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584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584A
KR20150055584A KR1020140156799A KR20140156799A KR20150055584A KR 20150055584 A KR20150055584 A KR 20150055584A KR 1020140156799 A KR1020140156799 A KR 1020140156799A KR 20140156799 A KR20140156799 A KR 20140156799A KR 20150055584 A KR20150055584 A KR 2015005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housing
contact por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494B1 (ko
Inventor
가츠마사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3271U external-priority patent/JP3192828U/ja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삽입성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소켓 하우징(8)과 소켓 하우징(8)에 고정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9)를 구비하고, 각 소켓 단자(9)는 해당 소켓 하우징(8)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와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를 갖고 있으며, 프런트 단자(16)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와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부(16c)와, 프런트 접점부(16c)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16a)를 갖고, 리어 단자(17)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 방향(Z)에서 프런트 접점부(16c)에 이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와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17c)와, 리어 접점부(17c)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17a)를 갖고 있고, 프런트 접점부(16c)와 탄성편부(16a) 및 리어 접점부(17c)와 탄성편부(17a)가 모두 평판형상의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에 대해서, 리어 접점부(17c)끼리를 상기 삽입 방향(Z)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와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끼워 맞춤시에 플러그 커넥터(2)와 동시에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17c)를 감소시켜 삽입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판, 평형 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재용 전자기기나 민생용 전자기기 등의 고성능화, 다기능화에 수반하여 프린트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한다.)끼리를 접속하는 기판간 접속용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기판 자체도 작고 실장 밀도도 고밀도화되는 한편, 전기기기의 고성능화·다기능화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다양화에 수반해 처리하는 신호수가 증가하여 커넥터가 다극화하는 경향에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11-40206호 공보
그러나, 커넥터당 극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출 때에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되고, 커넥터 끼워 맞춤이 견고해진다. 그와 같은 사태는 작업자의 부담을 증대시킨다.
또 끼워 맞춤에 필요한 힘이 증가하면 작업자가 커넥터 끼워 맞춤 작업시에 손쪽에 강한 저항을 느낌으로써 끼워 맞춤이 완료된 것으로 착각하여 작업을 도중에 중지하는 반끼워 맞춤이 되는 경우가 있다. 혹은 강한 힘으로 끼워 맞춰서 비집어 틀어져 버림에 따른 기울어진 끼워 맞춤이 되거나, 단자를 좌굴(座屈)시키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자와 접속 대상물의 끼워 맞춤시에 작업자가 손쪽에서 느끼는 저항을 저감하고, 삽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리어 접점부를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켜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각 단자는,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판 접속부와,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基部)와, 가동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동 하우징에 삽입되는 접속 대상물의 도통 접속부와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단자부와, 일단측이 기판 접속부에 타단측이 기부와 연결되고,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부는 프런트 단자부와, 리어 단자부를 갖고 있으며,
프런트 단자부는 가동 하우징으로의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시에 상기 도통 접속부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 도통 접속부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을 와이핑하는 프런트 접점부와, 프런트 접점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를 갖고 있고,
리어 단자부는 가동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에서 프런트 접점부의 슬라이딩 궤적을 슬라이딩하며, 프런트 접점부에 의해 이물이 와이핑된 후의 상기 도통 접속부와 도통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와, 리어 접점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를 갖고 있으며,
프런트 접점부와 탄성편부 및 리어 접점부와 탄성편부는 모두 평판형상의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상기 프런트 접점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가 어긋나 있으며,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상기 리어 접점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가 어긋나 있고,
상기 기부와 상기 가동부는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는 신장 방향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단자가 프런트 접점부와 리어 접점부 등의 복수의 접점부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우선 접속 대상물을 프런트 접점부에 접촉시키고, 또한 강하게 접속 대상물을 전기 커넥터에 밀어넣어 프런트 접점부를 타고 넘게 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접속 대상물을 리어 접점부에 접촉시키고, 또한 강하게 밀어넣어 리어 접점부를 타고 넘게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이 접촉하여 타고 넘을 때마다 손쪽에서 저항을 느끼게 된다. 통상, 이 저항은 접속 대상물에 동시에 접촉하는 접점부가 증가할수록 강해진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리어 접점부가 접속 대상물과 접촉할 때에 받는 저항으로, 접속 대상물이 전기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가 얻어지는 최심부(最深部)에까지 도달한 것으로 착각하여 반끼워 맞춤 상태인 채로 작업을 중지하는 일이 있다. 또, 손쪽에서 느끼는 저항에 대항하여 강한 힘으로 접속 대상물을 전기 커넥터에 밀어넣음으로써 손이 빗나가 기울어진 끼워 맞춤 상태가 되거나, 비집어 틀어져 버려 좌굴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일도 있다. 그리고,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시에 작업자가 느끼는 저항은, 프런트 접점부와 탄성편부 및 리어 접점부와 탄성편부가 평판형상의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어, 그 판 가장자리에서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경우에 보다 강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의 반끼워 맞춤, 기울어진 끼워 맞춤, 좌굴을 보다 발생시키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끼리, 또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리어 접점부끼리가, 가동 하우징에 대한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시에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를 감소시켜 한 번에 생기는 삽입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삽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끼워 맞춤, 기울어진 끼워 맞춤 등의 불완전한 끼워 맞춤이나, 좌굴에 의한 단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특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일단측이 기판 접속부에 타단측이 기부와 연결되며,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에 의한 플로팅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런트 접점부가 접속 대상물의 도통 접촉부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곳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을 와이핑하면서, 리어 접점부는 프런트 접점부의 슬라이딩 궤적을 슬라이딩하며, 이물이 와이핑된 후의 도통 접촉부와 도통 접촉하기 때문에, 리어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일 없이 안정되게 도통 접속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부와 상기 가동부가,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는 신장 방향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단자의 배열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전기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상기 리어 단자부의 리어 접점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압을, 상기 프런트 단자부의 프런트 접점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압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의 끼워 맞춤 방향에서 프런트 접점부보다 안쪽측에 설치되는 리어 접점부를 접속 대상물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에 부착하는 이물의 와이핑 기능과, 플로팅 기능과, 전기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실현하면서도, 단자와 접속 대상물의 끼워 맞춤시에 작업자가 손쪽에서 느끼는 저항을 저감시켜 삽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끼워 맞춤이나, 기울어진 끼워 맞춤 등의 불완전한 끼워 맞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좌굴 등에 의한 단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리어 접점부를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도 2 중 화살표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5 중 화살표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5 중 R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8 중 S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5 중 T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3에 나타내는 소켓 단자의 변위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
도 12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소켓 단자의 정면도.
도 13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소켓 단자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의 예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구비한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는 기판(4)에 실장되어 있고, 소켓 커넥터(3)는 기판(5)에 실장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기판(4)과 기판(5)이 도통 접속된다.
또한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에서는 도 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긴쪽 방향을 X방향, 짧은쪽 방향을 Y방향,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삽발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삽발 방향(Z)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측을 「상측」, 소켓 커넥터(3)의 측을 「하측」으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2)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과 플러그 단자(7)를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6)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본체부(6A)와, 본체부(6A)의 긴쪽 방향(X)의 양측에 설치되어 기판(4)에 고정되는 다리부(6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6A)는 끼워 맞춤부(6a)와 격벽부(6b)와 기부(6c)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6a)는 전기 커넥터(1)의 끼워 맞춤시에 소켓 커넥터(3)의 찔러 넣음을 받는 부분이다. 격벽부(6b)는 끼워 맞춤부(6a)를 기부(6c)와 떼어 놓는 부분이다. 기부(6c)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기판(4)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끼워 맞춤부(6a)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측벽(6a1)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4). 측벽(6a1)의 사이에는 중앙벽(6a2)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앙벽(6a2)에는 플러그 단자(7)를 1개씩 압입하여 고정하는 부착홈(6a3)이 긴쪽 방향(X)에서 병렬로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7)가 홀딩된다.
격벽부(6b)에는 부착홈(6a3)과 연속하는 부착구멍(6b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플러그 단자(7)가 1개씩 삽입 통과되어 홀딩되어 있다.
기부(6c)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측벽(6c1)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4). 측벽(6c1)의 내면에는 부착홈(6a3), 부착구멍(6b1)과 연속하여 부착홈(6c2)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7)는 부착홈(6a3), 부착구멍(6b1), 부착홈(6c2)을 플러그 하우징(6)의 단자 부착부로서 홀딩되어 있다. 기판(4)과 대향하는 기부(6c)의 저부(6c3)는 플러그 하우징(6)의 다리부(6B)를 기판(4)에 고정한 상태에서, 기판면과 이간하도록 오목형상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서 플러그 단자(7)가 노출되어 기판(4)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플러그 단자(7)는 금속 평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하여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접속부(7a)와, 제 1 이간부(7b)와, 직선부(7c)와, 제 2 이간부(7d)와, 삽입 통과부(7e)와, 접촉부(7f)를 갖는다.
기판 접속부(7a)에는 기판(4)에 납땜되는 기판면과 평행한 접속부(7a1)와, 접속부(7a1)의 단부와 연속하여 기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굴곡하는 지지부(7a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이간부(7b)는 지지부(7a2)의 일단측에서 굴곡하여 기판면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부분이다. 제 1 이간부(7b)는 후술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6)의 저부(6c3)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떨어져 있다.
「고정부」로서의 직선부(7c)는 플러그(2)의 삽발 방향(Z)을 따라 설치되고, 플러그 하우징(6)의 기부(6c)의 부착홈(6c2)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이간부(7d)는 기부(6c)와 격벽부(6b)의 내벽면과 비접촉이 되도록 직선부(7c)의 단부로부터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간부(7d)를 기부(6c)와 격벽부(6b)의 내벽면에 대하여 틈새가 생기도록 거리를 둔 것은 제 1 이간부(7b)와 마찬가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삽입 통과부(7e)는 플러그 하우징(6)의 격벽부(6b)의 부착구멍(6b1)에 삽입 통과되어 홀딩되어 있다.
접촉부(7f)는 소켓 단자(9)와 도통 접속하는 부분이고, 끼워 맞춤부(6a)의 중앙벽(6a2)의 부착홈(6a3)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
소켓 커넥터(3)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8)과, 소켓 단자(9)를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8)은 고정 하우징(8a)과, 가동 하우징(8b)을 구비한다.
[가동 하우징]
가동 하우징(8b)은, 후술하는 하우징 구조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측부터 차례로 플러그 하우징(6)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8c)와, 소켓 단자(9)를 홀딩하는 단자 홀딩부(8d)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8c)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방향(X)을 따라 긴쪽 측벽(8c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짧은쪽 측벽(8c2)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8c)의 내부에는 각 긴쪽 측벽(8c1)과 대향하는 긴쪽 내벽(8c3)이 형성되어 있고, 긴쪽 측벽(8c1)과 긴쪽 내벽(8c3)의 사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소켓 단자(9)끼리를 절연하는 칸막이 벽(8c4)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끼워 맞춤부(8c)의 끼워 맞춤측 단부에는 전(前)벽(8c5)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하는 긴쪽 내벽(8c3)과 긴쪽 내벽(8c3)의 사이는 플러그 하우징(2)의 중앙벽(6a2)이 꽂아 넣어지는 플러그 삽입부(8c6)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
이들의 긴쪽 측벽(8c1), 짧은쪽 측벽(8c2), 긴쪽 내벽(8c3), 칸막이 벽(8c4), 전벽(8c5)에 의하여 포위되는 내부 공간은 소켓 단자(9)마다의 수용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끼워 맞춤부(8c)에는 그와 같은 수용부가 플러그 삽입부(8c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홀딩부(8d)에는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 짧은쪽 측벽(8c2)과 각각 연속하는 긴쪽 측벽(8d1), 짧은쪽 측벽(8d2)이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d1)은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긴쪽 측벽(8d1)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부(8c6)의 연장상에 중앙벽(8d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벽(8d3)은 삽발 방향(Z)에 대하여 기판(5)을 향해 긴쪽 측벽(8d1)의 하단 위치를 넘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d1)과 중앙벽(8d3)의 사이에는 끼워 맞춤부(8c)의 칸막이 벽(8c4)과 연속하여 칸막이 벽(8d4)이 형성되어(도 5) 서로 이웃하는 소켓 단자(9)끼리가 구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벽(8d4)의 하단 위치는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 측에서는 긴쪽 측벽(8d1)의 하단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중앙벽(8d3) 측에서는 중앙벽(8d3)의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긴쪽 측벽(8d1), 짧은쪽 측벽(8d2), 중앙벽(8d3), 칸막이 벽(8d4)에 의해 포위되는 내부 공간은 각 소켓 단자(9)의 수용부로 되어 있다. 소켓 단자(9)는 이 단자 홀딩부(8d)의 수용부와 상술한 끼워 맞춤부(8c)의 수용부를 맞추어서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켓 단자(9) 마다의 「단자 부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단자 홀딩부(8d)의 긴쪽 측벽(8d1)은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보다 판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강성을 높여 압입되는 소켓 단자(9)에 대한 확실한 홀딩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소켓 단자(9)의 가동부(11)의 상측을 「차양형상」으로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지키는 「보호벽」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함이다. 이 보호벽으로서의 기능을 중시하여 긴쪽 측벽(8d1)은 상대 변위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Y)에서 가동부(11)의 제 1 신장부(11a)를 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홀딩부(8d)의 짧은쪽 측벽(8d2)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을 향하여 신장해 기판면과 평행하게 바깥쪽으로 굴곡하는 걸림부(8d5)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8d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8a)에 대한 과잉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고정 하우징]
고정 하우징(8a)은 가동 하우징(8b) 하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긴쪽 방향(X)을 따르는 긴쪽 측벽(8a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에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짧은쪽 측벽(8a2)이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a1)에는 소켓 단자(9)를 고정하는 고정구멍(8a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짧은쪽 측벽(8a2)에는 기판(5)에 고정하는 다리부(8a4)와, 상술한 가동 하우징(8b)의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걸림부(8d5)가 삽발 방향(Z)에 있어서의 이탈 방향에서 걸리는 구멍형상의 걸림 받이부(8a5)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는 소켓 단자(9)와 가동 하우징(8b)의 가동 공간(14)이 형성된다. 가동 공간(14) 중에 있는 가동 하우징(8b)의 구조 요소는 단자 홀딩부(8d)의 중앙벽(8d3)과 칸막이 벽(8d4)이며, 그 짧은쪽 방향(Y)에서의 폭은 한 쌍의 긴쪽 측벽(8d1)의 외면(外面)간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b)에 의한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서의 짧은쪽 방향(Y)에 있어서의 점유 공간을 작게 하여 가동 공간(14)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8a)의 긴쪽 측벽(8a1)의 상단과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의 사이에는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은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 들어가 있지 않고, 긴쪽 측벽(8a1) 상단의 경사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큰 개구(15)가 형성되고, 이 개구(15)는 기판(5)에서 발생하여 고정 하우징(8a)의 내부로 모이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소켓 단자]
소켓 단자(9)는 금속 평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하여 C모따기 등의 소정의 마무리 처리를 실시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금속 평판의 평면형상을 유지한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림이 없는 소위 「펀칭 단자(拔端子)」로서 형성한 것이다. 소켓 단자(9)는 판면이 소켓 하우징(8)의 짧은쪽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2 개의 소켓 단자(9)가 서로 마주 보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소켓 단자(9)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측부터 차례로 단자부(10), 기부(12), 가동부(11), 기판 접속부(13)를 갖는다.
소켓 단자(9)는 소켓 하우징(8)의 긴쪽 방향(X)을 따라 등간격으로 병렬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소켓 단자(9)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지 않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1개의 소켓 단자(9)의 긴쪽 방향(X)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협피치로 배열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1)를 긴쪽 방향(X)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짧은쪽 방향(Y)에서도 소형화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
기판 접속부(13)는 접속부(13a)와, 지지부(13b)와, 고정편부(13c)를 갖는다.
접속부(13a)는 고정 하우징(8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기판(5)에 납땜 된다.
지지부(13b)는 접속부(13a)의 상측에 설치되고, 소켓 하우징(8)을 기판(5)의 기판면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지지한다. 기판 접속부(13)가 납땜된 상태에서 지지부(13b)와 회로 기판(5)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지지부(13b)에는 삽발 방향(Z)으로 돌출하는 고정편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돌기부(13d)가 고정 하우징(8a)의 고정구멍(8a3)의 공벽(孔壁)에 맞물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9)가 고정 하우징(8a)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
가동부(11)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선형상편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신장부(11a)와, 되접어 꺾음부(11b)와, 제 2 신장부(11c)를 갖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장부(11a)와 제 2 신장부(11c)는 후술하는 기부(12)의 하부(12b)와 병렬로 설치된다. 가동부(11)는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의 가동 공간(14)에 위치하고 있고, 가동 하우징(8b)을 고정 하우징(8a)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한 상태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 가동부(11)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1)에 진동이 더해졌을 때나 플러그(2)와 소켓(3)의 끼워 맞춤시에, 가동 공간(14) 안에서 가동부(11)가 변위하여 가동 하우징(8b)을 고정 하우징(8a)에 대하여 상대 변위시킬 수 있다.
제 1 신장부(11a)는 기판 접속부(13)의 수평 방향에서의 단부로부터 삽발 방향(Z)을 따라 세워 올려 신장한다. 제 1 신장부(11a)는 기판 접속부(13)와의 경계측으로부터 고정 하우징(8a)의 내면(8a6)과 틈새부(14c)를 비워 놓고 설치되어 있다(도 10). 이렇게 함으로써 가령 기판 접속부(13)를 플럭스가 뻗어 올라가 가동부(11)에 도달하더라도 기판 접속부(13)와의 경계측에는 틈새부(14c)가 있어 내면(8a6)과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신장부(11a)를 내면(8a6)과 접촉시키는 경우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생기는 플럭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신장부(11a)의 상단측에는 되접어 꺾음부(11b)가 설치되어 제 2 신장부(11c)로 연속한다.
제 2 신장부(11c)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신장부(11a)와 대략 평행하게 신장하고 있고 하단에서 굴곡하여 기부(12)에 연결된다. 제 2 신장부(11c)에는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11d)를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스프링부(11d) 상측의 틈새부(11f)가 하측의 틈새부(11e)보다 기부(12)로부터의 거리가 크게 멀어지게 된다. 즉, 되접어 꺾음부(11b) 측의 틈새부(11f)와 기부(12)의 사이에는 넓은 제 1 가동 공간부(14a)가 설치되고, 기부(12)와 연속된 측의 틈새부(11e)와 기부(12)의 사이에는 그것보다 좁은 제 2 가동 공간부(14b)가 설치된다.
[기부]
기부(12)에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상부(12a)와 좁은 띠형상의 하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12a)는 가동 하우징(8b)의 단자 홀딩부(8d)의 긴쪽 측벽(8d1)과 중앙벽(8d3)에 끼워져 홀딩되는 부분이고, 그 상단은 단자부(10)와 연속한다. 하부(12b)는 긴쪽 측벽(8d1)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좁은 띠형상의 부분이며, 그 하단측은 가동부(11)의 제 2 신장부(11c)와 연속한다.
하부(12b)(기부(12))에서의 제 2 신장부(11c)와의 대향 가장자리에는 오목형상의 노치부(12c)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하부(12b)의 폭은 상부(12a)의 폭의 약 1/2로 되어 있다.
노치부(12c)는 삽발 방향(Z)을 따르는 세로 가장자리(12d)와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가로 가장자리(12e)로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한 부분 안에 제 2 신장부(11c)가 들어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켓 단자(9)의 짧은쪽 방향(Y)에서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소켓 커넥터(3)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노치부(12c)의 가로 가장자리(12e)는 가동 하우징(8b)에서의 두꺼운 두께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면과 대략 면일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 공간(14) 내로부터 개구(15)를 통하여 스무드하게 방열할 수 있다.
상부(12a)에는 걸림부(12a1)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가동 하우징(8b)의 중앙벽(8d3)에 대하여 맞물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9)가 가동 하우징(8b)에 고정된다. 하부(12b)의 기판측 단부에는 누름 받이부(12b1)가 형성되고, 소켓(3)의 조립시에는 이 누름 받이부(12b1)를 누름으로써 소켓 단자(9)가 가동 하우징(8b)으로 압입되어 조립된다.
[단자부]
단자부(10)는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2)의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를 갖는다.
[프런트 단자]
프런트 단자(16)는 탄성편부(16a)와 접촉부(16b)를 갖는다.
탄성편부(16a)는 기부(1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신장한다.
접촉부(16b)는 탄성편부(16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7)와의 접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그 선단이 프런트 접점부(16c)로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또, 접촉부(16b)는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상측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부착하는 이물의 제거 기능을 발휘하는 앞쪽 가장자리(16d)를 갖는다.
또, 탄성편부(16a)의 선단측으로서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와의 대향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하여 탄성편부(16a)의 판 폭을 좁게 한 오목부(16e)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시에,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단자(7)에 의해 프런트 단자(16)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졌을 때에, 리어 단자(17)의 선단측을 오목부(16e)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리어 단자(17)와 프런트 단자(16)가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리어 단자]
리어 단자(17)도 탄성편부(17a)와, 접촉부(17b)를 갖는다.
탄성편부(17a)는 기부(12)의 상단으로부터 신장한다.
접촉부(17b)는 탄성편부(17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7)와의 접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그 선단이 리어 접점부(17c)로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또, 리어 접점부(17c)는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삽발 방향(Z)에서의 안쪽측에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시에 프런트 단자(16), 리어 단자(17)의 순으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리어 접점부(17c)는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긴쪽 내벽(8c3)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끼워 맞춤시에, 프런트 접점부(16c)가 플러그 단자(7)로 눌러져서 긴쪽 측벽(8c1) 측을 향하는 단자 변위량보다,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로 눌러져서 긴쪽 측벽(8c1) 측을 향하는 변위량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승수(乘數)가 같은 경우, 단자의 변위량이 증가하는 만큼 접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안쪽측에 있는 리어 접점부(17c)를 플러그 단자(7)에 대하여 확실하게 도통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단자부(10)가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라는 2개의 접점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접점부(16c, 17c)가 접촉부(7f)와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이 끼어도 다른쪽의 접점부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의 작용·효과의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소켓 단자(9)는 금속 평판의 평면형상을 유지한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없는 평판형상이다. 이에 따라 협피치로 다수의 소켓 단자(9)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긴쪽 방향(X)에서 컴팩트한 소켓 커넥터(3)와 전기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소켓 단자(9)의 기부(12)는 단자부(10)와 연속하는 상부(12a)를 짧은쪽 방향(Y)에서 넓은 폭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소켓 단자(9)에 대해 상술한 이점을 얻기 위해 단자부(10)를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의 복수 단자·복수 접점 구조로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단자부(10)의 경우, 상부(12a)의 판 폭을 그대로 기판 방향으로 늘리면 하부(12b)를 형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2c)를 형성하여 판 폭이 좁은 하부(12b)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내측에 가동부(11)의 제 2 신장부(11c)와 되접어 꺾음부(11b)의 대략 절반을 들어가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12a)와 같은 판 폭으로 하부(12b)를 형성하고 그 하부(12b)와 병렬로 가동부(11)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켓 단자(9)를 짧은쪽 방향(Y)에서 작게 할 수 있어 소켓 커넥터(3)와 전기 커넥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라면,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긴쪽 방향(X), 짧은쪽 방향(Y)의 쌍방에 대해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기기의 소형화,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에 공헌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에서는 단자부(10)의 하측에 가동부(11)와 기부(12)의 하부(12b)를 병렬로 배치하고 있다. 기판(4)과 기판(5)에 실장한 소자나 여러 가지 전자기기의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따라, 기판끼리의 간격을 떼어 놓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와 같이 소켓 단자(9)의 단자부(10)와 가동부(11) 및 기부(12)의 하부(12b)를 삽발 방향(Z)을 따라 상하로 직렬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긴쪽 방향(X), 짧은쪽 방향(Y)에서 소형화하면서도, 삽발 방향(Z)에서는 고배(高背)인 전기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끼워 맞춤시에, 플러그 단자(7)에 의해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는 외측을 향하여 눌러진다. 그때, 통상은 리어 단자(17)가 프런트 단자(16)에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어 단자(17)와 프런트 단자(16)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프런트 단자(16)의 탄성편부(16a)에서의 리어 단자(17)와 인접하는 측의 판 가장자리에 오목부(16e)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단자(7)로부터 눌러졌을 때에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가 오목부(16e)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프런트 단자(16)가 탄성편부(16a)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 단자(16)를 리어 단자(17) 측으로 근접시켜 기부(12) 상부(12a)의 짧은쪽 방향(Y)의 판 폭을 작게 하더라도, 프런트 단자(16)와의 사이에 리어 단자(17)의 가동역(可動域)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켓 단자(9)를 짧은쪽 방향(Y)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계상, 제조상의 이유에서, 대향하는 프런트 접점부(16c)간의 간격보다 대향하는 리어 접점부(17c)간의 간격이 짧아 리어 접점부(17c)가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내벽(8c3)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런트 단자(16)보다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단자 변위량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어 단자(17)가 크게 프런트 단자(16)에 접근하지만, 상술과 같이 프런트 단자(16)에 오목부(16e)를 설치함으로써, 프런트 단자(16)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짧은쪽 방향(Y)에서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가동부(11)에는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측으로 변위할 때에 제 2 신장부(11c)의 상측이 기부(12)에 접촉하거나, 제 1 신장부(11a)의 하측이 제 2 신장부(11c)의 하측에 접촉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 2 신장부(11c)와 기부(12)의 간격과, 제 1 신장부(11a)와 제 2 신장부(11c)의 간격을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까지 넓게 할 필요가 있는데, 그렇게 하면 소켓 단자(9)가 짧은쪽 방향(Y)에서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가동부(11)에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신장부(11c)의 되접어 꺾음부(11b)의 측(틈새부(11f))과 기부(12)의 사이에 넓은 제 1 가동 공간부(14a)를 형성하여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해도 제 2 신장부(11c)가 기부(1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10, 도 11).
또, 스프링부(11d)의 하측(틈새부(11e))은 기부(12)와 접근하여 좁은 틈새부(11e)가 형성되게 되지만, 기부(12)와는 반대측의 제 1 신장부(11a)의 기판측과의 사이에는 넓은 제 2 가동 공간부(14b)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해도 제 2 신장부(11c)의 기판측(틈새부(11e))이 제 1 신장부(11a)의 기판측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11).
[플럭스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
플러그 단자(7)는 지지부(7a2)를 갖고 있어 기판(4)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6)이 기판(4)으로부터 뜬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6)을 플럭스가 타고 가는 것을 가림으로써 플러그 단자(7)와의 틈새로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플러그 단자(7)는 제 1 이간부(7b)와 제 2 이간부(7d)를 갖기 때문에, 만일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에 부착한 경우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과 플러그 단자(7)의 사이를 뻗어 올라가는 것을 제 1 이간부(7b) 또는 제 2 이간부(7d)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또, 소켓 단자(9)는 지지부(13b)를 갖고 있어 기판(5)에 실장된 상태에서 고정 하우징(8a)이 기판(5)으로부터 뜬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럭스가 고정 하우징(8a)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고정 하우징(8a)을 플럭스가 타고 가는 것을 가림으로써 소켓 단자(9)와의 틈새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고정 하우징(8a)과 가동부(11)의 제 1 신장부(11a)의 사이에는 틈새부(14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플럭스가 상기 틈새로 들어간 경우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뻗어 올라감을 틈새부(14c)에서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럭스의 뻗어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나 소켓 단자(9)의 단자부(10)에 플럭스가 도달함에 따른 단자간의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접점 어긋남 구조에 의한 삽입성의 개선]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3)에는 긴쪽 방향(X)을 따라 복수의 소켓 단자(9)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소켓 단자(9)의 프런트 접점부(16c)끼리는 서로 번갈아 삽발 방향(Z)으로 거리(H1)분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리어 접점부(17c)끼리도 서로 번갈아 삽발 방향(Z)으로 거리(H2)분만큼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속 대상물이 되는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끼워 맞춤시에, 플러그 단자(7)의 선단은 우선 프런트 단자(16)의 접촉부(16b)를 눌러 소켓 하우징(8)의 외측으로 변위시켜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는다. 그 후,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를 눌러 마찬가지로 변위시켜 리어 접점부(17c)를 타고 넘는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가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이 완료된다.
도시하지 않은 작업자는 프런트 단자(16)의 접촉부(16b)와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를 누를 때에 소켓 커넥터(3)의 복수의 소켓 단자(9)로부터 동시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춤시키기 위해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 플러그 단자(7)의 선단이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을 때와 리어 접점부(17c)를 타고 넘을 때의 각각에서 손쪽에 저항을 느낀다. 따라서,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은 단계에서, 끼워 맞춤이 완료되었다고 작업자가 착각하여 반끼워 맞춤 상태로 작업을 멈춰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강한 힘으로 무리하게 플러그 커넥터(2)를 소켓 커넥터(3)에 삽입하려고 하면, 기울어진 끼워 맞춤이 생기거나 비집어 틀어져 버림으로써 소켓 단자(9)가 좌굴(座屈)하여 손상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나 리어 접점부(17c)끼리의 위치를 삽발 방향(Z)에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7)가 각 소켓 단자(9)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7)에 동시에 접촉하는 소켓 단자(9)의 수를 줄여 삽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힘으로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반끼워 맞춤, 기울어진 끼워 맞춤, 좌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물 제거 기능]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 단자(7)와 소켓 단자(9)가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지만, 이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는 예를 들면 기판 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대하여 접촉하면,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도통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3,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접점부(17c)보다 상측에 프런트 접점부(16c)를 설치하고, 플러그(2)와 소켓(3)을 끼워 맞출 때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대하여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를 차례차례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프런트 접점부(16c)와 그 앞쪽 가장자리(16d)에 의해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을 와이핑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있어서의 이물이 와이핑된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일 없이 안정되게 도통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가동부(11)를 설치하더라도 짧은쪽 방향(Y)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의 소형화와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플럭스가 뻗어 올라가 단자부(10)에 부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도통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보다 높임으로써, 리어 단자(17)를 플러그 단자(7)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리어 접점부(17c)끼리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삽입성을 개선시키는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를 갖는 전기 커넥터(1)를 나타냈다. 그러나, 탄성편부를 1개만 갖고, 접점부를 1개 갖는 것이나, 1개의 탄성편부가 복수의 접점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짧은쪽 방향(Y)에서 전기 커넥터(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라는 2개의 접점부를 갖는 실시형태를 예시했지만, 접점부를 1개만 갖는 전기 커넥터(1)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가동부(11)에서는 제 2 신장부(11c)를 노치부(12c)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고, 제 1 신장부(11a)가 노치(12a)의 외측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신장부(11a)까지 노치부(12c)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짧은쪽 방향(Y)에서 보다 컴팩트한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2c)의 가로 가장자리(12e)를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면과 면일치가 되도록 설치했지만, 그 하단면을 가로 가장자리(12e)보다 상측에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구(15)가 넓어져 보다 방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신장부(11c)가 스프링부(11d)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스프링부(11d)를 갖지 않고, 기부(12)측의 일단에서부터 되접어 꺾음부(11b)측의 일단까지 서서히 기부(12)의 하부(12b)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신장부(11c)로 할 수도 있다(도 12). 또, 제 2 신장부(11c)가 삽발 방향(Z)을 따라 설치되고, 노치부(12c)의 세로 가장자리(12d)가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중앙벽(8d3) 측에 가까워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노치부(12c)의 세로 가장자리(12d)를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중앙벽(8d3) 측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다단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도 13). 이들에 의해서도 제 2 신장부(11c)와 노치부(12c) 사이의 간극을, 상측의 되접어 꺾음부(11b)측의 일단을 하측의 기부(12)와 연속하는 타단측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반대로 리어 단자(17)를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높게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런트 접점부(16c)를 확실하게 플러그 단자(7)에 대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또,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의 접압은 동일한 정도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인접하는 리어 접점부(17c)끼리에 대해, 삽발 방향(Z)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설치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긴쪽 방향(X)을 따르는 복수의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리어 접점부(17c)끼리로 모아서 삽발 방향(Z)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개씩 등, 같은 수의 접점부마다 모아서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특정 개소에 저항을 집중시키지 않고 끼워 맞춤 작업을 실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커넥터(3)의 접속 대상물로서 플러그 커넥터(2)를 예시했지만, 소켓 단자(9)의 프런트 단자(16), 리어 단자(17)에 대하여 삽입 방향에서 순차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것이면, 다른 커넥터, 기판(경질 기판, FPC)이나 케이블(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등을 접속 대상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소켓 커넥터(3)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접속 대상물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1: 전기 커넥터 2: 플러그 커넥터
3: 소켓 커넥터 4: 기판(플러그 커넥터측)
5: 기판(소켓 커넥터측) 6: 플러그 하우징
6A: 본체부 6B: 다리부
6a: 끼워 맞춤부 6a1: 측벽
6a2: 중앙벽 6a3: 부착홈
6b: 격벽부 6b1: 부착구멍
6c: 기부 6c1: 측벽
6c2: 부착홈 6c3: 저부
7: 플러그 단자 7a: 기판 접속부(플러그 단자)
7a1: 접속부 7a2: 지지부
7b: 제 1 이간부 7c: 직선부(고정부)
7d: 제 2 이간부 7e: 삽입 통과부
7f: 접촉부 8: 소켓 하우징
8a: 고정 하우징 8a1: 긴쪽 측벽
8a2: 짧은쪽 측벽 8a3: 고정구멍
8a4: 다리부 8a5: 걸림 받이부
8a6: 내면 8b: 가동 하우징
8c: 끼워 맞춤부 8c1: 긴쪽 측벽
8c2: 짧은쪽 측벽 8c3: 긴쪽 내벽
8c4: 칸막이 벽 8c5: 전벽
8c6: 플러그 삽입부 8d: 단자 홀딩부
8d1: 긴쪽 측벽 8d2: 짧은쪽 측벽
8d3: 중앙벽 8d4: 칸막이 벽
8d5: 걸림부 9: 소켓 단자
10: 단자부 11: 가동부
11a: 제 1 신장부 11b: 되접어 꺾음부
11c: 제 2 신장부 11d: 스프링부
11e: 틈새부 11f: 틈새부
12: 기부 12a: 상부
12a1: 걸림부 12b: 하부
12b1: 누름 받이부 12c: 노치부
12d: 세로 가장자리 12e: 가로 가장자리
13: 기판 접속부 13a: 접속부
13b: 지지부 13c: 고정편부
13d: 걸림 돌기부 14: 가동 공간
14a: 제 1 가동 공간부 14b: 제 2 가동 공간부
14c: 틈새부 15: 개구
16: 프런트 단자 16a: 탄성편부(프런트 단자)
16b: 접촉부(프런트 단자) 16c: 프런트 접점부
16d: 앞쪽 가장자리 16e:오목부
17: 리어 단자 17a: 탄성편부(리어 단자)
17b: 접촉부(리어 단자) 17c: 리어 접점부
X: 긴쪽 방향 Y:짧은쪽 방향
Z: 삽발 방향

Claims (6)

  1.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각 단자는,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판 접속부와,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基部)와,
    가동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동 하우징에 삽입되는 접속 대상물의 도통 접속부와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단자부와,
    일단측이 기판 접속부에 타단측이 기부와 연결되고,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단자부는 프런트 단자부와, 리어 단자부를 갖고 있으며,
    프런트 단자부는, 가동 하우징으로의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시에 상기 도통 접속부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 도통 접속부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을 와이핑하는 프런트 접점부와, 프런트 접점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를 갖고 있고,
    리어 단자부는, 가동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에서 프런트 접점부의 슬라이딩 궤적을 슬라이딩하며, 프런트 접점부에 의해 이물이 와이핑된 후의 상기 도통 접속부와 도통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와, 리어 접점부를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편부를 갖고 있으며,
    프런트 접점부와 탄성편부 및 리어 접점부와 탄성편부는 모두 평판형상의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상기 프런트 접점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가 어긋나 있으며,
    서로 번갈아 인접하는 상기 리어 접점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서로 번갈아 위치가 어긋나 있고,
    상기 기부와 상기 가동부는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는 신장 방향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단자부의 리어 접점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압은 상기 프런트 단자부의 프런트 접점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압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접점부보다 리어 접점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도통 접촉부에 대한 접촉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크게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판 접속부가,
    기판의 기판면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하우징을 기판으로부터 이간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는 지지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와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는, 기판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와, 기판 접속부와 연속하여 상기 제 1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와의 삽발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우징의 내벽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연속하여 상기 제 1 항에 기재한 단자와 접속하는 접촉면을 갖고 있고,
    상기 고정부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비접촉하게 되어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를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는 절연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기판 접속부가,
    기판의 기판면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하우징을 기판으로부터 이간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를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는 지지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0140156799A 2013-11-13 2014-11-12 전기 커넥터 KR102274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5107 2013-11-13
JP2013235107 2013-11-13
JP2014003271U JP3192828U (ja) 2014-06-20 2014-06-20 電気コネクタ
JPJP-U-2014-003271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84A true KR20150055584A (ko) 2015-05-21
KR102274494B1 KR102274494B1 (ko) 2021-07-07

Family

ID=5390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799A KR102274494B1 (ko) 2013-11-13 2014-11-1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5089B2 (ko)
EP (1) EP2874237A1 (ko)
KR (1) KR102274494B1 (ko)
CN (1) CN104638403B (ko)
TW (1) TWI614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6374B2 (en) * 2013-01-09 2016-05-31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5038831A (ja) * 2013-08-19 2015-0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ジャックコネクタ、ならびに、コネクタ装置
US10122112B2 (en) * 2014-02-18 2018-11-06 Iris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or
JP1538816S (ko) * 2014-12-19 2015-11-24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873424B2 (ja) * 2017-01-11 2021-05-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I692152B (zh) * 2017-02-07 2020-04-2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連接裝置及板對板電連接組合
US10608361B2 (en) *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9599690B (zh) * 2017-09-30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接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6408106B1 (ja) * 2017-10-25 2018-10-17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9225441A1 (ja) * 2018-05-22 2019-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
CN109326909A (zh) * 2018-11-20 2019-02-1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高密度大功率卡类连接端子以及连接器
JP7369666B2 (ja) * 2020-05-15 2023-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24099500A1 (de) * 2022-11-07 2024-05-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eckverbindung und system mit steckverbind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627A (ja) * 2003-06-18 2005-01-13 Fujitsu Component Ltd 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2011040206A (ja) 2009-08-07 2011-02-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20120027020A (ko) * 2009-06-10 2012-03-20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5296915B1 (ja) * 2012-11-15 2013-09-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024A (en) * 1977-11-07 1980-08-12 Burroughs Corporation Dip socket having preloading and antiwicking features
GB2237153A (en) * 1989-10-19 1991-04-24 Itt Ind Ltd Electrical connector
JP2568142B2 (ja) * 1991-12-30 1996-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H08195255A (ja) 1995-01-19 1996-07-30 Kansei Corp 多極コネクタ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WO2001039333A1 (fr) * 1999-11-26 2001-05-31 Advantest Corporation Connecteur
JP4012075B2 (ja) * 2003-01-07 2007-11-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5001193B2 (ja) * 2008-02-19 2012-08-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35015B2 (ja) * 2008-03-21 2013-01-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97216B2 (ja) 2008-08-05 2013-05-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接点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4425987B1 (ja) * 2009-06-10 2010-03-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21592A (ja) * 2011-04-04 2012-11-12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627A (ja) * 2003-06-18 2005-01-13 Fujitsu Component Ltd 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120027020A (ko) * 2009-06-10 2012-03-20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2011040206A (ja) 2009-08-07 2011-02-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296915B1 (ja) * 2012-11-15 2013-09-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2976A1 (en) 2015-05-14
EP2874237A1 (en) 2015-05-20
CN104638403A (zh) 2015-05-20
KR102274494B1 (ko) 2021-07-07
CN104638403B (zh) 2018-07-06
TW201519527A (zh) 2015-05-16
TWI614947B (zh) 2018-02-11
US9225089B2 (en)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83B1 (ko) 전기 커넥터
KR20150055584A (ko) 전기 커넥터
KR102274495B1 (ko)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JP5481599B2 (ja) コネクタ
US87213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50110333A (ko) 커넥터
US7837521B2 (en) Terminal reducing a large insertion force
EP2846409A2 (en) Connector
CN104347995B (zh) 电连接器
JP6144235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10056714B2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US9190753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846414A1 (en) Connector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JP637925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6613129B2 (ja) 金属端子
US20170170585A1 (en)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20180076543A1 (en) Connector
CN107591633B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