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74Y1 -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74Y1
KR200449874Y1 KR2020070020988U KR20070020988U KR200449874Y1 KR 200449874 Y1 KR200449874 Y1 KR 200449874Y1 KR 2020070020988 U KR2020070020988 U KR 2020070020988U KR 20070020988 U KR20070020988 U KR 20070020988U KR 200449874 Y1 KR200449874 Y1 KR 200449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terminal
bolt
wir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04U (ko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터미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볼트(10)의 외주면 일측에 너트 형상의 회전방지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10)에는 링터미널(20)이 삽입된다. 상기 링터미널(20)에는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접지링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링부(21)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방지부(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공(22)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에 상기 링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0)에는 너트(3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링터미널이 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다수개의 링터미널이 중첩되게 삽입되더라도 바렐부 간에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돌기에 의해 전선을 감싸는 튜브의 선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튜브액이 접지링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링터미널, 볼트, 너트

Description

링터미널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ring terminal}
본 고안은 링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접지를 수행하는 링터미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터미널은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을 전선을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받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선들에는 감전 방지를 위한 접지선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접지선은 차체에 접지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접지선 단부에 설치되는 링 터미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링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링터미널에는 납작한 도넛형상의 접지링부(1)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링부(1)는 실제로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지링부(1)는 납땜에 의해 접지부에 고정되거나 중앙의 통공(1')을 통해 너트가 접지부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지링부(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바렐부(3)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3)는 와이어바렐(4)과 인슐레이션바렐(5)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4)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 압착시켜 전선의 와이어와 링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 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5)은 상기 와이어를 둘러싼 절연재를 감싸 압착시켜 전선을 링터미널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터미널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이나 전장부품에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나 전장부품이 사용되는 제품의 접지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링터미널의 접지링부(1)가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접지링부(1)는 상기 접지부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거나 너트가 상기 통공(1')을 관통하여 접지부에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통공(1')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가 관통하여 접지부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링터미널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터미널은 너트에 하나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겹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링터미널 간에 회전되면서 상기 바렐부(3) 간에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선에는 상기 바렐부(3)를 감싸도록 튜브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튜브의 선단 즉, 상기 접지링부(1)에 가까운 부분에 열을 가하여 녹여서 선단이 오므라들게 한다. 하지만, 이때 열에 의해 녹은 튜브액이 상기 접지링부(1) 쪽으로 흘러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링터미널이 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지링부 쪽으로 튜브액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주면 일측에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회전방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접지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회전방지부가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상기 링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링부의 일측에서 전선과 결합되는 바렐부가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바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을 감싸는 튜브의 선단에서 열에 의해 녹은 튜브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링터미널의 일부가 가압되어 일방으로 돌출되게 형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서는 볼트의 외주면이 가공되어 너트 형상의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회전방지부에 대응되게 접지링부의 통공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링터미널이 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다수개의 링터미널이 중첩되게 삽입되더라도 바렐부 간에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링터미널에서 접지링부와 바렐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차단돌기가 형성된다. 차단돌기는 전선을 감싸는 튜브의 선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튜브액이 접지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링터미널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링터미널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다수개의 링터미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의 부품 등에 볼트(1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볼트(10)는 일반 볼트와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우선, 상기 볼트(10)에는 공구로 조작하기 위한 헤드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4)는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30)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일반적인 너트 형상의 회전방지부(16)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부(16)는 일반적인 볼트의 외주면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상기 회전방지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링터미널(20)의 통공(22)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방지부(16)는 본 실시예에서 링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방지부(16)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랜지(18)와 헤드부(1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10)의 헤드부(12)와 회전방지부(16)의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8)는 상기 헤드부(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접지링부(22)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에는 링터미널(20)이 삽입된다. 상기 링터미널(20)의 선단에는 납작한 도우넛 형상의 접지링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링부(21)에는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2)은 상기 링터미널(20)을 상기 볼트(10)에 삽입할 때, 볼트(10)에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방지부(16)의 외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통공(22)은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링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공(22)은 상기 회전방지부(16)와 접촉하면서 일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방지부(16)에 대응되는 팔각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통공(22)은 사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부(16) 상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링터미널(20)은 상기 볼트(10)에 다수개가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통공(22)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다수개의 링터미널(20)이 서로 회전되지 않고 중첩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접지링부(21)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바렐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는 와이어바렐(25)과 인슐레이션바렐(26)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25)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 압착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와이어바렐(25)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 압착하여 와이어와 링터미널(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6)은 인슐레이션을 감싸 압착하여 전선과 링터미널(20)이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참고로, 전선은 도체인 와이어를 절연체인 인슐레이션이 감싸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은 상기 링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별도의 전장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링터미널(20)에는 차단돌기(28)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차단돌기(28)는 상기 접지링부(21)와 바렐부(24)를 연결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전선에는 상기 바렐부(24)를 모두 감쌀 수 있도록 튜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의 선단에 열을 가하고 선단이 열에 의해 오므라들게 하여 튜브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튜브의 선단에서 열에 의해 녹은 튜브액이 상기 접지링부(21) 쪽 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28)는 이와 같은 튜브액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돌기(28)는 상기 바렐부(24)에서 접지링부(21)로 튜브액이 흘러가는 부분에 돌출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튜브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28)는 상기 링터미널(20)의 일부를 가압하여 일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링터미널(20)이 상기 볼트(10)에 고정될 때에 사이에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터미널(20)은 전선과 버스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볼트(10)에는 상기 링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30)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30)는 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어 링터미널(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링터미널의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링터미널(20)을 볼트(1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터미널(20)을 상기 볼트(10)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링터미널(20)의 접지링부(21)를 상기 볼트(10)에 삽입시킨다.
상기 링터미널(20)이 삽입되면 상기 접지링부(21)는 플랜지(18)와 일면이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접지링부(21)의 통공(22)은 상기 회전방지부(16)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통공(22)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부(16)와 접촉하므 로 링터미널(20)을 일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다른 링터미널(20)을 상기 볼트(1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링터미널(20)을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링터미널(20)을 중첩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16)가 팔각형 형상으로 가지므로 링터미널(20)을 최대 8개까지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링터미널(20)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바렐부(24) 간에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링터미널(20)이 상기 볼트(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30)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30)는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링터미널(20)과 플랜지(18)의 사이 또는 상기 링터미널(20)과 너트(30)의 사이에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링터미널(20)은 전선과 버스바의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렐부(24)의 와이어바렐(25)에는 전선의 와이어가 압입되고 인슐레이션바렐(26)에는 인슐레이션이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에 튜브가 상기 바렐부(24)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의 선단을 열로 녹여 오므라들게 하여 전선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튜브의 선단에서 열로 인해 흘러내린 튜브액은 차단돌기(2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28)는 상기 접지링부(21)와 바렐부(24)를 연결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튜브액이 접지링부(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링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링터미널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다수개의 링터미널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볼트 12 : 헤드부
14 : 나사부 16 : 회전방지부
18 : 플랜지 20 : 링터미널
21 : 접지링부 22 : 통공
24 : 바렐부 25 : 와이어바렐
26 : 인슐레이션바렐 28 : 차단돌기
30 : 너트

Claims (5)

  1. 외주면 일측에 회전방지부가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와 체결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회전방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접지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링부의 일측에서 전선과 결합되는 바렐부가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바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을 감싸는 튜브의 선단에서 열에 의해 녹은 튜브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회전방지부가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상기 링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링터미널의 일부가 가압되어 일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5. 삭제
KR2020070020988U 2007-12-28 2007-12-28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KR200449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8U KR200449874Y1 (ko) 2007-12-28 2007-12-28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8U KR200449874Y1 (ko) 2007-12-28 2007-12-28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4U KR20090006704U (ko) 2009-07-02
KR200449874Y1 true KR200449874Y1 (ko) 2010-08-17

Family

ID=4133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88U KR200449874Y1 (ko) 2007-12-28 2007-12-28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154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경신 멀티 어스 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00Y1 (ko) * 2009-12-31 2011-06-10 (주)동하이엔씨 절연클램프
KR102096069B1 (ko) 2013-11-20 202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접속 단자
KR102242059B1 (ko) * 2019-10-24 2021-04-19 주식회사 경신 링 터미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31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어스 링 터미널
KR100471320B1 (ko) * 2002-05-17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링 터미널의 체결구조
KR200404528Y1 (ko) 2005-10-17 2005-12-23 곽세일 돌기를 갖는 링 터미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31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어스 링 터미널
KR100471320B1 (ko) * 2002-05-17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링 터미널의 체결구조
KR200404528Y1 (ko) 2005-10-17 2005-12-23 곽세일 돌기를 갖는 링 터미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154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경신 멀티 어스 터미널
KR102598638B1 (ko) 2021-10-15 2023-11-06 주식회사 경신 멀티 어스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4U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752B2 (en) Module connector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638014B2 (ja) 電気接続装置
US7494362B2 (en) High current sealed connector plug assembly
KR200449874Y1 (ko)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CA2618334C (en) Electrical wiring
JP2013533586A (ja) 電気的接続バス
US20120077382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park plug cable and resulting article of manufacture
CA2745668A1 (en) Rotatable feedthru insert
US20200091630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Coaxial Connector
CN106415940B (zh) 用于电设备的连接装置和具有连接装置的电设备
JP2015156285A (ja) 接続端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WO2002089283A1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EP2073241B1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CN203617488U (zh) 一种导线防断股保护装置
KR100471320B1 (ko) 링 터미널의 체결구조
RU2653167C2 (ru) Соединитель термопары,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й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азового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го клапана и термопары
ES2237663T3 (es) Dispositivo electrico de conexion, en particular limitador de sobretension.
KR10170668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전 및 변전용 전선 설치대
KR20110012578A (ko) 온도감지용 압착단자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JP6109011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KR200339329Y1 (ko) 전선 퓨즈
JP6891800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構造
EP2876742A1 (en) A plug and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