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307A -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307A
KR20150096307A KR1020140182249A KR20140182249A KR20150096307A KR 20150096307 A KR20150096307 A KR 20150096307A KR 1020140182249 A KR1020140182249 A KR 1020140182249A KR 20140182249 A KR20140182249 A KR 20140182249A KR 20150096307 A KR20150096307 A KR 2015009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ower
engine
power sourc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와다
마사루 마츠이
요시츠구 니시야마
데츠야 마스다
세이시 이이타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4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양태의 실외 유닛은, 기계실(101)의 저판(128)의 중심을 통과하여 기계실(101)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직선에 의해서 저판(128)을 2개의 영역(Q, R)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영역(Q)에,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로 구성되는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이 위치하고, 다른 쪽의 영역(R)에,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이 위치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병설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가스 히트 펌프는, 부분 부하 시에는, 가스 엔진의 열 효율이 저하하여, 공기 조화기로서의 운전 효율이 저하한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가스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보다도 배제 용적이 작은 전원 구동 압축기를 병설하여, 부분 부하시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주체로 운전하고, 고부하시에는 가스 엔진을 주체로 운전하는, 이른바, 전원 구동 압축기와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하이브리드 실외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하이브리드 실외 유닛에서는, 가스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는 전원 구동 압축기보다도 배제 용적이 크고, 또한, 배기 머플러, 냉각수 펌프 등, 전기식 히트 펌프에는 없는, 가스 히트 펌프 고유의 요소 부품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하이브리드 실외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스 히트 펌프의 실외 유닛을 베이스로 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를 당해 실외 유닛의 내부에 추가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가스 히트 펌프는, 본체 케이스 내부가 칸막이판에 의해 상하 2단으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1층 부분은 기계실이며, 가스 엔진, 가스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가스로부터 냉동기유를 분리하는 유(油) 분리기, 가스 엔진의 배기 머플러, 가스 엔진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 제어 기판 등, 많은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실의 상면에는, 팬과 공기 취출구로 이루어지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고, 팬이 회전함으로써, 열교환기실 내는 부압으로 되고, 공기 열교환기의 외주부로부터 공기를 집어넣는다. 그리고 공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는, 열교환기실 내를 통하여 공기 취출구로부터 케이스 상방으로 배출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5693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9-6875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관련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서는, 엔진과 엔진으로 구동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로 구성되는 엔진 압축기 유닛이 기계실 저판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실외 유닛의 중심이 저판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계실에 전원 구동 압축기를 추가 설치하면, 엔진 압축기 유닛과 전원 구동 압축기의 간격이 좁아, 엔진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배열(排熱)이 유입되게 되어, 전원 구동 압축기가 고온화하고, 전원 구동 압축기의 모터 효율이 저하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의 효율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모터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기계실에 병설하는 실외 유닛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할 수 있고,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에 의한 모터 효율의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의 효율 저하를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전력 이외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 구동 압축기가 배치된 기계실과,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를 격납한 열교환기실을, 케이스 본체에 구비하고, 상기 기계실의 저부에 설치되는 저판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기계실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포함하는 대략 연직 방향의 평면에서 상기 기계실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전력 이외의 구동원과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로 구성되는 비전원 압축기 유닛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은,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할 수 있고,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를 막음으로써, 전원 구동 압축기의 전력 구동원의 고온화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에 관련된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매달음 작업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매달음 작업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2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2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3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3에 관련된 실외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제1의 양태는, 전력 이외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 구동 압축기가 배치된 기계실과,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를 격납한 열교환기실을, 케이스 본체에 구비하고, 상기 기계실의 저부에 설치되는 저판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기계실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포함하는 대략 연직 방향의 평면에서 상기 기계실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전력 이외의 구동원과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로 구성되는 비전원 압축기 유닛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할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를 막음으로써, 전원 구동 압축기의 전력 구동원의 고온화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의 양태는, 상기 케이스 본체를 칸막이판으로 상하 2단으로 분할하여, 상기 기계실을 하단 부분에, 상기 열교환기실을 상단 부분에,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기계실에 추가 배치해도, 비전원 압축기 유닛과 전원 구동 압축기의 간격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할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에 의한 전력 구동원의 효율의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 구동원으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기계실에 추가 배치해도, 한쪽의 영역에 중량물이 치우쳐져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실외 유닛의 폭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치우치지 않고, 실외 유닛의 운반, 설치 시에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릴 때의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균등하게 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제3의 양태는, 제1 또는 제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의 수평 방향 거리(J1)가, 비전원 압축기 유닛의 대략 중심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의 수평 방향 거리(J2)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 이외의 구동원과 전원 구동 압축기의 사이에 비전원 구동 압축기를 배치하게 되어,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배열이 전원 구동 압축기에 흐를 때의 단열 부재의 역할을 비전원 구동 압축기가 이루어,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한층 더 저감 할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의 전력 구동원의 고온화에 의한 효율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제4의 양태는, 제1부터 제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칸막이판에, 실외 유닛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기실과 기계실을 이동하는 통기구를 적어도 1개 설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이다.
이에 따라, 실외 유닛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기실과 기계실을 이동하는 통기구를 확보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기계실(1층)의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배열(排熱)을, 열교환기실을 경유하여 본체 케이스 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의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가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기구의 통풍 저항을 크게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이다.
이에 따라, 전원 구동 압축기만이 가동하고, 비전원 구동 압축기가 가동하지 않고,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배열이 없는 경우는, 기계실(1층)로부터 열교환기실(2층)로 이동하는 공기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만이 가동하는 경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늘릴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의 양태는, 제1 내지 제5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油) 분리기를 열교환기실에 설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이다.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 분리기를, 기계실(1층)과는 별실인 열교환기실(2층)에 설치하므로,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 분리기의 내부의 냉동기유에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배열이 유입하지 않아,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 분리기의 내부의 냉동기유의 고온화에 의한 점도 저하를 막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하나의 양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 분리기의 내부의 냉동기유의 점도 저하를 억제하여,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운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의 양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은, 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보다도 큰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이다.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을, 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저부하시에는, 배제 용적이 작은 전원 구동 압축기만을 가동하고, 중~고부하시는 양자를 가장 효율이 좋은 부하 분담 배분으로 가동한다. 저부하시에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열이 발생하지 않고, 전원 구동 압축기만이 가동함으로써,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에 의한 전력 구동원의 효율의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여, 실외 유닛 전체로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실외 유닛 전체로서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8의 양태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은, 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보다도 굵은 실외 유닛이다.
이에 따라, 배제 용적이 크고, 냉매 유량이 많은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을 굵게 함으로써, 비전원 구동 압축기에 있어서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압력 손실의 증대를 억제하고,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부하가 증대함에 의한 전력 이외의 구동원의 배열의 증대를 억제하여,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 할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에 의한 전력 구동원 효율의 저하를 막아, 실외 유닛 전체로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실외 유닛 전체로서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서,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의 공기 조화기는, 실외 유닛 1대에 대하여, 실내 유닛이 2대 접속한, 소위 트윈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구성에 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외 유닛은 2대 이상, 실내 유닛도 3대 이상, 병렬로 접속 가능하다.
100은 실외 유닛이며, 실외 유닛(100)과 실내 유닛(200, 210)은, 냉매가 유통하는 액관(50), 가스관(55)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외 유닛(100)에 있어서, 111은 예를 들면 가스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력 이외의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112는 엔진(111)에서 구동력을 얻어 냉매를 압축하는 엔진 구동 압축기(비전원 구동 압축기), 113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내장하여 상용 전원 등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이다.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는, 냉동 사이클 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배제 용적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배제 용적보다도 크다. 또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윤활유는 동일한 냉동기유로 한다.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토출 및 흡입 배관보다도 굵다. 이렇게 함으로써, 냉매 유량이 많은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토출 및 흡입 배관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대를 억제함과 더불어, 냉동 사이클로부터의 엔진 구동 압축기(112)로의 냉동기유의 반환량이,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의 냉동기유의 반환량보다도 많아진다.
114는 어큐뮬레이터이며, 후술하는 사방 밸브(116)로부터,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의 합류점에 이르는 냉매 배관에 접속되어, 양 압축기에 가스 냉매를 공급한다.
115는 유 분리기이며, 후술하는 사방 밸브(116)로부터,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토출 배관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토출 배관의 합류점에 이르는 냉매 배관에 설치되어 있고, 양 압축기의 토출 가스에 포함되는 냉동기유를 모아 분리한다. 유 분리기(11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에 유 반환관(115a)을 통하여 되돌려지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에 유 반환관(115c)을 통하여 되돌려져, 각각 개별로 되돌려진다. 또한, 유 반환관(115a, 115c)에는, 각각,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b, 115d)가 접속된다.
또한, 유 분리기(115)는, 압축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개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 분리기(115)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토출 배관에 1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토출 배관에 1대 설치된다.
116은 냉방과 난방에서 냉동 사이클을 전환하는 사방 밸브, 117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유닛 감압 장치이다. 또한, 118은, 엔진(111)의 냉각에 이용한 고온의 냉각수와 냉매의 열 교환을 행하는 엔진 배열 열교환기이며, 난방 시에 이용한다.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는, 냉각수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119는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 유입되는 냉매 유량을 조정하는 엔진 배열 열교환기용 냉매 유량 조정 밸브이다. 120은 실외 열교환기(130)에 실외 유닛(100) 주위의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 송풍기이다.
실내 유닛(200)에 있어서, 201은 실내 열교환기, 202는 실내 열교환기(201)에 실내 유닛(200) 주위의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 송풍 팬, 203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이다.
마찬가지로, 실내 유닛(210)에 있어서, 211은 실내 열교환기, 212는 실내 열교환기(211)에 실내 유닛(210) 주위의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 송풍 팬, 213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이다.
도 2는 실외 유닛(100)을 전면에 평행한 연직 평면에서 자른 종단면도, 도 3은 실외 유닛(100)을 저면에 평행한 수평 평면(도면 중, X-X)에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 유닛(100)의 케이스 본체(100A)는 칸막이판(103)에 의해 상하 2단으로 분할되어 있고, 101은 기계실, 102는 열교환기실이다.
기계실(101)에는, 엔진(111),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설치되고, 또한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들 외에도, 어큐뮬레이터(114), 유 분리기(115), 사방 밸브(116), 실외 유닛 감압 장치(117),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 엔진 배열 열교환기용 냉매 유량 조정 밸브(119), 엔진(111)의 배기 머플러, 엔진(111)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펌프, 제어 기판, 냉매 배관 등, 많은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부품의 배치는, 기존의 가스 히트 펌프의 부품 배치를 그대로 유용하고 있다.
열교환기실(102)에 있어서는, 실외 열교환기(130)는 열교환기실(102)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 송풍기(120)는, 실외 유닛(100)의 케이스 본체(100A)의 천면에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실(101)의 저부에는 저판(128)이 배치되고, 저판(128)에는,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로 구성되는 엔진 압축기 유닛(129)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배치되어 있다.
저판(128)에는, 저판(128)의 중심(L)을 통과하여, 기계실(101)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직선에 의해서 구분되는 2개의 영역(Q, R)이 설치되고, 한쪽의 영역(Q)에 대하여,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로 구성되는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A)이 위치하고, 다른 쪽의 영역(R)에 대하여, 구동 모터 내장의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대략 중심 위치(도면 중, 점 C)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 위치(도면 중, 점 B)의 수평 방향 거리(J1)가,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 위치(도면 중, 점 A)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 위치(도면 중, 점 B)의 수평 방향 거리(J2)보다도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점 A, 점 B, 점 C는 각 기기의 중심 상당 위치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저판(128)의 중심(L)의 위치와,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A)의 위치의 폭방향 수평 거리(L1), 저판(128)의 중심(L)의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의 위치의 폭방향 수평 거리(L2),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M1),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M2)으로 했을 때, M1×L1와, M2×L2가 대략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128)의 안길이 방향 중심(L3)의 위치와,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A) 위치의 안길이 방향 수평 거리(K1), 저판(128)의 중심(L3)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 위치의 안길이 방향 수평 거리(K2),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M1),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M2)으로 했을 때, M1×K1와, M2×K2가 대략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실외 유닛(100)과 실내 유닛(200, 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 사방 밸브(116)는 실선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설정된다(도 1 참조).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합류한 후, 유 분리기(115)에 유입된다. 유 분리기(115)에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순도가 높은 가스 냉매는 사방 밸브(116)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30)로 들어간다. 가스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외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한 후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되어 실외 유닛 감압 장치(117)를 통과하며, 액관(50)을 통과하여, 실내 유닛(200, 210)에 공급된다.
또한, 유 분리기(11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b)를 개방으로 함으로써,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으로 되돌려진다. 마찬가지로,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d)를 개방으로 함으로써,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으로 되돌려진다.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b)는 닫히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d)는 닫힌다.
실내 유닛(200)으로 들어간 고압의 액 냉매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03)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로 되어, 실내 열교환기(201)에 유입된다.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01)에서, 공조 대상이 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흡열한 후 증발하여, 가스 냉매로 되어 실내 유닛(200)으로부터 유출된다.
실내 유닛(210)에 있어서도, 실내 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우선, 고압의 액 냉매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13)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로 되어, 실내 열교환기(211)에 유입된다.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1)에서, 공조 대상으로 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흡열한 후 증발하고, 가스 냉매로 되어 실내 유닛(210)으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실내 유닛(200)만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13)를 닫아, 실내 유닛(210)의 실내 열교환기(211)에는 냉매의 공급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실내 유닛(210)만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03)를 닫아, 실내 유닛(200)의 실내 열교환기(201)에는 냉매의 공급을 행하지 않는다.
실내 유닛(200, 210)으로부터 유출된 가스 냉매는, 가스관(55)을 통과하여, 다시, 실외 유닛(100)으로 되돌아온다. 실외 유닛(100)에 유입된 가스 냉매는, 사방 밸브(116), 어큐뮬레이터(114)를 통과하여, 엔진 구동 압축기(112), 및,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되돌아온다.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운전 방법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한다.
냉방 부하가,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냉방 능력(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냉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만으로는 단속 운전에 빠지기 때문에,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을 운전한다.
냉방 부하가,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냉방 부하보다도 크고, 또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함께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한 경우의 냉방 능력(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소 냉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운전 비용이 낮거나, 혹은, 소비 에너지가 작은 쪽을 선택하여 운전한다.
냉방 부하가, 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소 냉방 능력보다도 큰 경우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양쪽을, 예를 들면,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운전한다.
이 경우,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를 최소로 하기 위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운전 주파수의 결정에는, 각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와의 관계를 이용한다.
실제로는, 냉방 부하 전체에 대하여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담당하는 냉방 부하의 비율은, 양 압축기를 함께 최고 운전 주파수로 운전한 경우의 최대 냉방 능력(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대 냉방 능력)에 대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만을 최고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냉방 능력의 비율 ±15% 정도이다.
다음에 난방 운전시에는, 사방 밸브(116)는 점선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설정된다(도 1 참조).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합류한 후, 유 분리기(115)에 유입된다. 유 분리기(115)에서, 냉동기유가 분리된 순도가 높은 가스 냉매는 사방 밸브(116)를 통과하여, 실외 유닛(100)을 나와, 가스관(55)을 통과하여, 실내 유닛(200, 210)에 공급된다.
실내 유닛(200)에 들어간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01)에 유입된다.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01)에서, 공조 대상으로 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한 후 응축하고, 고압의 액 냉매로 되어, 실내 유닛 감압 장치(203)를 통과하여, 실내 유닛(200)으로부터 유출된다.
실내 유닛(210)에 있어서도, 실내 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우선,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1)에 유입된다.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1)에서, 공조 대상으로 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한 후 응축하고, 고압의 액 냉매로 되어, 실내 유닛 감압 장치(213)를 통과하여, 실내 유닛(210)으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냉방시와 마찬가지로, 실내 유닛(200)만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13)를 닫아, 실내 유닛(210)의 실내 열교환기(211)에는 냉매의 공급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실내 유닛(210)만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는, 실내 유닛 감압 장치(203)를 닫아, 실내 유닛(200)의 실내 열교환기(201)에는 냉매의 공급을 행하지 않는다.
실내 유닛(200, 210)으로부터 유출된 고압의 액 냉매는, 액관(50)을 통과하여, 다시, 실외 유닛(100)으로 되돌아온다. 실외 유닛(100)에 유입된 고압의 액 냉매는, 실외 유닛 감압 장치(117)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로 되어, 실외 열교환기(130)와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 유입된다.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30)에서는 외기와, 또한,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서는, 엔진(111)의 냉각에 이용한 고온의 냉각수와 열 교환하여 흡열한 후 증발하고, 사방 밸브(116), 어큐뮬레이터(114)를 통과하여, 엔진 구동 압축기(112), 및,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되돌아온다.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운전 방법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한다.
난방 부하가,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난방 능력(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난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만으로는 단속 운전에 빠지기 때문에,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을 운전한다.
난방 부하가,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난방 부하보다도 크고, 또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함께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한 경우의 난방 능력(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소 난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 중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운전 비용이 낮거나, 혹은, 소비 에너지가 작은 쪽을 선택하여 운전한다.
난방 부하가, 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소 난방 능력보다도 큰 경우는,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양쪽을, 예를 들면,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가 최소로 되도록 운전한다.
이 경우,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를 최소로 하기 위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운전 주파수의 결정에는, 각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와의 관계를 이용한다.
실제로는, 난방 부하 전체에 대하여 엔진 구동 압축기(112)가 담당하는 난방 부하의 비율은, 양 압축기를 모두 최고 운전 주파수로 운전한 경우의 최대 난방 능력(양 압축기 운전시의 최대 난방 능력)에 대한, 엔진 구동 압축기(112)만을 최고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난방 능력의 비율 ±15% 정도이다.
다만, 난방 운전시는, 상시, 실외 열교환기(130)의 착상(着霜)상태를 감시하고 있어, 착상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는, 운전 비용, 혹은, 소비 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각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설정하고 있어도,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운전 주파수를 올리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운전 주파수를 내리는 제어를 행한다.
엔진 구동 압축기(112)의 운전 주파수를 올리면, 엔진(111)의 배열량이 증가하고,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 공급되는 냉각수 열량도 증가한다. 즉, 엔진 배열 열교환기(118)에서, 더욱 많은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어, 실외 열교환기(130)에 흐르는 냉매량을 줄여, 착상의 위험성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 압축기 유닛(129)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기계실(101)에 함께 설치되어, 기계실(101)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직선(L)에 의해서 저판(128)을 2개의 영역(QR)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영역(Q)에,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A)을 위치시키고, 다른 쪽의 영역(R)에,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B)을 위치시킴으로써, 엔진 압축기 유닛(129)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11)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할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고온화를 억제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모터의 효율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효율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도 5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100)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영역(Q)에,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A)을 위치시키고, 다른 쪽의 영역(R)에,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B)을 위치시킴으로써,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한쪽의 영역에 중량물이 치우쳐서 배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실외 유닛(100)의 폭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치우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외 유닛(100)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릴 때에 로프에 걸리는 하중(F1, F2)을 평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유닛(100)의 운반, 설치 시에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릴 때의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평준화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대략 중심(C)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의 수평 방향 거리(J1)를,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A)과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의 수평 방향 거리(J2)보다도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101) 내에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113)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구동 압축기(113)와 엔진(111)의 사이에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를 배치함으로써,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엔진(111)으로부터의 배열이 전원 구동 압축기(113)에 흐를 때의 단열 부재의 역할을 이루어, 엔진(111)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유입되는 배열을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어,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고온화를 억제하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모터의 효율 저하를 막아,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효율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냉방 부하가,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냉방 능력(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냉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 및, 난방 부하가,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최저 운전 주파수로 운전했을 때의 난방 능력(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최소 난방 능력)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을 운전한다.
이에 따라, 엔진(111)의 배열이 발생하지 않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이 가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고온화에 의한 모터 효율의 저하를 막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여, 실외 유닛(100) 전체적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보다 굵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에 있어서의 토출 및 흡입 배관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대를 억제하고, 엔진(111)의 부하가 증대함에 의한 배열의 증대를 억제하여, 실외 유닛(100) 전체로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128)의 중심(L)의 위치와,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A)의 위치의 폭방향 수평 거리(L1), 저판(128)의 중심(L)의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의 위치의 폭 방향 수평 거리(L2),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M1),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M2)으로 했을 때, M1×L1과, M2×L2가 대략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닛(100)의 폭 방향의 중심을 축으로,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가 상쇄되어, 실외 유닛(100)의 폭방향의 수평 방향 중심 위치를 대략 중앙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100)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릴 때에 로프에 걸리는 하중(F1, F2)(도 4 참조)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운반 작업,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128)의 안길이 방향 중심(L3)의 위치와,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A) 위치의 안길이 방향 수평 거리(K1), 저판(128)의 중심(L3) 위치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B) 위치의 안길이 방향 수평 거리(K2),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M1),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M2)으로 했을 때, M1×K1과, M2×K2가 대충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닛(100)의 안길이 방향의 중심을 축으로,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질량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질량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가 상쇄되어, 실외 유닛(100)의 안길이 방향의 수평 방향 중심 위치를 대략 중앙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유닛(100)을 매달아 올릴 때에 실외 유닛(100)이 안길이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도 5 참조), 안길이 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운반 작업,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실외 유닛(100)을 전면에 평행한 연직 평면에서 자른 종단면도, 도 7은 실외 유닛(100)을 저면에 평행한 수평 평면(도면 중, Y-Y)에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6, 도 7에 있어서, 105a, 105b는, 실외 유닛(100) 내의 칸막이판(103)에 설치된 통풍구이다. 통풍구(105a, 105b)는, 칸막이판(103)을 폭 방향(도 7에 있어서의 횡방향)으로 2분하는 직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풍구(105a, 105b)를 통하여, 실외 유닛 내부의 공기가 기계실(101)과 열교환기실(102)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통풍구(105a, 105b)에는, 개도 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그 개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므로,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실외 유닛(100)의 냉방, 난방시의 운전 동작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여기서는, 냉방, 난방 운전시의 통풍구(105a, 105b)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가동하고 있는 경우, 엔진(111)에서는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므로, 고온의 배열이 발생한다. 엔진(111)은, 기계실(101)에 설치된 냉각수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순환하는 냉각수로 냉각된다.
엔진(111)의 배열을 받아 고온으로 된 냉각수는, 열교환기실(102)에 설치된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로 방열한 후, 다시 엔진(111)으로 되돌려진다. 라디에이터는, 열교환기실(102)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130)의 안쪽에 설치되어,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냉매와 열 교환을 끝낸 공기와 열 교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111)의 배열은 상기 냉각수만으로는 완전하게는 없앨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통풍구(105a, 105b)를 열어, 실외 송풍기(120)의 동작에 의해 기계실(101) 내의 공기를 열교환기실(102)로 내보내고, 엔진(111)의 배열에 의해, 기계실(101)이 고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가동하지 않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이 가동하고 있는 경우, 엔진(111)의 배열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통풍구(105a, 105b)를 닫는다. 그러면, 기계실(101)로부터 열교환기실(102)로의 공기의 이동이 없어지므로, 통풍구(105a, 105b)를 열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풍량이 증가하여, 냉동 사이클 전체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기계실(101)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냉각을 위해, 통풍구(105a, 105b)의 일부를 열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칸막이판(103) 상에 통풍구(105a, 105b)를 설치한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의 효과에 추가하여, 기계실(101)의 엔진(111)의 배열을, 열교환기실(102)을 경유하여 실외 유닛(100)의 본체 케이스 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엔진(111)과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가동하지 않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만이 가동하는 경우는, 통풍구(105a, 105c)를 닫고, 기계실(101)로부터 열교환기실(102)로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풍량이 증가하여, 냉동 사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8은 실외 유닛(100)을 전면에 평행한 연직 평면에서 자른 종단면도, 도 9는 실외 유닛(100)을 저면에 평행한 수평 평면(도면 중, Y-Y)에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8, 도 9에 있어서, 유 분리기(115)는, 실외 유닛(100) 내의 칸막이판(103)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 분리기(115)로부터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에 접속한 유 반환관(115a)의 유로 저항은, 유 분리기(115)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에 접속한 유 반환관(115c)의 유로 저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유 반환관(115a, 115c)의 유로 저항의 설정은, 예를 들면, 유 반환관에 설치된 세관(캐필러리 튜브)의 내경과 길이에 따라서 조정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와 같으므로,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실외 유닛(100)의 냉방, 난방시의 운전 동작은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와 같다. 여기서는, 운전시의 유 분리기(115)로부터,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와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의 기름 반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 분리기(11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b)를 개방으로 함으로써,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으로 되돌려진다. 마찬가지로, 유 분리기(115)에서 분리된 냉동기유는,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d)를 개방으로 함으로써,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으로 되돌려진다.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정지인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b)는 닫고,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정지인 경우는 유 반환관 개폐 밸브(115d)는 닫힌다.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배제 용적은,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배제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토출하는 냉매 유량은,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토출하는 냉매 유량보다도 많다. 따라서,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가 토출하는 냉동기유는, 전원 구동 압축기(113)가 토출하는 냉동기유보다도 많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 분리기(115)는, 실외 유닛(100) 내의 칸막이판(103)의 위에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101)과는 별실인 열교환기실(102)에 설치하므로, 유 분리기(115)의 내부의 냉동기유에 엔진(111)의 배열이 유입하지 않고, 유 분리기(115)의 내부의 냉동기유의 고온화에 의한 점도 저하를 막는다.
유 반환관(115a)의 유로 저항은, 유 반환관(115c)의 유로 저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압축기가 동시에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유 분리기(115)로부터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로 되돌아오는 냉동기유의 양은, 유 분리기(115)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되돌아오는 냉동기 유의 양보다도 많아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유 분리기(115)는, 실외 유닛(100) 내의 칸막이판(103)의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 분리기(115)의 내부의 냉동기유에 엔진(111)의 배열이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 분리기(115)의 내부의 냉동기유의 고온화에 의한 점도 저하를 억제하여,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운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 분리기(115)로부터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흡입 배관에 접속한 유 반환관(115a)의 유로 저항은, 유 분리기(115)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흡입 배관에 접속한 유 반환관(115c)의 유로 저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압축기가 동시에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유 분리기(115)로부터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로 되돌아오는 냉동기유의 양은, 유 분리기(115)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113)로 되돌아오는 냉동기유의 양보다도 많아진다. 따라서, 냉동기유의 토출량이 많은 비전원 구동 압축기(112)의 운전 신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상, 일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설명했는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저판(128)의 위에 2개의 영역(Q, R)이 설치되고, 한쪽의 영역(Q)에 대하여,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A)이 위치하고, 다른 쪽의 영역(R)에 대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B)이 위치한다고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했지만, 저판(128)의 위에, 한쪽의 영역(Q)을 설치하고, 칸막이판(103)의 위에, 다른 쪽의 영역(R)을 설치하며, 저판(128) 상의 한쪽의 영역(Q)에 대하여, 엔진 압축기 유닛(129)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A)을 위치시키고, 칸막이판(103) 상의 다른 쪽의 영역(R)에 대하여, 전원 구동 압축기(113)의 대략 중심(도면 중, 점 B)을 위치시켜도 된다.
본 개시에 관련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은, 모터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기계실에 추가 배치해도, 엔진 압축기 유닛과 전원 구동 압축기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전원 구동 압축기로 유입되는 배열을 저감하고,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를 막아, 실외 유닛의 기계실에 추가 탑재되는 전원 구동 압축기의 고온화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모터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 압축기를 기계실에 병설하는 실외 유닛에 이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100: 실외 유닛 101: 기계실
102: 열교환기실 103: 칸막이판
105a, 105b: 통풍구 111: 엔진
112: 엔진 구동 압축기(비전원 구동 압축기)
113: 전원 구동 압축기 114: 어큐뮬레이터
115: 유 분리기 116: 사방 밸브
117: 실외 유닛 감압 장치
118: 엔진 배열 열교환기
119: 엔진 배열 열교환기용 냉매 유량 조정 밸브
120: 실외 송풍기 128: 저판
129: 엔진 압축기 유닛 130: 실외 열교환기
200: 실내 유닛 201: 실내 열교환기
202: 실내 송풍기 203: 실내 유닛 감압 장치
210: 실내 유닛 211: 실내 열교환기
212: 실내 송풍기 213: 실내 유닛 감압 장치
Q: 한쪽의 영역 R: 다른 쪽의 영역

Claims (8)

  1. 전력 이외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비전원 구동 압축기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원 구동 압축기가 배치된 기계실과,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를 격납한 열교환기실을, 케이스 본체에 구비하고,
    상기 기계실의 저부에 설치되는 저판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기계실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포함하는 대략 연직 방향의 평면에서 상기 기계실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전력 이외의 구동원과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로 구성되는 비전원 압축기 유닛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이 상기 영역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칸막이판으로 상하 2단으로 분할하고, 상기 기계실을 하단 부분에, 상기 열교환기실을 상단 부분에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와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의 수평 방향 거리(J1)가,
    상기 비전원 압축기 유닛의 대략 중심 위치와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대략 중심 위치의 수평 방향 거리(J2)보다도 짧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에, 상기 실외 유닛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실과 상기 기계실을 이동할 수 있는 통기구를 적어도 1개 설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기구의 통풍 저항을 크게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 유(油) 분리기를 상기 열교환기실에 설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은,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배제 용적보다도 큰,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은, 상기 전원 구동 압축기의 토출 및 흡입 배관의 내경보다도 큰,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KR1020140182249A 2014-02-14 2014-12-17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KR20150096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6756A JP6284077B2 (ja) 2014-02-14 2014-02-14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JP-P-2014-026756 2014-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307A true KR20150096307A (ko) 2015-08-24

Family

ID=5242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249A KR20150096307A (ko) 2014-02-14 2014-12-17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08061B1 (ko)
JP (1) JP6284077B2 (ko)
KR (1) KR20150096307A (ko)
CN (1) CN104848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2022B1 (en) * 2015-12-14 2019-08-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2017110895A (ja) * 2015-12-14 2017-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CN105783137B (zh) * 2016-04-29 2019-0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的控制方法
JP6846685B2 (ja) * 2017-07-05 2021-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20095439A1 (ja) * 2018-11-09 2020-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21021508A (ja) * 2019-07-25 2021-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337A (ja) * 1999-08-31 2001-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ブエンジン方式コンプレッサ駆動ユニット
JP2001280653A (ja) * 2000-03-29 2001-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機械室換気構造
JP2002323270A (ja) * 2001-04-24 2002-11-08 Denso Corp エンジン駆動式装置
JP2003056931A (ja) * 2001-08-20 2003-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
CN1752612A (zh) * 2004-09-24 2006-03-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
JP5097487B2 (ja) * 2007-09-12 2012-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EP2354683A3 (en) * 2010-01-28 2013-04-17 Sanyo Electric Co.,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5611605B2 (ja) * 2010-01-28 2014-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496697B2 (ja) * 2010-01-29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WO2012002498A1 (ja) * 2010-07-01 2012-01-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5353998B2 (ja) * 2011-11-30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3250004A (ja) * 2012-05-31 2013-12-12 Panasonic Corp ハイブリッド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8061B1 (en) 2019-10-16
CN104848433A (zh) 2015-08-19
EP2908061A1 (en) 2015-08-19
JP2015152242A (ja) 2015-08-24
JP6284077B2 (ja) 2018-02-28
CN104848433B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30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CN106403348B (zh) 一种空调器及其制冷控制方法
US9500396B2 (en) Oil separ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CN1786602A (zh) 复式空调系统和复式空调系统的阀门开度控制方法
US20060090487A1 (en) Air conditioner
KR2017010436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및 제어 방법
JP5570618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944830B1 (ko) 히트펌프 시스템
CN104879942A (zh) 制冷制热循环系统
KR20110001698A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JP631537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2080836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150096308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JP201515224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WO2000055551A1 (fr) Conditionneur d'air et equipement exterieur associe utilise
KR20170070796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104818B1 (ko) 칠러
KR102087677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JP6222493B2 (ja) 空気調和機
KR100770718B1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40059007A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JP6229159B2 (ja) 空気調和機
JP2005114312A (ja) 冷蔵庫
KR101676492B1 (ko) 냉매 사이클 시스템의 냉매 제어를 위한 정압기
CN104930743B (zh) 制冷制热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