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537A - 두유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두유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537A
KR20150054537A KR1020130137093A KR20130137093A KR20150054537A KR 20150054537 A KR20150054537 A KR 20150054537A KR 1020130137093 A KR1020130137093 A KR 1020130137093A KR 20130137093 A KR20130137093 A KR 20130137093A KR 20150054537 A KR20150054537 A KR 2015005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ed
fixed blade
sub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홍계선
Original Assignee
최진호
홍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홍계선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3013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537A/ko
Publication of KR2015005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물에 불리지 않은 생콩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두유를 생산할 수 있고 동시에 기존의 두부 제조 기계와 연결하여 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두유 제조 장치는 생콩 및 물을 유입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에 의해 유입된 생콩 및 물을 유입하여 생콩을 파쇄하는 크러셔 및 상기 크러셔에 의해 형성된 제1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원형통이 구비된 제1몸체; 상기 원형통에 의해 취합된 제1슬러지를 유입하여 파쇄하는 맷돌 그리고 상기 맷돌에 의해 형성된 제2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바닥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몸체; 및 상기 바닥 경사면에 의해 취합된 제2슬러지로부터 비지와 두유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비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두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두유배출구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 내지 제3몸체는 수직 방향으로 차례로 겹쳐 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유 제조 장치 {Apparatus for producing soy milk}
본 발명은 두유(soy milk)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에 불리지 않은 생콩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두유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두부 제조 기계와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두유 제조 방법은 콩불림 과정, 파쇄 과정 그리고 여과 과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것이었다.
먼저,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을 승강기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계량기 등을 이용하여 계량하여 일정량씩 석발기 및 세척기를 차례로 통과시켜 콩에 포함된 돌이나 기타 불순물이 제거 및 세척하고, 세척된 콩을 수작업 또는 펌프 등으로 콩불림 탱크 내에 공급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콩을 불린다.
콩이 충분히 불면 파쇄기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파쇄하여 콩물을 만들고, 콩물이 얻어지면 원심분리기 등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얻게 된다. 비지는 별도로 모아 사료 등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기름이 많이 포함된 생콩을 파쇄하는 파쇄기가 제안된 바 있기는 하지만 단점이 많아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어서, 생콩을 반드시 불린 다음 파쇄하여 두유를 얻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불린 생콩으로부터 두유를 얻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생콩을 콩불림 탱크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불린 다음 파쇄함으로 인해 콩에 포함된 당분, 등 유기질이 유실되며 단백질은 일부 산화되고 지방질은 수용화되기 때문에,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떨어진다. 둘째, 콩을 불리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두부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없었다.
셋째, 불린 콩의 미사용시 하절기 등 외부의 온도가 높은 계절에는 불린 콩이 변질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넷째, 일부 마른 콩 파쇄기가 있으나 석재 파쇄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마른 콩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모든 맷돌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과다 압력으로 인하여 유기질 파손이 심하고 파쇄, 마쇄, 원심분리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이송 펌프를 통하여 각각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므로 콩물에서 많은 량의 거품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출원번호 10-2011-0048061의 발명(이하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라 함)가 제시된 바 있으나 장치의 복잡한 구조 및 비효율적인 파쇄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를 보이는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여러 개의 풀리(pulley)를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고장이 잦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생콩을 1차로 파쇄한 후 이어서 맷돌로 파쇄하고 다시 또 다른 맷돌로 파쇄한 후에야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얻는 도합 4단계의 복잡한 구조로 처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장이 잦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복잡한 처리 구조로 인하여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크러셔(crusher)의 회전 속도와 원심분리기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구동 계통을 구비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기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크러셔 및 원심분리기의 구동을 위하여 풀리를 사용하고 있어서 기계의 구조가 복잡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의 크러셔를 보이는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크러셔의 고정날과 회전날의 구조가 엉성하여 생콩을 미세하게 파쇄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는 크러셔와 회전 맷돌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부품 교체 및 청소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또한 원심분리기와 하부 맷돌도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역시 부품의 교체 및 청소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에서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쇄기와 원심분리기를 하나의 축에 연결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쇄기, 회전 맷돌, 원심분리기를 하나의 구동 모터를 통하여 일체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쇄기의 회전날과 고정날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생콩을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쇄기, 회전 맷돌, 원심분리기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개선된 구조의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에 불리지 않은 생콩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두유를 생산할 수 있고 동시에 기존의 두부 제조 기계와 연결하여 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에서 4단계를 걸쳐 두유를 제조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들 중 1단계를 제거하면서도 양질의 두유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콩과 물이 투입되면 이를 파쇄하고 미세하게 파쇄하는 파쇄기 (크러셔)와, 미세하게 파쇄된 콩을 더욱 작은 입자로 마쇄하는 맷돌이 장착되어 있고 낙하되는 콩물을 직접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비지와 두유로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가 일체로 장착된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유 제조 장치는
생콩 및 물을 유입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에 의해 유입된 생콩 및 물을 유입하여 생콩을 파쇄하는 크러셔 및 상기 크러셔에 의해 형성된 제1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원형통이 구비된 제1몸체;
상기 원형통에 의해 취합된 제1슬러지를 유입하여 마쇄하는 맷돌 그리고 상기 맷돌에 의해 형성된 제2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경사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2몸체; 및
상기 경사 바닥면에 의해 취합된 제2슬러지로부터 비지와 두유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비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두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두유 배출구가 형성된 제3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 내지 제3몸체는 수직 방향으로 차례로 겹쳐 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크러셔와 상기 제2몸체의 맷돌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
상기 제3몸체의 원심분리기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는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디스크형의 제1 및 제2 나사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링은 상기 제2나사링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날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2나사링은 상기 고정날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의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유 제조 장치는 크러셔와 맷돌과 원심분리기를 하나의 샤프트에 연결하여 함께 구동시킴으로써 기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양질의 두유를 얻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생콩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의 고정날과 회전날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쇄 성능을 높임으로써 양질의 두유를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크러셔 및 맷돌을 구동하기 위한 제1샤프트와 원심분리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2샤프트들을 커플링을 통하여 연동시키고 단일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기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맷돌을 구비하는 제2본체를 원심분리기를 구비하는 제3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쌓아 올리도록 함으로써 기계의 전체적 외형을 줄이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불리지 않은 콩을 파쇄기의 고정날과 회전날 사이에서 좁쌀크기로 거칠게 파쇄한 후에 회전 맷돌을 이용하여 가늘게 마쇄하고,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함으로써 콩의 영양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빠른 시간 내에 콩의 고소한 맛과 담백한 맛이 살아 있는 두유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거품이 발생 되지 않으므로 인체에 유해한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양질의 두유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에 비해 두부 제조 장치에 대해 완전 독립적인 장치로서 작동이 가능하여 독립된 완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고 기존의 어느 두부 제조 장치에도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몸체에 구비된 주요 구성 요소를 발췌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나사링, 제2나사링 그리고 고정날의 결합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날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날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고정날이 제2나사링에 결합된 상태 및 고정날과 회전날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날과 제1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제2샤프트와 커플링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원심분리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구동 모터, 샤프트 그리고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종래의 두유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파쇄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콩물"은 생콩과 물을 섞어서 분쇄함에 의해 발생되는 슬러지 상태의 중간제조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제1슬러지 혹은 제2슬러지로도 표현된다. 이에 비해, "두유"는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여 발생되는 액체 상태의 최종 제조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3단으로 쌓아 올려진 제1 몸체 내지 제3 몸체들(150, 170, 190)을 포함한다.
제1몸체 내지 제3몸체들(150, 170, 190)는 각각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들로서 서로 탈착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제1결합 수단(132), 제2결합수단(134)그리고 제3결합수단(136)이 제공된다. 제1결합수단(132) 내지 제3결합수단(136)은 나사 혹은 후크형 고리가 될 수 있다.
제1몸체(150)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의 상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크러셔(200; 108, 112)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호퍼(hopper, 102)가 설치된다. 호퍼(102)는 깔대기 모양을 가지며 생콩을 일정량 낙하시키도록 감속기와 스크류 구동 모터가 일체로 구성된 스크류 구동장치(102a), 샤프트(102b) 및 스크루(102c)를 포함하며 파쇄될 생콩과 물을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크러셔(200)의 하부에는 호퍼 모양을 가지며, 탈착 가능하며, 제1 몸체(1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원형통(116a)이 설치된다. 원형통(116a)는 제1몸체(150)의 크러셔(200)에 의해 파쇄되고 물과 혼합된 1차 슬러지(slurge)를 제2몸체(170)의 맷돌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차 슬러지는 다소 거친 입자를 포함한다.
제2몸체(170)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의 중간에 위치하며, 내부에 맷돌(300) 그리고 경사 바닥면(120)이 설치된다.
맷돌(300)은 제1몸체(150)의 원형통(116a)을 통하여 유입되는 1차 슬러지에 포함된 콩 입자를 마쇄하여 2차 슬러지를 형성한다.
한편, 경사 바닥면(120)은 맷돌(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맷돌(300)로부터 떨어지는 2차 슬러지를 제3몸체(190)의 원심분리기(400; 12, 13)로 유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낙하 구멍(120a)이 구비된다.
제3몸체(190)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제2몸체(170)의 경사 바닥면(120)에 형성된 슬러지 낙하 구멍(120a)을 통하여 제공되는 2차 슬러지를 유입하여 비지와 두유로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400;402, 404)가 설치된다. 원심분리기(400; 402, 404)는 원추형의 내벽을 가지는 원심분리 바구니(402) 및 원심분리 바구니(402)를 지지하면서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원심분리 회전체(404)를 포함한다. 원심분리 바구니(402)는 촘촘한 격자를 가지는 망형의 소재로 형성된다.
원심분리기(400)에 의해 2차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두유 및 비지는 각각 두유배출구(194) 및 비지 배출구(19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몸체에 구비된 주요 구성 요소를 발췌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몸체(150)에는 두 개의 디스크형 나사링(104, 106), 고정날(108) 그리고 회전날(112)이 설치된다. 두 개의 디스크형 나사링(104, 106)은 고정날(108)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고정날(108)을 덮는 역할을 한다.
제1나사링(104)은 고정날(108)의 중앙 상부에 돌출된 결합부(108c)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안쪽 면에는 상기 결합부(108a)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된다.
제2나사링(106)은 제1나사링(104)의 상부에서 고정날(108)의 결합부(108a)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안쪽 면에는 상기 결합부(108a)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나사링, 제2나사링 그리고 고정날의 고정날 결합부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나사링(106)은 제1몸체(150)의 상면 덮개를 형성하면서 고정날(108)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몸체(15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2나사링(106)의 외주면에는 제1몸체(150)의 측벽에 걸쳐지는 플랜지(A~C)가 마련되고, 각각의 플랜지(A~C)에는 제1몸체(150)의 측벽에 부착된 후크형 고리들과 결합하기 위한 U자형 삽통구(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제2나사링(106)을 제1몸체(150)의 상변에 위치시킨 후 나사 결합에 의해 제2나사링(106)을 제1몸체(150)에 고정시킨다.
고정날 결합부(108a)에서의 제1나사링(104) 및 제2나사링(106)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회전날(112)에 대한 고정날(108)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제1나사링(104)와 제2나사링(106)은 모두 고정날(108)의 고정날 결합부(108a)에 나사결합된다. 제1나사링(104)는 제2나사링(106)의 위쪽에 위치한다.
제1나사링(104)이 제2나사링(106)과 맞닿지 않고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날(108)을 돌려서 회전날(112)과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제1나사링(104)을 조여 제2나사링(106)과 단단히 결합시킴에 의해 고정날(108)을 고정시킨다. 제2나사링(106)이 나사 결합에 의해 제1몸체(1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날(108)은 회전날(112)의 회전에 상관없이 고정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크러셔(200)는 고정날(108)와 회전날(112)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날(108)은 회전날(1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뿔형으로 경사진 저면을 갖는다. 회전날(112)은 고정날(108)의 하부에 위치하며, 원뿔형으로 경사진 상면을 갖는다.
회전날(112)의 상면은 투입되는 생콩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투입되는 콩이 사이에 끼워지면서 파쇄될 수 있도록 고정날(108)의 저면과 회전날(112)의 상면에 복수의 요철홈들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사이의 간격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투입된 콩이 회전날(112)의 경사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잘게 파쇄되면서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날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날(108)의 내부는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갖고 고정날(108)의 하부 외주면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각 날(108c, 108d)이 요철형태로 튀어나와 있다.
고정날(108)의 저면에는 1개의 일직선의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들이 부챗살 형태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제1서브 고정날(108c)은 튀어나온 정도가 경사면의 바깥쪽 끝을 향하여 완만하게 되어 끝 부분에서는 요철부위가 거의 없는 상태로 이루어진 일정한 넓이를 가진 날이다. 이에 비해 제2서브 고정날(108d)은 인접된 제1서브 고정날(108c)들 사이에 2개가 형성되며, 제1서브 고정날(108c)에 비해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제1서브 고정날(108c)과 같이 요철형태로 튀어나오고 날의 튀어나온 정도가 경사면의 바깥쪽 끝을 향하여 완만하게 되어 끝 부분에서는 요철부위가 거의 없는 상태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날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회전날(112)에 형성된 경사면에는 회전날(112)의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서브 회전날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날(112)은 상기 고정날(108)과 반대로 완만한 원추형의 경사면에 시계방향으로 상기 고정날(108)과 같은 요철의 형태를 가진 1 개의 긴 곡선의 제1서브 회전날(112c)과 그 옆으로 짧은 제2서브 회전날(112d)과 또 그 옆으로 더 짧은 제3서브 회전날(112e)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채꼴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회전날(112)은 고정볼트(112a)에 의해 제1샤프트(110)에 연결되며, 제1 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제1샤프트(110)는 제2샤프트(122) 및 커플링(128)을 통하여 구동모터(500)에 연결된다.
실시예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치에 근거하여 고정날(108)의 저면에는 1개의 일직선의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과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들이 부챗살 형태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때 일직선의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의 길이는 6.9cm, 폭은 8mm, 요철부위의 날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고정날(108) 몸체의 중심부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5mm이며 하단으로 갈수록 낮으며 하단부위에서는 요철이 없는 형태로 설계하였다.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 옆에 형성된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길이는 각각 4.2mm, 요철부위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3mm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낮으며 하단부위에서는 요철이 없는 형태이며, 폭은 하단쪽에서 8mm 이며 위를 향하여 삼각형의 두 선이 만나는 4.2mm 부위는 바늘처럼 날카롭게 구성되어 있다. 제1서브 고정날(108c)과 2개의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간격은 7mm 로 일정하며,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 2개의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옆에 위치한 또 다른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의 거리는 상단에서는 1.9cm 이며 하단에서는 3.7cm 로 설계하였다.
이처럼 일정한 간격과 형태를 갖추어 설계를 한 이유는 둥근 형태의 콩들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들어올 경우 연속하여 파쇄되어 마지막으로 하단에서는 미세한 입자로 파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서브 고정날(108c)과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간격, 날의 길이, 깊이 등을 위에 명시된 수치보다 크게 할 경우 콩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들어올 경우 공간이 많이 생겨 생콩이 효과적으로 파쇄되지 않아 두유의 농도가 8 brix 이하로 떨어져 맛있는 두유나 두부를 생산하기에 문제가 있고 생산 수율도 20%~30 이상 감소한다. 반대로 이러한 수치들을 작게 할 경우 콩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들어오지 않아 이 역시 생콩을 효과적으로 파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의 고정날(108c, (108d))들의 길이, 모양, 배열 및 간격은 단단한 생콩을 미세하게 파쇄함으로써, 콩물을 생산함에 있어 최적의 조건을 갖춘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고정날(108c)의 폭 (8mm)을 10mm 로 했을 경우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 옆에 형성된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수가 감소하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배열을 할 수 없어 원활히 콩을 파쇄할 수 없어 수율이 15% 이상 감소한다.
또한, 요철부위의 날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고정날(108) 몸체의 중심부에서 가장 높은 부분, 5mm가 바람직함)를 7mm 로 크게 했을 경우 콩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깊이 들어가서, 회전날(112)이 회전 시 콩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 수율이 12% 이상 감소한다. 또한,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과의 비율이 맞지 않아 콩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 옆에 형성된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길이는 각각 4.2mm이고, 요철부위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3mm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낮으며 하단부위에서는 요철이 없는 형태이며, 폭은 하단쪽에서 8mm 이며 위를 향하여 삼각형의 두 선이 만나는 4.2mm 부위는 바늘처럼 날카롭게 구성되어 있다. 제1서브 고정날(108c)과 2개의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간격은 7mm 로 일정하며,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 2개의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108d)의 옆에 위치한 또 다른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108c)과의 거리는 상단에서는 1.9cm 이며 하단에서는 3.7cm 로 설계하였다.
제2서브 고정날(108d)의 길이 (4.2mm)를 길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요철부위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3mm)를 높게 할 경우 콩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들어가거나 파쇄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아 콩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수율이 20% 이상 감소한다.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은 서로 각도가 각각 다르고 생콩을 파쇄할 수 있도록 날의 배열과 배치가 각각 다르게 설계되어 있으며 만약 고정날(108)의 날에 각도, 배열, 길이 또는 모양을 상기에 언급된 것으로부터 달리할 경우 생콩을 파쇄할 수 없거나 파쇄할 수 있는 양이 15~30% 이상 급감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지름은 190mm로 설계하였으며, 180~150 mm로 크기를 줄일 경우 회전날(112)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콩을 점점 작은 입자로 파쇄할 수 있는 사이클이 짧아 생콩을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없다. 반대로 지름을 190mm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경우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각도에 변화가 발생하여 콩이 효과적으로 파쇄되지 않고 수율은 13% 이상 감소한다.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사이의 간격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요철홈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을 향하여 완만하게 되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하단에서는 요철이 없는 상태로 이루어진 일정한 넓이를 가지고 있어서, 콩이 고정날(108)의 요철홈으로 낙하되면 회전날(112)이 회전을 하면서 파쇄를 하고 파쇄된 콩이 계속 회전날(112)에 의하여 밑으로 내려와 또다시 잘게 파쇄되는 것을 반복하여 요철이 없는 하단 부분에서는 매우 곱게 파쇄가 된 후 물과 함께 아래의 맷돌로 낙하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때 회전날(112)의 회전속도는 1500 RPM 이상이 되어야 원심력에 의하여 콩물이 효과적으로 회전날(112) 밖으로 배출되어 밑의 회전 맷돌(300)에 도달하여 2차로 미세하게 마쇄된다. 만약 회전날(112)의 회전속도를 RPM을 1000 이하로 할 경우 콩물이 회전날 밖으로 완전히 배출이 되지 않고 계속 적체되어 회전날(112)이 회전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양날의 끝의 간격은 1.2m 를 유지할 때 콩이 가장 미세하게 파쇄되어 두유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인 농도 9-10 brix 의 콩물을 얻을 수 있으며, 회전날(112)이 적당한 속도로 회전을 함에 따라 이 틈 사이로 콩물이 밖으로 배출되어 밑에 설치된 맷돌(300)로 낙하되어 이차로 더 고운 입자로 마쇄가 된다. 실험 결과, 고정날(108)과 회전 날(112)을 결합하였을 때 그 간격이 1.2m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쇄된 콩의 입자가 굵은 것들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비지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양이 많았으며 이 경우 콩이 미세하게 파쇄되지 않아 두유생산량이 13~23% 이상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크러셔(200)의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고 고정날(108)을 몸체에 결합 시 회전날(112)과의 간격이 1.2mm 를 정확히 유지되도록 고정날(108)의 윗부분에는 화살표를 각인하고, 고정날(108)을 고정시키는 원형 디스크 링에는 눈금을 각인하여 고정날의 화살표가 정확히 1.2mm 의 눈금에 맞추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고정날(108)의 경사도는 고정날(108)의 안쪽부분에서 바깥쪽 부분의 2cm 지점에서 105도, 안쪽부분에서 바깥쪽 부분의 7cm 지점에서 114도, 회전날(112)의 각도는 회전날(112)의 샤프트를 끼우는 구멍 옆으로 형성된 경사가 133도, 회전날(112)의 샤프트를 끼우는 구멍 옆으로 형성된 경사로부터 1cm 지점이 129도로 제작이 되었을 경우 생콩을 파쇄 시 파쇄된 콩이 맷돌을 통하여 이차로 마쇄되어 콩물로 배출되었을 경우 두유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인 농도 9-10 brix 의 콩물을 얻을 수 있으며 비지의 배출량을 최대로 줄일 수 있다.
이때, 회전날(112)과 고정날(108)의 경사에 변화를 줄 경우, 경사를 높이면 회전날(112)과 고정날(108)의 사이에 들어온 콩들이 충분히 파쇄가 되지않고 반대로 경사를 낮추면 파쇄된 콩이 밑으로 낙하하는 힘이 약하여 효과적인 파쇄가 되지 않는다. 회전날(112)이나 고정날(108) 중 어느 한쪽이 상기의 각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생콩의 파쇄가 원활히 이루어 지지 않아 두유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인 농도 9-10 brix 의 콩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회전날(112)과 맷돌(300)의 회전속도는 1450 RPM~2500 RPM 으로 다양한 속도를 적용하여 회전 후 콩물의 농도를 측정 한 결과 변화가 없었으며 두유 또는 두부를 제작 시 맛과 향에도 변함이 없었다. 한편, 회전날(112)과 맷돌(300)의 회전속도를 1450 RPM 이하로 하는 경우 회전날(112)과 회전맷돌(118)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약하여 콩물이 효과적으로 빠져나오지 않아 콩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에 있어 문제가 있으므로 최소한 1500 RPM~2500 RPM 사이의 회전을 유지해야 한다.
회전날의 경사면에는 시계방향의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서브 회전날(112c~112e)들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서브 회전날들은 1 개의 긴 곡선의 제1서브 회전날(112c), 제1서브 회전날(112c)의 옆으로 제1서브 회전날(112c)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서브 회전날(112d) 그리고 제2서브 회전날(112d)의 옆으로 제2서브 회전날(112d)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3서브 회전날(112e)이 배치되며, 제1, 제2 그리고 제3서브 회전날(112c~112e)들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곡선형태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서브 회전날(112c)의 길이는 오른쪽이 7.2cm, 왼쪽이 7cm 이며 하단쪽의 날의 넓이는 2cm 이다. 제2서브 회전날(112d)의 길이는 오른쪽이 5.2cm, 왼쪽이 7cm 이며 하단쪽의 날의 넓이는 2.2cm 이다. 제3서브 회전날(112e)의 길이는 오른쪽이 4.6cm 왼쪽이 4.4cm 이며 하단쪽의 날의 넓이는 2.2cm 이다. 제1, 제2 그리고 제3서브 회전날(112c~112e)들의 간격은 각각 1.2cm 로 일정하게 되어있다. 요철부위의 날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회전날 몸체의 중심부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2.5mm이며 하단으로 갈수록 낮으며 하단부위에서는 요철이 없는 형태로 설계하였다.
이는 콩의 평균적인 크기를 감안하여 고정날(108)과 회전날(112) 사이에 끼어 파쇄가 최상의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고정날(108)과 제1서브 회전날(112c)의 윗부분에 의하여 파쇄된 콩이 제 2 서브 회전날(112d)의 윗부분에 의하여 더 잘게 파쇄되고 또다시 제3서브 회전날(112e)의 윗부분에 의하여 더 작게 파쇄된 후 다시 제1서브 회전날(112c), 제2서브 회전날(112d) 및 제3서브 회전날(112e)의 아랫부분으로 내려가면서 연속적으로 잘게 파쇄되고 하단 부분에서는 미세한 입자로 파쇄되어 원심력에 의하여 밖으로 배출된 후 밑의 맷돌로 낙하된다.
한편, 곡선형태의 제1, 제2 그리고 제3서브 회전날(112a~112c)들을 현재 도면상의 기울기 보다 5도씩 기울여 작동을 한 결과 5도씩 기울 때마다 7% 이상의 파쇄 수율이 감소되고 20도 이상 기울기를 높일 경우 콩이 효과적으로 파쇄되지 않고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6은 고정날이 제2나사링에 결합된 상태 및 고정날과 회전날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고정날(108)이 제2나사링(106)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날과 제1샤프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날(112)은 고정볼트 (112a)에 의해 제1 샤프트(110)에 고정된다.
회전날(112)의 중심에는 관통홀(6f)이 형성되고, 관통홀(112f)을 이루는 벽체(112g)의 일부가 소정의 깊이로 절개되어 절개홈(112b)이 마련된다. 한편, 제1 샤프트(110)의 상부 측면에는 회전날(112)의 절개홈(6b)에 끼워지는 돌기(11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샤프트(110)의 돌기(110b)와 회전날(112)의 절개홈(6b)을 서로 맞추어 제1샤프트(110)을 회전날(112)에 끼운 후 회전날(112)이 상측에서 제1샤프트(110)의 상단에 마련된 결합나사부(110a)에 고정볼트(112a)를 결합시켜 제1샤프트(110)과 회전날(112)을 단단하게 결합시킨다.
이후, 샤프트(110)의 바깥쪽을 감싸는 파이프(122)를 샤프트(110)에 끼운다. 파이프(222)는 회전맷돌 (118)과 회전날(112)을 제2몸체(170)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샤프트(110)는 구동 모터(500)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다. 구동모터(500)의 회전 속도 조절을 위해 인버터가 내장된 컨트롤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날(112)의 하부에는 원형통(116a)이 설치된다.
제2몸체(170)의 상부에는 두 개의 디스크형 나사링(124, 126)들이 마련된다. 제3 및 제4의 나사링(124, 126)은 제2몸체(170)의 상면을 형성하면서 고정 맷돌(116)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2몸체(17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3 및 제4의 나사링(124, 126)의 구성 및 고정 맷돌(116)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맷돌 결합부(116b)와의 결합 구조는 제1 및 제2의 나사링(104, 106)의 구성 및 고정날(108)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날 결합부(108a)와의 결합 구조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간략화를 위해 상세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맷돌(300)의 하부에는 경사 바닥면이 위치한다. 경사 바닥면(120)에는 맷돌(300)로부터 떨어지는 2차 슬러지를 유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낙하 구멍(120a)이 구비된다. 슬러지 낙하 구멍(120a)은 2차 슬러지가 경사 바닥면(120) 상에 적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 맷돌(118)은 제1샤프트(110)에 결합된다. 제1샤프트(110)는 커플링(128) 및 제2샤프트(122)를 통하여 구동모터(500)에 연결된다.
도 8은 제2샤프트와 커플링의 예들을 도시한다.
커플링(128)은 구동축인 제2샤프트(122)의 회전력을 피동축인 제1사프트(110에 전달한다. 커플링(128)으로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스플라인-보스 타입(spline-boss type)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플라인이 삽입되는 깊이 즉, 제1샤프트(110)의 하단에 마련된 스플라인이 제2샤프트(122)의 상단에 마련된 보스에 삽입되는 깊이는 고정날(108)의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충분히 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회전력 전달에 충분한 정도의 삽입 깊이에 더하여 고정날(108)과 회전날(112)의 높이 조절을 위해 필요한 깊이만큼을 고려하여 삽입 깊이를 결정한다.
한편, 커플링(128)은 제3본체(19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본체(170)가 제3본체(190)로부터 분리될 때, 커플링(128)에 의해 결합된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2)도 함께 분리된다.
제2샤프트(122)는 구동 모터(50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풀리 수단(1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원심분리기(400)는 원심분리 회전체(404)와 원심분리 바구니(402)를 포함한다. 원심분리 회전체(404)는 제2샤프트(122)에 결합된다. 제2샤프트(122)는 구동모터(500)에 직접 혹은 풀리 수단(130)을 통하여 연결된다.
제2슬러지에 포함된 비지는 원심분리 바구니(402)에 의해 걸러지고, 원심분리 바구니(402)의 회전에 따라 점차로 원심분리 바구니(402)의 상부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원심분리 바구니(402)의 상부 바깥쪽으로 밀려난 비지는 원심력에 의해 비지 배출구(192)를 통해 제3몸체(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비지 배출구(192)는 원심 분리 바구니(402)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슬러지에 포함된 두유는 망체로 된 원심분리 바구니(402)의 밑으로 흘러내리고, 두유 배출구(194)를 통해 제3몸체(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9는 원심분리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마련된 결합 나사부에 원심분리 회전체(404) 원심분리 바구니(402), 부싱(bushing), 커플링(128)이 차례로 끼워진다. 커플링(128)의 하부 안쪽에는 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마련된 결합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128)을 돌려 나사를 조임에 의해 커플링(128), 원심분리 회전체(404) 원심분리 바구니(402)가 모터 회전축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0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분리 회전체(404) 및 커플링(128)이 회전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00)는 제1본체 내지 제3본체(150, 170, 190)가 수직 방향으로 쌓아 올려진 형태를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 의해 원심분리기(400), 맷돌(300), 크러셔(200)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구동 모터, 샤프트 그리고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의 (a)는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b)는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류(101c)는 호퍼(102)의 상부로 투입되는 생콩을 일정량씩 호퍼(102)의 하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스크류(102c)는 샤프트(10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홈에 모여진 생콩은 샤프트(102b)의 회전에 따라 하부로 낙하된다. 이러한 스크류(102c)의 작용에 의해 생콩이 일정량만큼 크러셔(200)에 제공되므로, 크러셔(200)가 생콩의 과잉 공급에 의해 회전이 멈춰지는 것이 방지된다.
102...호퍼 104...제1나사링
106...제2나사링 108...고정날
112...회전날 116... 고정맷돌
116a..원형통 118... 회전맷돌
110...제1샤프트 122...제2샤프트
114... 배출관 120... 경사 바닥면
150... 제1 몸체 112... 회전날
112a... 고정나사 170... 제2 몸체
190...제3 몸체

Claims (15)

  1. 생콩 및 물을 유입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에 의해 유입된 생콩 및 물을 유입하여 생콩을 파쇄하는 크러셔 및 상기 크러셔에 의해 형성된 제1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원형통이 구비된 제1몸체;
    상기 원형통에 의해 취합된 제1슬러지를 유입하여 마쇄하는 맷돌 그리고 상기 맷돌에 의해 형성된 제2슬러지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경사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2몸체; 및
    상기 경사 바닥면에 의해 취합된 제2슬러지로부터 비지와 두유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비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비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두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두유 배출구가 형성된 제3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 내지 제3몸체는 수직 방향으로 차례로 겹쳐 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크러셔와 상기 제2몸체의 맷돌에 결합되는 제1샤프트;
    상기 제3몸체의 원심분리기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는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날; 및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디스크형의 제1 및 제2 나사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링은 상기 제2나사링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날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2나사링은 상기 고정날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날의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맷돌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맷돌; 및
    상기 고정 맷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맷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디스크형의 제3 및 제4 나사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3나사링은 상기 제4나사링의 위쪽에서 상기 고정 맷돌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맷돌 결합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2나사링은 상기 고정 맷돌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맷돌의 고정 맷돌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는
    상기 제1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날; 및
    상기 고정날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날은 원뿔형 저면을 가지는 한편, 상기 회전날은 고정날의 원뿔형 저면에 상응하는 원뿔형 상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날 및 회전날은 투입되는 생콩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생콩이 끼워지면서 파쇄될 수 있도록 고정날의 저면과 회전날의 상면에 복수의 요철홈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과 회전날의 사이의 간격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의 저면에는 1개의 일직선의 막대모양의 제1서브 고정날과 2개의 긴 삼각형 제2서브 고정날들이 부챗살 형태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고정날은 튀어 나온 정도가 상기 고정날의 하단을 향하여 완만하게 되어 상기 고정날의 하단에서는 요철이 없는 상태로 이루어진 일정한 넓이를 가진 날이고,
    상기 제2서브 고정날은 인접된 제1날들 사이에 2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서브 고정날에 비해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제1날과 같이 요철형태로 튀어나오고 튀어나온 정도가 상기 고정날의 바깥쪽 하단을 향하여 완만하게 되어 상기 고정날의 바깥쪽 하단에서는 요철부위가 없는 상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의 경사면에는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서브 회전날들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회전날들은 1 개의 긴 곡선의 제1서브 회전날, 상기 제1서브 회전날의 옆으로 제1서브 회전날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서브 회전날 그리고 상기 제2서브 회전날의 옆으로 상기 제2서브 회전날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3서브 회전날이 배치되며,
    제1, 제2 그리고 제3서브 회전날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채꼴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는
    회전하는 원심분리 회전체; 및
    상기 원심분리 회전체에 의해 지지되는 깔대기 모양의 망상 소재로 구현되는 원심분리 바구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 배출구는 상기 원심 분리 바구니의 상부 외주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두유 배출구는 상기 바닥 경사면의 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KR1020130137093A 2013-11-12 2013-11-12 두유 제조 장치 KR20150054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093A KR20150054537A (ko) 2013-11-12 2013-11-12 두유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093A KR20150054537A (ko) 2013-11-12 2013-11-12 두유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37A true KR20150054537A (ko) 2015-05-20

Family

ID=5339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093A KR20150054537A (ko) 2013-11-12 2013-11-12 두유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5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734A (zh) * 2019-08-01 2019-10-11 黄志云 一种磨浆机及其磨浆装置
KR20210020299A (ko) * 2019-08-14 2021-02-24 권혁천 미세 두유 제조장치
KR102535481B1 (ko) * 2023-02-16 2023-05-30 농업회사법인논산딸기랜드 주식회사 콩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 가능한 자동 맷돌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734A (zh) * 2019-08-01 2019-10-11 黄志云 一种磨浆机及其磨浆装置
KR20210020299A (ko) * 2019-08-14 2021-02-24 권혁천 미세 두유 제조장치
KR102535481B1 (ko) * 2023-02-16 2023-05-30 농업회사법인논산딸기랜드 주식회사 콩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 가능한 자동 맷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89225A (ja) 微粉砕装置及び方法
BR112013001998B1 (pt) Máquina espremedora para produzir leite de soja com função de moagem
KR20150054537A (ko) 두유 제조 장치
CN110495616A (zh) 一种干果脱壳机
CN104970678B (zh) 榨汁机
CN113457787A (zh) 一种豆制品生产线
CN203897978U (zh) 榨汁机
CN216125777U (zh) 一种中药粉碎机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CN102813443B (zh) 一种用于果蔬加工机的磨盘滤网结构
KR20120006052U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KR20080000030U (ko) 파쇄기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CN214554092U (zh) 一种椰肉粉碎机
CN109940785A (zh) 一种废弃轮胎回收炼油生产线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CN210010046U (zh) 一种脱硫石膏粉碎装置
KR101127980B1 (ko) 두부제조기의 두유제조장치
JP3304238B2 (ja) 有皮穀類の微細化方法
CN209885920U (zh) 一种湿式粉碎机
CN217796502U (zh) 一种用于茶干加工的磨浆装置
CN213046613U (zh) 一种渣浆分离并能连续出浆的薯类淀粉加工料理机
KR200219549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의 마쇄스크류
KR101803914B1 (ko) 채소류 분쇄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