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889B1 -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889B1
KR101447889B1 KR1020140090870A KR20140090870A KR101447889B1 KR 101447889 B1 KR101447889 B1 KR 101447889B1 KR 1020140090870 A KR1020140090870 A KR 1020140090870A KR 20140090870 A KR20140090870 A KR 20140090870A KR 101447889 B1 KR101447889 B1 KR 10144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panel
hole
ancho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현
Original Assignee
휘성개발 주식회사
조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성개발 주식회사, 조영현 filed Critical 휘성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7Plastics thermo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절토부에 옹벽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판넬과 어스앵커 간에 조립시 발생되는 축 직선도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작업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옹벽판넬 후방에 별도의 조인트 브라켓과 축 이동소켓을 구비하여 편심 이동 및 직선도 맞춤위치 가변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판넬 간 연결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절토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빗물 또는 지하수에 대하여 신속한 배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드레인 벨트 또는 S형 다발관이 선택적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확보된 수밀성으로 하여금 토사의 유실 또는 토압의 증가로 인한 옹벽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옹벽판넬의 후방에 뒷굽판과 개비박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성토에 매립시 보강된 시공 구조를 이룸으로서, 적층구조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prefabricatedreve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절토부에 옹벽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판넬과 어스앵커 간에 조립시 발생되는 축 직선도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작업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옹벽판넬 후방에 별도의 조인트 브라켓과 축 이동소켓을 구비하여 편심 이동 및 직선도 맞춤위치 가변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판넬 간 연결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절토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빗물 또는 지하수에 대하여 신속한 배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드레인 벨트 또는 S형 다발관이 선택적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확보된 수밀성으로 하여금 토사의 유실 또는 토압의 증가로 인한 옹벽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이나 암석이 무너지지 않게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는 벽체를 '옹벽'이라 하며, 이러한 옹벽은 앵커를 이용하거나 또는 락볼트 및 소일네일을 이용하여 옹벽을 고정한다.
종래의 토목공사용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배면토에 의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옹벽높이의 3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휨 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옹벽 벽체의 단면적과 벽체 내부에 배근 되는 철근량이 옹벽의 높이에 따라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및 고가인 철근량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 증대요인이 되었고, 시공상의 어려움에 의한 하자 발생 사례가 많아 지속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하며, 시공불량에 의한 옹벽붕괴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 모멘트는 최소한으로 줄이며 저항 모멘트는 최대로 증가시키도록 해야 하는 바, 그에 따른 안전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탈면의 기울기를 안식각 이하로 함은 물론 강우, 지진 등의 급작스런 천재에 대비하여 안전한 기울기를 만들어야 하며, 단면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아래로 내려올수록 기울기를 느리게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 구조물 시공시에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의 결합 직선도가 일치해야 구조물의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져 견고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바, 통상의 경우에는 절토부에 정착된 어스앵커의 돌출된 단부 즉, 고정단부가 옹벽판넬의 고정공과 직선도가 일치하지 않아 숙련된 작업자도 작업상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옹벽 구조물은 비탈면의 안전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배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빗물 또는 강설 등으로 인한 침투수가 중요하며, 땅깍기에서나 또는 흙쌓기에서 배수가 잘되지 않는 경우 흙 속으로 물이 스며들어 흙의 단위 중량이 증가되고 전도 모멘트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파괴면 부근의 흙을 약화시켜 저항 모멘트를 감소시키게 형성된다.
그러나, 물이 흙속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하더라도 비탈면의 뒷면이나 윗면에 고임으로서, 이에 의한 수압으로 인하여 전도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옹벽 자체의 붕괴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7832호(2013.08.12. 등록)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토부에 옹벽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판넬과 어스앵커 간에 조립시 발생되는 축 직선도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작업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옹벽판넬 후방에 별도의 조인트 브라켓과 축 이동소켓을 구비하여 편심 이동 및 직선도 맞춤위치 가변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판넬 간 연결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절토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빗물 또는 지하수에 대하여 신속한 배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드레인 벨트 또는 S형 다발관이 선택적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확보된 수밀성으로 하여금 토사의 유실 또는 토압의 증가로 인한 옹벽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옹벽판넬의 후방에 뒷굽판과 개비박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성토에 매립시 보강된 시공 구조를 이룸으로서, 적층구조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절토부(10)에 인접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되, 면상 일측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10)과 앵커 결합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결합공(120) 중 토사측 배면에는 수납홈(131)을 갖는 스틸판(13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옹벽판넬(100)과; 상기 옹벽판넬의 수납홈(131)에 플렌지(210)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10)와 대향되는 토사측에는 접합면(230)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인트 브라켓(200)과; 상기 조인트 브라켓의 접합면(230)에 지지판(310)이 맞닿으며 결합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지지판(310)의 중심원(C)과 이격된 위치에 편심공(320)이 형성되어 지지판(310)이 접합면(230)에 완전 결합되기 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 위치를 편심공(320)에 의해 정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축 이동소켓(300)과; 상기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을 통해 일측 고정단부(410)가 진입하면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 및 옹벽판넬의 앵커 결합공(120)을 차례로 관통한 뒤 인장된 후 체결너트(4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되, 타측 정착단부(430)는 천공된 절토부에 매립되어 정착 고정되도록 하는 어스앵커(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옹벽판넬(100)은 정면 또는 배면 하측에 토압 저항용 지지블럭(140)이 형성되어 앵커 결합공(120)이 지지블럭(140)에 마련되도록 하되,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은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 보다 직경이 2~3배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고, 편심공(320)에 의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가 정해지면 조인트 브라켓(200)과 축 이동소켓(300)이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옹벽판넬(100)은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개가 적층시 토사측을 향한 배면에 드레인 벨트(500)가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합성수지재의 플렉시블한 시트판으로서, 토사측을 향한 면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다수개의 유입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510)의 후방에는 낙수홈(52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기초블럭(600)의 배수구(610)로 하부 끝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절토부(10)의 절개면(11)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홈(510)과 낙수홈(520)은 상기 절토부(10)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옹벽판넬(100)은 토사측을 향한 배면 하단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장된 뒷굽판(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뒷굽판(150)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구된 개비박스(160)가 형성되어 자갈 또는 잡석(170)이 채워지면 절토부(10)와의 사이에 토사, 자갈,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성토(20)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판넬과 어스앵커 간에 조립시 발생되는 축 직선도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작업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옹벽판넬 후방에 별도의 조인트 브라켓과 축 이동소켓을 구비하여 편심 이동 및 직선도 맞춤위치 가변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판넬 간 연결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토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빗물 또는 지하수에 대하여 신속한 배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드레인 벨트 또는 S형 다발관이 선택적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확보된 수밀성으로 하여금 토사의 유실 또는 토압의 증가로 인한 옹벽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옹벽판넬의 후방에 뒷굽판과 개비박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성토에 매립시 보강된 시공 구조를 이룸으로서, 적층구조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판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형성한 일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판넬 후방에 조인트 브라켓과 축 이동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일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벨트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뒷굽판과 개비박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옹벽판넬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판넬의 다양한 디자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도록 하는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크게 옹벽판넬과 조인트 브라켓, 축 이동소켓 및 어스앵커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옹벽판넬(100)은 도 1 내지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절토부(10)에 인접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되, 면상 일측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10)과 앵커 결합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결합공(120) 중 토사측 배면에는 수납홈(131)을 갖는 스틸판(13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옹벽판넬(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또는 배면 하측에 토압 저항용 지지블럭(140)이 형성되어 앵커 결합공(120)이 지지블럭(140)에 마련되도록 하되,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은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 보다 직경이 2~3배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고, 편심공(320)에 의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가 정해지면 조인트 브라켓(200)과 축 이동소켓(300)이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옹벽판넬(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개가 적층시 토사측을 향한 배면에 드레인 벨트(500)가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합성수지재의 플렉시블한 시트판으로서, 토사측을 향한 면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다수개의 유입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510)의 후방에는 낙수홈(52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기초블럭(600)의 배수구(610)로 하부 끝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절토부(10)의 절개면(11)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홈(510)과 낙수홈(520)은 상기 절토부(10)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홈은 낙수홈보다 직경이 좁은 형태로서, 흙과의 접촉시 유입홈을 통해 낙수홈으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낙수홈이 막히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낙수홈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옹벽판넬(10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측을 향한 배면 하단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장된 뒷굽판(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뒷굽판(150)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구된 개비박스(160)가 형성되어 자갈 또는 잡석(170)이 채워지면 절토부(10)와의 사이에 토사, 자갈,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성토(20)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옹벽판넬의 뒷굽판(150)은 기초블럭(600)의 상면에 형성된 앙카볼트(620)가 뒷굽판의 면상에 형성된 끼움공(151)을 관통하면서 돌출되면 별도의 조립너트(630)로 하여금 체결함으로써, 구조 일체화를 더욱 확고히 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브라켓(200)은 상기 옹벽판넬의 수납홈(131)에 플렌지(210)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10)와 대향되는 토사측에는 접합면(23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축 이동소켓(300)은 상기 조인트 브라켓의 접합면(230)에 지지판(310)이 맞닿으며 결합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지지판(310)의 중심원(C)과 이격된 위치에 편심공(320)이 형성되어 지지판(310)이 접합면(230)에 완전 결합되기 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 위치를 편심공(320)에 의해 정밀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어스앵커(400)는 상기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을 통해 일측 고정단부(410)가 진입하면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 및 옹벽판넬의 앵커 결합공(120)을 차례로 관통한 뒤 인장된 후 체결너트(4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되, 타측 정착단부(430)는 천공된 절토부에 매립되어 정착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옹벽판넬 110 ... 배수공
120 ... 앵커 결합공 130 ... 스틸판
140 ... 지지블럭 150 ... 뒷굽판
160 ... 개비박스 170 ... 자갈 또는 잡석
200 ... 조인트 브라켓 210 ... 플렌지
220 ... 통공 230 ... 접합면
300 ... 축 이동소켓 310 ... 지지판
320 ... 편심공 400 ... 어스앵커
410 ... 고정단부 420 ... 체결너트
430 ... 정착단부 500 ... 드레임 벨트
510 ... 유입홈 520 ... 낙수홈
600 ... 기초블럭 610 ... 배수구

Claims (5)

  1.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절토부(10)에 인접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되, 면상 일측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10)과 앵커 결합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결합공(120) 중 토사측 배면에는 수납홈(131)을 갖는 스틸판(13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옹벽판넬(100)과;
    상기 옹벽판넬의 수납홈(131)에 플렌지(210)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통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210)와 대향되는 토사측에는 접합면(230)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인트 브라켓(200)과;
    상기 조인트 브라켓의 접합면(230)에 지지판(310)이 맞닿으며 결합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지지판(310)의 중심원(C)과 이격된 위치에 편심공(320)이 형성되어 지지판(310)이 접합면(230)에 완전 결합되기 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 위치를 편심공(320)에 의해 정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축 이동소켓(300)과;
    상기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을 통해 일측 고정단부(410)가 진입하면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 및 옹벽판넬의 앵커 결합공(120)을 차례로 관통한 뒤 인장된 후 체결너트(4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되, 타측 정착단부(430)는 천공된 절토부에 매립되어 정착 고정되도록 하는 어스앵커(4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100)은 정면 또는 배면 하측에 토압 저항용 지지블럭(140)이 형성되어 앵커 결합공(120)이 지지블럭(140)에 마련되도록 하되, 조인트 브라켓의 통공(220)은 축 이동소켓의 편심공(320) 보다 직경이 2~3배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고, 편심공(320)에 의해 어스앵커(400)의 직선도가 정해지면 조인트 브라켓(200)과 축 이동소켓(300)이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100)은 옹벽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개가 적층시 토사측을 향한 배면에 드레인 벨트(500)가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합성수지재의 플렉시블한 시트판으로서, 토사측을 향한 면상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다수개의 유입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510)의 후방에는 낙수홈(52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기초블럭(600)의 배수구(610)로 하부 끝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벨트(500)는 절토부(10)의 절개면(11)에 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홈(510)과 낙수홈(520)은 상기 절토부(10)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100)은 토사측을 향한 배면 하단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장된 뒷굽판(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뒷굽판(150)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구된 개비박스(160)가 형성되어 자갈 또는 잡석(170)이 채워지면 절토부(10)와의 사이에 토사, 자갈,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성토(20)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20140090870A 2014-07-18 2014-07-18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44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70A KR101447889B1 (ko) 2014-07-18 2014-07-18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70A KR101447889B1 (ko) 2014-07-18 2014-07-18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889B1 true KR101447889B1 (ko) 2014-10-10

Family

ID=5199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70A KR101447889B1 (ko) 2014-07-18 2014-07-18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9B1 (ko) * 2017-10-16 2018-07-0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보강블럭을 구비하는 옹벽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KR102249603B1 (ko) 2020-10-28 2021-05-10 주식회사 삼화켐 옹벽 시공방법
KR20220166904A (ko) * 2021-06-10 2022-12-20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816A (ko) * 2002-12-09 2004-06-17 신효경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KR100560116B1 (ko) 2005-11-24 2006-03-10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KR20090117608A (ko) * 2009-03-24 2009-11-12 박이근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20100053270A (ko) * 2008-11-12 2010-05-20 이희철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816A (ko) * 2002-12-09 2004-06-17 신효경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KR100560116B1 (ko) 2005-11-24 2006-03-10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KR20100053270A (ko) * 2008-11-12 2010-05-20 이희철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17608A (ko) * 2009-03-24 2009-11-12 박이근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9B1 (ko) * 2017-10-16 2018-07-0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보강블럭을 구비하는 옹벽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KR102249603B1 (ko) 2020-10-28 2021-05-10 주식회사 삼화켐 옹벽 시공방법
KR20220166904A (ko) * 2021-06-10 2022-12-20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509305B1 (ko) * 2021-06-10 2023-03-15 주식회사 셉코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795B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패널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US10472836B2 (en) Reinfor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reinforcing the foundation of a structure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949781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47889B1 (ko)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JP2013256793A (ja) 地下構造の施工方法及び地下構造
JP2012107479A (ja) 地下・地上構造物の施工方法
JP2018526555A (ja) 材木ポール基礎構造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1262631B1 (ko) 조립식 가설 흙막이시설
KR101727206B1 (ko)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KR20160006305A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662096B1 (ko) 아치형 상부슬래브로 강관을 밀어내면서 압입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1378097B1 (ko) 복공판
JP5058307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20120007288A (ko) 중구경강관과 도갱공을 이용한 비개착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터널시공 구조물
AU2016203317B2 (en) Ground Engaging Construction Support
KR101368311B1 (ko) 높이조절형 철골기둥
JP2014125797A (ja) 複合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92397B1 (ko) 층당지지 엄검지말뚝 흙막이공법
KR20150019692A (ko) 인장력과 압축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덕타일 주철 말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