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33A - 전선퓨즈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전선퓨즈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033A
KR20230107033A KR1020220002933A KR20220002933A KR20230107033A KR 20230107033 A KR20230107033 A KR 20230107033A KR 1020220002933 A KR1020220002933 A KR 1020220002933A KR 20220002933 A KR20220002933 A KR 20220002933A KR 20230107033 A KR20230107033 A KR 2023010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astening
fuse
intermediate member
wir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033A/ko
Publication of KR2023010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퓨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퓨즈가 내장된 전선퓨즈의 몸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전선의 도체가 삽입되는 접속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선의 일부분과 접속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간부재, 중간부재의 일측에 체결되되 접속부가 도체를 압착하도록 중간부재를 조이며 체결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여 전선퓨즈에 전선을 연결할 때 별도의 전용 압착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볼트 조임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어서 종래의 불량 압착 시공을 미연에 방지하고 과열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선퓨즈 체결구조 {The electric line fuse Contra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전선퓨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트 조임방식을 이용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선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전선 전체가 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중간에 전선이 끊어진 채 전압이 걸려 누전의 위험도 있게 된다. 이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으로 전선 퓨즈가 사용된다.
전선 퓨즈는 전선 중간에 설치되어 해당 전선에 규정 전류 이상이 흐르면 퓨즈가 절단되면서 더이상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아 전선을 보존시켜 준다. 따라서, 이상 전류의 문제를 해결한 후 전선에서 퓨즈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간단한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전선 퓨즈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퓨즈 외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개략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1)로 이루어지고, 통상 그 내부에는 전선(4)에 비해 쉽게 녹아 끊어질 수 있는 퓨즈 도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원통형 몸체(1) 양단에 각각 하나씩 대칭을 이루면서 슬리브형 접속단자(3)가 구비된다. 슬리브형 접속단자(3)는 원통형 몸체(1) 내의 퓨즈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원통형 몸체(1)와 슬리브형 접속단자(3)가 접속된 부분에는 몸체보다 작은 직경의 실린더형 고정부(2)가 있다. 고정부(2)의 일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전선 퓨즈의 양 쪽에서 전선(4)이 전선 퓨즈와 결합된다. 피복이 있는 전선(4)에서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고 중심의 도체전선(5)이 슬리브형 접속단자(3)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로 슬리브형 접속단자(3)를 압착하면 도체 전선(5)이 접속단자(3)에 고정된다. 접속단자(3)와 전선(4)의 접속부분을 커버하도록 경사도가 작은 원뿔대 모양의 절연캡(6)이 설치된다. 절연캡(6)은 직경이 큰 일 측단이 전선 퓨즈 고정부(2)의 걸림턱에 걸려 걸림턱을 감싸도록 전선 퓨즈와 결합됨과 동시에 직경이 작은 타 측단은 전선(4)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전선과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전선 퓨즈는, 슬리브형 접속단자를 압착하여 도체 전선을 접속단자에 고정할 때, 전용 압착공구 미 휴대로 인한 불량 압착 시공으로 슬리브형 접속단자 부분에서 과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저압정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퓨즈 교체시 접속단자와 도체 전선의 압착부분을 절단함에 따라 교체시공이 복잡해지고 교체비용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선퓨즈에 전선을 연결할 때 별도의 전용 압착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볼트 조임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어서 종래의 불량 압착 시공을 미연에 방지하고 과열 발생을 방지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선퓨즈 교체시 볼트 조임방식을 풀었다가 다시 체결함에 따라 교체시공이 간단해지며 교체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선퓨즈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가 내장된 전선퓨즈의 몸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전선의 도체가 삽입되는 접속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선의 일부분과 접속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간부재, 중간부재의 일측에 체결되되 접속부가 도체를 압착하도록 중간부재를 조이며 체결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재는 일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속부가 삽입되는 체결부,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는 일측 단부의 두곳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조임부재와 체결시 간격이 좁아지는 절개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는 절개슬릿의 함몰된 안쪽에 절개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변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는 외주면 일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압착홈을 구비하고, 체결부는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압착홈에 삽입되며 조임부재가 체결될수록 압착홈을 가압하는 압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퓨즈에 전선을 연결할 때 별도의 전용 압착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부재에 조임부재를 체결하는 볼트 조임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어서 종래의 불량 압착 시공을 미연에 방지하고 과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퓨즈 교체시 중간부재에서 조임부재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져 교체시공이 간단해지며 교체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퓨즈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체결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중간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조임부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체결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중간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의 조임부재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퓨즈 체결구조는 퓨즈(미도시)가 내장된 전선퓨즈(100)의 몸체(110)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전선(10)의 도체(11)가 삽입되는 접속부(120),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10)의 일부분과 접속부(12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간부재(200), 중간부재(200)의 일측에 체결되되 접속부(120)가 도체(11)를 압착하도록 중간부재(200)를 조이며 체결되는 조임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퓨즈(100) 체결구조는 별도의 전용 압착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전선퓨즈(100)에 전선(1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전선퓨즈(100)에 구비된 접속부(120)와, 중간부재(200), 조임부재(300)로 구성된다.
전선퓨즈(1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퓨즈가 내장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속부(120)로 구성된다.
접속부(1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10)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되고, 내측으로 전선(10)의 도체(11)가 삽입되어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부(120)는 외주면 일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압착홈(121)을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홈(121)이 길이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임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홀(310)을 구비하여 중간부재(200)를 조임 체결한다.
이러한 조임부재(300)는 일예로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스패너 등의 공구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부재(2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10)의 일부분과 접속부(12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중간부재(200)는 일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속부(120)가 삽입되는 체결부(210)와,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전선(10)이 삽입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체결부(2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임부재(300)가 나사 체결되며, 내측으로 접속부(1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부(210)의 내주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체결부(210)의 내측으로 접속부(120)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돌출부(220)는 체결부(210)의 타측단에서 단차지며 체결부(21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전선(10)이 삽입되고, 보다 정확하게는 전선(10)의 피복(12)이 삽입된다.
그리고, 체결부(210)에는 조임부재(300)에 의해 조임 체결될 때 접속부(120)가 도체(11)를 압착하도록 접속부(120)를 가압하기 위해 절개슬릿(211)과 압착돌기(213)가 마련된다.
절개슬릿(211)은 체결부(210)의 일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체결부(210)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곳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절개슬릿(211)은 축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체결부(210)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단과 인접한 부분까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결부(210)에 조임부재(300)가 체결될 때 절개슬릿(211)의 폭이 좁아지며 체결부(210)의 내경이 좁아지며 접속부(120)를 장악할 수 있게 되고, 접속부(120)가 전선(10)의 도체(11)에 압착되며 전선(10)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절개슬릿(211)은 함몰된 안쪽에 절개슬릿(211)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변형홀(212)을 구비하여 체결부(210)의 내경이 변형되면서 절개슬릿(211)의 함몰된 안쪽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체결부(210)가 원활하게 변형되도록 한다.
압착돌기(213)는 체결부(2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접속부(120)에 형성된 압착홈(121)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압착홈(121)과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부(210)에 접속부(120)가 삽입될 때 압착홈(121)에 삽입되어 체결부(210)와 중간부재(200) 사이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압착돌기(213)는 압착홈(121)에 삽입되어 체결부(210)에 조임부재(300)가 체결될수록 압착홈(121)을 가압하며 이러한 가압력으로 접속부(120)가 전선(10)의 도체(11)에 압착되며 고정된다.
도 5를 기준으로 체결부(210)는 절개슬릿(21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압착돌기(213)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절개슬릿(211)이 좁아지며 변형되면 압착돌기(213)가 내측으로 더 돌출되면서 접속부(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악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전선퓨즈(100)에 전선(10)을 체결하는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선(10)은 일측단의 피복(12)을 벗겨내어 도체(11)가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한쪽에 중간부재(200)와 조임부재(300)가 거치된다.
이러한 전선(10)의 도체(11)를 전선퓨즈(100)의 접속부(120)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중간부재(200)를 전선퓨즈(1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중간부재(200)의 체결부(210)가 접속부(120)를 완전히 덮으며 압착돌기(213)가 압착홈(121)에 삽입되면, 조임부재(300)를 전선퓨즈(100) 측으로 이동시킨 후 체결부(210)에 나사 체결시킨다.
이때, 접속부(120)에는 압착홈(121)과 압착돌기(213)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절개슬릿(211)에 삽입되어 절개슬릿(2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임부재(300)를 체결부(210)에 나사 체결할 때, 작업자가 체결부(210)의 일측단을 장악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부(210)에 조임부재(300)가 나사 체결되면서 절개 슬릿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이렇게 전선퓨즈(100)의 반대측에도 전선(10)을 체결하여 작업이 완료되며, 전선퓨즈(100)의 양측으로 접속된 전선(10)의 도체(11)는 퓨즈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선퓨즈(100)와 전선(10)의 교체시에는 체결부(210)에서 조임부재(300)를 풀러 분리한 후 중간부재(200)를 접속부(120)에서 분리함에 따라 접속부(120)에서 전선(1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공구 없이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선퓨즈에 전선을 연결할 때 별도의 전용 압착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부재에 조임부재를 체결하는 볼트 조임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어서 종래의 불량 압착 시공을 미연에 방지하고 과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퓨즈 교체시 중간부재에서 조임부재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져 교체시공이 간단해지며 교체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선 11: 도체
100: 전선퓨즈 110: 몸체
120: 접속부 121: 압착홈
200: 중간부재 210: 체결부
211: 절개슬릿 212: 변형홀
213: 압착돌기 220: 돌출부
300: 조임부재 310: 체결홀

Claims (6)

  1. 퓨즈가 내장된 전선퓨즈의 몸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전선의 도체가 삽입되는 접속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일부분과 상기 접속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일측에 체결되되 상기 접속부가 상기 도체를 압착하도록 상기 중간부재를 조이며 체결되는 조임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일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체결부; 및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 단부의 두곳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재와 체결시 간격이 좁아지는 절개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개슬릿의 함몰된 안쪽에 상기 절개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변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외주면 일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압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압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조임부재가 체결될수록 상기 압착홈을 가압하는 압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퓨즈 체결구조.
KR1020220002933A 2022-01-07 2022-01-07 전선퓨즈 체결구조 KR20230107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33A KR20230107033A (ko) 2022-01-07 2022-01-07 전선퓨즈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33A KR20230107033A (ko) 2022-01-07 2022-01-07 전선퓨즈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033A true KR20230107033A (ko) 2023-07-14

Family

ID=8715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933A KR20230107033A (ko) 2022-01-07 2022-01-07 전선퓨즈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47B1 (ko) 전기 코넥터 메카니즘용 접지 링크
KR950012465B1 (ko)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EP0258377B1 (en) A cable jointing clamp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KR102064819B1 (ko) 활선상태 차단기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
US10333247B2 (en) Wire harness
CA2443597C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KR20230107033A (ko) 전선퓨즈 체결구조
US6948955B2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US8169292B2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EP0465261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core cable connectors
US6863567B2 (en) Electrical wiring with strain relief
KR200339329Y1 (ko) 전선 퓨즈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CZ285570B6 (cs) Koncovka nebo spojovací svorka pro opláštěný nadzemní kabel a momentový šroub použitý v ní
KR100635788B1 (ko) 전선 접속모듈
KR200218870Y1 (ko) 전선 휴즈 접속구조
JPH1186919A (ja) より線導体のための接続部を有する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
US20100154212A1 (en) Electric wire press fitting method
CA2167230A1 (en) Protective cap for starter connecting clamps
JP6891800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構造
US20220200220A1 (en) Bus Bar Contact for Attachment to a Bus Bar, and Method for Attaching a Bus Bar Contact
WO2016203589A1 (ja) 接続構造および接続部保護部材
KR200329881Y1 (ko) 전선삽입볼트를 구비한 전선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