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148A -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148A
KR20150072148A KR1020130159486A KR20130159486A KR20150072148A KR 20150072148 A KR20150072148 A KR 20150072148A KR 1020130159486 A KR1020130159486 A KR 1020130159486A KR 20130159486 A KR20130159486 A KR 20130159486A KR 20150072148 A KR20150072148 A KR 2015007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wall
road
cover plate
anch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063B1 (ko
Inventor
우혁근우혁근
우혁근
권현우권현우
권현우
최윤규최윤규
최윤규
박미선박미선
박미선
Original Assignee
우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혁근 filed Critical 우혁근
Priority to KR102013015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식생 영역에서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블록(100)과, 상기 기초 블록(100)에 결합되어 측벽을 구성하고 도로의 내면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벽체(200)와,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결합되어 벽체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벽체에 구속력을 가하는 앵커 부재(300)를 제작하고, 상기 기초 블록(100), 벽체(200) 및 앵커 부재(300)를 일체로 결합하여 옹벽 구조물(50)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옹벽 구조물(50)을 상기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식생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앵커 부재(300)가 매설되도록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뒷채움 토사(500)를 성토하는 단계 및 옹벽 구조물(50)이 도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옹벽 구조물(50)의 상단에 도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판(600)을 설치하되, 상기 덮개판(600)을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 배치하여 옹벽 구조물(50)의 상단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로와 같이 횡단해야 하는 지역(횡단지역)을 사이에 두고 횡단지역의 폭방향 양측에서 종방향(예를 들면, 도로의 경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과, 상기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폭방향으로 상기 횡단지역을 덮게 되는 덮개판을 구비함으로써, 횡단지역의 차단이나 통행 방해 등을 일으키지 않고 조립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터널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시공방법과 그에 의해 시공되는,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악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상 차량 등의 운송 수단이 이동하기 위한 도로의 계획시 상기 산악지형을 통과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차량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주행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한 지상 터널이 설치된다. 상기 지상 터널의 시공 방식은 지반 상에 콘크리트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상 터널을 시공하는 종래 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04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지상 터널이 시공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터널 구조물이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 구조물(10)은 토사 등의 성토부(20)가 배치되는 산악지형에 터파기 등의 기초 공사를 실시하여 차량 등의 운송 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도로가 제작된다. 상기 성토부(20)와 상기 도로 사이의 경계 지역에는 지중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구조물(10)의 기초를 구성하는 기초 블록(1)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 블록(1) 사이의 폭은 도로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4는 터널 구조물(10)을 이루는 복수개의 덮개판 세그먼트의 결합과 강성보강을 위한 채널부재(4)이고, 도면부호 5는 터널 구조물(10)을 이루는 복수개의 덮개판 세그먼트의 변위를 구속하는 이음부재(5)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상기 터널 구조물(10)이 시공되기 위해서는 작업 차량 또는 시공 재료가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진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터널 구조물(10)의 시공시 기존에 제작된 도로를 폐쇄하거나 차단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우회 도로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긴 경관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터널 구조물(10)은 복수의 세그먼트가 조립되는 데에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제작시 시공 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차량 경로의 폭이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는 구역에서는 아치 형태로 구성된 상기 덮개판(3)의 폭을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0477호(2006. 08. 11. 공개)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터널 구조물의 시공 작업시, 터널 구조물 아래 공간에 대한 교란(예를 들어, 터널 구조물 아래의 도로에서의 통행 방해 등)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상기 터널 구조물의 측벽을 구성하는 옹벽 구조물이 자립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시공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식생 영역에서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블록과, 상기 기초 블록에 결합되어 측벽을 구성하고 도로의 내면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벽체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벽체에 구속력을 가하는 앵커 부재를 제작하고, 상기 기초 블록, 벽체 및 앵커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옹벽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옹벽 구조물을 상기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식생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앵커 부재가 매설되도록 상기 벽체의 배면에 뒷채움 토사를 성토하는 단계 및 옹벽 구조물이 도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옹벽 구조물의 상단에 도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판을 설치하되, 상기 덮개판을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 배치하여 옹벽 구조물의 상단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 구조물의 일 구성인 벽체가 터널 구조물의 내측 방향, 즉 도로 내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상기 벽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앵커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를 매설하도록 상기 벽체 배면에 타설되는 뒷채움 토사에 의해 별도의 지지 구조 없이도 상기 옹벽 구조물의 자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터널 구조물의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판은 단면이 다각형을 가지는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덮개판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도로 연장 방향으로 따라 차량 이동경로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판을 미리 제작해두고, 옹벽 구조물의 상면에 미리 제작된 덮개판을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 기간 동안 기존에 제작된 도로를 폐쇄하거나 차단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널 구조물은 기초 블록, 벽체 및 앵커 부재로 구성되는 옹벽 구조물과 덮개판이 모두 조립식 결합에 의해 제작되므로 급속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덮개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함몰부에는 여러 종류의 식물군이 분포하는 식생부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아니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 구조물이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옹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옹벽 구조물에서 기초 블록과 벽체가 일체화되는 방식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옹벽 구조물이 도로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과정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옹벽 구조물 배면에 뒷채움 토사를 성토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덮개판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덮개판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옹벽 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덮개판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원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덮개판과 복수의 옹벽 구조물이 결합되어 터널 구조물이 시공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덮개판이 덮여 있는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옹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기 옹벽 구조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은 각각 본 발명의 옹벽 구조물에서 기초 블록과 벽체가 일체화되는 방식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옹벽 구조물이 도로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과정에 따라 제작 배치된 옹벽 구조물이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과정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옹벽 구조물 배면에 뒷채움 토사를 성토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도로(P)의 양 측에 각각 옹벽 구조물(50)이 자립하여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도로(P)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식생 영역(V)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로(P)의 양 측면에는 지상 저면에 설치되어 도로(P)의 측면 경계를 이루는 기초 블록(100)이 제작된다. 상기 기초 블록(100)은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인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기초 블록(100)은 긴장재 삽입 방식 또는 용접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초 블록(100)의 일측에는 상기 옹벽 구조물(50)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로 연장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도로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벽체(200)가 형성된다. 상기 기초 블록(100)에는 상기 벽체(200)가 끼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양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초 블록(100)과 상기 벽체(200)의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초 블록(100)의 상면에 긴장재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긴장재가 상기 벽체의 하면을 관통하여 양 구성의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기초 블록(100)과 상기 벽체(200)가 나사 등의 결합 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3b 및 도 3c에는 각각 기초 블록(100)과 벽체(200)가 일체화되는 방식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200)에 오목한 절취부(209)를 형성하고, 기초 블록(100)에는 결합볼트(109)를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여, 벽체(200)가 기초 블록(100) 위에 놓였을 때, 결합볼트(109)가 벽체(200)의 절취부(209) 내로 관통 삽입되도록 한 후, 절취부(209) 내에서 결합볼트(109)에 결합너트(108)를 체결함으로써, 벽체(200)와 기초 블록(1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200)의 하단에 수평한 플랜지부(208)을 형성하고 기초 블록(100)에는 결합볼트(109)를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여, 벽체(200)가 기초 블록(100) 위에 놓였을 때, 결합볼트(109)가 플랜지부(208)을 관통하도록 한 후 결합볼트(109)에 결합너트(108)를 체결함으로써, 벽체(200)와 기초 블록(1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옹벽 구조물에서 벽체(200)는 상기 기초 블록(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벽체(200) 사이의 결합 방식 및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기초 블록(100) 사이의 결합 방식은 용접 결합, 끼움 결합 또는 긴장재 삽입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체(200)는 도로 내부 방향, 즉 도로(P)의 차량 이동 경로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는 지지벽(210)과, 상기 지지벽(210)으로부터 연장되고 터널 구조물의 상면을 이루는 덮개판(600)이 안착되는 안착벽(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벽(220)은 상기 지지벽(210) 보다 상기 도로(P) 내부 방향으로 더 큰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벽(210)과 상기 도로 수직 방향 사이의 각도인 제 1 각도는 상기 안착벽(220)과 상기 도로 수직 방향 사이의 각도인 제 2 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210)과 안착벽(220)은 제작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옹벽 구조물(200)이 직립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200)의 배면, 즉 도로 내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옹벽 구조물(200)에 구속력을 가하는 저항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벽(210)의 배면에는 뒷채움 토사 방향, 즉 상기 지지벽(21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앵커 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앵커 부재(300)는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벽(210)의 배면에 구비된다. 예시되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지지벽(210)에 두 개의 앵커 부재(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벽(210)과 앵커 부재(300)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벽체(200)와 상기 앵커 부재(300)는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방식이라면 그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앵커 부재(300)는 상기 지지벽(210)과 결합되는 연결판(310)과, 상기 연결판(310)에 결합되고 토사의 경사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지는 경사판(320)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판(310)과 경사판(320)은 용접, 볼트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앵커 부재(300)는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설치되어 벽체(200)가 도로 내면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구속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판(310)과 경사판(320)이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파형 강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앵커 부재(300)에 의한 뒷채움 토사(500)의 구속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판(310)과 그 내측의 뒷채움 토사(500) 간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상기 연결판(310)의 내면에 스터드 등과 같은 마찰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벽체(200)와 상기 앵커 부재(300)가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면, 상기 앵커 부재(300)의 배면에는 뒷채움 토사(500)가 채워져 성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뒷채움 토사(5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판(310) 사이의 공간과 상기 경사판(32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0)의 배면에 뒷채움 토사(500)가 채워지게 되면, 상기 뒷채움 토사는 상기 연결판(310)과 경사판(320)의 변위를 구속하여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200)의 전도를 야기하는 하중은 상기 뒷채움 토사(500)에 의해 상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뒷채움 토사(500)는 2차 구속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상기 1차 구속 부재인 앵커 부재(300)와 2차 구속 부재인 뒷채움 토사(500)에 의해 전도의 위험없이 자립되어 설치된다.
도 4에는, 상기 기초 블록(100), 벽체(200) 및 앵커 부재(300)가 서로 조립된 옹벽 구조물(50)이 도로(P)를 사이에 두고 식생 영역(V)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립된 옹벽 구조물(50)은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미리 설계된 터널 구조물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옹벽 구조물(50)을 배치시키고, 상기 옹벽 구조물(50)의 설계가 종료되면 상기 지지벽(210)의 배면에 상기 뒷채움 토사(500)를 매립한다.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기존에 제작된 도로(P)를 침범하지 않고 상기 식생 영역(V)에서 시공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앵커 부재(300) 및 뒷채움 토사(500)에 의해 자립이 가능하므로 시공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 옹벽 구조물(50)의 상면에 덮개판(600)이 연결되어 터널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덮개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옹벽 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덮개판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원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덮개판과 복수의 옹벽 구조물이 결합되어 터널 구조물이 시공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덮개판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덮개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판(600)은 옹벽 구조물(50)을 연결하도록 도로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덮개판(600)은 상기 도로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P)의 일측에 배치된 옹벽 구조물(50)과 결합하도록 제작되는 제 1 경사판(610)과, 상기 도로(P)의 타측에 배치된 옹벽 구조물(50)과 결합하도록 제작되는 제 2 경사판(630)을 가진다. 상기 제 1 경사판(610)과 상기 제 2 경사판(630)은 각각 안착벽(220)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경사판(610) 및 제 2 경사판(630)은 상기 안착벽(220)과 도로 수직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상기 안착벽(2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판(610)과 상기 제 2 경사판(630)에는 안착부(221)에 안착되는 걸림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600)과 상기 옹벽 구조물(50)을 연결하면, 상기 걸림부(640)는 상기 안착부(221)에 안착되어 터널 구조물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덮개판(600)과 상기 옹벽 구조물(50) 사이의 결합 관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판(600)과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양 구성의 내부에 긴장재를 관통하여 정착 배치시킬 수도 있고, 힌지 또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하여 양 구성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 1 경사판(610)과 상기 제 2 경사판(630) 사이에는 도로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판(6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경사판(610), 연결판(620) 및 제 2 경사판(6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600)의 단면은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터널 구조물이 설치되는 도로의 폭이 변경되면(예를 들어 6차선 도로에서 8차선 도로로 변경) 아치 형상으로 구성된 상기 덮개판(600)의 폭을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직선으로 구성되는 상기 연결판(6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판(600)의 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경사판(610), 연결판(620) 및 제 2 경사판(630)의 상면 각각에는 자연 경관을 고려하여 식물 등의 식생이 배치되는 함몰부(611, 621, 631)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판(600)의 설치를 통해 터널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덮개판(600) 위로 토사를 덮어서 성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성토된 토사에서는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함몰부(611, 621, 631)는 식물군의 생활 터전을 형성하는 식생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식생부로서 기능하도록 연결판(620)에 형성된 함몰부(621)의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으나,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함몰부(621)의 상면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구분된 구역에서 함몰부(621)의 상면이 중앙에서부터 도로 폭 방향의 외측으로 가면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몰부(621)의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면, 우수 등에 의해 과도한 물이 함몰부(621)에 고였을 때, 도로 폭의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렇게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함몰부(621)의 도로폭 방향 양측에는 배수관을 연결하여 함몰부(621)의 양측으로 고이게 되는 물을 배수관을 통해서 배수시킬 수도 있다.
덮개판(600)을 배치함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판(600)은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조립된 옹벽 구조물(50)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옹벽 구조물(50)의 상면에 상기 덮개판(600)을 결합하여 터널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상기 구조물의 시공 과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 구조물(50)은 식생 영역(V)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600)은 트랙터 등의 운송 차량을 통해 상기 식생 영역(V)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터널 구조물의 제작시 기존 도로(P)를 폐쇄하지 않고 시공 작업이 수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50: 옹벽 구조물
100: 기초 블록
200: 벽체
300: 앵커 부재
500: 뒷채움 토사
600: 덮개판

Claims (3)

  1. 도로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식생 영역에서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블록(100)과, 상기 기초 블록(100)에 결합되어 측벽을 구성하고 도로의 내면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벽체(200)와,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결합되어 벽체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벽체에 구속력을 가하는 앵커 부재(300)를 제작하고, 상기 기초 블록(100), 벽체(200) 및 앵커 부재(300)를 일체로 결합하여 옹벽 구조물(50)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옹벽 구조물(50)을 상기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식생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앵커 부재(300)가 매설되도록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뒷채움 토사(500)를 성토하는 단계; 및
    옹벽 구조물(50)이 도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옹벽 구조물(50)의 상단에 도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판(600)을 설치하되, 상기 덮개판(600)을 도로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 배치하여 옹벽 구조물(50)의 상단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600)에는, 내부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판의 상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을 이용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 방법.
  3. 터널 구조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구조물.
KR1020130159486A 2013-12-19 2013-12-19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4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86A KR101540063B1 (ko) 2013-12-19 2013-12-19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86A KR101540063B1 (ko) 2013-12-19 2013-12-19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48A true KR20150072148A (ko) 2015-06-29
KR101540063B1 KR101540063B1 (ko) 2015-07-30

Family

ID=5351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86A KR101540063B1 (ko) 2013-12-19 2013-12-19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789A (zh) * 2019-03-18 2019-05-28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用于隧道进出口的超高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82061A (zh) * 2020-12-29 2021-04-20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道结构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04B1 (ko) * 2008-09-18 2009-07-23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매립형 프리플랙스 합성아치 복개구조물 및 이 시공방법
KR101015610B1 (ko) * 2010-05-13 2011-02-17 김광숙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터널 구조물
KR20120000391A (ko) * 2010-06-25 2012-01-02 김광숙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212732B1 (ko) * 2012-03-08 2012-12-14 이형훈 기하학적 반력을 이용한 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1789A (zh) * 2019-03-18 2019-05-28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用于隧道进出口的超高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811789B (zh) * 2019-03-18 2024-03-26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用于隧道进出口的超高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82061A (zh) * 2020-12-29 2021-04-20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道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063B1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0384A (en)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 system for erecting plant accommodating walls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22366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US9551163B2 (en) Modular systems for constructing liquid storage tanks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751496B1 (ko) 경량의 복공판과 받침대를 매개로 한 개착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공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KR101540063B1 (ko) 식생 가능 및 우수의 용이배출을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덮개판과 옹벽의 조립에 의한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47889B1 (ko)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JP4698437B2 (ja) 擁壁ユニットを用いた石積み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3999990B2 (ja) 地下貯水槽
JP3960501B2 (ja) 鋼製土留め擁壁、および鋼製土留め擁壁の構築方法
JP3902036B2 (ja) 両側に擁壁を有する構築体
JP2004346729A (ja) 拡幅道路
KR100653865B1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2611940B2 (ja) 暗渠形組立式水路
KR101929459B1 (ko)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JP6235509B2 (ja) シェッドとその施工方法
JP6329824B2 (ja) 山留部材及び路面覆工方法
JP4382987B2 (ja) 管状構造物
KR102304568B1 (ko) 낙석방지 및 방음을 위한 차단 구조체
KR102652914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