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845A -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845A
KR20150061845A KR1020130146076A KR20130146076A KR20150061845A KR 20150061845 A KR20150061845 A KR 20150061845A KR 1020130146076 A KR1020130146076 A KR 1020130146076A KR 20130146076 A KR20130146076 A KR 20130146076A KR 20150061845 A KR20150061845 A KR 2015006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d
portable toilet
aging
present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이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원 filed Critical 이경원
Priority to KR102013014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845A/ko
Publication of KR2015006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제1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제2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단계 4); 상기 혼합액을 숙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배양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휴대용 변기에 있는 분뇨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of enzyme for Disintegration of Human waste in Portable Toilet Bowl and Composition of enzyme for Disintegration of Human waste in Portable Toilet Bowl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변기에 있는 분뇨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가족, 친구들과 함께 나들이 및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족, 친구들이 찾는 여행지에는 음식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상점 등만 즐비할 뿐 여행각의 기초적 생리 욕구인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는 공중 화장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여행지에 공중 화장실이 있다고 하여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거나 화장실이 있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기 때문에 화장실의 위생이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0052호(2011.04.21.)에는 절첩을 통해 부피의 축소가 가능함에 따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변기는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분뇨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464호(2012.03.27.)에는 휴대용 변기에 받아진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변기는 수거용 봉투에 담긴 대소변을 묶음 줄의 당김에 따라 그 즉시 수거용 봉투의 입구가 봉인시키는 것으로, 대소변의 시각적 노출에 따른 혐오를 최소화시키는 것일 뿐 대소변의 근본적인 처리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030052 B1 2011.04.21. KR 20-0459464 Y1 2012.03.27.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변기에 있는 분뇨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제2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단계 4); 상기 혼합액을 숙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배양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혼합물은, 질경이, 황기, 인삼, 싸리나무, 명아주, 까마중, 유근피, 꾸지뽕나무, 강아지풀, 와송, 환삼덩굴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제2 혼합물은, 오미자, 다래, 감, 똘배, 개복숭아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숙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들며, 상기 제2 숙성물은 상기 제2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들되, 상기 물은 눈을 녹인 물을 사용한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혼합액을 0℃ ~ 5℃에서 360일 ~ 370일 동안 숙성한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톱밥에서 15~25℃의 온도에서 10~14일 동안 배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은 휴대용 변기에 있는 분뇨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제2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단계 4);
상기 혼합액을 숙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배양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질경이, 황기, 인삼, 싸리나무, 명아주, 까마중, 유근피, 꾸지뽕나무, 강아지풀, 와송, 환삼덩굴 및 백토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혼합물은 질경이, 황기, 인삼, 싸리나무, 명아주, 까마중, 유근피, 꾸지뽕나무, 강아지풀, 와송, 환삼덩굴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질경이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채 뽑아 말려서 차전초라 하고, 종자를 차전자라를 약재로 사용하고, 한국, 일본, 사할린, 타이완, 중국, 시베리아, 동부 히말라야, 자바,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질경이 전초의 성분은 오쿠빈(aucubin), 플란타기닌(plantaginin), 호모플란타기닌(homoplantaginin) 등의 배당체와 탄닌, 우르솔산(ursolic acid), 피토스테롤글리코시드(phytosterol glycosides)이고, 이들 스테롤류인 베타시토스테롤팔미테이트(β-sitosterol palmitate), 스티그마스테롤 팔미테이트(stigmasterol palmitate) 등이 점액성 팽화물질의 주체이다. 차전자(Plantaginis Semen)에는 뮤실라제(mucilage(9%내외))로 플란타산(Plantasan), 플란타고뮤실라제 A(plantago mucilage A(L-arabinose, D-xylose, D-glucuronic acid, D-galacturonic acid))가 함유되어 있고 이리도이드 배당체(Iridoidal glycoside)인 오쿠빈(aucubin), 게니피오시딕애씨드(genipiosidic acid)가 있고 플라본배당체(flavone glycoside)로서 플란타고시드(plantagoside), 아세토시드(acetoside), 시린긴(syringin), 콜린(choline) 및 기타의 지방산 등이 들어 있다.
질경이는 "플란타기닌"이라는 배당체와 탄닌이 함유되어 있어서 이뇨제, 진해, 거담, 건위, 지사, 해열, 소염, 강장제 등으로 쓰이고, 간 기능을 활성화하여 어지럼증, 두통에 효과가 있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도 효과가 있다. 항균작용도 있어서 급만성 세균성 설사,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의 치료에도 이용한다. 민간약으로는 종기에 생잎을 불에 쬐어 부드럽게 해서 붙이면 좋고 치통에는 생잎을 소금에 비벼서 아픈 이에 물고 있으면 치통이 멎는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질경이의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황기(Astragali Radix)는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러시아, 불가리아 등 유럽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보기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한방에서 이뇨제, 빈혈증, 식욕부진, 지한제, 강장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황기는 신농본초경에 상약으로 수록되어 있어 우리 나라 한방에서는 보증익기탕, 황기건중방, 황기계지오물방, 십전대보탕, 가미대보탕, 황기육일탕, 팔보회춘탕 등 수 백가지 처방에 황기가 인삼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보기약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황기의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간장보호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강화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황기의 생리활성성분으로서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 계통과 플라보노이드 계통이 주를 이루고 있고, 그 외 사포닌 및 폴리사카라이드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기의 뿌리, 잎 및 줄기를 통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삼(the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Araliaceae)은 중국,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각종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약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인삼의 주요 활성 성분인 인삼 사포닌(saponin)(진세노사이드)은 항노화, 항염증, 중추 신경계와 심혈관계 및 면역계에서의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항종양 활성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의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싸리나무는 산과 들에서 2~3m의 높이로 흔히 자라고 7~8월에 꽃이 피는 콩과의 낙엽관목으로써, 특유의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싸리나무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페스티딘 성분,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B1, 아미노산, 당질, 철, 비타민 C, 비타민 K, 탄닌엽록소가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싸리나무는 두통, 고혈압, 양기부족, 무기력증, 무좀, 습진, 피부병, 눈병, 폐열로 인한 기침, 부종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요통, 타박상, 골다공증에도 효과가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인체 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기미, 주근깨 및 피부색소 침착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멜라닌 합성에 관련된 신호전달물질의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고 피부를 곱고 맑게 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싸리나무는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명아주는 쌍떡잎 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 풀로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어릴때 중심부에 붉은 빛이 들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이고 황록색이며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꽃받침으로 싸인 포과이고 검은 종자가 들어있다. 명아주에 들어있는 성분으로는 로이신, 베타인, 트리고넬린 등의 아미노산, 지방산, 리놀산 등과 비타민 A, B, C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소량의 크롬, 칼륨, 아연 등의 필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크롬의 경우에는 동맥 경화를 방지하고 혈액증의 지방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인슐린과 함께 당의 대사를 행한다. 또한 아연의 경우에는 췌장세포의 인슐린 형성을 돕는다. 본 발명에서는 명아주의 잎, 줄기 및 열매를 통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까마중은 가지과의 일년초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원야지, 대개 밭이나 길가, 초원에 흔히 자생한다. 저지대의 길가나 밭 주위에 자라며 높이 20~90㎝이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지며 원줄기에 능선이 약간 나타난다. 한약명으로는 용규(전초를 말린 것)라고 하는데, 전초와 열매는 옛부터 민간에서 종기나 악성부스럼을 치료하는 약재로 흔히 써 왔다. 북한에서 발행된 동의학사전과 우리나라와 중국의 옛 문헌에는 "맛이 쓰고, 독을 풀며, 열을 내리고, 혈을 잘 돌게 한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복수가 찰 때 염증을 없애고, 종양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항암치료에 쓰인다."고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까마중의 전초에는 티푸스균, 이질균, 대장균, 적리균, 녹농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으며, 혈당을 낮추는 작용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까마중의 잎, 줄기 및 열매를 통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근피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뿌리의 껍질로서, 전통적으로 널리 약용되어 왔으며 건강식품의 형태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유근피는 예로부터 그 성분으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 점액질(약초성분: 일월서각), 레진(Resin), β-시토스테롤(Sitosterol),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 시그마스테롤(Sigmasterol), 탄닌(Tannin), 패티오일(Fathyoil)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약효 및 응용에는 임탁, 수종, 단독개선, 기침, 수렴, 항염, 구충, 항균, 이뇨, 소종독, 치습, 자수보제 등의 내용약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구전된 것은 종기나 종창을 고치는데 효능이 알려져 왔으며, 한방이나 만간에서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 갖가지 궤양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에 속하는 소교목으로서, 비타민 A, B1, B2, C, 식이섬유, 플라보노이드, 감마아미노부티르산(가바), 루틴, 후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병,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개선, 항산화작용, 항암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꾸지뽕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꾸지뽕나무의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강아지풀(Setaria viridis BEAUV.)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라고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아지풀의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와송(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오래된 기와지붕 위나 깊은 산의 바위 위에 자라고 있는 돌나무과(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 식품로,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자란다. 와송은 기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아서 우리나라에서는 와송 또는 바위솔이라고 불린다.
와송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간염, 종기에 대한 면역작용, 지혈제 및 암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최근 와송에 존재하는 phytochemicals로 sterol, triterpenoid류, 플라보노이드류 및 페놀 화합물 등이 분리되었고, 소화기 계통의 암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송의 잎과 줄기를 통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환삼덩굴(Humulus japonicas Sieboid & Zucc.)은 쐐기풀목 삼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삼덩굴이라고도 하며, 암수딴그루로 수꽃은 원추화서로 꽃받침잎과 수술이 각 5개가 있고 암꽃은 짧은 수상화서로 둥글게 핀다. 덩굴져 자라는 줄기는 아래를 향한 갈고리모양의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마주달리는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는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거친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로 황갈색으로 익는다.
환삼덩굴은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어혈을 없애고 몸 안에 있는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다. 또한 소변불리, 학질, 설사, 이질, 폐결핵, 폐농양, 폐염을 치료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삼덩굴의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백토(terra alba)는 백선토, 백악, 고령토이라고도 하며 백색의 점토로 도자기를 만드는데 쓰는 흙으로 주원료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로 구성된다.
주요성분으로는 SiO 60.85~67.63%, AlO 15.64~21.68%, FeO 1.65~3.84%, MgO 2.93~3.94%, CaO 0.20~1.11%, NaO 2.94~3.2%, 작열감량 3%를 함유하고 있으며 백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은 백토에서 파장되는 원적외선이다.
특히, 백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어 제독제, 해독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유익한 원적외선이 복사되어 인체에 흡수됨으로써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방지, 각종 성인병 예방, 화상에 효과는 물론 적조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제1 숙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0℃ 미만에서 숙성하면 발효가 되지 않으며,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상기 물은 눈을 녹인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물에 비해 오염도가 낮고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겨울철에 내린 눈(snow)을 녹인 물을 사용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오미자, 다래, 감, 똘배, 개복숭아 및 백토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혼합물은 오미자, 다래, 감, 똘배, 개복숭아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열매는 대부분 원형이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신맛이 강하고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시트럴(Citral), 사과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이용하고 있으며, 폐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미자는 예로부터 차, 화채, 다식, 술 등과 같은 식품으로 가공하여 섭취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한의학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에 속하며 시베리아, 중국 북부, 한국이 원산지이다. 이와 유사한 종으로는 30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취다래(A. kolomikta), 개다래(A. polygama), 섬다래(A. rupa)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키위로 알려진 참다래(A. chinensis or A. deliciosa) 역시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다래는 미후도라는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다래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을 포함하고, 성질이 차고 독성이 없으며 간장질환과 위장질환의 치료 또는 비뇨기결석 치료에 처방되어 왔다. 상기 다래는 다래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감은 예전부터 민간용법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었던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과실 중의 하나로써,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작용에 효과적이고, 비타민 C의 함량이 귤, 사과보다도 풍부하여 병에 대한 저항력과 인체 면역력을 높이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A의 함유량 또한 높아 피부를 강하고 탄력있게 해준다. 이런 까닭에 고혈압, 동맥경화, 숙취의 해소와 감기의 예방, 노화방지 및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토종감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똘배는 똘배나무의 열매로 보통 배(pear)보다 훨씬 작고 단단하며 시고 떫은 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개복숭아는 자연 상태에서 서식하는 야생 복숭아를 일컫는 것으로, 일명 돌복숭아라고도 한다. 개복숭아와 일반 복숭아는 원조는 같다고 할 수 있으나, 개복숭아는 자연 상태에서 자라는 야생임에 반하여, 일반 복숭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도 되고,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여 재배되어 온 것이어서, 그 크기와 맛, 그리고 함유된 성분들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상기 개복숭아는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 등 주요 의학서적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약재로서 어혈과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막힌 것을 치료하고 나쁜 기운을 없앤다. 또한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과 기침을 멎게 하며 변비, 설사, 부종, 복수가 차는데 효과가 있고, 살결을 곱게 하고, 주근깨, 기미, 생리불순, 생리통, 기침, 관절염, 무좀, 습진, 안면신경마비 등을 치료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복숭아 열매를 사용한다.
상기 제2 숙성물은 상기 제2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0℃ 미만에서 숙성하면 발효가 되지 않으며,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상기 물은 눈을 녹인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1 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제1 숙성액을 수득하며, 상기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혼합액을 0℃ ~ 5℃에서 360일 ~ 370일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 미만에서 숙성하면 발효가 되지 않으며,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톱밥에서 15~25℃의 온도에서 10~14일 동안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미만에서 배양하면 효소의 움직임이 늦어질 우려가 있고, 25℃ 초과의 온도에서 배양하면 효소가 급성장하여 냉기에 약해 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을 사용하여 휴대용 변기 분뇨를 분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휴대용 변기는 몸체, 커버 및 효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 내부에는 수동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 교반기의 손잡이는 몸체 외부에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동 교반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중앙에 개구가 있으며, 휴대용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 톱밥을 미리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밥의 충진하는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몸체 높이의 20~40% 까지 충진하면 된다.
상기 효소 조성물 용기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일측면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효소 조성물 용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을 충진시킨다.
상기 효소 조성물 용기에는 스프레이와 버튼이 구비되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스프레이틀 통하여 상기 몸체 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이 분무된다.
상기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분무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1회 처리시 0.01~0.05㎖ 분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변기를 이용하여 배변한 후에, 상기 효소 조성물 용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서 효소 조성물이 분무되도록 한 후에, 수동 교반기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 내부에서 톱밥과 상기 효소 조성물과 배변이 혼합되면서 배변이 분해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은 휴대용 변기에 있는 분뇨를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제1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제2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단계 4);
    상기 혼합액을 숙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배양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혼합물은, 질경이, 황기, 인삼, 싸리나무, 명아주, 까마중, 유근피, 꾸지뽕나무, 강아지풀, 와송, 환삼덩굴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제2 혼합물은, 오미자, 다래, 감, 똘배, 개복숭아 및 백토를 중량비 1 : 1 : 1 : 1 : 1 : 1 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들며,
    상기 제2 숙성물은 상기 제2 혼합물과 물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후 0℃ ~ 5℃에서 720일 ~ 740일 동안 숙성하여 만들되,
    상기 물은 눈을 녹인 물을 사용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혼합액을 0℃ ~ 5℃에서 360일 ~ 370일 동안 숙성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톱밥에서 15~25℃의 온도에서 10~14일 동안 배양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KR1020130146076A 2013-11-28 2013-11-28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KR20150061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76A KR20150061845A (ko) 2013-11-28 2013-11-28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76A KR20150061845A (ko) 2013-11-28 2013-11-28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45A true KR20150061845A (ko) 2015-06-05

Family

ID=534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76A KR20150061845A (ko) 2013-11-28 2013-11-28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11A (ko) * 2015-09-01 2017-03-09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
KR101984938B1 (ko) * 2017-12-06 2019-06-03 썬엔문(주) 미생물제제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분해시킬 수 있는 생리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11A (ko) * 2015-09-01 2017-03-09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
KR101984938B1 (ko) * 2017-12-06 2019-06-03 썬엔문(주) 미생물제제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분해시킬 수 있는 생리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7932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54620A (ko) 야생초 식품첨가제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436384B1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89327B1 (ko) 더덕차의 제조방법
KR101569687B1 (ko)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
CN102604750A (zh) 一种林下草本基植物生物质洗涤剂的制备方法
KR101996766B1 (ko) 찰보리 유과의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50061839A (ko)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1845A (ko)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20150061841A (ko) 유기질 비료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질 비료 용 효소 조성물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102301069B1 (ko) 콜라겐 대추즙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07900A (ko) 기능성 연의 제조방법
KR101918440B1 (ko) 검은깨 유과의 제조방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20100085220A (ko) 꾸지뽕 환 제조방법
KR20150061848A (ko) 콩나물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나물재배용 효소 조성물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