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59B1 -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59B1
KR101929459B1 KR1020180029722A KR20180029722A KR101929459B1 KR 101929459 B1 KR101929459 B1 KR 101929459B1 KR 1020180029722 A KR1020180029722 A KR 1020180029722A KR 20180029722 A KR20180029722 A KR 20180029722A KR 101929459 B1 KR101929459 B1 KR 10192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reinforcing bars
annular reinforcing
wall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용
Original Assignee
정지용
(주)에코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용, (주)에코이노텍 filed Critical 정지용
Priority to KR102018002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빗물 저류조 등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벽체 구조가 하단 및 2겹의 상단으로 구성되는 구조물 및 그 2겹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프리캐스트 형태의 구조물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1 세그먼트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2 세그먼트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엇갈려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precast construction having double side pannel structure}
본 발명은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빗물 저류조 등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벽체 구조가 하단 및 2겹의 상단으로 구성되는 구조물 및 그 2겹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 저류조나 대형 암거 등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벽체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벽체 패널들은 기단부와 측벽부가 일체의 뭉치로 이루어진 패널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10-0956740호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체 패널은 기단부와 측벽부가 하나의 뭉치로 이루어진 패널로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이 높이가 높아지는 등의 형태로 대형화될수록 하나의 뭉치로 이루어진 벽체 패널 또한 그 높이가 높아져야 되고, 이 경우, 패널의 운반, 설치의 용이성 등을 위해 그 중량을 줄여야 하므로, 패널의 폭이 크게 줄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저류조 등의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패널의 줄어든 폭에 의해 단위 길이당 패널 간 접합부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그 접합부 개수의 증가에 따른 시공성의 약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저류조 등의 구조물의 측벽에서의 방수 기능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벽체 패널의 길이를 길게 유지하면서 그 중량을 줄이면서도 벽체 패널 간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벽체 구조를 제시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의 프리캐스트 형태의 구조물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1 세그먼트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2 세그먼트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엇갈려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는 열의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다수의 고리형 철근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다수의 고리형 철근은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고리형 철근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갖는 고리형 철근 중첩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돌출턱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돌출턱과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형 철근 중첩 구조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내면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공간 밖의 내면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공간 밖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 중 일측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면 중 타측에서 상기 제2 세그먼트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단의 상면에는 기초 철근이 노출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기초 철근과 결합되는 지지 철근이 상기 중첩 영역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또 다른 제1 세그먼트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또 다른 제2 세그먼트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엇갈려 결합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일측과 상기 또 다른 제1 세그먼트의 타측이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일측과 상기 또 다른 제2 세그먼트의 타측이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의 프리캐스트 형태의 구조물은, 일정 높이와, 돌출턱에 의한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고, 내면 중 돌출턱 측에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내면 중 돌출턱 반대 측에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2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리형 철근과 상기 제2 고리형 철근 사이의 일정 영역 및 상기 돌출턱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벽체 패널의 길이를 길게 유지하면서 그 중량을 줄이면서도 벽체 패널 간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구조를 적용한 프리캐스트(PC) 구조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측벽 세그먼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측벽 세그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벽 세그먼트 세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벽 구조의 상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적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적용한 프리캐스트(PC) 구조물의 구성도이다.
프리캐스트 구조물(10)은 저류조 또는 대형 암거일 수 있다. 프리캐스트 구조물(10)은, 구조물의 기반이 되는 기초 콘크리트(100)와, 구조물(10)의 테두리를 두르는 프리캐스트 형태의 벽체 구조(200)와, 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형태의 기둥(300)과, 기둥 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형태의 가로보(310)와, 구조물(10)의 상부를 덮는 천장부(400)와, 구조물(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기초 콘크리트(100)는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평활면을 형성하게 되고, 기초 콘크리트(100) 상에 프리캐스트 형태의 벽체 구조(200)와 프리캐스트 형태의 기둥(300)이 설치되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상측에 가로보(310)가 설치되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바닥부(500)가 형성되고, 벽체 구조(200)와 가로보(310) 사이의 상측에 프리캐스트 형태의 슬래브(410)가 설치되고, 벽체 구조(200) 및 슬래브(410)의 상측을 덮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천장 콘크리트(420)가 형성된다.
벽체 구조(200)는, 하단(210)과, 상단(220)과,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속 채움 콘크리트(2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벽체 구조(200)는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L자형 프리캐스트 형태의 하단(210)과 하단(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형태의 상단(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단(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기초 철근(212)이 상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210)의 상면 양측에는 제1, 제2 접합 철근(214-1, 214-2)이 상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210)의 상측에는 2겹 구조의 상단(220)이 형성된다.
상단(220)은 내측벽 세그먼트(220-1)와 외측벽 세그먼트(220-2)로 구성되는 2겹 구조이고, 2겹 구조 사이의 공간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속 채움 콘크리트(230)로 채워지고, 속 채움 콘크리트(230)를 상하로 관통하는 지지 철근(222)은 하측이 기초 철근(212)과 커플러(224)에 의해 연결되고 상측이 상면 위로 노출되어 천장 콘크리트에 침투되어 고정된다.
지지 철근(222)은,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고리형 철근(226-1)과 외측벽 세그먼트(220-2)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고리형 철근(226-2)이 지그재그로 겹쳐져 형성된 중첩 영역(도 5의 226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내측벽 세그먼트(220-1)와 하단(210)은, 하단 일측의 상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제1 접합 철근(214-1)이 내측벽 세그먼트(220-1) 하측에 삽입 형성된 제1 슬리브(218-1)에 끼워져 충전홈(2191)을 통한 모르타르 충전식 스플라이스 슬리브 접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외측벽 세그먼트(220-2)와 하단(210)은, 하단 타측의 상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제2 접합 철근(214-2)이 외측벽 세그먼트(220-2) 하측에 삽입 형성된 제2 슬리브(218-2)에 끼워져 충전홈(2192)을 통한 모르타르 충전식 스플라이스 슬리브 접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상측에는 슬래브(41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2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측벽 세그먼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측벽 세그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벽 세그먼트는 길이 L과, 폭 W와, 두께 t와, 돌출턱 w1을 갖는 폭보다 길이가 훨씬 긴 ㄴ 자 형태로서, 그 높이는 H를 갖는다.
외측벽 세그먼트의 내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는 제1 고리형 철근(2261)과, 제1 고리형 철근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고리형 철근(2262)과, 제2 고리형 철근(2262)과 완충 구간(ds)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3 고리형 철근(2263)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리형 철근은 높이 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단의 고리형 철근은 내면의 일측으로부터 d1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의 고리형 철근은 내면의 타측으로부터 d2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 외면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로 채워질 채움홈(227)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채움홈(227)에는 일측이 채움홈의 일면에 매립된 지수판(227)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 구간(ds)에는 내측벽 세그먼트의 돌출턱의 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완충 구간(ds)과 돌출턱에는 내측벽 세그먼트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공(228)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벽 세그먼트의 외면에는 인접하는 외측벽 세그먼트와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공(229)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벽 세그먼트의 구조는 도 3, 4에서 설명한 외측벽 세그먼트와 비교할 때, 지지턱(도 2의 2211)의 유무 여부와 외측벽 세그먼트와 결합시 고리형 철근들이 높이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겹쳐질 수 있도록 이격 길이 d1, d2의 실제 길이만 다를 뿐 다른 부분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벽 세그먼트 세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벽 세그먼트(220-1)와 외측벽 세그먼트(220-2)는 서로 엇갈림 형태로 결합되어 측벽 세그먼트 세트를 구성하고,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돌출턱에 형성된 제1 결합공(228)과 외측벽 세그먼트(220-2)의 완충 구간에 형성된 제1 결합공(228) 사이를 관통하는 강봉(2281)을 너트(2282) 조임함으로써, 그리고,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완충 구간에 형성된 제1 결합공(228)과 외측벽 세그먼트(220-2)의 돌출턱에 형성된 제1 결합공(228) 사이를 관통하는 강봉(2281)을 너트(2282) 조임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측벽 세그먼트 세트의 전체 길이 비율은 내측벽 세그먼트 길이 또는 외측벽 세그먼트의 길이(L) 대 돌출 길이(L1)가 3 대 1이 되는 것이 적절하다.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제1 고리형 철근(2261)과 외측벽 세그먼트(220-2)의 제2 고리형 철근(2262)이 높이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형성된 중첩 영역(2264)이 형성된다.
또한, 내측벽 세그먼트(220-1)의 제2 고리형 철근(2262)과 외측벽 세그먼트(220-2)의 제1 고리형 철근(2261)이 높이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형성된 중첩 영역(2264)이 형성된다.
이 중첩 영역(2264) 내에 지지 철근(도 2, 도 6의 222)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고리형 철근 간의 중첩 영역에 지지 철근이 관통함으로써 측벽 구조의 구조물들의 전단 보강 및 전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측벽 세그먼트 세트는 현장 공사 설비의 편의를 위하여 공장에서 조립된 이후에 현장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벽 구조의 상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3개의 측벽 세그먼트 세트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접하는 내측벽 세그먼트들 상호 간은 서로 인접하는 제2 결합공(229)을 관통하는 강봉(2291)을 너트(2292) 조임함으로써 서로 결합되고, 인접하는 외측벽 세그먼트들 상호 간은 서로 인접하는 제2 결합공(229)을 관통하는 강봉(2291)을 너트(2292) 조임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중앙의 측벽 세그먼트 세트의 외측벽 세그먼트에 형성된 제3 고리형 철근(2263)과 인접하는 측벽 세그먼트 세트의 내측벽 세그먼트에 형성된 제3 고리형 철근(2263)은 높이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중첩 영역(2264)이 형성된다.
중첩 영역(2264)에는 지지 철근(222)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단 구조는 내측벽 세그먼트와 외측벽 세그먼트의 엇갈림 결합 방식으로 구성되는 2겹 구조이고, 내측벽 세그먼트의 돌출턱과 외측벽 세그먼트의 돌출턱에 의해 형성된, 2겹 구조 사이의 공간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속 채움 콘크리트(230)로 채워진다.
속 채움 콘크리트(23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철근(222)은 하측이 기초 철근(도 2의 212)과 커플러(도 2의 224)에 의해 연결되고 상측이 상단 구조의 상면 위로 노출되어 천장 콘크리트(도 2의 420)에 침투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6에서는 중첩 영역(2264)에 2개의 지지 철근(222)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1개 또는 3개 이상도 가능하다.
도 6에서의 구성은 3개의 측벽 세그먼트 세트로 이루어진 측벽 유닛이라 불릴 수 있다. 도 6에서의 측벽 유닛은 3개의 측벽 세그먼트 세트로 구성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임의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측벽 유닛의 양단의 측벽 세그먼트 세트들은 그 끝이 외측벽 세그먼트의 또는 내측벽 세그먼트의 돌출벽 외면과 편평해지도록 절단되어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측벽 유닛들과의 결합이 평면 대 평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런 측벽 유닛의 양 단에는 다른 측벽 유닛과의 결합시에 채움재로 채워질 채움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이 채움홈(227)의 일면에 매립된 채로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수판(2272)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측벽 유닛들 간의 결합면에서는 지수판(2272)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측벽 유닛 내에서 인접하는 측벽 세그먼트 세트 간의 결합면은 평면이 아니라 2중 꺾인 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 도 7a, 7b, 7c, 7d를 참조하면, 먼저, 일정 영역의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100)를 타설하여 바닥 평활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벽체 구조(200)를 형성한다.
벽체 구조 형성은, 우선, 하단(210)을 기초 콘크리트 상에 거치한 후 하단(210) 상호 간을 강봉 연결 또는 강관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단 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단 구조를 형성하는데, 지지 철근(222)을 커플러(224)를 이용하여 기초 철근(212)에 결합하고, 내,외측벽 세그먼트(220-1, 220-2)의 하측에 삽입 형성된 슬리브(218-1, 218-2)가 상단의 제1, 제2 접합 철근(214-1, 214-2)에 끼워지도록 거치한 후, 충전홈(2191, 2192)을 통해 모르타르를 충전함으로써 측벽 세그먼트와 하단 간에 스플라이스 슬리브 접합을 수행하고, 인접하는 타측벽 세그먼트 간은 제1 결합공(228)을 통한 강봉 연결로 서로 결합하고, 인접하는 동일측벽 세그먼트 간은 제2 결합공(229)을 통한 강봉 연결로 서로 결합하고, 내,외측벽 세그먼트 간에 형성된 공간에 속 채움 콘크리트(230)를 타설하여 상단 구조를 형성한다.
측벽 유닛들이 접하는 채움홈에는 일측이 매설된 지수판(2272)이 서로 엇갈려 겹쳐져 있어서, 인접하는 측벽 유닛 간의 평면 대 평면의 결합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 콘크리트(100) 상에 프리캐스트 기둥(300)을 거치한다.
다음으로, 바닥부 철근을 조립한 후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5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기둥(300)들 간에 가로보(310)를 거치한다.
다음으로, 내측벽 세그먼트(220-1)와 가로부(310) 간에 슬래브(410)를 거치한다.
다음으로, 천장 철근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장 콘크리트(420)를 형성한다. 이때, 지지 철근(222)의 일측이 천장 콘크리트(420)에 매설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적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적용한 빗물 저류조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운동장 지하에 설치된 빗물 저류조는 노면 빗물을 유입하여 도심 침수 예방에 도움을 주고 저류조에 저장되었던 빗물은 빌딩 생활 용수로 이용될 수 있고, 하천 근처 공원의 지하에 설치된 빗물 저류조는 근방의 빗물을 유입하고 저장되었던 빗물을 공원 조경 용수로 이용하거나 근처 하천의 가뭄으로 인한 건천화 방지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는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리캐스트 구조물
100 : 기초 콘크리트 200 : 벽체 구조
300 : 기둥 400 : 천장부
500 : 바닥부
210 : 하단 220 : 상단
230 : 속 채움 콘크리트
220-1 : 내측벽 세그먼트 220-2 : 외측벽 세그먼트
226-1 : 내측벽 세그먼트의 고리형 철근
226-2 : 외측벽 세그먼트의 고리형 철근
212 : 기초 철근 222 : 지지 철근

Claims (10)

  1. 프리캐스트 형태의 구조물에 있어서,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1 세그먼트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제2 세그먼트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엇갈려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는 열의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다수의 고리형 철근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다수의 고리형 철근은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고리형 철근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갖는 고리형 철근 중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철근 중첩 구조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내면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공간 밖의 내면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공간 밖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리형 철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돌출턱과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돌출턱과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면 중 일측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면 중 타측에서 상기 제2 세그먼트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단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의 상면에는 기초 철근이 노출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기초 철근과 결합되는 지지 철근이 상기 중첩 영역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또 다른 제1 세그먼트와, 폭보다 길이가 긴 ㄴ 자 형태를 갖는 또 다른 제2 세그먼트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서로 엇갈려 결합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일측과 상기 또 다른 제1 세그먼트의 타측이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일측과 상기 또 다른 제2 세그먼트의 타측이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0. 삭제
KR1020180029722A 2018-03-14 2018-03-14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92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22A KR101929459B1 (ko) 2018-03-14 2018-03-14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22A KR101929459B1 (ko) 2018-03-14 2018-03-14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59B1 true KR101929459B1 (ko) 2018-12-14

Family

ID=6474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722A KR101929459B1 (ko) 2018-03-14 2018-03-14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76572U (zh) * 2016-01-14 2016-06-01 武汉科技大学 一种基于灌装施工的新型双层预制墙体结构
KR101645525B1 (ko) * 2015-12-30 2016-09-07 이형훈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25B1 (ko) * 2015-12-30 2016-09-07 이형훈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CN205276572U (zh) * 2016-01-14 2016-06-01 武汉科技大学 一种基于灌装施工的新型双层预制墙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JP7061002B2 (ja) 橋梁の補修方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CN110499779B (zh) 一种与地铁车站共用侧墙的风道结构施工方法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20090029993A (ko)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10128860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바닥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1929459B1 (ko)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567742B1 (ko)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JP6584979B2 (ja) 地下タンク構造の構築方法、地下タンク構造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JP2004346729A (ja) 拡幅道路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20120054290A (ko) 벽체말뚝
KR101288602B1 (ko) 결속밴드로 머리가 연결된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94681B1 (ko) 저류 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84462B1 (ko)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의 보강토옹벽 그리드 설치방법
KR100457834B1 (ko) 압출 성형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체및 시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