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857A -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857A
KR20150058857A KR1020130142138A KR20130142138A KR20150058857A KR 20150058857 A KR20150058857 A KR 20150058857A KR 1020130142138 A KR1020130142138 A KR 1020130142138A KR 20130142138 A KR20130142138 A KR 20130142138A KR 20150058857 A KR20150058857 A KR 2015005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onveyor belt
sliding plate
tile
ti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익
강익래
변재완
Original Assignee
폴리플로어 주식회사
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로어 주식회사, 변재완 filed Critical 폴리플로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8857A/ko
Publication of KR2015005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PVC타일 등과 같이 판상으로 된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품을 격장별로 뒤집어서 포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는 연속적으로 타일 자재의 표면이 마주보게 포장하여야 할 경우 수작업으로 인한 노동 강도를 완화시킬 수 있고, 신속한 포장이 가능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사자가 검사업무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효과적으로 면대면 포장을 실시하여 타일 자재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Face-to-face packing device for avoid damage to the surface}
본 발명은 면대면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VC타일 등과 같이 판상으로 된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품을 격장별로 뒤집어서 포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분자 타일 바닥자재를 재단, 포장 후 이송하여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상기의 타일 자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포장하여 이송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타일 자재는 드러나는 표면은 미끄러짐 방지 등의 기능상의 이유 및 미관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매끄럽게 처리하여 형성하는 대 비해 드러나지 않는 하부면은 이러한 처리를 할 필요성이 없는데다가 바닥면에 부착이 용이하게 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하지 않고 거칠게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다수의 타일 자재를 하나의 포장 용기에 적재하여 이송할 시에는 타일 자재의 표면이 흠집 등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를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타일 자재의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은 자재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인데, 이는 보호필름의 추가적인 구매 및 보호필름 부착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를 필요로 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비경제적이어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방식이다.
상기와는 다른 방식으로써, 타일 자재의 표면을 서로 마주보도록 포장하여 상기 타일 자재의 표면을 보호하는 면대면 포장 방식이 있다. 상기의 면대면 포장 방식은 타일 자재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적합한 품질을 달성하면서도 특수한 설비 등을 요구하지 않아 경제적인 방법으로써 상기 타일 자재를 포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면대면 포장 방식을 이용하여 타일 자재를 포장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은, 평판 형태로 진행하는 타일 자재의 표면 또는 하부면에 진공의 흡착장치를 활용하여 일정 매수별로 제품을 뒤집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판상의 골판지나 넓은 면적의 멜라민 화장판과 같은 제품에는 적용이 용이하나, 바닥 타일 등과 같은 특정 규격의 제품군에는 적용이 난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빠른 속도로 격장으로 제품을 뒤집어 주기에는 부적절한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타일 제품군에는 진공의 흡착장치를 사용하는 면대면 포장 방식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의 바닥 타일 제품군에 면대면 포장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력이 직접 수동으로 바닥 타일을 한 장씩 뒤집어서 포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인력이 직접 수동으로 바닥 타일을 뒤집어서 면대면 포장을 하게 되면, 바닥 타일을 뒤집는 인력의 노동 강도가 증가하며, 검사자 한 사람이 바닥 타일 제품의 수량 파악 및 검사, 뒤집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검사의 집중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일 자재의 제조 및 포장의 연속적인 흐름 공정상에서 제품의 손상 없이 격장마다 제품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일의 면대면 포장을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정 방향으로 타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서로 높낮이가 다른 제1컨베이어벨트와 제2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높은 측에 위치한 제1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타일을 감지하는 카운팅센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일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마주보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가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뒤집기장치; 그리고 상기 카운팅센서와 뒤집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어반으로 구성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어반은 연속적으로 제1, 제2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타일을 카운팅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이를 격장마다 뒤집을 수 있도록 상기 뒤집기장치를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컨베이어벨트에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각도는 45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뒤집기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가 60ㅀ로 뒤집기장치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홈이 형성되어 뒤집기날개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타일 자재의 표면이 마주보게 포장하여야 할 경우 수작업으로 인한 노동 강도를 완화시킬 수 있고, 신속한 포장이 가능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사자가 검사업무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효과적으로 면대면 포장을 실시하여 타일 자재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가 타일자재를 뒤집는 모습을 도시한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100)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100)는 두 대의 이송 컨베이어벨트(C1, C2) 사이에 설치하게 되는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대의 이송 컨베이어벨트(C1, C2) 중 제1컨베이어벨트(C1)은 제2컨베이어벨트(C2)보다 높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두 대의 컨베이어벨트(C1, C2)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1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면대면 포장장치(100)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C1)의 이송방향 일측면에 설치되는 카운팅센서(110)와, 제1컨베이어벨트(C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 그리고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131)가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뒤집기장치(130), 그리고 제어반(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면대면 포장장치(100)의 구성요소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카운팅센서(110)는 제1컨베이어벨트(C1)의 이송벨트 상에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타일자재(T)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의 카운팅센서(110)의 설치 위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로 나뉘어져 있는 제1컨베이어벨트(C1)의 이송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C1)을 통해 이송되는 타일자재(T)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운팅센서(110)는 제어반(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어반(140)은 카운팅센서(110)를 통하여 감지된 타일자재(T)를 뒤집을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1컨베이어벨트(C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제1컨베이어벨트(C1)을 통해 이송된 타일자재(T)를 손상 없이 제2컨베이어벨트(C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C1)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적당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C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컨베이어벨트(C2)로 타일자재(T)가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타고 미끄러져 제2컨베이어벨트(C2)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의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 각도(θ)는 30°~60°사이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각도(θ)가 30°~60°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제품이 뒤집기장치(130)의 뒤집기날개(131)에 빠른 속도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큰 충격을 받아 타일자재(T)의 모서리가 손상될 가능성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 뒤집기장치(130)로 인한 회전 반경이 커져 타일자재(T)가 뒤집어져 제2컨베이어벨트(C2)에 전달될 때 가해지는 충격이 커져 제품이 파손될 위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각도(θ)가 30°~60°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설치하여야 하며, 상기의 각도(θ)는 타일자재(T)의 이송에 가장 적합한 45°로 설정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도 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홈(121)이 형성되는데, 이는 제2컨베이어벨트(C2)의 일측에 설치되는 뒤집기장치(130)가 용이하게 상기 회전홈(121)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의 제2컨베이어벨트(C2)가 슬라이딩플레이트(120)와 마주하는 일측에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뒤집기장치(130)는 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뒤집기날개(131)의 설치 간격은 이송되는 타일자재(T)의 폭에 맞게 조절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의 타일자재(T)의 폭보다 뒤집기날개(131)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타일자재(T)를 뒤집을 시 타일자재(T)의 표면을 긁어 타일자재(T)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의 뒤집기날개(131)는 타일자재(T)의 폭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의 뒤집기장치(130)의 뒤집기날개(131)가 원형의 봉 표면에 설치되는 각도(α)는 60°가 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뒤집기날개(131)를 뒤집기장치(130)에 설치함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의 뒤집기장치(130)는 상기 제어반(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140)이 뒤집음 명령을 뒤집기장치(130)에 하달함으로써 뒤집기장치(13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타고 내려오는 타일자재(T)를 뒤집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100)가 타일자재(T)를 뒤집는 모습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면대면 포장장치(100)가 이송되는 타일자재(T)를 뒤집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면대면 포장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하여 이송되는 타일자재(T)에 대하여, 카운팅센서(110)를 통해 타일자재(T)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어반(140)을 통해 상기 카운팅센서(110)가 감지한 타일자재(T)의 뒤집음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의 면대면 포장장치(100)가 면대면 포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반(140)은 일렬로 제1컨베이어벨트(C1)를 통해 진입하는 타일자재(T)를 격장마다 뒤집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타일자재(T)를 뒤집어서 제2컨베이어벨트(C2)로 이송되어야 할 경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통해 진입하는 타일(T)의 경우를 제1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도 2에서 도시된 타일자재(T)는 표면(TF)이 위쪽을 향하고 있으며, 하부면(TB)이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도 2의 fig.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140)이 뒤집기장치(130)에 동작 명령을 내려 상기의 타일자재(T)를 뒤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뒤집기장치(130)에 동작 명령을 내리게 되면, 뒤집기장치(130)는 도 2의 fig.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서 제2컨베이어벨트(C2)로 이송되고 있는 타일자재(T)를 회전시켜 엎음으로써 도 2의 fig.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자재(T)의 표면(TF)이 아래쪽을 향하게 하고, 하부면(TB)이 위쪽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제2컨베이어벨트(C2)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뒤집기장치(130)의 뒤집기날개(131)는 도 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홈(121)을 통과하여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집기날개(131)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자유롭게 통과하면서 타일자재(T)를 뒤집을 수 있게 된다.
100 : 면대면 포장장치. 110 : 카운팅센서. 120 : 슬라이딩플레이트.
130 : 뒤집기장치. 140 : 제어반. C1, C2 : 제1, 제2컨베이어벨트.
T : 타일자재.

Claims (5)

  1. 타일의 면대면 포장을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정 방향으로 타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서로 높낮이가 다른 제1컨베이어벨트와 제2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높은 측에 위치한 제1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타일을 감지하는 카운팅센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일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마주보는 타측면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가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뒤집기장치; 그리고 상기 카운팅센서와 뒤집기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어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연속적으로 제1, 제2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타일을 카운팅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이를 격장마다 뒤집을 수 있도록 상기 뒤집기장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각도는 45ㅀ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집기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뒤집기날개가 60ㅀ로 뒤집기장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KR1020130142138A 2013-11-21 2013-11-21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KR20150058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38A KR20150058857A (ko) 2013-11-21 2013-11-21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38A KR20150058857A (ko) 2013-11-21 2013-11-21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57A true KR20150058857A (ko) 2015-05-29

Family

ID=5339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38A KR20150058857A (ko) 2013-11-21 2013-11-21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8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395A (zh) * 2019-06-29 2019-08-30 南通瑞格精密机械有限公司 钢领成品背对背摆放收集装置
CN110316418A (zh) * 2019-08-07 2019-10-11 浙江中平粉末冶金有限公司 自动装箱机及自动装箱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395A (zh) * 2019-06-29 2019-08-30 南通瑞格精密机械有限公司 钢领成品背对背摆放收集装置
CN110316418A (zh) * 2019-08-07 2019-10-11 浙江中平粉末冶金有限公司 自动装箱机及自动装箱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3778C (en) Singulator conveyor
US8689965B2 (en) System for rotating a number of packages
KR102366822B1 (ko) 캐리어 상의 물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방법.
GB2569506A (en) Conveyor screening during robotic article unloading
US9221622B2 (en) Product orientor
KR102442707B1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US10336556B2 (en) Conveying device to bring together individual packages from several transfer conveyors
DK2805903T3 (en) Method and device to unload the stacked articles, such as boxes
WO2016054561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tern creation
JP7217023B2 (ja) 荷捌き装置及び荷捌き方法
FI8733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oeppnande av slutflikarna i en kartongask.
KR20150058857A (ko)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WO2016035548A1 (ja) 方向規制装置および方向規制方法
KR102054193B1 (ko) 테이프 높이 조절형 전둘레 테이핑장치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354620B1 (ko) 판재 모서리 곡면 가공 장치
CN203095057U (zh) 一种自检测垂直传输装置
CN211576921U (zh) 一种视觉检测生产线专用自动转面机构
JP2016179894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2154641A (ja) 搬送物の反転装置
TWI710512B (zh) 輸送設備及具有此輸送設備的在線式焊接整修輸送線
KR20150125081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JP4209667B2 (ja) 検査システム
KR20140009716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이송장치
JP2015074549A (ja) 反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