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458A -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458A
KR20150077458A KR1020157013203A KR20157013203A KR20150077458A KR 20150077458 A KR20150077458 A KR 20150077458A KR 1020157013203 A KR1020157013203 A KR 1020157013203A KR 20157013203 A KR20157013203 A KR 20157013203A KR 20150077458 A KR20150077458 A KR 2015007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iner
container body
multilayer sheet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6Making non-permanent or releasabl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 B29C66/24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 B29C66/2424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forming a quadrilateral
    • B29C66/2424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forming a quadrilateral forming a rect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8Leaving the burrs unchanged for providing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joint, e.g. as decorative effect
    • B29C66/3284Leaving the burrs unchanged for providing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joint, e.g. as decorative effect for weakening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29C66/3452Making complete joints by combining parti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29C66/5346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29C66/53461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joining substantially flat covers and/or substantially flat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 B29C66/7234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for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2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 B29C66/8142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being conv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6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sonotrodes, 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counter-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anvils, said plurality of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itable for making a singl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78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29C66/91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 B29C66/919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 B29C66/919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91933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higher than said fusio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characterized by specific pressure, force, mechanical power or displacement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 B29C66/94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characterised by specific time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베이스층(13), 중간층(12), 표면층(11)을 이들의 순으로 구비한 다층 시트(10)에 있어서의 중간층(12)의 두께 치수를 35㎛ 이상 100㎛ 이하로,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tanδ)의 값을 0.18 이상 0.50 이하로 한다. 당해 다층 시트(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 형상의 용기 본체와 덮개재를 환 형상 시일반으로 히트 시일한다. 환 형상 시일반의 시일부에, 내주연에 R 가공된 곡면부와, 당해 곡면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외주연측에 피 히트 시일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부를 설치한다. 곡면부의 곡률 반경(R)을 0.5H보다 크게 한다. 얇은 다층 시트(10)로부터 성형한 용기 본체에서도, 히트 시일부의 내주연 근방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밀봉성이 높고 개봉이 용이한 개봉 용이성 용기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MULTILAYER SHEET, WORKPIECE,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I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류의 포장 형태로서는, 용기의 내부에 식품류의 수납부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연에 플랜지부를 형성한 용기 본체와 필름 형상의 덮개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덮개 부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덮개 부착 용기는, 용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류를 안전하게 보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용기 본체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이러한 히트 시일에 의해 형성된 시일부를 박리되기 어렵게 하는 것과 같은 높은 밀봉성이 필요해짐과 함께, 덮개재를 개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덮개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박리 가능하게 하는,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의 상반되는 특성을 동시에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을 구비한 용기로서, 용기 본체와 덮개재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덮개재의 시일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응집 파괴되어 덮개재를 개봉 가능하게 하고, 히트 시일하는 시일부의 내주연에, 용기 본체의 표면층, 당해 표면층에 인접하는 표하층 및 덮개재의 시일층의 구성 수지로부터 혹 형상으로 수지 저류부를 형성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6128호 공보
그런데, 최근의 용기의 경량화, 리사이클성 등의 관점에서, 용기의 박육화가 요망되고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얇은 용기의 경우에는 충분한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없어, 얻어진 용기에 대해 높은 밀봉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얇은 부재라도 히트 시일에 의한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히트 시일 부분의 접착성의 강약을 적절하게 설정 가능한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다층 시트이며, 적어도 1층의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당해 1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 시트의 적어도 1층을, 두께 치수 35㎛ 이상 100㎛ 이하,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을 0.18 이상 0.50 이하로 하므로, 당해 다층 시트를 얇게 형성하여 히트 시일하는 경우라도, 당해 층의 재료가 양호하게 유동하여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적절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의 대소 등에 의해 실시 저류부가 형성된 테두리측에 있어서의 히트 시일 부분의 접착성 강약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 치수가 35㎛보다 얇아지면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100㎛보다 두꺼워지면 막 제조시의 비용 증가라고 하는 문제를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tanδ의 값이 0.18보다 작아지면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하고, 0.50보다 커지면 공압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다층 시트의 외관 이상이 발생하여, 적합하게 다층 시트를 제조할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손실 탄젠트 tanδ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DMS)이다. 그리고, 구성 재료인 수지의 손실 탄젠트 tanδ는, 사용하는 원료의 배합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께 치수 및 손실 탄젠트 tanδ의 층 이외의 다른 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각종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 및 이들의 블렌드 재료 등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 산소를 차단하는 수지를 사용한 층을 형성함으로써, 산소 투과 차단성을 구비한 적층 시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 구조가 4층 이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두께 치수 및 손실 탄젠트 tanδ의 층 외에,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적층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치수 및 손실 탄젠트 tanδ의 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층이 아닌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적어도 1층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에 면하는 표면층이 아닌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기 등으로 성형되었을 때의 히트 시일한 부분의 박리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지 저류부가 형성된 측의 대(對)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층에 인접한 층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적어도 1층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에 면하는 표면층에 인접한 층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트 시일되었을 때의 표면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박리층, 표하층, 기재층을 이들의 순으로 구비한 다층 시트이며, 상기 표하층은,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박리층, 표하층, 기재층을 차례로 구비한 다층 시트에 있어서의 표하층을, 두께 치수 35㎛ 이상 100㎛ 이하,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을 0.18 이상 0.50 이하로 하므로, 당해 다층 시트를 얇게 형성하여 히트 시일하는 경우라도,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가 형성된 측의 대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용기 등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산소나 수분과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어, 각종 봉입 재료에 대응하는 포장 주머니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두께 치수가, 200㎛ 이상 2000㎛ 이하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치수를 200㎛ 이상 2000㎛ 이하로 함으로써, 용기 등의 성형물로서 필요 최소한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사용하는 재료가 많아지는 것에 의한 제조 비용(원료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 치수가 200㎛보다 얇아지면 용기 등의 성형물로서의 강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고, 두께 치수가 2000㎛보다 두꺼워지면 많은 재료가 필요해져 제조 비용(원료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가공물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얇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라도 히트 시일한 경우의 피 시일 부재와의 접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층 시트를 가열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 시트의 성형으로서 가열을 이용하므로,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가 형성된 측의 대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용기 등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전술한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공압출 성형, 라미네이트 가공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라미네이트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익스트루젼 라미네이트, 핫 멜트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컵 형상이나 트레이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젤리 용기, 푸딩 용기, 내용물의 색채를 보여주는 용기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얇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라도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가 형성된 측의 대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용기 등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피포장물 수납용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피포장물 수납용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랜지부 상에서 예를 들어 덮개재와 시일되었을 때, 수지 저류부 형성에 의한 밀봉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형상은, 컵 형상 혹은 트레이 형상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의 형상을 컵 형상 혹은 트레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일반적인 충전 시일 장치에 의해 히트 시일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덮개재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접착된 포장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본 발명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재가 플랜지부에 있어서 접착되는 용기 본체에, 본 발명의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얇은 용기 본체라도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가 형성된 측의 대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덮개재를 겹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해, 내주연에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가 형성된 환 형상 시일반이며, 외주연이 당해 환 형상 시일반의 선단보다 덮개재에 늦게 접하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환 형상 시일반을 상기 덮개재 상부로부터 압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환 형상 시일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에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재를 환 형상으로 히트 시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 용기를 얇게 성형해도, 히트 시일에 의해 충분한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히트 시일의 높은 대 박리 강도가 얻어져, 밀봉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일반이라 함은, 피 시일면에 압력, 온도를 가하여 용접하는 반 형상의 기구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가 용기 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2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2층의 구성 수지로부터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를 형성함으로써, 개봉성과 밀봉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가 덮개재의 시일층의 구성 수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재의 시일층의 구성 수지를 더 포함하여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를 형성함으로써, 개봉시에 덮개재를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 형상 시일반은, 환 형상의 시일부와 기반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부는, 내주연에 곡면 가공된 곡면부와, 당해 곡면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외주연측에 피 히트 시일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면부의 곡률 반경 R은, 상기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까지를 거리 H로 하였을 때, 0.5H보다 큰 구성으로 하면, 얇은 부재를 히트 시일하는 경우라도, 넓은 면적에 걸쳐 수지를 유동시킴으로써 시일부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히트 시일 부분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수지 저류부가 설치된 측의 대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밀봉성이 높은 히트 시일을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얇게 성형해도, 히트 시일에 의해 충분한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히트 시일의 높은 밀봉성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다층 시트의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다층 시트를 사용한 개봉 용이성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덮개재로 밀봉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b는 도 1의 다층 시트를 사용한 개봉 용이성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개봉 개시부로부터 덮개재를 개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의 개봉 개시부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의 시일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히트 시일시의 환 형상 시일반과 플랜지부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상기 환 형상 시일반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시험예 2에서 실시한 환 형상 시일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다층 시트로서 포장 용기의 용기 본체로 성형하는 구성을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층 시트의 구성]
도 1에 있어서, 부호 10은 다층 시트로, 다층 시트(10)는 표면층(11)과, 이 표면층에 인접한 중간층(12)과, 베이스층(13)의 3층이 순차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들 3층 중 적어도 1층의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3 이상 0.35 이하이다.
여기서, 두께 치수가 35㎛보다 얇아지면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100㎛보다 두꺼워지면 막 제조시의 비용 증가라고 하는 문제를 발생하므로, 상기 두께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보다 작아지면 히트 시일의 테두리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0.50보다 커지면 공압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다층 시트의 외관 이상이 발생하여, 적합하게 다층 시트를 제조할 수 없으므로, 상기 값의 범위로 설정된다.
여기서, tanδ의 값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폴리에틸렌이나 엘라스토머의 배합비를 바꾸거나,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배합 비율을 바꾸거나 하는 등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적어도 일부를 랜덤 폴리프로필렌으로 변경하거나 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배합 비율을 많게 함으로써 tanδ의 값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보다도 tanδ의 값이 높은 폴리에틸렌이나 엘라스토머를 첨가함으로써, tanδ의 값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폴리프로필렌보다도 입체 규칙성이 높은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tanδ의 값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층 시트(10)를, 후술하는 개봉 용이성 용기의 용기 본체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두께 치수 및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은, 표면층(11)이 아닌, 표면층(12)에 인접한 층,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층(12)으로 하는 것이, 개봉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히트 시일 부분에 있어서의 대 박리 강도를 수지 저류부의 대소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히트 시일 부분의 접착성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용기의 경우에는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층 시트(10)를 후술하는 용기 본체에 이용하는 경우, 다층 시트(10)의 표면층(11)을 구성 가능한 수지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나 스티렌그래프트프로필렌 수지 중 적어도 1개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블렌드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나 스티렌그래프트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다층 시트(10)를 후술하는 용기 본체에 이용하는 경우, 베이스층(13)은 용기 본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층으로 되는 층이며,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재료 및 이들의 블렌드 재료의 단층 또는 적층체나, 또한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등의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 증착 등으로 형성된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개봉 용이성 용기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다층 시트(10)를 사용한 개봉 용이성 용기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일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2a는 덮개재(3)로 밀봉된 상태, 도 2b는 개봉 개시부(4)로부터 덮개재(3)를 개봉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도 2a, 도 2b의 개봉 개시부(4)의 단면도이다.
개봉 용이성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덮개재(3)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에 대해 덮개재(3)를 적재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의 주연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덮개재(3)를 히트 시일하여, 환 형상의 히트 시일부(26)[도 3에 도시하는 환 형상 시일반(7)으로 형성되는 히트 시일부(262)와 환 형상 시일반(7a)으로 형성되는 히트 시일부(261)]가 형성되고,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내부가 밀봉 상태로 된다.
한편, 밀봉 상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7, 8 참조),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코너부에 설치된 개봉 개시부(4)에 있어서 덮개재(3)를 상부(도 2b의 화살표 방향)로 인상하도록 하면, 개봉 용이성 용기(1)가 간편하게 개봉된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되는 용기 본체(2)는, 상기 다층 시트(10)를 성형, 구체적으로는 가열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층 시트(10)의 표면층(10)이 박리층(21)에, 중간층(12)이 표하층(22)에, 베이스층(13)이 기재층(23)에 상당하고, 박리층(21), 표하층(22), 기재층(23)의 3층이 이들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또한, 당해 용기 본체(2)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이며,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24)를 갖고, 당해 개구부(24)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부(2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도 7에 도시하지만,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파괴되는 응집 박리에 의해 개봉된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의 두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6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500㎛ 이하로 한다.
여기서,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가 200㎛보다 얇아지면 용기로서의 강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고, 2000㎛보다 두꺼워지면, 많은 재료가 필요해져 제조 비용(원료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덮개재(3)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외부에 나타나는 기재층으로서의 외층(32)과,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히트 시일되는 실란트층인 시일층(3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히트 시일되는 덮개재(3)의 시일층(31)은,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파괴되어 박리되는 개봉 형태로, 당해 박리층(21)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이나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재(3)를 구성하는 외층(3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2축 연신 나일론 필름(O-N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박리층(21)을 용기 본체(2)에, 또한 시일층(31)을 덮개재(3)에 채용하여 양자를 히트 시일한 경우에 있어서는, 양 층(21, 31)이 융착되는 한편, 개봉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박리되어, 개봉이 양호하게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개봉 용이성 용기(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5) 상에 있는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도 3 참조)에, 용기 본체(2)의 표하층(22), 박리층(21) 및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 방향으로 밀려나오도록 하여,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저류부(6)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수지 저류부(61), 표하층(22)의 수지 저류부(62) 및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수지 저류부(63)가 집중되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박리되는 개봉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에 이러한 수지 저류부(6)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 용기로서 높은 밀봉성을 구비한 것에 더하여, 응집 박리에 의한 개봉 형태를 채용하여 개봉 용이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당해 수지 저류부(6)에 있어서의 덮개재(3)와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의 절단이 간편하게 행해짐과 함께, 내압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응집 파괴에 의한 개봉되기 쉬운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밀봉성의 향상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플랜지부(25) 상면에 있는 환 형상의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의 전체 둘레에 상기한 수지 저류부(6)가 있고,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개시부(4)에 있는 환 형상의 히트 시일부(26)의 외주연은 플랫, 혹은 내주연 근방 X에 있는 수지 저류부(6)보다 작은 수지 저류부밖에 없고, 용기 본체(2)의 개봉 개시부(4)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환 형상의 히트 시일부(26)의 외주연 전체 둘레에도, 내주연 근방 X에 있는 상기 수지 저류부(6)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도시하지 않은 수지 저류부가 있는 개봉 용이성 용기(1)가 고밀봉성,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개시부(4) 이외로부터의 덮개재(3)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환 형상 시일반(7, 7a)을 구비한 시일 장치(70)를 사용한다.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재(3)를 융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밀봉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덮개재(3)를 겹치고, 이 덮개재(3)의 상면으로부터, 시일 장치(70)의 가열 상태의 환 형상 시일반(7)(도 4 참조)을 압박함으로써 히트 시일이 실시되는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개봉 개시부(4)의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에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개봉 개시부(4)의 시일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재(3)의 히트 시일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덮개재(3)를 겹치고, 당해 덮개재(3)의 상부로부터, 가열 상태의 환 형상 시일반(7)을 도 4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실시되고,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나타난 박리층(21)과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융착된다.
또한, 도 5는 히트 시일시에 있어서의 환 형상 시일반(7)과 플랜지부(25)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또한 도 6은 환 형상 시일반(7)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 형상 시일반(7)은, 환 형상의 시일부(7A)와, 기반부(7B)를 구비하고 있다. 환 형상 시일반(7)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구리 등의 전열성을 갖는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반부(7B)의 두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일 장치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일부(7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표주박형, 눈물형 등, 목적으로 하는 용기의 플랜지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시일부(7A)는, 플랜지부(25)의 상면에 대해 내주연에 R 가공이 실시되어, 외주연이 환 형상 시일반(7)의 선단[도 6의 선단(73)]보다 늦게 덮개재(3)에 닿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A[환 형상 시일반(7)의 선단(73)이기도 함]를 사이에 두고, 외주연측에는, 단면이 경사 형상으로 되는 경사면부로서의 경사면부(71)가, 또한 내주연측에는,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72)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연측에 형성되는 경사면부(71)에 있어서의, 도 5와 같이 플랜지부(25)에 대해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을 향해 형성되게 되는 경사각, 즉 피 시일면으로 되는 수평면 Y에 대한 경사면부(71)의 각도(θ)는 환 형상 시일반(7)의 폭인 거리 H에 따라 다르지만, 2°이상 20°이하, 바람직하게는 3°이상 1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이상 12°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부(71)의 각도가 2°보다 작으면, 히트 시일시에 압박한 경우라도, 상기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지 저류부(6)가 히트 시일부(26)의 외주연 근방에도 형성되기 쉬워지고, 얻어진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시에 있어서의 히트 시일부(26) 외측에서 저항이 커져,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경사면부(71)의 각도가 20°를 초과하면, 경계 A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뾰족하게 되어 버려, 시일시 혹은 개봉시에 덮개재(3)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개봉 용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에 내주연측에 형성되는 곡면부(72)에 실시되는 R 가공으로서는 환 형상 시일반(7)의 폭 H에 따라 다르지만, 곡률 반경 R이 0.5H보다 큰 값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H 이상 0.75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H 이상 0.73H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65H 이상 0.70H 이하이다. 이러한 곡률 반경 R이 0.5H 이하로 되면, 선택적으로 내주연측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곡률 반경 R이 0.75H보다 커지면 히트 시일시에 덮개재(3)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히트 시일 조건의 설정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여기서, 환 형상 시일반(7)에 대해 이들 경사면부(71) 및 곡면부(72)는, 경계 A가 환 형상 시일반(7)의 단면 폭 방향에 대해 내측 부근(내주연 부근)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 A가 환 형상 시일반(7)의 단면 폭 방향에 대해 내측이면, 환 형상 시일반(7)의 내주연측에 곡면부(72), 당해 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연측에 경사면부(71)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히트 시일시에 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연측보다 선단(73)이 먼저 덮개재(3)와 접하는 것[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연이 선단(73)보다 덮개재(3)에 늦게 접하는 것]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먼저 접한 내주연측의 개구부(24)측에 대해 수지 저류부(6)가, 내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폭 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8㎜ 이상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 이하를 적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개시부(4)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환 형상 시일반(7)의 내주연, 외주연의 전체 둘레에, 상기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72)가 형성되어 있고,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개시부(4)에 대응하는 환 형상 시일반(7)의 부위는, 내주연에 상기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72)가 형성되어 있어, 외주연이 환 형상 시일반(7)의 선단(73)보다 덮개재(3)에 늦게 접하도록 된 형상을 갖는 환 형상 시일반을 사용하면, 고밀봉성,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개시부(4) 이외로부터의 덮개재(3)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곡률 반경 R을 0.5H보다 큰 값으로 함으로써, 표하층(22)의 두께 치수가 100㎛보다 얇은 구성이라도, 충분한 크기의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할 수 있어, 고밀봉성,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개시부(4) 이외로부터의 덮개재(3)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은 도 2a,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둘레 형상의 히트 시일부(26)를 일체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한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환 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한 환 형상 시일반(시일 링)으로 해도 되고, 또한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개시부(4)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당해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형성한 환 형상 시일반(시일 링)으로 해도 된다.
[개봉 용이성 용기의 제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형상의 환 형상 시일반(7)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재(3)를 히트 시일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환 형상 시일반(7)에 있어서의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의 경계 A에 대응하는 선단(73)이 덮개재(3)에 접하고, 그 후, 당해 경계 A의 내주연측에 형성된 곡면부(72)가 덮개재(3)의 내측을 향해, 또한 경계 A의 외주연측에 형성된 경사면부(71)가 덮개재(3)의 외측을 향해 압박해 간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당해 박리층(21)과 인접하는 표하층(22)의 수지 성분은, 상기한 경계 A의 하부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밀어내어져, 플랜지부(25)의 환 형상 시일반(7)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 즉, 용기 본체(2)의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로 융기된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61, 62)를 형성하고, 또한 덮개재(3)의 시일층(31)도 추종하여 수지 저류부(63)를 형성하여, 이들이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나타난 박리층(21)과,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히트 시일되어, 양자가 융착되게 된다.
여기서, 시일 조건으로서, 시일 온도로서는, 히트 시일되는 재료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지만, 표하층(22)의 용융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 일반적으로, 160℃ 이상 240℃ 이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 220℃ 이하로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시일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98㎩ 이상 7.845㎩ 이하(10kg/㎠ 이상 80㎏/㎠ 이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96㎩ 이상 6.86㎩ 이하(20kg/㎠ 이상∼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60㎩ 이하로 하면 된다. 여기서, 압박력이 0.98㎩보다 약하면 충분한 크기의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압박력이 7.845Pa보다 커져도 형성되는 수지 저류부의 크기에 큰 차이는 없어, 압박 에너지가 증대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에 의한 히트 시일만으로는, 외주연측으로부터 협잡물이 들어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경우에는, 환 형상 시일반(7)에 의해, 전술한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하면서, 덮개재(3)의 시일층(31)을 플랜지부(25)의 박리층(21)에 히트 시일한 후에, 다른 환 형상 시일반(7a)(도 3 참조)을 사용하여, 수지 저류부(6)에, 이 환 형상 시일반(7a)이 닿지 않고,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측이 도시하지 않은 수지 저류부에 닿도록 압박하여,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덮개재(3)의 시일층(31)을 히트 시일하도록 하면 된다. 이 다른 환 형상 시일반(7a)을 사용함으로써, 외주연측으로부터 협잡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환 형상 시일반(7a)의 시일면은 평활해도 되지만, 개봉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널링 등의 부분 접착이 가능한 면으로 해도 상관없다.
[개봉 용이성 용기의 개봉 동작]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당해 개봉 용이성 용기(1)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초기 개봉된 상태」라 함은, 응집 박리된 박리면이 수지 저류부(6)까지 도달해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재(3)를 히트 시일하여 얻어진 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개봉 개시부(4)로부터 개봉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에 대해 도 7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 F가 가해진 경우에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응집 박리가 진행된다.
또한, 이 응집 박리가 수지 저류부(6)에 도달한 부분에 있어서는, 박리층(21)의 응집 박리는, 당해 박리층(21)과 인접하는 표하층(22)에 형성된 수지 저류부(62)의 형상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박리층(21)의 응집 박리가, 히트 시일부(26)의 절단 위치로도 되는 내주연 근방 X까지 도달하면, 덮개재(3)의 시일층(31)에 형성된 수지 저류부(63)의 형상에 추종하도록 하여,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수지 저류부(61)가 절단됨으로써, 개봉 용이성 용기(1)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의 개봉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11), 중간층(12), 베이스층(13)을 이들의 순으로 구비한 다층 시트(10)에 있어서의 적어도 어느 1층의 두께 치수를 35㎛ 이상 100㎛ 이하로,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을 0.18 이상 0.50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얇은 다층 시트(10)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2)를 형성해도, 히트 시일하였을 때 표하층(22)의 수지가 양호하게 흘러 수지 저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히트 시일의 높은 밀봉성이 얻어진다.
특히, 표면층(11)에 인접하는 중간층(12)을 상기 소정의 두께 치수 및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으로 함으로써, 시일 조건을 완화해도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일부(7A)를 갖는 환 형상 시일반(7)에 의한 압박력을 0.98㎩ 이상 7.845㎩ 이하(10kg/㎠ 이상 80㎏/㎠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얇은 용기 본체(2)라도, 양호한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할 수 있어, 히트와 시일의 높은 밀봉성이 얻어진다.
또한, 시일부(7A)의 곡면부(72)의 곡률 반경 R을 0.5H보다 크게 함으로써, 얇은 용기 본체(2)에 덮개재(3)를 히트 시일하는 경우라도, 시일부(7A)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에 선택적으로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할 수 있고, 반대로 외주연 근방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밀봉성이 높은 히트 시일이 얻어짐과 함께, 개봉시에는 수지 저류부에 의한 개봉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즉, 개봉 용이성 용기(1)가, 개구부(24)의 주연에 플랜지부(25)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2)와, 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재(3)가 환 형상으로 히트 시일되어 이루어지므로, 높은 밀봉성이 유지됨과 함께,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파괴됨으로써, 덮개재(3)가 개봉 가능해지므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이 박리층(21)에 인접하는 표하층(22)을 계면 박리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초기 개봉 강도도 안정되어, 개봉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또한, 개봉시에, 수지 저류부(6)에 있는 박리층(21)이 신장되어,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외관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되는 수지 저류부(6)는, 플랜지부(25)의 히트 시일부(26)의 내주연 근방 X에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 이 박리층(21)에 인접하는 표하층(22) 및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혹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곡면부(72)의 곡률 반경 R을 0.55H 이상 0.75H 이하로 함으로써, 얇은 용기 본체(2)라도 확실하게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할 수 있어, 밀봉성이 높은 히트 시일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한, 경사면부(71)를 플랜지부(25)에 겹쳐진 덮개재(3)의 피 히트 시일면인 표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이상 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상 15°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이상 12°이하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개봉시에 박리층(21)[표면층(11)]의 박리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시에는 환 형상 시일반(7)의 위치 결정 등도 엄밀하지 않으므로, 생산성도 양호하여, 고품질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변형]
또한, 이상 설명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고,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개량이,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인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른 구조나 형상 등으로 해도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이나 개량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 시트(10)로서 3층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정의 두께 치수 및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는, 중간층(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층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4층 이상 있는 경우, 표면층(11)에 인접하지 않는 층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정의 두께 치수 및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는, 1층에만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층으로 해도 된다.
즉, 다층 시트(10)[용기 본체(2)]의 층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a) 표면층(11)[박리층(21)]/중간층(12)[표하층(22)]/베이스층(13)[기재층(23)]/배리어층
(b) 표면층(11)[박리층(21)]/중간층(12)[표하층(22)]/제1 베이스층(13)[기재층(23)]/배리어층/제2 베이스층(13)[기재층(23)]
(c) 표면층(11)[박리층(21)]/제1 베이스층(13)[기재층(23)]/중간층(12)[표하층(22)]/배리어층/제2 베이스층(13)[기재층(23)]
(d) 표면층(11)[박리층(21)]/제1 중간층(12)[표하층(22)]/제1 베이스층(13)[기재층(23)]/배리어층/제2 베이스층(13)[기재층(23)]/제2 중간층(12)[표하층(22)]
(e) 제1 표면층(11)[박리층(21)]/제1 중간층(12)[표하층(22)]/제1 베이스층(13)[기재층(23)]/배리어층/제2 베이스층(13)[기재층(23)]/제2 중간층(12)[표하층(22)]/외표층
(f) 제1 표면층(11)[박리층(21)]/제1 중간층(12)[표하층(22)]/제1 베이스층(13)[기재층(23)]/접착층/배리어층/접착층/제2 베이스층(13)[기재층(23)]/외표층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표면층(11)[박리층(21)]은, 다른 필름 등과 히트 시일되는 층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용기 본체(2)의 형상으로 성형하였을 때, 내용물과 접하고, 또한 덮개재(3)의 실란트와 히트 시일되는 층으로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과 같이, 덮개재(3)와 히트 시일된 부분은, 덮개재(3)와 함께 용기 본체(2)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중간층(12)[표하층(22)]은, 표면층(11)[박리층(21)]의 하층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21)의 조성으로 함으로써, 열에 의해 유동하고,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된 용기 본체(2)를 덮개재(3)와 히트 시일하였을 때,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는 층이다.
또한, 베이스층(13)[기재층(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층 시트(10)의 주요로 되는 층이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된 용기 본체(2)의 기재층(23)을 구성하는 층이다.
그리고, 접착층은, 기재층(23)과 배리어층을 접착하는 층으로, 예를 들어 우레탄계의 엘라스토머, 스티렌계의 엘라스토머,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등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1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4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층은, 산소를 차단하는 수지를 사용한 층으로, 당해 배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산소 투과 차단성을 구비한 다층 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의 층 두께는, 10㎛ 이상 21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1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표층은, 인접하는 층과 상성이 좋은 재료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된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용기 본체(2)의 외표면에 면하는 층으로, 중간층(12)이나 표면층(11)에서 사용하는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12)이나 표면층(11)에서 사용하는 재료와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d)∼(f)의 구조와 같이, 층 구성 중에 복수의 기재층이 반복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중, 단면 대상 구조로 되는 상기 (e)의 구조가 막 제조 안정성이라고 하는 이유로부터 적합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중간층(12)[표하층(22)]이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임으로써, 히트 시일시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덮개재(3)의 층 구성[외층(32)/시일층(31)]에 한정되지 않고, 외층(32)/배리어층/시일층(31), 혹은 제1 외층(32)/제2 외층(32)/시일층(31)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10)로부터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용기 본체(2)를 성형하고,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응집 박리되는 형태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층 시트를 겹쳐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를 제조하거나 해도 된다.
그리고, 개봉 용이성 용기(1)로서도,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덮개재(3)가 개봉될 때,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응집 박리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성 용기(1a)를 구성하는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응집 파괴되어, 덮개재(3)가 박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일층(3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스티렌그래프트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이들의 블렌드계를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시일층(31)을 덮개재(3)에, 박리층(21)을 용기 본체(2)에 채용하여 양자를 히트 시일한 경우에 있어서는, 양 층(21, 31)이 융착되는 한편, 개봉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응집 파괴되어, 개봉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개봉 용이성 용기(1a)를 개봉 개시부(4)로부터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3)에 대해 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 F가 가해지도록 하면,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응집 박리가 진행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개봉이 수지 저류부(6)에 도달한 부분에 있어서는, 당해 시일층(31)의 응집 박리는, 당해 시일층(31)과 히트 시일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에 형성된 수지 저류부(61)의 형상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응집 박리가 히트 시일부(26)의 절단 위치로도 되는 내주연 근방 X까지 도달한 후에는 시일층(31)의 수지 저류부(63)가 절단됨으로써, 개봉 용이성 용기(1)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의 개봉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라도,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와 대략 동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봉시에,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양 층이 응집 파괴되어 개봉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표하층(22)이 동일 부재인 경우라도, 상기 동일 부재가 덮개재(3)의 시일층(31)과 히트 시일 가능하고, 덮개재(3)를 개봉할 때 덮개재(3)의 시일층(31)이 응집 파괴되는 경우는, 전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경우, 도 7∼도 10으로 말하면, 박리층(21)과 표하층(22)은 별도의 층처럼 보이지만 동일 부재이며, 편의적으로, 표하층(22)의 응집 파괴되는 부분[플랜지부(25)의 표면]을 박리층(21)으로 나타낸 구성으로 하면 된다.
나아가서는, 다층 시트(10)로부터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층 시트(10)를 히트 시일하여 주머니를 제작하는 등, 히트 시일에 의해 수지 저류부를 형성시키는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응집 박리를 전제로 하지 않고, 계면 박리하는 구성 등으로 해도 된다.
계면 박리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히트 시일부(262)의 외주에 외측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개봉 개시부를 형성하도록, 환 형상 시일반(7)에 개봉 개시부 형성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개봉 개시부 형성부에 의해 개봉 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계면 박리에서도 뾰족한 개봉 개시부의 선단으로부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응집 박리되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나 덮개재(3)의 시일층(31)의 구성 재료도,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예 외에, 예를 들어 박리층(21)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나 에틸렌·테트라시클로도데센 공중합체의 블렌드계, 시일층(31)은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되는 구성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환 형상 시일반(7)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지 저류부(6) 외에, 당해 환 형상 시일반(7)의 외주연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는 경우여도 된다. 외주연에 형성되는 수지 저류부보다, 내주연에 형성되는 수지 저류부의 쪽이 커지므로, 양호한 개봉 용이성과 고밀봉성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히트 시일하는 구성으로서는, 환 형상 시일반(7)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시일부(26)의 형상에 따른 형상의 시일반을 이용해도 된다. 즉, 다층 시트(10)의 적어도 1층이 35㎛ 이상 100㎛ 이하이고, 당해 1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이면 수지 저류부(6)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의 기재 내용에 전혀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다층 시트(10)를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용기 본체(2)를 성형하고, 전체 형상을 도 2a, 도 2b, 또한 개봉 개시부(4)의 단면 구성을 도 3에 도시하는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다층 시트(10)의 제조]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이하의 제1 표면층/제1 중간층/제1 베이스층/제1 접착층/배리어층/제2 접착층/제2 베이스층/외표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400㎛인 다층 시트(10)를 성형하였다.
제1 표면층: 폴리프로필렌(70질량%)+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30질량%) (30㎛)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75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25질량%) (60㎛)(tanδ=0.32)
제1 베이스층: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 (100㎛)
제1 접착층: 폴리프로필렌(15㎛)
배리어층: 폴리프로필렌(20㎛)
제2 접착층: 폴리프로필렌(15㎛)
제2 베이스층: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 (100㎛)
외표층: 폴리프로필렌(75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25질량%) (60㎛)의 적층체
[용기 본체(2)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다층 시트(10)를 사용하여, 플러그 어시스트 진공 성형에 의해, 45㎜×60㎜×25㎜의 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본체(2)를 성형하였다. 또한, 이 용기 본체(2)는 개구부(24)에 대해 폭 5㎜의 플랜지부(25)를 갖고, 대략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 주연의 플랜지부(25)에 대해,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을 덮개재(3)로서 적재하여, 하기의 시일 조건을 사용하여, 또한 환 형상 시일반으로서, 도 4∼도 6에 도시한,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 환 형상 시일반(시일 링)의 곡면부(72)의 곡률 반경 R의 크기가 다른 것을 사용하여, 덮개재(3)를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대해 히트 시일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를 사용하면,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되는 응집 박리가 행해진다.
[덮개재(3)의 구성]
시일층(31): 폴리에틸렌(60㎛)
외층(3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12㎛)/폴리아미드(나일론)(15㎛)(PET/Ny/PE의 순)
(시일 조건)
시일 온도: 200℃
시일 압력: 1960N(200kgf/개)
시간: 1.1초
히트 시일의 횟수: 1회
(환 형상 시일반의 사양)
시일 폭 H: 3㎜
경사 각도 θ[경사면부(71)]: 6°
R 가공[곡면부(72)]: 0.33H(1.0㎜R)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층 시트(10)[용기 본체(2)]의 중간층(12)[표하층(22)]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를 사용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되는 응집 박리가 행해진다.
(제1 중간층의 구성)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70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15질량%)+폴리에틸렌(15질량%) (60㎛)(tanδ=0.23)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층 시트(10)[용기 본체(2)]의 중간층(12)[표하층(22)]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를 사용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되는 응집 박리가 행해진다.
(제1 중간층의 구성)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 (60㎛)(tanδ=0.19)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층 시트(10)[용기 본체(2)]의 중간층(12)[표하층(22)]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였다.
(제1 중간층의 구성)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82질량%)+폴리에틸렌(18질량%) (60㎛)(tanδ=0.14)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다층 시트(10)[용기 본체(2)]의 중간층(12)[표하층(22)]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였다.
(제1 중간층의 구성)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82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5질량%)+폴리에틸렌(13질량%) (60㎛)(tanδ=0.15)
[시험예 1]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의 개봉 강도, 개봉시의 개봉 외감 및 내압 강도를 다음의 기준으로 비교·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개봉성)
상기 형상의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덮개재(3)의 코너부를 척에 의해 파지하고, 덮개재(3)의 천장면과 척의 각도를 45°로 하여 잡아당겼을 때의 개봉 강도를 측정하였다. 개봉 강도의 측정에는, 가부시끼가이샤 이마다제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5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하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A: 개봉 강도가 4.9N 이상 9.8N 미만(0.5kgf/개봉구 이상 1.0kgf/개봉구 이하)
B: 개봉 강도가 9.8N 이상 14.7N 이하(1.0kgf/개봉구 이상 1.5kgf/개봉구 이하)
(내압 강도)
개봉 용이성 용기에 가압 공기를 1.0±0.2리터/min으로 주입하고, 당해 용기가 파열되었을 때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파열 강도 시험기(가부시끼가이샤 선 가가꾸제)를 사용하여, n=5로 행하였다. 내압 강도의 평가는,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A: 내압 강도가 매우 높다(0.100㎫ 이상).
B: 내압 강도가 높다(0.060㎫ 이상 0.099㎫ 이하).
C: 내압 강도가 약간 낮다(0.030 이상 0.059㎫ 이하).
D: 내압 강도가 낮다(0.03㎫ 미만).
(결과)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실시예 3의 개봉 용이성 용기는, 개봉 강도가 적당하고, 개봉 용이성이 우수함과 함께, 또한 내압 강도도 높아, 고밀봉성을 구비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실시예 3의 개봉 용이성 용기는, 개봉 용이성과 고밀봉성을 겸비한 용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서는, 실시예 1∼실시예 3의 개봉 용이성 용기의 개봉 외관도, 대체로 양호하였다.
한편, 시일부의 내주연 근방에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지 않는 비교예 1, 2는, 양호한 개봉 외관을 나타내지만, 시일 강도(내압 강도)가 높지 않아 높은 밀봉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비교예에서 얻어진 개봉 용이성 용기는, 개봉 용이성과 고밀봉성을 겸비한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을 겸비한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용기와 비교하면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11]
다음으로, 환 형상 시일반(7)에 있어서의 R 가공[곡면부(72)]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 하기의 재료 및 방법에 의해, 전체 형상을 도 2a, 도 2b에 도시하는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고, 히트 시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의 단면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환 형상 시일반의 사양)
시일 폭 H: 1.5㎜
경사 각도 θ[경사면부(11)]: 9°
R 가공[곡면부(12)]: 0.67H(1.0㎜R)
[시험체: 개봉 용이성 용기(1)]
[용기 본체(21)]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이하의 제1 표면층/제1 중간층/제1 베이스층/제1 접착층/배리어층/제2 접착층/제2 베이스층/외표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400㎛인 다층 시트(10)를 성형하였다. 이 다층 시트(10)를 사용하여, 플러그 어시스트 진공 성형에 의해, 45㎜×60㎜×25㎜의 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본체(2)를 성형하였다. 또한, 이 용기 본체(2)는, 개구부(24)에 대해 폭 5㎜의 플랜지부(25)를 갖고, 대략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표면층: 폴리프로필렌(70질량%)+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30질량%) (30㎛)
제1 중간층: 폴리프로필렌(75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25질량%) (60㎛)(tanδ=0.32)
제1 베이스층: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 (100㎛)
제1 접착층: 폴리프로필렌(15㎛)
배리어층: 폴리프로필렌(20㎛)
제2 접착층: 폴리프로필렌(15㎛)
제2 베이스층: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 (100㎛)
외표층: 폴리프로필렌(75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25질량%) (60㎛)
[덮개재(22)]
시일층(31): 폴리에틸렌(60㎛)
외층(3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12㎛)/폴리아미드(나일론)(15㎛)(PET/Ny/PE의 순)
상기 얻어진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 주연의 플랜지부(25)에 대해, 상기 덮개재(3)를 적재하여, 하기의 시일 조건을 사용하여, 또한 환 형상 시일반(7)으로서는, 도 2a,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 환 형상 시일반(시일 링)의 곡면부(72)의 곡률 반경 R의 크기가 하기의 형상인 것을 사용하여, 덮개재(3)를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대해 히트 시일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덮개재(3)를 사용하면,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되는 응집 박리가 행해진다.
(시일 조건)
시일 온도: 190℃
시일 압력: 1568N(160kgf/개)
시간: 1.1초
히트 시일의 횟수: 1회
[시험예 2]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1의 개봉 강도, 및 내압 강도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개봉 강도)
상기 형상의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덮개재(3)의 코너부를 척에 의해 파지하고, 덮개재(3)의 천장면과 척의 각도를 45°로 하여 잡아당겼을 때의 개봉 강도를 측정하였다. 개봉 강도의 측정에는, 가부시끼가이샤 이마다제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3회 실시하고, 평균값을 연산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개봉 강도의 평균값은, 7.45N(0.76kgf)이었다.
A: 개봉 강도가 4.9N 이상 9.860N 이하(0.5kgf/개봉구 이상 1.0kgf/개봉구 이하)
B: 개봉 강도가 9.8N 이상 14.7N 이하(1.0kgf/개봉구 이상 1.5kgf/개봉구 이하)
(내압 강도)
개봉 용이성 용기에 가압 공기를 1.0±0.2리터/min으로 주입하고, 당해 용기가 파열되었을 때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파열 강도 시험기(가부시끼가이샤 선 사가꾸 제)를 사용하여, n=3으로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의 내압 강도의 평균값은, 0.189㎫였다.
A: 내압 강도가 매우 높다(0.10㎫ 이상).
B: 내압 강도가 높다(0.060㎫ 이상 0.099㎫ 이하).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1 중간층 및 외표층을, 폴리프로필렌(70질량%)+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15질량%)+폴리에틸렌(15질량%)(tanδ=0.23)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20)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개봉 강도 및 내압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의 개봉 강도의 평균값은 4.31N(0.44kgf)이고, 내압 강도의 평균값은 0.096㎫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1 중간층 및 외표층을, 폴리프로필렌(85질량%)+폴리에틸렌(15질량%)(tanδ=0.18)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개봉 강도 및 내압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의 개봉 강도의 평균값은 4.31N(0.44kgf)이고, 내압 강도는 0.096㎫였다.
(결과)
Figure pct00002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환 형상 시일반(7)의 시일 폭을 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내압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의 내압 강도의 평균값은 0.067㎫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2에 있어서, 환 형상 시일반(7)의 시일 폭을 2.0㎜로 하고, 곡률 반경 R을 0.5H(1.0㎜R)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내압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의 내압 강도의 평균값은 0.079㎫였다.
(결과)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히트 시일에 의해 고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을 겸비하고 있어, 예를 들어 레토르트 식품 등의 각종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에 포장 용기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1a : 용기인 개봉 용이성 용기
2 : 용기 본체
3 : 덮개재
7 : 시일반인 환 형상 시일반
7A : 시일부
10 : 다층 시트
11 : 박리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표면층
12 : 표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중간층
13 : 기재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베이스층
21 : 박리층
22 : 표하층
23 : 기재층
24 : 개구부
25 : 플랜지부
31 : 실란트층으로서의 시일층
32 : 기재층으로서의 외층
70 : 시일 장치
71 : 경사면부로서의 경사면부
72 : 곡면부

Claims (17)

  1.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다층 시트이며,
    적어도 1층의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당해 1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층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표면층에 인접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4. 박리층, 표하층, 기재층을 이들의 순으로 구비한 다층 시트이며,
    상기 표하층은,
    두께 치수가 35㎛ 이상 100㎛ 이하이고,
    165℃에 있어서의 손실 탄젠트 tanδ의 값이 0.18 이상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배리어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치수가, 200㎛ 이상 2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를 가열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피포장물 수납용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형상은, 컵 형상 혹은 트레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덮개재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접착된 포장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3. 제12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덮개재를 겹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해, 내주연에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가 형성된 환 형상 시일반이며, 외주연이 당해 환 형상 시일반의 선단보다 덮개재에 늦게 접하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환 형상 시일반을 상기 덮개재 상부로부터 압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환 형상 시일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에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재를 환 형상으로 히트 시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가 용기 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2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혹 형상의 수지 저류부가 덮개재의 시일층의 구성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시일반은, 환 형상의 시일부와 기반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부는, 내주연에 곡면 가공된 곡면부와, 당해 곡면부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외주연측에 피 히트 시일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의 곡률 반경 R은, 상기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까지를 거리 H로 하였을 때, 0.5H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1020157013203A 2012-10-25 2013-10-24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KR20150077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5793 2012-10-25
JP2012235793A JP5965817B2 (ja) 2012-10-25 2012-10-25 容器、包装容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容器の製造方法
PCT/JP2013/078773 WO2014065354A1 (ja) 2012-10-25 2013-10-24 多層シート、加工物、容器、包装容器、および、包装容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458A true KR20150077458A (ko) 2015-07-07

Family

ID=5054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03A KR20150077458A (ko) 2012-10-25 2013-10-24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65817B2 (ko)
KR (1) KR20150077458A (ko)
WO (1) WO20140653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408A (ja) * 1999-03-19 2000-10-03 Nitto Denko Corp 打抜き加工用両面粘着シ―ト類
JP2004167774A (ja) * 2002-11-19 2004-06-17 Idemitsu Unitech Co Ltd 多層シート、容器、易開封性包装体
WO2005030466A1 (ja) * 2003-09-30 2005-04-07 Sekisui Chemical Co., Ltd. 多層シート
CN101990496A (zh) * 2008-04-03 2011-03-23 东赛璐株式会社 热熔合性多层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3807A (ja) 2014-05-12
WO2014065354A1 (ja) 2014-05-01
JP5965817B2 (ja)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388B1 (ko)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5001962B2 (ja) 易開封性容器、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及び易開封性容器の製造装置
KR101790808B1 (ko) 개봉 용이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0343B1 (ko) 용기 본체, 포장 용기, 용기 본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30060172A (ko) 용기 본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포장 용기
JP5363785B2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3867474B2 (ja)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6650199B2 (ja) 食品用容器の蓋材および包装体
JP2014198429A (ja) 多層構造体、加工物、容器、包装容器、多層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KR20150077458A (ko) 다층 시트, 가공물, 용기, 포장 용기 및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JP4121794B2 (ja) 易開封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及び容器
JP6088888B2 (ja) 容器本体、容器、包装容器、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6122274B2 (ja) シール盤、シール方法、シール装置、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5915159B2 (ja) 蓋材および包装体
JP6028385B2 (ja) 蓋材および包装体
KR101841764B1 (ko)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9005983A (ja) 防曇シート、成形体、および容器
JP2984464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KR20050036801A (ko) 다층 용기,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다층 용기 제조 방법
JP2024017270A (ja) 容器および積層シート
JP2021091219A (ja) 積層シートおよび容器
JPH0329768A (ja) 易開封性容器包装体
KR20160102365A (ko)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