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95A -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95A
KR20150068195A KR1020130154106A KR20130154106A KR20150068195A KR 20150068195 A KR20150068195 A KR 20150068195A KR 1020130154106 A KR1020130154106 A KR 1020130154106A KR 20130154106 A KR20130154106 A KR 20130154106A KR 20150068195 A KR20150068195 A KR 2015006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time
photoconductor
image forming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히사토미
신서원
이종우
최석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195A/ko
Priority to US14/567,395 priority patent/US9170540B2/en
Publication of KR2015006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89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체 및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장치들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의 공회전이 최소하되도록 감광체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의 화상형성과정을 통하여, 용지와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는 감광체의 주변에 대전 롤러, 현상 롤러, 전사 롤러 등이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감광체가 회전하면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를 통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상에 형성하고, 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인쇄 매체상에 정착시킨다. 이때, 감광체는 정속 회전을 하여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된다.
감광체는 정속 회전을 위해 일정한 시간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가지며, 감광체가 정속 회전을 하게 된 이후에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지 않으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감광체의 공회전을 최소화한 최적의 화상형성과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구동 시점에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구동 시점에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감광체의 불필요한 공회전을 최소화하여 긴 수명의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광주사장치에 포함된 다면경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정착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광주사장치에 포함된 다면경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도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제어부(11), 통신 인터페이스(12), 사용자 인터페이스(13), 스토리지(14), 화상형성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버스(data bus)(16)을 이용하여, 상호 간 각종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팩스 데이터로 만들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팩스부,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는 각 기능에 따라 분리된 복수의 프로세서 모듈과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메인 프로세서 모듈로 나눌 수도 있다. 제어부(11)는 통신 인터페이스(12)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판별하고,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3)에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스토리지(14)에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거나, 스토리지(14)로부터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제어부(11)는 스토리지(14)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스토리지(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화상형성부(15)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는 화상형성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에 따라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화상형성장치(10)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장치로서 서버, 랩톱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팩스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화상형성장치(10)에 마련된 정전식 또는 압전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에 관한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스토리지(14)는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시 사용되는 모든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4)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팩스 데이터, 스캔 데이터, 및 인쇄 데이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에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5)는 화상을 형성하여, 복사 및 인쇄 데이터를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에 출력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5)는 복사 및 인쇄 데이터를 인쇄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유닛들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화상형성부(15)의 구성,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5)는 광주사장치(100), 현상장치(200), 전사장치(300), 정착장치(400), 용지 이송장치(5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장치(100)는 회전 다면경(110), 다면경 구동장치(120), 결상광학계(130), 데이터 변환장치(14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장치(200)는 감광체(210), 현상 롤러(220), 대전 롤러(230), 감광체 구동장치(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장치(300)는 1차 전사 롤러(310), 2차 전사 롤러(320), 중간 전사장치(330), 중간 전사 롤러(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정착장치(400)는 가열 롤러(410), 가압 롤러(420)을 포함할 수 있다. 용지 이송장치(500)는 픽업 롤러(510), 이송 롤러(520), 배출 롤러(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주사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 다면경(110)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고, 결상광학계(130)는 편향된 광을 감광체에 결상시킬 수 있다. 다면경 구동장치(120)는 회전 다면경(110)을 회전시키는 다면경 구동모터일 수 있다. 데이터 변환장치(140)는 화상 데이터를 광주사장치(100)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고, 물리적으로 광주사장치(100)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서 광주사장치(100)로 연결될 수도 있다.
현상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감광체(210)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거나,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정전 잠상으로부터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감광체(210)는 감광 드럼 형태가 될 수 있다. 현상 롤러(220)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의 표면에 공급할 수 있다. 대전 롤러(230)는 광주사장치(100)에 의해 노광이 수행되기 전에 감광체(210)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킬 수 있다. 감광체 구동장치(240)는 화상형성과정에서 감광체를 회전시켜, 정속 회전을 유지하게 하며, 감광체 구동모터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전사장치(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1차 전사 롤러(310)는 감광체(210) 및 중간 전사장치(330)와 함께 1차 전사부를 형성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장치(330)로 전사시킬 수 있다. 2차 전사 롤러(320)는 중간 전사장치(330)와 함께 2차 전사부를 형성하여, 중간 전사장치(300)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다시 인쇄매체에 전사시킬 수 있다. 중간 전사장치(330)는 중간 전사벨트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중간 전사 롤러(340)는 중간 전사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정착장치(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열 롤러(410)는 열을 가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고, 가압 롤러(420)는 가열 롤러(410)의 열과 함께 압력을 더 가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킬 수 있다.
용지 이송장치(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픽업 롤러(510)는 트레이와 같은 용지 공급장치에서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를 공급받고, 이송 롤러(520)는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적절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배출 롤러(530)는 정착장치(400)에 의해 정착이 수행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화상형성부(15)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광주사장치(100)가 채용되는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의 화상형성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화상을 인쇄하는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의 화상형성장치(10)이다.
화상형성장치(10)는 광주사장치(100), 현상장치(200), 전사장치(300) 및 정착장치(400)를 구비하며, 제 1 트레이(600a) 또는 제 2 트레이(600b)로부터 용지를 공급받고, 용지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컬러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광주사장치(100)는 복수의 광빔을 감광체(210)에 주사하며, 감광체(210)를 포함하는 현상장치(200)는 복수의 광빔에 대응되어 컬러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주사장치(100)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광빔들을 주사할 수 있다.
현상장치들(200)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인 감광 드럼과 같은 감광체(210)의 정전 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22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장치들(200)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별로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감광 드럼은 감광체(210)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감광 드럼의 외주면은 피노광면이 될 수 있다. 각 감광체(210)는 각 현상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감광체(210)는 감광 드럼 외에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감광체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 드럼의 외주면에서 광주사장치(100)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의 상류측에는 대전 롤러(230)가 마련될 수 있다. 대전 롤러(230)는 감광드럼(210)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230)에는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대전 롤러(230) 대신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 롤러(220)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체(210)로 공급할 수 있다. 현상 롤러(220)에는 토너를 감광체(210)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장치(200) 각각에 포함된 감광체(210)를 구동하기 위해 각 감광체(210)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전사장치(330)는 감광체(210)의 외주면과 대면될 수 있다. 중간 전사장치(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 형태일 수 있다. 감광체(210)의 토너화상을 용지(P)로 전달하는 중간 전사체의 일 예로서, 중간전사벨트를 대신하여, 중간전사드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장치(330)는 감광체(210)와 접촉되어 순환 주행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1차 전사 롤러(310)는 중간 전사장치(330)를 사이에 두고 각 감광체(210)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1차 전사 롤러(310)에 제 1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중간 전사장치(330)로 감광체(210)의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다.
2차 전사 롤러(320)는 중간 전사장치(330)에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용지(P)가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2차 전사 롤러(320)에는 중간 전사장치(330)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다시 용지(P)로 전사되도록 제 2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설명한다.
각 현상장치(200)의 감광체(210)는 대전 롤러(230)에 인가된 대전 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장치(100)는 감광체(210)의 피노광면을 감광체(210)의 길이방향, 즉 주주사 방향으로 노광시킨다. 감광체(210)의 회전에 따라 피노광면이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4개의 감광체(210) 각각의 피노광면에는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2차원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부주사 방향은 주주사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4개의 현상장치(200)는 각각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를 감광체(210)에 공급하여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감광체(210)에 형성된 흑색(K), 마젠타(M), 엘로우(Y), 시안(C)의 색상의 토너화상들은 1차 전사 롤러(310)에 인가되는 제 1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 전사장치(330)로 서로 겹쳐지면서 전사되어 컬러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토너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용지(P)와 같은 인쇄매체는 픽업 롤러(510a, 510b) 및 이송 롤러(520)에 의하여 이송되어 중간 전사장치(330) 및 2차 전사 롤러(320)의 사이로 인입된다. 중간 전사장치(330)에 전사된 컬러 토너화상은, 2차 전사 롤러(320)에 인가되는 제 2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다시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에 전사된 컬러 토너화상은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용지(P)의 표면에 유지된다. 컬러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장치(400)로 이송된다. 용지(P)로 전사된 컬러 토너화상이 정착장치(400)의 가열 롤러(410)와 가압 롤러(420)에 의하여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P)는 배출 롤러(53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 밖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화상형성과정에서, 감광 드럼과 같은 감광체(210)는 정전 잠상과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속 회전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감광체 구동모터와 같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감광체(21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에 따라 감광체가 회전하게 되며, 일정 시간의 준비 시간이 경과하면 감광체(210)가 정속 회전하여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광체(210)를 회전시키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에 따라서, 화상형성과정이 지연되거나,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최적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과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일 예들을 살펴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광주사장치에 포함된 다면경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떤 동작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5개의 신호 테이블이 있다. 위에서부터 광주사장치(100)의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광주사장치(100)의 다면경 구동장치(12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210)의 표면 전위 제어를 위한 바이어스 제어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이다.
첫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두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회전 다면경(110)을 회전시키는 다면경 구동장치(12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C]이다.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C]은 광주사장치(100)가 노광을 준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에 포함될 수 있다.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A]이다.
다섯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감광체(210)의 표면 전위 제어를 위한 바이어스 제어가 시작된다. 감광체(210)의 표면 전위 제어를 위한 바이어스 제어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했을 때 가능하기 때문에,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과 동시에 감광체(210)의 표면 전위 제어를 위한 바이어스 제어가 시작될 수 있다.
도 4의 두 번째 및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을 참조하면, 다면경 구동장치(12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과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로스 타임(loss time)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면경 구동장치(12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과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을 동일하게 한다면,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 경과 후 동시에 수행되는 광주사장치(100)의 1 라인 스캔(line scan)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 경과 후 동시에 수행되는 바이어스 제어가 로스 타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면경 구동장치(120)와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이 동시에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적의 조건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광주사장치(100)가 노광을 준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이 다면경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과 거의 같다면, 도 4의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C]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를 이용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C'](이하, 제 1 구동 시점이라 한다)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 또는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C]은 광주사장치(100)가 노광을 수행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면경 구동장치(120)와의 관계에 있어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1 구동 시점[C']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떤 동작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4개의 신호 테이블이 있다. 위에서부터 데이터 변환장치(140)가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과 데이터 변환장치(140)가 모든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시간이 모두 경과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이다.
첫 번째 신호 테이블에서 데이터 변환장치(140)가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이라 한다.
두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A]이다.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이다.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은 데이터 변환장치(140)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모두 노광 데이터로 변환되었을 때 동기 신호(PSYNC)가 발생되는 지점이다.
데이터 변환장치(140)에서 변환해야 하는 화상 데이터의 양이 많거나 복잡할수록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이 길어지며, 그 시간 내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이미 도달하여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마저 경과하였다면, 감광체(210)의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이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까지 경과한 시간과 동시에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적의 조건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데이터 변환장치(140)가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D]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을 이용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D'](이하, 제 2 구동 시점이라 한다)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때,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은 용지 사이즈, 화상의 종류, 및 화상의 품질을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도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변환장치(140)와의 관계에 있어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2 구동 시점[D']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정착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떤 동작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4개의 신호 테이블이 있다. 위에서부터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과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모두 경과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이다.
첫 번째 신호 테이블에서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이라 한다.
두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A]이다.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이다.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은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했을 때 동기 신호(PSYNC)가 발생되는 지점이다.
정착장치(400)가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에 있다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 내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이미 도달하여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마저 경과하였다면, 감광체(210)의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이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까지 경과한 시간과 동시에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적의 조건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와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을 이용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F'](이하, 제 3 구동 시점이라 한다)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때,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F]은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도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정착장치(400)와의 관계에 있어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3 구동 시점[F']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떤 동작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4개의 신호 테이블이 있다. 위에서부터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과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 시간이 모두 경과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이다.
첫 번째 신호 테이블에서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이라 한다.
두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A]이다.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이다.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은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했을 때 동기 신호(PSYNC)가 발생되는 지점이다.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 내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이미 도달하여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마저 경과하였다면, 감광체(210)의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이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까지 경과한 시간과 동시에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적의 조건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와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을 이용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I'](이하, 제 4 구동 시점이라 한다)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이때,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은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도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중간 전사장치(330)와의 관계에 있어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4 구동 시점[I']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어떤 동작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5개의 신호 테이블이 있다. 위에서부터 용지 이송장치(500)가 픽업 롤러(510)와 이송 롤러(520)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 전사가 수행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 테이블이다.
첫 번째 신호 테이블에서 용지 이송장치(500)가 픽업 롤러(510)와 이송 롤러(520)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이라 한다.
두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A]이다.
세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이다.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부터 다섯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시점까지의 소정의 시간은,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H]이다. 네 번째 신호 테이블의 신호 발생 지점은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가 완료되어 감광체(210)가 노광될 수 있는 시점에 동기 신호(PSYNC)가 발생된 지점이다.
용지 이송장치(500)가 픽업 롤러(510)와 이송 롤러(520)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 내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이미 도달하여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이 경과하고, 전사가 수행될 수 있는 시점도 경과하였다면, 감광체(210)의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이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에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H]까지 경과한 시간과 동시에 경과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최적의 조건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용지 이송장치(500)가 픽업 롤러(510)와 이송 롤러(520)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에서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H],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H]을 이용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G'](이하, 제 5 구동 시점이라 한다)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때,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은 용지가 공급될 트레이(600a, 600b)의 위치를 기초로 예측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B] 및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H]도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용지 이송장치(500)와의 관계에 있어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5 구동 시점[G']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부(11)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복수 개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 개의 구동 시점 중 가장 늦은 시점을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주사장치(100), 화상 데이터를 광주사장치(100)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140), 감광체(210)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330), 정착장치(400), 및 용지 이송장치(500) 중 적어도 두 개와의 관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 결정된 적어도 두개의 구동 시점 중 가장 늦은 시점을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예를 살펴보면, 앞서 도 4 내지 도 8에서 상술하였던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제 1 구동시점[C'], 제 2 구동시점[D'], 제 3 구동시점[F'], 제 4 구동시점[I'], 및 제 5 구동시점[G']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때, 광주사장치(100), 데이터 변환장치(140), 중간 전사장치(330), 정착장치(400), 및 용지 이송장치(500) 모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 가장 늦은 시점인 제 5 구동시점[G']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하는 것이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또는 불필요한 감광체(210)의 공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A]은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광주사장치에 포함된 다면경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 또는 다면경 구동장치(120)의 준비 시간[C]은 광주사장치(100)가 노광을 수행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화상형성장치(10)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D]은 용지 사이즈, 화상의 종류, 및 화상의 품질을 기초로 예측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I]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토리지에 저장된,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G]은 용지가 공급될 트레이(600a, 600b)의 위치를 기초로 예측될 수 있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화상형성장치(10)의 스토리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화상형성장치(1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화상형성장치(1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1510에서, 화상형성장치(10)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확인한다.(S 1510)
단계 1520에서, 화상형성장치(1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한다.(S 1520)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광주사장치(100)이면, 화상형성장치(10)는 광주사장치(100)가 노광을 준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광주사장치(10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광주사장치(100)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140)이면, 화상형성장치(10)는 데이터 변환장치(140)가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변환장치(14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정착장치(400)이면, 화상형성장치(10)는 정착장치(400)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착장치(40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감광체(210)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330)이면, 화상형성장치(10)는 중간 전사장치(330)가 감광체(210)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 전사장치(33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용지 이송장치(500)이면, 화상형성장치(10)는 용지 이송장치(500)가 픽업 롤러(510)와 이송 롤러(520)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용지 이송장치(500)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210)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감광체 구동장치(240)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화상형성장치(10)가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라면, 화상형성장치(10)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복수 개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 개의 구동 시점 중 가장 늦은 시점을 감광체 구동장치(240)의 구동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장치는 광주사장치(100), 데이터 변환장치(140), 중간 전사장치(330), 정착장치(400), 및 용지 이송장치(500) 중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단계 1530에서, 화상형성장치(10)는 결정된 구동 시점에 감광체 구동장치(240)를 구동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화상형성장치 11 ... 제어부
12 ... 통신 인터페이스 13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 ... 스토리지 15 ... 화상형성부
16 ... 데이터 버스
100 ... 광주사장치
110 ... 회전 다면경 120 ... 다면경 구동장치
130 ... 결상광학계 140 ... 데이터 변환장치
200 ... 현상장치
210 ... 감광체 220 ... 현상 롤러
230 ... 대전 롤러 240 ... 감광체 구동장치
300 ... 전사장치
310 ... 1차 전사 롤러 320 ... 2차 전사 롤러
330 ... 중간 전사장치 340 ... 중간 전사 롤러
400 ... 정착장치
410 ... 가열 롤러 420 ... 가압 롤러
500 ... 용지 이송장치
510 ... 픽업 롤러 520 ... 이송 롤러
530 ... 배출 롤러

Claims (19)

  1.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구동 시점에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광주사장치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은 용지 사이즈, 화상의 종류, 및 화상의 품질을 기초로 예측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정착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장치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정착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감광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간 전사장치가 상기 감광체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용지 이송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 이송장치가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은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복수 개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구동 시점 중 가장 늦은 시점을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으로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장치는 광주사장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광주사장치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 감광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용지 이송장치 중 적어도 두 개인 화상형성장치.
  10.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ready time)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구동 시점에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광주사장치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이고,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모두 변환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장치의 준비 시간은 용지 사이즈, 화상의 종류, 및 화상의 품질을 기초로 예측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정착장치이고,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착장치가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정착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감광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이고,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전사장치가 상기 감광체와 1차 전사부를 형성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중간 전사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용지 이송장치이고,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 이송장치가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전사할 용지를 이송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용지 이송장치의 준비 시간에서 감광체가 노광되는 위치에서 전사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정속 회전 상태에 도달한 후 정전 잠상 형성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역산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은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가 회전하지 않고 방치된 시간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온도를 기초로 예측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화상형성과정에 이용되는, 복수 개의 장치의 준비 시간과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준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복수 개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구동 시점 중 가장 늦은 시점을 상기 감광체 구동장치의 구동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장치는 광주사장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광주사장치가 노광할 수 있는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 감광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 받는 중간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용지 이송장치 중 적어도 두 개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54106A 2013-12-11 2013-12-11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50068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06A KR20150068195A (ko) 2013-12-11 2013-12-11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4/567,395 US9170540B2 (en) 2013-12-11 2014-12-1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determine an operation start time point of a photoconductor driv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06A KR20150068195A (ko) 2013-12-11 2013-12-11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95A true KR20150068195A (ko) 2015-06-19

Family

ID=5327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106A KR20150068195A (ko) 2013-12-11 2013-12-11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70540B2 (ko)
KR (1) KR20150068195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419A (ja) 1991-08-22 1993-03-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501502B2 (ja) 1994-06-10 2004-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52834A (ja) 1994-11-28 1996-06-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78173A (ja) 1997-09-11 1999-03-23 Canon Inc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3463237B2 (ja) 1999-01-26 2003-11-05 村田機械株式会社 記録装置
JP3446657B2 (ja) 1999-05-20 2003-09-16 村田機械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178138A (ja) 2003-12-18 2005-07-07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60185A (ja) 2005-03-17 2006-09-28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5300455B2 (ja) * 2008-12-19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0540B2 (en) 2015-10-27
US20150160597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88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7304502A (ja) 画像形成装置
US908383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technique
US201101826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123780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2009008091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53394B2 (en) Image form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forming device
US8958731B2 (en) Rotation shaft coupling structure, intermediate transfer unit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3440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90232568A1 (en) Fixing apparatus and developer fixing method for the fixing apparatus
US200900027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68195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13024887A (ja) 補正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12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19229A (ja) 画像読取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5522413B2 (ja) 回収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5363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314771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50096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156574A (ja) 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
JP580470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26250B2 (ja) クリーニング部材、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78449B2 (ja) 画像形成装置
JP7303715B2 (ja) 画像形成装置
JP600775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