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360B1 - 배관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360B1
KR101907360B1 KR1020180081475A KR20180081475A KR101907360B1 KR 101907360 B1 KR101907360 B1 KR 101907360B1 KR 1020180081475 A KR1020180081475 A KR 1020180081475A KR 20180081475 A KR20180081475 A KR 20180081475A KR 101907360 B1 KR101907360 B1 KR 10190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ipe
region
support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수
이근성
Original Assignee
유병수
이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수, 이근성 filed Critical 유병수
Priority to KR102018008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배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부 제1 영역(L1)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NP1)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제1 영역(L1)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둘레부 제2 영역(L2)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파이프(NP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L1)과 상기 제2 영역(L2)간의 나사결합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를 상호 결속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1 영역(L1)과 대응하는 내주면 제3 영역(L3)상으로 보강수단(10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과 대응하는 외주면 제4 영역(L4)상에 압착수단(NW)을 위치시킨 후 수축시켜서, 상기 제4 영역(L4)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제1 파이프(NP1)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상기 제3 영역(L3)에 이르는 중심체(110)와, 상기 중심체(1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압착수단(NW)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3 영역(L3)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120)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관 결합에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하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및 사후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배관의 결합에 있어 배관에 미세 손상 등의 초래를 방지하여 노후화에 따른 조기 파손과 불량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 방법{Screw Compression Type Pipe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배관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관 결합에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하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및 사후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관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용접에 의한 결합 방식과 나사결합에 의한 결합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나사결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정작 배관의 결합에 있어 배관에 미세 손상 등을 초래하여 노후화에 따른 조기 파손과 불량 등의 발생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519호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관 결합에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하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및 사후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관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사 배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부 제1 영역(L1)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NP1)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제1 영역(L1)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둘레부 제2 영역(L2)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파이프(NP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L1)과 상기 제2 영역(L2)간의 나사결합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를 상호 결속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1 영역(L1)과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이프(NP1)의 내주면 제3 영역(L3)상으로 보강수단(10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과 대응하는 외주면 제4 영역(L4)상에 압착수단(NW)을 위치시킨 후 수축시켜서, 상기 제4 영역(L4)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제1 파이프(NP1)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상기 제3 영역(L3)에 이르는 중심체(110)와, 상기 중심체(1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압착수단(NW)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3 영역(L3)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120)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관 결합에 있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최소하시킴으로써 배관 설치 및 사후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배관의 결합에 있어 배관에 미세 손상 등의 초래를 방지하여 노후화에 따른 조기 파손과 불량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중 금속 밴드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압착식 배관연결 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중 금속 밴드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은, 암, 수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S10')와 나사결합시켜 체결하는 단계(S20')와 가압, 수축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10')에서 제2 파이프(P2') 또는 플랜지(F')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제1 파이프(P')의 단부에 암, 수 나사산을 형성한다.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결합시키고자 하는 부위인 플랜지(F')의 일측(도 1 기준 우측) 내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 파이프(P')의 타측(도 1 기준 좌측') 외면에 숫나사산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클린룸 등에서 하나의 제1 파이프(P')는 고정(기설치')된 상태이므로 고정된 일측 파이프에 숫나사산을 형성하고, 작업이 용이한 플랜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P1')의 타측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제2 파이프(P2')는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일측에 위치한 제1 파이프(P1')의 타측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하여 양자를 나사 결합한다. 연결부(A1')는 제2 파이프(P2')와 암나사산과 제1 파이프(P1')의 숫나사산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나사결합 영역이다.
나사산을 형성한 후 다음 단계(S20')에서, 제2 파이프(P2') 또는 플랜지(F')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파이프(P')를 서로 나사결합시켜 체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1 파이프(P')에 플랜지(F')를 결합시킬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P')에 플랜지(F')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F')의 일측 암나사산과 파이프(P')의 타측 숫나사산을 나사결합시켜 양자를 체결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플랜지(F')를 회전시켜 양자를 체결시킬 것이다. 나사결합을 진행한 후, 압착수단(W')을 제1 연결부 파이프(P2') 또는 플랜지(F')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1 파이프(P')가 나사결합된 지점](A1') 외면에 위치시킨 후 수축시켜서 제1 연결부(A1') 외면을 중심부 방향으로 가압, 수축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1 연결부란 제2 파이프(P2') 또는 플랜지(F')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1파이프(P')가 나사결합된 지점(또는 영역')을 말한다. 또는 제1 연결부(A1')란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후 결합되는 영역을 말한다.
이때, 압착수단(W')은 연결부(A1') 외면을 권회하는 와이어 또는 금속 밴드를 포함하고, 와이어 또는 금속 밴드는 몸체부(25')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당김수단(27')에 연결되고, 당김수단(27')은 와이어 또는 금속 밴드를 권회시켜서 당길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는 하나의 와이어를 권회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4개의 와이어를 인점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파이프(P2') 또는 플랜지(F')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파이프(P')를 서로 나사결합시켜 체결하는 단계(S20')와, 제1 연결부(A1') 외면을 중심부 방향으로 가압, 수축시키는 단계(S30') 사이에, 제1 연결부(A1')의 내면을 내면지지구(30')로 지지시켜서 압착수단(W')의 외면 가압, 수축(S30 단계')에 의한 제1 연결부(A1')의 내면 수축을 미리 방지시키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내면지지구(30')는 제1 연결부(A1')의 가장자리 영역(B')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A1')의 중앙을 지지하는 경우 외면 압착 후에 내면지지구(30')의 탈출이 어려울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지지구(30')는, 손잡이부(31')와, 상기 손잡이부(31')로부터 테이퍼진 형상으로 확장되는 제1 테이퍼부(32')와, 상기 제1 테이퍼부(32')로부터 서서히 가늘어지는 제2 테이퍼부(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내면 지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압착 후 내면지지구(30')의 탈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나사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부 제1 영역(L1)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NP1)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제1 영역(L1)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둘레부 제2 영역(L2)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파이프(NP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L1)과 상기 제2 영역(L2)간의 나사결합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를 상호 결속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1 영역(L1)과 대응하는 제1 파이프(NP1)의 내주면 제3 영역(L3)상으로 보강수단(10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과 대응하는 외주면 제4 영역(L4)상에 압착수단(NW)을 위치시킨 후 수축시켜서, 상기 제4 영역(L4)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개시한다.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제1 파이프(NP1)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상기 제3 영역(L3)에 이르는 중심체(110)와, 상기 중심체(1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압착수단(NW)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3 영역(L3)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중심체(110)상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에 기반하는 상방 유동을 통해 상기 제2 파이프(NP2)내에 삽입된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길이방향 단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대향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 상에 위치되는 전방지지체(140)와,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서 상기 제1 영역(L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한하기 위한 외력저항모듈(150)이 구비된다.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은 외부를 향하여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고,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은 상기 중심체(110)로부터 연동되어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 위치되는 센터모듈(151)과, 상기 센터모듈(151)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 방식으로 구동되어 각각 상기 제1 영역(L1)을 외부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가압모듈과 상기 센터모듈(151)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가압모듈은 제1 가압모듈(152)과 제2 가압모듈(153)로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체(130)는,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1 가압모듈(152) 및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2 가압모듈(153)의 각 사이에 제1 서브가압모듈(131)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전방지지체(140)와 상기 제1 가압모듈(152) 및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2 가압모듈(153) 각 사이에 제2 서브가압모듈(14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가압모듈(131)은 상기 후방지지체(130)상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한다. 상기 제2 서브가압모듈(141)은 상기 전방지지체(140)상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한다.
상기 센터모듈(151)은 상기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2 가압모듈 각각에 대한 이격정도와 가압힘을 측정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복합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복합센서모듈은,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1 가압모듈(152) 사이에 제1 복합센서모듈(S1)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2 가압모듈(153) 사이에 제2 복합센서모듈(S2)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1 서브가압모듈(131 사이에 제3 복합센서모듈(S3)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2 서브가압모듈(141) 사이에 제4 복합센서모듈(S4)이 구비된다. 상기 센터모듈(151)은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후방지지체(130) 사이에 제6 복합센서모듈(S6)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 제7 복합센서모듈(S7)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파이프(NP1)와 상기 제2 파이프(NP2) 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단차부 상에는 상기 제2 파이프(NP2)와 제1 파이프(NP1)간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단차를 보강하기 위한 단차보강체(230)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보강체(230)의 상부에는 진퇴유동 및 승하강 유동을 위한 가동체(21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상에는 상기 가동체(210)로부터 연동되는 유동체(220)이 구비된다. 유동체(22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제1 함입홈(CH1)과, 상기 제1 함임홈과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제2 함입홈(SH2)과, 상기 제1 함입홈(CH1)과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제3 함입홈(SH1)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결속되어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를 조이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식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함임홈(CH1)과 상기 제2 함입홈(SH2)과, 상기 제3 함입홈(SH3) 상에는 상기 와이어의 결속시 와이어의 물리적 접촉 외력에 의한 상기 유동체(220)의 파손을 억제하기 위한 완충물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완충물질은, 점토, 고무, 엘라스토머, 폴리머, TP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 : 압착수단 25’ : 몸체부
27’ : 당김수단 30’ : 내면지지구

Claims (8)

  1. 나사 배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부 제1 영역(L1)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NP1)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제1 영역(L1)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둘레부 제2 영역(L2)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파이프(NP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L1)과 상기 제2 영역(L2)간의 나사결합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를 상호 결속시키는 단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1 영역(L1)과 대응하는 상기 제1 파이프(NP1)의 내주면 제3 영역(L3)상으로 보강수단(10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과 대응하는 외주면 제4 영역(L4)상에 압착수단(NW)을 위치시킨 후 수축시켜서, 상기 제4 영역(L4)을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제1 파이프(NP1) 내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상기 제3 영역(L3)에 이르는 중심체(110)와, 상기 중심체(1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압착수단(NW)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상기 제3 영역(L3)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12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100)은,
    상기 중심체(110)상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에 기반하는 상방 유동을 통해 상기 제2 파이프(NP2)내에 삽입된 상기 제1 파이프(NP1)의 길이방향 단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대향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 상에 위치되는 전방지지체(140)와,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서 상기 제1 영역(L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한하기 위한 외력저항모듈(150)이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은 외부를 향하여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고,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을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관 연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력저항모듈(150)은,
    상기 중심체(110)로부터 연동되어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 위치되는 센터모듈(151)과,
    상기 센터모듈(151)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 방식으로 구동되어 각각 상기 제1 영역(L1)을 외부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가압모듈과 상기 센터모듈(15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관 연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제1 가압모듈(152)과 제2 가압모듈(153)로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체(130)는,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1 가압모듈(152) 및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2 가압모듈(153)의 각 사이에 제1 서브가압모듈(131)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체(140)는,
    상기 전방지지체(140)와 상기 제1 가압모듈(152) 및 상기 후방지지체(130)와 상기 제2 가압모듈(153) 각 사이에 제2 서브가압모듈(14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가압모듈(131)은 상기 후방지지체(130)상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서브가압모듈(141)은 상기 전방지지체(140)상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L1)을 가압하는 배관 연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터모듈(151)은,
    상기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2 가압모듈 각각에 대한 이격정도와 가압힘을 측정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복합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복합센서모듈은,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1 가압모듈(152) 사이에 제1 복합센서모듈(S1)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2 가압모듈(153) 사이에 제2 복합센서모듈(S2)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1 서브가압모듈(131 사이에 제3 복합센서모듈(S3)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제2 서브가압모듈(141) 사이에 제4 복합센서모듈(S4)이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터모듈(151)은,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후방지지체(130) 사이에 제6 복합센서모듈(S6)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모듈(151)과 상기 전방지지체(140) 사이에 제7 복합센서모듈(S7)이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NP1)과 상기 제2 파이프(NP2) 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파이프(NP1)의 단차부 상에는 상기 제2 파이프(NP2)와 제1 파이프(NP1)간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단차를 보강하기 위한 단차보강체(230)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보강체(230)의 상부에는 진퇴유동 및 승하강 유동을 위한 가동체(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파이프(NP2)의 상기 제2 영역(L2)상에는 상기 가동체(210)로부터 연동되는 유동체(220)이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KR1020180081475A 2018-07-13 2018-07-13 배관 연결 방법 KR10190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75A KR101907360B1 (ko) 2018-07-13 2018-07-13 배관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75A KR101907360B1 (ko) 2018-07-13 2018-07-13 배관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360B1 true KR101907360B1 (ko) 2018-10-11

Family

ID=638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475A KR101907360B1 (ko) 2018-07-13 2018-07-13 배관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3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105B1 (ko) * 2009-09-03 2011-07-06 주식회사 에스씨티 나사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105B1 (ko) * 2009-09-03 2011-07-06 주식회사 에스씨티 나사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304A (en) Abrasive grip pipe coupling
JPH01153891A (ja) 管継手
JP5876245B2 (ja) フランジ継手の修理工法及び修理用治具
KR20100117187A (ko) 파이프 연결구
US20100001520A1 (en) PVC Pipe Coupling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907360B1 (ko) 배관 연결 방법
KR200453521Y1 (ko)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097286A (ko)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KR101148777B1 (ko) 이탈이 방지되고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08331016A (zh) 预制拼装管廊半刚半柔式承插口连接结构及方法
KR100975944B1 (ko)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JP2003232476A (ja) 管継手用ゴムパッキン
JP3859125B2 (ja) スリーブ型管継手
JP7232641B2 (ja) 管継手の水圧試験装置及び水圧試験方法
KR10113181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1047105B1 (ko) 나사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1308401B1 (ko)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JPS60544Y2 (ja) 水道管接合部における管の逸脱防止装置
KR20210074546A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JP2008190613A (ja) 油圧配管のジョイン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