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65B1 -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65B1
KR950012465B1 KR1019920000181A KR920000181A KR950012465B1 KR 950012465 B1 KR950012465 B1 KR 950012465B1 KR 1019920000181 A KR1019920000181 A KR 1019920000181A KR 920000181 A KR920000181 A KR 920000181A KR 950012465 B1 KR950012465 B1 KR 95001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able
cable end
contact
ar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660A (ko
Inventor
베. 퇴르너 볼프강
Original Assignee
베. 퇴르너 볼프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100600A external-priority patent/DE4100600A1/de
Application filed by 베. 퇴르너 볼프강 filed Critical 베. 퇴르너 볼프강
Publication of KR92001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3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wedge or pin penetrating into the end of a wire in axial direction of the wi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제1도는 신취(RCA) 플러그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바나나플러그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유니온너트 11, 39 : 케이블
12 : 내부도체코어 13 : 외부도체
13a : 부가의 외측외부도체 15, 41 : 외부절연부
16 : 슬리브 17 : 프로필
18 : 아아버 19 : 나이프접점
20 : 외측지지링 22, 23 : 나사줄
24 : 너트 25 : 스크루
본 발명은 앞면으로부터 케이블단부의 도체코어내로 관통하는 앞쪽이 뾰쪽한 최소한 하나의 접점 및 케이블단부위로 밀려질 수 있으며, 방사방향 변형에 의해 케이블단부의 외부 절연부에 대해 압착될 수 있는 슬리브로 이루어진 하나의 인장력 경감부를 가진 플러그몸체, 잭 몸체 또는 전기장치에 그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된 케이블단부를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컨대, 독일 공개공보 제25 10 299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장치의 경우에는 접속시 케이블단부의 앞면을 플러그몸체에 대해 압착시켜 그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잡한 특수공구가 필요하다.
그 다음 작업공정에서, 앞쪽이 뾰쪽한 금속접점이 플러그몸체를 통해 케이블단부내로 조여짐으로써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위해 재차 별도의 스크루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최종작업공정에서 슬리브는 6에지프레스에 의해 접촉 장소위에 압착된다. 즉, 공지된 장치는 케이블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연이은 작업공정을 필요로 한다. 유사한 장치가 독일 실용신안 제79 03 554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인장력 경감부를 형성하는 압착가능한 슬리브가 없다. 그대신 여기서는 플러그몸체의 하우징 절반에 의해 방사방향 압축력이 케이블의 외부 절연부에 가해진다. 이 장치에서는 먼저 뾰쪽하지 않게 절단된 케이블단부가 수동으로 앞쪽이 뾰쪽한 접점(들)에 조여진다. 그 다음 하우징 절반이 케이블단부 둘레에 놓이고, 필요한 방사방향 압축력이 발생되게 하기 위해 상당한 힘으로 압축된다. 이 경우에는 먼저 느슨하게 케이블단부내로 삽입된 접점이 필요한 압축변형의 발생전에 케이블단부로부터 미끌어져 나오지 않는가에 면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과 관련해서 면밀하지 못한 작업이 수행되면 원하는 바의 접점 품질이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장치를 특수한 공구없이 훨씬 간소화된 작업공정에서 조립가능하며, 케이블단부에 보다 양호한 고정을 제공하고, 케이블단부의 도체코어(들)와 절대적으로 느슨해짐이 없는 접점을 만들도록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방식의 장치에서부터 시작해서, 슬리브가 그 내부에 있는 케이블단부와 함께 유니온너트의 나사줄에 의해 축방향으로 전기접점위로 밀려질 수 있고, 이때 그 외측면은 외측지지링에 지지되며, 지지링에 대한 슬리브의 지지는, 슬리브가 그 축방향이동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무엇보다도 특수한 공구없이 매우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을 위해, 슬리브가 앞쪽으로부터 뾰쪽하지 않게 절단된 케이블단부상에 꽂혀진 다음 케이블단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전기접점위로 밀려진다.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필요한 축방향의 상당한 힘은 유니온너트의 나사줄에 의해서만 발생된다. 이동과정시 앞쪽이 뾰쪽한 접점은 케이블단부의 도체코어내로 삽입되어 이 도체코어와 함께 전기접점을 형성한다. 접점의 삽입시 케이블의 절연물질이 외부로의 방사방향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슬리브내부에 방사방향 압축 변형이 일어난다. 이러한 압축변형에 의해 케이블의 외부절연부가 슬리브의 내부벽에 접하게 되므로 슬리브와 외부절연부 사이의 밀접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슬리브는 그 축방향 이동에 의해 동일한 작업공정에서 그것을 둘러싼 지지링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로인해 더욱 증가되는 슬리브내부에서의 압축변형은 접점과 도체코어 사이의 느슨해짐이 없는 강력한 결합력을 발생시키는데, 그 이유는 슬리브가 그것을 둘러싼 지지링에 항상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재 변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한 장점은, 높은 방사방향 압축변형하에 있는 절연부내에 전기접점이 만들어지므로 접촉장소가 절연 물질에 의해 긴밀하게 차폐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만들어진 전기접점이 부식성 주위 영향으로부터, 특히 안전하게 밀폐되기 때문에 접점부식에 의한 접점에러가 확실하며 연구적으로 방지된다.
슬리브의 방사방향 변형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리브에 하나 또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이 형성되거나 슬리브가 상응하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력 경감부로 사용되는 슬리브의 내측면에는 슬리브와 케이블의 외부절연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프로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은 외부로부터 외부절연부내로 압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마찰접촉을 현저히 증기시키기 때문에 인장력 경감부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더 증가된다.
앞쪽이 뾰쪽한 접점은 외측면에 톱니프로필이 형성된 아아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니프로필은 도체코어의 영역에서의 접촉을 개선시킨다. 즉, 이 톱니프로필은 적어도 톱니첨단의 영역에서 도체코어의 와이어에 대한 양호한 갈바닉 접촉을 일으킨다.
동축케이블에 사용하는 경우 내부도체코어에 대한 단자접점은 아아버로, 그리고 외부도체에 대한 접점은 아아버를 동심으로 둘러싼 나이프접점의 직경을 외부도체 직경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다수의 접점이 만들어져야 하므로, 접속이 통상적으로 매우 복잡한 동축케이블에도 장치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조립비용은 통상의 단심 케이블에 대한 조립비용과 동일하다.
아아버와 나이프접점 조합체의 사용시 아아버의 뾰쪽한 단부는 나이프접점의 뾰쪽한 단부보다 더 돌출한다.
이로인해 아아버를 내부도체코어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케이블단부에서 나이프접점의 삽입전에 이미 나이프접점의 종방향으로의 안내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외계와의 자기적 차폐를 위한 부가의 외측 외부도체를 가진 동축케이블에 결합된 플러그의 사용시 동축플러그의 유니온너트에 동축케이블에 대해 횡으로 너트가 형성되며, 이 너트내로 아아버 스크루가 동축케이블의 외측 외부도체의 접촉을 위해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아아버 나사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 외측 외부도체와 플러그몸체, 잭몸체 또는 전기장치의 하우징 사이의 전기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2가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신취(CINCH)(RCA)플러그의 플러그측은 종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는 금속 플러그몸체(1)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몸체(1)의 플러그측에는 절연슬리브(4)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외측링접점(2)과 접촉핀(3)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링접점(2)의 외측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종방향 슬롯에 의해 다수의 텅으로 세분되며, 상기 텅들은 콜릿 척(COLLET CHUCK)의 메카니즘으로 함께 압축될 수 있다.
압착시 지지링(5)이 사용되며, 상기 지지링(5)은 외부로부터 외측링접점(2)의 원추형표면에 접하여 있고, 플러그몸체(1)를 둘러싼 재킷 슬리브의 전방단부에 인장 및 압축되지 않으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이것과 함께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하다. 콜릿 척 메카니즘의 작동에 사용되는 이러한 축방향 조절은, 플러그몸체(1)에 조여진 유니온너트(9)의 외부둘레에 있는 외부나사줄(8)에 맞물려지는 재킷슬리브(6)의 내부나사줄(7)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유니온너트(9)의 작용은 하기에서 설명되어진다.
유니온너트(9)의 케이블접속측에는 동축케이블(11)의 관통을 위한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동축케이블(11)은 다수의 미세한 와이어로 이루어진 내부도체(12)와 예컨대, 미세한 와이어피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부도체(13)를 갖는다. 내부도체(12)와 외부도체(13) 사이에는 유전특성을 갖는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절연측(14)이 있다. 외부도체(13)의 외측면은 마찬가지로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절연부(1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외부절연부(15)와 외부도체(13) 사이에는 경우에 따라 부가의 외측외부도체(13a)가 매립될 수 있으며, 이 부가의 외측외부도체(13a)는 외계와의 자기적 차폐를 위해 사용되며, 이것에 적합한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축케이블(11)의 접속측단부는 케이블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절단면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외부절연부(15)에 삽입된 슬리브(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슬리브(16)의 내측면에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프로필(17)이 형성되어 인장력을 경감시킨다.
플러그몸체(1)의 중앙에는 아아버(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아버(18)의 종축은 동축케이블(11)의 종축와 일치하고 아아버(18)의 첨단은 접속되는 동축케이블(11)의 방향을 가르킨다.
상기 아아버(18)는 톱니프로필을 가지며 접촉핀(3)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아아버(18)는 간격을 두고 링형 나이프접점(19)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나이프접점(19)의 뾰쪽한 측면은 마찬가지로 접속되는 동축케이블(11)을 향하고 있고, 상기 나이프접점(19)의 직경은 동축케이블(11)의 외부도체(13)의 직경에 대략 상응한다. 나이프접점(19)은 외측링접점(2)에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인장력경감을 위해 사용되는 슬리브(16)는 전방단부에 원추형면(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면은 외측지지링(20)에 접하여 있다. 상기 외측지지링(20)은 플러그몸체(1)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그 후방단부는 슬리브(16)의 원추형면(16a)에 대한 역 원추형면(20a)을 갖는다. 또한, 슬리브(16)는 방사방향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슬리브(16)에 하나 또는 다수의 종방향슬롯을 형성하거나 슬리브(16)를 상응하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16)의 후방단부는 유니온너트(9)의 쇼울더(21)에 접한다. 상기 유니온너트(9)에는 플러그몸체(1)의 외부나사줄(23)에 맞물리는 내부나사줄(2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을 위해 먼저, 동축케이블(11)의 그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평탄하게 절단된다. 그 다음 유니온너트(9)는 그 나사줄이 앞쪽으로 나타나도록 동축케이블의 단부상으로 밀려진다. 그리고 나사 슬리브(16)는 동축케이블(11)의 평탄하게 절단된 단부위로 밀려져서 동축케이블(11)과 함께, 슬리브(16)의 원추형면(16a)이 지지링(20)의 역 원추형면(20a)에 접할만큼 아아버(18)와 나이프 접점장치(19)의 방향으로 밀려진다. 그리고 나사 유니온너트(9)가 플러그몸체(1)에 조여진다. 유니온너트가 플러그몸체(1)에 조여질 때 슬리브(16)는 유니온너트(9)의 쇼울더(21)에 의해 상당한 힘으로 아아버(18)와 나이프접점장치(19) 위로 밀려진다. 이때 먼저 아아버(18)의 첨단이 동축케이블(11)의 내부도체코어(12)내로 삽입되며 거기서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나이프접점(19)의 뾰쪽한 단부가 외부도체(13)의 영역에서 동축케이블(11)의 단부내로 삽입되어 외부도체(13)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동시에 축방향이동 및 원추형면(16a) 및 (20a)에 의해 슬리브(16)가 방사방향으로 압축되므로 슬리브(16)내에 있는 동축케이블(1)의 단부가 강력하게 압축변형된다. 이러한 압축변형은 전기접촉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접촉장소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폐시킨다.
부가의 외측외부도체(13a)를 가진 동축케이블(11)이 사용되어야 하고 이 케이블(11)이 상기 부가의 외측외부도체(13a)에 접촉되어야 하면, 동축케이블(11)에 대해 횡으로 형성된 너트(24)가 동축케이블(11)의 관통영역에서 유니온너트(9)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24)내로 스크루(25)가 조여져 있다.
상기 스크루(25)의 돌출부는 동축케이블(11)의 외부절연부(15)를 관통하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유니온너트(9)와 부가의 외부도체(13a) 사이의 전기접촉을 일으킨다.
유니온너트(9)는 물론 나사줄(23)을 통해 플러그몸체(1)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접속된다.
제2도의 실시예는 플러그측이 종래대로 구성된 바나나(BANANA) 플러그를 나타낸다. 상기 바나나플러그의 외부둘레에는 절연 손잡이 슬리브(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30)는 내부에 놓인 금속플러그몸체(31)를 둘러싸고 있다. 플러그몸체(31)는 금속접점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32)의 전방 단부는 바나나플러그의 플러그핀(3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핀(33)은 중공이며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되고, 팽창 메카니즘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팽창 메카니즘은 플러그핀의 내부에 배치된 볼트(34)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의 외측단부는 원추형 팽창헤드(35)를 가지며 그 플러그측 단부는 횡방향 볼트(36)를 갖는다.
상기 횡방향 볼트(36)는 회전가능한 슬리브헤드(38)의 스크루면(37)에 접하며, 상기 슬리브헤드(38)는 손잡이 슬리브(30)의 전방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손잡이 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절연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슬리브헤드(38)의 스크루면(37)은, 스크루헤드(38)의 비틀림시 인장력이 볼트(34)에 가해지고, 상기 인장력에 의해 플러그핀(33)이 팽창되고 그 삽입구에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도에 따른 바나나플러그의 케이블접속측은 제1도에 도시된 신취 플러그에서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바나나플러그에도 유니온너트(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온너트(9)는 나사줄(22)(23)에 의해 플러그몸체(31)에 조여질 수 있고 외부둘레에 외부나사줄(8)을 갖는다. 상기 외부나사줄(8)에 손잡이 슬리브(30)가 조여질 수 있다.
여기서도, 유니온너트(9)의 케이블접속측에는 케이블(39)의 관통을 위한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39)은 여기서는 미세한 와이어로 이루어진 내부도체코어(40)만을 갖는다. 케이블(39)의 도체코어(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외부절연부(4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케이블(39)의 접속측 단부는 케이블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외부 절연부(41)에 접한 슬리브(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슬리브(16)는 그 내측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프로필(17)을 갖으며 인장력을 경감시킨다. 플러그몸체(31)에 배치된 접점부(32)의 케이블접속측 중심에는 아아버(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아버(18)의 종축은 케이블(39)의 종축과 일치하며 그 첨단이 접속되는 케이블(39)의 방향을 가르킨다.
인장력 경감을 위해 사용되는 슬리브(16)의 전방단부에는 여기서도 원추형면(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면은 외측지지링(20)에 접한다. 상기 지지링(20)은 플러그몸체(31)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후방단부에 슬리브(16)의 원추형면(16a)에 대한 역 원추형면(20a)을 갖는다. 또한 슬리브(16)는 여기서도 방사방향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슬리브(6)에 하나 또는 다수의 종방향 슬롯을 형성하거나 슬리브(16)를 상응하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16)의 후방단부는 유니온너트(9)의 쇼울더(1)에 접한다.
조립을 위해 케이블(31)이 먼저 그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평탄하게 절단된다. 그 다음 유니온너트(9)는 그 나사줄이 앞쪽으로 나타나도록 케이블(39)의 단부로 밀려진다. 그리고나서 슬리브(16)는 케이블(39)의 평탄하게 절단된 단부위로 밀려져서 케이블(39)과 함께, 슬리브(16)의 원추형면(16a)이 지지링(20)의 역 원추형면(20a)에 접할만큼 아아버(18)의 방향으로 밀려진다. 그리고나서, 유니온너트(9)가 플러그몸체(1)에 조여진다. 이로인해, 슬리브(16)가 내부에 놓인 케이블(39)과 함께 상당한 힘으로 축방향으로 아아버(18)로 밀려지고 동시에 방사방향으로 내부로 변형되므로 아아버(18)와 케이블(39)의 도체코어(40) 사이에 매우 강력한 압축변형이 일어나며 이러한 압축변형은 강력한 전기접촉을 일으키며 접촉장소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차폐시킨다.

Claims (4)

  1. 앞면으로부터 케이블단부의 도체코어내로 관통하는 앞쪽이 뾰쪽한 최소한 하나의 접점 및 케이블단부위로 밀려질 수 있으며 방사방향 변형에 의해 케이블단부의 외부절연부에 대해 압착될 수 있는 슬리브로 이루어진 하나의 인장력 경감부를 가진 플러그몸체, 잭몸체 또는 전기장치에 그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된 케이블단부를 접속하기 위하여, 슬리브(16)가 그 내부에 있는 케이블단부와 함께 유니온너트(9)의 나사줄(22)과 플러그몸체(1)의 외부나사줄(23)에 의해 축방향으로 전기접점위로 밀려질 수 있고, 이때 그 외측면은 외측지지링(20)에 지지되며, 지지링(20)에 대한 슬리브(16)의 지지는, 슬리브(16)가 그 축방향이동시 방사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슬리브(16)가 그 내부에 있는 케이블단부와 함께 밀려들어갈 때 동축케이블(11)에 미세한 와이어로 이루어진 내부도체(12)에 플러그몸체(1)의 중앙에 설치된 아아버(18)가 삽입되어 접속되게 하고 미세한 와이어피복으로 이루어진 외부도체(13)에는 아아버(18)와 간격을 두고 둘러싸여 있는 앞쪽이 뾰쪽하고 직경이 외부도체(13)에 상응하는 나이프접점(19)이 삽입되어 접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케이블단부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앞쪽이 뾰쪽한 접점은 아아버(18)로 형성되고, 상기 아아버(18)는 외측면에 톱니프로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아아버(18)의 뾰쪽한 단부는 나이프접점(19)의 뾰쪽한 단부보다 더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부가의 외부도체를 가진 동축케이블에 사용하는 경우 유니온너트(9)에 동축케이블(11)에 대해 횡으로 너트(24)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내로 아아버 스크루(25)가 동축케이블(11)의 외측외부도체(13a)의 접촉을 위해 조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20000181A 1991-01-11 1992-01-09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KR950012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0600A DE4100600A1 (de) 1991-01-11 1991-01-11 Vorrichtung fuer den anschluss eines koaxialkabels
DEP4100600.3 1991-01-11
DEP41402278 1991-12-06
DEP4140227.8 1991-12-06
DE4140227A DE4140227A1 (de) 1991-01-11 1991-12-06 Vorrichtung fuer den anschluss eines kabelen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660A KR920015660A (ko) 1992-08-27
KR950012465B1 true KR950012465B1 (ko) 1995-10-18

Family

ID=2590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181A KR950012465B1 (ko) 1991-01-11 1992-01-09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18458A (ko)
EP (1) EP0494438B1 (ko)
JP (1) JP2503339B2 (ko)
KR (1) KR950012465B1 (ko)
AT (1) ATE135143T1 (ko)
DE (3) DE9116154U1 (ko)
DK (1) DK0494438T3 (ko)
ES (1) ES208647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1206T3 (es) * 1992-02-14 1996-02-16 Itt Ind Ltd Conectadores electricos.
US5501616A (en) * 1994-03-21 1996-03-26 Holliday; Randall A. En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WO1995027319A1 (de) * 1994-03-31 1995-10-12 Prüftechnik Dieter Busch AG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eines koaxialkabels an mit weiterführenden leitungseinrichtungen verbindbare kontakte
DE4418259C1 (de) * 1994-05-25 1995-08-24 Hirschmann Richard Gmbh Co Mehrpoliger Kabelsteckverbinder
US5683265A (en) * 1995-10-06 1997-11-04 Lucent Technologies Inc. Barrel plug having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US5775934A (en) * 1996-05-15 1998-07-07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US6123567A (en) * 1996-05-15 2000-09-26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AU742223B2 (en) * 1996-05-15 2001-12-20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JP3176862B2 (ja) * 1996-06-21 2001-06-1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851124A (en) * 1996-09-11 1998-12-22 Young; Bruce Lynn Locking wire connector
CA2240724C (en) * 1996-10-23 2001-02-0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axial cable connector
AU2959297A (en) * 1997-05-21 1998-12-11 See Sprl Method for connecting coaxial cables and connector therefor
US5879191A (en) * 1997-12-01 1999-03-09 Gilbert Engineering Co, Inc. Zip-grip coaxial cable F-connector
US5888091A (en) * 1997-12-03 1999-03-30 The Whitaker Corporation Termination of an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
US6422759B1 (en) 1998-05-29 2002-07-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US6244893B1 (en) 1998-10-30 2001-06-12 Charles Dudley Stranded wire electrical connector
US6705884B1 (en) 1999-08-16 2004-03-16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796829B1 (en) * 2000-03-03 2004-09-28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648683B2 (en) * 2001-05-03 2003-11-18 Timothy L. Youtsey Quick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6561846B2 (en) 2001-07-10 2003-05-13 J. D'addario & Co., Inc. Coupler for banana plug connectors and coupled banana plug connectors
US6857895B2 (en) 2001-07-17 2005-02-22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7121872B1 (en) 2005-05-31 2006-10-17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ference collar
US7077683B1 (en) * 2005-06-15 2006-07-18 Nicky Charles Ross Ratcheting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US7500868B2 (en) * 2006-05-02 2009-03-10 Michael Holland Compression connector for stranded wire
CN100384026C (zh) * 2006-05-25 2008-04-23 宁波市吉品信息互连工业有限公司 电缆插头连接器
US7837494B2 (en) * 2007-02-26 2010-11-23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onnection of wire to a lead frame
US7476119B2 (en) * 2007-04-23 2009-01-13 D'addario & Company, Inc. Plug connector
US8303339B2 (en) 2009-09-09 2012-11-0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Audio jack connector device
US8016615B2 (en) * 2009-09-09 2011-09-13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Phone plug connector device
US7997929B2 (en) 2009-08-13 2011-08-1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Phone plug connector device
US8419469B2 (en) * 2009-08-13 2013-04-16 Ppc Broadband, Inc. Audio jack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246392B2 (en) * 2009-09-09 2012-08-2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ecurable connector
CN201708261U (zh) * 2010-04-07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1708260U (zh) * 2010-04-07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1773964U (zh) * 2010-05-12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WO2011146911A1 (en) 2010-05-21 2011-11-24 Pct International, Inc.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439707B2 (en) 2010-06-09 2013-05-14 Ppc Broadband, Inc. Compressio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cable
US8465321B2 (en) 2010-06-09 2013-06-18 Ppc Broadband, Inc. Protruding contact receiver for multi-conductor compression cable connector
US8579658B2 (en) 2010-08-20 2013-11-12 Timothy L. Youtsey Coaxial cable connectors with washer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mated connectors
US8702444B2 (en) 2010-10-18 2014-04-22 Panduit Corp. 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able manager
US8449311B2 (en) 2010-10-19 2013-05-28 Ppc Broadband, Inc. Locking audio plug
US8348692B2 (en) 2010-11-30 2013-01-08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ecurable multi-conductor cable connection pair having threaded insert
DE202010016711U1 (de) * 2010-12-17 2012-03-1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mit Ferring zur Kontaktkrafterzeugung
US20120295464A1 (en) 2011-05-19 2012-11-22 Pct International, Inc. Coaxial connector
US8911254B2 (en) 2011-06-03 2014-12-16 Ppc Broadband, Inc.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having more than one coaxial cable and method thereof
KR101290687B1 (ko) * 2011-11-10 2013-07-29 화신산업 주식회사 케이블커넥터
US9028276B2 (en) 2011-12-06 2015-05-12 Pct International, Inc. Coaxial cable continuity device
DE102012019233A1 (de) 2012-09-29 2014-04-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Kontaktierungssystem
JP6233574B2 (ja) * 2013-11-20 2017-11-2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9761993B2 (en) * 2015-01-08 2017-09-12 Westek Electronics, Inc. Banana plug
US10439302B2 (en) 2017-06-08 2019-10-08 Pct International, Inc.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nd grounding coaxial cable connectors
JP6587242B1 (ja) * 2018-10-19 2019-10-09 日幸カールコード株式会社 接続装置、プラグおよびソケット
CN111711037B (zh) * 2020-06-28 2021-07-02 广东汇杰电力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快速对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029C (ko) *
CH239880A (de) * 1943-10-02 1945-11-15 Bbc Brown Boveri & Cie Lösbar und lötfrei an einem Leiterende befestigter Kabelschuh.
GB612213A (en) * 1946-05-18 1948-11-10 Lucas Ltd Joseph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cable couplings
FR1285750A (fr) * 1961-04-06 1962-02-23 L & K Mfg Co Perfectionnements aux connecteurs électriques
FR1312525A (fr) * 1961-11-07 1962-12-21 Prise pour câble coaxial
US3184706A (en) * 1962-09-27 1965-05-18 Itt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rnal crimping structure
US3292136A (en) * 1964-10-01 1966-12-13 Gremar Mfg Co Inc Coaxial connector
US3354420A (en) * 1966-09-02 1967-11-21 Ashal J Calder Coaxial cable connector
US3526871A (en) * 1968-02-09 1970-09-01 Gremar Connectors Canada Ltd Electrical connector
GB1282715A (en) * 1968-08-09 1972-07-26 Communications Patents Ltd Improved electric wave communication cable and connector
GB1527900A (en) * 1974-12-12 1978-10-11 Bunker Ramo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S54162194A (en) * 1978-06-13 1979-12-22 Hitoshi Komada Method of connecting coaxial cord and wiring method
US4339166A (en) * 1980-06-19 1982-07-13 Dayton John P Connector
JPS60104043A (ja) * 1983-11-07 1985-06-08 テキサコ・デベロツプメント・コーポレーシヨン 一級アルコ−ル類からのニトリル類及び第一アミン類の製造方法
JPH0763026B2 (ja) * 1985-10-28 1995-07-05 株式会社木村電気工業 高周波同軸ケ−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US4761146A (en) * 1987-04-22 1988-08-02 Spm Instrumen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40227A1 (de) 1992-07-23
ES2086472T3 (es) 1996-07-01
DE9116154U1 (ko) 1992-03-19
EP0494438A3 (en) 1993-02-03
JP2503339B2 (ja) 1996-06-05
EP0494438B1 (de) 1996-03-06
JPH04319268A (ja) 1992-11-10
ATE135143T1 (de) 1996-03-15
KR920015660A (ko) 1992-08-27
DK0494438T3 (da) 1996-07-08
EP0494438A2 (de) 1992-07-15
US5318458A (en) 1994-06-07
DE59107516D1 (de) 199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465B1 (ko)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CA1077591A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coaxial cables
US5548088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arrangements
US4580865A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US3668612A (en) Cable connector
US3744007A (en) Three-piece coaxial cable connector
US3977752A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4979911A (en) Cable collet termination
US4647135A (en) Plug for audio device
JP3217785B2 (ja) 電気コネクタ
US5496968A (en) Shielded cable connecting terminal
US4493522A (en) Sealed cable connector
US5718608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US5290179A (en) Jack plug
JPS61113005A (ja) 光フアイバケ−ブルの端末構造
EP0465261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core cable connectors
US5336850A (en) Electrical power cord entry device
US6863567B2 (en) Electrical wiring with strain relief
US4196958A (en) Connector plug
GB2264203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arrangement
JPS58172914A (ja) ワイヤ鎧装ケ−ブル用端末金具
JPH01186575A (ja) セミリジットケーブル用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線方法
JPS6215784A (ja) 端子用電線接続構造
DE4100600A1 (de) Vorrichtung fuer den anschluss eines koaxialkabels
JPS58172913A (ja) ワイヤ鎧装ケ−ブル用端末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