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436A -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436A
KR20150079436A KR1020140190881A KR20140190881A KR20150079436A KR 20150079436 A KR20150079436 A KR 20150079436A KR 1020140190881 A KR1020140190881 A KR 1020140190881A KR 20140190881 A KR20140190881 A KR 20140190881A KR 20150079436 A KR20150079436 A KR 2015007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irubin
nanoparticles
nanoparticle
brnv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299B1 (ko
Inventor
전상용
이용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5007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리루빈과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가자-조립하여 형성된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 또는 활성산소 자극에 의하여 와해됨으로써 내부에 봉입한 약물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산화 활성, 항-신생혈관형성 활성, 항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Bilirubin nanopartlcles, uses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외부 혹은 내부 자극에 의하여 분해(disassembled)될 수 있으나, 자극이 없으면 안정한 폴리머성 바이오소재(biomaterial)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pH, 특정 효소, 온도, 초음파, 활성산소 및 빛과 같은 다양한 내외부 자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에서, 광 자극은 짧은 시간 동안 원격으로 적용할 수 있고,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자극원이다. 또한, 염증 부위에서의 비정상적인 활성산소의 수준은 염증 부위 특이적 촉발 자극원(triggering stimulus)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나노입자를 이용한 염증 질환과 같은 질병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OS는 염증성 질환 질환의 발병 부위에 존재하며, 질환의 경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다양한 치료용 나노입자가 심혈관 질환, 뇌종중, IBD와 같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감광성(photosensitizing) 효과를 갖는 나노입자를 이용한 암 치료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이미징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테라그노시스(theragnosis)가 맞춤형 의료(personalized medicine)를 통한 최적의 치료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빌리루빈은 헴(heme)으로부터 형성된 노르스름한 최종 대사산물이다. 빌리루빈은 많은 친수성 그룹을 가지지만, 분자 내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매우 소수성이다. 클로로포름과 디메틸설폭사이드 외의 유기용매는 빌리루빈을 용해시킬 수 없으며, 물도 마찬가지이다.
빌리루빈이 간에서 대사되지 못하는 경우, 빌리루빈은 체외로 배출되지 못하여 피부와 같은 곳에 축적된다. 이러한 현상을 황달이라고 하는데, 어른의 경우와 달리 신생아 황달은 뇌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내의 빌리루빈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 치료(phototherapy)가 이용된다. 광 치료 시 빛이 인체에 조사되면, 빌리루빈은 광이성질체화(photoisomerized)되어 분자 내 수소결합이 깨지고 궁극적으로 빌리루빈은 친수성의 광이성질체(photoisomer)가 되어 담즙 또는 소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광 치료 동안 빌리루빈은 산소로부터 활성산소를 생성시키며, 이 활성산소는 빌리루빈을 소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무색의 산화물로 산화시킨다.
또한, 빌리루빈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빌리루빈의 활성산소 소거 시, 소수성의 빌리루빈은 더 친수성의 화합물인 빌리벌딘(biliverdin)으로 산화될 수 있다.
따라서, 빌리루빈은 몇 가지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특성은 광이성질체화(photoisomerization) 특성이다. 청색 혹은 이보다 더 긴 파장의 빛에 노출되는 경우, 빌리루빈은 광이성질체화되며, 이는 빌리루빈의 분자 내 수소결합을 파괴시켜 결국 빌리루빈은 친수성의 광이성질체가 된다. 두 번째 특성은, 빌리루빈이 파장은 같으나 강도가 더 높은 청색 빛에 의하여 자극되는 경우 광역동 효과(photodynamic effects)를 나타내어 활성산소를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빌리루빈은 BSA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형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끝으로, 빌리루빈은 과산화기(peroxy radical),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및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과 같은 활성산소를 소거(scavange)할 수 있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형광 특성, 감광성(photosensitizing) 특성, 항산화 특성을 가지며, 자극원으로서 빛 또는 활성산소에 반응하는 나노입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소수성의 빌리루빈에 친수성 블록을 도입하여 수계에서 빌리루빈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이의 약물 봉입 능력, 항산화 능력 및 항-신생혈관형성 능력; 빛 노출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 능력; 빛 또는 활성산소 노출에 의한 자기조립체 와해를 통한 약물 방출 능력; 및 항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생혈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빌리루빈; 및 상기 빌리루빈에 결합된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자기-조립(self-assembled)하여 형성된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형광 특성, 감광성(photosensitizing) 특성, 항산화 특성을 가지며, 자극원으로서 빛 또는 활성산소에 반응하는 나노입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소수성의 빌리루빈에 친수성 블록을 도입하여 수계에서 빌리루빈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이의 약물 봉입 능력, 항산화 능력 및 항-신생혈관형성 능력; 빛 노출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 능력; 빛 또는 활성산소 노출에 의한 자기조립체 와해를 통한 약물 방출 능력; 및 항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빌리루빈 및 이에 결합된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자기-조립하여 형성된 입자로서, 수계에서 자기-조립하여 형성된 나노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1 nm 내지 5,000 nm의 크기를 갖는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크기는 50 nm 내지 1,000 nm이고, 다른 특정예에서는 50-500 nm이며, 또 다른 특정예에서는 50-300 nm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운반대상(cargo)을 봉입하고 있다. 운반대상이 친수성 물질인 경우 나노입자의 내부에 봉입되며, 소수성의 운반대상은 빌리루빈이 형성한 소수성 막 내에 포집(intergrate)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봉입"은 운반대상의 포집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운반대상은 약물이다. 상기 약물에는 친수성 약물, 소수성 약물, 화학약물 및 바이오약물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약물로는, 예를 들면, 항암제, 항산화제, 항염증증제, 진통제, 항관절염제, 진정제, 항우울증제, 항정신병 약물, 신경안정제, 항불안제, 항혈관신생 억제제, 면역억제제,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식용억제제, 항히스타민제, 호르몬제, 항혈전제, 이뇨제, 항고혈압제, 심혈관질환 치료제 및 혈관 확장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염증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염증조직의 활성산소를 소거함으로써 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에 의하여 와해(disassembled or disruption)되어 봉입된 운반대상을 주위로 방출시킬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항암제를 봉입하는 경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종양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조사하는 빛(예컨대, 청색파장의 빛)에 의하여 나노입자가 와해됨으로써 암 조직으로 항암제를 방출할 수 있고, 방출된 항암제에 의하여 암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430 nm 내지 480 nm의 빛에 의하여 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620 nm 내지 680 nm의 빛에 의하여 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활성산소에 의하여 와해(disassembled or disruption)되어 봉입된 운반대상을 주위로 방출시킬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활성산소는 암 또는 염증 부위에 존재하는 활성산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항암제(또는 항염증제)를 봉입하는 경우, 암(또는 염증) 부위에 존재하는 활성산소에 의하여 나노입자가 와해됨으로써 암(또는 염증 부위)로 항암제(또는 항염증제)를 방출할 수 있고, 방출된 항암제(또는 항염증제)에 의하여 암(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에 의하여 활성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종양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빛(예컨대, 청색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활성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빌리루빈과 결합되어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 복합체는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구성성분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체내에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친수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산염) (poly[acryl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 (비닐에스테르)(poly[vinyl ester]),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스티렌(polystryene), 폴리옥사이드(polyoxide), 셀룰로오스 (cellulose), 전분(starch), 폴리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 일렉트로라이트(polyelectrolyte), 폴리(1-니트로프로필렌)(poly[1-nitro propylene]), 폴리(N-비닐피롤리돈)(poly[N-vinyl pyrrolidone]), 폴리 비닐아민(poly[vinyl amine]),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beta-hydroxy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oxide), 폴리(에틸렌옥시드-b-프로필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친수성 고분자의 또 다른 예로는, 콜라겐, 키토산, 젤라틴, 아카시아 검, 덱스트란, 피브린, 히알루론산, 펙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잔탄(Xanthan) 및 알지네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친수성 고분자의 또 다른 예로는, 2개 이상(예컨대 2-5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등이 있다. 상기 아미노산에는 천연형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비천연 아미노산도 포함된다. 친수성 아미노산에는 글루타민,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세린 등이 있으며, 소수성 아미노산에는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이소류신, 류신, 프롤린, 메티오닌, 발린, 알라닌 등이 있다. 비코드화된 친수성 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Cit 및 hCys 등이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정보와 펩타이드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친수성의 펩티드를 용이하게 합성하여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범위에는, 위에서 언급한 고분자뿐만 아니라, 이들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는, 예를 들면, 메톡시 PEG(methoxy polyethylene glycol), PEG 프로피론산의 숙시니미드(succinimide of PEG propionic acid), PEG 부타논산의 숙시니미드(succinimide of PEG butanoic acid), 가지달린 PEG-HNS(branched PEG-NHS), PEG 숙시니미딜 숙시네이트(PEG succinimidyl succinate), 카복시메틸화 PEG의 숙시니미드(succinimide of carboxymethylated PEG), PEG의 벤조트리아졸 카보네이트(benzotriazole carbonate of PEG), PEG-글리시딜 에테르(PEG-glycidyl ether), PEG-옥시카보닐이미다졸(PEG-oxycarbonylimidazole), PEG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PEG nitrophenyl carbonates), PEG-알데히드(PEGaldehyde), PEG 숙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에스테르(PEG succinimidyl carboxymethyl ester) 및 PEG 숙시니미딜에스테르(PEG succinimidyl ester)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빌리루빈의 카르복실기에 결합되어 양친매성 복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측쇄 또는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을 나타내는바,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 자극을 통한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광역동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형광 및 광역동 효과를 갖는 빛 민감성 약물들의 전달체로서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암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암제를 로딩하는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비경구적으로 체내로 투여되는 경우, EPR 효과에 의하여 종양 조직에서 축적되며, 이때 외부에서 종양 조직으로 빛을 조사하면, 빌리루빈으로 이루어진 소수성층이 친수성의 광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친수성층으로 변환되고, 이에 의하여 나노입자가 와해(붕괴)됨으로써 나노입자에 포함되어 있던 항암약물이 종양 조직으로 방출되어 암의 치료가 가능하다. 동시에, 나노입자로부터 분해된 모노머가 알부민과 결합하게 되어 종양 조직에서 형광이 방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종양 조직의 이미징이 가능하다.
또한, 보다 센 청색 파장의 빛을 조사하게 되면,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활성산소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서도 항암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 자체를 광역동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암은, 예를 들면, 대장남, 췌장암, 담도암, 신경내분비종양,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위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두경부암, 피부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암제를 봉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ROS 민감성 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경구적으로 체내로 투여된 항염증 약물-로딩빌리루빈 나노입자는 EPR 효과에 의하여 염증 부위를 타겟팅 할 수 있다. 염증 부위에서, 나노입자는 비정상적 수준의 활성산소를 소거함으로써 항염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동시에 소수성의 빌리루빈이 친수성의 빌리벌딘 산화물로 산화되어 나노입자가 와해(붕괴)되거나 더 산화가 진행되어 빌리루빈이 작은 화합물로 더 분해되어 나노입자가 와해(붕괴)됨으로써 나노입자에 포함되어 있던 약물이 염증 부위로 방출되어 염증의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나노입자로부터의 약물방출은 대식세포 업테이크(uptake)에 의하여 일어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봉입하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염증성 질환은, 예를 들면,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죽상경화증,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저해시킨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혈관신생 관련 질환"은 기존의 혈관으로부터 혈관내피세포가 출아하여 조직에 침입하는 형태로 모세혈관이 뻗어나가는 맥관 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혈관신생 관련 질환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류마티스 관절염, 자궁내막증, 건선 또는 만성염증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기한 약리학적 효과를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포함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투여 또는 국부투여될 수 있다. 또한, 그밖에도 경구투여, 직장투여, 흡입투여, 경비투여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질병 증상의 정도,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빌리루빈에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를 클로로포름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로로포름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제거하여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 필름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필름 층에 친수성 용매를 처리하여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자기-조립(self-assemble)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각 과정은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빌리루빈과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친매성 복합체가 자기-조립하여 형성된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i)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 또는 활성산소 자극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내부에 봉입한 약물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iii)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산화 활성, 항-신생혈관형성 활성, 항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낸다.
(iv) 본 발명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형광성을 갖는다.
도 1은 PEG-BR의 MALDI-TOF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PEG-BR의 UV 스펙트럼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PEG-BR의 1H-NMR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BRNVs)의 합성과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크기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제타전위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SEM 및 TEM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임계 미셀 농도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안정성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ROS-반응성 붕괴를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빛-반응성 붕괴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친수성 약물 봉입 효율 및 약물 로딩 효율을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소수성 약물 봉입 효율 및 약물 로딩 효율을 보여준다.
도 15는 빛 조사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물(독소루비신) 방출을 보여준다.
도 16은 빛 조사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물(도데탁셀) 방출을 보여준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입자 형성 시와 분해 시의 형광 특성을 보여준다.
도 18은 빛 조사(450 nm)에 의한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ROS 생성능을 보여준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세포 내 이입을 보여준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독소루비신-로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레이져 조사 시의 세포 내 이입을 보여준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독성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세포생존율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세포 모양 이미지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ROS를 제거할 때, 동시에 나노입자가 붕괴됨을 보여준다.
도 25a는 본 발명에 따른 독소루비신 로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항암 활성을 보여주고 동시에 레이져의 유무에 따른 항암 활성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데탁셀 로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항암 활성을 보여주고 동시에 레이져의 유무에 따른 항암 활성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을 보여준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PK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도 28은 IB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상 대조군, 염증 대조군 및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군의 체중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IB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상 대조군, 염증 대조군 및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군의 결장 길이를 보여주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30은 IB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상 대조군, 염증 대조군 및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군의 결장조직 이미지 및 염증 스코어 그래프이다.
도 31a는 IB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상 대조군, 염증 대조군 및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군의 MPO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1b 및 31c는 IB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상 대조군, 염증 대조군 및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군의 및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수준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2a는 염증이 일어나지 않은 동물모델의 경우 IBD 동물모델에서 보다 간에서 낮은 형광값이 관찰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IBD 염증에 선택적으로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축적된 후, ROS에 의해 ICG를 방출함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2b는 IBD 동물모델과 정상군의 간의 H&E 이미지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 및 독소루비신-로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항암 활성을 보여준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를 보여준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 투여에 따른 주요 장기의 H&E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종양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축적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페길화 빌리루빈( PEG - BR ) 합성
빌리루빈(292 mg, 0.5 mmol)과 EDC(95.5 mg, 0.6 mmol)를 DMSO(5 ㎖)에 용해하였다. 상온에서 10분간 저어준 후, mPEG2000-NH2(400 mg, 0.2 mmol)과 TEA(150 ㎕)를 첨가한 다음, 질소가스 하에서 상온에서 4시간 동안 저어주었다. 프리(free)한 빌리루빈을 제거하기 위하여, 메탄올(45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0분간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버리고 상청액을 증발시켰다. 에테르를 농축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제를 위하여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클로로로포름/메탄올(85:1 이동상)을 갖는 실리카 상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후, 용매를 증발시켜 페길화된 빌리루빈(PEG-BR)을 수득하였다. 이후, 1H-NMR, UV 및 MALDI-TOF 분석으로 PEG-BR을 분석하였다.
페길화 빌리루빈 나노베지클( PEGylated Bilirubin Nanovesicles , BRNVs )의 제조
PEG-BR(5 mg)을 클로로포름(200 ㎕)에 용해시키고, 질소가스 증기 하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더 건조시켜 필름 층을 형성시켰다. 나노입자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인산염 PBS(150 mM NaCl, 10 mM 인산염, pH 7.4)를 필름 층에 첨가하였다. 10분간의 초음파 처리 후, 고른 사이즈를 갖는 페길화 빌리루빈 나노입자(BRNVs)가 생성되었다. DLS(Dynamic light scattering) 검출과 제타전위 분석으로 제조된 BRNVs를 분석하고, 입자형성의 시각증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및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얻었다.
BRNVs 의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나노입자 임계 미셀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양의 PEG-BR을 사용하여 필름층을 형성시키고, 인산염 PBS(150 mM NaCl, 10 mM 인산염, pH 7.4) 1 ml을 나노입자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름층에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각 그룹에서 형성된 나노입자를 DLS(dynamic lightning scattering)로 확인하였다.
BRNVs 의 안정성 확인
BRNVs의 상온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RNVs의 크기를 매 8일 동안 DLS zetasizer로 측정하였다.
BRNVs 의 과산화수소 소거능 (항산화 활성)
과산화수소의 퀀칭 활성을 EnzyChromTM Catalase Assay Kit(MEDIBENA Life Science & Diagnostic Solutions)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50 μM의 과산화수소(90 ㎕)를 각 농도의 BRNVs(10 ㎕)에 처리하였다. 30분간 인큐베이션 한 후, 각 샘플을 100 ㎕의 HRP/Dye 검출 시약과 함께 10분간 인큐베이션 한 다음, 형광 강도(λem/ex = 585/530 nm)를 체크하여 각 그룹에서 남아있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BRNVs ROS -반응성 붕괴와 빛-반응성 붕괴( ROS and Light - responsive disruption )
과산화기에 의한 BRNVs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DPBS에 용해된 45 ㎍/㎖의 BRNVs를 100 mM의 과산화기 발생 시약인 AAPH(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sigma-aldrich)와 함께 37℃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 하였다. UV/Vis 분광계 또는 DLS를 사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과산화기에 노출됨에 따른 BRNVs의 UV/Vis 스펙드럼 또는 크기를 0, 10 및 60분에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을 37℃에서 분광광도계로 453과 6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약물 봉입
친수성 약물(독소루비신, DOX)을 로딩시키기 위하여, PEG-BR 필름 3 mg을 300 ㎍의 독소루비신, 인산염 PBS(150 mM NaCl, 10 mM 인산염, pH 7.4)로 수화시켰다. 10분간 초음파 처리를 한 다음, 프리(free)한 독소루비신을 20 mM HEPES-버퍼 5% 글루코오스(HBG)가 구비된 세파덱스 CL-4B 컬럼(sigma-aldrich)을 이용한 겔 여과를 통하여 제거하였다. 전체 20개의 2 ㎖ 분획을 모으고, 각 용액을 동결건조시킨 다음, 200 ㎕의 아소토니트릴을 잔여물에 첨가하였다. 각 분획물의 독소루비신 형광을 형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소수성 약물(도시탁셀, DTX)을 로딩시키기 위하여, 400 ㎍의 DTX와 3 mg의 PEG-BR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질소가스 증기 하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더 건조시켜 PEG-BR과 DTX로 이루어진 필름 층을 형성시켰다. 인산염 PBS(150 mM NaCl, 10 mM 인산염, pH 7.4)로 필름 층을 수화시켰다. 프리 DTX를 원심분리 (8,000 rpm, 5분)를 이용한 침전법 및 막 필터(0.45 ㎛)를 이용한 여과법으로 간단히 제거하고, DTX 로딩된 BRNVS이 함유된 상청액을 사용하였다. DTX 로딩된 BRNVS(DTX/BRNVS)의 로딩된 DTX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100 ㎕의 DTX-로딩 BRNVS 현탁액을 감압 동결건조하고, 100 ul의 ACN을 잔여물에 첨가한 다음 막 필터(0.45 ㎛)로 여과하였다. 여과액 10 ㎕에서의 DTX 농도를 HPLC로 측정하였다.
봉입 효율과 약물 로딩 효율을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봉입 효율(%) = BRNVs 내 약물의 무게/초기 제공된 약물의 무게 X 100%
수학식 2
약물 로딩 효율(%) = BRNVs 내 약물의 무게/(BRNVs 내 약물의 무게 + 초기 제공된 PEG-BR의 무게) X 100%
빛 노출에 의한 약물 방출
추출법을 사용하여 PBS 버퍼에서 도시탁셀-로딩 BRNVs(DTX@BRNVs)의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약물 방출 프로파일의 측정을 위하여, DTX@BRNVs(1 mg/㎖, DTX 로딩 비율 10%)을 4개의 마이크로튜브에 동량으로 분주하였다. 이 마이크로튜브에 450 nm의 빛(10 mW/cm2, 10hz) 또는 650 nm의 빛(80 mW/cm2)을 조사하였다. 각 특정 시간(0, 1, 5 및 10분)에서, 4개의 마이크로튜브 중 하나를 취하고, 동일 볼륨의 클로로포름으로 10초간 추출한 다음 감압 동결건조하고, 100 ul의 ACN을 잔여물에 첨가한 후 막 필터(0.45 ㎛)로 여과하였다. 여과액 10 ㎕ 부분에서의 DTX 농도를 HPLC로 측정하였다.
PBS에서 독소루비신-로딩 BRNVs(DOX@BRNVs)로부터 빛 자극에 의한 봉입된 약물의 방출을 37℃에서 확인하였다. 약물 방출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하여, DOX@BRNVs(1 mg/ml, 10% DOX 로딩 비율)를 제조하였다. DOX@BRNVs에 450 nm (10 mW/cm2, 10 hz) 또는 650 nm (90 mW/cm2)의 빛을 조사하였다. 각 시간(0, 1, 3, 5 및 10분)마다, 용액으로부터 방출된 DOX의 양을 4800 nm 여기의 λmax 550 nm에서의 형광 방출로 모니터링 하였다.
BRNVs 의 형광 측정
0.5% 트리톤-X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BRNVs 용액(2 mg/ml)을 제조하고, 96-웰 블랙 플레이트에 로딩하였다. 방출 스펙트럼을 fluoromax fluorometer로 기록하였다. 용액을 450 nm에서 여기시키고, 방출을 측정한 다음 530 nm에서 800 nm까지 통합하였다(cut off: 515 nm). 용액을 650 nm에서 여기시키고, 방출을 측정한 다음 680 nm 에서 800 nm까지 통합하였다(cut off: 690 nm).
세포 배양
포유동물 CHO-K1 세포를 10%(v/v)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FBS), 100 IU/㎖ 페니실린 및 L-글루타민과 함께 RPMI1940 배지에서 37℃의 온도로 가습 5% CO2 조건에서 배양하고, A549 세포는 10% FBS가 보충된 Ham's F-12K 배지에서 37℃의 온도로 가습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HUVECs(Endothelial cell line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는 EGM2 배지(Lonza)에서 37℃의 온도로 가습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
650 nm의 레이저(5분, 90 mW/cm2)의 존재 혹은 부존재 하에서의 BRNVs 및 DOX@BRNVs의 세포이입(intracellular uptake)을 확인하기 위하여 공초좀 현미경 이미지를 얻었다. A549 세포(1 X 104/웰, 24-웰 플레이트)를 커버 스립 위의 배양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에 배양 배지, DOX(5 μg/ml), BRNVs(20 μg/ml), DOX@BRNVs(DOX; 5 μg/ml, BRNVs; 20 μg/ml) 또는 DOX@BRNVs(DOX; 5 μg/ml, BRNVs; 20 μg/ml) + 650 nm의 빛(5분, 90 mW/cm2)을 37℃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하고,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Sigma-Aldrich)로 염색하고 공초점 레이저-스캐닝 현미경(LSM 710; Carl Zeiss Microimaging, Jena,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여기 파장: 480 nm, 방출 파장: 530-670 nm).
MTT 분석( MTT assay )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환원 분석을 이용하여 CHO-K1 세포주에서 BRNVs의 세포보호 효과 및 빛 조사(450 nm)에 따른 DOX@BRNVs의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CHO-K1 세포를 7 X 103 세포/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배지에서 37℃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신선한 배지, 500 μM의 과산화수소 또는 500 μM의 과산화수소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다양한 농도의 BRNVs를 각 웰에 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A549 세포(0.7 X 103/웰, 96웰 플레이트)를 배지에서 37℃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에 신선한 배지(대조군), DOX(5 μg/ml), DOX@BRNVs (DOX; 5 μg/ml, BRNVs; 20 μg/ml), DOX@BRNVs(DOX; 5 μg/ml, BRNVs; 20 μg/ml) + 650 nm의 빛(5분, 90 mW/cm2) 또는 BRNVs(20 μg/ml)를 처리하고 1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이후,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신선한 배지에서 20시간 동안 더 인큐베이션 하였다. 다음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0 ㎕의 신선한 배지를 각 웰에 첨가하고, 20 ㎕의 MTT 용액(PBS에 용해된 5 mg/㎖)을 각 웰에 처리하였다. 포르마잔 결정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96웰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UVEC 세포주를 이용한 혈관 형성 분석
growh factor-reduced Matrigel(BD bioscience) 50 ㎕를 마트리젤이 잘 분배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부주하고, 정상 세포의 배양 플레이트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모세혈관 유사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한 환경을 HUVECs에 제공하는 젤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VEGF(20 ng/ml), BRNVs(25 μg/ml) 또는 VEGF(20 ng/ml) + BRNVs(2.5 μg/ml or 25 μg/ml)가 첨가된 EBM-2 배양 배지 내의 HUVEC 세포(7.5 X 104/웰)를 마트리젤의 상단에 위치시켰다. 37℃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동물 관리
암컷C57BL/6 마우스(6주령, 17-20 g, Orient bio, seoul, korea), ICR 마우스(6주령, 20-25 g) 또는 Balb/c 누드마우스(6주령, 20-25 g, Orient bio)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무병(pathogen-free) 조건(25℃)에서 사육하였다. 동물 사육은 한구과학기술원 동물 관리 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하였다. 모든 수술은 이소푸루란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BRNVs PK 프로파일
ICR 마우스(6주령, 20-25 g)에 꼬리 혈관을 통하여 DOX(4 mg/ml), BRNVs(40 mg/kg) 또는 DOX@BRNVs(DOX; 4 mg/kg, BRNVs; 40 mg/kg)를 정맥주사하고, 0.0167, 0.5, 1, 4, 8, 12 및 24시간 후에 희생시켰다. 1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액(450 ㎕)을 모으고, BD microtainer® tubes(BD biosciences)로 혼합하였다. 혈청에 MeOH(100 ㎕)를 첨가하고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샘플 내 프리 DOX을 HPLC로 확인하였다. BRNVs는 450 nm의 파장에서 UV/Vis 분광기로 확인하였다.
항염 효과 평가
C57BL/6 마우스를 우리 당 5마리씩 사육하고, 실험에 들어가기 전 일주일동안 순응시켰다. 마우스에 3.5%(w/v) DSS(25,000 달톤; Tokyo Industry Chemicals)가 보충된 물을 5일간 제공한 다음, 물을 10일간 제공하였다. 대조군 건강 마우스에는 오직 물만 제공하였다. 마우스를 매일 관찰하고, 체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1일에, 100 ㎕의BRNVs(125 mg/kg) 또는 PBS를 정맥주사로 투여하였다. 실험 마지막 날, 마취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전체 결장을 절제하였다. 결장 길이를 측정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원위 결장 1 cm를 4%(v/v) 버퍼 포르말린과 70%(v/v) 알코올에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하였다. 이후, 원위 결장의 조직 절편을 제조하고, H&E 염색하였다. 현미경을 사용하여 결장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심각도를 이전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스코어링 하였다(Garrett Ws et al (Cell 2010), Xiao-Dong Li et al (PNAS 2011)). 간단히 설명하면, 결장의 상피 손상을 다음과 같이 점수화 하였다: 0 = 정상; 1 = 과다증식, 비정상적 크립트(crypt) 및 배상세포 손실; 2 = 경도와 중증도 사이의 크립트 손실(10-50%); 3 = 심각한 크립트 손실(50-90%); 4 = 완전한 크립트 손실, 표면 상피 온전성(surface epithelium intact); 5 = 중소 크기의 궤양(<10 크립트 폭); 6 = 큰 궤양(≥10 크립트 폭). 염증세포의 침윤을 점막(0 = 정상, 1 = 경도, 2 = 중증도, 3 = 심각), 점막하조직(0 = 정상, 1 = 경도와 중증도 사이, 2 = 심각) 및 근육/장막(0 = 정상, 1 = 중증도와 심각 사이)에 대하여 스코어링 하였다. 상피 손상과 염증세포 침윤에 대한 점수를 더하여 0-12의 점수를 얻었다.
MPO 활성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측정
남아있는 결장 조직 샘플을 사용하여, 결장 조직 내 MPO(myeloperoxidase) 활성 및 IL-1 β, IL-6, IFN-γ 및 TNF-α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MPO 활성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Wilson et al. Nature materials 2010), 간단히 설명하면, MPO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결장 단편을 0.5% 헥사데실 암모늄 브로마이드가 함유된 1:10(w/v) 인산염 버퍼(pH 6.0)에서 4℃의 온도로 교반하였다. 10초간 초음파 처리한 후, 동결 융해를 세 번 하고, 각 샘플을 14,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청액 10 ㎕를 0.167 mg/㎖의 o-디이니시딘 염산염과 0.0005%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50 mM 포스페이트 버퍼(pH 6.0) 290 ㎕에 첨가하고, 460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5분 동안 측정하였다. MPO 활성의 1유닛을 25℃에서 1분에 1μM의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R&D)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IL-1β, IL-6, IFN-γ 및 TNF-α 농도를 측정하였다.
BRNVs 의 염증 부위 타겟팅 능력 평가
DSS 유도 마우스 대장염 모델(C57BL/6 마우스) 및 대조군인 건강한 마우스를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ICG를 BRNVS에 로딩하였다. 구체적으로, 5일째, 100 ㎕의 ICG@BRNVs(ICG; 17 μg, BRNVs; 340 μg)를 마우스에 정맥투여하였다. 6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주요 장기(대장, 신장, 간, 비장, 폐, 심장)을 모았다. 각 그룹에서 얻은 주요 기관의 형광 강도를 인 비보 이미징 시스템(5초의 노출시간)과 ICG 필터 채널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항암 활성 평가
A549 종양 세포주(1 X 106)를 6주령 암컷 BALB/c 누드마우스의 등쪽 옆구리에 피하주사 하여 종양의 부피가 최소 80-120 mm3인 종양을 갖는 종양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을 제조하였다. 종양을 갖는 마우스를 임의적으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day 0), 체중과 종양 크기 차이를 최소화한 다음, 각 그룹에 DOX(2 mg/kg), BRNVs(20 mg/kg), DOX@BRNVs(DOX; 2 mg/kg, BRNVs; 20 mg/kg), DOX@BRNVs(DOX; 2 mg/kg, BRNVs; 20 mg/kg) + 650 nm의 빛(5분간의 투여 후 30분간 조사, 200 mW/cm2), 또는 DPBS(대조군)를 미리 정해진 시간(0, 3, 6, 9, 12일)에 I.V 투여하였다. 각 날에, 각 그룹의 종양 부피를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종양 부피는 "(길이 X 폭 X 높이)/2"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BRNVs 의 독성 평가
건강한 마우스 또는 DSS 유도 대장염 마우스(6주령, C57/BL6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BRNVs(150 mg/ml) 또는 동량의 PBS를 꼬리를 통하여 주사하였다. 1주일 후, 마우스의 행동 변화와 체중을 모티터링 하였다. 이후, 마우스를 희생시킨 다음 주요 장기(간, 폐, 신장, 비장)을 모으고 독성을 분석하였다.
EPR 효과 평가
EPR 효과 평가를 위하여, A549 종양 세포주(1 X 106)를 6주령 암컷 BALB/c 누드마우스의 등쪽 옆구리에 피하주사 하여 종양을 갖는 누드마우스를 제조하였다. 3주 후, BRNVs(25 mg/kg) 또는 대조군으로서 PBS를 누드마우스의 꼬리에 정맥 주사하였다. 24시간 후, 누드마우스 각 그룹을 희생시키고, 주요 장기(간, 심장, 비장, 신장 및 폐)과 종양을 채취하고, 각 그룹의 주요 장기과 종양의 광학이미지를 인 비보 이미징 시스템(IVIS)을 사용하여 얻었다. 광학이미지는 5초의 노출시간 및 GFP 필터 채널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실험결과
페길화 빌리루빈 합성
빌리루빈의 두 개의 카르복실 그룹 중 하나와 mPEG2000-NH2를 컨쥬게이션하기 위하여, 말단 아민 그룹을 갖는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2000을 사용하였다. 클로로포름에서 EDC로 빌리루빈을 활성화시킨 후, PEG-BR을 얻기 위하여 TEA 및 mPEG2000-NH2를 첨가한 다음, 정제 과정을 통하여 PEG-BR을 수득하였다. MALDI-TOF(도 1), UV 스펙트럼(도 2) 및 1H-NMR(도 3)을 통하여 PEG-BR이 제대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BRNVs 제조
제조된 PEG-BR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여 필름 층 방법을 통하여 BRNVs을 제조하였다. PEG-BR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다음 질소 가스의 증기 하에서 건조시키고, 필름 층을 만들기 위하여 진공 상태에서 더 건조시키고, PBS를 필름 층에 첨가한 다음 10분간 초음파 처리를 하여 BRNVs을 제조하였다(도 4).
PEG-BR의 나노입자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크기, 제타전위 및 PBS에서 BRNVs의 SEM과 TEM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RNVs의 크기는 약 100 nm이었으며(도 5), 제타전위는 약 -30 mv이었다(도 6). BRNVs의 SEM 및 TEM 이미지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EG-BR의 양친매성 특성이 약 100 nm의 나노베지클을 형성시켰음을 보여준다.
BRNVs 의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BRNVs의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를 측정하였다. 도 8을 통하여, PEG-BR기준 100 nM(0.5 μg/ml) 이상에서부터 나노입자가 형성되어짐을 확인하였다.
BRNVs 의 안정성
상온에서 보관하는 동안의 PBS에서의 BRNVS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일 동안 BRNVs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나노입자의 응집 경향은 매우 낮았으며, 크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도 9).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보관 시 매우 안정함을 보여준다.
BRNVs 의 과산화수소 소거능 (항산화 활성)
PEG-BR 나노입자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다양한 농도의 빌리루빈 나노입자에 처리한 다음, 40분간 인큐베이션 한 후 남아있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형광 강도를 이용하는 HRP/dye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낮은 수준의 PEG-BR이 큰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소거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BRNVs의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준다.
BRNVs ROS -반응성 붕괴와 빛-반응성 붕괴
도 11 및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ROS, 650 nm와 450 nm 레이져 조사 하에서 굉장히 빠른 시간인 1분만에 나노입자가 붕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약물 봉입
빛 자극에 의하여 봉입 약물을 방출하는 BRNVs의 능력을 평가하기 전, PEG-BR나노입자의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의 봉입 능력을 조사하였다. 친수성 약물을 로딩시키기 위하여, 먼저 친수성 약물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PEG-BR 필름 층을 함유하는 바이알에 부었다. 나노입자 형성 후, 프리(free)한 친수성 약물 및 PEG를 컬럼 분리로 제거하였다. 실험 결과, 봉입 효율(encapsulation efficiency)은 약 100%이었으며, 약물 로딩 비율(Drug loading percentage)은 9.09%까지 확인되었다(도 13).
소수성 약물을 로딩시키기 위하여, 소수성 약물과 PEG-BR을 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클로로포름을 증발시켜 PEG-BR과 소수성 약물로 이루어진 필름 층을 얻은 다음, 상기 필름 층을 PBS 버퍼로 수화시켜 소수성 약물을 나노입자에 봉입시켰다. 비-봉입된 약물은 침전법 및 여과법으로 제거하였다. 실험 결과, 봉입 효율은 69.8%이었으며, 약물 로딩 비율은 8.5%까지 확인되었다(도 14).
빛 노출에 의한 약물 방출
나노입자의 빛 민감성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450 nm 레이저 조사 동안에 추출법을 사용하여 BRNVs에서 방출되는 약물을 측정하였다. 레이저 조사 후, 1분 만에 방출된 약물이 관찰되었으며, 약 100%의 약물이 5분 만에 방출 완료되었다(도 15 및 16). 또한, 본 발명자들은 BRNVs가 450 nm의 빛(청색 빛)뿐만 아니라, 650 nm의 빛(빨강 빛)에 의해서도 분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650 nm 레이저 조사 동안에 추출법을 사용하여 BRNVs에서 방출되는 약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이저 조사 후, 1분 만에 방출된 약물이 관찰되었으며, 약 100%의 약물이 5분 만에 방출 완료되었다(도 15 및 16). 이상의 결과는, BRNVs가 청색 빛과 빨강 빛 모두에 의해서 분해되고, 이에 의하여 봉입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BRNVs 의 형광 측정
BRNVs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만약 나노입자가 형성된다면, BRNVs의 빌리루빈 층의 형광은 자가소광 될 것이다. 측정 결과, 도 17a 내지 1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입자가 형성되었을 때와 나노입자가 붕괴되었을 때, 450과 650 nm의 여기 파장에서 형광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빛 조사에 의한 BRNVs ROS 생성능
나노입자가 청색 빛에 의하여 활성산소(ROS)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ROS 생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BRNVs의 색이 투명하게 변하였는데, 이는 레이저 조사 동안 빌리루빈의 감광성 효과(photosensitizing effect)에 의하여 산소로부터 생성된 ROS에 의하여 BRNVs의 빌리루빈 코어가 무색의 산화물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BRNVs가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ROS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BRNVS 의 세포 내 이입( 공초점 현미경 분석)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BRNVs가 세포 내로 이입되었고, 도 2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이져 조사 시 효과적으로 독소루비신의 방출이 일어나 프리(free)한 독소루비신이 세포핵으로 들어가는 것만큼 DOX@BRNVs가 독소루비신을 세포핵으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DOX@BRNVs가 레이져를 쬐지 않았을 때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MTT 분석 결과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BRNVs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22 및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RNVs는 효과적으로 ROS를 제거함으로써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24는 BRNVs가 ROS를 제거하며 세포를 살릴 때, 나노입자의 색깔이 투명해지는 것으로부터, 나노입자가 ROS를 제거할 때, 동시에 나노입자가 붕괴됨을 보여준다. 이는 약물을 내포한다면, 약물을 방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DOX@BRNVs는 항암 활성을 보여주었는데, DOX@BRNVs에 650 nm레이져를 쬐여주지 않았을 때는 나노입자 자체가 효과적으로 이입(uptake)되지 못함에 따라 독소루비신의 전달이 더디게 나타났고, 이로부터 free한 DOX만큼 항암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DOX@BRNVs를 처리하고 난 직후 5분 동안650 nm레이져를 쬐여주었을 때는 효과적으로 DOX를 방출하여 free한 DOX만큼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X@BRNVs는 항암 활성을 보여주었는데, DTX@BRNVs에 650 nm레이져를 쬐여주지 않았을 때는 나노입자 자체가 효과적으로 이입되지 못함에 따라 도데탁셀의 전달이 더디게 나타났고, 이로부터 free한 DTX만큼 항암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DTX@BRNVs를 처리하고 난 직후 5분 동안650 nm레이져를 쬐여주었을 때는 효과적으로 DTX를 방출하여 free한 DTX만큼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BRNVs 의 항-신생혈관형성 활성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BRNVs를 같이 처리하였을 때 관 형성이 덜 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BRNVs가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BRNVs PK 프로파일 분석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DOX보다 DOX@BRNVs가 혈중에 더 많이 존재하는 바, 나노입자가 독소루비신을 내포한 채 혈중을 잘 돌아다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RNVs를 찌른 후, 혈청의 450 nm의 흡광도로부터 BRNVs자체의 PK 프로파일을 조사한 결과, BRNVs가 혈중에서 긴 시간동안 돌아다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BRNVs 의 항염 효과
BRNVs의 항염 효과를 IBD 모델을 사용하여 인 비보에서 확인하였다. 인 비보 테스트 동안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마지막 날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결장을 채취하였다. 다음, 결장의 원위 부분(distal section)을 절개하고, 조직학적 샘플을 제조한 다음 결장 손상 스코어(colonic damage score)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염증 대조군에서 심각한 체중 감소가 5일째 나타났으나, 정상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BRNVs 그룹에서는 10일 동안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28). 또한, 염증 대조군의 결장 길이는 짧았으나, BRNVs의 결장 길이는 정상 그룹처럼 정상이었다(도 29). 또한, 도 30의 H&E 이미지를 보면, 정상 대조군은 결장 상피조직이 잘 조직화되어 있으며, 이는 점막층에 크립트(crypt)가 잘 형성이 되어있고, 더욱이 점막, 점막하조직층(submucsa), 근육 및 장막층에는 면역 세포 침윤이 없었으나, 염증 대조군은 현저한 결장 손상, 궤양 형성, 및 점막, 점막하조직층, 근육 및 장막층으로의 과도한 면역세포 침윤이 있었다. 그러나, BRNVs 그룹의 장조직은 정상 대조군의 장조직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었다(잘 조직화된 점막층, 면역세포의 비침윤). 또한, 결장의 상피 손상 스코어를 총 6점으로, 점막 면역세포 침윤을 총 3점으로, 점막 하 면역세포 침윤을 총 1점으로, 근육/장막층 면역세포 침윤을 총 1점으로 하여 결장 손상을 점수화한 결과(총 12점), BRNVs를 처리한 그룹의 장조직에서 염증 대조군에 비해서 염증스코어가 현저히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0).
염증과 관련된 MPO 활성 및 사이토카인 역시 확인하였다. 그 결과, MPO 활성 및 IL-1 β, IL-6, TNF-α, IFN-γ 수준은 염증군에서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BRNVs 처리군에서는 정상조직 수준으로 감소되었다(도 31a 내지 31c).
이상의 결과는, 본 발명의 BRNVs가 DSS 유도 대장염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BRNVs 의 염증 부위 타겟팅 능력
우선 ICG가 나타내는 형광값으로부터 네 가지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첫째는 나노입자 자체가 간에 이입되었을 가능성이다. 두 번째는 ICG를 일반적으로 혈중에 찔렀을 경우, 간으로 주로 배설이 되는데, ICG가 혈중을 돌면서 나노입자로부터 방출이 되어 간으로 방출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는 간에서 DSS에 의해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네 번째는 ICG가 로딩된 나노입자가 leaky한 대장의 모세혈관을 통하여 대장의 염증부위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ICG가 ROS에 의해서 빠르게 방출이 되어 대장의 점막하층 부위에 존재하게 되고, 이 ICG는 다시 간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도달 및 방출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첫 번째, 두 번째의 경우는 염증이 일어나지 않은 동물모델의 경우에서 간에서 낮은 형광값이 관찰되므로 이론적으로 맞지 않다(도 32a). 그리고 세번째의 설명은 H&E 이미지에서 보이다시피, 간에 DSS염증모델에서 염증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맞지 않다(도 32b). 그러므로 네번째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본 실험결과는 빌리루빈 나노입자(BRNVs)가 염증조직에 선택적으로 도달한 후, ROS에 의해 ICG를 방출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BRNVs 의 항암 활성
도 33의 결과로부터 독소루비신이 로딩되거나 되지않은 나노입자가 항암효능에 있어서 free 소루비신에 비해 뛰어난 효능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이져를 암에 조사한 DOX@BRNVs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레이져를 조사하지않은 DOX@BRNVs보다 암의 성장을 더욱 억제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나노입자가 혈중에 남아있다가, EPR 효과에 의해서 암조직으로 도달하고, 이때 도달한 모든 나노입자가 남아서 약물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나노입자만이 암조직에 남아있고 나머지는 다시 빠른 혈류를 따라 빠져나간다. 이를 레이져를 조사해줌으로써 나노입자가 암조직에서 혈중으로 다시금 재빠르게 빠져나가기 전에 약물을 방출함으로써, 훨씬 더 고농도의 독소루비신을 암조직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서 레이져를 조사하였을 때 훨씬 더 효과적인 항암 효능이 얻어졌으리라 추측된다. 뿐만 아니라, 빌리루빈 나노입자 자체만으로도 항암 효능이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ROS를 제거함에 따른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BRNVs 의 독성 평가
도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용량의 나노입자를 찌른 후, 7일 동안 심각한 체중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고, 7일 뒤 주요장기를 적출한 뒤 H&E 이미지를 찍어본 결과, 도 35와 같이 뚜렷한 염증의 지표가 관찰이 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BRNVs가 신체에 대하여 안전성을 가짐을 규명하였다.
BRNVs EPR 효과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암 환경(tumor environment)의 해부학적 구조(anatomy) 및 생리(physiology)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EPR 효과에 의하여 PEG-BR 나노입자가 종양 조직에서 축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BRNVs 처리 그룹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종양 조직에서의 형광 강도가 훨씬 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RNVs가 종양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3)

  1. 빌리루빈; 및 상기 빌리루빈에 결합된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자기-조립(self-assembled)하여 형성된 빌리루빈 나노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수계에서 자기-조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1 nm 내지 5,00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운반대상(cargo)을 봉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에 의하여 와해(disassembly 또는 disruption)되어 봉입된 운반대상을 주위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활성산소에 의하여 와해(disassembly 또는 disruption)되어 봉입된 운반대상을 주위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빛에 의하여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신생혈관형성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빌리루빈의 카르복실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측쇄 또는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생체적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산염)(poly[acryl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에스테르)(poly[vinyl ester]),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스티렌(polystryene), 폴리옥사이드(polyoxide), 셀룰로오스(cellulose), 전분(starch), 폴리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일렉트로라이트(polyelectrolyte), 폴리(1-니트로프로필렌)(poly[1-nitropropylene]), 폴리(N-비닐피롤리돈)(poly[N-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아민(poly[vinyl amine]),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beta-hydroxyethylmethacrylate] ),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에틸렌옥시드-b-프로필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콜라겐, 키토산, 젤라틴, 아카시아 검, 덱스트란, 피브린, 히알루론산, 펙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잔탄(Xanthan) 및 알지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2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6. (a)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광 자극을 통한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항암제를 봉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a)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봉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a)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3. (a) 빌리루빈에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를 클로로포름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로로포름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제거하여 빌리루빈-친수성 고분자 복합체 필름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필름 층에 친수성 용매를 처리하여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자기-조립(self-assemble)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20140190881A 2013-12-27 2014-12-26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KR101681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5718 2013-12-27
KR1020130165718 201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436A true KR20150079436A (ko) 2015-07-08
KR101681299B1 KR101681299B1 (ko) 2016-12-05

Family

ID=5347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81A KR101681299B1 (ko) 2013-12-27 2014-12-26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904019B2 (ko)
EP (1) EP3088353B8 (ko)
KR (1) KR101681299B1 (ko)
DK (1) DK3088353T3 (ko)
ES (1) ES2774035T3 (ko)
HR (1) HRP20200256T1 (ko)
HU (1) HUE047912T2 (ko)
PL (1) PL3088353T3 (ko)
PT (1) PT3088353T (ko)
WO (1) WO201509949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727A (ko) * 2017-05-12 2018-11-21 한국과학기술원 빌리루빈 유도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입자
WO2019151827A1 (ko) * 2018-02-05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빌리루빈 유도체 기반의 진단 및 치료용 초음파 조영제
KR20220102524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과학기술원 키토산-빌리루빈 접합체를 포함하는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4010353A1 (ko) * 2022-07-05 2024-01-11 주식회사 빌릭스 페길화된 빌리루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8228B (zh) * 2018-09-17 2022-10-04 天津大学 肿瘤自靶向光致异构纳米载体及其制备方法
US20220127528A1 (en) * 2019-01-22 2022-04-28 Purdue Research Foundation Bilirubin-coated radio-luminescent particles
US20220142980A1 (en) * 2019-02-25 2022-05-12 The University Of Toledo Pegylated bilirubin for the treatment of hyperlipidemia, obesity, fatty live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ype ii diabetes
CN112618730A (zh) * 2019-09-24 2021-04-09 天津大学 一种活性氧响应性纳米药物-基因共递送体系及其制备方法
CN112023060B (zh) * 2020-09-16 2023-06-13 上海市第一人民医院 一种靶向软骨具光热响应特征的双药负载纳米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72392B (zh) * 2021-03-10 2022-06-21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胆红素纳米颗粒及其制备和应用
CN115317437B (zh) * 2021-05-11 2023-09-08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基于胆红素纳米材料的胰岛素递送微针及其制备方法
WO2023018214A1 (ko) 2021-08-11 2023-02-16 주식회사 빌릭스 빌리루빈의 합성 방법
CN117813301A (zh) 2021-08-11 2024-04-02 株式会社毕丽斯 胆红素的合成方法
WO2023018217A1 (ko) 2021-08-11 2023-02-16 주식회사 빌릭스 빌리루빈의 합성 방법
CN117836290A (zh) 2021-08-11 2024-04-05 株式会社毕丽斯 胆红素的合成方法
WO2023018215A1 (ko) 2021-08-11 2023-02-16 주식회사 빌릭스 빌리루빈의 합성 방법
KR102553484B1 (ko) 2021-08-11 2023-07-10 주식회사 빌릭스 빌리루빈의 합성 방법
CN114767839A (zh) * 2021-10-28 2022-07-22 严然 一种纳米复合物及应用
CN114181286A (zh) * 2021-11-01 2022-03-15 清华大学 一种纳米蛋白复合物、药物递送系统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073A (en) * 1989-10-05 1991-04-23 The Rockefeller University Use of liposomes as carriers for metalloporphyrins
US6916488B1 (en) 1999-11-05 2005-07-12 Biocure, Inc. Amphiphilic polymeric vesicles
GB0004549D0 (en) 2000-02-25 2000-04-19 Isis Innovation Degradation fragments
CA2466103C (en) 2001-11-02 2010-06-15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Micelle compositions containing pegylated phospholipids and a photosensitizer
US9205047B2 (en) * 2005-04-25 2015-12-08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Tunable sustained release of a sparingly soluble hydrophobic therapeutic agent from a hydrogel matrix
US20070032842A1 (en) * 2005-08-03 2007-02-08 Strong Nathan R Phototherapy Device for Treating Hyperbilirubinemia
KR20080095130A (ko) * 2007-04-23 2008-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H 민감성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제조 및응용
US20110022129A1 (en) 2007-11-05 2011-01-27 Prud Homme Robert K Nanoparticles for photodynamic therapy
US20100196481A1 (en) * 2008-09-25 2010-08-05 Invivo Therapeutics Corporation Spinal cord injury, inflammation, and immune-disease: local controlled release of therapeutic agents
JP5849947B2 (ja) * 2010-03-29 2016-02-03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放出制御医薬組成物
SG194862A1 (en) * 2011-05-24 2013-12-30 Agienic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timicrobial metal nanoparticles
US20130345614A1 (en) 2012-06-22 2013-12-26 Viraj P. Mane Device for extracorporeal photo-isomerization for hyperbilirubinemia,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6, 342, 1279-1283.* *
Biochemistry 2004, 43, 15617-15632.* *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80, 255(177), 8192-8198.*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727A (ko) * 2017-05-12 2018-11-21 한국과학기술원 빌리루빈 유도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입자
WO2018208137A3 (ko) * 2017-05-12 2019-03-28 한국과학기술원 빌리루빈 유도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입자
KR20210059683A (ko) * 2017-05-12 2021-05-25 주식회사 빌릭스 빌리루빈 유도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입자
US11896681B2 (en) 2017-05-12 2024-02-13 Bilix Co., Ltd. Particles comprising bilirubin derivative and metal
WO2019151827A1 (ko) * 2018-02-05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빌리루빈 유도체 기반의 진단 및 치료용 초음파 조영제
US11571486B2 (en) 2018-02-05 2023-02-07 Bilix Co., Ltd. Bilirubin derivative-based diagnostic and therapeutic ultrasound contrast agent
KR20220102524A (ko) * 2021-01-13 2022-07-20 한국과학기술원 키토산-빌리루빈 접합체를 포함하는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2154544A1 (ko) * 2021-01-13 2022-07-21 한국과학기술원 키토산-빌리루빈 접합체를 포함하는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4010353A1 (ko) * 2022-07-05 2024-01-11 주식회사 빌릭스 페길화된 빌리루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088353T3 (da) 2020-02-24
ES2774035T3 (es) 2020-07-16
EP3088353A4 (en) 2016-12-28
EP3088353B8 (en) 2020-04-08
KR101681299B1 (ko) 2016-12-05
US11904019B2 (en) 2024-02-20
PL3088353T3 (pl) 2020-07-13
EP3088353A1 (en) 2016-11-02
EP3088353B1 (en) 2019-12-18
WO2015099492A1 (ko) 2015-07-02
HRP20200256T1 (hr) 2020-11-13
US20240082408A1 (en) 2024-03-14
PT3088353T (pt) 2020-02-24
US20170028076A1 (en) 2017-02-02
HUE047912T2 (hu)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99B1 (ko) 빌리루빈 나노입자,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Zhang et al. A superoxide dismutase/catalase mimetic nanomedicine for targeted therap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n et al. Photodynamic PEG-coated ROS-sensitive prodrug nanoassemblies for core-shell synergistic chemo-photodynamic therapy
Dai et al. Photosensitizer enhanced disassembly of amphiphilic micelle for ROS-response targeted tumor therapy in vivo
Hu et al. Complete regression of breast tumour with a single dose of docetaxel-entrapped core-cross-linked polymeric micelles
Mondon et al. MPEG‐hexPLA micelles as novel carriers for hypericin, a fluorescent marker for use in cancer diagnostics
KR102099516B1 (ko)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암세포 표적 기능을 갖는 가교 마이셀,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won et al. Nanoreactor for cascade reaction between SOD and CAT and its tissue regeneration effect
Wang et al. ROS-responsive amphiphilic block copolymer-drug conjugate: Design, synthesis and potential as an efficient drug delivery system via a positive feedback strategy
KR102395946B1 (ko) 마이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
US20220378712A1 (en) Hybrid membrane camouflaged nanomedicine loaded with oxidative phosphorylation inhibito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4522452B2 (ja) 高分子型癌治療用医薬およびその製造方法
Zhou et al. Collagenase-I decorated co-delivery micelles potentiate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and hepatic stellate cell targeting for liver fibrosis therapy
Zhou et al. Manganese carbonyl-loaded hollow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coated with neutrophil membranes for acute kidney injury therapy
CN111315399B (zh) 用于药物递送的葡萄糖敏感性组合物
JP5808107B2 (ja) 細胞特異的能動集積性を有する光線力学療法剤
JP2021020876A (ja) がん療法用のt−PA含有ポリマー組成物
CN113330056A (zh) 基于花青的末端树枝状共聚物及其治疗癌症的用途
Zhang et al. Development of ligand modified erythrocyte coated polydopamine nanomedicine to codeliver chemotherapeutic agent and oxygen for chemo-photothermal synergistic cancer therapy
Le et al. Investigat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urcumin-loaded silica-containing redox nanoparticles
Liu et al. A dual-sensitive nanoparticle-mediated deepening synergistic therapy strategy involving DNA damage and ICD stimuli to trea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N113769112A (zh) 一种基于GOQDs的pH响应型仿生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应用
KR102329966B1 (ko) 양친성 고분자 화합물,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및 종양 치료 시스템
EP4057997B1 (en) Nanoparticles for medical and diagnostic applications
CN114377141B (zh) 一种药物递送载体及其抗肿瘤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