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557A - 연속언로더 - Google Patents

연속언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557A
KR20150061557A KR1020140116015A KR20140116015A KR20150061557A KR 20150061557 A KR20150061557 A KR 20150061557A KR 1020140116015 A KR1020140116015 A KR 1020140116015A KR 20140116015 A KR20140116015 A KR 20140116015A KR 20150061557 A KR20150061557 A KR 2015006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hain
endless chain
bulk cargo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치 야와카
마사루 하타자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4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pick-up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화물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연속언로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산적화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버킷엘리베이터를 구비한 버킷엘리베이터식의 연속언로더이다. 버킷엘리베이터는, 산적화물을 긁어 모아 적재하는 복수의 버킷(20)과, 버킷(20)을 지지하는 체인과, 체인을 구동하여 주회시키는 구동롤러를 구비하고, 버킷(20)의 개구부(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부(22)의 내측면(22b)의 단부(22g, 22h)보다 내측에는, 만곡부(22d)가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연속언로더{Continuous unloader}
본 출원은, 2013년 1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4510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버킷엘리베이터식의 연속언로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분야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버킷엘리베이터를 구비한 연속언로더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버킷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를 엔드리스로 이동하여 주회(周回)하는 체인 버킷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체인 버킷은, 복수의 구동롤러에 의하여 주회하는 2개의 체인과, 당해 2개의 체인의 사이에 매달리도록 장착된 다수의 버킷을 가지고 있다. 버킷엘리베이터의 하부에 있어서, 주회하는 다수의 버킷이 산적화물을 긁어 모아 적재함으로써, 산적화물은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53547호
통상, 이러한 버킷엘리베이터를 마련한 연속언로더에서는, 버킷엘리베이터 상부의 구동롤러 부근에서 버킷 내의 산적화물을 버킷으로부터 방출한다. 하역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지만, 버킷엘리베이터 상부의 구동롤러 부근에서 버킷 및 버킷의 내부의 산적화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지므로, 버킷으로부터 산적화물이 배출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산적화물이 배출되는 타이밍이 늦어지면, 버킷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산적화물이 버킷의 내부에 잔류된 채, 버킷이 고속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출용 슈트에 회수되지 않는 산적화물이 증가하므로, 배출용 슈트에 의한 회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화물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연속언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속언로더는,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버킷엘리베이터를 구비한 버킷엘리베이터식의 연속언로더로서, 버킷엘리베이터는, 대상물을 긁어 모아 적재하는 복수의 버킷과, 버킷을 지지하는 무단체인과, 무단체인을 구동하여 주회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버킷의 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부의 내측면의 단부보다 내측에는, 모서리부 및 만곡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속언로더에서는, 버킷의 바닥부의 내측면의 단부보다 내측에 모서리부 및 만곡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버킷이 주회하여 개구부가 하측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을 때에, 버킷으로부터 화물이 방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버킷 내부의 화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져도, 화물은 신속하게 버킷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버킷의 내부에 잔류하는 화물을 줄일 수 있으므로,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화물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버킷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버킷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바닥부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버킷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중앙부분보다 무단체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버킷의 바닥부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무단체인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버킷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버킷으로 화물을 효율적으로 긁어 모으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작용효과를 적합하게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버킷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외측면은,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버킷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버킷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버킷에 있어서의 대상물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은, 바닥부의 내측면이 바닥부의 외측면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면적과 비교하여, 10% 이상 또한 20% 이하만큼 적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버킷에 있어서의 화물의 수용공간의 대폭적인 저감을 억제하면서, 화물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는,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버킷이 주회하여 버킷의 개구부가 하측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을 때에, 화물을 버킷으로부터 배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작용효과를 적합하게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는, 버킷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제1 면보다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제1 면의 경사각도는,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제2 면의 경사각도보다 큰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버킷에 있어서의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의 경사각도는, 20도 이상 또한 40도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버킷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버킷으로 화물을 효율적으로 긁어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킷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화물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언로더에 있어서의 버킷엘리베이터의 상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버킷의 바닥 상승률과 화물의 회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버킷의 측부의 경사각도와 화물의 회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버킷엘리베이터식의 선박용 연속언로더(CSU)(1)는, 선박의 선창(船倉)(101)으로부터 산적화물(대상물)(M)을 연속적으로 양륙하는 장치이다. 산적화물(M)로서는, 예를 들면 코크스 또는 광석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언로더(1)는, 안벽(岸壁)(102)과 평행하게 부설된 2개의 레일(2)에 의하여, 당해 안벽(102)을 따라 주행 가능한 거더(3)를 구비하고 있다. 거더(3)는, 안벽(102)의 상면에 설치된다. 거더(3)의 상방에는, 선회프레임(4)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선회프레임(4)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붐(5)의 선단부에 버킷엘리베이터(10)가 지지되어 있다. 버킷엘리베이터(10)는, 밸런싱레버(6) 및 카운터웨이트(8)에 의하여, 붐(5)의 기복각도에 관계없이 연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속언로더(1)는, 붐(5)의 기복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실린더(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7)를 신장시키면 붐(5)은 상향이 되어 버킷엘리베이터(10)가 상승하고, 실린더(7)를 수축시키면 붐(5)은 하향이 되어 버킷엘리베이터(10)가 하강한다.
버킷엘리베이터(10)는, 그 하부에 마련된 측면 굴삭방식의 스크레이핑부(11)에 의하여, 선창(101) 내의 산적화물(M)을 연속적으로 굴삭하여 긁어 모으고, 긁어 모은 산적화물(M)을 상방으로 반송한다. 버킷엘리베이터(1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12)를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본체(13)와, 엘리베이터 본체(13)에 대하여 주회운동하는 체인버킷(14)을 구비하고 있다. 체인버킷(14)은, 무단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체인(무단체인)(15)과, 당해 한 쌍의 체인(15)에 양측 지지된 복수의 버킷(20)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체인(15)은, 버킷(20)의 이동궤적(W)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각 버킷(20)은, 2개의 체인(15)의 사이에 매달리도록 하여 각 체인(15)에 소정의 장착도구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버킷엘리베이터(10)는, 체인(15)이 걸쳐지는 구동롤러(16a, 16b, 16c)와, 체인(15)을 가이드하는 전향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동롤러(16a, 16b, 16c)는, 체인(15)을 구동하여 주회시키는 구동부로서 기능한다. 구동롤러(16a)는 버킷엘리베이터(10)의 최상부(10a)에 마련되고, 구동롤러(16b)는 스크레이핑부(11)의 전방부에 마련되며, 구동롤러(16c)는 스크레이핑부(11)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전향롤러(17)는, 구동롤러(16a)의 하방에 위치하는 종동롤러이며, 체인(15)을 가이드함과 함께 체인(15)의 진행방향을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전환한다. 또, 구동롤러(16b)와 구동롤러(16c)와의 사이에는 실린더(1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실린더(18)를 신축함으로써 구동롤러(16b, 16c)간의 배치축간 거리가 변화되어, 버킷(20)의 이동궤적(W)이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체인(15)이 2개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구동롤러(16a, 16b, 16c) 및 전향롤러(17)도, 각각 2개씩 존재하고, 버킷(20)의 이동궤적(W)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 구동롤러(16a, 16b, 16c)가 체인(15)을 구동함으로써, 체인(15)이 엘리베이터 본체(13)에 대하여 이동궤적(W)을 따르도록 주회운동한다. 체인(15) 및 버킷(20)은, 버킷엘리베이터(10)의 최상부(10a)와 스크레이핑부(11)와의 사이를 이동 주회하면서 순환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롤러(16a)의 하방이며 또한 전향롤러(17)에 있어서의 체인(15)의 반대측에는, 산적화물(M)을 회수하는 배출용 슈트(31)가 마련되어 있다. 또, 2개의 구동롤러(16a)의 사이에는, 산적화물(M)이 배출용 슈트(31)에 회수되지 않고 선창(101) 등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유출방지부(40)는, 구동롤러(16a)의 외주를 따르도록 구동롤러(16a)와 함께 회전한다. 유출방지부(40)는, 버킷(20)과 다른 버킷(2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회전한다.
유출방지부(40)는, 버킷(20)과 다른 버킷(20)과의 사이에서 이동궤적(W)을 따르도록 뻗어 있는 한 쌍의 제1 판형상부(41)와, 한 쌍의 제1 판형상부(41)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판형상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버킷(20)으로부터 낙하한 산적화물(M) 중 버킷(20)과 구동롤러(16a)와의 사이로부터 선창(101)을 향하여 낙하하려고 하는 산적화물(M)이 제2 판형상부(42)에 맞닿음으로써, 보다 많은 산적화물(M)의 배출용 슈트(31)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유출방지부(40)는, 상기와 같은 제1 판형상부(41)와 제2 판형상부(42)를 구비한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제1 판형상부(41)와 제2 판형상부(42)를 구비한 유출방지부(40) 대신에, 한 쌍의 제1 판형상부(41)를 없애고 제2 판형상부(42)만을 구비한 유출방지부를 이용해도 된다. 또, 판형상부(41, 42) 대신에 직육면체 등의 입체적인 형상을 구비한 유출방지부를 이용해도 된다. 요컨대, 유출방지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산적화물(M)이 닿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용 슈트(31)의 하단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버킷엘리베이터(10)의 외주에 배치된 회전피더(32)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피더(32)는, 배출용 슈트(31)로부터 반출된 산적화물(M)을 붐(5)측으로 반송한다. 붐(5)에는 붐컨베이어(33)가 배치되고, 이 붐컨베이어(33)는, 회전피더(32)로부터 반송된 산적화물(M)을 호퍼(34)에 공급한다. 호퍼(34)의 하방에는 벨트피더(35) 및 기내 컨베이어(3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속언로더(1)를 이용한 산적화물(M)의 양륙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버킷엘리베이터(10)의 하단부의 스크레이핑부(11)를 선창(101) 내에 삽입하고, 체인(15)을 이동궤적(W)을 따르도록 주회시킨다. 그렇게 하면, 스크레이핑부(11)에 위치하는 버킷(20)이, 연속적으로 코크스나 광석 등의 산적화물(M)의 굴삭 및 긁어 모음을 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버킷(20)에 긁어 모아져 버킷(20)에 적재된 산적화물(M)은, 체인(15)의 상승에 따라 버킷엘리베이터(10)의 최상부(10a)를 향하여 연직 상방으로 반송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산적화물(M)을 적재한 버킷(20)이 상승하면, 상방을 향하고 있던 버킷(20)의 개구부(21)가 서서히 기울기 시작한다. 그리고, 버킷(20)이 이동궤적(W)의 최상부(20a)에 도달한 후에는, 버킷(20)의 개구부(21)가 수평방향으로부터 서서히 하방으로 기울기 시작하여, 산적화물(M)이 서서히 버킷(20)으로부터 낙하하기 시작한다.
여기에서, 버킷(20)이 최상부(20a)를 통과하여 반전을 개시하면, 버킷(20)의 내부에 있어서의 일부의 산적화물(M)은 버킷(20)의 전방으로 낙하하고(화살표(D1) 참조), 다른 일부의 산적화물(M)은 유출방지부(40)에 낙하한다(화살표(D2) 참조). 또, 버킷(20)의 전방으로 낙하한 산적화물(M), 또는 유출방지부(40)에 낙하한 산적화물(M), 이외의 나머지 산적화물(M)도 서서히 낙하를 개시한다. 상기의 각 산적화물(M)은, 버킷엘리베이터(10)의 측면을 구성하는 벽(10b), 또는, 다른 버킷(20)에 있어서의 바닥부(22)의 외측면(22a)에 맞닿아 배출용 슈트(31)에 낙하한다.
배출용 슈트(31)에 낙하한 산적화물(M)은, 회전피더(32)측으로 반출되고, 또한 붐컨베이어(33)로 옮겨져 호퍼(34)에 반송된다. 그리고, 산적화물(M)은, 벨트피더(35) 및 기내 컨베이어(36)를 통하여 지상측 설비(37)로 반출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이, 복수의 버킷(20)을 이용하여 반복해서 행해짐으로써, 선창(101) 내의 산적화물(M)은 연속적으로 양륙된다.
그런데, 산적화물(M)의 하역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킷(20)을 보다 빠르게 이동시키면, 버킷(20) 및 버킷(20) 내부의 산적화물(M)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지므로, 버킷(20)으로부터 산적화물(M)이 배출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 이와 같이 산적화물(M)이 배출되는 타이밍이 늦어지면, 버킷(20)의 바닥부(22)측에 위치하는 산적화물(M)이 버킷(20)의 내부에 잔류된 채, 버킷(20)이 고속으로 이동한다.
산적화물(M)이 버킷(20)의 내부에 잔류된 채 버킷(20)이 고속으로 이동하고, 버킷(20)이 전향롤러(17)의 위치에 도달하면, 버킷(20)은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의 타이밍이 늦어짐으로써, 배출용 슈트(31)에 회수되지 않는 산적화물(M)이 증가하므로, 배출용 슈트(31)에 의한 회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버킷(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버킷(20)은, 개구부(21)와, 바닥부(22)와, 이동궤적(W) 상에서 체인(15)측(이동궤적(W)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제1 측부(23)와, 이동궤적(W) 상에서 체인(15)의 반대측(이동궤적(W)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측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버킷(20)의 이동궤적(W)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버킷(20)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버킷(20)은 체인(15)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체인(15)측이란, 무단형상이 된 버킷(20)의 이동궤적(W)의 중심측(내측)을 나타내고, 체인(15)의 반대측이란, 버킷(20)의 이동궤적(W)의 외측을 나타내고 있다.
체인(15)측의 제1 측부(23)는,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동궤적(W)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다. 또, 바닥부(22)의 외측면(22a)은,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 측부(24)측의 단부가 개구부(21)측에 가까워지도록 제1 측부(23)에 직교하는 가상선(L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22)의 외측면(22a)을 경사시킴으로써, 배출용 슈트(31)로의 산적화물(M)의 원활한 낙하, 산적화물(M)의 굴삭 시에 있어서의 저항의 저감, 및 산적화물(M)의 안정적인 양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버킷(20)에 있어서의 바닥부(22)의 내측면(22b)의 단부(22g, 22h)보다 내측에는, 체인(15)의 반대측(도 3의 도면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평탄부(22c)와, 체인(15)측(도 3의 도면에 있어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만곡부(22d)가 마련되어 있다. 평탄부(22c)는 외측면(22a)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만곡부(22d)는 외측면(22a)에 대하여 개구부(21)측으로 만곡하는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버킷(20)의 내측면(22b)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22)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평탄부(22c)와 만곡부(22d)와의 경계부분(22e)으로 되어 있다. 이 경계부분(22e)은, 구동롤러(16a)의 축선방향(도 3의 도면에 있어서의 깊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경계부분(22e)은, 도 3에 나타나는 단면에 있어서, 버킷(20)의 이동방향(제1 측부(23)가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22)의 중앙부분보다 체인(15)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버킷(20)은 체인(15)을 따라 이동하므로, 버킷(20)의 이동방향이란 체인(15)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경계부분(22e)은, 꼭지부(27)로부터 제1 측부(23)로 내려 그은 수직선(L3)의 중점(n)을 지나 제1 측부(23)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기준선(L2)보다 체인(15)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만곡부(22d)는, 용접 등으로 바닥부(22)와 제1 측부(23)에 고정되는 만곡판(26)에 의하여 형성된다. 만곡판(26)은, 버킷(20)에 있어서의 산적화물(M)의 수용공간(S1) 내에 있어서, 바닥부(22)와 제1 측부(2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꼭지부(25)의 내면측을 덮도록 고정된다. 이 만곡판(26)에 의하여, 버킷(20)은 바닥이 상승되어 있다. 또, 이 만곡판(26)에 의하여, 꼭지부(25)의 내면측을 밀봉한 밀봉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공간(S2)은, 상술한 만곡판(26)과, 바닥부(22)의 꼭지부(25)측의 부분(22f)과, 제1 측부(23)에 있어서의 꼭지부(25)측의 부분(23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닥부(22)의 꼭지부(25)측의 부분(22f)과, 측부(23)의 꼭지부(25)측의 부분(23a)을 없애도 된다. 즉, 바닥부(22)의 외측면(22a)이 만곡판(26)을 따르도록, 버킷(20)의 외형을 변경해도 된다. 또, 만곡판(26) 대신에, 예를 들면 밀봉공간(S2)의 부분에 콘크리트 등을 충전시켜, 밀봉공간(S2)의 부분을 중실(中實)로 하여 만곡부(22d)를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새로 버킷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버킷(20) 대신에, 처음부터 꼭지부(25)측의 부분(22f, 23a)을 없앤 버킷으로 하는 것이 제조가 용이하다. 또, 기존의 버킷을 개조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버킷에 만곡판(26)을 추가하는 것이, 새로 버킷을 제조하는 수고나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버킷(20)에 있어서의 수용공간(S1)과 밀봉공간(S2)과의 합에 대한 수용공간(S1)의 비율은, 80%보다 높고 또한 90% 미만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버킷(20)에 있어서의 산적화물(M)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용공간(S1)의 면적은, 만곡판(26)이 없고 바닥부(22)의 내측면(22b)이 외측면(22a)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면적과 비교하여, 10% 이상 또한 20% 이하만큼 적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공간(S1)의 면적과 밀봉공간(S2)의 면적과의 합에 대한 밀봉공간(S2)의 면적의 비율을 “바닥 상승률”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바닥부(22)에 있어서의 체인(15)의 반대측에는 꼭지부(27)가 마련되어 있으며, 꼭지부(27)로부터 개구부(21)를 향하여 제2 측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부(24)는, 제1 측부(23)와 마찬가지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부(24)의 내측면은, 개구부(21)측에 위치하는 제1 면(24a)과, 제1 면(24a)보다 바닥부(22)측에 위치하는 제2 면(24b)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면(24a)과 제2 면(24b)은, 버킷(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모서리부(24c)를 통하여 연속하고 있다. 이 모서리부(24c)는, 구동롤러(16a)의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면(24b)은 제1 측부(23)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제1 면(24a)은 제1 측부(23)(제2 면(24b))에 대하여 경사각도(θ)만큼 체인(15)의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다만, 제2 면(24b)은, 제1 측부(23)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제1 측부(23)에 대하여 체인(15)의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 제2 측부(24)의 내측면의 형상은, 제1 면(24a)과 제2 면(24b)과 모서리부(24c)를 가지는 형상이 아니어도 되며, 꼭지부(27)로부터 개구부(21)를 향하여 뻗어 있고 제1 측부(23)에 대하여 체인(15)의 반대측으로 경사지는 평면형상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연속언로더(1)에서는, 버킷(20)의 바닥부(22)의 내측면(22b)의 단부(22g, 22h)보다 내측에 만곡부(22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버킷(20)이 주회하여 개구부(21)가 하측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을 때에, 버킷(20)으로부터 산적화물(M)이 방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버킷(20) 내의 산적화물(M)이, 도 2에 나타나는 버킷엘리베이터(10)의 벽(10b)측으로 떨어져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버킷(20)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버킷(20) 내부의 산적화물(M)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져도, 산적화물(M)은 신속하게 버킷(20)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버킷(20)의 내부에 잔류하는 산적화물(M)을 줄일 수 있으므로, 버킷(20)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바닥부(22)의 내측면(22b)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22)측으로 돌출된 부분(경계부분(22e))이, 버킷(2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22)의 중앙부분보다 체인(15)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버킷(20)으로 산적화물(M)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버킷(20)으로 산적화물(M)을 효율적으로 긁어 모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버킷(20)의 이동궤적(W)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버킷(20)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버킷(20)에 있어서의 산적화물(M)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용공간(S1)의 면적은, 바닥부(22)의 내측면(22b)이 외측면(22a)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수용공간의 면적과 비교하여, 10% 이상 또한 20% 이하만큼 적게 되어 있다. 즉, 버킷(20)의 바닥 상승률이 10% 이상 또한 20% 이하로 되어 있다.
도 4는, 버킷(20)의 바닥 상승률과 산적화물(M)의 회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만곡판(26)을 이용하지 않고 버킷(20)의 바닥 상승률을 0%로 한 경우에는, 수분량이 낮은 상태 A인 산적화물(M)의 배출용 슈트(31)로의 회수율은 92%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되어 있다. 또, 수분량이 중간 정도인 상태 B인 산적화물(M)의 배출용 슈트(31)로의 회수율은 88%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분량이란, 산적화물(M) 중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만곡판(26)을 버킷(20)의 내부에 고정시켜 버킷(20)에 있어서의 바닥 상승률을 10%로 한 경우에는, 상태 A인 산적화물(M)의 회수율은 99% 가까이까지 상승하고, 상태 B인 산적화물(M)의 회수율은 95% 정도로까지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버킷(20)에 있어서의 바닥 상승률을 20%로 한 경우에는, 상태 A 및 상태 B 모두 산적화물(M)의 회수율이 보다 100%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버킷(20)의 바닥 상승률을 올림으로써, 산적화물(M)의 배출용 슈트(31)로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버킷(20)의 바닥 상승률을 10% 이상 또한 20%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버킷(20)에 있어서의 수용공간(S1)의 대폭적인 저감을 억제하면서,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버킷(20)을 얕게 한만큼 제1 측부(23)와 제2 측부(24)와의 거리를 크게 하여, 수용공간(S1)의 용적을 줄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2 측부(24)는, 제1 측부(23)에 대하여, 체인(15)의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버킷(20)이 주회하여 버킷(20)의 개구부(21)가 하측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을 때에, 산적화물(M)을 버킷(20)으로부터 배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5는, 버킷(20)의 제2 측부(24)의 경사각도와 산적화물(M)의 회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측부(23)에 대한 제1 면(24a)의 경사각도(θ)를 10도로 한 경우에는, 산적화물(M)의 배출용 슈트(31)로의 회수율은 93% 정도이다. 이에 반해, 경사각도(θ)를 20도로 한 경우에는 산적화물(M)의 회수율은 95%를 조금 넘는 정도가 되며, 경사각도(θ)를 30도로 한 경우에는 회수율이 98% 정도, 경사각도(θ)를 40도 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회수율이 99%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경사각도(θ)를 20도 이상 또한 40도 이하로 하면, 버킷(20)으로부터의 산적화물(M)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버킷(20)으로 산적화물(M)을 효율적으로 긁어 모을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버킷(20)과 다른 버킷(20)과의 사이에 유출방지부(4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출방지부(40)에 의하여, 버킷(20)으로부터 낙하한 산적화물(M)이 배출용 슈트(31)에 유도된다. 따라서, 유출방지부(40)는,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버킷(20)에서는, 만곡판(26)을 버킷(20)의 내부에서 고정시킴으로써 만곡부(22d)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버킷의 내부에 만곡판(26)을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만곡부(22d)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향상을 간단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 만곡판(26)을 버킷(20)의 외형으로 한 경우에는, 만곡판(26)으로 밀봉공간(S2)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버킷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는, 만곡판(26)을 이용한 버킷(20) 대신에, 평판(56)을 이용한 버킷(5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버킷(50)에 있어서의 바닥부(52)의 내측면(52b)의 단부(52g, 52h)보다 내측에는, 체인(15)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평탄부(52c)와, 체인(15)측에 위치하는 평탄부(52d)와, 평탄부(52c)와 평탄부(52d)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부(52e)가 마련되어 있다. 모서리부(52e)는, 구동롤러(16a)의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평탄부(52c)는 외측면(22a)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평탄부(52d)는 바닥부(52)에 대하여 개구부(21)측으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버킷(50)에 있어서의 바닥부(52)의 내측면(52b)의 단부(52g, 52h)보다 내측에 모서리부(52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버킷(50)이 주회하여 개구부(21)가 하측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을 때에, 버킷(50)으로부터 산적화물(M)이 방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버킷(50)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버킷(50)의 내부의 산적화물(M)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져도, 산적화물(M)은 신속하게 버킷(50)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60)은, 제2 실시형태의 평판(56)과 크기 및 배치 양태가 상이한 평판(66)을 이용하고 있다. 버킷(60)에 있어서의 바닥부(62)의 내측면(62b)의 단부(62g, 62h)보다 내측에는, 체인(15)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평탄부(62c)와, 체인(15)측에 위치하는 평탄부(62d)와, 평탄부(62c)와 평탄부(62d)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부(62e)가 마련되어 있다. 평판(66)은 제1 측부(23)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모서리부(62e)는 버킷(60)의 기준선(L2)과 바닥부(62)와의 교점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버킷(60)에 있어서의 바닥부(62)의 내측면(62b)의 단부(62g, 62h)보다 내측에 모서리부(62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언로더의 버킷(7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만곡판(26)과 크기 및 배치 양태가 상이한 만곡판(76)을 이용하고 있다. 버킷(70)에 있어서의 바닥부(72)의 내측면(72b)의 단부(72g, 72h)보다 내측은, 꼭지부(27)의 내면측으로부터 제1 측부(23)까지 뻗어 있고, 외측면(22a)에 대하여 개구부(21)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부로 되어 있다. 이 내측면(72b)은, 버킷(70)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측부(23)와 꼭지부(27)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만곡판(76)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버킷(70)의 바닥부(72)에 있어서의 내측면(72b)의 단부(72g, 72h)보다 내측이 만곡부로 되어 있으므로, 산적화물(M)의 회수율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다만, 제4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72)와, 측부(23)의 꼭지부(25)측의 부분(23a)을 없애고, 만곡판(76)을 버킷(70)의 바닥부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버킷(50)에 있어서의 바닥부(52)의 내측면(52b)에 모서리부(52e)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버킷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내측면에 복수의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당해 내측면에 모서리부와 만곡부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 연속언로더
10 버킷엘리베이터
15 체인(무단체인)
16a, 16b, 16c 구동롤러(구동부)
20, 50, 60, 70 버킷
M 산적화물(대상물)
21 개구부
22, 52, 62, 72 바닥부
22a 외측면
22b, 52b, 62b 내측면
22d 만곡부
22g, 22h, 52g, 52h, 62g, 62h, 72g, 72h 단부
23, 24 측부
24a 제1 면
24b 제2 면
52e, 62e 모서리부
72b 내측면(만곡부)
L2 기준선
S1 수용공간
W 이동궤적
θ 경사각도

Claims (7)

  1.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버킷엘리베이터를 구비한 버킷엘리베이터식의 연속언로더로서,
    상기 버킷엘리베이터는,
    상기 대상물을 긁어 모아 적재하는 복수의 버킷과,
    상기 버킷을 지지하는 무단체인과,
    상기 무단체인을 구동하여 주회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킷의 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부의 내측면의 단부보다 내측에는, 모서리부 및 만곡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버킷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가장 상기 바닥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분보다 상기 무단체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은,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이동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버킷을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대상물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바닥부의 내측면이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을 따른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면적과 비교하여, 10% 이상 또한 20% 이하만큼 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는,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하여, 상기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는, 상기 버킷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보다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상기 제1 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상기 제2 면의 경사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측의 측부에 대한, 상기 버킷에 있어서의 상기 무단체인의 반대측의 측부의 경사각도는, 20도 이상 또한 40도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언로더.
KR1020140116015A 2013-11-27 2014-09-02 연속언로더 KR20150061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5106A JP6284753B2 (ja) 2013-11-27 2013-11-27 連続アンローダ
JPJP-P-2013-245106 2013-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557A true KR20150061557A (ko) 2015-06-04

Family

ID=5330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15A KR20150061557A (ko) 2013-11-27 2014-09-02 연속언로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4753B2 (ko)
KR (1) KR20150061557A (ko)
CN (1) CN104670929B (ko)
TW (1) TWI527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2227B (zh) * 2016-01-28 2017-11-10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升降货物载卸装置
CN115285726B (zh) * 2022-10-09 2023-05-26 启东集胜设计有限公司 散货船卸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3516U (ko) * 1985-12-20 1987-07-01
CN1020574C (zh) * 1989-06-09 1993-05-12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斗式提升机式船舶连续卸载机
JPH07309450A (ja) * 1994-05-19 1995-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ンローダのバケット
JP2912192B2 (ja) * 1995-05-15 1999-06-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式アンローダ
TW458159U (en) * 1996-03-29 2001-10-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ntinuous unloading machine
JPH10194467A (ja) * 1997-01-17 1998-07-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式アンローダのバケットガイド装置
JPH1159916A (ja) * 1997-08-21 1999-03-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アン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01469A (ja) 2015-06-04
CN104670929A (zh) 2015-06-03
TWI527749B (zh) 2016-04-01
TW201520150A (zh) 2015-06-01
CN104670929B (zh) 2017-12-12
JP6284753B2 (ja)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786B1 (ko) 연속식언로더
KR20150061557A (ko) 연속언로더
KR101357796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디깅장치
US10647521B2 (en) Transfer bridge for coarse bulk materials
RU168118U1 (ru) Конвейерный перегружатель
JP5434723B2 (ja) ヤード移動機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90734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센트럴슈트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US20080264762A1 (en) Portal-type scraper reclaimer with bent reclaimer boom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67128B1 (ko) 연속식 적재물 하역장치
KR10136826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22118427A (ja) ズリ搬出システム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US4408945A (en) Stationary or mobile receiving bunker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341119B1 (ko) 골재 선적장치
RU2454511C1 (ru) Скрепер
KR10115958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08184262A (ja) 搬送装置及び除塵機
CN205418836U (zh) 刮板式地表给料机
JP2016216152A (ja) 連続アンローダ
JP3088139U (ja) セルフアンローダ船の防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