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286A -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286A
KR20150097286A KR1020140018609A KR20140018609A KR20150097286A KR 20150097286 A KR20150097286 A KR 20150097286A KR 1020140018609 A KR1020140018609 A KR 1020140018609A KR 20140018609 A KR20140018609 A KR 20140018609A KR 20150097286 A KR20150097286 A KR 2015009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upler
pile
screw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479B1 (ko
Inventor
송기용
Original Assignee
이엑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엑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엑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4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주면에 보강링의 용접부분을 수용하도록 수용면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의 인장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이음결합할 수 있으며 내측 커플러의 일측 단부에 보강편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 보다 용접량을 늘려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이음결합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내측 커플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joint structure of screw steel post}
본 발명은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를 강화하여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의 연결시공시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음작업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으로 전달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표면으로부터 지지층으로 연결되는 스크류 강관말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 강관말뚝은 시공장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지지층에 압입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 강관말뚝의 길이는 보통 5~10M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스크류 강관말뚝이 지지층에 압입되면 상기 스크류 강관말뚝에 또 다른 스크류 강관말뚝을 이음작업하여 연이어서 지지층에 압입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시공된다.
상기 하나의 스크류 강관말뚝의 단부에는 내향으로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스크류 강관말뚝의 단부에는 외향으로 나사탭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는 구조이며, 지지층에 하나의 스크류 강관말뚝이 압압된 상태에서 또 따른 스크류 강관말뚝을 수직선상에 위치시킨 후 시공장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탭에 의해 스크류 강관말뚝이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구조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작업시 인장강도 875kN에서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단부가 파단되는 결과가 초래하게 되어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시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295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5736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주면에 보강링의 용접면을 수용하도록 수용면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의 인장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이음결합할 수 있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 커플러의 일측 단부에 보강편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 보다 용접량을 늘려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이음결합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내측 커플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와;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과;
상기 보강링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와;
상기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측에 형성되어 보강링의 일측에 용접고정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와;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과;
상기 보강링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와;
상기 내측 커플러의 일측 단부에 외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주면에 보강링의 용접부분을 수용하도록 수용면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의 인장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이음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커플러의 일측 단부에 보강편을 형성하여 외측 커플러 보다 용접량을 늘려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이음결합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내측 커플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A'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B'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강링과 수용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100)는,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구조로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13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120)이 구성되며, 상기 보강링(120)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110)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130)가 구성되고, 상기 외측 커플러(130)의 걸림턱(131) 내측에 형성되어 보강링(120)의 일측에 용접고정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100')는,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13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120)이 구성되고, 상기 보강링(120)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110)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130)가 구성되며, 상기 내측 커플러(110)의 일측 단부에 외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측 커플러(110)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되는 보강편(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측 커플러(130)의 걸림턱(131) 내측에 형성되어 보강링(120)의 일측에 용접고정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면(14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면(140)은 보강링(120)의 용접면(121)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만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외측 커플러(130)의 지지력을 강화한다.
상기 보강편(150)의 외경을 외측 커플러(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선단부에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내측 커플러(110)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끝단부에 일정길이 여유를 두고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측 커플러(110)가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결합되면, 상기 내측 커플러(110) 양측의 결합부를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한다.
또한, 외측 커플러(13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31) 내주면에 보강링(120)의 일측에 용접된 용접면(1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면(14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면(140)은 내측으로 요입된 만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상기 제1 스크류 강관말뚝(10)과 대응하는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수용면(140)이 형성된 외측 커플러(130)를 먼저 끼워 결합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의 선단부에 보강링(120)을 결합한 후, 상기 보강링(120)의 양측 결합부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하여 보강링(12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강링(120)을 용접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링(12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하면서 보강링(120) 일측의 용접면(121)이 수용면(140)에 수용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외측 커플러(130) 외주면의 결합부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하여 외측 커플러(130)와 제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고정시키게 되면, 수용면(140)과 보강링(120)의 용접면(121)이 서로 밀착되어 외측 커플러(13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10)(20)의 이음결합시 외측 커플러(130)가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10)(20)에 각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을 지반에 시공하면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이 일정 깊이 압입되면,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상단부에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상부에 수직선상으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공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고정된 외측 커플러(130)의 나사산(132)이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된 내측 커플러(110)의 나사산(111)에 나사체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TYPE 항복하중
(MPa)
외경
(mm)
두께
(mm)
자재허용하중
(tf/ea)
인장하중
SAP-N1000(Φ73,11t) 552 73 11 70.53 875kN
SAP-P1000(Φ73,9.5t) 758 73 9.5 85.66
상기의 표 1은 종래의 나사탭 결합방식으로 된 스크류 강관말뚝의 인장강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나사탭 방식의 스크류 강관말뚝에 유압을 공급하여 서로 인장하게 되면 875kN에서 나사탭 이음부가 파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YPE
커플러 제원
인장하중
자재종류 항복하중
(MPa)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용접목두께
(mm)
Male-Coupler SCM440 417 100 73 13.5 6 1,750kN
Famale-Coupler SCM440 417 120 100 10 6
상기의 표 2는 내측 커플러(110)와 외측 커플러(130)로 보강한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의 인장강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표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내측 커플러(110)와 외측 커플러(130)의 항복하중은 417MPa이고, 용접목의 두께는 6mm이며,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에 유압을 공급하여 서로 인장하게 되면 1,750kN에서 이음부가 파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나사탭 방식의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의 인장강도인 875kN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강도를 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10)(20)의 결합시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결합 및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선단부에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내측 커플러(110)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끝단부에 일정길이 여유를 두고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측 커플러(110)가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결합되면, 상기 내측 커플러(110) 양측의 결합부를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한다.
상기 내측 커플러(110)의 일측에 보강편(150)을 연장형성하고, 연장형성된 보강편(150)의 결합부 외주면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하여 내측 커플러(110)와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보강편(150)의 외경은 외측 커플러(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용접량을 늘림으로써 내측 커플러(110)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으로부터 내측 커플러(1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류 강관말뚝(10)과 대응하는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걸림턱(131)이 형성된 외측 커플러(130)를 먼저 끼워 결합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의 선단부에 보강링(120)을 결합한 후, 상기 보강링(120)의 일측 결합부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하여 보강링(120)을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링(120)은 외측 커플러(130)의 걸림턱(131)에 밀착되는 부분은 용접하지 않고 걸림턱(131) 타측의 보강링(120) 일측에만 용접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강링(120)을 용접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링(12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하면서 보강링(120)에 걸림턱(131)이 밀착되도록 외측 커플러(13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외측 커플러(130) 외주면의 결합부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하여 외측 커플러(130)와 제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외측 커플러(130)의 걸림턱(131)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만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수용면(14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용면(140)은, 보강링(120)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고정하는 용접면(121)이 밀착되도록 하여 외측 커플러(130)의 지지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2 스크류 강관말뚝(10)(20)에 각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을 지반에 시공하면서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이 일정 깊이 압입되면,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상단부에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의 상부에 수직선상으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공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스크류 강관말뚝(20)에 용접고정된 외측 커플러(130)의 나사산(132)이 제 1 스크류 강관말뚝(10)에 용접고정된 내측 커플러(110)의 나사산(111)에 나사체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이음부 구조 110: 내측 커플러
120: 보강링 121: 용접면
130: 외측 커플러 131: 걸림턱
140: 수용면 150: 보강편

Claims (5)

  1.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와;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과;
    상기 보강링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와;
    상기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측에 형성되어 보강링의 일측에 용접고정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
  2. 제 1 스크류 강관말뚝과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상호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와;
    상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며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을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결합시 외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링과;
    상기 보강링을 수용하면서 제 2 스크류 강관말뚝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플러에 나사결합되는 외측 커플러와;
    상기 내측 커플러의 일측 단부에 외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 이음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플러의 걸림턱 내측에 형성되어 보강링의 일측에 용접고정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면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은 보강링의 용접면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만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외측 커플러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의 외경을 외측 커플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 1 스크류 강관말뚝에 용접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KR1020140018609A 2014-02-18 2014-02-18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KR10167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09A KR101672479B1 (ko) 2014-02-18 2014-02-18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09A KR101672479B1 (ko) 2014-02-18 2014-02-18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86A true KR20150097286A (ko) 2015-08-26
KR101672479B1 KR101672479B1 (ko) 2016-11-04

Family

ID=5405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09A KR101672479B1 (ko) 2014-02-18 2014-02-18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49B1 (ko) 2016-03-11 2017-03-06 주식회사 태하 스크류 파일 설치 기구
KR102374296B1 (ko) 2020-11-20 2022-03-16 주식회사 포스코 말뚝의 접합구조 및 말뚝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47B1 (ko) 2021-03-23 2022-03-03 김준홍 키 블럭을 갖는 커플러
KR20230126889A (ko) 2022-02-24 2023-08-31 김준홍 평행 2중 결합핀으로 결합되는 키 블럭을 갖는 소구경 파일용 커플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60A (ja) * 1996-06-25 1998-01-13 Asahi Chem Ind Co Ltd ネジ式杭継手
JPH10273914A (ja) * 1997-03-31 1998-10-13 Kawasaki Steel Corp 鋼管杭の回転圧入用治具
JP2003105751A (ja) * 2001-09-28 2003-04-09 Asahi Kasei Corp 鋼管杭のネジ継手構造
KR20050002951A (ko) 2003-06-27 2005-01-10 박재현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060105736A (ko) 2003-08-15 2006-10-11 스와겔로크 컴패니 금속 파이프 및 배관용 연결구
KR20110100035A (ko) * 2010-03-03 2011-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관 연결유닛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60A (ja) * 1996-06-25 1998-01-13 Asahi Chem Ind Co Ltd ネジ式杭継手
JPH10273914A (ja) * 1997-03-31 1998-10-13 Kawasaki Steel Corp 鋼管杭の回転圧入用治具
JP2003105751A (ja) * 2001-09-28 2003-04-09 Asahi Kasei Corp 鋼管杭のネジ継手構造
KR20050002951A (ko) 2003-06-27 2005-01-10 박재현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060105736A (ko) 2003-08-15 2006-10-11 스와겔로크 컴패니 금속 파이프 및 배관용 연결구
KR20110100035A (ko) * 2010-03-03 2011-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관 연결유닛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49B1 (ko) 2016-03-11 2017-03-06 주식회사 태하 스크류 파일 설치 기구
KR102374296B1 (ko) 2020-11-20 2022-03-16 주식회사 포스코 말뚝의 접합구조 및 말뚝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479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479B1 (ko)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KR20120000006U (ko) 관 형상 보정장치
KR101697517B1 (ko) 철근 연결장치
KR101208486B1 (ko) 철근 연결용 보조 커플러
CN1019682B (zh) 管夹紧连接件
JP3336430B2 (ja)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KR101670941B1 (ko) 강관버팀보 횡밴드
JP2012117328A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構造部材
CN103586611A (zh) 炉壳钢板对口卡具及其使用方法
JP5846072B2 (ja) 高強度鋼管用溶接継手、高強度鋼管用溶接継手の製造方法、高強度鋼管の接合方法および高強度鋼管の接合構造
KR20150004020A (ko)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JP7160150B1 (ja) 継手管、その製造方法、設計方法、継手管付き鋼管、その製造方法、設計方法、鋼管杭及び鋼管杭の施工方法
JP7380126B2 (ja) 接合部材、接合構造、接合方法、誘導装置、および、誘導方法
KR20160052456A (ko) 철근연결구
CN214461834U (zh) 结构改进的钢筋连接装置
KR102442976B1 (ko) 관형 지지물의 암접합부 보강 장치 및 보강 방법
KR101907360B1 (ko) 배관 연결 방법
KR101566610B1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20190077687A (ko) 강관 연결장치
KR20170098608A (ko) 압박플레이트가 구비된 철근연결구
KR101710479B1 (ko) 파이프 접합 장치 및 방법
KR20240037842A (ko) 철근이음상태 확인수단을 구비한 철근 커플러
CN103398057A (zh) 钢管对接结构及具有其的起重机
KR10208169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탱크
KR20160029639A (ko) 상이한 각과 산으로 결합력을 향상시킨 정밀급 철근 연결용 현장 성형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