5)의 기계 케이스[기계 케이스 프레임(144)]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장착 또는 분리 작업(볼트 체결 조작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앞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다른쪽의 지지 브래킷(141)을 횡방향으로 돌설시켜서 엔진 룸(97)과 탈곡장치(5)가 대향 인접하는 코너각 공간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고강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 캐빈(10)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엔진 룸(97)의 프레임(91) 중 운전 캐빈(10)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의 횡프레임(94)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착탈 작업 등이 용이한 엔진 룸(97) 외측의 개방 스페이스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저비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3∼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 좌석(12)의 상방에 선 바이저(160)를 구비하는 구조이며, 엔진 룸(97)의 프레임(91) 중 선 바이저(160)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의 횡프레임(94)에 전면 지지 브래킷(114)을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착탈 작업 등이 용이한 엔진 룸(97) 외측의 개방 스페이스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저비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4)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97)과 곡물 탱크(7)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엔진 룸(97)과 곡물 탱크(7) 사이로로부터 탈곡장치(5)를 향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5)에 일단측을 연통시킨 테일 파이프(83)의 타단측을 이어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교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고, 엔진 룸(97)의 외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디젤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측과 탈곡장치(5)의 상면측에 걸쳐서 테일 파이프(83)를 수평 자세로 장착할 수 있고, 곡물 탱크(7)의 측면 또는 탈곡장치(5)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테일 파이프(83)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상면 플랜지 부재로서의 상단 플랜지체(86)를 돌출시키고, 상단 플랜지체(86)에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를 세워서 설치하고,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에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단 플랜지체(86)와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151)에 의해 테일 파이프(83)의 지지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배기가스 출구관[정화 출구관(82)]에 대하여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고정밀도로 접속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의 배기가스 출구관[정화 출구관(82)]과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 사이에 외기 도입용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도 12,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과 테일 파이프(83)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상면 커버체(156)를 구비하고,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상면 커버체(156)를 지지시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을 상면 커버체(156)로 덮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퇴적되는 먼지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테일 파이프(83)와 상면 커버체(156)를 일체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측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면 커버체(156)의 부착부에 제한받지 않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의 배기가스 출구와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 사이에 외기 도입용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입구측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도 12,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킨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152)를 통하여 탈곡장치(5) 상면과 곡물 배출 컨베이어(8) 하면 사이에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출구측을 이어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측과 탈곡장치(5)의 상면측에 걸쳐서 테일 파이프(83)를 수평 자세로 장착할 수 있다. 곡물 탱크(7)의 측면 또는 탈곡장치(5)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곡물 배출 컨베이어(8)의 선회 동작 범위 밖에 테일 파이프(83)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구비하고, 엔진(14)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곡물 탱크(7)에 대향하는 엔진 룸(97) 측면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수직 자세로 배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측에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로서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형성하고, 엔진 룸(97)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착탈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평 자세에 비교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평면 설치 스페이스를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엔진 룸(97)의 외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컴팩트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엔진(14)에 근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립공장 등에 있어서,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통해서 체인 블록 등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세로로 긴 자세(장착 자세)로 매달아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안정된 자세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착탈 방향으로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키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매달아서 반송할 때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가 장착 장소 이외로 관성 요동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의 전방부에 한쪽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형성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의 후방부에 다른 한쪽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를 형성하며, 엔진 룸(97)의 후방으로부터 엔진 룸(97)으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접근시켜서 엔진 룸(97) 후면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세로로 긴 자세로 매달아서 반송할 때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것에 비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전후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엔진 룸(97) 후면과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충돌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엔진 룸(97) 후면의 장착 장소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연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12,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5)에 대향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부에 테일 파이프 지지부로서의 배기 지지대(153)를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으로부터 탈곡장치(5)를 향해서 이어 설치하는 테일 파이프(83)를 배기 지지대(153)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운전 캐빈(10)에 설치한 공기조절용 팬(115)(송풍 팬)의 송풍로에 대향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74) 상면부에 센서 지지부로서의 센서 브래킷(121)을 배치하고, 공기조절용 팬(115)의 송풍로에 센서 브래킷(121)을 개재해서 차압 센서(122)(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129, 131) 등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74)에 배기 지지대(153)를 통해서 테일 파이프(83)를 고정밀도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 지지대(153)를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압 센서(122) 또는 배선 커넥터(129, 131) 등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공기조절용 팬(115)의 송풍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차압 센서(122) 또는 배선 커넥터(129, 131)의 배선 등이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열 배출에 의해 열화 또는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것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97)의 후측부에 배기가스 정화장치(74)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배기가스 정화장치(74)의 상면 플랜지 부재로서의 상단 플랜지체(86)의 전방부과 후방부에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매달림 지지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단 플랜지체(86)의 좌측부에 테일 파이프(83) 부착용의 배기 지지대(153)(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단 플랜지체(86)의 우측부에 차압 센서(122) 부착용의 센서 브래킷(121)(센서 지지부)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와, 배기 지지대(153)와, 센서 브래킷(121)을 십자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매달림 맞물림 구멍체(134)로의 훅의 걸거나 벗김 조작, 또는 배기 지지대(153)에의 테일 파이프(83) 착탈 조작, 또는 센서 브래킷(121)에의 차압 센서(122) 또는 배선 커넥터(129, 131) 등의 부착 조작 및 배선 조작 등의 작업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 탈곡장치 7 : 곡물 탱크
10 : 운전 캐빈 12 : 운전 좌석
14 : 디젤엔진 74 : 배기가스 정화장치
81 : 정화 입구관(배기가스 취입구)
82 : 정화 출구관(배기가스 배출구)
83 : 테일 파이프
86 : 두꺼운 판형상 상단 플랜지체(상면 플랜지 부재)
97 : 엔진 룸
114 : 전면 지지 브래킷(지지 브래킷체)
115 : 공기조절용 팬(송풍 팬) 121 : 센서 브래킷(센서 지지부)
122 : 차압 센서(배기가스 센서) 129 : 전기배선 커넥터
131 : 전기배선 커넥터
134 : 매달림 결합 구멍체(매달림 지지부)
141 : 측면 지지 브래킷(지지 브래킷체)
151 :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 152 :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
153 : 배기 지지대(테일 파이프 지지부) 156 : 상면 커버체
160 : 선 바이저

Claims (12)

  1.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탈곡장치에 대향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 브래킷체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하단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단측에 배기가스 배출구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외측면의 지지 브래킷체 중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측의 지지 브래킷체를 통해서 엔진 룸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캐빈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캐빈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 좌석의 상방에 선 바이저를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의 프레임 중 상기 선 바이저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측 프레임에 상기 지지 브래킷체를 개재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과 곡물 탱크 사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 룸과 곡물 탱크 사이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일단측을 연통시킨 테일 파이프의 타단측을 이어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상면 플랜지 부재를 돌출시키고, 상기 상면 플랜지 부재에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를 세워서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 입구측 지지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과 상기 테일 파이프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상면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상기 상면 커버체를 지지시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을 상기 상면 커버체로 덮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장치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킨 파이프 출구측 지지체를 통해서 상기 탈곡장치 상면과 곡물 배출 컨베이어 하면 사이에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출구측을 이어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속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곡물 탱크에 대향하는 엔진 룸 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수직 자세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측에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착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일렬 형상으로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전방부에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의 후방부에 다른 한쪽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엔진 룸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엔진 룸으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접근시켜서 상기 엔진 룸 후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1. 제 9 항에 있어서,
    탈곡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으로부터 탈곡장치를 향해서 이어 설치하는 테일 파이프를 상기 테일 파이프 지지부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송풍 팬의 송풍로에 대향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상면부에 센서 지지부를 배치하여 송풍 팬의 송풍로에 상기 센서 지지부를 통해서 배기가스 센서 또는 배선 커넥터 등을 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룸의 후측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상면 플랜지 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상기 한쌍의 매달림 지지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면 플랜지 부재의 좌측부에 테일 파이프 부착용의 테일 파이프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면 플랜지 부재의 우측부에 배기가스 센서 부착용의 센서 지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7009159A 2012-12-27 2013-12-20 콤바인 KR101978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5095A JP5995708B2 (ja) 2012-12-27 2012-12-27 コンバイン
JPJP-P-2012-285095 2012-12-27
PCT/JP2013/084291 WO2014103944A1 (ja) 2012-12-27 2013-12-2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14A true KR20150100614A (ko) 2015-09-02
KR101978539B1 KR101978539B1 (ko) 2019-05-14

Family

ID=5102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159A KR101978539B1 (ko) 2012-12-27 2013-12-20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5708B2 (ko)
KR (1) KR101978539B1 (ko)
CN (1) CN104822253A (ko)
WO (1) WO20141039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310A (ko) * 2015-11-04 2017-05-12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KR20230052218A (ko) 2021-10-12 2023-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엔진 동력 측정용 도구 및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4522B2 (en) * 2008-03-17 2017-05-09 Faurecia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Cast end cap mounting module
JP6378049B2 (ja) * 2014-11-07 2018-08-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6523865B2 (ja) * 2015-08-21 2019-06-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484158B2 (ja) * 2015-10-16 2019-03-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801997B2 (ja) * 2016-08-02 2020-12-16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18259B2 (ja) * 2017-02-23 2018-11-0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256817B1 (ja) * 2017-06-29 2018-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023746B2 (ja) * 2018-03-02 2022-02-22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
JP7101581B2 (ja) * 2018-09-28 2022-07-15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6624233B2 (ja) * 2018-04-25 2019-12-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0617138B (zh) * 2018-06-19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半喂入联合收割机、收割机
JP7355787B2 (ja) * 2019-03-22 2023-10-0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21170978A (ja) * 2020-04-23 2021-11-01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3908A (ja) * 2007-02-08 2008-08-28 Kubota Corp 自脱形コンバインの防塵構造
JP2010209813A (ja) 2009-03-11 2010-09-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24510A (ja) * 2009-07-28 2011-02-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63339A (ja) * 2010-01-14 2011-08-25 Kubota Corp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2012136845A (ja) * 2010-12-24 2012-07-19 Komatsu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0731U (ko) * 1975-05-01 1976-11-12
DE3738991C2 (de) * 1987-11-17 1994-06-16 Claas Ohg Selbstfahrender Mähdrescher
JP2892933B2 (ja) * 1994-02-15 1999-05-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排ワラ搬送装置
US6012272A (en) * 1998-03-18 2000-01-11 Dillon; Ben N. Articulated combine
JPH11318173A (ja) * 1998-05-14 1999-11-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構成
JP2013188174A (ja) * 2012-03-14 2013-09-2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025392A (ja) * 2012-07-26 2014-02-06 Yanmar Co Ltd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6227859B2 (ja) * 2012-07-26 2017-11-0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3908A (ja) * 2007-02-08 2008-08-28 Kubota Corp 自脱形コンバインの防塵構造
JP2010209813A (ja) 2009-03-11 2010-09-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24510A (ja) * 2009-07-28 2011-02-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63339A (ja) * 2010-01-14 2011-08-25 Kubota Corp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2012136845A (ja) * 2010-12-24 2012-07-19 Komatsu Ltd 作業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310A (ko) * 2015-11-04 2017-05-12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KR20230052218A (ko) 2021-10-12 2023-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엔진 동력 측정용 도구 및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539B1 (ko) 2019-05-14
JP5995708B2 (ja) 2016-09-21
WO2014103944A1 (ja) 2014-07-03
CN104822253A (zh) 2015-08-05
JP2014124160A (ja)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539B1 (ko) 콤바인
KR10244647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6489638B2 (ja) コンバイン
WO2015033480A1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KR20180034574A (ko) 콤바인
JP5971859B2 (ja) コンバイン
JP6305277B2 (ja) コンバイン
JP6227859B2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KR102040352B1 (ko)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JP2014113067A (ja) コンバイン
JP2014025392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6245759B2 (ja) コンバイン
JP2014136976A (ja) コンバイン
JP5945219B2 (ja) コンバイン
JP5972111B2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