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974A - 펌프용 밸브 - Google Patents

펌프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974A
KR20150068974A KR1020157011993A KR20157011993A KR20150068974A KR 20150068974 A KR20150068974 A KR 20150068974A KR 1020157011993 A KR1020157011993 A KR 1020157011993A KR 20157011993 A KR20157011993 A KR 20157011993A KR 20150068974 A KR20150068974 A KR 2015006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tact surface
valve
closing elem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469B1 (ko
Inventor
베른트 구겔
루크 판 힘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6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6Electrically operated valves, e.g. using electromagnetic or piezoelectr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02M59/368Pump inlet valves being closed when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33Lift valves, i.e. having a valve member that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valve seat
    • F02M63/0035Poppet valves, i.e. having a mushroom-shaped valve member that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33Lift valves, i.e. having a valve member that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valve seat
    • F02M63/0036Lift valves, i.e. having a valve member that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valve seat with spherical or partly spherical shaped valve member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59Arrangements of valve actuators
    • F02M63/0063Two or more actuators acting on a singl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밸브 몸체 내에 장착되는 폐쇄 요소를 구비하는, 연료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용 밸브로서, 폐쇄 요소는 펌프의 도관을 폐쇄하도록 설계되고, 폐쇄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며, 폐쇄 요소는 제1 접촉 표면을 구비하고, 액추에이터는 제2 접촉 표면을 구비하며, 폐쇄 요소와 액추에이터는 접촉 표면을 통해 서로 접촉하는 밸브에 있어서, 접촉 표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 표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용 밸브{VALVE FOR A PUMP}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펌프용 밸브와 특허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연료 전달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예를 들어 DE 10 2008 018 018 A1은 유체의 전달을 위한 펌프를 개시한다. 펌프는 실린더 챔버를 둘러싸는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한다. 펌프 피스톤이 실린더 챔버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폐쇄 몸체가 폐쇄 위치에서 유체 공급 라인으로부터 실린더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유체 유동의 차단을 해제한다. 펌프는 전기 절연 재료의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어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폐쇄 몸체는 액추에이터에 결합된다. 액추에이터는 폐쇄 몸체와 능동적으로 연결되는 자기 로터를 구비한다.
DE 10 2004 028 968 A1은 확고한 개방 디스플레이를 갖춘 밸브를 개시한다. 밸브는 자기 구동 장치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로터가 반구형 단부 피스(piece)를 통해 폐쇄 요소의 반구형 요홈 내로 삽입된다.
DE 103 32 345 A1은 밸브 폐쇄 요소가 밸브 리프터(valve lifter)와 밸브 시트 사이의 회전점에 자동-조심(self-centering)되어 배치되는 전자기 밸브를 개시한다.
DE 102 55 740 A1은 직접 제어식 비례 압력-제한 밸브를 개시한다. 밸브는 비례 자석의 로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밸브 원추체(valve cone)를 구비한다. 밸브 원추체는 로터 내의 유니버설 조인트 상에 지지된다. 밸브 원추체는 또한 하우징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여기에서 밸브 원추체와 하우징측 가이드 사이의 유극이 밸브 원추체와 로터 사이의 유극보다 작다.
DE 197 00 979 A1은 밸브 시트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해 폐쇄 요소에 작용하는 로터를 갖춘 자기 밸브를 개시한다.
DE 22 08 183은 폐쇄 요소가 볼을 통해 로커에 능동적으로 연결되는 자기 밸브를 개시한다.
DE 20 52 307은 로터가 유니버설 조인트 연결부를 통해 밸브 리프터에 결합되는 전자기 작동식 시트 밸브를 개시한다.
DE 20 2004 002 432 U1은 슬라이딩 가이드를 갖춘 샤프트와 함께 밸브 요소의 작동 방향으로 안내되는 T자형 힘 전달 요소를 통해 공통 자석에 의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폐쇄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2개의 인접한 밸브 요소를 갖춘 이중 자기 밸브를 개시하며, 여기에서 반경 방향 안전 간극이 슬라이딩 가이드와 샤프트 사이에 제공되고, 밸브 요소 반대쪽을 향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측에서, 틸팅 힌지 조인트(tilting hinge joint)가 힘 전달 요소의 샤프트와 자석의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로터 플런저 또는 로터 사이에 제공된다.
DE 73 35 302 U는 로터에 슬리브가 설치되는 자기 밸브를 개시하며, 여기에서 볼이 슬리브 내에 배치되고, 로터의 위치에 따라 라인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DE 199 17 756 A1은 하우징 개구 내에 밸브 시트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 밸브 시트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밸브 시트로 이어지는 압력-매체 채널들을 연결하거나 격리할 수 있는 플런저형 밸브 폐쇄 요소, 및 힌지 조인트에 의해 자기 로터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 폐쇄 요소를 수용하도록 밸브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기 로터를 구비하는 전자기 밸브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밸브 폐쇄 요소와 함께 자석 로터는 독자적으로 취급될 수 있는 부-조립체를 형성한다. 로터는 테이퍼진 계단형 보어로서 형성되는 로터 보어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우선 테이퍼 단차(taper step)는 제조하기 쉬운 일정한 지지 표면이 원추형 힌지를 수용하도록 허용하고, 그 위에서 힌지가 일정한 단면을 갖는 압축 스프링의 거의 완전한 수용을 위해 로터 보어에 연결되는 한편, 힌지 아래에서 테이퍼 단차는 밸브 폐쇄 요소가 거의 반경 방향 유극 없이 관절식 배향을 위해 안전하게 안내되는 비교적 좁은 로터 보어로 변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액추에이터와 폐쇄 몸체 사이의 접촉면의 마모가 감소되는 개선된 밸브와 개선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밸브와 특허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가 종속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액추에이터는 자기 코일과 자기 로터로서 구성되며, 여기에서 액추에이터의 접촉면은 로터 상에 형성된다. 로터를 액추에이터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액추에이터가 최적화된 구성 크기로 달성된다. 또한, 로터는 폐쇄 요소가 그것을 통해 안내되는 요홈을 구비한다. 로터의 접촉면은 요홈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기술된 밸브의 하나의 이점은 폐쇄 요소와 액추에이터의 접촉면의 마멸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는 폐쇄 요소와 액추에이터의 접촉면이 반구형 표면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달성된다. 반구형 표면으로서의 구성은 감소된 마멸을 제공한다.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반구형 표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폐쇄 요소가 액추에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비스듬한 위치를 가질 때 마멸이 또한 적다. 또한, 이러한 비스듬한 위치에서 실제 접촉 면적이 여전히 비교적 크다. 반구형 표면은 임의의 유형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곡률 반경이 변할 수 있다.
접촉면이 반구형 표면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 접촉 표면적이 증가되어, 마멸이 더욱 감소된다. 또한, 실제 접촉 표면적과 따라서 마멸에 미치는 축방향으로 비스듬한 위치의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은 일정한 반경을 갖는 구형 표면의 일부의 형태를 갖는다. 접촉면을 구형 표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대한 폐쇄 요소의 축방향으로 비스듬한 위치에서의 마멸이 더욱 감소된다. 또한, 일정한 반경을 갖는 구형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접촉면은 각각 일정한 반경을 갖는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구형 표면을 일정한 반경을 갖는 구형 표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및/또는 폐쇄 요소가 축방향으로 서로 정확히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더라도, 접촉면에서의 마멸이 적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접촉면은 볼록한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멸의 감소가 구형 표면의 정확도에 대한 낮은 요건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반경은 미터 범위 내에 놓인다. 큰 반경으로 인해, 특히 2개의 볼록한 접촉면, 특히 볼록한 구형 면을 갖춘 2개의 볼록한 접촉면의 형성에서, 큰 접촉 면적이 달성되고, 접촉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질 때 큰 접촉 면적과 따라서 적은 마멸이 여전히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접촉면의 구형 표면은 상이한 반경을 갖는다. 이는 특히 접촉면의 볼록-오목 배열을 형성할 때 유리하다. 큰 반경이 볼록한 구형 표면을 위해 사용되고, 작은 반경이 오목한 구형 표면을 위해 사용될 때, 두 접촉면이 축방향으로 비스듬한 위치를 갖는 경우에 변형 없이 큰 접촉 면적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접촉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접촉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볼록한 구형 표면을 오목한 구형 표면과 쌍을 이루게 함으로써, 큰 접촉 면적이 액추에이터와 폐쇄 요소 사이에 제공되며, 이는 또한 액추에이터가 폐쇄 요소에 대해 경사질 때 큰 접촉 면적을 허용한다. 따라서, 마멸이 더욱 감소된다.
또한, 밸브의 작동 중에, 액추에이터 및 폐쇄 요소의 접촉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형 표면의 형태 - 특히 볼록-오목 쌍에서 - 는 접촉면 사이의 공간이 유체, 특히 연료로 충전되기 때문에 접촉면 사이의 상호 충돌의 유체 감쇠(hydraulic damping)로 이어진다. 따라서, 축방향 경사시에도, 큰 접촉 면적뿐만 아니라, 유체에 의한 추가의 유체 감쇠가 여전히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볼록한 접촉면과 오목한 접촉면의 곡률, 특히 반경은 환형의 오목한 접촉면, 특히 오목한 반구형 표면의 중간에서 볼록한 접촉면과 오목한 접촉면 사이에 환형 접촉 영역이 생성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 요소의 축방향으로 비스듬한 위치시에도 접촉 면적의 최대 크기가 달성된다. 또한, 유체 감쇠 쿠션(hydraulic damping cushion)의 형성이 지원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촉면은 반구형 표면으로서 형성되며, 여기에서 반구형 표면의 중심축은 측방향으로 편위된다. 이는 측방향으로 편향된 위치를 제공하며, 이는 접촉면 사이의 약간 더 큰 갭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확대된 갭은 접촉면 사이에서의 유체 감쇠 쿠션의 형성을 지원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부시가 폐쇄 요소에 부착되며, 여기에서 폐쇄 요소의 접촉면은 부시 상에 형성된다. 부시의 사용은 접촉면의 간단하고 경제적인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부시가 폐쇄 요소에 고정되기 전에 접촉면이 부시 상에 생성되기 때문이다. 일체형 폐쇄 요소 상에 접촉면을 생성하는 것은 상당히 더 복잡하고 따라서 더욱 고가이다. 또한, 부시를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재료, 특히 폐쇄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더욱 경질의 표면 코팅을 갖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폐쇄 요소의 2-부품 형성은 사용되는 제조 공정과 재료의 증가된 융통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폐쇄 요소는 가이드 표면을 갖춘 부분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폐쇄 요소는 밸브 하우징 내에서 상기 부분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로터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또 다른 채널은 요홈으로 통하고, 유체를 채널로부터 접촉면의 영역 내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밸브 하우징은 유체, 특히 연료가 그것을 통해 접촉면의 영역에 공급될 수 있는 또 다른 채널을 구비한다. 이는 유체에 의해 접촉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 감쇠 쿠션의 형성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체 쿠션의 형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밸브 하우징의 채널 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액추에이터와 폐쇄 몸체 사이의 접촉면의 마모가 감소되는 개선된 밸브와 개선된 펌프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연료용 펌프의 개략적인 부분 발췌도이다.
도 2는 로터와 폐쇄 요소의 부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폐쇄 요소와 로터의 접촉면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4는 2개의 볼록한 접촉면을 갖춘 실시 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반구형 표면이 수개의 반경을 갖는 접촉면을 갖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1)를 개략적인 부분도로 도시한다. 펌프(1)는 예를 들어 연료 펌프, 특히 연료용 고압 펌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펌프(1)는 내부에 제1 채널(3)이 생성되는 하우징(2)을 구비한다. 제1 채널(3)은 공급 챔버(4)로 통하고, 공급 채널을 구성한다. 공급 챔버(4)는 압력 챔버(5)에 연결된다. 압력 챔버(5)는 배출 채널을 구성하는 제2 채널(6)에 연결된다. 제1 채널(3)은 예를 들어 사전-이송 펌프(pre-delivery pump) 또는 연료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채널(6)은 연료 저장 유닛 또는 분사기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 피스톤(7)이 압력 챔버(5)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펌프 피스톤(7)은 구동 샤프트(8)에 의해 축방향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공급 챔버(4)와 압력 챔버(5) 사이에 형성되는 전이 영역(40)에서, 밀봉 시트(9)가 하우징(2) 상에 배치된다. 제2 밀봉 시트(11)가 밀봉 시트(9)에 할당되고, 폐쇄 요소(10) 상에 형성된다. 밀봉 시트(9)와 제2 밀봉 시트(11)는 각각 링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2 밀봉 시트(11)를 갖춘 폐쇄 요소(10)는 압력 챔버(5) 내부에 위치된다. 압력 챔버(5)의 직경은 전이 영역에서 공급 챔버(4)의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폐쇄 요소(10)는 공급 챔버(4)를 통해 안내된다. 공급 챔버(4)는 압력 챔버(5)의 반대쪽의 밸브 챔버(13)에 연결된다. 밸브 챔버(13)에서, 가이드 부품(14)이 공급 챔버(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부품(14)은 가이드 표면을 갖춘 중심 보어(15)를 구비한다. 폐쇄 요소(10)는 보어(15) 내에 배치되는 그리고 중심축(30)에서 보어(15)의 가이드 표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부분(12)을 구비한다. 가이드 부분(14) 위에서, 로터(16)가 밸브 챔버(13) 내에 배치된다. 로터(16)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반경 방향 외부에서 실린더 케이싱 표면 형태의 가이드 표면(17)을 구비한다. 밸브 챔버(13)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로터(16)를 위한 제2 가이드 표면(41)을 구비한다. 로터(16)는 자성 재료로 제조되고, 밸브 챔버(13) 내에 중심축(30)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로터(16)는 또한 폐쇄 요소(10)의 부분(19)이 그것을 통해 안내되는 제2 보어(18)를 구비한다. 폐쇄 요소(10)의 부분(19)의 단부 피스(44)가 압력 챔버(5)의 반대쪽의 방향으로 로터(16)를 지나 돌출된다. 로터(16)의 제2 보어(18)는 로터(16)의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채널(20)과 연결되며, 여기에서 이러한 또 다른 채널은 로터의 저면(43)으로부터 제2 보어(18)까지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 부품(14)은 가이드 부품(14)의 상면(42)으로부터 가이드 부품(14)의 저면(45)까지 연장되는 추가의 채널(21)을 구비한다. 이러한 추가의 채널은 공급 챔버(4)를 로터(16)의 상기 또 다른 채널(21)에 연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챔버(4)와 제2 보어(18) 사이에 유체 연결(hydraulic connection)이 생성된다.
밸브 챔버(13)는 하우징 커버(24)로 폐쇄되며, 여기에서 폐쇄 요소(10)의 단부 피스(44)가 그것 내로 돌출되는 수용기 개구(25)가 하우징 커버(24) 내에 형성된다. 제2 밸브 시트(11)의 반대쪽에서, 로터(16) 외부의 단부 피스(44) 상에서, 폐쇄 요소(10)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그리고 폐쇄 요소(10)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부시(23)를 구비한다. 스프링(28)이 수용기 개구(25)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24)와 부시(23) 사이에 클램핑된다. 부시(23)는 로터(16)의 제2 접촉면(27)에 할당되는 제1 접촉면(26)을 구비한다. 제2 접촉면(27)은 보어(16)에 인접하게 로터(16)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소정 상황에서, 제1 접촉면(26)의 접촉 영역이 제2 접촉면(27) 상에 놓인다.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은 중심축(30)에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의 평면에서, 변할 수 있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면(26, 27)은 반구형 표면의 형태를 갖는다. 밸브 챔버(13)는 로터(16)와 함께 폐쇄 요소(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는 자기 코일(29)에 의해 둘러싸인다. 액추에이터와 폐쇄 요소는 전자기 밸브(31)를 형성한다.
도시된 상황에서, 스프링(28)은 폐쇄 요소(10)에 사전장력을 인가하여 로터(16)와 접촉하게 하며, 여기에서 부시(23)의 제1 접촉면(26)의 접촉 영역이 로터(16)의 제2 접촉면(27) 상에 놓인다. 이때 공급 챔버(4)는 압력 챔버(5)에 연결되며, 즉 밸브(31)는 개방 위치에 있다. 밸브(31)의 개방 위치에서, 펌프(1)는 펌프 피스톤(7)의 하향 운동으로 인해 유체, 특히 연료를 제1 채널(3)을 통해 흡입할 수 있다. 흡입 후에, 압축 공정을 위해, 밸브(31)가 자기 코일(29)에 대한 상응하는 전력 인가에 의해 폐쇄되며, 즉 폐쇄 요소(10)의 제2 밀봉 시트(11)가 하우징(2)의 밀봉 시트(9) 상에 놓이게 된다. 자기 코일(29)이 전력을 공급받을 때, 로터(16)가 상향으로, 즉 밀봉 시트(9)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로터(16)는 제2 접촉면(27)을 부시(23)의 제1 접촉면(26) 상에 가압시키며, 따라서 폐쇄 요소(10)가 상향으로 이동된다. 연료가 가이드 부품(14) 및 로터(16) 내의 보어를 통해 접촉면(26, 27) 사이에서 안내되기 때문에, 접촉면(26, 27) 사이에 유체 막(hydraulic fluid film)이 존재한다. 이는 로터의 상향 운동과 그에 따른 부시(23) 및 폐쇄 요소(10)의 운동시에도 상향으로 완전히 변위되지는 않는다. 제2 밀봉 시트(11)가 밀봉 시트(9)와 접촉할 때에만, 로터(16)가 부시(23)에 더욱 강하게 가압되어, 유체 막이 접촉면(26, 27) 사이의 영역 밖으로 완전히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접촉면(26)에 대한 제2 접촉면(27)의 충돌의 유체 감쇠가 약화된다. 밸브(31)가 폐쇄될 때, 펌프 피스톤(7)의 상향 운동이 연료를 증가된 압력으로 제2 채널(6) 내로 전달한다. 제2 채널(6)은 제2 채널(6)로부터 압력 챔버(5) 내로의 유체의 귀환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31)를 개방시키기 위해, 자기 코일을 통한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밸브(31)의 폐쇄시 스프링(28)이 압축되었다. 자력이 없을 때, 스프링(28)이 이완되며, 여기에서 폐쇄 요소(10)가 하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밀봉 시트(11)가 밀봉 시트(9)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이는 밸브(31)를 개방시키며, 따라서 압력 챔버(5)와 제1 채널(3) 사이에 유체 연결이 존재한다.
도 2는 로터(16)와 부시(23)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펌프의 또 다른 부품, 특히 폐쇄 요소(10)가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을 볼록한 구형 표면 및 오목한 구형 표면의 형태로, 즉 볼-컵 연결부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접촉면의 기계적 마멸, 즉 마모가 감소된다. 이는 우선 축(30)의 중심축에 대한 부시(23)의 축방향 배향의 좋지 못한 정렬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촉면(26, 27) 사이에 큰 접촉 면적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또한, 접촉면(26, 27)의 반구형 표면은 유체 감쇠 쿠션에 의해 개선된다. 특히, 중심축(30)에 대한 부시 및/또는 로터의 좋지 못한 정렬시, 유체 감쇠 쿠션의 형성이 지원된다. 도 2는 중심축(30)과 로터(16)에 대해 3도만큼 비스듬히 놓인 부시(23)의 위치를 도시한다. 반구형 표면의 형태로 인해, 이러한 비스듬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접촉면이 서로 상에 더욱 양호하게 놓인다. 또한, 접촉면(26, 27) 사이의 평균 거리는 비교적 작다. 유체가 접촉면(26, 27) 사이에 모이고, 특히 로터 운동의 종료시, 즉 제1 밀봉 시트(9)에 대한 제2 밀봉 시트(11)의 충돌시, 유리한 유체 감쇠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터와 부시 사이의 접촉면의 마모가 감소된다.
도 2는 제2 보어(18)와 또 다른 채널(20)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로터(16)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되는 추가의 채널(32)이 제공된다. 이는 공급 챔버(4)와 수용기 개구(25) 사이의 유체 교환을 개선한다.
도 3은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을 갖춘 부시(23)와 로터(16)의 발췌부를 확대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로터(16)는 환형 반구형 표면 형태의 오목한 제2 접촉면(27)을 구비한다. 부시(23)는 볼록한 환형 반구형 표면 형태의 제1 접촉면(26)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접촉면 각각은 일정한 반경을 가지며, 여기에서 제1 접촉면(26)의 제1 반경(R1)이 제2 접촉면(27)의 제2 반경(R2)보다 작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의 반구형 표면의 반경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은 제2 접촉면(27)의 오목한 반구형 표면이 제1 접촉면(26)의 볼록한 반구형 표면보다 큰 반경을 가지면 마멸 감소에 관하여 더욱 우수한 효과가 달성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경의 최대 20% 차이의 영역에서 우수한 감쇠 특성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차이는 반경의 10% 차이이다. 반경의 10% 차이가 두 접촉면(26, 27) 사이의 접촉 면적과 유체 감쇠 쿠션의 생성 사이의 우수한 절충을 제공한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 접촉면으로서, 로터(16)가 볼록한 반구형 표면을 구비할 수 있고, 부시(23)가 오목한 반구형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부시(23) 대신에, 폐쇄 요소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응하는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2 접촉면(27)의 반구형 표면의 중심점(M2)이 중심축(30) 상에 놓인다. 제1 접촉면(26)의 제1 반구형 표면의 중심점(M1)이 중심축(30)에 대해 측방향으로 편위되어 배치된다. 반구형 표면의 중심점의 측방향 편위로 인해, 약간의 부정합(misfit)이 생성되어, 유체 감쇠 쿠션의 형성을 지원한다. 측방향 편위는 예를 들어 반경의 10% 이상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측방향 편위는 반경의 1% 내지 5%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의 반구형 표면은 접촉면(26, 27)이 제2 접촉면(27)의 중심 영역(46)에서 주변 환형 영역의 형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도 4는 부시(23)의 제1 접촉면(26) 및 로터(16)의 제2 접촉면(27) 둘 모두가 볼록한 반구형 표면을 구비하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부분 발췌부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반경은 비교적 크고, 미터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2개의 볼록한 접촉면의 형성은 평탄한 평행 접촉면의 형성에 비해 마멸에 관하여 개선을 제공한다. 첫째로, 축(30)에 대한 부시 및/또는 로터의 좋지 못한 정렬이 평탄한 평행 접촉면에 비해 실제 접촉 면적의 더욱 작은 감소로 이어진다. 둘째로, 접촉면의 볼록한 형성으로 인해, 접촉면 사이에 더욱 우수한 유체 감쇠 쿠션이 형성된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은 반구형 표면의 형태에 더하여, 감쇠 쿠션의 형성을 지원하는 또 다른 윤곽 및/또는 요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및 제2 접촉면(26, 27)의 도면을 개략적인 부분도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접촉면은 중심축(30)에 대해 회전 대칭 반구형 표면을 구비하지만, 반구형 표면(26, 27)의 반경은 일정하지 않고 중심축(3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상이한 반경(R1, R2, R3, R4)이 도면에 도식적으로 표기된다. 상이한 반경 사이의 전이가 연속적이다.

Claims (12)

  1. 하우징(2)과 폐쇄 요소(10)를 구비하는, 연료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1)용 밸브(31)로서, 폐쇄 요소(10)는 하우징(2) 내에서 축(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폐쇄 요소(10)는 펌프(1)의 채널(3)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액추에이터(16, 29)가 제공되고, 폐쇄 요소(10)는 제1 접촉면(26)을 구비하며, 액추에이터(16, 29)는 제2 접촉면(27)을 구비하고, 폐쇄 요소(10)와 액추에이터(16, 29)는 접촉면(26, 27)을 통해 서로 능동적으로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는 자기 코일(29)과 자기 로터(16)로서 구성되고, 제2 접촉면(27)은 로터(16) 상에 형성되며, 로터(16)는 폐쇄 요소(10)가 그것을 통해 안내되는 요홈(18)을 구비하고, 제2 접촉면(27)은 요홈(18)에 인접하게 로터(16) 상에 형성되는 밸브에 있어서,
    2개의 접촉면(26, 27)은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1)용 밸브(31).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구형 표면은 일정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은 볼록한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접촉면은 볼록한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접촉면은 오목한 구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오목한 구형 표면은 볼록한 구형 표면보다 큰 반경을 갖고, 접촉면은 구형 표면의 환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오목한 반구형 표면(26, 27)의 폭의 중간에서 볼록한 접촉면과 오목한 접촉면 사이에 환형 접촉선(45)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반경의 차이는 최대 20%, 특히 최대 15%, 바람직하게는 최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구형 표면(26, 27)은 반구형 표면의 중심점(M1, M2)이 측방향으로 편위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형 표면의 반경은 미터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에 별개의 부시가 부착되고, 접촉면은 부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10)는 가이드 표면을 갖춘 가이드 부분(12)을 구비하고, 폐쇄 요소(10)는 하우징(2) 내에서 가이드 부분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로터(16)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20)을 구비하고, 채널(20)은 요홈(18)으로 통하고, 유체를 채널(3)로부터 접촉면(26, 27)의 영역 내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2, 14)은 가이드 부품(14)을 구비하고, 폐쇄 요소(10)는 가이드 부품(14) 내에서 안내되며, 가이드 부품(14)은 일단부에서 하우징(2)의 채널(3)에 그리고 타단부에서 로터(16)의 채널(20)에 연결되는 또 다른 채널(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연료를 차량의 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1).
KR1020157011993A 2012-10-12 2013-10-10 펌프용 밸브 KR102087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8593.3 2012-10-12
DE102012218593.3A DE102012218593A1 (de) 2012-10-12 2012-10-12 Ventil für eine Pumpe
PCT/EP2013/071211 WO2014057060A1 (de) 2012-10-12 2013-10-10 Ventil für eine pu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74A true KR20150068974A (ko) 2015-06-22
KR102087469B1 KR102087469B1 (ko) 2020-03-11

Family

ID=4955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993A KR102087469B1 (ko) 2012-10-12 2013-10-10 펌프용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8484B2 (ko)
EP (1) EP2906815B1 (ko)
JP (1) JP6141436B2 (ko)
KR (1) KR102087469B1 (ko)
CN (1) CN104685203B (ko)
DE (1) DE102012218593A1 (ko)
WO (1) WO2014057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593A1 (de) 2012-10-12 2014-04-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für eine Pumpe
DE102014200695A1 (de) * 2014-01-16 2015-07-16 Robert Bosch Gmbh Hochdruckpumpe mit einem elektromagnetischen Saugventil
DE102014215774B4 (de) 2014-08-08 2016-06-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für eine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220975A1 (de) * 2014-10-16 2016-04-21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Einlassventil und Hochdruckpumpe mit Einlassventil
GB201502693D0 (en) * 2015-02-18 2015-04-0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R.L. Actuator assembly of a digital inlet valve
JP6530978B2 (ja) * 2015-06-29 2019-06-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及び高圧燃料供給ポンプ
DE102015212376A1 (de) 2015-07-02 2017-01-05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Saugventil für eine Hochdruckpumpe sowie Hochdruckpumpe
DE102015218054A1 (de) * 2015-09-21 2017-03-23 Robert Bosch Gmbh Ventil, insbesondere Saugventil, in einer Hochdruckpumpe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DE102015224421A1 (de) * 2015-12-07 2017-06-08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Einlassventil und Hochdruckpumpe mit Einlassventil
KR101808924B1 (ko) * 2015-12-17 2017-12-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개선된 소음 및 윤활성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DE102017214351A1 (de) * 2017-08-17 2019-02-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roportionalregelvent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1481U (ko) * 1986-03-18 1987-09-25
JP2011169415A (ja) * 2010-02-19 2011-09-0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5995A (en) * 1959-06-09 1960-05-10 Lee Beckham Reversible valve assembly for pumps
DE2052307A1 (de) * 1970-10-24 1972-05-25 Teves Gmbh Alfred Elektromagnetisch betätigtes Sitzventil
DE2208183A1 (de) 1972-02-22 1973-08-30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DE7335302U (de) * 1973-09-29 1974-04-25 Ges Fuer Kernforschung Mbh Stopfbuchsenloses magnetventil fuer aggressive medien
DE3427526A1 (de) * 1984-07-26 1986-02-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ventil
DE3507443A1 (de) * 1985-03-02 1986-09-0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kraftstoffeinspritzventil
DE3521040A1 (de) * 1985-06-12 1986-12-18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Einspritzventil
JPS62151481A (ja) 1985-12-26 1987-07-06 Sunstar Giken Kk ホツトメルト接着剤
DE3641470A1 (de) * 1986-12-04 1988-06-16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kraftstoffeinspritzventil
DE4142998C1 (ko) * 1991-12-24 1993-07-2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4243665C2 (de) * 1992-12-23 2003-11-1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insbesondere Pumpedüse für Brennkraftmaschinen
US5954487A (en) * 1995-06-23 1999-09-21 Diesel Technology Company Fuel pump control valve assembly
DE19700979A1 (de) * 1997-01-14 1998-07-16 Teves Gmbh Alfred Magnetventil
DE19757659C1 (de) * 1997-12-23 1999-06-17 Siemens Ag Einspritzventil mit einer Ausgleichsfläche
DE19917756A1 (de) * 1998-07-06 2000-01-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JP2003120468A (ja) * 2001-10-15 2003-04-23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燃料液流量調節弁、及び該燃料液流量調節弁を備えた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DE10255740A1 (de) 2002-11-28 2004-06-09 Bosch Rexroth Ag Direktgesteuertes prop. Druckbegrenzungsventil
DE10332345A1 (de) * 2003-02-05 2004-08-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JP2007515596A (ja) 2003-02-05 2007-06-14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電磁弁
DE202004002432U1 (de) * 2004-02-17 2005-07-07 Hawe Hydraulik Gmbh & Co. Kg Magnetdoppelventil
DE102004028968B4 (de) 2004-06-16 2006-04-27 Karl Dungs Gmbh & Co. Kg Ventil mit sicherer Öffnungsanzeige
ATE355458T1 (de) * 2004-11-12 2006-03-15 Fiat Ricerche 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
DE102008018018A1 (de) 2008-04-09 2009-10-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umpe zur Förderung eines Fluids
DE102012218593A1 (de) 2012-10-12 2014-04-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für eine Pum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1481U (ko) * 1986-03-18 1987-09-25
JP2011169415A (ja) * 2010-02-19 2011-09-0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式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1436B2 (ja) 2017-06-07
US20150345449A1 (en) 2015-12-03
KR102087469B1 (ko) 2020-03-11
JP2015532388A (ja) 2015-11-09
WO2014057060A1 (de) 2014-04-17
EP2906815B1 (de) 2019-06-19
CN104685203A (zh) 2015-06-03
DE102012218593A1 (de) 2014-04-17
CN104685203B (zh) 2017-07-18
US9528484B2 (en) 2016-12-27
EP2906815A1 (de)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8974A (ko) 펌프용 밸브
JP4276203B2 (ja) 内燃機関の燃料インジェクターを制御するためのサーボバルブ
US7766303B2 (en) Electromagnetic valve apparatus
CN1683755B (zh) 液压式阀门间隙补偿元件
KR100531745B1 (ko) 연료분사기용 볼셔터를 갖는 전자석 계량밸브
CN100460291C (zh) 调压阀
JP4116548B2 (ja) 燃料噴射弁
KR101838366B1 (ko) 롤러 태핏
CN103206327B (zh) 电磁致动器
JP5309063B2 (ja) 燃料噴射弁
KR102014693B1 (ko) 유압 제어식 축압기 챔버 밸브
CN101548092A (zh) 具有带球形座的电磁阀的燃料喷射器
CN101523043A (zh) 具有一个节流板及一个电磁阀的燃料喷射器
CN108266563B (zh) 先导式电磁阀
CN101438050A (zh) 具有材料锁合的衔铁连接的电磁阀
JP3788373B2 (ja) 高圧燃料ポンプの給油装置
JP2007507645A (ja) ガス状燃料用電動噴射器
JP4773108B2 (ja)
CN110770485B (zh) 用于控制气态介质的比例阀和燃料电池组件
CN104769269A (zh) 具有压电促动器的燃料喷射器
CN110714866A (zh) 挺柱体和包括其的燃料喷射泵
JP2003193939A (ja) 内燃機関の噴射弁を制御する電磁弁
US20090212136A1 (en) Solenoid valve and fuel injector having the same
US5853161A (en)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e mediums
KR20000068064A (ko) 액체 제어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