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329Y1 - 전선 퓨즈 - Google Patents

전선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329Y1
KR200339329Y1 KR20-2003-0034211U KR20030034211U KR200339329Y1 KR 200339329 Y1 KR200339329 Y1 KR 200339329Y1 KR 20030034211 U KR20030034211 U KR 20030034211U KR 200339329 Y1 KR200339329 Y1 KR 200339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use
connection terminal
nut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종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4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Abstract

과전류에 의해 절단되는 퓨즈도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몸체 양단에 설치되며 퓨즈도체부와 전기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속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접속단자는 적어도 전선과 결합되는 단부가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도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가지며, 외측면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는 접속단자의 중심선 방향과 나란한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 퓨즈를 교체할 때 접속단자와 너트를 이용하여 전선을 절단하기 않고 전선 퓨즈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이 짧아지거나 또는 교체될 필요가 없어 자재손실을 없앨 수 있고 교체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퓨즈{Fuse for electric line}
본 고안은 전선 퓨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에 설치되는 퓨즈와 전선과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선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전선 전체가 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중간에 전선이 끊어진 채 전압이 걸려 누전의 위험도 있게 된다. 이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으로 전선 퓨즈가 사용된다. 전선 퓨즈는 전선 중간에 설치되어 해당 전선에 규정 전류 이상이 흐르면 퓨즈가 절단되면서 더이상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아 전선을 보존시켜 준다. 따라서, 이상 전류의 문제를 해결한 후 전선에서 퓨즈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간단한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전선 퓨즈 접속구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퓨즈 외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개략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10)로 이루어지고, 통상 그 내부에는 전선(20)에 비해 쉽게 녹아 끊어질 수 있는 퓨즈도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원통형 몸체(10) 양단에 각각 하나씩 대칭을 이루면서 슬리브형 접속단자(11)가 구비된다. 슬리브형 접속단자(11)는 원통형 몸체(10) 내의 퓨즈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원통형 몸체(10)와 슬리브형 접속단자(11)가 접속된 부분에는 몸체보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형 고정부(13)가 있다. 고정부(13)의 일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전선 퓨즈의 양 쪽에서 전선(20)이 전선 퓨즈와 결합된다. 피복이 있는 전선(20)에서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고 중심의 도체전선(21)이 슬리브형 접속단자(11)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로 슬리브형 접속단자(11)를 압착하면 도체전선(21)이 접속단자(11)에 고정된다. 접속단자(11)와 전선(20)의 접속부분을 커버하도록 경사도가 작은 원뿔대 모양의 절연캡(30)이 설치된다. 절연캡(30)은 직경이 큰 일 측단이 전선 퓨즈 고정부(13)의 걸림턱에 걸려 걸림턱을 감싸도록 전선 퓨즈와 결합됨과 동시에 직경이 작은 타 측단은 전선(20)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전선과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전선 퓨즈는, 2개의 전선(20)과 전선 퓨즈의 양단이 접속될 때 상술된 바와 같이 도체전선(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형 접속단자(11)를 압축기로 압착시켜 고정하는 압착 슬리브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를 교체할 때 퓨즈 주변에서 연결된 전선(20)을 각각 절단하여야 했다.
따라서, 전선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 퓨즈와 함께 전선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새로 설치되는 전선 퓨즈와 전선을 접속할때 별도의 압축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여 공구사용 상의 비효율성이 있다. 즉, 자재손실이 크고, 별도 공구가 필요하며, 교체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선 퓨즈와 전선을 슬리브방식으로 끼운 후 압축시공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느슨해질 경우 전선 이탈 및 접속불량이 발생되고, 이 경우 퓨즈의 기능이 상실되어 정전사고는 물론 전원측인 주상 변압기가 소손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전선 퓨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 퓨즈 교체시 전선을 절단하지 않게 함은 물론, 특수한 압축프라이어 등의 별도 공구를 사용할 필요를 없애고, 전선 퓨즈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전선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접속개소의 이탈 및 접속불량을 없애 정전사고 및 변압기가 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전선 퓨즈와 전선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전선 퓨즈 일 측의 결합 상태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선 퓨즈와 전선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선 퓨즈 일 측의 결합 상태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몸체 11,110: 접속단자
13,130: 고정부 20 : 전선
21: 도체전선 30 : 절연단자캡
113: 절개부 115: 나사산
120: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전선 퓨즈는,
과전류에 의해 절단되는 퓨즈도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몸체 양단에 설치되며 퓨즈도체부와 전기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속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접속단자는 적어도 전선과 결합되는 단부가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도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가지며, 외측면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는 접속단자의 중심선 방향과 나란한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접속단자와 전선이 결합 고정된 뒤에 이 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절연캡이 더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접속단자 및 너트는 접속단자의 외면에 체결되는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접속단자의 중공 반경이 축소되면서 중공에 삽입되는 도체전선을 압착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면이 볼트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사용형태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 퓨즈와 전선 사이의 접속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선 퓨즈와 유사하게 외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개략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100)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전선에 비해 쉽게 녹아 끊어질 수 있는 퓨즈도체가 구비된다. 원통형 몸체(100) 양단에 각각 하나씩 대칭을 이루면서 접속단자(110)가 구비된다. 접속단자(110)는 원통형 몸체(100) 내의 퓨즈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원통형 몸체(100)와 접속단자(110)가 접속된 부분에는 몸체(100)보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형 고정부(130)가 있다. 고정부(130)의 일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달리 접속단자(110)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너트(1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접속단자(110)에도 피복을 제거한 상태의 도체전선(21)이 삽입되도록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나. 그 외측, 외주연에는 너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115)이 형성되며, 너트(120)가 끼워지는 쪽의 단부에는 적어도 일정 구간에 걸쳐 접속단자(110)의 중심선 방향과 나란한 절개부(113)가 형성된다. 절개부(113)에는 통상 간극이 존재한다.
접속단자(110)에 접속되기 위해 전선(20)의 단부에서 피복이 제거되고 도체전선(21)이 노출된다. 접속단자(110)에 체결된 너트(120)를 풀고 도체전선(21)은너트(120)를 통해 접속단자(110)의 단부에 있는 중공에 삽입된다. 접속단자(110)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가 벌어질 수 있으므로 도체전선(21)의 직경이 중공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작을 때에는 도체전선(21)은 쉽게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접속단자(110)와 너트(120)를 다시 체결한다. 접속단자(11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115)에 너트(120)의 나사산이 결합되면서 너트(120)를 진행시키면 너트(120)의 내경에 의해 도체전선(21)이 끼워진 접속단자(110)의 확장된 외경이 제한되고 접속단자(110)와 도체전선(21) 사이에는 강한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접속단자(110)의 중공을 이루는 내면과 도체전선(21)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지고, 도체전선(21)은 압착 고정된다.
도체전선(21)의 내경이나 접속단자(110)의 외경에 불구하고 전선 퓨즈와 전선(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접속단자(110) 단부의 절개부(113)가 길게 형성되고, 간극이 넓으면서, 절개부(113)에 의해 분할된 접속단자(110) 단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중심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너트(120)도 체결될 때의 접속단자(110)가 들어가는 인입측이 넓고, 반대의 인출측이 좁으면서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내면이 전반적으로 테이퍼각을 가지도록 즉,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너트(120)가 진행될수록 너트(120)의 내경이 좁아져 도체전선(21)이 삽입된 접속단자(110) 구간을 더욱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너트의 체결에는 통상적인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도 접속단자(110)와 전선(20)이 결합 고정된 뒤에 이 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절연시키기 위해서 절연캡(30)이 더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캡(30)은 접속단자(110)와 전선(20)의 접속부분을 커버하도록 경사도가 작은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절연캡(30)은 직경이 큰 일 측단이 전선 퓨즈 고정부(130)의 걸림턱에 걸려 걸림턱을 감싸도록 전선 퓨즈와 결합됨과 동시에 직경이 작은 타 측단은 전선(20)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전선(20)과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 퓨즈를 교체할 때 접속단자와 너트를 이용하여 전선을 절단하기 않고 전선 퓨즈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이 짧아지거나 또는 교체될 필요가 없어 자재손실을 없앨 수 있고 교체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너트의 조임에 의해 전선 퓨즈와 전선을 강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선 이탈 및 접속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과전류에 의해 절단되는 퓨즈도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도체부와 전기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단자는 적어도 전선과 결합되는 단부가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도체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가지고, 외측면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단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중심선 방향과 나란한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전선이 결속되는 부분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입구측에서 출구측 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퓨즈.
KR20-2003-0034211U 2003-10-31 2003-10-31 전선 퓨즈 KR200339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11U KR200339329Y1 (ko) 2003-10-31 2003-10-31 전선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11U KR200339329Y1 (ko) 2003-10-31 2003-10-31 전선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329Y1 true KR200339329Y1 (ko) 2004-01-24

Family

ID=4942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211U KR200339329Y1 (ko) 2003-10-31 2003-10-31 전선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3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88B1 (ko) * 2013-09-13 2015-03-09 구주기술 주식회사 피뢰기 삽입형 컷 아웃 스위치
KR102219107B1 (ko) * 2019-10-30 2021-02-24 한국전력공사 결함 복구가 용이한 전선 휴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88B1 (ko) * 2013-09-13 2015-03-09 구주기술 주식회사 피뢰기 삽입형 컷 아웃 스위치
KR102219107B1 (ko) * 2019-10-30 2021-02-24 한국전력공사 결함 복구가 용이한 전선 휴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47B1 (ko) 전기 코넥터 메카니즘용 접지 링크
CN104335296B (zh) 用于对过电压进行放电的设备
US6607860B2 (en) Serviceable fused battery terminal
US4280748A (en) Fusible terminal
EP1253692B1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KR200339329Y1 (ko) 전선 퓨즈
EP2073241B1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US3492629A (en) Device for joining cables
KR20140083830A (ko) 고전압 퓨즈
US6948955B2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KR200449874Y1 (ko) 링터미널의 고정장치
US6667871B2 (en) Arrester housing with weak section
CN107996009B (zh) 矿用线缆耦合器连接器及相关组件和方法
KR100635788B1 (ko) 전선 접속모듈
KR20230107033A (ko) 전선퓨즈 체결구조
KR200218870Y1 (ko) 전선 휴즈 접속구조
KR200329882Y1 (ko) 저압인입선용 보호장치
KR200329881Y1 (ko) 전선삽입볼트를 구비한 전선휴즈
KR920007954Y1 (ko) 개폐기능을 갖춘 전선퓨우즈
US4260976A (en) Current limiting fuse with auxiliary element
US2836682A (en) Separable multiple tap connector
JPH1023650A (ja) 機器直結形ケーブルヘッド
KR970003545Y1 (ko) 방전봉
KR0182837B1 (ko) 옥외 고압선용 유니언
US20200075282A1 (en) Fuse link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