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032A -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 Google Patents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032A
KR20150084032A KR1020157014814A KR20157014814A KR20150084032A KR 20150084032 A KR20150084032 A KR 20150084032A KR 1020157014814 A KR1020157014814 A KR 1020157014814A KR 20157014814 A KR20157014814 A KR 20157014814A KR 20150084032 A KR20150084032 A KR 2015008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ross
mass
we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909B1 (ko
Inventor
다케시 반도
다카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5/00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 D21H15/02Pulp or paper, comprising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ir chemical constitution characterised by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20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24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웨트 와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23)와, 부직포(23)에 함침시킨 약액을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105)에 있어서, 부직포(23)가, 부직포(23)의 5∼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부직포(23)의 60∼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합성 섬유가, 상기 합성 섬유의 20∼10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프(105)이다.

Description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WET WIPE AND PACKAGING FOR WET WIPE}
본 발명은,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습식법에 의해, 부피가 큰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강도가 높고, 부피가 크며, 또한 유연성을 갖는 부직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수분을 포함한 초지(抄紙) 원료를 지지체 상에 공급하여, 당해 지지체 상에 종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증기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종이층에 고압 수증기를 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층에 고압 수증기를 분사하는 공정은, 상기 종이층의 수분율을 10∼45%로 한 후에 상기 종이층에 고압 수증기를 분사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강도가 높고, 부피가 크며, 또한 유연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수분을 포함한 초지 원료를 지지체 상에 공급하여, 당해 지지체 상에 종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체 상에 설치된 고압 수류(水流) 노즐로부터 상기 종이층에 고압 수류를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체 상에 설치된 증기 노즐로부터, 상기 고압 수류를 분사한 종이층에, 고압 수증기를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고압 수증기를 분사한 종이층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20200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202011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는, 강도가 높고, 부피가 크며, 또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지만,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특히, 팝업형의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서는,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웨트 와이프끼리가, 약액의 수막(水膜)에 의해 연결되어, 포장 본체로부터 웨트 와이프가 한꺼번에 복수매 취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개량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웨트 와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킨 약액을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5∼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60∼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합성 섬유가, 상기 합성 섬유의 20∼100질량%의, 이형(異形)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와이프를 발견했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의, 이형의 단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의, 이형의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고압 수류 노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증기 노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웨트 와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킨 약액을 포함한다.
상기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의 약 5∼약 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60∼약 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또, 상기 합성 섬유는, 당해 합성 섬유의 약 20∼약 10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형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대략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당해 대략 다각형의 적어도 1개의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대략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당해 대략 다각형의 모든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이형 단면 합성 섬유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고, 그리고 「이형의 단면 형상」을, 이형 단면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다각형으로서는, 대략 n각형(n은, 3 이상의 정수, 예를 들면 3∼12의 정수임), 예를 들면 대략 삼각형, 대략 사각형, 대략 오각형, 대략 육각형, 대략 칠각형, 대략 팔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의 (a)∼(d)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의 이형 단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또한 3개의 변 모두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a)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3개의 돌기부(3)(3', 3'' 및 3''')와, 인접하는 2개의 돌기부(3)의 사이에 형성된, 합계 3개의 오목부(2)(2', 2'' 및 2''')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또한 4개의 변 모두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4개의 돌기부(3)(3', 3'', 3''' 및 3'''')와, 인접하는 2개의 돌기부(3)의 사이에 형성된, 합계 4개의 오목부(2)(2', 2'', 2''' 및 2'''')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의 단면은, 십자 단면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오각형의 형상을 갖고 또한 5개의 변 모두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5개의 돌기부(3)(3', 3'', 3''', 3'''' 및 3''''')와, 인접하는 2개의 돌기부(3)의 사이에 형성된, 합계 5개의 오목부(2)(2', 2'', 2''', 2'''' 및 2''''')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의 단면은, 별모양 단면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1의 (d)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또한 6개의 변 모두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d)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6개의 돌기부(3)(3', 3'', 3''', 3'''', 3''''' 및 3'''''')와, 인접하는 2개의 돌기부(3)의 사이에 형성된, 합계 6개의 오목부(2)(2', 2'', 2''', 2'''', 2''''' 및 2'''''')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d)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의 단면은, 별모양 단면이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도 1의 (a)∼(d)에서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에 있어서, 모든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웨트 와이프에서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의 단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변이, 오목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변의 적어도 1개가 오목부를 갖지 않아도 되는, 즉, 4개의 오목부(2', 2'', 2''' 및 2'''') 중, 적어도 1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의 (a)∼(c)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에 있어서의 이형 단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C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1개의 오목부(2)와, 2개의 돌기부(3)를 갖는다.
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V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1개의 오목부(2)와, 2개의 돌기부(3)를 갖는다.
도 2의 (c)에 나타내어지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1)는, 대략 W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3개의 오목부(2)와, 2개의 돌기부(3)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형 단면 합성 섬유는, 그 단면의 오목부 등에,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포함하는 약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웨트 와이프끼리가 약액의 수막에 의해 연결되기 어렵고,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어, 취출 용이하다.
또, 웨트 와이프에 대량의 약액을 유지시킨 경우여도, 이형 단면 합성 섬유가, 그 단면의 오목부 등에,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포함하는 약액을 유지하는 높은 용적을 갖기 때문에, 웨트 와이프끼리가 약액의 수막에 의해 연결되기 어려워, 높은 약액 농도와, 취출 용이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이형 단면 합성 섬유는, 동일한 섬도(纖度)(dtex)를 갖는 일반적인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보다 강성이 높기 때문에, 이형 단면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약액을 함침시킨 경우여도, 그 부피가 찌그러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고압 수류, 고압 수증기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의 이랑부 등이, 약액을 함침시킨 후에도 그 부피를 유지하고 또한 약액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웨트 와이프끼리가, 약액의 수막에 의해 연결되기 어려워져, 포장 본체로부터 웨트 와이프가 한꺼번에 복수매 취출되어버리는 현상이 적어진다.
또, 이형 단면 합성 섬유의 단면은, 그 내접원 및 외접원을 상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형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형도는, 단면의 내접원의 반경(rIC)과, 단면의 외접원의 반경(rCC)에 의거하여, 다음의 식:
이형도=rCC/rIC
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따른 웨트 와이프에서는, 상기 이형도는, 약 1.2∼약 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1.4∼약 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약 1.6∼약 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그리고 약 1.7∼약 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리고 약 1.8∼약 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는, 약 1.0∼약 1.2의 이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형도가 클수록,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포함하는 약액을 유지할 수 있는 용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형도가 클수록, 섬유의 단면의 외연 부분이 얇고 약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형도는,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접원 및 그 반경은, 도 3의 (a)∼(d)에 있어서, 각각, CC 및 rCC로서 나타내어지고, 내접원 및 그 반경은, 마찬가지로, 각각, IC 및 rIC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에서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는, 도 1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3개의 돌기부와, 3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거나, 또는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4개의 돌기부와, 4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도 1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4개의 돌기부와, 4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섬유는, 이형 단면 합성 섬유 외에,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는, 다른 합성 섬유,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교락(交絡)하여,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에, 강도, 특히 습윤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초지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섬유는, 약 0.5∼약 3.0dtex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합성 섬유는, 약 3∼약 15㎜의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지의 안정성, 및 형성되는 웨트 와이프의 강도, 특히 습윤 강도의 관점에서 그렇다.
상기 합성 섬유는, 약 1.0 초과의 비중을 갖는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합성 섬유가 약 1.0 이하의 비중을 가지면, 합성 섬유가 물에 떠서, 균질한 웹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는, 습식법의 관점에서는 그 비중에 상한은 없고, 웨트 와이프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합성 섬유의 비중을 고려하면, 상한은 약 1.5 정도일 것이다.
상기 합성 섬유, 특히, 이형 단면 합성 섬유는, 친수화 처리된 합성 섬유여도 된다. 그 단면의 오목부 등에,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포함하는 약액을 보다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친수화 처리로서는, 합성 섬유의 표면에 친수제를 코팅하는 것, 합성 섬유의 원료인 합성 수지에 친수제를 혼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는, 펄프, 예를 들면 목재 펄프, 예를 들면 침엽수, 활엽수 등의 화학 펄프, 반(半)화학 펄프, 기계 펄프 등, 상기 목재 펄프를 화학 처리함으로써 형성한 머서화(mercerization) 펄프 및 가교 펄프, 모시, 면 등의 비(非)목재계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예를 들면 비스코스 레이온,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는, 형성되는 웨트 와이프의 강도, 특히 습윤 강도 및 촉감, 및 비용의 관점에서, 펄프 및 레이온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를 습식법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 약 1.0 초과의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의 약 5∼약 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60∼약 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의 약 5∼약 3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70∼약 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며,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의 약 5∼약 2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80∼약 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형성되는 웨트 와이프의 강도, 특히 습윤 강도의 관점에서 그렇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있어서, 합성 섬유는, 당해 합성 섬유의 약 20∼약 100질량%의 이형 단면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90질량%의 이형 단면 합성 섬유를 포함하며,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약 80질량%의 이형 단면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형 단면 합성 섬유의 양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특히, 팝업 타입형의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있어서, 웨트 와이프를,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관한 「팝업형」은,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로부터 웨트 와이프를 순차 취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웨트 와이프를 취출하면, 다음의 웨트 와이프의 일부가,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의 약 1∼약 2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이형 단면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1∼약 2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10∼약 40질량%의 레이온과, 상기 부직포의 약 50∼약 85질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직포의 약 2∼약 15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이형 단면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2∼약 15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15∼약 30질량%의 레이온과, 상기 부직포의 약 55∼약 80질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부직포의 약 3∼약 1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이형 단면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3∼약 1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약 15∼약 25질량%의 레이온과, 상기 부직포의 약 55∼약 79질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부직포가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웨트 와이프를, 1매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고, 그리고 형성되는 웨트 와이프가, 그 강도, 특히 습윤 강도가 우수하다.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켜야 할 약액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증류수, 프로필렌글리콜, 파라벤 등의 방부제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부직포 100질량부당, 상기 약액을, 바람직하게는 약 180∼약 40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웨트 와이프의 더러움 제거성, 및 더러움을 제거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피부)로의 수분 잔존성의 관점에서 그렇다.
또, 높은 약액 농도와, 취출 용이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웨트 와이프에 대량의 약액을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부직포 100질량부당, 상기 약액을, 약 300∼약 40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당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소정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제조 장치(11)의 개략도이다.
합성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초지 원료를, 원료 공급 헤드(12)로부터, 웹 형성 콘베이어(13)의 지지체 상에 공급하고, 지지체 상에 웹(14)을 형성한다. 지지체는, 증기가 통과 가능한 통풍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와이어 메시, 모포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 상에 형성한 웹(14)을, 흡인 박스(15)에 의해 적당히 탈수한다. 웹(14)은, 웹(14)의 상면에 배치된 2대의 고압 수류 노즐(16)과, 웹(14)을 사이에 두고 고압 수류 노즐(16)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고압 수류 노즐(16)로부터 분사된 물을 회수하는 2대의 흡인 박스(15)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웹(14)은, 고압 수류 노즐(16)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에 의해, 그 상면(고압 수류 노즐(16) 측의 면)에 홈부가 형성된다.
고압 수류 노즐(16)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낸다. 고압 수류 노즐(16)로부터, 웹(14)의 폭 방향(CD)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의 고압 수류(31)가, 웹(14)을 향해 분사된다. 그 결과, 웹(14)의 상면에는, 웹(14)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고, 기계 방향(MD)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부(32)가 형성된다. 또, 고압 수류(31)를 웹(14)에 분사함으로써, 웹(14)의 섬유끼리가 교락한다.
그 다음에,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웹(14)을, 웹 반송 콘베이어(18)에 전사하고, 이어서, 웹(14)을, 웹 반송 콘베이어(19)에 전사한다. 그 다음에, 웹(14)을, 건조 드라이어(20)에 전사한다. 건조 드라이어(20)로서는, 예를 들면 양키 드라이어(yankee dryer)를 들 수 있고, 증기에 의해 약 120℃로 가열된 드럼에 웹(14)을 부착시켜, 건조시킨다.
건조 드라이어(20)에 의한 건조에 의해, 웹(14)의 수분율을, 약 10∼약 45질량%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20∼약 40질량%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분율은, 물을 포함하는 웹의 전체 질량에 대한 물의 백분율이다. 웹의 수분율이 10질량%보다 낮으면, 웹의 섬유 사이의 수소 결합력이 강해져, 후술의 고압 수증기에 의해 웹의 섬유를 풀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매우 높아진다. 한편, 웹의 수분율이 45질량%보다 높아지면, 후술의 고압 수증기에 의해 웹을 소정의 수분율 이하로 건조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매우 높아진다.
그 다음에, 웹(14)을, 원통 형상의 석션(suction) 드럼(21)의 메시 형상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하고, 석션 드럼(21)의 상방에 배치된 증기 노즐(22)로부터, 고압 수증기를, 웹(14)에 분사한다. 증기 노즐(22)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증기에 의해, 웹(14)의, 고압 수류(31)에 의해 홈부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측의 면(증기 노즐(22) 측의 면)에, 다른 홈부가 형성되고, 부직포(23)가 형성된다.
증기 노즐(22)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낸다. 증기 노즐(22)로부터, 웹(14)의 폭 방향(CD)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의 고압 수증기(41)가, 웹(14)을 향해 분사된다. 그 결과, 형성되는 부직포(23)의 상면에는, 기계 방향(MD)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부(42)가 형성된다.
고압 수증기를 분사한 후의 부직포(23)의 수분율은, 4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4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율이 45질량%보다 크면, 후술의 건조 드라이어에 의한 건조에 의해 부직포(23)의 수분율을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다음에,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직포(23)를, 건조 드라이어(24)에 전사한다. 건조 드라이어(24)로서는, 예를 들면 양키 드라이어를 들 수 있고, 증기에 의해 약 150℃로 가열된 드럼에, 부직포(23)를 부착시켜, 건조시킨다. 건조 드라이어(24)를 통과한 후의 부직포(23)의 수분율은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부직포(23)를, 권취기(卷取機)(25)로 권취한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술의 방법 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지만, 상세한 것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고압 수류, 고압 수증기 등에서 유래하는, 복수의 이랑부 및 홈부를 가질 수 있다. 고압 수류 및 고압 수증기를 분사하는 면을 조정함으로써, 부직포의 동일 면에 피치 및 높이가 다른 복수종의 이랑부 및 홈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부직포의 다른 면에, 피치 및 높이가 다른 이랑부 및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지지체의 형상에서 유래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웨트 와이프는, 웨트 와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약액을 함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에서는, 복수의 웨트 와이프(도시 생략)가, 개구부(103)를 갖는 정상부(T)와, 바닥부(B)를 갖는 포장 본체(102)의 내부에서, 순차 취출할 수 있는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포장 본체(102)는, 개구부(103)를 덮는 시일재(104)를 갖는다.
포장 본체(102)는, 자루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개구부(103)가 시일재(104)로 시일되면, 포장 본체(102)의 내부의 웨트 와이프를 밀폐할 수 있어, 약제의 증발이 억제된다. 각 웨트 와이프는, 개구부(103)를 통과하여 취출할 수 있다. 시일재(104)는, 포장 본체(102)의 내부의 웨트 와이프를 반복하여 밀봉하기 위해, 포장 본체(102)에 접하는 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포장 본체(102)의 내부에서는, 복수의 웨트 와이프(105)가, 정상부(T)로부터 바닥부(B)에 이르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복수의 웨트 와이프(105)가, 대략 Z형의 접힘 구조를 갖는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웨트 와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웨트 와이프(105') 및 웨트 와이프(105'')의 관계에서는, 바닥부(B) 측에 위치하는 웨트 와이프(105'')(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T)와, 그 정상부(T) 측에 인접하는 웨트 와이프(105')(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B)가, 웨트 와이프(105'')(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T)가 웨트 와이프(105')(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B)보다 정상부(T)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져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에 있어서, 웨트 와이프(105'') 및 웨트 와이프(105''')의 관계에서는, 바닥부(B) 측에 위치하는 웨트 와이프(105''')(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T)와, 그 정상부(T) 측에 인접하는 웨트 와이프(105'')(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B)가, 웨트 와이프(105''')(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T)가 웨트 와이프(105'')(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105''B)보다 정상부(T)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져 있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 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정상부 측 단부(端部)와, 그 정상부 측에 인접하는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바닥부 측 단부가,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정상부 측 단부가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바닥부 측 단부보다 정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져 있다.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적층됨으로써, 웨트 와이프(105')를 취출했을 때에, 웨트 와이프(105'')의 일부(주로, 105''T)가 인출되고, 포장 본체(102)로부터 돌출되어, 다음의 사용 시에, 웨트 와이프(105'')를 취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약액의 수막에 의해, 웨트 와이프(105')의 일부(105'B)와, 웨트 와이프(105'')의 일부(105''T)가 연결되면, 웨트 와이프(105')를 취출했을 때에, 웨트 와이프(105'')의 전체가 함께 취출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웨트 와이프(105''')의 전체가 함께 취출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단면도이고,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의 A-A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웨트 와이프(105)는, 대략 C형의 접힘 구조를 갖는다.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에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바닥부 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정상부 측 단부와, 그 정상부 측에 인접하는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바닥부 측 단부가,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정상부 측 단부가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바닥부 측 단부보다 정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져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의 단면도이고,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101)의 A-A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웨트 와이프(105)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Z형의 접힘 구조를 갖지만, 복수의 웨트 와이프(105)가, 1매 간격으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인접하는 웨트 와이프와 포개지는 범위가,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7∼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5111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된 항목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부직포의 평량]
평량은, JIS L 1906의 5.2에 따라 측정한다.
[부직포의 두께]
부피는, (주)다이에이 과학정밀기기 제작소 제 THICKNESS GAUGE UF-60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웨트 와이프의 취출 시험]
부직포를, 190×135㎜(취출 방향×폭 방향)의 사이즈로 자르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계 60매 적층하며, 60매의 적층물을 포장 본체로 포장한다. 그 다음에, 부직포 100질량부에 대하여 약액 250질량부의 비율로, 부직포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이어서 포장 본체를 밀봉함으로써, 팝업형의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를 제조한다.
또한, 약액은, 물과, 보습제로서의 프로필렌글리콜과, 방부제를 포함한다.
팝업형의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를, 시판의 웨트 와이프의 케이스에 세트하고, 웨트 와이프를 1매씩 취출한다.
n매째(위로부터, 1, 2, …, n, …, 60)의 웨트 와이프를 취출했을 때에, n매째의 웨트 와이프(직접 취출된 웨트 와이프)에 끌려 함께 취출된 웨트 와이프(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예를 들면, n매째의 웨트 와이프를 취출했을 때에, 1매 아래에 있는 (n+1)매째의 웨트 와이프가, n매째의 웨트 와이프에 끌려 함께 취출된 경우에는, 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를 1매로 카운트한다.
또, n매째의 웨트 와이프를 취출했을 때에, 1매 아래에 있는 (n+1)매째의 웨트 와이프가, n매째의 웨트 와이프에 끌려 함께 취출되고 또한 2매 아래에 있는 (n+2)매째의 웨트 와이프가, (n+1)매째의 웨트 와이프에 끌려 함께 취출된 경우에는, 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를 2매로 카운트한다.
실험은, 60매 모든 웨트 와이프가 취출될 때까지 계속하고, 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의 합계 매수(m)를 카운트한다.
취출 용이성(%)을, 다음의 식:
취출 용이성(%)=100×(60-m)/60
에 따라 산출한다.
예를 들면, 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의 합계 매수가 0매인 경우에는, 취출 용이성은 100%이고, 그리고 간접적으로 취출된 웨트 와이프의 합계 매수가 30매(전체 웨트 와이프의 절반)인 경우에는, 취출 용이성은 50%이다.
[실시예 1]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71질량%와, 섬도가 1.1dtex이고 또한 섬유 길이가 7㎜인 레이온(다이와보 레이온(주) 제, 코로나) 21질량%와, 섬도가 0.6dtex이며 또한 섬유 길이가 1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질량%와, 섬도가 2.2dtex이고 또한 섬유 길이가 5㎜인 십자 단면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유니티카 주식회사 제, 상품명:X531) 4질량%를 포함하는 초지 원료를 준비하며,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부직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부직포 1을 제조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단면의 내접원의 반경(rIC)이 8.9㎛이고, 그리고 단면의 외접원의 반경(rCC)이 17.1㎛이며, 이형도가 1.92였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공급 헤드로부터, 지지체(닛폰 필콘(주) 제 OS80) 상에 초지 원료를 공급하고, 흡인 박스를 사용하여 초지 원료를 탈수하여 웹을 형성했다. 웹의 수분율은 80질량%였다. 그 다음에, 2대의 고압 수류 노즐로부터, 웹에 고압 수류를 분사했다. 2대의 고압 수류 노즐을 이용하여, 웹에 분사한 고압 수류의 고압 수류 에너지는 약 0.285㎾/㎡였다.
또한, 고압 수류 에너지(㎾/㎡)는, 다음의 식:
고압 수류 에너지(㎾/㎡)
=1.63×분사 압력(㎏/㎠)×분사 유량(㎥/분)/처리 시간(m/분)
에 의해 산출된다.
또, 분사 압력(㎏/㎠)은, 다음의 식:
분사 압력(㎏/㎠)
=750×오리피스(orifice) 개공(開孔) 총면적(㎡)×분사 압력(㎏/㎠)0 .495
에 의해 산출된다.
고압 수류 노즐의 선단(先端)과, 웹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약 10㎜였다. 또, 고압 수류 노즐의 구멍 직경은 약 92㎛이고, 구멍 피치는 약 0.5㎜였다.
웹을, 2대의 웹 반송 콘베이어에 전사한 후, 120℃로 가열된 양키 드라이어에 전사하고, 건조시켰다.
그 다음에, 1대의 증기 노즐로부터, 고압 수증기를 웹에 분사했다. 고압 수증기의 증기압은 약 0.7㎫이고, 그리고 증기 온도는 약 175℃였다. 또, 증기 노즐의 선단과, 웹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약 2㎜였다. 또한, 증기 노즐의 구멍 직경은 약 300㎛이고, 구멍 피치는 약 2.0㎜였다. 또, 석션 드럼이 웹을 흡인하는 흡인력은, 약 -1㎪이었다. 석션 드럼의 외주에는, 스테인리스제의 18 메시 개공 슬리브를 사용했다.
그 다음에, 웹을, 150℃로 가열된 양키 드라이어에 전사하고, 건조시켜, 부직포 1을 제조했다. 부직포 1은, 48g/㎡의 평량과, 0.318㎜의 두께를 갖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초지 속도는, 약 70m/분이었다.
그 다음에, 부직포 1로부터, 팝업형의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1을 제조하고, 상술의 취출 시험을 실시한 바, 취출 용이성(%)은 97%였다.
[비교예 1]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71질량%와, 섬도가 1.1dtex이고 또한 섬유 길이가 7㎜인 레이온(다이와보 레이온(주)제, 코로나) 21질량%와, 섬도가 0.6dtex이며 또한 섬유 길이가 1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8질량%를 포함하는 초지 원료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 2를 제조했다. 부직포 2는, 48g/㎡의 평량과, 0.322㎜의 두께를 갖고 있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취출 시험을 실시한 바, 취출 용이성(%)은 80%였다.
본 개시는, 이하의 J1∼J12에 관한 것이다.
[J1]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킨 약액을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5∼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60∼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합성 섬유가, 상기 합성 섬유의 20∼10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웨트 와이프.
[J2]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J1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3]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당해 대략 다각형의 적어도 1개의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J1 또는 J2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4]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삼각형, 대략 사각형, 대략 오각형, 및 대략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모든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J1 내지 J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5]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C형, 대략 V형 및 대략 W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J1 또는 J2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6]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J1 내지 J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7]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J1 내지 J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8]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펄프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J1 내지 J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9]
상기 부직포 100질량부당, 상기 약액을, 300∼40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J1 내지 J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10]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1∼2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1∼2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10∼40질량%의 레이온과, 상기 부직포의 40∼약 88질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J1 내지 J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와이프.
[J11]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개구부를 갖는 정상부와, 바닥부를 갖는 포장 본체의 내부에서, 순차 취출할 수 있는 형태로 수납되어 있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있어서,
J1 내지 J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정상부에 이르는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바닥부 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와, 그 정상부 측에 인접하는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가, 상기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가 상기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보다 상기 정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포장체.
[J12]
상기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대략 Z형의 접힘 구조를 갖는, J11에 기재된 포장체.
1: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이형 단면 합성 섬유)
2: 오목부 3: 돌기부
11: 부직포 제조 장치 12: 원료 공급 헤드
13: 웹 형성 콘베이어 14: 웹
15: 흡인 박스 16: 고압 수류 노즐
18, 19: 웹 반송 콘베이어 20, 24: 건조 드라이어
21: 석션 드럼 22: 증기 노즐
23: 부직포 25: 권취기
31: 고압 수류 32: 홈부
41: 고압 수증기 42: 홈부
101: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102: 포장 본체
103: 개구부 104: 시일재
105: 웨트 와이프

Claims (12)

  1. 습식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킨 약액을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5∼4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60∼95질량%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합성 섬유가, 상기 합성 섬유의 20∼10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웨트 와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웨트 와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당해 대략 다각형의 적어도 1개의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웨트 와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삼각형, 대략 사각형, 대략 오각형, 및 대략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모든 변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웨트 와이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대략 C형, 대략 V형 및 대략 W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웨트 와이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웨트 와이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웨트 와이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펄프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100질량부당, 상기 약액을, 300∼400질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1∼20질량%의, 비중이 1.0 초과인,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1∼20질량%의, 이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 합성 섬유와, 상기 부직포의 10∼40질량%의 레이온과, 상기 부직포의 40∼약 88질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웨트 와이프.
  11.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개구부를 갖는 정상부와, 바닥부를 갖는 포장 본체의 내부에서, 순차 취출할 수 있는 형태로 수납되어 있는,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정상부에 이르는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바닥부 측에 위치하는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와, 그 정상부 측에 인접하는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가, 상기 바닥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가 상기 정상부 측 웨트 와이프의 일부보다 상기 정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포장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웨트 와이프가, 대략 Z형의 접힘 구조를 갖는, 포장체.
KR1020157014814A 2012-11-09 2013-10-15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KR102014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7879 2012-11-09
JP2012247879A JP6091168B2 (ja) 2012-11-09 2012-11-09 ウェットワイプス、及びウェットワイプスの包装体
PCT/JP2013/077971 WO2014073334A1 (ja) 2012-11-09 2013-10-15 ウェットワイプス、及びウェットワイプスの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032A true KR20150084032A (ko) 2015-07-21
KR102014909B1 KR102014909B1 (ko) 2019-08-27

Family

ID=5068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814A KR102014909B1 (ko) 2012-11-09 2013-10-15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091168B2 (ko)
KR (1) KR102014909B1 (ko)
CN (1) CN104603359B (ko)
AU (1) AU2013342725A1 (ko)
IN (1) IN2015DN03901A (ko)
MY (1) MY163242A (ko)
TW (1) TW201440713A (ko)
WO (1) WO2014073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29B1 (ko) * 2014-03-31 2021-01-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섬유
US10278552B2 (en) 2016-12-08 2019-05-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flex pack closure
USD837661S1 (en) 2017-11-09 2019-01-08 The Clorox Company Wipes dispenser opening
CN109987331A (zh) * 2017-12-29 2019-07-09 北京紫牛生活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连抽的湿巾包装盒
JP2022092982A (ja) * 2020-12-11 2022-06-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ワイプス、ウェットワイプスの包装体、及びウェットワイプス用の薬液
USD1011880S1 (en) 2021-04-15 2024-01-23 Professional Disposables International Inc. Wipes container l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177B2 (ja) * 1990-03-30 1997-02-19 株式会社クラレ 袋状不織布製品
JP2003135305A (ja) * 2001-10-30 2003-05-13 Fukuyoo Kosan Kk 二回v折りウェブ積層体及びその包装体
JP2006255116A (ja) * 2005-03-16 2006-09-28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ワイパー用積層不織布
JP2009079320A (ja) * 2007-09-26 2009-04-16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
JP2012202004A (ja) 2011-03-25 2012-10-22 Uni Charm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2202011A (ja) 2011-03-28 2012-10-22 Uni Charm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3457A (ja) * 1989-04-28 1990-12-04 Kuraray Co Ltd ウエットテイッシュ用不織布
JP2942276B2 (ja) * 1989-05-22 1999-08-30 株式会社クラレ ワイパー用紙
JPH09273096A (ja) * 1996-04-08 1997-10-21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系湿式不織布
JP3887132B2 (ja) * 1999-09-03 2007-02-28 株式会社クラレ ウェットワイパー
CN100549285C (zh) * 2004-08-03 2009-10-14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纤维用处理剂和合成纤维的处理方法
BRPI0707056B8 (pt) * 2006-03-02 2021-07-27 Daio Seishi Kk folha altamente permeável ao ar e à prova de água e método de produção
CN101680185B (zh) * 2007-04-17 2011-11-23 帝人纤维株式会社 湿式无纺布及过滤器
JP5237623B2 (ja) * 2007-12-25 2013-07-17 花王株式会社 ウエットシート用シート基材
JP2010081987A (ja) * 2008-09-29 2010-04-15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ワイパー用不織布
JP5912288B2 (ja) * 2010-11-25 2016-04-27 山田 菊夫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177B2 (ja) * 1990-03-30 1997-02-19 株式会社クラレ 袋状不織布製品
JP2003135305A (ja) * 2001-10-30 2003-05-13 Fukuyoo Kosan Kk 二回v折りウェブ積層体及びその包装体
JP2006255116A (ja) * 2005-03-16 2006-09-28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ワイパー用積層不織布
JP2009079320A (ja) * 2007-09-26 2009-04-16 Kuraray Kuraflex Co Ltd 不織布
JP2012202004A (ja) 2011-03-25 2012-10-22 Uni Charm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2202011A (ja) 2011-03-28 2012-10-22 Uni Charm Corp 不織布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4188A (ja) 2014-05-22
WO2014073334A1 (ja) 2014-05-15
KR102014909B1 (ko) 2019-08-27
CN104603359A (zh) 2015-05-06
MY163242A (en) 2017-08-30
IN2015DN03901A (ko) 2015-10-02
TW201440713A (zh) 2014-11-01
CN104603359B (zh) 2017-05-10
AU2013342725A1 (en) 2015-05-14
JP6091168B2 (ja)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4032A (ko) 웨트 와이프, 및 웨트 와이프의 포장체
JP580525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
US9103057B2 (en) Nonwoven calendered fabrics
PT1587979E (pt) Processo de fabrico de um não-tecido de compósito e instalação para realizar o referido processo
CN101969827A (zh) 折叠的带穿孔的幅
ITMI20121341A1 (it) Materiale non tessuto disperdibile in acqua
KR20130018263A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US9074323B2 (en) Wet w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300602A (zh) 不織布之製造方法
JP5833296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628921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製造方法
KR101712692B1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JP5787700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1212255A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TW201348546A (zh) 不織布及不織布之製造方法
EP3123914B1 (en) Wet w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t wipe
RU2462171C2 (ru) Сложенное перфорированное полотно
JP6270487B2 (ja) 不織布の製造装置
JP5833321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CA2694517A1 (en)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discrete bond reg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18057454A (ja) 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116124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