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867A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867A
KR20150057867A KR1020130141750A KR20130141750A KR20150057867A KR 20150057867 A KR20150057867 A KR 20150057867A KR 1020130141750 A KR1020130141750 A KR 1020130141750A KR 20130141750 A KR20130141750 A KR 20130141750A KR 20150057867 A KR20150057867 A KR 2015005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conductive plate
unit
connection
dam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069B1 (ko
Inventor
안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69B1/ko
Priority to US14/542,382 priority patent/US9466898B2/en
Publication of KR2015005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형의 접속 유닛 및 접속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속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고, 도전성 플레이트는 접속 유닛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 유닛의 일 부분이 절곡되면서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속 단자{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지 팩과 같이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제품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다양한 부재를 사용한다.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 부재들은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들과 기계적 결합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기계적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 연결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형의 접속 유닛, 및 상기 접속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접속 유닛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 유닛의 일 부분이 절곡되면서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적어도 네 개의 절곡 지점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두께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접속 유닛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절곡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부분은 아치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댐핑부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전선 및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상기 전선의 단부는 상기 댐핑부의 일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평면상에 배치되고 가운데 홀이 형성된 접속 유닛을 일 단부에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타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된 댐핑부를 형성하는, 접속 단자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절곡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의 타단은 상기 접속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타단은 상기 접속 케이블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부분은 아치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진동에도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진동에 따른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진동에 따른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댐핑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는, 도전성 플레이트(100) 및 접속 케이블(200)을 포함하며, 도전성 플레이트(100)는 댐핑부(122)를 포함한다.
도전성 플레이트(100)는 접속 유닛(110)과 연장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유닛(110)은 볼트 및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접속되는 영역으로서,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에 홀이 형성된 환(ring)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유닛(110)은 제1 평면 상,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x-y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유닛(120)은 접속 유닛(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접속 유닛(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유닛(120)은 댐핑부(122)를 포함한다.
댐핑부(12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도전성 플레이트(100)의 일 단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댐핑부(122)는 연장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122)는 연장 유닛(120)의 일 부분을 적어도 네 번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댐핑부(122)는 제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z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댐핑부(122)는 제1`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122a), 제1 부분(122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부분(122b), 및 제1 부분(122a)과 제2 부분(122b)을 연결하는 제3 부분(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122c)은 제1 부분(122a) 및 제2 부분(122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선(210, wire) 및 전선(210)의 외측면을 피복하는 피복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의 일단은 피복층(22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전선(210)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은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의 일단에 구비된 전선(210)은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플레이트(100)의 일단에 구비된 전선(210)은 연장 부재의 일 단부, 예컨대 접속 유닛(110)으로부터 먼쪽에 위치하는 연장 유닛(120)의 일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25)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25)에 삽입된 전선(210)은 연장 유닛(120)의 바닥면(121) 및 댐핑부(122)의 일 측면(예, 제2 부분(122b) 의 일 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구성요소(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가 전지 팩에 사용되는 경우, 접속 단자(1)의 일 측은 전지와 같은 제1 구성요소(미도시)에 결합되고 접속 단자(1)의 타측은 보호회로모듈와 같은 제2 구성요소(미도시)에 결합되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2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접속단자에 외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만약 댐핑부(122)가 없다면, 외부 진동이 그대로 접속 단자(1)에 전달되어 접속 단자(1)와 제1 구성요소(또는 제2 구성요소)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접속 단자(1)의 댐핑부(122)가 외부 진동을 흡수하므로, 접속 단자(1)와 제1 구성요소(또는 제2 구성요소) 간의 결합이 해제될 염려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댐핑부(122)의 진동 흡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접속 단자에 진동이 가해진 경우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접속 단자는 댐핑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접속 단자의 접속 유닛은 너트(N)에 의해서 전지의 볼트형 양극 단자(T, 또는 음극 단자)와 결합되고, 접속 케이블(20)은 보호회로모듈(미도시)과 같은 전지 팩의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구비한 전지 팩에 진동이 가해지면, 진동은 접속 단자의 도전성 플레이트(1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은 접속 단자의 접속 유닛(11)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이 전달되므로 너트(N)가 풀리면서 전지의 양극 단자(T, 또는 음극 단자)와 도전성 플레이트(1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100)가 댐핑부(122)를 포함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은 댐핑부(122)에서 흡수되어 전지의 양극 단자(T, 또는 음극 단자)와 도전성 플레이트(10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염려가 없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를 구비한 전지 팩에 진동이 가해지면, 진동은 접속 단자(1)의 댐핑부(122)에 전달된다. 진동은 댐핑부(122)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접속 유닛(110)에 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즉, 댐핑부(122)가 진동을 흡수하므로, 접속 유닛(110)과 전지의 양극 단자(T, 또는 음극 단자)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1)의 댐핑부(122)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댐핑부(122)는 일정한 폭(w1) 및/또는 일정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댐핑부(122)는 일정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122a)에서의 단면적(A1)과 제2 부분(122b)에서의 단면적(A2) 및 제3 부분(122c)에서의 단면적(A3)이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접속 유닛(110)과 접속 케이블(200) 사이에 개재되는 댐핑부(122)는, 전류가 흐르는 패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예 따르면, 만약 댐핑부(122)의 폭, 두께, 또는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댐핑부(122) 자체의 저항이 변화하므로 댐핑부(122)를 지나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부(122)는 일정한 폭과 단면적을 가지므로 댐핑부(122)를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2)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속 단자(1)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플레이트(100) 및 접속 케이블(200)을 포함하며, 도전성 플레이트(100)는 접속 유닛(110)과, 댐핑부(122 ')를 구비한 연장 유닛(120)을 포함한다.
접속 케이블(200)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선(210)(wire) 및 전선(210)의 외측면을 피복하는 피복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의 일단은 피복층(22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전선(210)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200)의 일단에 구비된 전선(210)은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플레이트(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예 따른 접속 단자(2)의 구조 및 기능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속 단자(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2)의 댐핑부(122 ')는 적어도 네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댐핑부(122)는 아치형이 되도록, 예컨대 댐핑부(122')의 상부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핑부(122')는 제1`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122'a), 제1 부분(122'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부분(122'b), 및 제1 부분(122'a)과 제2 부분(122'b)을 연결하며 곡면을 갖는 제3 부분(122'c)을 포함할 수 있다. 댐핑부(122')의 제3 부분(122'c)은 제1 부분(122'a) 및 제2 부분(122'b)에 대하여 절곡되되,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매끄럽게(smooth) 절곡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댐핑부(122')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댐핑부(12'2)가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경우,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댐핑부(122')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댐핑부(122')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2: 접속 단자 100: 도전성 플레이트
110: 접속 유닛 120: 연장 유닛
122, 122': 댐핑부 122a, 122'a: 댐핑부의 제1 부분
122b, 122'b: 댐핑부의 제2 부분 122c, 122'c: 댐핑부의 제3 부분
125: 고정부 200: 접속 케이블
210: 전선 220: 피복층

Claims (16)

  1. 환형의 접속 유닛, 및 상기 접속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접속 유닛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 유닛의 일 부분이 절곡되면서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적어도 네 개의 절곡 지점을 갖는, 접속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접속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접속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접속 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접속 유닛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절곡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아치형으로 절곡된, 접속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댐핑부의 일 측면과 접촉하는, 접속 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전선 및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상기 전선의 단부는 상기 댐핑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접속 단자.
  10. 제1 평면상에 배치되고 가운데 홀이 형성된 접속 유닛을 일 단부에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타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된 댐핑부를 형성하는, 접속 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절곡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타단은 상기 접속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타단은 상기 접속 케이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접속 단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아치형으로 절곡된, 접속 단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접속 단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접속 단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접속 단자.
KR1020130141750A 2013-11-20 2013-11-20 접속 단자 KR10209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50A KR102096069B1 (ko) 2013-11-20 2013-11-20 접속 단자
US14/542,382 US9466898B2 (en) 2013-11-20 2014-11-14 Connec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750A KR102096069B1 (ko) 2013-11-20 2013-11-20 접속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67A true KR20150057867A (ko) 2015-05-28
KR102096069B1 KR102096069B1 (ko) 2020-04-01

Family

ID=5317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750A KR102096069B1 (ko) 2013-11-20 2013-11-20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6898B2 (ko)
KR (1) KR102096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37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069B1 (ko) * 2013-11-20 202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접속 단자
US9923323B2 (en) * 2015-10-30 2018-03-20 Apple Inc. Cable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744A (ja) * 1995-03-02 1996-09-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H10289745A (ja) * 1997-04-16 1998-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用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479A (en) * 1913-07-21 1915-06-08 Beck Frost Corp Fastening-clip.
US3210719A (en) * 1963-04-12 1965-10-05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DE1263844B (de) * 1964-01-10 1968-03-21 Toko Inc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Magnetdraht-Speicher
US4428637A (en) * 1978-10-16 1984-01-31 Continental-Wirt Electronics Corp. Connector structure for flat cable
US4684197A (en) * 1983-09-07 1987-08-04 Allied Corporation Plug-in connector and contact element for same
EP0168682B1 (de) * 1984-07-18 1988-11-30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Ein eine gedruckte Schaltung tragender Steckverbindungsmodul
US4810215A (en) * 1985-06-06 1989-03-07 Yazaki Corporation Position compensating connector
JPH088131B2 (ja) * 1989-08-25 1996-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可撓端子付フィルタコネクタ
US5683255A (en) * 1993-12-03 1997-11-04 Menze; Marion Joh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GB9502590D0 (en) * 1995-02-10 1995-03-29 Amp Gmbh Combustion chamber sensor connector
KR20020052531A (ko)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어스 링 터미널
US7294020B2 (en) *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200449874Y1 (ko) 2007-12-28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JP5095446B2 (ja) * 2008-03-05 2012-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090013249U (ko)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터미널
KR102096069B1 (ko) * 2013-11-20 202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접속 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1744A (ja) * 1995-03-02 1996-09-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H10289745A (ja) * 1997-04-16 1998-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用端子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937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0875A1 (en) 2015-05-21
US9466898B2 (en) 2016-10-11
KR102096069B1 (ko)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985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ssembly
JP6497213B2 (ja) 電力変換装置
US9343725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US10164417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1249520A (ja) 電子制御装置
JP6044505B2 (ja) 組電池ユニット
US9485880B2 (en) Electric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140022729A1 (en) Voltage regulator for an alternator
KR20150057867A (ko) 접속 단자
WO2018205907A1 (zh) 连接器组件、电源组件和终端设备
US10285274B2 (en) Circuit structure
US9899818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US20070187128A1 (en) Power supply adapter of ventilation device
CN105655507A (zh) 电子设备及其电池连接装置
JP2011155134A (ja) 電子回路基板
US20140285974A1 (en) Substrate spacing member and inverter device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98365B2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US11266009B2 (en) Circuit device
JP2014135345A (ja) 圧電トランス
JP6890235B2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回路基板、およびカバー部材
JP2015122884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配置構造
US7307855B2 (en) Enclosure for printed wiring board assemblies
JP5624903B2 (ja) 基板装置
KR20150040459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