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793A -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793A
KR20150065793A KR1020157011250A KR20157011250A KR20150065793A KR 20150065793 A KR20150065793 A KR 20150065793A KR 1020157011250 A KR1020157011250 A KR 1020157011250A KR 20157011250 A KR20157011250 A KR 20157011250A KR 20150065793 A KR20150065793 A KR 2015006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ound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275B1 (ko
Inventor
아키노리 류
코우지 스에스기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09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 C08G18/2027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A)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과, (B)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과, (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포함하고,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3000ppm 포함된다.

Description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 렌즈에 비해, 경량이고 깨지기 어렵고, 염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등의 광학 소자에 급속히 보급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렌즈용 수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로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싸이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싸이오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5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2에는, 이미다졸계 촉매를 가류 촉진제로서 사용하고, 황과 에피싸이오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프레폴리머에,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싸이올 화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성 조성물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싸이올 화합물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싸이오우레탄 화합물과, 이미다졸 화합물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폴리싸이올올리고머와, 폴리(싸이오)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폴리싸이오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싸이올올리고머는, 이미다졸계 촉매를 사용하여, 2관능 이상의 폴리싸이올 화합물과 황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A) 머캅토기를 1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B1) 말단의 모두, 또는 일부가 머캅토기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프레폴리머 및/또는 폴리싸이오우레탄프레폴리머, (C)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또는 폴리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조성물을, 이미다졸류 등의 경화 촉매의 존재하에 가열 중합하여,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미다졸류를 사용한 예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5-12167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5-28152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국제공개 2008/023603호 팜플렛 특허문헌 4 :일본 국제 공개 2008/026727호 팜플렛 특허문헌 5 : 일본 특허공개 2006-265408호 공보
상기 문헌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등의 광학 재료는, 맥리나 백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고, 광학 재료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어, 제품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특정의 경화 촉매를 소정량으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싸이오우레탄계 수지 렌즈의 백탁이나 맥리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낼 수 있다.
[1] (A)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과,
(B)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과,
(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포함하고,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3000ppm 포함되는,
중합성 조성물.
[2]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은, 1,3-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및 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은,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펜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3]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 또는 4,7 또는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2,5-비스(머캅토메틸)-1,4-다이싸이안,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4,6-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1,3-다이싸이안, 및 2-(2,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틸)-1,3-다이싸이에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또는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4]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중, l, m, r은,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R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5]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는, 하기 일반식(2)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하여 수소, 머캅토기, 사이아노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로 나타내지는 기이며,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6]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다이메틸이미다졸, 벤질메틸이미다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7]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에 있어서, l, m은, 독립하여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1∼3의 정수, 및 n은 1 또는 2인,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
[9]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 내에 주형하는 공정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그 조성물을 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10]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프라이머층과, 하드 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11]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내에 주형하는 공정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고 그 조성물을 중합하여, 렌즈 기재(基材)를 얻는 공정과,
상기 렌즈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굴절률 등의 광학 물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백탁이나 맥리가 억제된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A)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과, (B)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과, (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포함한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3000ppm의 양으로 포함된다.
이하, 각 성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은,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이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로서는,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과,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은 단량체 이외에, 변성체 및/또는 변성체와의 혼합물의 경우도 포함하고,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변성체로서는, 예를 들면, 다량체, 뷰렛(biuret) 변성체, 알로파네이트 변성체, 옥사다이아진트라이온 변성체, 폴리올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토다이온, 우레토이민, 카보다이이미드 등의 2량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이미노옥사디아진다이온 등의 3량체 이상의 다량체를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변성체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다량체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로서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과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a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은, 방향환 이외의 환상 골격 및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나토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로서, 구체적으로는, 1,3-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은, 2,5-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및 2,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의 이성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이성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해당 화합물은, 1종의 화합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로서,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을 1종 또는 2종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은, 탄소수 1∼15의 알킬렌쇄 및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나토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로서, 펜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헵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옥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다이메틸펜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세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6,11-운데카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6-헥사메틸렌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8-다이아이소사이아나토-4-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옥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카보네이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에터, o-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p-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로서, 펜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수지의 굴절률의 관점에서,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싸이올 화합물(B)]
싸이올 화합물(B)은,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이다.
싸이올 화합물(B)로서, 구체적으로는,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b1)(이하, 「싸이올 화합물(b1)」이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b2)(이하, 「싸이올 화합물(b2)」이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
1이상의 에스터 결합 및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b3)(이하, 「싸이올 화합물(b3)」이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을 들 수 있다.
싸이올 화합물(B)로서는, 싸이올 화합물(b1)∼(b3) 중 어느 1개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싸이올 화합물(b1)∼(b3) 중 어느 2개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싸이올 화합물(b1)∼(b3)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싸이올 화합물(B)은, 싸이올 화합물(b1)과 싸이올 화합물(b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싸이올 화합물(b1)로부터만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싸이올 화합물(b1)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과, 싸이올 화합물(b2)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싸이올 화합물(b1)은,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고, 2이상의 SH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싸이올 화합물(b1)로서, 구체적으로는,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 또는 4,7 또는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테인, 비스(머캅토메틸)설파이드, 2,5-비스(머캅토메틸)-1,4-다이싸이안, 비스(머캅토메틸)다이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머캅토에틸)다이설파이드, 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메테인, 비스(2-머캅토에틸싸이오)메테인, 1,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테인, 1,2-비스(2-머캅토에틸싸이오)에테인, 1,3-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1,3-비스(2-머캅토에틸싸이오)프로페인, 1,2,3-트리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1,2,3-트리스(2-머캅토에틸싸이오)프로페인, 1,2,3-트리스(3-머캅토프로필싸이오)프로페인,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4,6-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1,3-다이싸이안, 2-(2,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틸)-1,3-다이싸이에테인,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메틸)메테인, 테트라키스(2-머캅토에틸싸이오메틸)메테인, 비스(2,3-다이머캅토프로필)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싸이올 화합물(b1)로서,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 또는 4,7 또는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2,5-비스(머캅토메틸)-1,4-다이싸이안,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4,6-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1,3-다이싸이안, 2-(2,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틸)-1,3-다이싸이에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싸이올 화합물(b2)은,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며, 2이상의 SH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싸이올 화합물(b2)로서, 구체적으로는,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3-머캅토-1,2-프로페인다이올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3-머캅토-1,2-프로페인다이올디(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글라이세린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글라이세린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메틸설파이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메틸설파이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싸이오글라이콜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터), 싸이오다이프로피온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터), 하이드록시에틸설파이드(2-머캅토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에틸설파이드(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l, m, r은,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r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l, m은, 독립하여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1∼3의 정수, n은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은, 에틸렌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과 머캅토알킬카르복실산과의 축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뷰틸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뷰틸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뷰틸레이트), 비스(3-머캅토프로피온산)1,4-뷰테인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비스(3-머캅토프로피온산)1,4-뷰테인다이올을 사용할 수 있다.
싸이올 화합물(b2)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싸이올 화합물(b2)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비스(3-머캅토 프로피온산)1,4-뷰테인다이올을 사용할 수 있다.
싸이올 화합물(b3)은, 1이상의 에스터 결합 및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며, 2이상의 SH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싸이올 화합물(b3)로서, 구체적으로는, 2,2'-싸이오다이에탄올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2,2'-싸이오다이에탄올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싸이오다이메탄올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싸이오다이메탄올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해당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하여 수소, 머캅토기, 사이아노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로 나타내지는 기이며,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12의 알킬기이다.
치환된 탄소수 1∼12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사이아노기, 머캅토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페닐기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사이아노기, 머캅토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로서는, 구체적으로,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1-사이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사이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륨트라이멜리테이트, 2-페닐이미다졸, 2-머캅토-1-메틸이미다졸, 다이메틸이미다졸, N-벤질이미다졸, 1-페닐이미다졸, 1-(2-사이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2-이소프로필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벤질메틸이미다졸, 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이메틸이미다졸, 벤질메틸이미다졸을 들 수 있다. 다이메틸이미다졸, 벤질메틸이미다졸의 위치 이성체에 있어서는, 1,2-다이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이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탁이나 맥리가 억제된 플라스틱 렌즈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상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한값은, 플라스틱 렌즈의 백탁이나 맥리를 억제하고, 게다가 포트 라이프 등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300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의 사용량은, 상기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지만, 5ppm∼3000ppm, 바람직하게는 5∼2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1000ppm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으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를 포함함으로써, 백탁이나 맥리가 효과적으로 억제된 플라스틱 렌즈를 작업성 좋게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그 밖의 활성 수소화합물, 내부이형제, 수지 개질제, 광안정제, 블루잉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착색방지제, 염료 등의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활성 수소화합물)
본 발명에서는, 화합물(A), 화합물(B) 이외의 활성 수소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활성 수소화합물로서의 싸이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싸이올 화합물, 방향족 싸이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싸이올 화합물은, 설파이드 결합 및 에스터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메테인다이싸이올, 1,2-에테인다이싸이올, 1,2-프로페인다이싸이올, 1,3-프로페인다이싸이올, 1,4-뷰테인다이싸이올, 1,5-펜테인다이싸이올, 1,6-헥세인다이싸이올, 1,2-사이클로헥세인다이싸이올, 3,4-다이메톡시뷰테인-1,2-다이싸이올, 2-메틸사이클로헥세인-2,3-다이싸이올, 1,2-다이머캅토프로필메틸에터, 2,3-다이머캅토프로필메틸에터, 비스(2-머캅토에틸)에터,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테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싸이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2-다이머캅토벤젠, 1,3-다이머캅토벤젠, 1,4-다이머캅토벤젠, 1,2-비스(머캅토메틸)벤젠, 1,4-비스(머캅토메틸)벤젠, 1,2-비스(머캅토에틸)벤젠, 1,4-비스(머캅토에틸)벤젠, 1,2,3-트라이머캅토벤젠, 1,2,4-트라이머캅토벤젠, 1,3,5-트라이머캅토벤젠, 1,2,3-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2,4-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2,3-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1,3,5-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1,2,4-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2,5-톨루엔다이싸이올, 3,4-톨루엔다이싸이올, 1,4-나프탈렌다이싸이올, 1,5-나프탈렌다이싸이올, 2,6-나프탈렌다이싸이올, 2,7-나프탈렌다이싸이올, 1,2,3,4-테트라머캅토벤젠, 1,2,3,5-테트라머캅토벤젠, 1,2,4,5-테트라머캅토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2,2'-다이머캅토바이페닐, 4,4'-다이머캅토바이페닐 등을 들 수 있다.
(내부이형제)
본 발명의 중합 조성물은, 성형 후에 있어서의 몰드로부터의 이형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내부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이형제로서는, 산성 인산에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산성 인산에스터로서는, 인산모노에스터, 인산다이에스터를 들 수 있고, 각각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TEPAN사제의 ZelecUN, 미쓰이가가쿠사제의 MR용 내부이형제, 죠호쿠가가쿠고교사제의 JP시리즈, 토호가가쿠고교사제의 포스파놀 시리즈, 다이하치가가쿠고교사제의 AP, DP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개질제)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는, 얻어지는 수지의 광학 물성, 내충격성, 비중 등의 제반 물성의 조절 및, 해당 조성물의 점도나 포트 라이프의 조정을 목적으로, 수지 개질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수지 개질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피설파이드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유기산 및 그 무수물,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광안정제)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은, 시판품으로서 Chemtura사제의 Lowilite76, Lowilite92, BASF사제의 Tinuvin144, Tinuvin292, Tinuvin765, ADEKA사제의 아데카스터브LA-52, LA-72, 죠호쿠가가쿠고교사제의 JF-95 등을 들 수 있다.
(블루잉제)
블루잉제로서는, 가시광선 영역 중 주황색(橙色)에서 황색 파장역으로 흡수대를 가지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의 색상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블루잉제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청색에서 보라색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한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아크릴로일옥시-5-tert-뷰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아크릴로일옥시-2',4'-다이클로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2-[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2-하이드록시-3-트라이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2-하이드록시-3-(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뷰틸옥시페닐)-6-(2,4-비스-뷰틸옥시페닐)-1,3,5-트라이아진, 2-(2-하이드록시-4-[1-옥틸옥시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라이아진 등의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메틸페놀,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tert-옥틸페놀,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다이-tert-펜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4-메틸-6-tert-뷰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2,4-tert-뷰틸페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tert-옥틸페놀이나 2-(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4-메틸-6-tert-뷰틸페놀의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에 있어서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에 대한, 싸이올 화합물에 있어서의 머캅토기의 몰비율은 0.8∼1.2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85∼1.15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1의 범위 내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 광학 재료, 특히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사용하는 모노머와 촉매, 내부이형제, 그 외 첨가제를 혼합하여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의 온도는 통상 25℃ 이하에서 실시된다. 중합성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의 관점에서, 더욱 저온으로 하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다만, 촉매, 내부이형제, 첨가제의 모노머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는, 미리 가온하여, 모노머, 수지 개질제에 용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용도>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싸이오우레탄 수지는, 주형 중합시의 몰드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재료는, 높은 굴절률 및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렌즈, 카메라 렌즈, 발광 다이오드(LED), 프리즘, 광섬유, 정보 기록 기판, 필터 등의 광학용 수지로서의 각종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 렌즈, 카메라 렌즈, 발광 다이오드 등의 광학 재료, 광학 소자로서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광학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렌즈로서는, 폴리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폴리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플라스틱 편광 렌즈를 들 수 있다.
<광학 재료>
본 발명에 있어서, 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주형(注型)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공정 a: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 내에 주형한다.
공정 b: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그 조성물을 중합한다.
(공정 a)
먼저, 개스킷 또는 테이프 등으로 유지된 성형 몰드(주형) 내에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다. 이 때,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감압하에서의 탈포처리나 가압, 감압 등의 여과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공정 b)
중합 조건에 관하여는,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와 사용량,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크게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50∼150℃의 온도에서 1∼ 50시간 걸쳐 실시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10∼15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 또는 서서히 승온시켜, 1∼25시간에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는, 필요에 따라, 어닐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처리 온도는 통상 50∼150℃의 사이에서 실시되지만, 90∼14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130℃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싸이오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를 성형할 때에는, 상기 「그 밖의 성분」에 더하여, 목적에 따라 공지된 성형법과 동일하게, 쇄 연장제, 가교제, 유용(油溶)염료, 충전제, 밀착성 향상제 등의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싸이오우레탄 수지를 사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필요에 따라, 일 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상술한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재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코팅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담코트층, 방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코팅층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복수의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면에 동일한 코팅층을 형성해도, 다른 코팅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상기 광학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게다가 다른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의 코팅층은 각각, 자외선으로부터 렌즈나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 렌즈의 내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안정제나 산화 방지제, 렌즈의 패션성을 높일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 게다가 포토크로믹 염료나 포토크로믹 안료, 대전 방지제, 그 외, 렌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공지된 첨가제를 병용해도 된다. 도포에 의한 코팅을 실시하는 층에 관해서는 도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각종 레벨링제를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통상, 후술하는 하드 코트층과 렌즈 사이에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은, 그 위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과 렌즈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코팅층이며, 경우에 따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라이머층에는 얻어진 렌즈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것이면 어떠한 소재여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폴리바이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물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도포법, 건식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포법을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핀 코트, 딥 코트 등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렌즈에 도포한 후, 고체화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건식법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CVD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된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에,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렌즈의 표면은, 알칼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전(前)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렌즈 표면에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온수성, 내열성, 내후성 등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코팅층이다.
하드 코트층은, 일반적으로는 경화성을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과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의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의 산화물 미립자의 1종 이상 및/또는 이들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원소의 복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미립자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 조성물이 사용된다.
하드 코트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아민류, 아미노산류, 금속 아세틸아세트네이트 착체, 유기산 금속염, 과염소산류, 과염소산류의 염, 산류, 금속 염화물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 조성물에는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되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통상, 하드 코트 조성물을 스핀 코트, 딥 코트 등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열경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은, 렌즈와의 굴절률의 차가 ±0.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 하드 코트층 위에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무기계 및 유기계가 있고, 무기계의 경우, SiO2, TiO2 등의 무기산화물을 사용하고,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도금법, 이온 빔 어시스트법, CVD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계의 경우, 유기 규소 화합물과, 내부 공동(空洞)을 가지는 실리카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식법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은 단층 및 다층이 있고,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보다도 굴절률이 적어도 0.1 이상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하려면 다층막반사 방지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을 교호로 적층한다. 이 경우도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과의 굴절률차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막으로서는, ZnO, TiO2, CeO2, Sb2O5, SnO2, ZrO2, Ta2O5 등의 막이 있고, 저굴절률막으로서는, SiO2막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막층 위에는, 필요에 따라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시켜도 된다.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사 방지 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면, 그 처리 방법, 처리 재료 등에 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 발수 처리 방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에서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덮는 방법, 표면에 친수성의 막을 부가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표면을 미세한 요철로 덮어 흡수성을 높이는 방법, 광촉매 활성을 이용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초발수성 처리를 실시하여 물방울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수 처리 방법에서는,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에 의해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한 후, 코팅하여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싸이오우레탄 수지를 사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패션성이나 포토크로믹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목적에 따른 색소를 사용하고, 염색하여 사용해도 된다. 렌즈의 염색은 공지된 염색 방법으로 실시 가능하지만, 통상,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하는 색소를 용해 또는 균일하게 분산시킨 염색액 중에 소정의 광학면이 마무리된 렌즈 생지(生地)를 침지(염색 공정)한 후, 필요에 따라 렌즈를 가열하여 색소를 고정화(염색 후 어닐 공정)하는 방법이다. 염색 공정에 사용되는 색소는 공지된 색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유용 염료 혹은 분산 염료가 사용된다. 염색 공정에 사용되는 용제는 사용하는 색소가 용해 가능 혹은 균일하게 분산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염색 공정에서는, 필요에 따라 염색액에 색소를 분산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나, 염착(染着)을 촉진하는 캐리어(carrier)를 첨가해도 된다. 염색 공정은, 색소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를 물 또는 물과 유기용매와의 혼합물 중에 분산시켜 염색욕(染色浴)을 조제하고, 이 염색욕 중에 광학 렌즈를 침지하여,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염색을 실시한다. 염색 온도 및 시간은, 원하는 착색 농도에 따라 변동되지만, 통상, 120℃ 이하에서 수 분에서 수 십 시간 정도여도 좋고, 염색욕의 염료 농도는 0.01∼10중량%로 실시된다. 또한, 염색이 곤란한 경우는 가압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염색 후 어닐 공정은, 염색된 렌즈 생지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가열 처리는, 염색 공정에서 염색된 렌즈 생지의 표면에 남은 물을 용제 등으로 제거하거나, 용매를 풍건(風乾)한 후에, 예를 들면 대기 분위기의 적외선 가열로(加熱爐), 혹은 저항 가열로 등의 노(爐) 중에 소정 시간 체류시킨다. 염색 후 어닐 공정은, 염색된 렌즈 생지의 탈색을 방지함(탈색 방지 처리)과 함께, 염색시에 렌즈 생지의 내부에 침투한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편광 렌즈]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편광 렌즈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공정 i: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이 몰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그 편광 필름을 고정한다.
공정 ii: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몰드와의 사이의 공극에,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다.
공정 iii: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고, 그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다.
이하, 각 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공정 i)
렌즈 주형용 주형의 공간 내에,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을, 필름면의 적어도 한쪽이 대향하는 몰드 내면과 병행하게 되도록 설치한다. 편광 필름과 몰드와의 사이에는, 공극부가 형성된다. 편광 필름은 미리 부형 (附形)되어 있어도 된다.
(공정 ii)
이어서, 렌즈 주형용 주형의 공간 내에 있어서, 몰드와 편광 필름 사이의 공극부에, 소정의 주입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다.
(공정 iii)
이어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이 주입된 편광 필름이 고정된 렌즈 주형용 주형을 오븐 중 또는 수(水) 중 등의 가열 가능 장치 내에서 소정의 온도 프로그램으로 수 시간에서 수 십 시간 걸쳐 가열하여 경화 성형한다.
중합 경화의 온도는,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정할 수 없지만, 0∼140℃의 온도에서 1∼48시간 걸쳐 실시된다.
경화 성형 종료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취출(取出)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된,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는, 중합에 의한 왜곡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형(離型)한 렌즈를 가열하여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는, 필요에 따라,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된다. 코팅층으로서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와 동일한,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막층, 방담 코트층, 방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에 의해 얻어진 렌즈는 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했다. 성능 시험은, 굴절률 및 아베수, 내열성 및 비중, 백탁 및 맥리로 하고,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 굴절률(ne), 아베수(νe): 시마즈세이사쿠쇼사제 풀프리히(Pulfrich) 굴절계 KPR-30을 이용하여, 20℃에서 측정했다.
· 내열성: 시마즈세이사쿠쇼사제 TMA-60을 이용하여, TMA 페네트레이션법(50g 하중, 핀끝 0.5mmφ)에서의 유리전이온도(Tg)를 내열성으로 했다.
· 비중: 20℃에서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했다.
· 수지의 백탁: 슬라이드 프로젝터(CABIN(r)제 CS-15) 광원을 이용하여, 제작한 렌즈를 육안 관찰하고, 렌즈에 백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 렌즈에 백탁이 관찰되는 것을 ×로서 평가했다.
· 맥리: 고압 수은등(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 광원을 이용하여, 제작한 렌즈를 육안 관찰하고, 렌즈에 맥리가 관찰되지 않는 것을 ○, 렌즈에 맥리가 관찰되는 것을 ×로서 평가했다.
[실시예 1]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8.00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2.00g를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8g을 첨가하여, 20℃에서 혼합 용해시켰다. 용해 후,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37.59g과,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17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켜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 균일 용액을, 150Pa로 30분간 탈포를 실시한 후, 1㎛ 테프론( 등록상표) 필터로 여과를 실시한 후,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형에 주입했다. 이 몰드형을 오븐에 투입, 20℃∼120℃까지 대략 35시간 들여 서서히 승온하여 중합했다. 중합 종료후, 오븐으로부터 몰드형을 취출하고, 이형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120℃에 있어서 4시간 어닐을 더 실시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2]
내부이형제인 Zelec UN 6.67g에 촉매인 1-벤질-2-메틸이미다졸 3.33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5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3]
내부이형제인 Zelec UN 7.34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1.00g과 1-벤질-2-메틸이미다졸 1.66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25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4]
내부이형제인 JP-506H(죠호쿠가가쿠고교사제) 7.50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2.5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2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5]
내부이형제인 JP-506H 6.00g에 촉매인 1-벤질-2-메틸이미다졸 4.0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2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6]
내부이형제인 JP-506H 6.96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0.44g과 1-벤질-2-메틸이미다졸 2.6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32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7]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8.00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2.0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5.7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11.40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8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켰다. 용해 후,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35.80g과, 비스(3-머캅토프로피온산)1,4-뷰테인다이올 7.1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켜 균일 용액으로 했다. 이 균일 용액을, 150Pa로 30분간 탈포를 실시한 후, 1㎛ 테프론(등록상표) 필터로 여과를 실시한 후, 유리 몰드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몰드형에 주입했다. 이 몰드형을 오븐에 투입, 20℃∼120℃까지 대략 35시간 걸쳐 서서히 승온하여 중합했다. 중합 종료후, 오븐으로부터 몰드형을 취출하고, 이형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를 또한 120℃에 있어서 4시간 어닐을 실시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8]
내부이형제인 JP-506H 8 43g에 촉매인 1,2-다이메틸이미다졸 1.66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1,2-다이메틸이미다졸 촉매/이형제액을 조정했다. 내부이형제인 JP-506H 8.00g에 촉매인 1-벤질-2-메틸이미다졸 2.0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1-벤질-2-메틸이미다졸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50.60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정한 1,2-다이메틸이미다졸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05g, 1-벤질-2-메틸이미다졸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2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 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3.90g과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25.50g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9]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8.67g에 촉매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33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52.00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정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0g 용해 후,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00g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실시예 10]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8.67g에 촉매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33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50.6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정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0g 용해 후, 4,8-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4,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및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싸이올 49.4g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비교예 1]
내부이형제인 Zelec UN 8.18g에 촉매인 트라이에틸아민 1.82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088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비교예 2]
내부이형제인 Zelec UN 8.18g에 촉매인 트라이에틸아민 1.82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5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비교예 3]
내부이형제인 JP-506H 8.00g에 촉매인 트라이에틸아민 2.0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제했다.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49.50g과.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8.74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제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3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비교예 4]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9.00g에 촉매인 트라이에틸아민 1.00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50.60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정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 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3.90g과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25.50g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비교예 5]
내부이형제인 Zelec UN(산성 인산에스터: 등록상표, Stepan사제) 8.50g에 촉매인 트라이에틸아민 1.5g을 첨가하고,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 용해하여, 촉매/이형제 마스터액을 조정했다. 2,5(6)-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50.60g을 첨가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이오소브 583을 1.50g과, 앞에서 조정한 촉매/이형제 마스터액 0.10g을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 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3.90g과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25.50g 첨가하고, 20℃에서 혼합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의 성능 평가를 표-1에 정리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1∼실시예 10의 결과로부터,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소정량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내열성이나 굴절률 등의 광학 물성이 렌즈 제품으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함과 동시에, 비교예 1∼5에 나타낸 트라이에틸아민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과 비교하여, 백탁이나 맥리가 억제된 렌즈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소정량으로 사용하고, 금속 함유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나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난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은, 2012년 11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12-251913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태양도 취할 수 있다.
[1] (A)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과,
(B)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과,
(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포함하고,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3000ppm 포함되는,
중합성 조성물.
[2]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은, 1,3-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및 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은,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펜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3]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 또는 4,7 또는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2,5-비스(머캅토메틸)-1,4-다이싸이안,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4,6-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1,3-다이싸이안, 및 2-(2,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틸)-1,3-다이싸이에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또는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4]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Figure pct00006
(식 중, l, m, r은,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R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5]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는, 하기 일반식(2)
Figure pct00007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하여 수소, 머캅토기, 사이아노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로 나타내지는 기이며,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6]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다이메틸이미다졸, 벤질메틸이미다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7]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에 있어서, l, m은, 독립하여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 및 n은 1인,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
[9]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중합에 의해 성형하는,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10]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프라이머층과, 하드 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11]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중합함으로써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 위에,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Claims (11)

  1. (A)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 및/또는 2관능 이상의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과,
    (B)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 및/또는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과,
    (C)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포함하고,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 및 싸이올 화합물(B)의 합계량에 대하여 5ppm∼3000ppm 포함되는, 중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환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1)은, 1,3-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비스(4-아이소사이아나토사이클로헥실)메테인, 비스(아이소사이아나토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테인, 및 이소포론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a2)은, m-자일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펜타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중합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4-머캅토메틸-1,8-다이머캅토-3,6-다이싸이아옥테인, 4,8 또는 4,7 또는 5,7-다이머캅토메틸-1,11-다이머캅토-3,6,9-트라이싸이아운데케인, 비스(머캅토에틸)설파이드, 2,5-비스(머캅토메틸)-1,4-다이싸이안,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싸이오)프로페인, 4,6-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1,3-다이싸이안, 및 2-(2,2-비스(머캅토메틸싸이오)에틸)-1,3-다이싸이에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중합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싸이올 화합물(B) 중 1이상의 에스터 결합을 가지는 2관능 이상의 싸이올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중합성 조성물:
    Figure pct00008

    (식 중, l, m, r은,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R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는, 하기 일반식(2)
    Figure pct00009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하여 수소, 머캅토기, 사이아노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로 나타내지는 기이며,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C)가, 다이메틸이미다졸, 및 벤질메틸이미다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중합성 조성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싸이올 화합물에 있어서, l, m은, 독립하여 1∼2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1∼3의 정수, 및 n은 1 또는 2인, 중합성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 내에 주형(注型)하는 공정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그 조성물을 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프라이머층과, 하드 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 내에 주형하는 공정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가열하고 그 조성물을 중합하여, 렌즈 기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렌즈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57011250A 2012-11-16 2013-11-15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1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1913 2012-11-16
JPJP-P-2012-251913 2012-11-16
PCT/JP2013/080936 WO2014077369A1 (ja) 2012-11-16 2013-11-15 重合性組成物、光学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793A true KR20150065793A (ko) 2015-06-15
KR101571275B1 KR101571275B1 (ko) 2015-11-23

Family

ID=5073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250A KR101571275B1 (ko) 2012-11-16 2013-11-15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8397B2 (ko)
EP (1) EP2921511B1 (ko)
JP (1) JP5646790B2 (ko)
KR (1) KR101571275B1 (ko)
CN (1) CN104755520B (ko)
IN (1) IN2015DN03767A (ko)
WO (1) WO2014077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5274B2 (ja) * 2014-02-20 2018-05-30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の製造方法
US10663625B2 (en) * 2014-04-24 2020-05-26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KR101957082B1 (ko) * 2015-03-12 2019-03-11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EP3424975A1 (en) * 2015-04-21 2019-01-09 Covestro Deutschland AG Polyisocyanurate polymer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isocyanurate polymers
CN108700755A (zh) * 2015-12-22 2018-10-2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光学部件、光学部件管理系统、及光学部件的制造方法
EP3421512A4 (en) * 2016-06-30 2019-11-27 Hoya Lens Thailand Ltd. CUR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GLASS BASE MATERIAL FOR EYEGLASSES
JPWO2018003060A1 (ja) * 2016-06-30 2019-01-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硬化物の製造方法、硬化物および眼鏡レンズ基材
TWI615415B (zh) * 2016-09-13 2018-02-21 奇美實業股份有限公司 光學材料用樹脂組成物、光學材料用樹脂及其所形成的光學透鏡
WO2018062384A1 (ja) * 2016-09-30 2018-04-05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成形体
WO2018079829A1 (ja) 2016-10-31 2018-05-0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光学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3558B1 (ko) * 2017-02-03 2018-08-3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ES2905949T3 (es) * 2017-09-29 2022-04-12 Fund Cidetec Politiouretanos reticulados inyectables, reprocesables, reparables e intrínsecamente reciclables
CN108440734A (zh) * 2018-03-07 2018-08-24 上海伟星光学有限公司 一种聚氨酯镜片及其短流程固化方法
KR102468613B1 (ko) * 2018-03-27 2022-11-1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 조건 설정 방법 및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CN113692552B (zh) * 2019-04-19 2023-07-21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
KR102150590B1 (ko) * 2019-06-20 2020-09-0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재료
CN116178653A (zh) * 2020-01-27 2023-05-30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用聚合性预聚物组合物、固化物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CN116891563A (zh) 2020-01-27 2023-10-17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用聚合性预聚物组合物、固化物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CN112661930B (zh) * 2020-11-27 2022-08-0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苯二亚甲基二异氰酸酯组合物及光学树脂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862B2 (ja) 1989-08-29 1999-09-20 三井化学株式会社 チオカルバミン酸s―アルキルエステル系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95599B2 (ja) * 1993-09-29 1997-12-24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US5693738A (en) * 1994-04-08 1997-12-0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Composition for urethane-base plastic lens, urethane-base plastic lens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plastic lens
JP3220614B2 (ja) 1994-04-08 2001-10-22 三井化学株式会社 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それよりなる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2155B2 (ja) 1997-02-19 2007-01-24 住友精化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材料
JP2001131257A (ja) * 1999-11-09 2001-05-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樹脂用組成物
JP4692696B2 (ja) * 2000-09-08 2011-06-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
JP3562579B2 (ja) * 2000-10-13 2004-09-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JP2002234997A (ja) * 2001-02-09 2002-08-23 Seiko Epson Corp ポリウレタンレンズ成形用内部離型剤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レンズ
JP4702508B2 (ja) * 2001-07-18 2011-06-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の製造方法
JP4393831B2 (ja) 2003-09-22 2010-01-06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163008A (ja) * 2003-11-12 2005-06-23 Seiko Epson Corp 含硫黄光学材料用樹脂の製造方法、含硫黄光学材料用樹脂及び含硫黄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4298560B2 (ja) 2004-03-30 2009-07-22 Hoya株式会社 硫黄含有プレ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345684A (ja) * 2004-06-02 2005-12-15 Mitsui Chemicals Inc 硫黄原子含有樹脂からなる光学材料
US20080097045A1 (en) * 2004-06-23 2008-04-24 Yoshinori Isahaya Polymerizable Composition
JP4716249B2 (ja) 2005-03-24 2011-07-0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
WO2007131149A1 (en) 2006-05-05 2007-11-15 Ppg Industries Ohio, Inc. Thioether functional oligomeric polythiol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JP5254793B2 (ja) 2006-08-23 2013-08-07 昭和電工株式会社 チオウレタン化合物および感光性樹脂組成物
WO2008026727A1 (fr) 2006-08-31 2008-03-06 Hoya Corporatio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résine de polythiouréthane
JP2009169391A (ja) 2007-12-17 2009-07-30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488859B2 (ja) * 2008-08-05 2014-05-14 東海カーボン株式会社 顔料分散感光性樹脂組成物
CN101613450B (zh) * 2009-07-16 2011-11-30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弹性光学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10031681A1 (de) * 2010-07-20 2012-01-2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urethane mit geringem Volumenschrumpf
JP5681429B2 (ja) * 2010-09-30 2015-03-1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5786864B2 (ja) 2010-11-17 2015-09-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55520A (zh) 2015-07-01
WO2014077369A1 (ja) 2014-05-22
US20150331147A1 (en) 2015-11-19
EP2921511B1 (en) 2017-11-01
EP2921511A1 (en) 2015-09-23
CN104755520B (zh) 2018-10-09
US9778397B2 (en) 2017-10-03
IN2015DN03767A (ko) 2015-10-02
JP5646790B2 (ja) 2014-12-24
KR101571275B1 (ko) 2015-11-23
JPWO2014077369A1 (ja) 2017-01-05
EP2921511A4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275B1 (ko)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3574B1 (ko)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CN108026240B (zh)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由该组合物得到的光学材料及塑料透镜
JP5961262B2 (ja) 重合性組成物、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学部材、およびその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101610574B1 (ko) 광학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재료 및 플라스틱렌즈
EP3178859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molded object, and use thereof
CN108026241B (zh) 成型体和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
EP3103822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material and plastic lens obtained from said composition
EP333320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EP3533814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for optical material
EP3179295A1 (en) Plastic polarizing len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