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347A -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 Google Patents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347A
KR20150086347A KR1020157016205A KR20157016205A KR20150086347A KR 20150086347 A KR20150086347 A KR 20150086347A KR 1020157016205 A KR1020157016205 A KR 1020157016205A KR 20157016205 A KR20157016205 A KR 20157016205A KR 20150086347 A KR20150086347 A KR 20150086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steel material
resistance
steel
s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타루 사무사와
가즈히코 시오타니
츠토무 고모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강재의 성분 조성을 질량%로, C:0.03∼0.3%, Si:0.01∼1.0%, Mn:0.1∼2.0%, P:0.03%이하, S:0.01%이하 및 Al:0.1%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0.03∼1.0% 및 W:0.03∼1.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Sb:0.005∼0.5%, Sn:0.01∼0.3% 및 Nb:0.005∼0.1%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2종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의 조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재 그 자체의 내공식성 및 내SCC성을 향상시키고, 이로써, 도금 처리나 인히비터 첨가 등이 필요없고, 대형 구조물에 대한 적용을 가능하게 한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LCOHOL-INDUCE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AND ALCOHOL-INDUCED SCC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알콜 부식성, 그 중에서도 내알콜 공식성(孔食性)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오 에탄올 등의 바이오 알콜을 저장하는 탱크나 수송을 목적으로 한 선박내 탱크, 자동차용 탱크에 이용되는 강재, 혹은 파이프라인 수송에 사용되는 강재 등, 바이오 알콜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적용해서 바람직한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알콜 중, 예를 들면 바이오 에탄올은 주로 옥수수나 밀 등의 당분을 분해·정제해서 만들어진다. 근래에는 석유(가솔린)의 대체 연료로서, 또 가솔린과 혼합하는 연료로서 전세계 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은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바이오 에탄올을 저장·운반하는 공정 혹은 가솔린과 혼합하는 공정 등에 있어서, 바이오 에탄올의 취급량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 에탄올의 국부 부식성이 높은 점, 특히 공식이나 SCC(응력 부식 깨짐)를 발생시키는 점이 그 취급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바이오 에탄올은 그 제조 공정에서 초산이나 염화물 이온이 극미량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것이나, 저장중에 흡수나 용존 산소를 취입하는 것이 부식성을 높이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내에탄올용의 조치를 실시한 설비, 예를 들면 탱크로서는 내에탄올 SCC성이 우수한 유기 피복재나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 클래드강을 사용한 설비에서밖에 안전하게 취급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수송도, 종래의 석유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 등은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바이오 에탄올을 취급하는 설비는 다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는 점에 문제를 남기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바이오 연료에 대해, 그 탱크용 강재로서 Ni를 5∼25% 함유하는 아연-니켈 도금을 실시하거나, 이 도금상에 6가 크롬을 함유하지 않는 화성(化成)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에탄올 함유 가솔린 중의 내식성은 양호하다고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바이오 에탄올 등의 연료 증기에 대해, 강판 표면에 「도금층 중에 있어서의 Zn에 대한 Co의 조성 비율이 0.2∼4.0at%인 Zn-Co-Mo도금」을 실시한 내식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판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 문헌 1에서는 바이오 에탄올의 모의액 중에서의 강재의 SCC(응력 부식 깨짐)에 대한 수산화암모늄의 인히비터(억제제) 효과에 대해 조사하고 있지만, 그것에 의하면 수산화암모늄의 첨가에 의해, 균열 신장이 억제되고, SCC가 완화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26669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231358호
비특허 문헌 1 : F. Gui, J. A. Beavers and N. Sridhar, Evaluation of a㎜onia hydroxide for mitigating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carbon steel in fuel grade ethanol, NACE Corrosion Paper, No. 11138 (201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아연-니켈 도금은 내식성의 향상에 유효하다고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Zn-Ni도금은 전기 도금에 의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의 예를 들면 자동차용 연료 탱크 등에는 문제없다고 해도, 대형 구조물, 예를 들면 1000kL이상의 저장탱크나 라인 파이프 등의 두꺼운 강재에는 처리 코스트가 방대하게 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또, 도금 불량 등이 생긴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오히려 공식이 진행하기 쉬워지고, SCC가 일어나기 쉬워지므로, 내공식성·내SCC성의 관점에서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Zn-Co-Mo도금에 대해서도, 역시 전기 도금에 의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대형 구조물의 두꺼운 강재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 또, 역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내공식성·내SCC성의 관점에서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비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기재에서는 인히비터의 첨가는 확실히 SCC 등의 부식 현상을 완화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인히비터는 표면에 흡착해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그 흡착 거동은 주위의 pH 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부식이 일어난 경우에는 흡착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인히비터의 환경 유출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도 있어, 바람직한 부식 대책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도금에 의한 부식 방지 방법은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지 않고, 또 내공식성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인히비터는 평균적으로는 부식을 저감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대형 구조물에의 적용에는 강재 그 자체의 바이오 에탄올 중에서의 내식성의 개선이 코스트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청에 유리하게 부응하는 것으로, 강재 그 자체의 내식성, 특히 내공식성 및 내SCC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도금 처리나 인히비터 첨가 등이 필요없고, 대형 구조물에 대한 적용을 가능하게 한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 중에서의 강재의 부식 현상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 에탄올 중에서의 부식, 특히 공식과 SCC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Mo와 W의 첨가가 유효하고, 또 이 Mo와 W에 부가해서 Sb, Sn, Nb를 첨가함으로써, 바이오 에탄올 중에서의 공식과 SCC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입각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질량%로,
C:0.03∼0.3%,
Si:0.01∼1.0%,
Mn:0.1∼2.0%,
P:0.03%이하,
S:0.01%이하 및
Al:0.1%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0.03∼1.0% 및
W:0.03∼1.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Sb:0.005∼0.5%,
Sn:0.01∼0.3% 및
Nb:0.005∼0.1%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2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2.Mo 및 W와 Sb, Sn, Nb의 합계량이 질량%로, 0.15%≤(Mo+W+Sb+Sn+Nb)≤1.0%의 범위를 만족시키고, 또한 Mo 및 W의 합계량이 질량%로, 0.08%≤(Mo+W)를 만족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강재.
3.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Ca를, Ca/S≥0.5이고 또한 0.01%이하를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강재.
4.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B:0.0002∼0.03%
를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재.
5.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Zr:0.005∼0.1%,
V:0.005∼0.1% 및
Ti:0.005∼0.1%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재.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 에탄올의 저장 탱크나 수송용 탱크 및 파이프라인용 강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종래의 강재에 비해 더욱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 공식이나 SCC에 의한 바이오 에탄올 누설에 의한 사고를 회피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이들 제반 시설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강재의 성분 조성을 상기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강재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의 원소의 함유량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지만, 이하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단지 「%」로 나타낸다.
C:0.03∼0.3%
C는 강의 강도 확보에 필요한 원소이며,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강도(400MPa이상)를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0.03%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한편 0.3%를 넘으면 용접성이 저하하고, 용접시에 제한이 가해지기 때문에, 0.3%를 상한으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03∼0.2%의 범위이다.
Si:0.01∼1.0%
Si는 탈산을 위해 첨가하지만, 함유량이 0.01%미만에서는 탈산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1.0%를 넘으면 인성이나 용접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Si 함유량은 0.01∼1.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5∼0.5%의 범위이다.
Mn:0.1∼2.0%
Mn은 강도, 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하지만, 0.1%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한편 2.0%를 넘으면 용접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Mn 함유량은 0.1∼2.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3∼1.6%의 범위이다.
P:0.03%이하
P는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함유되지만, 인성 및 용접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P 함유량은 0.03%이하로 억제하는 것으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025%이하이다. 또, 과도한 탈P화는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하한은 0.000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0.0003∼0.03%의 범위이다.
S:0.01%이하
S도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함유되지만, 함유량이 많아지면 인성 및 용접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MnS 등의 개재물이 증가하여 SCC의 기점이 되고 내SCC성을 저하시키므로, 극력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1%이하이면 허용할 수 있다. 또, 과도한 탈S화는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하한은 0.00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0.0001∼0.01%의 범위이다.
Al:0.100%이하
Al은 탈산제로서 첨가하지만, 0.100%를 넘는 함유는 용접한 경우에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0.100%이하로 제한한다. 또, 탈산의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하한을 0.0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070%의 범위이다.
Mo:0.03∼1.0% 및 W:0.03∼1.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Mo:0.03∼1.0%
Mo는 본 발명의 강재에 있어서 중요한 내공식성 및 내SCC성의 향상 원소이다. Mo는 부식 생성물로서 산소산염을 형성하기 때문에, 응력 부식 깨짐의 기점으로 되는 균열이 생긴 경우에, 이러한 부식 생성물이 신속하게 균열 선단을 보호하고, 균열의 진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강재 표면의 산화 피막중에 Mo가 취입됨으로써, 바이오 에탄올 중에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초산에 의한 산성 환경하에서의 산화 피막의 내용해성이 향상하고, 불균일 부식을 저감하는 동시에, 공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함유량이 0.03%미만에서는 내공식성 및 내SCC성의 개선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1.0%초과에서는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되기 때문에, Mo함유량은 0.03∼1.0%로 한다. 또한, 비용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0.03∼0.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0.03∼1.0%
W는 본 발명의 강재에 있어서 중요한 내공식성 및 내SCC성의 향상 원소이다. W는 Mo와 마찬가지로 부식 생성물로서 산소산염을 형성하기 때문에, 응력 부식 깨짐의 기점으로 되는 균열이 생긴 경우에, 이러한 부식 생성물이 신속하게 균열 선단을 보호하고, 균열의 진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강재 표면의 산화 피막 중에 W가 취입됨으로써, 바이오 에탄올 중에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초산에 의한 산성 환경하에서의 산화 피막의 내용해성이 향상하고, 불균일 부식을 저감하는 동시에, 공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함유량이 0.03%미만에서는 내공식성 및 내SCC성의 개선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1.0%초과에서는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되기 때문에, W함유량은 0.03∼1.0%로 한다. 또한, 비용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0.03∼0.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b:0.005∼0.5%, Sn:0.01∼0.3% 및 Nb:0.005∼0.1%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2종
Sb:0.005∼0.5%
Sb는 바이오 에탄올 중에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초산에 의한 산성 환경하에서의 내공식성과 내SCC성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함유량이 0.005%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한편 0.5%를 넘으면 강재 제조상의 면에서 제약이 생기므로, Sb함유량은 0.005∼0.5%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3%의 범위이다.
Sn:0.01∼0.3%
Sn도, Sb와 마찬가지로, 산성 환경에서의 내공식성과 내SCC성을 개선하지만, 0.01%미만에서는 첨가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0.3%를 넘으면 그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강재 제조상의 제약이 생기므로, Sn함유량은 0.01∼0.3%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2∼0.2%의 범위이다.
Nb:0.005∼0.1%
Nb도, 초산에 의한 산성 환경하에서의 내공식성과 내SCC성을 개선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함유량이 0.005%미만에서는 효과가 발현하지 않고, 한편 1.0%를 넘어 함유시키면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Nb 함유량은 0.005∼0.1%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5∼0.05%의 범위이다.
상술한 각 성분 중, 본 발명에서는 특히 Mo 및 W와 Sb, Sn, Nb가 중요하고, 이들을 합계량에서 0.15∼1.0%의 범위에서 함유시키고, 또한 특히 중요한 Mo와 W를 합계량에서 0.08%이상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내공식성 및 내SCC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기본 성분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밖에도, 이하에 기술하는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Ca:Ca/S≥0.5이고 또한 0.01%이하
Ca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S의 석출물(MnS 등)의 형태 제어를 실행하고, SCC 등의 깨짐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첨가한다. 따라서, Ca는 S량에 따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a/S(질량비)를 0.5이상으로 함으로써, 깨짐 방지에 효과를 발생시킨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하면, 조대한 개재물을 형성하고 모재의 인성을 열화시키므로, Ca량의 상한은 0.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0.0002∼0.03%
B는 강재의 강도를 높이는 원소이며,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2%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 0.03%를 넘어 첨가하면 인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B는 0.0002∼0.03%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0.003%의 범위이다
Zr:0.005∼0.1%, V:0.005∼0.1%, Ti:0.005∼0.1%
또한, 강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Zr, V 및 Ti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들 원소는 모두, 함유량이 0.005%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0.1%를 넘으면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함유량은 0.005∼0.1%의 범위로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0.005∼0.05%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이면, 상기 이외의 성분의 함유를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들 성분 이외에, REM을 탈산제로서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강재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성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다음에, 본 발명 강재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람직한 성분 조성이 되는 용강을, 전로나 전기로 등의 공지의 노에서 용제하고, 연속 주조법이나 조괴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슬래브나 빌렛(billet) 등의 강 소재로 한다. 또한, 용제시에, 진공 탈가스 정련 등을 실시해도 좋다.
용강의 성분 조정 방법은 공지의 강 제련 방법에 따르면 좋다.
다음에, 상기의 강 소재를 원하는 치수 형상으로 열간 압연할 때에는 1000∼1350℃의 온도로 가열한다. 가열 온도가 1000℃미만에서는 변형 저항이 크고, 열간 압연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1350℃를 넘는 가열은 표면 흔적의 발생 원인으로 되거나, 스케일 로스나 연료 원단위가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1050∼1300℃의 범위이다. 또한, 강 소재의 온도가 원래 1000∼1350℃의 범위인 경우에는 가열하지 않고, 그대로 열간 압연에 제공해도 좋다.
또한, 열간 압연에서는 열간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를 적정화할 필요가 있으며, 600℃이상 85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가 600℃미만에서는 변형 저항의 증대에 의해 압연 하중이 증가하고, 압연의 실시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850℃초과라면 원하는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열간 마무리 압연 종료 후의 냉각은 공랭 또는 냉각 속도:150℃/s이하의 가속 냉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 냉각하는 경우의 냉각 정지 온도는 300∼7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후, 재가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는 용강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제 후 또는 전로 용제 후, 연속 주조에 의해 슬래브로 하였다. 다음에, 1230℃로 가열 후,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820℃의 조건에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13㎜두께의 강판으로 하였다.
이들 강판에 대해, 다음의 공식 시험 및 응력 부식 깨짐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에 의한 공식 시험
강재를 10㎜×25㎜×3.5㎜t로 잘라내고, 양면을 에머리(emery) 연마지를 이용해서 #2000까지 습식 연마한 후, 아세톤 중에서 초음파 탈지를 5분간 실행하고, 바람으로 건조시켜 부식 시험재로 하였다. 에탄올:985ml에 대해, 물:10ml, 메탄올:5ml, 초산:560mg, NaCl:132mg를 첨가한 용액을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으로서 사용하였다. 이 용액을 시험관에 넣고, 실온에서 시험재를 침지하였다. 30일간 침지한 후에 시험재를 꺼내, 표면에 부착한 녹을 스펀지 등으로 씻어낸 후, 인히비터를 첨가한 산 중에서 부식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에, 순수(純水)로 세정한 후, 에탄올 중에서 세정하고, 바람으로 말렸다. 그 후, 시험재의 표면의 공식 깊이를 3차원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측정하고, 최대 공식 깊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 최대 공식 깊이가 베이스강(비교예 1)에 대해 70%미만이면, 내공식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2)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 중에서의 SSRT(저왜 속도법) 응력 부식 깨짐 시험
강재를 130㎜×6.35㎜φ의 환봉으로 가공하고, 양단에 스크류 가공을 실시하는 동시에, 환봉의 중심부에서 12.7㎜씩을 3.81㎜φ로 가공하였다. 본 시험재를, 아세톤 중에서 초음파 탈지를 5분간 실행하고, SSRT 시험기에 부착하였다. 에탄올:985ml에 대해, 물:10ml, 메탄올:5ml, 초산:56mg, NaCl:52.8mg를 첨가한 용액을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재를 덮는 셀 중에,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을 충전한 조건과 충전하지 않는 조건에서, 각각 건조 공기 분위기하에서 2.54×10-5㎜/s의 왜곡 속도로 왜곡을 부가하였다. 그리고,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신장의 비율([용액 있음시의 전체 신장/용액 없음시의 전체 신장]×100(%))을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에서 내SCC성을 평가하였다.
◎:95%이상
○:90%이상 95%미만
△:85%이상 90%미만
×:85%미만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발명예는 모두, 바이오 에탄올 모의액 중에서의 공식이 억제되고, 또 내SCC성도 대폭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성분 조성이 발명 범위에서 벗어난 비교예는 모두, 공식 깊이가 그다지 억제되지 않고, 또 내SCC성에도 큰 개선은 보이지 않았다.
발명예와 비교예의 대비로부터, 본 발명의 개선 효과는 명백하다.

Claims (5)

  1. 질량%로,
    C:0.03∼0.3%,
    Si:0.01∼1.0%,
    Mn:0.1∼2.0%,
    P:0.03%이하,
    S:0.01%이하 및
    Al:0.1%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0.03∼1.0% 및
    W:0.03∼1.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Sb:0.005∼0.5%,
    Sn:0.01∼0.3% 및
    Nb:0.005∼0.1%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2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Mo 및 W와 Sb, Sn, Nb의 합계량이 질량%로, 0.15%≤(Mo+W+Sb+Sn+Nb)≤1.0%의 범위를 만족시키고, 또한 Mo 및 W의 합계량이 질량%로, 0.08%≤(Mo+W)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Ca를, Ca/S≥0.5이고 또한 0.01%이하를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B:0.0002∼0.03%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또한 질량%로,
    Zr:0.005∼0.1%,
    V:0.005∼0.1% 및
    Ti:0.005∼0.1%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KR1020157016205A 2012-12-05 2013-12-02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KR20150086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6377 2012-12-05
JPJP-P-2012-266377 2012-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347A true KR20150086347A (ko) 2015-07-27

Family

ID=5088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205A KR20150086347A (ko) 2012-12-05 2013-12-02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07974A1 (ko)
JP (1) JP5999196B2 (ko)
KR (1) KR20150086347A (ko)
CN (1) CN104838029A (ko)
BR (1) BR112015013191A2 (ko)
WO (1) WO2014087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42335A1 (en) * 2015-06-22 2018-05-24 Jfe Steel Corporation Steel for storage equipment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for ethanol (as amended)
JP5994916B1 (ja) * 2015-08-24 2016-09-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孔食性に優れたアルコール貯蔵用及び輸送用設備部材向け鋼材
JP7324844B2 (ja) * 2018-11-30 2023-08-10 ポス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低濃度硫酸/塩酸複合凝縮雰囲気で耐食性を有す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435A (ja) * 2000-09-08 2002-03-22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性平版印刷版
JP4267367B2 (ja) * 2002-06-19 2009-05-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原油油槽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原油油槽およびその防食方法
JP4577158B2 (ja) * 2005-08-31 2010-11-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原油タンク用耐食鋼材
US20070176025A1 (en) * 2006-01-31 2007-08-02 Joachim Gerster Corrosion resistant magnetic component for a fuel injection valve
JP5277672B2 (ja) * 2007-03-29 2013-08-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4935578B2 (ja) * 2007-08-22 2012-05-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船舶用耐食鋼材
JP4935579B2 (ja) * 2007-08-22 2012-05-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船舶用耐食鋼材
JP5353283B2 (ja) * 2009-02-12 2013-11-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船舶用耐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61744B1 (ko) * 2010-02-18 2013-05-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내피로 균열 진전 특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77168A (ja) * 2011-02-28 2012-09-13 Jfe Steel Corp 塗装耐食性に優れた船舶用鋼材
JP2012214871A (ja) * 2011-03-29 2012-11-08 Jfe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さび層付き鋼材
JP5978834B2 (ja) * 2011-11-21 2016-08-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アルコール耐食性に優れた鋼材
JP6113475B2 (ja) * 2012-12-05 2017-07-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アルコール腐食性に優れた鋼材
JP6105264B2 (ja) * 2012-12-05 2017-03-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アルコール腐食性に優れた鋼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38029A (zh) 2015-08-12
JPWO2014087628A1 (ja) 2017-01-05
WO2014087628A1 (ja) 2014-06-12
BR112015013191A2 (pt) 2017-07-11
JP5999196B2 (ja) 2016-09-28
US20150307974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635B1 (en) Ro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lange part
JP5978834B2 (ja) アルコール耐食性に優れた鋼材
KR20190077470A (ko) 고 Mn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825224B2 (ja) 表層のアレスト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587610A1 (en) Hot-rolled and annea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758892B2 (en) Steel sheet for electroplating, electroplated steel sheet,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JP6241555B2 (ja) エタノール貯蔵及び輸送設備用鋼
CN109844153B (zh) 原油油船用钢材和原油油船
JP6113475B2 (ja) 耐アルコール腐食性に優れた鋼材
JP6105264B2 (ja) 耐アルコール腐食性に優れた鋼材
JP2013019049A (ja) 耐食性に優れる船舶バラストタンク用耐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19532B2 (en)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lcohol-induce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and alcohol-induced SCC resistance
KR20150086347A (ko) 내알콜 공식성 및 내알콜 scc성이 우수한 강재
JP2010150631A (ja) 耐食性に優れる船舶用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86306B1 (en) Stee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2219366A (ja) 耐疲労特性に優れた高張力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6086134B1 (ja) 耐エタノール孔食性に優れた構造用鋼材
JP5434040B2 (ja) 化成処理性に優れた高加工性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5994916B1 (ja) 耐孔食性に優れたアルコール貯蔵用及び輸送用設備部材向け鋼材
WO2023162507A1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4219A (ko) 응축수 부식 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