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348A -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 - Google Patents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348A
KR20150096348A KR1020150023286A KR20150023286A KR20150096348A KR 20150096348 A KR20150096348 A KR 20150096348A KR 1020150023286 A KR1020150023286 A KR 1020150023286A KR 20150023286 A KR20150023286 A KR 20150023286A KR 20150096348 A KR20150096348 A KR 2015009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lagen
slurry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 샤오-청
장 지-롱
Original Assignee
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9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3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L31/04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31/1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31/129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8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elliptical or 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7Three-dimensional shapes 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71Three-dimensional shapes sphe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porosity
    • A61F2250/002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porosity made from both porous and non-porous parts, e.g. adjacent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형성하도록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표면 상에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도록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Description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METHOD FOR FORMING DUAL-LAYER COMPOSITE MATERIAL, DUAL-LAYER COMPOSITE MATERIAL THEREBY, BIO-MEDICAL EQUIPMENT CONTAINING THE DUAL-LAYER COMPOSITE MATERIAL}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2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40,257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2015년 2월 5일자로 출원된, 대만 출원 제104103831호에 기초하여, 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에 따라 그 개시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전체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는 바이오-메디컬(bio-medical)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층 복합 재료 및 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착(adhesion)을 초래하는 섬유 조직들은 통상적으로 2개의 조직 간을 접속하고, 통상적으로 복강(peritoneal cavity) 등의 체강(body cavity)의 공간을 교차한다. 일반적으로, 수술후 유착(postsurgical adhesion)의 원인은 조직 절개, 내부 장기(internal organ)들의 핸들링, 내부 장기들 및 조직들의 메마름, 거즈, 수술 장갑, 스티치(stitch) 등의 외부 재료들과 내부 조직들의 접촉, 및 수술 중에 씻겨지지 않은 혈액 또는 혈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복부 및 골반의 수술은 창자 및 부인과 수술을 포함하며, 수술 후 유착의 위험이 높다. 이러한 유착으로부터 생기는 "접속(connections)"은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의 양단에 있는 조직들 또는 장기들이 그들의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뒤틀리거나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의 정상적인 생리 기능, 통증 및 의료 합병증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수술후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유착 방지(anti-adhesion) 재료가 필요하다.
본 개시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이중층 중간 생성물(dual-layer intermediate product)을 형성하도록 다공성 스캐폴드 층(porous scaffold layer)의 표면 상에 배리어-필름 층-형성(barrier-film layer-forming) 재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도록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음 -를 포함하며,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biodegradable polymer)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슬러리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물 분자를 제거하고 스캐폴드 본체를 얻도록 슬러리 상에 동결 건조 절차(lyophilization procedure)를 수행하는 단계; 및 스캐폴드 본체를 탈수(dehydrate)시키고 교차결합(crosslink)하여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도록 스캐폴드 본체 상에 진공 가열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겔을 형성하도록 제2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2 용매와 혼합한 다음에 방치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및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도록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homogeneous stage)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제공하며, 이 이중층 복합 재료는,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표면 상에 형성되며,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배리어 필름 층은 제2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한 설명이 행해진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및 예들을 읽음으로써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멤브레인(membrane)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hollow part)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타원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타원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튜브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튜브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횡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깔때기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종단면도, 도 7c는 평면도, 도 7d는 저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깔때기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종단면도, 도 8c는 평면도, 도 8d는 저면도.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술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상세들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른 실례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장치들이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다공성 스캐폴드 층 상에 코팅하여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형성한다.
그 후,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건조시켜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한다. 상기한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15-30℃에서 건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실온에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12-24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24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도록 약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며, 배리어 필름 층은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또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언급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를 고속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저온에서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한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슬러리의 약 1.0-2.0wt%를 차지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혼합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약 4-10℃, 예를 들어 5℃에서 제1 용매와 혼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약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예를 들어 약 105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제1 용매와 혼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약 90-180분, 예를 들어 90분 동안 제1 용매와 혼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제1 용매와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또한,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약 90분 동안 약 5℃에서 105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제1 용매와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의 예들은,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타입 I 콜라겐과 같은 콜라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조합과 같은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가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일 수 있는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에 대한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의 중량비는 90-99.9:10-0.1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에 대한 콜라겐의 중량비는 약 93-94:7-6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가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일 수 있는 실시예에서, 고속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저온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사전에 고속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저온에서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을 제1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에 혼합물 내에 히알루론산의 용액을 주입(pou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에 고속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저온에서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을 제1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사전에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을 제1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의 용액은 용매로 히알루론산을 용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을 용해시키는데 적합한 용매의 예들은 물, 초산(acetic acid),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산은 0.05M 초산이다.
또한,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 용매는 물, 이소프로판올 또는 초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 용매는 이소프로판올이고, 이소프로판올은 약 1-20% 이소프로판올, 예를 들어 10% 이소프로판올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 용매는 초산이고, 초산은 약 0.02-0.05M 초산, 예를 들어 0.05M 초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가 제1 용매와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한 후, 형성된 슬러리가 몰드 내에 배치되고 냉동된다. 이 단계에서, 슬러리는 약 -40 내지 -20℃에서 냉동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슬러리는 약 -30℃에서 냉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러리가 몰드 내에 배치되고 냉동된 후, 동결 건조 절차가 슬러리에 대해 수행되어 물 분자를 제거하고 스캐폴드 본체를 얻는다. 상기 동결 건조 절차에서의 압력은 약 30-200mTorr, 예를 들어 200mTorr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결 건조 절차는 약 -40 내지 -20℃에서, 약 3-6시간 동안 슬러리를 냉동한 다음에, 약 -40 내지 10℃에서, 약 12-16시간 동안 슬러리를 냉동하는 단계, 및 그 후 약 3-6시간 동안 약 20 내지 30℃에서 슬러리를 놓아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결 건조 절차에서의 압력은 200mTOrr일 수 있고, 이 실시예에서, 동결 건조 절차는 약 -30℃에서, 약 3-6시간 동안 슬러리를 냉동한 다음에, 약 0℃에서, 약 12-16시간 동안 슬러리를 냉동하는 단계, 및 그 후 약 3-6시간 동안 약 30℃에서 슬러리를 놓아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에 대하여 동결 건조 절차를 수행하여 물 분자를 제거하고 스캐폴드 본체를 얻는 단계 후에, 얻어진 스캐폴드 본체에 대하여 진공 가열 절차가 수행되어 스캐폴드 본체를 탈수시키고 교차결합하여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한다.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압력은 약 30-200mTorr, 예를 들어 200mTorr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온도는 약 80-11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진공 가열 절차 동안의 시간은 약 12-24시간, 예를 들어 24시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압력은 약 200mTorr이고,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온도는 약 80-110℃이며, 진공 가열 절차 동안의 시간은 약 24시간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한 단계에 추가하여, 고속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저온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슬러리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사이에, 슬러리 내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내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슬러리 내의 가스는 진공 가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언급한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제2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2 용매와 혼합한 다음에 방치하여 겔을 형성한다.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겔의 약 3-10% w/v를 차지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데 적합한 제2 생분해성 폴리머의 예들은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타입 I 콜라겐과 같은 콜라겐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2 용매는 물 또는 초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2 용매는 초산이고, 초산은 약 0.1-0.5M 초산, 예를 들어 0.5M 초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겔을 형성한 후,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로 교반하여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한 단계들에 추가하여,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로 교반하는 단계 후에, 겔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제공하며,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한 방법들은 또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상기 방법 및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상기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는 도 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100)가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 및 배리어 필름 층(103)을 갖는 것을 나타내며, 여기서 배리어 필름 층(103)은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바이오-메디컬 용도로 도포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수술후 상처들에 도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사용법은 이중층 복합 재료의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상처에 부착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며, 상처가 치유된 후에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스캐폴드 구조이며,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공극 크기는 약 100-50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배리어 필름 층은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상처에 도포되었을 때에, 배리어 필름 층은 24 내지 48시간 이내에 겔로 될 것이고, 천천히 재흡수될 수 있고 28일 미만으로 신체로부터 배설될 수 있다. 상기한 배리어 필름 층은 무공성(non-porous) 층이며, 배리어 필름 층은 손상 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특성 및 상처와 다른 영역 사이에 적절한 계면을 제공하는 기능, 염증 신호를(inflammatory signaling) 약화시키는 기능 등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멤브레인의 형태 또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의 것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 및 배리어 필름 층(103)을 갖는 멤브레인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200)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3차원 형상은, 예를 들면 글러브 형상, 타원 형상, 튜브 형상, 깔때기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이 3차원 형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배리어 필름 층은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며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 필름 층이 3차원 형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며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한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깔때기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300)에서, 배리어 필름 층(103)이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은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3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중공부(301) 및 개구(303)를 포함한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타원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서, 배리어 필름 층(103)이 본 개시의 타원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은 본 개시의 타원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4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중공부(401) 및 개구(403)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튜브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500)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이 본 개시의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배리어 필름 층(103)은 본 개시의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5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채널(501), 개구(503) 및 개구(505)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튜브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600)에서, 배리어 필름 층(103)이 본 개시의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은 본 개시의 튜브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6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채널(601), 개구(603) 및 개구(605)를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깔때기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종단면도이며, 도 7c는 평면도이고, 도 7d는 저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700)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이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배리어 필름 층(103)은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7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채널(701), 개구(703) 및 개구(70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700)는 자궁경 수술(uterine cervix operation)을 위한 수술후 상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인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에 대한 다른 깔때기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는 정면도이고, 도 b는 종단면도이며, 도 8c는 평면도이고, 도 8d는 저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의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800)에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101)이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배리어 필름 층(103)은 본 개시의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800)의 내측에 배치되며 깔때기 형상의 중공부(801), 깔때기 형상의 중공부의 넥(neck)에 있는 개구(803) 및 깔때기 형상의 중공부의 바닥에 있는 개구(80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깔때기 형상의 이중층 복합 재료(800)는 자궁경 수술을 위한 수술후 상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상기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를 더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또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상기한 이중층 복합 재료는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이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두께는 약 0.5-5.0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리어 필름 층의 두께는 약 0.05-0.5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처가 치유된 후에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스캐폴드 구조이며, 다공성 스캐폴드 층의 공극 크기는 약 100-50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의 배리어 필름 층은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배리어 필름 층은 무공성 층이며, 배리어 필름 층은 손상 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특성 및 상처와 다른 영역들 사이에 적절한 계면을 제공하는 기능, 염증 신호를 약화시키는 기능 등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상처에 도포되었을 때에, 배리어 필름 층은 24 내지 48시간 이내에 겔로 될 것이며, 천천히 재흡수될 수 있고 28일 미만으로 신체로부터 배설될 수 있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의 예들은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타입 I 콜라겐과 같은 콜라겐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배리어 필름 층은 제2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배리어 필름 층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제2 생분해성 폴리머의 예들은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는 멤브레인의 형태 또는 3차원 형상의 형태(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7d 참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상기한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를 더 제공한다.
실시예
A. 본 개시의 상이한 이중층 복합 재료의 조제
실시예 1
다공성 콜라겐 스캐폴드 층 및 히알루론산 배리어 필름 층을 갖는 이중층 복합 재료의 조제
다공성 콜라겐 스캐폴드 층 및 히알루론산 배리어 필름 층을 갖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1. 4.5g 타입 I 콜라겐을 300ml 10%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함유하는 블렌더(blender) 내에 추가한 다음에, 5℃ 하에서, 90분 동안 10500rpm 하에서 블렌딩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2. 슬러리를 진공 오븐 내에 배치하여 진공 처리해서 슬러리 내의 가스를 제거하였다.
3. 10ml의 슬러리를 6×6㎠의 치수를 갖는 몰드에 주입하고 냉동 건조기 내에 배치하여 -30℃로 냉동시켰다.
4. 냉동 건조기의 진공 펌프를 기동하여 냉동 건조기 챔버의 압력을 200mTorr 아래로 유지시켰다.
5. 냉동 건조기 내의 슬러리를 3시간 동안 -30℃로 유지시켰다.
6. 냉동 건조기의 온도를 0℃로 상승시키고 슬러리를 12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7. 냉동 건조기의 온도를 30℃로 상승시키고 슬러리를 6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8. 냉동 건조기의 진공 펌프를 정지시키고 형성된 스캐폴드 본체를 진공 챔버로부터 인출했다.
9. 스캐폴드 본체를 진공 오븐 내에 배치하고 진공 펌프를 기동하여 압력을 200mTorr 아래로 유지하였고, 그 다음에 진공 오븐의 온도를 105℃로 상승시켜 스캐폴드 본체를 24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10. 30ml의 물 및 2.0g의 히알루론산을 50-ml 주사기 내에 추가하였고, 그 다음에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겔을 형성하였다.
11. 주사기 내의 함유물의 총 체적이 50ml가 되도록 물을 주사기 내에 추가하였다.
12. 형성된 히알루론산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로 부드럽게 교반하였다.
13. 주사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히알루론산 겔 표면으로부터 기포를 없앴다.
14. 20ml의 히알루론산 겔을 6×6㎠의 치수를 갖는 플라스틱 몰드 내에 추가하고 히알루론산 겔의 표면이 평탄화되기를 기다렸다.
15. 스캐폴드 본체를 히알루론산 겔의 표면 상에 배치하고 24시간 동안 실온 하에서 층류(laminar flow)로 공기 건조시켰다.
실시예 2
다공성 콜라겐/히알루론산 스캐폴드 층 및 콜라겐 배리어 필름 층을 갖는 이중층 복합 재료의 조제
다공성 콜라겐/히알루론산 스캐폴드 층 및 콜라겐 배리어 필름 층을 갖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1. 4.5g 타입 I 콜라겐을 250ml 0.05M 초산을 함유하는 블렌더 내에 추가한 다음에, 5℃에서, 90분 동안 10500rpm 하에서 블렌딩하여 콜라겐 슬러리를 얻었다.
2. 0.15g 히알루론산을 50ml의 0.05M 초산 내에 추가하고 교반하여 양호하게 용해시켰다.
3. 히알루론산 용액을 상기한 콜라겐 슬러리를 함유하는 블렌더 내에 추가하고, 5℃에서, 90분 동안 10500rpm 하에서 블렌딩하여 콜라겐/히알루론산 슬러리를 얻었다.
4. 콜라겐/히알루론산 슬러리를 진공 오븐 내에 배치하여 진공 처리해서 콜라겐/히알루론산 슬러리 내의 가스를 제거하였다.
5. 10ml의 콜라겐/히알루론산 슬러리를 6×6㎠의 치수를 갖는 몰드 내에 주입하고 냉동 건조기 내에 배치하여 -30℃로 냉동시켰다.
6. 냉동 건조기의 진공 펌프를 기동하여 냉동 건조기 챔버의 압력을 200mTorr 아래로 유지시켰다.
7. 냉동 건조기 내의 슬러리를 3시간 동안 -30℃로 유지시켰다.
8. 냉동 건조기의 온도를 0℃로 상승시키고 슬러리를 12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9. 냉동 건조기의 온도를 30℃로 상승시키고 슬러리를 4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10. 냉동 건조기의 진공 펌프를 정지시키고 형성된 콜라겐/히알루론산 스캐폴드 본체를 진공 챔버로부터 인출했다.
11. 콜라겐/히알루론산 스캐폴드 본체를 진공 오븐 내에 배치하고 진공 펌프를 기동하여 압력을 200mTorr 아래로 유지하였고, 그 다음에 진공 오븐의 온도를 105℃로 상승시켜 스캐폴드 본체를 24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12. 30ml의 0.5M 초산 및 4.0g의 콜라겐을 50-ml 주사기 내에 추가하였고, 그 다음에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겔을 형성하였다.
13. 주사기 내의 함유물의 총 체적이 50ml가 되도록 0.5M 초산을 주사기 내에 추가하였다.
14. 형성된 콜라겐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로 부드럽게 교반하였다.
15. 주사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콜라겐 겔 표면으로부터 기포를 없앴다.
16. 20ml의 콜라겐 겔을 6×6㎠의 치수를 갖는 플라스틱 몰드 내에 추가하고 콜라겐 겔의 표면이 평탄화되기를 기다렸다.
17. 콜라겐/히알루론산 스캐폴드 본체를 콜라겐 겔의 표면 상에 배치하고 24시간 동안 실온 하에서 층류(laminar flow)로 공기 건조시켰다.
B. 동물 실험
(a) 재료 및 방법
1. 전자 장비: 체중계, 전기 면도기, 전기 응고기(electro-coagulator)(60W)
2. 마취제: 졸레틸(Zoletil) 50: 0.025ml/100g 체중(B.W.) + 자일라진(xylazine)(럼푼(Rompun)): 0.025ml/100g 체중(SD 랫(Rat))
3. 용액: 에탄올, 살균 염류 용액(sterile saline solution), 요오드팅크(tincture of iodine), 포르말린 정착 용액(formalin fixing solution)
4. 일반 재료: 종이 타올, 50ml 원심 분리 튜브, 플라스틱 드로퍼(plastic dropper), 거즈, 쓰레기 봉지, 1-ml 주사기
5. 봉합: 3-0 블랙 실크 봉합선
수술 기구: 수술용 가위, 단일 후크를 갖는 드레싱 포셉(dressing forcep), 바늘, 홀더, 지혈 포셉(hemostatic forcep), 메스(scalpel)
(b) 실험 동물들
1. 랫
혈통: SD(Sprague-Dawley) 랫
성별: 암컷
나이 : 12-14주
체중: 210-260g
(c) 실험 방법 및 결과
1. 방법
1.1 랫을 3개의 그룹으로 분할했고, 여기서 제1 그룹은 제어 그룹이고, 제2 그룹은 상용 제품, 즉 Seprafilm®으로 치료하였고, 제3 그룹 및 제4 그룹 양자는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상기에서 나타낸 예 1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로 치료하였다.
또는, 랫을 6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였고, 여기서 제1 그룹, 제2 그룹, 및 제3 그룹은 제어 그룹이고, 제4 그룹, 제5 그룹 및 제6 그룹은 모두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상기에서 나타낸 예 2에 의해 형성된 이중층 복합 재료)로 치료하였다.
1.2 마취
졸레틸 50: 0.025ml/100g 체중(B.W.) + 자일라진(럼푼): 0.025ml/100g 체중; 복강내(I.P.: intra-peritoneal) 주입
1.3 털 면도 및 에탄올 분사
복부의 털을 전기 면도기로 면도한 다음에, 그 위에 에탄올을 분사하여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국소 살균을 수행하였다.
1.4 개복술
랫의 복부를 항문 근처의 제2 쌍의 유두로부터 상방으로 절개하여 3-4cm의 크기를 갖는 상처를 만들었다.
1.5 상처 만들기
1.5.1 우복벽(right peritoneal wall) 상의 스티치 버튼(stitch button)들
총 4개의 버튼을 만들기 위해서 제2 쌍의 유두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우복벽 상에 스티치 버튼들을 꿰매었다. 버튼들은 0.5cm의 간격으로 이격되었다. 각 버튼은 그 위에 3개의 매듭을 갖는다.
1.5.2 좌자궁각(left uterine horn)에 대한 절개 및 봉합
자궁 위 1cm 위치 근처의 자궁각 내의 1cm 상처를 절개한 다음에 3개의 봉합선으로 봉합하였다.
1.5.3 좌복벽 상의 상처
약 2cm의 직경 및 약 0.5-1mm의 깊이를 갖는 상처를 좌복벽 내에 만들었다.
1.6 유착 방지 재료의 사용
불필요한 액체를 상처로부터 제거한 후에, 2cm×2cm의 크기를 갖는 유착 방지 멤브레인(Seprafilm® 또는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을 건조 포셉에 의해 도포하여 상처(제어 그룹에서 덮여 있지 않은)를 덮었다. 유착 방지 멤브레인이 상처를 완전히 덮도록 해서 완벽한 보호를 제공하였다.
1.7 상처의 봉합
3-0 블랙 실크 봉합선으로 봉합을 수행하였다. 연속 봉합으로 근육층을 봉합하는 반면에 비연속 봉합으로 표피층을 봉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오드팅크를 표피층 상의 상처에 바르고, 랫이 회복되기를 기다렸다.
1.8 유착 방지 멤브레인들의 효능 평가
수술한 14일 후, 오퍼레이터가 2중 체크로 수술후 유착을 평가하였고, 린스키(Linsky) 스코어링 시스템(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J. Reprod. Med., 32, 17-20, 1987 및 Human Reproduction Vol. 18, No.8 pp.1703-1706, 2003 참조)에 따라서 유착 평가표를 만들었다. 또한, 조직 시료를 조직 수복의 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수집하였다.
린스키 스코어링 시스템의 스코어링 표준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유착 정도
0= 유착 없음
1= 외상 영역(traumatized area)의 20%
2= 외상 영역의 50%
3= 모두 포함
(2) 유착 강도(adhesion severity)
0= 분리에 대한 저항 없음
0.5= 분리에 대한 약간의 저항(보통의 힘이 요구됨)
1= 예리한 절개가 요구됨
1.9 주의점
1.9.1 각 랫마다의 치료 시간은 동일해야 한다(25-30분/랫).
1.9.2 모든 수술은 동일한 사람에 의해 수행되어 일관성을 보장해야 한다.
2. 실험 결과
(1) 실시예 1로부터의 재료에 대한 동물 실험
3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i) 제1 실험
제1 실험에서 상처를 만들기 위한 위치 및 방식은 우복벽 상의 스티치 버튼들, 우자궁각 상의 전기 응고 및 좌자궁각에 대한 절개 및 봉합을 포함한다. 수술후, 28일 동안 랫을 관찰하였고, 수술후 14일에, 각 그룹 내의 랫들에 대하여 상처 유착 평가를 수행하였다. 번호 1-1의 랫은 수술후 사망하였다. 각 그룹마다의 상처 유착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따르면, 상용 제품에 비해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보다 양호한 유착 방지 효과를 갖는다.
Figure pat00001
E: 유착 정도
S: 유착 강도
(ⅱ) 제2 실험
제2 실험에서 상처를 만들기 위한 위치 및 방식은 우복벽 상의 스티치 버튼들, 좌복벽 상의 전기 응고 및 좌자궁각에 대한 절개 및 봉합을 포함한다. 수술후, 14일 동안 랫을 관찰하였고, 수술후 14일에, 각 그룹 내의 랫들에 대하여 상처 유착 평가를 수행하였다. 번호 3-1의 랫은 수술후 사망하였다. 각 그룹마다의 상처 유착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따르면, 상용 제품에 비해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보다 양호한 유착 방지 효과를 갖는다.
Figure pat00002
E: 유착 정도
S: 유착 강도
(ⅲ) 제3 실험
제3 실험에서 상처를 만들기 위한 위치 및 방식은 우복벽 상의 스티치 버튼들, 좌복벽 상의 전기 응고 및 좌자궁각에 대한 절개 및 봉합을 포함한다. 수술후, 14일 동안 랫을 관찰하였고, 수술후 14일에, 각 그룹 내의 랫들에 대하여 상처 유착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그룹마다의 상처 유착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 따르면, 상용 제품에 비해서,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보다 양호한 유착 방지 효과를 갖는다.
Figure pat00003
E. 유착 정도
S: 유착 강도
(2) 예 2로부터의 재료에 대한 동물 실험
상처를 만들기 위한 위치 및 방식은 좌복벽 상의 전기 응고 및 좌자궁각에 대한 절개 및 봉합을 포함한다. 수술후, 14일 동안 랫을 관찰하였고, 수술후 14일에, 각 그룹 내의 랫들에 대하여 상처 유착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그룹마다의 상처 유착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이중층 복합 재료가 보다 양호한 유착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4
E: 유착 정도
S: 유착 강도
개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명세서 및 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간주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주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들의 등가물에 의해 나타난다.

Claims (30)

  1.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중층 중간 생성물(dual-layer intermediate product)을 형성하도록 다공성 스캐폴드 층(porous scaffold layer)의 표면 상에 배리어-필름 층-형성(barrier-film layer-forming) 재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배리어 필름 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중층 중간 생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 상기 다공성 스캐폴드 층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층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음 - ;
    를 포함하고,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biodegradable polymer)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상기 슬러리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상기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물 분자를 제거하고 스캐폴드 본체를 얻도록 상기 슬러리 상에 동결 건조 절차(lyophilization procedure)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폴드 본체를 탈수(dehydrate)시키고 교차결합(crosslink)하여 다공성 스캐폴드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캐폴드 본체 상에 진공 가열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겔을 형성하도록 제2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2 용매와 혼합한 다음에 방치하는 단계 - 상기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및
    상기 배리어-필름 층-형성 재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겔을 균질의 스테이지(homogeneous stage)로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상기 슬러리의 약 1.0-2.0wt%를 차지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타입 I 콜라겐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사전에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상기 콜라겐, 젤라틴 또는 키토산을 상기 제1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히알루론산의 용액을 주입(pouring)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조합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타입 I 콜라겐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에 대한 상기 콜라겐의 중량비는 약 90-99.9:10-0.1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는 물,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또는 초산(acetic acid)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상기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슬러리는 약 -40 내지 -20℃에서 냉동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건조 절차에서의 압력은 약 30-200mTorr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건조 절차는,
    약 -40 내지 -20℃에서, 약 3-6시간 동안 상기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약 -40 내지 10℃에서, 약 12-16시간 동안 상기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및
    약 3-6시간 동안, 약 20 내지 30℃에서 상기 슬러리를 놓아두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압력은 약 30-200mTorr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가열 절차에서의 온도는 약 80-110℃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가열 절차 동안의 시간은 약 12-24시간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90-180분 동안 약 4-10℃에서 3500-12000rpm의 교반 속도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1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상기 슬러리를 냉동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슬러리 내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상기 겔의 약 3-10% w/v를 차지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히알루론산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분해성 폴리머는 콜라겐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타입 I 콜라겐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는 물 또는 초산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분해성 폴리머를 제2 용매와 혼합한 다음에 방치하는 단계에서, 방치 시간은 약 12-24시간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을 균질한 스테이지로 교반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겔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15-30℃에서 건조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12-24시간 동안 건조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층 중간 생성물은 약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8. 제1항에 따른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층 복합 재료로서,
    상기 이중층 복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hollow part)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멤브레인(membrane)의 형태 또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의 것인 이중층 복합 재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은 글러브 형상, 타원 형상, 튜브 형상, 깔때기 형상 또는 원뿔 형상인 이중층 복합 재료.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층 복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형태의 것이며, 상기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기 3차원 형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배리어 필름 층은 상기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배리어 필름 층은 상기 3차원 형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다공성 스캐폴드 층은 상기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공부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이중층 복합 재료.
KR1020150023286A 2014-02-14 2015-02-16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 KR20150096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0257P 2014-02-14 2014-02-14
US61/940,257 2014-02-14
TW104103831A TWI547529B (zh) 2014-02-14 2015-02-05 形成雙層複合材料的方法與以此方法形成之雙層複合材料
TW104103831 2015-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348A true KR20150096348A (ko) 2015-08-24

Family

ID=5254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286A KR20150096348A (ko) 2014-02-14 2015-02-16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30914A1 (ko)
EP (1) EP2907532B1 (ko)
JP (1) JP2015164526A (ko)
KR (1) KR20150096348A (ko)
CN (1) CN104841024A (ko)
ES (1) ES2780931T3 (ko)
PL (1) PL2907532T3 (ko)
PT (1) PT2907532T (ko)
TW (1) TWI5475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46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경부용 지혈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5540A1 (en) * 2018-09-25 2020-03-26 Bioactive Regenerative Therapeutics, Inc. Methods of producing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environments
US20240002898A1 (en) * 2020-11-24 2024-01-04 Helmholtz Zentrum Muenchen - Deutsches Forschungszentrum Fuer Gesundheit Und Umwelt (Gmbh) Biocompatible composite membrane, method for fabricating the membrane, bioreactor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cells attached to the biocompatible composite membrane
CN113349988A (zh) * 2021-05-31 2021-09-07 浙江大学 用于颌面部腭裂缺损修复的组织工程骨及制备方法
CN114259324B (zh) * 2021-12-24 2022-09-30 天新福(北京)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复层人工硬脑膜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4337C2 (de) * 1982-04-19 1984-04-26 Serapharm - Michael Stroetmann, 4400 Münster Resorbierbares Flachmaterial zum Abdichten und Heilen von Wund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E8501022L (sv) * 1985-03-01 1986-09-02 Pharmacia Ab Format alster och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US5201745A (en) * 1988-03-15 1993-04-13 Imedex Visceral surgery patch
JPH0654899A (ja) * 1991-05-02 1994-03-01 Kanebo Ltd 二層性蛋白質シ−トの製造方法
JPH05176983A (ja) * 1991-12-26 1993-07-20 Kanebo Ltd 二層性蛋白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31933A1 (en) * 1996-01-16 2002-09-19 Yves Delmotte Biopolymer membrane and methods for its preparation
FR2783429B1 (fr) * 1998-09-18 2002-04-12 Imedex Biomateriaux Materiau collagenique bicomposite,son procede d'obtention et se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JP4595279B2 (ja) * 2001-12-13 2010-12-08 ニプロ株式会社 癒着防止膜
JP4840136B2 (ja) * 2004-03-31 2011-12-21 ニプロ株式会社 癒着防止用キット、癒着防止用キ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癒着防止方法
KR100947765B1 (ko) * 2008-08-18 2010-03-18 (주)다림티센 조직수복재료로서의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29942B (zh) * 2011-12-27 2014-05-21 广西梧州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500mg以上装量的三七总皂苷冻干粉针的冷冻干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46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경부용 지혈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64526A (ja) 2015-09-17
TWI547529B (zh) 2016-09-01
PT2907532T (pt) 2020-04-02
PL2907532T3 (pl) 2020-06-15
EP2907532B1 (en) 2019-12-25
US20150230914A1 (en) 2015-08-20
ES2780931T3 (es) 2020-08-27
CN104841024A (zh) 2015-08-19
TW201546208A (zh) 2015-12-16
EP2907532A1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chhausen et al. Current strategie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intraperitoneal adhesion prevention
KR20150096348A (ko) 이중층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이중층 복합 재료, 및 이중층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바이오-메디컬 장비
AU2017203958B2 (en) Hemostatic device
JPH11502431A (ja) 手術後の癒着を防止するための架橋化フィブリンの自己支持シート様材料
CN104717986A (zh) 水凝胶形成材
WO2009076873A1 (zh) 生物相容性变性淀粉海绵
BR112015013711B1 (pt) membranas em hidrogel para prevenção de aderência
RU135921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медицинское изделие
CA2826581C (en) Use of a medical implant as adhesion barrier
Smirnova et al. Tissue reconstruction of skin failures and soft-tissue injuries using regenerative medicine methods
CN107715167A (zh) 作为骨蜡替代物的壳聚糖基止血糊剂及制备方法
JPH11276572A (ja) ポリ(γ−グルタミン酸)塩複合体からなる医療材料
RU2343860C1 (ru) Способ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й надвлагалищной ампутации матки
KR20200087574A (ko) 드레싱재가 포함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CN104800880A (zh) 一种含有止血消炎药物的可吸收海绵贴剂的制备技术
AU2012347804B8 (en) Hemostatic device
ITPD950166A1 (it) Articoli sanitari e chirurgici essenzialmente costituiti da esteri del l'acido ialuroico
JP2000191702A (ja) 成形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