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408A -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 및 외벽막 구조 - Google Patents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 및 외벽막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8408A KR20150068408A KR1020157010681A KR20157010681A KR20150068408A KR 20150068408 A KR20150068408 A KR 20150068408A KR 1020157010681 A KR1020157010681 A KR 1020157010681A KR 20157010681 A KR20157010681 A KR 20157010681A KR 20150068408 A KR20150068408 A KR 20150068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imney
- film
- outer edge
- steel materi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8—Chimney stacks, e.g. free-standing, or similar du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E04F13/005—Stretched foil- or web-like elements attached with edge gripp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fixing members being a b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뚝의 주위를 덮는 외벽을, 환경을 배려하는 설계가 가능하고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디자인성을 높인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굴뚝(1)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1)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2)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6)의 외주측을 막재(5)에 의하여 덮는다. 이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한다.
경량의 막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초공사를 삭감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굴뚝을 지지하는 강재를 막재의 지지부재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벽막 구조의 내부측에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발판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굴뚝(1)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1)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2)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6)의 외주측을 막재(5)에 의하여 덮는다. 이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한다.
경량의 막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초공사를 삭감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굴뚝을 지지하는 강재를 막재의 지지부재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벽막 구조의 내부측에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발판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굴뚝(chimney stack)의 주위를 덮는 장식성을 갖는 외벽(外壁)을, 종래의 콘크리트제(concrete製) 등을 대체하여 막구조(膜構造)로 하는 외벽막(外壁膜)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시공한 외벽막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시나 관광지 등에 건설되는 굴뚝은,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식성을 갖는 외벽으로 주위를 덮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이 굴뚝의 주위를 덮는 외벽은, 철근 콘크리트, 경량 기포 콘크리트(輕量 氣泡 concrete),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패널(prestressed concrete panel)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제 등의 외벽의 경우에, 환경을 배려하는 설계를 하는 것이 어렵고, 건설에 소요되는 공사기간도 1년 정도 필요하다. 또한 당해 외벽의 형상도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획일적인 것으로 한정된다. 또한 당해 외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되었을 경우의 보수는 외주부(外周部)를 보수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외벽에 시공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보수기간도 길어지게 된다.
또 최근에는, 굴뚝의 외면에 철골 루버(鐵骨 louver)를 배치한 스켈리톤형(skeleton型) 굴뚝도 시공되고 있지만, 이 스켈리톤형 굴뚝의 경우에 철골부식이나 굴뚝주위의 구획(區劃)을 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철근 콘크리트제 등의 외벽에 의하여 굴뚝의 주위를 덮는 경우에 환경을 배려하는 설계를 하는 것이 어렵고, 건설공사의 기간도 1년 정도 필요하다 점이다. 또한 당해 외벽의 형상도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획일적인 것에 한정된다는 점이다. 또한 당해 외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되었을 경우의 보수는 외주부를 보수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외벽에 시공된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보수기간도 길어지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굴뚝의 주위를 덮는 외벽을, 환경을 배려하는 설계가 가능하며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디자인성을 높인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외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되었을 경우의 보수에 있어서도, 외벽에 실시된 디자인의 변경이 용이하고 단기간의 시공으로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은,
굴뚝의 주위에 외벽막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굴뚝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의 외주측을 막재에 의하여 덮은 후에, 이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막재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에 의하면,
굴뚝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의 외주측을 막재에 의하여 덮고, 이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막재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 본 발명의 굴뚝의 외벽막 구조를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굴뚝의 외벽막 구조에서는, 굴뚝을 지지하는 제1강재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의 외주측을 막재에 의하여 덮어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디자인성을 높인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외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되었을 경우의 보수를 할 때에도 용이하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보수도 단기간의 시공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등에 비하여 경량의 막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초공사를 삭감시킬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굴뚝을 지지하는 제1강재를 막재의 지지부재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벽막 구조의 내부측에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발판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굴뚝을 지지하는 제1강재에 추가하여 제2강재를 설치하면, 오목부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시공할 수도 있어 디자인성을 높인 외벽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자립형의 굴뚝에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면으로서, (a)는 전체 사시도, (b)는 정상부에서 본 평면도, (c)는 중간부의 횡단면도, (d)는 다리부의 횡단면도이다.
도2는, 일체형의 굴뚝에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1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3은,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고정완료 전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4는,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고정완료 상태의 사시도, (b)는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5는,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3예에 있어서의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6은, 자립형 굴뚝에 고정수단의 제4예를 사용하여 막재를 고정한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7에 있어서, (a)는 고정수단의 제4예에 있어서의 고정완료 상태를 옆쪽에서 본 도면이고, (b)는 (a)의 A-A 단면도, (c)는 (b)에서의 B부 확대도이다.
도2는, 일체형의 굴뚝에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1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3은,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고정완료 전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4는,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고정완료 상태의 사시도, (b)는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5는,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제3예에 있어서의 고정완료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6은, 자립형 굴뚝에 고정수단의 제4예를 사용하여 막재를 고정한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7에 있어서, (a)는 고정수단의 제4예에 있어서의 고정완료 상태를 옆쪽에서 본 도면이고, (b)는 (a)의 A-A 단면도, (c)는 (b)에서의 B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굴뚝(chimney stack)의 주위를 덮는 외벽을 친환경적인 설계를 할 수 있고,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디자인성(design性)을 높인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콘크리트(concrete) 등에 비하여 경량의 막재(膜材)를 내측으로부터 시공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1∼도7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지상에 세운 자립형(自立型)의 굴뚝에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外壁膜 構造)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면이고, 도2는 건물의 상단(上端)에 연결된 일체형 굴뚝에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1은 굴뚝이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2개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굴뚝(1)은, 굴뚝(1)의 주위에 배치된 제1강재(第1鋼材)(2)(도1에서는 3개, 도2에서는 4개) 및 이들 제1강재(2)의 소정의 높이위치에 부착된 적절한 수의 바닥재(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바닥재(3)는, 상기 제1강재(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빔(beam)(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5는,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굴뚝(1)의 주위를 덮는 막재이다.
이 막재(5)는, 도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상기 제1강재(2)의 외주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강재(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빔(4)에 부착된 6각형의 바닥재(3)의 설치부에서는, 3개의 상기 제1강재(2)와 상기 바닥재(3)의 외접원이 되도록 설치된 소골재(小骨材)(11)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막재(5)는 4개의 제1강재(2)의 외주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강재(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빔(4)에 부착된 사각형의 바닥재(3)의 설치부에서는, 4개의 제1강재(2)와 상기 바닥재(3)의, 건물의 내측부분(도2(b)∼도2(d)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좌측을 제외한 부분)이 만곡면(彎曲面)이 되도록 설치된 소골재(11)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 도2에 나타내는 예는, 정상부의 바닥재(3)는 사다리꼴, 중간부와 다리부의 바닥재(3)는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빔(4) 중에서 양측의 빔(4)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제2강재(6)를 돌출시키고, 이 제2강재(6)의 선단도 덮도록 막재(5)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굴뚝(1)의 외주를 덮은 막재(5)는, 그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제1강재(2)의 위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인입시켜서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도1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에는 원주방향으로 3매의 막재(5)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양측의 빔(4)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제2강재(6)의 위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인입시켜서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도2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에는, 원주방향으로 2매의 막재(5)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1강재(2) 또는 상기 제2강재(6)의 위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인입시킨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의 고정수단은,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상기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위치에 설치된 인입부(引入部)와, 이 인입부에 인입된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고정구(固定具)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3∼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를 채용한다.
도3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은, 기단측(基端側)을 지점(支點)(7aa)으로 하여 선단측(先端側)을 접리이동(接離移動)시킬 수 있도록, 굴곡된 형상의 협지 레버(挾持 lever)(7a)를 마주보도록 배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각각의 협지 레버(7a)의 중앙 절곡부(中央 折曲部)(7ab)에서 선단측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결합하는 결합구(結合具)(7b)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협지 레버(7a)의 중앙 절곡부(7ab)에서 기단측의 마주보는 위치에는, 이들 협지 레버(7a)의 선단측을 접리이동시키는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固定機構)(7c)를 부착하고 있다. 도3에서는, 이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7c)는, 양쪽 협지 레버(7a)의 사이에 걸치는 나사축(7ca)을, 이것에 결합시키는 너트(7cb)의 체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결합구(7b)는, 예를 들면 자루모양으로 된 단부(端部)에 삽입된 엣지 로프(edge rope)(10)와 일체로 이루어진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삽입하는 구멍부(7ba)와, 이 구멍부(7ba)의 종단면방향으로부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삽입할 때에 막재(5)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통하는 슬릿(slit)(7bb)을 형성한 구성이다. 도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결합구(7b)는 텐션 로드(tension rod)(12)를 통하여 협지 레버(7a)에 고정되어 있다.
이 도3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의 경우에, 상기 막재(5)의 단부를 인입하여 고정시킬 때에 내부측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7)에 의하여 상기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인입시켜서 고정할 때에 양쪽 협지 레버(7a)의 선단 사이에 지수 고무(止水 rubber)(8)를 삽입하면 좋다. 도3에서는, 상기 고정수단(7)에 의하여 상기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인입시켜서 고정한 후에 내부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쪽 결합구(7b)의 사이에 내막(內膜)(9)을 시공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3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에 상기 협지 레버(7a)와 상기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7c)에 의하여 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7b)가 고정구이다.
또한 도4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은,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간극(d1)을 형성하여 관재(管材)(7d)를 인접하게 배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이들 관재(7d) 사이의 상기 간극(d1)으로부터 삽입된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을 체결구(締結具)(7e)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도4에서는, 이 체결구(7e)는, 쌍을 이루는 막정착 플레이트(膜定着 plate)(7ea)를 정착 볼트(定着 bolt)(7eb)와 너트(nut)(7ec)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체결구(7e)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대신에, 도3에 나타내는 결합구(7b)를 사용하여 텐션 로드(12)를 통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이 도4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에 있어서, 상기 막재(5)의 단부를 인입하여 고정시킬 때에 내부측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막재(5)의 단부를 삽입한 상기 관재(7d)의 간극(d1)에 지수 고무(8)를 삽입하면 좋다. 또 도4에 있어서 10은, 예를 들면 상기 막재(5)의 단부를 되돌려서 열용착(熱溶着) 등에 의하여 자루모양으로 접합한 당해 자루모양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된 엣지 로프이다.
이 도4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에 상기 관재(7d)가 인입부이고, 상기 체결구(7e)가 고정구이다.
또한 도5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은, 제1강재(2) 또는 제2강재(6)의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d2)을 두고 돌출모양으로 부착된 한 쌍의 관재(7f)의 외주를 따라 인입된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기단측을 상기 제1강재(2) 또는 상기 제2강재(6)에 부착된 텐션 로드(7g)의 선단에 부착시킨 결합구(7h)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5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에 있어서, 상기 막재(5)의 단부를 인입하여 고정시킬 때에 내부측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강재(2) 또는 제2강재(6)에 물빼기 막(7i)의 일단측(一端側)을 부착하고, 이 물빼기 막(7i)에 의하여 제1강재(2) 또는 제2강재(6)의 선단측을 덮도록 하고 그 타단측(他端側)을 열용착 등에 의하여 상기 막재(5)에 접합하면 좋다.
이 도5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에, 제1강재(2) 또는 제2강재(6)의 선단부에 돌출모양으로 부착된 한 쌍의 관재(7f)와, 상기 제1강재(2) 또는 상기 제2강재(6)에 부착된 텐션 로드(7g)가 인입부이고, 상기 결합구(7h)가 고정구이다.
상기 본 발명의 외벽막 구조는, 우선 도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굴뚝(1)을 지지하는 제1강재(2)를 정점(頂點)으로 하는 형상이 되도록, 제1강재(2)의 외주부에 접하게 막재(5)에 의하여 덮는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굴뚝(1)을 지지하는 제1강재(2)와 제2강재(6)를 정점으로 하는 형상이 되도록, 이들 제1 및 제2강재(2, 6)의 외주부에 접하게 막재(5)에 의하여 덮는다. 이 작업은, 상기 제1 및 제2강재(2, 6)의 외측에 외부발판 등을 별도로 조립하지 않더라도 내측에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상기 제1강재(2)의 위치에서 상기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을 상기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당해 인입부에 있어서 도3∼도5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 중에서 어느 것인가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상기 제2강재(6)의 위치에서 상기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을 상기 형상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당해 인입부에 있어서 도3∼도5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 중에서 어느 것인가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것이 본 발명의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등에 비하여 경량의 막재(5)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초공사를 삭감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굴뚝(1)을 지지하는 제1강재(2)를 막재(5)의 지지부재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비용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벽막 구조의 내부측에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발판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기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시공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굴뚝(1)을 지지하는 제1강재(2)에 부가하여 필요한 강재를 추가하면, 도1이나 도2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를 구비하는 형상의 시공도 가능하게 되어 디자인성을 높인 기하학적인 외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뚝(1)의 외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되었을 경우에, 그 보수를 할 때에는 용이하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보수도 단기간의 시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하는 막재(5)는, 굴뚝(1)의 외벽으로서 필요한 내구성(耐久性)과 내열성(耐熱性)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그 소재(素材)는 불문하지만, 예를 들면 글래스 섬유(glass 纖維)에 불소수지(弗素樹脂)를 피복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그 때에 막재(5)의 가장 표면층에 광촉매층(光觸媒層)을 형성하는 등의 오염방지처리를 실시하여 두면,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변화에 의한 오염도 적어지게 되어 유지보수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빛을 투과하는 막재(5)를 사용하면, 막재(5)의 내부로부터 라이팅(lighting)을 함으로써 야간에 환상적인 공간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하게 실시형태를 변경하더라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도1, 도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높이방향으로 1매의 막재(5)를 사용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높이방향으로 복수 매의 막재(5)를 사용하더라도 또한 막재(5)를 경사지는 모양으로 감아서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3∼도5에서 설명한 고정수단(7)을 사용한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외벽막 구조는, 굴뚝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이르는 횡단면이 서로 유사한 형상이지만,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뚝의 기단측과 선단측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서로 달라서 디자인성을 높인 외벽막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뚝의 기단측과 선단측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서로 다른 외벽막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을 사용한다.
도7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은, 상기 막재(5)의 단부에 형성된 자루모양부에 엣지 로프(10)를 삽입시켜서 일체로 이루어진 외측 가장자리부를 삽입하는 구멍부(7ja)와, 이 구멍부(7ja)의 종단면방향으로부터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삽입할 때에 막재(5)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통하는 슬릿(7jb)을 형성한 결합구(7j)에, U자 모양의 판부재(板部材)(7k)를 볼트(7n)와 너트(7o)에 의하여 부착한 것이다.
그리고 굴뚝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소정의 횡단면형상이 되도록 굴뚝의 외주부에 팽팽하게 설치된 와이어(wire)(7m)에 상기 판부재(7k)의 만곡부를 결합시켜서 부착하는 구성이다. 와이어(7m)는, 예를 들면 굴뚝 상부의 지지부재(제1강재(2), 빔(4) 또는 제2강재(6))로부터 굴뚝 하부의 지지부재(도1에 나타내는 자립형 굴뚝의 경우에는 굴뚝의 기초부분, 도2에 나타내는 일체형 굴뚝의 경우에는 건물의 상단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팽팽하게 설치된다.
도7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을 사용하면, 소정의 위치에 와이어(7m)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만으로, 강재를 통하지 않고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때에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쪽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또는 양쪽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별도로 용착시킨 막재)를, 일방의 결합구(7j)에 앵글재(angle材)(7p)를 통하여 부착한 각재(角材)(7q)의 장소에서 고정시키면, 고정부분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어 내부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고정수단(7)에 의하면, 막재(5)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1 : 굴뚝
2 : 제1강재
3 : 바닥재
5 : 막재
6 : 제2강재
7 : 고정수단
7a : 협지 레버
7aa : 지점
7b : 결합구
7c :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
7d : 관재
7e : 체결구
7f : 관재
7g : 텐션 로드
7h, 7j : 결합구
7k : 판부재
7m : 와이어
2 : 제1강재
3 : 바닥재
5 : 막재
6 : 제2강재
7 : 고정수단
7a : 협지 레버
7aa : 지점
7b : 결합구
7c :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
7d : 관재
7e : 체결구
7f : 관재
7g : 텐션 로드
7h, 7j : 결합구
7k : 판부재
7m : 와이어
Claims (7)
- 굴뚝의 주위에 외벽막(外壁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굴뚝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第1鋼材)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의 외주측을 막재(膜材)에 의하여 덮은 후에, 이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막재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
- 굴뚝의 주위에 설치하는 외벽막 구조로서,
굴뚝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뚝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강재 또는 상기 제1강재에 설치된 제2강재의 외주측을 막재에 의하여 덮고, 이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되는 막재 외측 가장자리부 및 필요에 따라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이외의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고정수단(固定手段)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위치에 설치된 인입부(引入部)와, 이 인입부에 인입된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固定具)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기단부(基端部)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선단이 접리이동(接離移動) 가능하고 쌍을 이루는 협지 레버(挾持 lever)와, 이들 협지 레버에 부착된 상기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결합시키는 결합구(結合具)와, 상기 협지 레버의 접리이동 및 고정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막재를 삽입시킬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된 관재(管材)와, 이들 관재 사이의 상기 간극으로부터 삽입된 복수의 상기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호간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키는 체결구(締結具)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막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강재 또는 상기 제2강재의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모양으로 부착된 한 쌍의 관재와, 이들 관재의 외주를 따라 인입된 상기 막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구를 구비하고, 텐션 로드(tension rod)를 통하여 상기 결합구를 상기 막재의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재의 고정수단은,
상기 막재의 필요한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와, 이 결합구에 부착된 판부재(板部材)로 구성되고, 상기 판부재를 굴뚝의 외주부에 팽팽하게 설치된 와이어(wire)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구에 결합된 막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뚝의 외벽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2/076239 WO2014057545A1 (ja) | 2012-10-10 | 2012-10-10 | 煙突の外壁膜施工方法及び外壁膜構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408A true KR20150068408A (ko) | 2015-06-19 |
Family
ID=5047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0681A KR20150068408A (ko) | 2012-10-10 | 2012-10-10 |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 및 외벽막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918752B1 (ko) |
KR (1) | KR20150068408A (ko) |
CN (1) | CN104662240B (ko) |
SG (1) | SG11201502173TA (ko) |
WO (1) | WO201405754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D128358A1 (de) * | 1977-02-17 | 1977-11-16 | Hoetechnika Epitoe Es Szigetel | Ein in der durch decken in mehrere hoehenstufen geteilten lasttragenden konstruktion angeordnetes rauchrohr |
DE2845194A1 (de) * | 1978-10-17 | 1980-04-30 | Leonhardt Fritz | Sattelflaechenfoermiger mantel fuer rohrfoermige bauwerke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US4593510A (en) * | 1984-10-31 | 1986-06-10 | Newsome R Wayne | Pre-fabricated and modular chimney facade system |
US5033240A (en) * | 1990-06-01 | 1991-07-23 | Richard Louis J | Method and apparatus to enshroud large vertical structures |
JPH0490434A (ja) * | 1990-08-02 | 1992-03-2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焼却設備の換気方法 |
EP0597094B1 (en) * | 1991-01-10 | 1997-05-14 | Scs Promotion Company Limited | Sheet stretcher |
JPH0666051A (ja) | 1992-08-20 | 1994-03-08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煙 突 |
CN1087155A (zh) * | 1993-11-19 | 1994-05-25 | 骆锡耀 | 整圆等扇形分隔式钢烟囱及其气顶倒装施工方法 |
JP3174677B2 (ja) * | 1993-11-30 | 2001-06-1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塔状構造物の架設装置 |
JP2808079B2 (ja) * | 1994-06-24 | 1998-10-08 | 太陽工業株式会社 | 膜体の張力導入構造 |
DE4430876C1 (de) * | 1994-08-31 | 1995-07-13 | Philips Patentverwaltung | Kommunikationssystem |
US6021702A (en) * | 1998-02-09 | 2000-02-08 | Rexroad; John | Aesthetic barrier/debris system and material |
JP2002047831A (ja) * | 2000-08-04 | 2002-02-15 | Taiyo Kogyo Corp | 膜構造建築物の膜下地兼用構造材 |
JP3906902B2 (ja) * | 2001-09-28 | 2007-04-18 | 太陽工業株式会社 | 膜材の中間部定着構造 |
JP2005256999A (ja) * | 2004-03-12 | 2005-09-22 | Takenaka Komuten Co Ltd | 膜構造物固定構造 |
CN103883152B (zh) * | 2012-12-21 | 2016-05-25 | 河南省电力勘测设计院 | 一种新型索网膜结构内筒烟塔合一结构体系 |
-
2012
- 2012-10-10 EP EP12886498.0A patent/EP2918752B1/en active Active
- 2012-10-10 CN CN201280076025.9A patent/CN104662240B/zh active Active
- 2012-10-10 SG SG11201502173TA patent/SG11201502173TA/en unknown
- 2012-10-10 WO PCT/JP2012/076239 patent/WO201405754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0-10 KR KR1020157010681A patent/KR201500684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662240B (zh) | 2016-10-12 |
EP2918752B1 (en) | 2019-07-17 |
EP2918752A1 (en) | 2015-09-16 |
WO2014057545A1 (ja) | 2014-04-17 |
SG11201502173TA (en) | 2015-05-28 |
CN104662240A (zh) | 2015-05-27 |
EP2918752A4 (en) | 2016-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9111B1 (ko) | 방음터널 | |
KR101406873B1 (ko) | 경량 골조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 |
KR20100084415A (ko) |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 |
JP4931490B2 (ja) |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 |
JP2012255298A (ja) | H形鋼部材 | |
KR101730008B1 (ko) |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 |
KR20150068408A (ko) | 굴뚝의 외벽막 시공방법 및 외벽막 구조 | |
KR101238536B1 (ko) | 고정 클립을 갖는 철망 펜스용 지주 및 그 고정 클립 | |
JP2005350904A (ja) |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 |
KR20100034479A (ko) | 조립식 돔 하우스 | |
JP5702213B2 (ja) | 煙突の外壁膜施工方法及び外壁膜構造 | |
KR101913668B1 (ko) |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 |
JP2007285042A (ja) |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構造 | |
US20220018150A1 (en) | Crypt System | |
EP3580408A1 (en) | A resuable modular building and a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 |
JP2008138493A (ja) |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 |
JP5972122B2 (ja) | 煙突のユニット構造物及び煙突の施工方法 | |
KR20160143507A (ko) | 소화기능을 구비한 조립식패널 | |
JP5755951B2 (ja) | グレーチング | |
JP5250671B2 (ja) | 覆蓋ユニットおよび太陽電池装置 | |
JP3158432U (ja) | テント用支柱部材およびテント | |
KR200348316Y1 (ko) | 물탱크의 구조 | |
CN215671312U (zh) | 一种利用楼座结构可拆卸可周转使用的安全防砸棚系统 | |
KR102507989B1 (ko) | 슬라이드 슬랫 방식의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 |
JP2010209621A (ja) | 床版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