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967A -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967A
KR20150063967A KR1020150033898A KR20150033898A KR20150063967A KR 20150063967 A KR20150063967 A KR 20150063967A KR 1020150033898 A KR1020150033898 A KR 1020150033898A KR 20150033898 A KR20150033898 A KR 20150033898A KR 20150063967 A KR20150063967 A KR 2015006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pair
guide frame
recover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to KR102015003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967A/ko
Publication of KR2015006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부를 각각 가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들로부터 스크린 타입의 자동문이 탈선될 경우 자동문을 레일부로 자동적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자동문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문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투스부들의 각각에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동부와 자동문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이동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권취부를 가지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권취 부재; 및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과 권취부재의 이동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복구 부재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Recovery system for high-speed door}
본 발명은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로부터 자동문(예, 스크린 형태의 고속 자동문)이 탈선되는 경우, 자동문을 다시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로 복구할 수 있는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스크린 셔터와 같은 고속 자동문은 다양한 형태의 공장(예, 자동차, 식품, 기계, 전기, 인쇄, 주물, 섬유, 플라스틱, 화학, 전자 등)의 출입구, 물류 시설(예, 유통 센서), 도는 제품 출하장, 자동차 세차기 또는 정비 공장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도어로서, 기존의 슬라이딩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 및 금속 셔터 타입의 도어 보다 훨씬 더 신속한 개폐가 가능한 소위, 스크린 타입 도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속 자동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용성 때문에 최근 그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첫째, 바람, 열 등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특히 식품제조업 공장의 경우 외부로부터 공장 내부로 먼지, 분진, 곤충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공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둘째, 고속 자동문의 개폐시, 안전 센서에 의해 재 개방이 가능하고, 특수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햇빛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 채광이 가능하다.
셋째,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자동문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공장의 생산성 및/또는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물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외관이 수려하고 개폐시 소음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 자동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고속 자동문은 드럼(1), 모터(3), 도어(5), 무게추(7) 및 가이드 프레임(9)을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문은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모터(3)가 드럼(1)을 회전시키면 도어(5)가 상승하게 되며, 도어의 폐쇄를 위해서는 모터(3)의 동력을 일정 수준 해제시킴으로써, 도어(5)의 하단에 구비된 무게추(7)의 중량에 의해 도어(5)가 하강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모터(3)가 도어(5) 및 무게추(7)의 합산 중량을 극복하지 못할 정도의 동력으로 구동시켜서 무게추(7)를 가진 도어(5)가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폐쇄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5)의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도어(130)의 양측면에 마련된 가이드 프레임(9)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된다.
한편, 이동 중인 차량이나 강풍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자동문 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어(5)는 가이드 프레임(9)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구성을 갖는데, 실제로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도어(5)가 가이드 프레임(9)으로부터 이탈되면 관리자에 의한 보수 작업이 수행되기 전까지는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다른 선행기술에 따른 고속 자동문의 탈선 상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가 차량, 강풍 등과 같은 외력(F)이 가해지거나 오동작될 경우 가이드 프레임(9)의 레일부(9a)로부터 탈선되어 자동문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또한, 도어(5)가 가이드 프레임(9)의 레일부(9a)로부터 탈선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 도어(5) 및/또는 가이드 프레임(9)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9)으로부터 탈선된 도어(5)를 복구시킬 경우 도어(5)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밀어서 가이드 프레임(9)의 레일부(9a)에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어(5)의 복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상된 것으로서, 탈선된 스크린 형태의 도어를 권취부의 회전 동작과 그에 상응하는 복구 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복구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문 복구 시스템은, 레일부를 각각 가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들로부터 스크린 타입의 자동문이 탈선될 경우 자동문을 레일부로 자동적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자동문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문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투스부들의 각각에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동부와 자동문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이동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권취부를 가지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권취 부재; 및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과 권취 부재의 이동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복구 부재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복구 부재는: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복구 본체; 및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에 위치되는 투스부의 경로와 일치하는 복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구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복구 가이드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복구 가이드는: 복구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봉들; 및 각각의 가이드 봉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복구 부재는 복구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구 가이드들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볼트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권취부와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복구 부재를 이용하여 도어의 투스부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스크린 도어를 경로에 복구시킬 수 있다.
둘째, 관리자에 의한 복구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해당 자동문을 통한 차량 이동 등의 불가능으로 인한 물류 작업의 손실이나, 복구 인력 유지를 위한 비용의 발생 등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외부 충격에 의한 시트의 이탈 발생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시트의 이탈이 발생되더라도 즉각적으로 자동적으로 복구 가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고속 자동문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 자동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고속 자동문의 탈선 상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복구 부재와 가이드 프레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자동문의 투스부 부위를 도시하는 발췌 부분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복구 부재와 가이드 프레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100)은 레일부(10)를 각각 가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들(110)로부터 스크린 타입의 자동문(50)이 탈선될 경우 자동문(50)을 레일부(10)로 자동적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것이다. 자동 복구 시스템(10)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도 3의 상방으로 이격 배치된 권취 부재(120), 가이드 프레임(110)의 일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단과 권취 부재(120)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복구 부재들(130)을 구비한다.
권취 부재(120)는 드럼 케이스(122) 내부에 수납된다. 권취 부재(120)는 자동문(50)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투스부들(52)의 각각에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원(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동부(70)와 자동문(50)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이동부(70)와 이격되게 배치된 권취부(80)를 구비한다.
이동부(70)는 구동원(60)에 의해 정,역 회전 가능한 이동 샤프트(72)의 양단에 설치되고 대응되는 투스부(52)의 투스들(90)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들(74) 및 스프로켓들(74) 사이에 배치되어 자동문(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송 드럼(76)을 구비한다. 이동부(70)는 자동문(50)을 고속으로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 구동원(60)에 의해 회전될 때 스크로켓들(74)의 치차가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각각의 투스(90)에 치합되어 자동문(50)을 개방 방향 또는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권취부(80)는 이동부(70)에 의해 이송되는 자동문(50)을 권취하여 자동문(50)을 개방하거나, 자동문(50)을 폐쇄할 때 권취된 자동문(50)이 풀려질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다.
각각의 복구 부재(130)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복구 본체(132), 및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에 삽입되는 투스부(52)의 주행 경로와 일치하는 복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구 본체(132)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복구 가이드들(134)을 구비한다.
한 쌍의 복구 가이드들(134)은 복구 본체(132)로부터 돌출되고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투스들(90)이 주행할 수 있지만 주행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봉들(136), 각각의 가이드 봉(136)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가이드 걸림턱(138), 및 복구 본체(13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구 가이드들(134)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브라켓(124)에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볼트부들(137)을 구비한다.
도 6a는 자동문의 투스부 부위를 도시하는 발췌 부분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자동문(50)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합성수지, 직물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 형태의 자동문 본체(55), 및 자동문 본체(55)의 폭 방향(W) 양측 사이드에 마련된 투스부(52)를 구비한다. 또한, 자동문(50)의 자동문 본체(55)는 길이 방향(L)으로 서로 분리된 섹션들을 가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변형예에 따르면, 투스부(52)는 자동문 본체(55)의 측면 그 자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자동문(50)의 투스부(52)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에 삽입된 채 레일부(1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투스부(52)는 자동문 본체(55)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연결 플레이트(54) 및 연결 플레이트(54)의 가장자리에 서로 인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투스들(90)을 구비한다.
각각의 투스(90)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투스 본체(92), 투스 본체(92)의 중앙에 인입 형성되고 연결 플레이트(54)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투스 삽입홈(93), 및 투스 본체(92)의 일단으로부터 투스 삽입홈(93)에 연통되록 설치되는 케이블(96)을 구비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스(90)의 투스 본체(92)는 삽입홈(93)의 끝단으로부터 후술하는 베이스면(92a)과 반원홈(92b)까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98)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사면(98)은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레일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지만 외부 충격과 같이 정상 작동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투스(90)가 자동문(50)이 레일부(10)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자동문(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54)는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투스들(90)이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에 삽입될 때 일정한 형체성과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결 플레이트(54)는 유연성을 가진 자동문(50)의 자동문 본체(55)보다는 덜 유연하고 레일부(10)에 삽입되어 주행되는 투스들(90)의 형태 고정성을 위한 것임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서, 케이블(96) 역시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형태 고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기능을 가짐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스 본체(92)는 그 상단의 베이스면(92a), 그 하단의 반원면(92b), 및 베이스면(92a)의 양단으로부터 반원면(92b)이 시작되는 부근에서 소정 길이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접촉면(92c)을 구비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투스들(90)이 서로 접촉되도록 연결 플레이트(54)에 배치될 때, 인접하는 투스들(90)의 반원면(92b)은 전술한 이동부(70)의 스프로켓(74)의 치차에 접촉되어 사실상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치차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권취부(80)에 권취될 때 자동문(50)이 굴곡되는 방향이다. 또한, 접촉면(92c)은 일정한 길이 만큼 인접하는 투스들(90)이 접촉되어 있고, 베이스면(92a)의 유격이 반원면(92b)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자동문(50)은 도 6a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는 쉽게 굴곡되지 않지만 화살표 B 방향으로 용이하게 굴곡되는 구조를 가진다. 투스부(52)의 일방향 굴곡 성질을 좌우하는 것은 접촉면(92c)의 길이와 형상 설계에 의존한다는 사실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10)은 자동문(50)의 측면에 형성된 투스부(52)의 투스들(90)이 삽입되는 개구(12)가 마련된 레일부(10), 레일부(10)에 인접되며 전력 케이블(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는 케이블 채널부(20), 레일부(10)와 케이블 채널부(20)에 각각 인접하고 안전 센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는 센서 부착부(30), 및 센서 부착부(30)에 대향되도록 레일부(10)와 케이블 채널부(20)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관통공(42)이 마련된 스위치 부착부(40)를 구비한다.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는 도어 본체(5)의 측면 또는 투스부(52)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구(12)의 양단에 형성되고, 후술하게 될 밀폐부재(50)가 안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설치홈들(14)이 마련된다. 또한, 레일부(10)는 도어 본체(5)의 투스부(52)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 돌기들(15)이 마련된다.
가이드 프레임(110)의 케이블 채널부(20)는 개구(12)와 대향되도록 레일부(10)와 직교되도록 배치되며, 자동문 본체(55)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원(60) 및 이와 관련된 엔코더 등과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미도시)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채널부(20)는 레일부(1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케이블 채널부(20)에 결합 또는 체결될 수도 있다.
가이드 프레임(110)의 센서 부착부(30)는 레일부(10)와 케이블 채널부(20)에 각각 접촉되도록 위치되며, 자동문 본체(55)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 부착부(30)의 일단은 개구(12)의 끝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마감된다. 센서 부착부(30)의 일단의 표면에는 전술한 센서를 취부하기 위한 센서 설치홈(32)이 마련된다. 센서 부착부(30)의 타단은 케이블 채널부(20)와 결합된다. 센서 부착부(30)는 레일부(10) 및/또는 케이블 채널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 및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센서 부착부(30)의 일단에는 레일부(10)의 일단에 마련된 결합돌기(16)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36)이 마련된다.
가이드 프레임(110)의 스위치 부착부(40)는 스위치 부재(미도시)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자동문(50)의 전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스위치 부착부(40)는 센서 부착부(30)와 대향되도록 레일부(10)에 접촉되는 접촉 플레이트(44), 및 접촉 플레이트(44)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라운드되게 형성되고 관통공(42)이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46)를 구비한다. 커버 플레이트(46)의 일단은 레일부(10)의 제2 결합돌기(18)에 접합되는 접합홈(48)이 마련되고, 커버 플레이트(46)의 타단은 케이블 채널부(20)의 끝단(22)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46)는 다수의 보강홈들(46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문의 개,폐 동작 중 또는 자동문의 폐쇄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자동문(50)의 자동문 본체(55)가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로부터 탈선하게 되면(도 7에는 자동문 본체(55)가 탈선하게 되는 극단적인 상황들(D1)(D2)가 각각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원(60)이 작동되어 이동부(70)가 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자동문 본체(55)가 자동문(50)의 끝단(E)이 가이드 프레임(110)을 벗어나서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 상단에 위치될 때까지 이동부(70)의 스프로켓(74)이 회전하게 되고, 이 시점에서 구동원(6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그러면 구동원(60)이 작동되어 이동부(70)의 스프로켓(74)이 도 7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동문 본체(55)의 투스부(52)의 끝단(E)을 정확하게 레일부(10)로 삽입시킴으로써, 탈선된 자동문(50)을 다시 가이드 프레임(110)의 레일부(10)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구 시스템(200)은 권취 부재(120)를 구성하는 권취 브라켓(124)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212)와 제2 가이드(214), 2개의 가이드들(212)(214) 사이에 배치된 라운드 가이드(216), 및 라운드 가이드(216)와 권취부(80) 사이에 배치된 제2 복구 부재(130)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212), 라운드 가이드(216) 및 제2 가이드(214)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이동부(70)로 이송되는 자동문(50)의 투스부(52)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어 투스부(52)의 주행을 굴곡지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복구 가이드(230)는 전술한 실시예의 복구 가이드(134)와 동일한 구조로서, 구동원(60)에 의해 작동되어 이동부(70)에 의해 고속으로 풀려지는 자동문(50)이 급박한 상황에서 멈추게 될 경우, 권취부(80)로부터 풀려지는 자동문(50)이 과동하게 풀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자동문(50)의 투스부(52)가 안정되게 제2 가이드(214)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복구 가이드(230)는 제2 가이드(214)의 끝단과 권취부(80) 사이에서 과도하게 풀려진 자동문(50)이 안정되게 제2 가이드(214)로 진입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레일부 50...자동문
52...투스부 54...연결 플레이트
55...자동문 본체 60...구동원
70...이동부 74...스프로켓
76...이송 드럼 80...권취부
90...투스 92...투스 본체
93...투스 삽입홈 98...경사면
110...가이드 프레임 120...권취 부재
122...드럼 케이스 124...브라켓
130...복구 부재 132...복구 본체
134...복구 가이드 136...가이드 봉
138...가이드 걸림턱

Claims (4)

  1. 레일부를 각각 가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들로부터 스크린 타입의 자동문이 탈선될 경우 자동문을 레일부로 자동적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자동문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문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투스부들의 각각에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동부와 자동문을 권취할 수 있도록 이동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권취부를 가지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권취 부재; 및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과 권취부재의 이동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복구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복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복구 부재는:
    가이드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복구 본체; 및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부에 위치되는 투스부의 경로와 일치하는 복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구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복구 가이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복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쌍의 복구 가이드는:
    복구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봉들; 및
    각각의 가이드 봉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복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복구 부재는 복구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구 가이드들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볼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복구 시스템.
KR1020150033898A 2015-03-11 2015-03-11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KR20150063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98A KR20150063967A (ko) 2015-03-11 2015-03-11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98A KR20150063967A (ko) 2015-03-11 2015-03-11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67A true KR20150063967A (ko) 2015-06-10

Family

ID=5350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98A KR20150063967A (ko) 2015-03-11 2015-03-11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9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93A (ko) 2018-11-27 2020-06-04 배유근 고속 자동문의 pvc 드럼 자동화 시스템
KR20210026276A (ko) 2019-08-29 2021-03-10 염남규 스피드 도어용 바닥측 도어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93A (ko) 2018-11-27 2020-06-04 배유근 고속 자동문의 pvc 드럼 자동화 시스템
KR20210026276A (ko) 2019-08-29 2021-03-10 염남규 스피드 도어용 바닥측 도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506B2 (en) Self-repairable shutter device
US7028741B2 (en) Shutter device for closing an aperture
KR20110038022A (ko) 감김가능한 도어 단편을 갖는 고속 롤업 도어
KR20150063967A (ko) 고속 자동문 복구 시스템
JP6679225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CA3031262A1 (en) Chain for a screen device
KR101332011B1 (ko) 블라인드 장치
JP5058606B2 (ja) 複合シャッター
KR102113163B1 (ko) 산업용 자동문 장치
KR100698757B1 (ko) 자동복구형 하이 스피드 도어장치
KR101187452B1 (ko) 창문자동 개폐장치
JP2008239280A (ja) エレベータ用扉
JP5242056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
JP6294602B2 (ja) 建具
JP6114219B2 (ja) ガイドレール及び日射遮蔽装置
JP6465647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
JP3574020B2 (ja) ブラインド
JP2516386Y2 (ja) シャッターのパネル構造
JP3792531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JP2507312Y2 (ja) シャッタ―のパネル構造
JPH0746708Y2 (ja) パネルシャッタに於ける傷防止装置
JP2007023691A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ガイド構造
JP2006044823A (ja)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案内装置
JPH0145340Y2 (ko)
JP6668992B2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保護カバー及び駆動装置保護カバー開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