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566A - 체결구 부재 - Google Patents

체결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566A
KR20150066566A KR1020157011814A KR20157011814A KR20150066566A KR 20150066566 A KR20150066566 A KR 20150066566A KR 1020157011814 A KR1020157011814 A KR 1020157011814A KR 20157011814 A KR20157011814 A KR 20157011814A KR 20150066566 A KR20150066566 A KR 2015006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
locking member
viewed
fasten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498B1 (ko
Inventor
슈헤이 니소기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6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19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44B18/0038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42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44B18/0065Male or hook elements of a mushroom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45Interdigitated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체결구 부재(10)는 표면(15)을 갖는 기부 부분(11); 및 표면 상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12)를 포함하고, 로킹 부재는 결합될 대상과 로킹되어 결합될 대상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로킹 부재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측면(22A, 22B)을 갖는,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 부분(20), 및 측면 쌍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21)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측면 쌍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체결구 부재{FASTENER MEMBER}
본 발명은 체결구(fastener), 더욱 특정하게는 체결구 부재(fastener memb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표면을 갖는 기부 부분(base portion) 및 표면 상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고, 로킹 부재가 결합될 대상과 로킹됨으로써 결합될 대상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체결구 부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PCT 출원의 번역문) H07-509668A호에, 체결구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된 재료를 영구 기부 부분 주형(mold), 파괴시켜 탈착가능한 레그(leg) 부분 주형, 및 영구 헤드(head) 부분 주형 내로 주입하고 주형들 내에서 고화되게 함으로써 체결구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설명이 주어져 있다. 이러한 체결구 부재는 기부 부분 주형 및 헤드 부분 주형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레그 부분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종래의 체결구 부재에 있어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체결구 부재와 결합될 대상이 결합된 때 결합력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결합될 대상과의 개선된 결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체결구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는, 표면을 갖는 기부 부분; 및 표면 상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체결구 부재이고, 로킹 부재는 결합될 대상과 로킹되어 결합될 대상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며, 로킹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 부분(shaft portion); 및 측면 쌍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barbed portion)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측면 쌍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샤프트 부분의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은 표면으로부터 볼 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브형 부분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갖고서 연장되기 때문에, 결합될 대상에 결합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단일 로킹 부재가 결합될 대상과 로킹되는 것이 보다 쉬워져서, 체결구 부재 내에서 결합될 대상과 로킹되는 로킹 부재가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전체 체결구 부재의 결합력이 개선된다. 또한, 바브형 부분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갖더라도, 이들은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slide mold)이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활주 방향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보다 쉬워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체결구 부재는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결합될 대상과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에서, 복수의 바브형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에서, 리세스(recess)가 결합될 대상과 후크결합(hook)하도록 바브형 부분의 표면측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에서, 로킹 부재는 표면으로부터 볼 때 격자형(lattice-like)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에서, 바브형 부분은 샤프트 부분보다 더 많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체결구 부재에서, 측면 쌍의 측면들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들 각각은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대칭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될 대상과의 개선된 결합력을 갖고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체결구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Z 방향으로 볼 때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X 방향으로 볼 때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Y 방향으로 볼 때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어레이 구조(array structure)의 일례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어레이 구조의 일례를 예시하는 도면.
도 7a는 비교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예시된 로킹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 구조물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로킹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 구조물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9a는 비교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사시도.
도 9b는 도9a에 예시된 체결구 부재를 아래로부터의 상태로 예시하는 사시도.
도 9c는 도 9a에 예시된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 구조물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Z 방향으로 볼 때 변형례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f는 Y 방향으로 볼 때 변형례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2a는 Y 방향으로 볼 때 변형례에 따른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Z 방향으로 볼 때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지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용어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편의상 도면에 예시된 방향에 기초한 용어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결구 부재(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내장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면(face-to-face) 로킹 유형의 표면 체결구를 구성한다. 여기서 체결구 부재(10)는, 결합에 대한 상대편인 결합될 대상(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루프 부재(loop member)(30))과 맞물리고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후크 부재(hook member)로서 사용된다. 결합될 대상인 루프 부재(30)는 표면 체결구의 암형(female)측에 대응하고, 복수의 루프 얀(loop yarn)(31) - 루프 얀(31)이 환상(annular)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기부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함 - 을 갖도록 구성되며, 결합 시에 로킹 부재(12) 상으로 후크결합함으로써 로킹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유형의 루프 부재(30)는 예를 들어, 직접 또는 브라켓(bracket), 테이프, 접착제 등을 통해 차량의 차체측 상의 부재에 부착된다.
체결구 부재(10)는 표면 체결구의 수형(male)측에 대응하고, 수지 재료로부터 성형된 단일편이다. 체결구 부재(10)에는 기부 부분(11) 및 기부 부분(11) 상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12)가 제공된다.
기부 부분(11)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형 표면(15)을 갖는 플레이트형(plate-like) 형상이다. 이러한 유형의 기부 부분(11)은 예를 들어, 직접 또는 브라켓, 테이프, 접착제 등을 통해 내장 패널측 상의 부재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면(15)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확장된다. 기부 부분(11)의 형상은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표면(15)은 또한 완전하게 평평하지 않을 수 있고 부분적으로 융기된 섹션, 경사부 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로킹 부재(12)는 표면(15)으로부터 Z 방향으로 직립하도록 제공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Z 방향으로 볼 때) 사전결정된 간격을 갖고서 격자형 방식으로 정렬시킴으로써 배열된다. 로킹 부재(12)의 정렬의 태양에 관한 설명은 이하에 주어질 것임에 유의한다. 로킹 부재(12)에는 표면(15)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20) 및 샤프트 부분(20)의 팁 단부(tip end)측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21)이 제공된다.
로킹 부재(12)의 구성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로킹 부재(12)는 로킹 부재(12)에 대해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2 주형 및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다. 로킹 부재(12)의 형상 중에서, Z 방향으로 볼 때의 외부 형상(도 2에 예시된 형상) 및 상부측 영역의 형상(도 3 및 도 4에 예시된 형상들 중에서, 위로부터 봄으로써 확인될 수 있는 영역의 형상, 즉 도 2에서 확인가능한 영역의 형상)은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된다. 로킹 부재(12)의 형상 중에서, 하부 단부 영역, 즉 Z 방향으로 볼 때 외부 형상보다 더 내측으로 감춰지는 언더컷 부분(undercut portion(UE)(도 4에서 해칭된 영역)의 형상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도 3에서 해칭된 영역은 X 방향으로 볼 때 내측으로 감춰지는 감춰진 부분(submerged portion)(SE)을 예시하고, 감춰진 부분(SE)은 언더컷 부분(UE)의 영역의 일부라는 것에 유의한다(도 3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체 언더컷 부분(UE)이 해칭된 것이 아니라, 감춰진 부분(SE)만이 해칭되어 있다). 감춰진 부분(SE)은 언더컷 부분(UE)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Y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이 "기준 평면(CP1)"으로 불릴 것이고, X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이 "기준 평면(CP2)"으로 불릴 것임에 유의한다. 또한, X 방향이 상기 태양에서 기술된 "제1 방향"에 대응할 것이고, Y 방향이 상기 태양에 주어진 "제2 방향"일 것이다.
샤프트 부분(20)은 표면(15)으로부터 표면(15)에 직교하는 방향(Z 방향)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둥형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20)는 X 방향으로 볼 때 기준 평면(CP1)을 통해 평면-대칭 구성을 갖고, 이는 Y 방향으로 볼 때 기준 평면(CP2)을 통해 평면-대칭 구성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기준 평면(CP1)은 X 방향(도 3에 예시된 방향)으로 볼 때 샤프트 부분(20)의 중앙 평면이 되고, 기준 평면(CP2)은 Y 방향(도 4에 예시된 방향)으로 볼 때 중앙 평면이 된다. 샤프트 부분(20)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치수는 대략 0.2 내지 대략 2.0 mm 또는 대략 0.4 내지 대략 1.2 mm로 설정되고, Z 방향으로의 치수는 대략 0.7 내지 대략 3.0 mm 또는 대략 1.2 내지 대략 2.3 mm로 설정된다.
샤프트 부분(20)은 Z 방향으로 볼 때, X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Y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측면(22A, 22B)을 갖는다(도 2 참조). 본 실시예에서, 측면(22A, 22B)은 Z 방향으로 볼 때 Y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확장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측면(22A, 22B)은 표면(15)측 상에서 기준 평면(CP2)에 평행한 평면이 되는 기부 단부 영역(22a) 및 팁 단부측 상에서 기준 평면(CP2)에 평행한 평면이 되는 팁 단부 영역(22b)을 갖는다. 팁 단부 영역(22b)은 기준 평면(CP2)에 대해 기부 단부 영역(22a)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된다.
기부 단부 영역(22a)은 성형 시에 활주 주형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22A, 22B) 상의 영역이다. 팁 단부 영역(22b)은 성형 시에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22A, 22B) 상의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브형 부분(21)이 팁 단부 영역(22b)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팁 단부 영역(22b) 상의 측면(22A, 22B)은 샤프트 부분(20)과 바브형 부분(21) 사이의 경계 부분 내의 가상 평면이 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측면(22A, 22B)이 활주 주형 및 제2 주형을 사용하는 성형 방법(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주어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이들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 단부 영역(22a) 및 팁 단부 영역(22b)은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 단부 영역(22a) 상의 측면(22A, 22B)은 평평한 평면 또는 Y 방향(도 4에 예시된 방향)으로 볼 때 좁아지는(tapered) 형상으로 경사지는 만곡된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팁 단부 영역(22b) 상의 측면(22A, 22B)은 Z 방향(도 2에 예시된 방향)으로 볼 때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샤프트 부분(20)은 Z 방향으로 볼 때,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X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측면(23A, 23B)을 갖는다(도 2 참조). 본 실시예에서, 측면(23A, 23B)은 Z 방향으로 볼 때 X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는 평면에 의해 그리고 Z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측면(23A, 23B)은 성형 시에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측면(23A, 23B)이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이들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23A, 23B)은 Z 방향(도 2에 예시된 방향)으로 볼 때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샤프트 부분(20)은, 표면(15)에 대향하는 그리고 XY 방향으로 넓어지는 팁 단부 면(24)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팁 단부 면(24)은 표면(15)에 평행하도록 넓어진다. 팁 단부측 면(24)은 성형 시에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팁 단부 면(24)이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이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변형례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바브형 부분(21)은 X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는 측면(22A, 22B) 쌍의 각각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바브형 부분(21)은 Z 방향으로 볼 때 X 방향 및 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바브형 부분(21)의 연장 방향은 X 방향 성분 또는 Y 방향 성분 둘 중 단지 하나의 방향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X 방향 성분 및 Y 방향 성분 둘 모두의 방향 성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바브형 부분(21)은 Y 방향으로 볼 때 그것이 표면(15)에 접근함에 따라 샤프트 부분(20)으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연장된다. 바브형 부분(21)은 측면(22A, 22B)의 팁 단부 영역(22b)으로부터 외측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스트립(strip)을 형성한다. 또한, 바브형 부분(21) 아래에 언더컷 부분(UE)을 형성할 때, 바브형 부분(21)의 하부 단부측(표면(15)측)의 일부분과 기부 부분(11)의 표면(1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이 이 공간 내로 삽입될 때, 이는 바브형 부분(21)과 후크결합하고 로킹된다. 또한, 바브형 부분(21)은 각각의 측면(22A, 22B) 상에 복수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브형 부분(21A, 21B)이 측면(22A) 상에 형성되고, 바브형 부분(21C, 21D)이 측면(22B) 상에 형성되어, 4개의 바브형 부분(21)이 하나의 로킹 부재(12) 상에 형성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Z 방향으로 볼 때 바브형 부분(21)의 구성이 기술될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브형 부분(21A 내지 21D)의 구성을 기술하기 위해, 샤프트 라인(SLA 내지 SLD)이 Z 방향으로 볼 때의 바브형 부분(21A 내지 21D)에 대해 설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샤프트 라인(SLA 내지 SLD)은 바브형 부분(21A 내지 21D)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이고, 바브형 부분(21A 내지 21D)의 폭(W)의 중앙 위치에 의해 한정된다.
바브형 부분(21A)은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에서 측면(23A)측의 영역(도 2에서 지면의 상부 우측 표면의 영역) 상에 제공된다. 바브형 부분(21A)은 기준 평면(CP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멀어지도록 측면(22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바브형 부분(21A)의 샤프트 라인(SLA)의 시작점(P1)은 기준 평면(CP1)과 측면(23A) 사이에서 측면(22A)의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로 설정되고, 샤프트 라인(SLA)은 시작점(P1)으로부터 기준 평면(CP1)에 대해 사전결정된 각도(θ)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결정된 각도(θ)는 45°로 설정되지만, 각도는 대략 0° 내지 대략 65°, 또는 대략 35° 내지 대략 53°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바브형 부분(21A)의 폭 방향으로의 측면(21b, 21c)은 샤프트 라인(SLA)을 따라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측면(21b, 21c)은 기준 평면(CP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멀어지도록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측면(21b, 21c)은 Z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는 것에 유의한다(구배(draft)가 요구되기 때문에 Z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Y 방향으로 외측 상의 측면(21b)의 시작점(P2)은 측면(22A)과 측면(23A) 사이의 모서리 부분으로 설정되고, 측면(21b)은 시작점(P2)으로부터 샤프트 라인(SLA)과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된다. 사전결정된 각도(θ)가 45°이기 때문에, 측면(21b)은 샤프트 부분(20)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게 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Y 방향으로 내측 상의 측면(21c)의 시작점(P3)은 측면(22A)의 Y 방향으로의 (기준 평면(CP1) 상의) 중앙 위치로 설정되고, 측면(21c)은 시작점(P2)으로부터 샤프트 라인(SLA)과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된다. 바브형 부분(21A)의 폭(W)의 치수는 대략 0.2 내지 대략 1.0 mm, 또는 대략 0.2 내지 대략 0.5 mm로 설정된다. 바브형 부분(21A)의 단부 부분(21d)은 Y 방향에 평행하게 된다. 그러나, 단부 부분(21d)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변형례가 후술될 것이다. 바브형 부분(21A)의 X 방향으로의 돌출량(여기서, 측면(22A)과 단부 부분(21d) 사이의 거리)은 대략 0.2 내지 대략 1.0 mm, 또는 대략 0.2 내지 대략 약 0.5 mm로 설정된다.
상기 주어진 것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바브형 부분(21A)은 Z 방향으로 볼 때 샤프트 부분(20)보다 더 많이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바브형 부분(21A)은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3A)보다 더 많이 Y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그러한 부분의 하부측의 영역 상에서, 감춰진 부분(SE)이 X 방향으로 볼 때 내측으로 감춰져 형성된다(도 3 참조). 바브형 부분(21A)의 단부 부분(21d)의 일부분(또는 심지어 전체)이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3A)보다 더 Y 방향으로 외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샤프트 부재(20)보다 더 Y 방향으로 외측으로 존재하는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이 또한 바브형 부분(21A)에 의해 후크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성형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면(21b)의 시작점(P2)은 샤프트 부분(20)의 모서리 부분으로 설정되지만, 설정 위치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측면(22A)의 Y 방향으로 내측 상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거나, 이는 측면(22A)보다 더 Y 방향으로 외측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시작점(P2')), 이는 측면(23A)의 모서리 부분 부근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시작점(P2"))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측면(21c)의 시작점(P3)은 또한 측면(22A)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거나, 이는 바브형 부분(21A)과 이웃하는 바브형 부분(21B)과 교차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시작점(P3')). 또한, 측면(21b, 21c)은 샤프트 라인(SLA)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이들은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폭이 넓어지게 연장될 수 있거나, 이들은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과의 로킹의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폭을 넓어지게 하는 것은 바브형 부분(21A)의 팁 단부측의 강도가 확보되게 할 수 있다. 강도가 확보되게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좁아지게 하는 것은 바브형 부분(21A)과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 사이의 로킹의 용이성을 개선한다. Z 방향으로 볼 때 바브형 부분(21)의 형상은 제2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며, 변형례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측면(22A) 내에서, 바브형 부분(21A)에 Y 방향으로 인접한 바브형 부분(21B)은 기준 평면(CP1)에 대해 바브형 부분(21A)과 평면-대칭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 내의 측면(23B)측의 영역(도 2에서 지면의 표면의 저부 우측의 영역) 내에서, 바브형 부분(21B)은 기준 평면(CP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외측으로 멀어지도록 측면(22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그러나, 바브형 부분(21A)과 바브형 부분(21B)은 평면-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측면(22B)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21C, 21D)은 샤프트 부분(20) 둘레에서 바브형 부분(21A, 21B)과 대칭이도록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바브형 부분(21C, 21D)은 기준 평면(CP2)에 대해 바브형 부분(21A, 21B)과 평면-대칭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B) 내의 측면(23A)측의 영역(도 2에서 지면의 표면의 상부 좌측 내의 영역) 내에서, 바브형 부분(21C)은 기준 평면(CP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외측으로 멀어지도록 측면(22B)으로부터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B) 내의 측면(23B)측의 영역(도 2에서 지면의 표면의 저부 좌측 내의 영역) 내에서, 바브형 부분(21D)은 기준 평면(CP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외측으로 멀어지도록 측면(22B)으로부터 X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그러나, 바브형 부분(21A, 21B)과 바브형 부분(21C, 21D)은 평면-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Y 방향으로 볼 때의 바브형 부분(21A 내지 21D)의 구성이 기술될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브형 부분(21A)은 측면(22A)의 팁 단부 영역(22b)에서 샤프트 부분(20)에 연결된다. 바브형 부분(21A)은 Z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표면(15)측으로 연장되고, 이는 표면(15)에 접근하면서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바브형 부분(21A)의 외측 상의 경사진 면(21a)은 샤프트 부분(20)의 팁 단부 면(24)측으로부터 표면(15)측을 향해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경사진 면(21a)은 Y 방향으로 평행하게 확장되고, 본 실시예에서 경사진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진 면(21a)은 팁 단부 면(24)과 측면(22) 사이의 모서리 부분으로 설정된 시작점(P4)을 갖고, 시작점(P4)으로부터 X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표면(15)측으로 똑바로 연장된다. 바브형 부분(21A)의 Z 방향으로의 치수, 즉 경사진 면(21a)의 상부 단부(여기서, 팁 단부 면(24)과 동일한 위치)와 경사진 면(21a)의 저부측의 단부 부분(21d) 사이의 Z 방향으로의 치수는 대략 0.3 내지 대략 약 2.0 mm, 또는 대략 0.5 내지 대략 1.5 mm로 설정된다. Y 방향으로 볼 때 경사진 면(21a)의 형상은 제2 주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시작점(P4)은 또한 측면(22)의 팁 단부 영역(22b) 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면(21a)과 팁 단부 면(24) 사이에 R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과 후크결합하기 위한 리세스(26)가 바브형 부분(21A)의 표면(15)측 내에 형성된다. 리세스(26)는 바브형 부분(21A)의 표면(15)측의 하부측 영역에 대해 사전결정된 형상으로 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groove)에 의해 구성된다. 리세스(26)는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에 의해 형성되는 언더컷 부분(UE)의 일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단부 면(21e)이 경사진 면(21a)의 단부 부분(21d)으로부터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으로 연장되고, 리세스(26)는 하부 단부 면(21e)에 대해 형성된다. 리세스(26)는 샤프트 부분(20)의 기부 단부 영역(22a) 상의 측면(22A), 외측의 경사진 면(21a)을 향하는 경사진 면(26a), 및 경사진 면(26a)의 상부 단부 부분과 측면(22A)이 연결되는 연결된 면(26b)으로 구성된다.
경사진 면(26a)은 외측의 경사진 면(21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면(21a, 26a) 각각의 저부 단부 부분은 하부 단부 면(21e)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팁 단부 영역(22b)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클로 부분(claw portion)(27)이 바브형 부분(21A)의 팁 단부측 상에 형성된다. 클로 부분(27)을 형성하는 것은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이 바브형 부분(21A)의 리세스(26)에 의해 더욱 쉽게 후크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클로 부분(27)의 두께(T)는 대략 0.15 내지 대략 0.4 mm로 설정된다. 클로 부분(27)의 Z 방향으로의 치수, 즉 연결된 면(26b)과 하부 단부 면(21e) 사이의 Z 방향으로의 치수는 대략 0.1 내지 대략 0.8 mm로 설정된다. 하부 단부 면(21e)과 연결된 면(26b) 둘 모두는 표면(15)에 평행한 평면이 되는 것에 유의한다. 클로 부분(27)을 그러한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은 충분한 강도를 또한 확보하는 것에 더하여 쉽게 후크결합될 수 있다.
바브형 부분(21A)의 하부 단부 영역(하부 단부 면(21), 경사진 면(26a), 및 연결된 면(26b))은 성형 시에 활주 주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형상은 활주 주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며, 변형례가 이하에서 상세히 주어질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브형 부분(21B)은 기준 평면(CP1)에 대해 바브형 부분(21A)과 평면-대칭 구성이 된다. 또한, 측면(22B)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21C, 21D)은 기준 평면(CP2)에 대해 바브형 부분(21A, 21B)과 평면-대칭 구성을 이루기 위해 샤프트 부분(20) 둘레에서 바브형 부분(21A, 21B)과 대칭이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Y 방향으로 볼 때, 바브형 부분(21B)은 바브형 부분(21A)과 동일한 형상이 되고, 바브형 부분(21C, 21D)은 기준 평면(CP2)에 대해 바브형 부분(21A, 21B)과 평면-대칭 형상이 된다. 또한, X 방향으로 볼 때, 바브형 부분(21C)은 바브형 부분(21A)과 동일한 형상이 되고, 바브형 부분(21D)은 바브형 부분(21B)과 동일한 형상이 된다(도 3 참조). 전술된 바와 같이, 바브형 부분(21A)과 바브형 부분(21B)은 평면-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바브형 부분(21A)과 바브형 부분(21C)은 평면-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브형 부분(21B)과 바브형 부분(21D)은 평면-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는 사전결정된 주형 구조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체결구 부재(10)는 Z 방향으로 상부측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1 주형, Z 방향으로 하부측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주형, 및 활주 주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활주 주형은 로킹 부재(12)의 바브형 부분(21)의 언더컷 부분(UE)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Y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주형, 제2 주형 및 활주 주형을 조합하는 것은 체결구 부재(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수지가 그 내부 공간 내로 주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적용가능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및 스티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수지가 냉각되고 고화된 후, 제1 주형이 Z 방향으로 이동되고(또는 제2 주형이 Z 방향으로 이동되고), 활주 주형이 Y 방향으로 이동되어 활주 주형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성형된 체결구 부재(10)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이 요구되지 않으며,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만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킹 부재(12)는 활주 주형이 통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로킹 부재(12)의 성형 위치는 다중 방향의 활주 주형을 사용할 때 제약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방향의 활주 주형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로킹 부재(12)의 성형 위치는 제약되지 않고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킹 부재(12)의 어레이 구성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기술될 것이다. 전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 있어서,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 상에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2)가 Z 방향으로 볼 때 격자형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기부 부분(11)의 각각의 변의 크기(도면에서 L1 및 L2에 의해 나타낸 치수)는 대략 5 내지 대략 400 mm로 설정된다(길이는 그것이 주형 내에 끼워지는 한 원하는 만큼 길 수 있다). 여기서, L1과 L2는 동일한 치수이지만, 상이한 치수가 또한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5에 예시된 예에서, 기부 부분(11)의 각각의 변은 X 방향 또는 Y 방향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다. 로킹 부재(12)는 Y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선형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열은 X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정렬된다. 또한, 하나의 열과 연관된 로킹 부재(12) 및 인접한 열과 연관된 로킹 부재(12)에 대한 Y 방향으로의 위치들은 서로 오프셋(offset)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로킹 부재(12)는 X 방향으로 엇갈린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Y 방향으로 기부 부분(11)의 변의 크기(L1)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로킹 부재(12)가 배치되고, X 방향으로 기부 부분(11)의 변의 크기(L2)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로킹 부재(12)가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의 제1 에지 부분으로부터 대향하는 제2 에지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배치된다. 그러므로,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그러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열 사이의 피치(도면에서 P1에 의해 나타낸 치수)는 대략 1.0 내지 대략 3.0 mm로 설정된다(길이는 주형 내에 끼워질 수 있을 만큼 길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열마다의 로킹 부재(12)의 피치(도면에서 P2에 의해 나타낸 치수)는 대략 1.0 내지 대략 3.0 mm로 설정된다(길이는 주형 내에 끼워질 수 있을 만큼 길 수 있다). X 방향으로의 엇갈린 배열의 폭(도면에서 P3에 나타낸 치수)은 각각의 열에 대한 로킹 부재(12)의 피치의 절반(P2/2)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6에 예시된 예에서, 기부 부분(11)의 각각의 변은 X 방향 또는 Y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해 45°로 경사진다. 로킹 부재(12)는 Y 방향(기부 부분(11)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선형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열은 X 방향(기부 부분(11)의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정렬된다. 하나의 열과 연관된 로킹 부재(12) 및 인접한 열과 연관된 로킹 부재(12)에 대한 Y 방향으로의 위치들은 일치하도록 배열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로킹 부재(12)는 X 방향으로 선형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기부 부분(11)의 각각의 변이 XY 방향에 대해 45°로 경사지게 때문에, 각각의 열 내의 로킹 부재(12)의 개수는 X 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각각의 열에서, 기부 부재(11)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의 크기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로킹 부재(12)가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의 제1 에지 부분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에지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배치된다. 그러므로,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그러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열들 사이의 피치(도면에서 P1에 의해 나타낸 치수)와 열마다의 로킹 부재(12)의 피치(도면에서 P2에 의해 나타낸 치수)는 도 5의 예에서 주어진 치수와 동등하게 설정될 수 있다.
로킹 부재(12)의 배열은 전술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로킹 부재(12)가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이 통과하는 영역을 피하는 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의 작용 및 효과가 기술될 것이다.
먼저, 비교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7에 예시된 체결구 부재의 로킹 부재(212)에는 샤프트 부분(220)의 X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222)으로부터 X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221)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로킹 부재(212)의 바브형 부분(221)은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2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로킹 부재(212)에 있어서, 결합될 대상인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은 로킹 부재(212)에 X 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존재한다면 바브형 부분(221)에 의해 후크결합될 수 있지만, 샤프트 부분(220)에 대해 Y 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존재한다면 이는 바브형 부분(221)에 의해 후크결합될 수 없다. 또한, 바브형 부분(221)은 X 방향으로만 연장되기 때문에,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의 배향에 따라 루프 얀(31)이 충분하게 후크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체결구 부재(310)의 로킹 부재(312)에는,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부분(320)의 X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322)으로부터 X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 및 Y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323)으로부터 Y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이 후크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가 넓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 하기의 문제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에 대한 언더컷 부분 및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에 대한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방향에 대한 활주 주형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을 위해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350)이 요구되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을 위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360)이 요구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채택할 때,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활주 주형(350, 360)이 통과하는 위치에 로킹 부재(321)가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로킹 부재(312)의 고밀도 성형이 영향을 받는다.
또는, 도 9에 예시된 방법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의 언더컷 부분은 Y 방향으로 활주하는 활주 주형(301)을 사용하고,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321)의 언더컷 부분은 아래로부터 밀어 올리는 주형(304)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채택할 때,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형(304)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부 부분(311) 자체 내에 관통 구멍(311a)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관통 구멍(311a)을 형성하는 것은 기부 부분(311)의 (다른 부재와의 접착 표면으로서 기능하는) 후방 표면측 상에서 다른 부재와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체결구 부재의 강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관통 구멍(311a)이 관통 구멍(311a)에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인해, 로킹 부재(312)의 고밀도 형성이 역시 영향을 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 있어서, 샤프트 부분(20)의 X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22A, 22B)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21)은 Z 방향으로 볼 때 X 방향 및 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X 방향 성분 및 Y 방향 성분 둘 모두가 바브형 부분(21)이 연장되는 방향에 포함되기 때문에,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이 후크결합될 수 있는 범위는 도 7에 예시된 로킹 부재(212)에 비해 넓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단일 로킹 부재가 루프 얀(31)과 로킹되는 것이 보다 쉬워지고, 체결구 부재(10) 내에서 루프 얀(31)과 로킹되는 로킹 부재(12)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체결구 부재(10)에 대한 루프 부재(30)와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바브형 부분(21)이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갖기 때문에,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의 배향과 관계없이 결합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브형 부분(21)이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갖는 경우에도, 이는 X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22A, 22B)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이 측면(22A, 22B)(기부 단부 영역(22a) 내의 측면(22A, 22B))을 형성하도록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중 방향의 활주 주형이 요구되지 않고, Y 방향으로 이동하는 활주 주형만을 사용함으로써, 바브형 부분(21)에 대해 Y 방향으로 볼 때(도 4에 예시된 방향) 내측으로 감춰진 부분 및 X 방향으로 볼 때(도 3에 예시된 상태) 내측으로 더욱 감춰진 부분(SE)을 동시에 갖는 언더컷 부분(U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지 하나의 활주 방향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보다 쉬워질 수 있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제조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로킹 부재(312)의 제조에서 요구되는 다중 방향의 활주 주형 및/또는 기부 부분(11) 내의 관통 구멍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로킹 부재(12)를 배열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보다 적어질 수 있고,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 상에 고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루프 부재(30)와의 결합력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고성능 체결구 부재(10)를 제조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복잡한 성형 방법 대신에 단지 일 방향의 활주 주형을 사용하는 간단한 사출 성형이 채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보다 저렴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체결구 부재(10)는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결합될 대상과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 있어서, 바브형 부재(21)는 측면(22A, 22B) 상에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갖는 바브형 부분(21)을 증가시키는 것은 루프 부재(30)의 결합력이 추가로 개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서,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과 후크결합하기 위한 리세스(26)가 바브형 부분(21)의 표면(15)측 상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루프 부재(30)의 루프 얀(31)은 바브형 부분(21) 상에 쉽게 후크결합하고, 후크결합된 후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력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서, 로킹 부재(12)는 Z 방향으로 볼 때 격자형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로킹 부재(12)는 기부 부분(11)의 표면(15) 상에 고밀도로 배치될 수 있고, 루프 부재(30)와의 결합력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서, 바브형 부분(21)은 Z 방향으로 볼 때 샤프트 부분(20)보다 더 멀리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에 의해, 샤프트 부분(20)의 Y 방향 외측 상에 존재하는 루프 얀(31)이 후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부재(10)에서, 측면(22A, 22B) 쌍의 측면들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들(21) 각각은 샤프트 부분(20) 둘레에서 대칭이도록 제공된다. 이에 의해, 측면(22A)측 상에 존재하는 루프 얀(31) 및 측면(22B) 상에 존재하는 루프 얀(31)은 유사한 방식으로 바브형 부분(21) 상으로 후크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한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이 상기 주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주어진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술된 요소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른 응용에 적용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Z 방향으로 볼 때의 바브형 부분의 형상은 그것이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브형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이 포함되는 한, 선형이 되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만곡된 형상으로 또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예시된 로킹 부재(40)에서, 바브형 부분(41)은 샤프트 부분(20)의 측면(22A, 22B)으로부터 샤프트 부분(20)의 외측을 향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바브형 부분(41)의 양 단부 면은 외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된 표면을 갖는다.
또한, 바브형 부분의 단부 부분의 형상이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직선형 형상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예시된 로킹 부재(50)에서, 바브형 부분(51)의 단부 부분은 R 형상을 형성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c에 예시된 로킹 부재(60)에서, 단부 부분은 바브형 부분(61)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형상화된다.
또한, 측면(22A, 22B) 상에 형성되는 바브형 부분(21)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바브형 부분(21)이 제공될 수 있거나, 단지 하나의 바브형 부분(21)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바브형 부분(21)이 제공될 때, 바브형 부분들 중 일부는 X 방향으로의 방향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0d에 예시된 로킹 부재(70)에서, 3개 이상의 바브형 부분(71, 72)이 측면(22A, 22B) 상에 형성된다. 또한, 로킹 부재(70)는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바브형 부분(71)에 더하여, X 방향으로의 방향 성분만을 포함하는 바브형 부분(72)을 또한 갖는다. 하나의 바브형 부분(71)과 하나의 바브형 부분(72)은 측면(22A, 22B) 부근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도 10e에 예시된 로킹 부재(80)에서, 3개의 바브형 부분(81, 82)이 측면(22A, 22B) 상에 형성된다. 또한, 로킹 부재(80)는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의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바브형 부분(81)에 더하여, X 방향으로의 방향 성분만을 포함하는 바브형 부분(82)을 또한 갖는다. 한 쌍의 바브형 부분(81)과 하나의 바브형 부분(82)은 측면(22A, 22B) 부근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로킹 부재의 팁 단부측의 형상은 그것이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예시된 로킹 부재(170)에서, 샤프트 부분(172)과 바브형 부분(171) 사이에 큰 R 형상을 형성하는 것은 팁 단부 부분(173)이 둥글게 된 형상을 갖도록 허용한다. 또한, 도 11b에 예시된 로킹 부재(180)에서, 바브형 부분(181)의 외측의 경사진 면을 그대로 연장시키고 팁 단부에서 연결시키는 것은 샤프트 부분(182)이 평평한 팁 단부 면을 갖지 않고서 팁 단부 부분(183)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게 한다.
또한, 바브형 부분의 언더컷 부분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는 그것이 활주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 예시된 로킹 부재(130)에서, 바브형 부분(131)에 대해 둥글게 된 리세스(134)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d에 예시된 로킹 부재(140)에서, 바브형 부분(141)의 전체 언더컷 부분이 경사진 면이 되도록 리세스(144)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e에 예시된 로킹 부재(150)에서, 샤프트 부분(152) 부근의 전체 영역이 바브형 부분(151)의 언더컷 부분의 경사진 면이 되도록 리세스(154)가 형성된다.
바브형 부분은 그것이 주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크기, 폭 또는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단일 바브형 부분마다 작은 폭 및/또는 두께를 제공하고 샤프트 부분의 측면 상에 가능한 한 많이 형성하는 것이 루프 얀이 더욱 쉽게 후크결합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한편, 바브형 부분은 후크결합된 루프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폭과 두께로 설정된다. 바브형 부분을 위해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를 채택할 때, 도 11f에 예시된 로킹 부재(160)와 같은, 샤프트 부분(162) 상에 제공되는 로드형(rod-like) 부재가 바브형 부분(161)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샤프트 부분의 측면의 형상은 또한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예시된 로킹 부재(190)에서, 샤프트 부분(192)의 측면(193A, 193B)은 팁 단부 영역(22b)에서 기준 평면(CP2)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팁 단부측 영역(22b)은 기준 평면(CP2)에 대해 기부 단부 영역(22a)보다 더 내측으로 배치된다.
샤프트 부분의 X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들 중에서, 측면들 중 임의의 하나만이 X 방향 및 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체결구 부재의 복수의 로킹 부재 중에서, 로킹 부재들 중 일부만이 X 방향 및 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체결구 부재(10)는 차량 내장용이지만, 체결구 부재(10)의 용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구 부재(10)는 다양한 분야에서 결합을 위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좌석과 같은 다른 부재의 부착, 건축 자재의 부착, 매트의 부착, 의자 상의 직물의 부착, 커튼의 유지,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용품의 부착, 서포터(supporter)의 부착, 및 간호 케어 장비(nursing care equipment)의 부착에서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체결구 부재는 결합될 대상으로서 루프 부재(30)와 결합되지만, 결합될 대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구 부재(10)의 결합될 대상은 예를 들어 루프 부재(30)와 상이한 다른 루프 부재일 수 있거나, 이는 체결구 부재(10)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후크 부재일 수 있다.

Claims (6)

  1. 체결구 부재(fastener member)로서, 표면을 갖는 기부 부분(base portion); 및 표면 상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로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고, 로킹 부재는 결합될 대상과 로킹되어 결합될 대상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로킹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 부분(shaft portion); 및
    측면 쌍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barbed portion)을 포함하고,
    표면으로부터 볼 때, 측면 쌍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바브형 부분이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체결구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될 대상과 후크결합(hooking)하기 위한 리세스(recess)가 바브형 부분의 표면측 상에 형성되는, 체결구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볼 때, 로킹 부재는 격자형(lattice-like) 방식으로 배치되는, 체결구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볼 때, 바브형 부분은 샤프트 부분보다 더 멀리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체결구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쌍의 측면들 상에 제공되는 바브형 부분들 각각은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대칭이도록 제공되는, 체결구 부재.
KR1020157011814A 2012-10-11 2013-10-04 체결구 부재 KR102123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6221 2012-10-11
JP2012226221A JP6192283B2 (ja) 2012-10-11 2012-10-11 ファスナ部材
PCT/US2013/063344 WO2014058717A1 (en) 2012-10-11 2013-10-04 Fastener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566A true KR20150066566A (ko) 2015-06-16
KR102123498B1 KR102123498B1 (ko) 2020-06-16

Family

ID=4938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814A KR102123498B1 (ko) 2012-10-11 2013-10-04 체결구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90973B2 (ko)
EP (1) EP2906068B1 (ko)
JP (1) JP6192283B2 (ko)
KR (1) KR102123498B1 (ko)
CN (1) CN104812262B (ko)
BR (1) BR112015008140A2 (ko)
CA (1) CA2887673A1 (ko)
MX (1) MX2015004426A (ko)
WO (1) WO2014058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948B1 (en) 2011-02-17 2012-09-04 Purecircle Usa Method of preparing alpha-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9386797B2 (en) 2011-02-17 2016-07-12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790730B2 (en) 2005-10-11 2014-07-29 Purecircle Us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9107436B2 (en) 2011-02-17 2015-08-18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WO2011059954A1 (en) 2009-11-12 2011-05-19 Purecircle Usa Granulation of a stevia sweetener
US10696706B2 (en) 2010-03-12 2020-06-30 Purecircle Usa Inc. Methods of preparing steviol glycosides and uses of the same
US9578895B2 (en) 2010-08-23 2017-02-28 Epc (Beijing) Natural Products Co., Ltd. Rebaudioside A and stevioside compositions
US9029426B2 (en) 2010-12-13 2015-05-12 Purecircle Sdn Bhd Highly soluble Rebaudioside D
BR112013020511B1 (pt) 2011-02-10 2018-05-22 Purecircle Usa Inc. Composição de rebaudiosida b e seu processo de produção, bem como composições de adoçante e de sabor, ingrediente alimentício, bebida e produto cosmético ou farmacêutico compreendendo a dita composição de rebaudiosida b
US9603373B2 (en) 2011-02-17 2017-03-28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11690391B2 (en) 2011-02-17 2023-07-04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US9474296B2 (en) 2011-02-17 2016-10-25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9795156B2 (en) 2011-03-17 2017-10-24 E.P.C (Beijing) Plant Pharmaceutical Technology Co., Ltd Rebaudioside B and derivatives
US9894922B2 (en) 2011-05-18 2018-02-20 Purecircle Sdn Bhd Glucosyl rebaudioside C
BR112013030701B1 (pt) 2011-05-31 2021-07-20 Purecircle Usa Inc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ão de estévia compreendendo rebaudiosídeo b, a qual pode ser utilizada como intensificador de adoçante, um intensificador de sabor e/ou um adoçante
EP3101024A1 (en) 2011-06-03 2016-12-07 Purecircle USA Stevia compostion comprising rebaudioside a or d with rebaudioside b
US9771434B2 (en) 2011-06-23 2017-09-26 Purecircle Sdn Bhd Products from stevia rebaudiana
US10480019B2 (en) 2011-08-10 2019-11-19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producing high-purity rubusoside
BR112014004581B1 (pt) 2011-09-07 2020-03-17 Purecircle Usa Inc. Adoçante de stevia alta solubilidade, método de produção, pó, composições de adoçante e de sabor, ingrediente alimentar, alimento, bebida e produto cosmético ou farmacêutico do referido adoçante
US9752174B2 (en) 2013-05-28 2017-09-05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JP6346174B2 (ja) 2012-05-22 2018-06-20 ピュアサークル スンディリアン ブルハド 高純度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
CN105682467A (zh) 2013-06-07 2016-06-15 谱赛科美国股份有限公司 含有选择的甜叶菊醇糖苷作为香、咸和甜度特征修饰物的甜叶菊提取物
US10952458B2 (en) 2013-06-07 2021-03-23 Purecircle Usa Inc Stevia extract containing selected steviol glycosides as flavor, salty and sweetness profile modifier
BR112017004240B1 (pt) 2014-09-02 2022-04-05 The Coca-Cola Company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de glicosídeo de esteviol aquoso não tratado, extrato de stevia aquoso não tratado preparado pelo referido processo e alimento ou bebida
CN108495559A (zh) 2015-10-26 2018-09-04 谱赛科美国股份有限公司 甜菊醇糖苷组合物
CN108712864A (zh) 2015-12-15 2018-10-26 谱赛科美国股份有限公司 甜菊醇糖苷组合物
JP6644448B2 (ja) * 2015-12-24 2020-02-1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成形装置
CN117941909A (zh) 2015-12-24 2024-04-30 Ykk株式会社 成形面连接件的制造方法和成形装置
JP2017169616A (ja) 2016-03-18 2017-09-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870919B2 (ja) * 2016-03-31 2021-05-12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雄型面ファス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天井構造体
US10349707B2 (en) * 2016-07-05 2019-07-16 Alfatex Nv Fastener tape
MX2020013904A (es) 2018-07-09 2021-03-09 Ykk Corp Sujetador de superficie moldeada.
WO2020114913A1 (en) * 2018-12-03 2020-06-11 Velcro BVBA Male touch fastener elements
EP3973810A4 (en) * 2019-05-21 2023-06-28 Kuraray Fastening Co., Ltd. Laser weldable hook-and-loop fastener
US11889903B1 (en) * 2023-03-20 2024-02-06 Velcro Ip Holdings Llc Male touch fastener element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766A (ko) * 1996-07-17 2000-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인서트로서 사용되는 파스너 부재 및 그와 같은 파스너 부재를 성형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
US6248276B1 (en) * 1999-01-15 2001-06-19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and methods of making fasteners
US20030074771A1 (en) * 2000-10-19 2003-04-24 Duffy Leonard Arnold Slidingly engagable fasten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30190451A1 (en) * 2000-06-20 2003-10-09 Baker Samuel M. Nonwoven interlocking strips and nonwoven industrial fabrics assembled therefrom
KR20050123149A (ko) * 2003-04-10 2005-12-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열처리된 프로파일 압출 후크
CN201323942Y (zh) * 2008-12-18 2009-10-14 张顺帆 滑扣带及用以制造该滑扣带的刀具与设备
US20120267033A1 (en) * 2010-08-03 2012-10-25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5073B2 (de) * 1963-10-07 1970-11-05 Minnesota Mining & Manufact. Co., Saint Paul, Minn. (V.St.A.) Plattenverbindung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US5242646A (en) 1992-05-07 1993-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JP3889452B2 (ja) * 1993-07-30 2007-03-07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
JP2886455B2 (ja) * 1994-07-08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JP3554112B2 (ja) * 1995-12-22 2004-08-1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インサート成形用ファスナー部材及びそのインサート成形用ファスナー部材を成形主体に連結する方法
JP3474735B2 (ja) * 1997-08-20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6066281A (en) * 1998-06-16 2000-05-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US6991843B2 (en) * 1999-01-15 2006-01-31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US7052638B2 (en) * 1999-01-15 2006-05-30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er
JP3818431B2 (ja) * 2001-03-08 2006-09-06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とその連続製造方法及び連続製造装置
USRE42475E1 (en) * 2001-06-04 2011-06-21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JP3939155B2 (ja) * 2002-01-17 2007-07-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埋込取付式ファスナー
US7013536B2 (en) 2002-10-19 2006-03-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able fastener systems and processes
CN1770992A (zh) * 2003-04-10 2006-05-10 3M创新有限公司 热处理过的形状突出的钩子
US7275290B2 (en) * 2003-06-04 2007-10-02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s
FR2945413B1 (fr) * 2009-05-15 2011-05-06 Aplix Sa Element d'accrochage pour former la partie male d'un auto-agrippant
US8635749B2 (en) * 2009-07-27 2014-01-28 Nano Terra Inc. Microadhesive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2014667A1 (ja) 2010-07-27 2012-02-02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仮止め機能に優れた面ファスナ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766A (ko) * 1996-07-17 2000-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인서트로서 사용되는 파스너 부재 및 그와 같은 파스너 부재를 성형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
US6248276B1 (en) * 1999-01-15 2001-06-19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and methods of making fasteners
US20030190451A1 (en) * 2000-06-20 2003-10-09 Baker Samuel M. Nonwoven interlocking strips and nonwoven industrial fabrics assembled therefrom
US20030074771A1 (en) * 2000-10-19 2003-04-24 Duffy Leonard Arnold Slidingly engagable fasten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50123149A (ko) * 2003-04-10 2005-12-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열처리된 프로파일 압출 후크
CN201323942Y (zh) * 2008-12-18 2009-10-14 张顺帆 滑扣带及用以制造该滑扣带的刀具与设备
US20120267033A1 (en) * 2010-08-03 2012-10-25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2262A (zh) 2015-07-29
EP2906068B1 (en) 2017-03-22
JP6192283B2 (ja) 2017-09-06
CA2887673A1 (en) 2014-04-17
EP2906068A1 (en) 2015-08-19
JP2014076210A (ja) 2014-05-01
CN104812262B (zh) 2019-04-23
US20150275941A1 (en) 2015-10-01
BR112015008140A2 (pt) 2020-01-07
US9790973B2 (en) 2017-10-17
WO2014058717A1 (en) 2014-04-17
KR102123498B1 (ko) 2020-06-16
MX2015004426A (es)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6566A (ko) 체결구 부재
US9180804B2 (en) Clip, connected clip, and seat cover covering structure
JP5506775B2 (ja) スナップボタン
US20160288733A1 (en) Attaching structure assembly for an attached component
US9480309B2 (en) Fixturing apparatus
CN103748367A (zh) 插塞式联接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60070754A (ko) 파스너
JPH0759606A (ja)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部材を備えたファスナー
US8916256B2 (en) Fastening strap, foam articl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stening strap
CN104736010B (zh) 紧固件构件
JP5592949B2 (ja) ベルト装着部
TWI434768B (zh) Mechanical surface adhesive buckle
KR101578051B1 (ko)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WO2014205036A1 (en) Fastener member
JP2008230260A (ja) 組み合わせクランプ
JP2017176609A (ja) 雄型面ファス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天井構造体
JP3142420U (ja) 家具及び家具移動防止部材
JP2005067227A (ja) フロアマット接続構造
JP2004332336A (ja) ベースユニット
JPH04101614U (ja) ワンウエー型面フアスナー
TW201418037A (zh) 機械式表面黏合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