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019A -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019A
KR20150052019A KR1020157004577A KR20157004577A KR20150052019A KR 20150052019 A KR20150052019 A KR 20150052019A KR 1020157004577 A KR1020157004577 A KR 1020157004577A KR 20157004577 A KR20157004577 A KR 20157004577A KR 20150052019 A KR20150052019 A KR 20150052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contact portion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류헤이 카토
유타카 우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콘택트 접점부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구성] 커넥터(C)는 제 1 콘택트(200a)와, 제 1 콘택트(200a)의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2 콘택트(200b)와, 절연성을 갖는 제 1 스토퍼(300a)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콘택트(200a)는 제 2 콘택트(200b)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점부(220a)를 갖고 있다. 제 1 스토퍼(300a)는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또한 접점부(220a)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220a)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잭 커넥터가 있다. 이 커넥터는 보디와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보디에는 플러그[메이팅(mating) 커넥터]가 삽입 가능한 접속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는 보디의 접속 구멍 내의 제 1 방향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점부를 갖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49-135788 호 공보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가 보디의 접속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으로 비틀리면 콘택트의 접점부가 압박되어 상기 접점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여 변위되어 소성 변형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콘택트 접점부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제 2 콘택트와 절연성을 갖는 제 1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제 1 콘택트의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점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 1 콘택트의 접점부가 탄성 변형 되면 제 1 스토퍼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콘택트의 접점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여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이팅 커넥터가 비틀어져 제 1 콘택트의 접점부가 메이팅 커넥터에 압박되었다고 해도 상기 접점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여 변위되어 소성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토퍼가 상기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가 제 1 스토퍼를 구비했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가 대형화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토퍼는 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도 제 1, 제 2 콘택트가 제 1 스토퍼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는 기부와 접촉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부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치수와 상기 기부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상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접촉부의 제 1 방향의 치수를 기부의 제 1 방향의 치수와 상위하게 하는 것만으로 제 1 콘택트의 접점부의 변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유지한 상기 보디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는 커버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는 상기 보디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관통한 접속 구멍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스토퍼가 상기 커버에 연접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커버가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하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제 1 스토퍼가 연접되어 있으므로 커버로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함과 아울러 제 1 스토퍼를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토퍼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커버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커버에 연접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는 접속 구멍과,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멍에 연통되는 제 1 감합 구멍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감합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커버가 제 1 감합 구멍에 감합되어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제 1 스토퍼가 연접되어 있으므로 커버로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함과 아울러 제 1 스토퍼를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토퍼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콘택트는 고착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착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고착부의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에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접점부가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고착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제 1 스토퍼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에 연접된 제 1 스토퍼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가 제 1 스토퍼를 구비했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가 대형화될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시일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는 상기 제 1 감합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연통되는 제 2 감합 구멍을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 2 감합 구멍에 충전되고 또한 상기 커버를 덮는 수지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시일부가 제 2 감합 구멍에 충전되고 또한 커버를 덮는 수지이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볼록 돌기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일부에 상기 돌기가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커버의 돌기가 시일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시일부의 커버에 대한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와 절연성을 갖는 제 2 스토퍼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는 접점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의 상기 접속 구멍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한쪽측 부분에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접속 구멍 내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의 상기 접속 구멍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다른쪽측 부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콘택트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접속 구멍 내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4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 5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제 4, 제 5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4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 4 콘택트의 접점부가 탄성 변형되면 제 2 스토퍼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4 콘택트의 접점부의 소정량 이상의 변위가 방지된다. 따라서, 메이팅 커넥터가 비틀어져 제 4 콘택트의 접점부가 메이팅 커넥터에 압박되었다고 해도 상기 접점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여 변위되어 소성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가 상기 제 4, 제 5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가 제 2 스토퍼를 구비했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가 대형화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는 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제 4, 제 5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도 제 4, 제 5 콘택트가 제 2 스토퍼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저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2A-2A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2B-2B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3A-3A 단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3B-3B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커넥터의 커버 및 제 1, 제 2 스토퍼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커버 및 제 1, 제 2 스토퍼의 배면, 저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상기 커넥터의 제 1~제 6 콘택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제 1~제 6 콘택트의 배면, 저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2A-2A 단면도이며,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내의 2B-2B 단면도이며,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C)에 대해서 도 1a~도 6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커넥터(C)는 플러그(P)[메이팅 커넥터(도 6a 및 도 6b 참조)]가 접속 가능한 다극잭 커넥터이다. 커넥터(C)는 도 2a~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와, 제 1 콘택트(200a)와, 제 2 콘택트(200b)와, 제 3 콘택트(200c)와, 제 4 콘택트(200d)와, 제 5 콘택트(200e)와, 제 6 콘택트(200f)와,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와, 커버(400)와, 시일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커넥터(C)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2a~도 2b에 나타내는 제 1 방향(X)은 커넥터(C)의 폭 방향이다. 도 2a 및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제 2 방향(Y)은 커넥터(C)의 길이 방향이다. 도 2a 및 도 3a~도 3b에 나타내는 제 3 방향(Z)는 커넥터(C)의 높이 방향이다. 제 2 방향(Y)은 제 1 방향(X)에, 제 3 방향(Z)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에 직교하고 있다.
제 1 콘택트(200a)는 도 2a~도 2b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1 콘택트(200a)는 고착부(210a)와, 접점부(220a)와, 테일부(230a)를 갖고 있다.
고착부(210a)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판이며, 제 2 방향(Y)의 제 1, 제 2 단(전단, 후단)과 직사각 형상의 구멍(211a)을 갖고 있다. 구멍(211a)은 제 2 방향(Y)의 제 1, 제 2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접점부(220a)는 구멍(211a)의 제 1 가장자리에 연접되고,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경사지면서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후방측)으로 연장된 판이다. 접점부(220a)는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즉,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점부(220a)는 탄성 변형되었을 때 구멍(211a)에 삽입 가능하다. 접점부(220a)의 선단부는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테일부(230a)는 고착부(210a)의 제 2 단의 하부에 연접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이다.
제 2 콘택트(200b)는 도 2a~도 2b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2 콘택트(200b)는 고착부(210b)와, 접점부(220b)와, 테일부(230b)를 갖고 있다.
고착부(210b)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판이며, 제 2 방향(Y)의 제 1, 제 2 단(전단, 후단)을 갖고 있다. 접점부(220b)는 고착부(210b)의 제 1 단에 연접되고, 또한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경사지면서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으로 연장된 판이다. 접점부(220b)는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점부(220b)의 선단부는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테일부(230b)는 고착부(210b)의 제 2 단의 하부에 연접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이다.
제 3 콘택트(200c)는 도 2a~도 2b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3 콘택트(200c)는 고착부(210c)와, 접점부(220c)와, 테일부(230c)를 갖고 있다.
고착부(210c)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판이며, 제 2 방향(Y)의 제 1, 제 2 단(전단, 후단)을 갖고 있다. 고착부(210c)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고착부(210b)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크다. 접점부(220c)는 고착부(210c)의 제 1 단에 연접되고, 또한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경사지면서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으로 연장된 판이다. 접점부(220c)의 제 2 방향(Y)의 치수가 접점부(220b)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크다. 접점부(220c)는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점부(220c)의 선단부는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테일부(230c)는 고착부(210c)의 제 2 단의 하부에 연접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이다.
제 4 콘택트(200d)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4 콘택트(200d)는 제 1 콘택트(200a)의 대칭 형상이며, 또한 테일부를 갖고 있지 않는 점에서 제 1 콘택트(200a)와 상위하다. 이것 이외에 대해서, 제 4 콘택트(200d)는 제 1 콘택트(200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도 2a 및 도 5a~도 6b 내의 210d는 고착부, 220d는 접점부이다. 접점부(220d)는 제 1 방향(X)의 한쪽측(즉, 제 5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점부(220d)는 탄성 변형되었을 때 구멍(211d)에 삽입 가능하다.
제 5 콘택트(200e)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5 콘택트(200e)는 다음의 2점을 제외하고 제 2 콘택트(200b)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 1 점은 제 5 콘택트(200e)가 제 2 콘택트(200b)와 대칭 형상인 점이다. 제 2 점은 고착부(210e), 접점부(220e)의 제 2 방향(Y)의 치수가 고착부(210b), 접점부(220b)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큰 점이다. 또한, 도 2a 및 도 5a~도 6b 내의 230e는 테일부이다.
제 6 콘택트(200f)는 도 2a 및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이다. 제 6 콘택트(200f)는 다음의 2점을 제외하고 제 3 콘택트(200c)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 1 점은 제 6 콘택트(200f)가 제 3 콘택트(200c)와 대칭 형상인 점이다. 제 2 점은 고착부(210f), 접점부(220f)의 제 2 방향(Y)의 치수가 고착부(210c), 접점부(220c)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큰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5a~도 6b 내의 230f는 테일부이다.
보디(100)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보디(100)는 도 2a~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보디(110)와, 볼록부(120)와, 접속 구멍(130)과, 제 1, 제 2 감합 구멍(141, 142)과, 수용홈(151, 152, 153, 154, 155, 156)과, 수용 구멍(161, 162, 163, 164)과, 유지부(170)를 갖고 있다. 메인 보디(110)는 직육면체의 블록이며, 전방면[제 2 방향(Y)의 일단면]과 후방면[제 2 방향(Y)의 타단면]을 갖고 있다. 볼록부(120)는 메인 보디(110)의 전방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타원형의 원기둥이다.
접속 구멍(130) 및 제 1, 제 2 감합 구멍(141, 142)은 도 2a~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보디(110) 및 볼록부(120)를 제 2 방향(Y)으로 관통하도록 메인 보디(110) 및 볼록부(120)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 구멍(130)은 메인 보디(110) 및 볼록부(120) 내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구멍이며, 볼록부(120)의 전방면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한쪽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접속 구멍(130)에 플러그(P)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구멍(130) 내의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 중앙부에는 유지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70)는 접속 구멍(130)의 제 3 방향(Z)의 한쪽측의 내면으로부터 다른쪽측의 내면에 걸쳐 연장된 판이다. 유지부(170)에는 대략 원형의 유지 구멍(1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구멍(171)에 플러그(P)의 선단부가 감합 가능하다. 제 1 감합 구멍(141)은 메인 보디(11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멍(130)에 연통된 직사각 형상의 구멍이다. 제 1 감합 구멍(141)의 외형은 접속 구멍(130)의 외형보다 크다. 제 2 감합 구멍(142)은 메인 보디(110)의 제 1 감합 구멍(141)보다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감합 구멍(141)에 연통된 직사각 형상의 구멍이다. 제 2 감합 구멍(142)의 외형은 제 1 감합 구멍(141)의 외형보다 크다. 제 2 감합 구멍(142)은 메인 보디(110)의 후방면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수용홈(151, 152, 153)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 부분에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1)은 보디(100)의 수용홈(151, 152)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2)은 보디(100)의 수용홈(153)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4, 155, 156)은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한쪽측 부분에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3)은 보디(100)의 수용홈(153, 154)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4)은 보디(100)의 수용홈(156)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수용홈(151)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1)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접속 구멍(130)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1)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1 콘택트(200a)의 고착부(210a)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1)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1 콘택트(200a)의 고착부(210a)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a)가 수용홈(151)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는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홈(152)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수용홈(151)보다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2)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수용홈(151)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2)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2 콘택트(200b)의 고착부(210b)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2)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2 콘택트(200b)의 고착부(210b)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b)가 수용홈(152)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보디(100)의 수용홈(151, 152)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는 도 2a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1)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가로 구멍이며, 수용홈(151, 152) 및 접속 구멍(130)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 구멍(161)에 제 2 콘택트(200b)의 접점부(220b)가 삽입되어 있다. 접점부(220b)의 선단부는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부(220b)의 선단부는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의 선단부의 제 2 방향(Y)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홈(15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수용홈(152)보다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3)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수용홈(152)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3)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3 콘택트(200c)의 고착부(210c)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3)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3 콘택트(200c)의 고착부(210c)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c)가 수용홈(153)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보디(100)의 수용홈(153)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는 수용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2)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가로 구멍이며, 수용홈(153) 및 수용 구멍(161)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 구멍(162, 161)에 제 3 콘택트(200c)의 접점부(220c)가 삽입되어 있다. 접점부(220c)의 선단부는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부(220c)의 선단부는 제 2 콘택트(200b)의 접점부(220b)의 선단부의 제 2 방향(Y)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홈(154)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한쪽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4)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접속 구멍(130)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4)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4 콘택트(200d)의 고착부(210d)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4)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4 콘택트(200d)의 고착부(210d)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d)가 수용홈(154)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가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에 대향하고 있다.
수용홈(155)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수용홈(154)보다 제 1 방향(X)의 한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5)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수용홈(154)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5)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5 콘택트(200e)의 고착부(210e)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5)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5 콘택트(200e)의 고착부(210e)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e)가 수용홈(155)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보디(100)의 수용홈(154, 155)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는 도 2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구멍(16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3)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가로 구멍이며, 수용홈(154, 155) 및 접속 구멍(130)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 구멍(163)에 제 5 콘택트(200e)의 접점부(220e)가 삽입되어 있다. 접점부(220e)의 선단부는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부(220e)의 선단부는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의 선단부의 제 2 방향(Y)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 3 콘택트(200c)의 접점부(220c)의 선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수용홈(156)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0)의 수용홈(155)보다 제 1 방향(X)의 한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56)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수용홈(155)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홈(155)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제 6 콘택트(200f)의 고착부(210f)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수용홈(156)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제 6 콘택트(200f)의 고착부(210f)의 제 3 방향(Z)의 치수보다 약간 작다. 고착부(210f)가 수용홈(156)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보디(100)의 수용홈(156)보다 제 2 방향(Y)의 한쪽측(전방측) 부분에는 수용 구멍(164)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64)은 제 2 방향(Y)으로 연장된 가로 구멍이며, 수용홈(156) 및 수용 구멍(163)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 구멍(163, 164)에 제 6 콘택트(200f)의 접점부(220f)가 삽입되어 있다. 접점부(220f)의 선단부는 접속 구멍(130)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제 5 콘택트(200e)의 접점부(220e)의 선단부의 제 2 방향(Y)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400) 및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400)는 커버 본체(410)와 한 쌍의 돌기(420)를 갖고 있다. 커버 본체(410)는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커버 본체(410)의 외형은 보디(100)의 제 1 감합 구멍(141)의 내형에 대응한 형상이다. 커버 본체(410)가 제 1 감합 구멍(141)에 감합되어 접속 구멍(130)의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을 폐쇄하고 있다.
커버 본체(410)의 제 1 방향(X)의 타단부의 하부에는 슬릿(411, 412, 413)이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슬릿(411, 412, 413)의 제 1 방향(X)의 치수는 제 1, 제 2, 제 3 콘택트(200a, 200b, 200c)의 테일부(230a, 230b, 230c)의 제 1 방향(X)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슬릿(411, 412, 413)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테일부(230a, 230b, 230c)의 제 3 방향(Z)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슬릿(411, 412, 413)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테일부(230a, 230b, 230c)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작다. 테일부(230a, 230b, 230c)가 슬릿(411, 412, 413)에 부분적으로 감합되고 상기 슬릿(411, 412, 413)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 본체(410)의 제 1 방향(X)의 일단부의 하부에는 슬릿(414, 415)이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슬릿(414, 415)의 제 1 방향(X)의 치수는 제 5, 제 6 콘택트(200e, 200f)의 테일부(230e, 230f)의 제 1 방향(X)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슬릿(414, 415)의 제 3 방향(Z)의 치수는 테일부(230e, 230f)의 제 3 방향(Z)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슬릿(414, 415)의 제 2 방향(Y)의 치수는 테일부(230e, 230f)의 제 2 방향(Y)의 치수보다 작다. 테일부(230e, 230f)가 슬릿(414, 415)에 부분적으로 감합되고 상기 슬릿(414, 415)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 본체(410)의 제 2 방향(Y)의 일단면(내면)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오목부(416)가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410)의 상기 일단면에는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는 제 2 방향(Y)의 한쪽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는 기부(310a, 310b)와 접촉부(320a, 320b)를 갖고 있다.
기부(310a)는 커버 본체(410)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의 고착부(210a, 210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즉, 기부(310a)는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의 고착부(210a, 210b)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부(320a)는 기부(310a)로부터 제 2 방향(Y)의 한쪽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220a)의 선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320a)는 고착부(210a)의 구멍(211a)을 통과해 접점부(220a)의 선단부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320a)의 제 1 방향(X)의 치수와 기부(310a)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상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320a)의 제 1 방향(X)의 치수가 기부(310a)의 제 1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a)의 선단부의 변위 범위[도 2a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부터 접촉부(320d)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까지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기부(310b)는 커버 본체(410)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의 고착부(210d, 210e)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즉, 기부(310b)는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의 고착부(210d, 210e)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부(320b)는 기부(310b)로부터 제 2 방향(Y)의 한쪽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220d)의 선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320b)는 고착부(210d)의 구멍(211d)을 통과해 접점부(220d)의 선단부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320b)의 제 1 방향(X)의 치수와 기부(310b)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상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320b)의 제 1 방향(X)의 치수가 기부(310b)의 제 1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d)의 선단부의 변위 범위[도 2a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부터 접촉부(320d)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까지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커버 본체(410)의 제 2 방향(Y)의 타단면(외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한 쌍의 돌기(420)가 제 1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500)는 보디(100)의 제 2 감합 구멍(142)에 충전되고 또한 커버(400)를 덮는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나일론계의 절연 수지)이다. 시일부(500)의 중앙부에는 커버(400)의 돌기(420)가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다. 시일부(500)의 제 3 방향(Z)의 타단부(하단부)에는 테일부(230a, 230b, 230c, 230e, 230f)가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다. 즉, 테일부(230a, 230b, 230c, 230e, 230f)가 시일부(500)를 관통하고 있다(도 2a 참조).
이하, 상술한 커넥터(C)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디(100) 및 제 1~제 6 콘택트(200a~200f)를 준비한다. 그 후, 보디(100)의 수용홈(153)으로부터 수용 구멍(162, 161)에 제 3 콘택트(200c)의 접점부(220c)를 삽입함과 아울러 제 3 콘택트(200c)의 고착부(210c)를 수용홈(153)에 압입한다. 이때, 접점부(220c)의 선단부가 수용 구멍(162, 161)으로부터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그 후, 보디(100)의 수용홈(152)으로부터 수용 구멍(161)에 제 2 콘택트(200b)의 접점부(220b)를 삽입함과 아울러 제 2 콘택트(200b)의 고착부(210b)를 수용홈(152)에 압입한다. 이때, 접점부(220b)의 선단부가 수용 구멍(161)으로부터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그 후, 보디(100)의 수용홈(151)에 제 1 콘택트(200a)의 고착부(210a)를 압입한다. 그러면,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가 수용홈(151)으로부터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제 2, 제 3 콘택트(200a, 200b, 200c)의 고착부(210a, 210b, 210c)가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유지되고, 제 1, 제 2, 제 3 콘택트(200a, 200b, 200c)의 접점부(220a, 220b, 220c)가 접속 구멍(130) 내에 제 2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보디(100)의 수용홈(156)으로부터 수용 구멍(164, 163)에 제 6 콘택트(200f)의 접점부(220f)를 삽입함과 아울러 제 6 콘택트(200f)의 고착부(210f)를 수용홈(156)에 압입한다. 이때, 접점부(220f)의 선단부가 수용 구멍(164, 163)으로부터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그 후, 보디(100)의 수용홈(155)으로부터 수용 구멍(163)에 제 5 콘택트(200e)의 접점부(220e)를 삽입함과 아울러 제 5 콘택트(200e)의 고착부(210e)를 수용홈(155)에 압입한다. 이때, 접점부(220e)의 선단부가 수용 구멍(163)으로부터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그 후, 보디(100)의 수용홈(154)에 제 4 콘택트(200d)의 고착부(210d)를 압입한다. 그러면,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가 수용홈(154)으로부터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4, 제 5, 제 6 콘택트(200d, 200e, 200f)의 고착부(210d, 210e, 210f)가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보다 제 1 방향(X)의 한쪽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유지되고, 제 4, 제 5, 제 6 콘택트(200d, 200e, 200f)의 접점부(220d, 220e, 220f)가 접속 구멍(130) 내에 제 2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 후, 커버(400) 및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를 준비한다. 그 후, 제 1 스토퍼(300a)를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의 고착부(210a, 210b) 사이에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스토퍼(300a)의 기부(310a)가 고착부(210a, 210b)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부(320a)가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220a)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함께, 제 2 스토퍼(300b)를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의 고착부(210d, 210e) 사이에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스토퍼(300b)의 기부(310b)가 고착부(210d, 210e)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부(320b)가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220d)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함께, 커버(400)를 보디(100)의 제 1 감합 구멍(141)에 감합시킨다.
이때, 제 1, 제 2, 제 3 콘택트(200a, 200b, 200c)의 테일부(230a, 230b, 230c)가 커버(400)의 슬릿(411, 412, 413)에 부분적으로 감합되고 상기 슬릿(411, 412, 413)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으로 돌출된다. 제 5, 제 6 콘택트(200e, 200f)의 테일부(230e, 230f)가 슬릿(414, 415)에 부분적으로 감합되고 상기 슬릿(414, 415)으로부터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으로 돌출된다.
그 후, 보디(100), 제 1~제 6 콘택트(200a~200f), 커버(400) 및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배치한다. 그 후, 보디(100)의 제 2 감합 구멍(142)에 절연 수지를 충전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시일부(500)로 되어 커버(400)의 커버 본체(410)를 덮는다. 이때, 커버(400)의 돌기(420)가 상기 절연 수지에 부분적으로 매립됨과 아울러 테일부(230a, 230b, 230c, 230e, 230f)가 상기 절연 수지에 부분적으로 매립된다. 이것에 의해, 테일부(230a, 230b, 230c, 230e, 230f)가 시일부(500)를 제 2 방향(Y)으로 관통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커넥터(C)를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의 기판에 실장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C)를 기판 상에 적재한다. 이때, 제 1, 제 2, 제 3, 제 5 콘택트(200a, 200b, 200c, 200e)의 테일부(230a, 230b, 230c, 230e)를 기판의 전극에 각각 접촉시킨다. 제 6 콘택트(200f)의 테일부(230f)를 기판의 어스 전극에 접촉시킨다. 그 후, 제 1, 제 2, 제 3, 제 5 콘택트(200a, 200b, 200c, 200e)의 테일부(230a, 230b, 230c, 230e)를 기판의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제 6 콘택트(200f)의 테일부(230f)를 기판의 어스 전극에 땜납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커넥터(C)가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이하, 커넥터(C)에 플러그(P)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P)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C)의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에 삽입한다. 그러면, 플러그(P)의 선단부가 커넥터(C)의 유지부(170)의 유지 구멍(171)에 감합된다.
이때, 플러그(P)의 도시하지 않은 제 1 전극이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의 선단부와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의 선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는 플러그(P)의 제 1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제 2 콘택트(200b)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a)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제 2 콘택트(200b)측]으로 변위된다. 이때, 접점부(220a)의 선단부는 제 1 스토퍼(300a)의 접촉부(320a)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는 플러그(P)의 제 1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한쪽측[제 5 콘택트(200e)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d)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제 5 콘택트(200e)측]으로 변위된다. 이때, 접점부(220d)의 선단부는 제 2 스토퍼(300b)의 접촉부(320b)에 접촉하지 않는다.
플러그(P)의 도시하지 않은 제 2 전극이 제 2 콘택트(200b)의 접점부(220b)의 선단부에 탄성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콘택트(200b)의 접점부(220b)가 플러그(P)의 제 2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b)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변위된다. 플러그의 도시하지 않은 제 3 전극이 제 3 콘택트(200c)의 접점부(220c)의 선단부와 제 5 콘택트(200e)의 접점부(220e)의 선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콘택트(200c)의 접점부(220c)가 플러그(P)의 제 3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c)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변위된다. 제 5 콘택트(200e)의 접점부(220e)가 플러그(P)의 제 3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e)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변위된다. 플러그(P)의 도시하지 않은 어스 전극이 제 6 콘택트(300f)의 접점부(320f)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6 콘택트(200f)의 접점부(220f)가 플러그(P)의 어스 전극에 압박되어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f)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변위된다.
플러그(P)가 커넥터(C)의 접속 구멍(130)에 삽입되는 과정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P)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비틀리면 플러그(P)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플러그(P)의 제 1 전극이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를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a)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제 2 콘택트(200b)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a)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제 2 콘택트(200b)측]으로 변위되어 고착부(210a)의 구멍(211a)에 삽입되어 제 1 스토퍼(300a)의 접촉부(320a)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a)의 선단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는 변위가 억제된다.
플러그(P)가 커넥터(C)의 접속 구멍(130)에 삽입되는 과정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P)가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비틀리면 플러그(P)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플러그(P)의 제 1 전극이 제 4 콘택트(200d)의 접점부(220d)를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d)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제 5 콘택트(200e)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점부(220d)의 선단부가 제 1 방향(X)의 한쪽측[제 5 콘택트(200e)측]으로 변위되어 고착부(210d)의 구멍(211d)에 삽입되어 제 2 스토퍼(300b)의 접촉부(320b)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접점부(220d)의 선단부가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는 변위가 억제된다.
상술한 커넥터(C)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첫째, 접점부(220a, 220d)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제 4 콘택트(200a, 200d)의 접점부(220a, 220d)가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에 접촉함으로써 접점부(220a, 220d)의 소정의 변위 범위를 초과하는 변위가 방지되기 때문이다. 둘째, 커넥터(C)가 제 1, 제 2 스토퍼(200a, 200b)를 구비했다고 해도 커넥터(C)가 거의 대형화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 1 스토퍼(300a)는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 사이에 개재되고, 제 2 스토퍼(300b)는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버(400)에 연접된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는 고착부(210a, 210d)의 구멍(211a, 211d)을 통과해 접점부(220a, 220d)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를 접점부(220a, 220d)에 접촉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의 제 2 방향(Y)의 치수(길이 치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커넥터(C)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셋째, 제 1 스토퍼(200a)가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 사이에 개재되어도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가 제 1 스토퍼(200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200b)가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 사이에 개재되어도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가 제 2 스토퍼(200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제 2 스토퍼(200a, 200b)가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넷째,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제 2 스토퍼(300a, 300b)는 커버(40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400)를 보디(100)의 제 1 감합 구멍(141)에 감합시킴과 아울러 제 1 스토퍼(300a)를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 사이에, 제 2 스토퍼(300b)를 제 4, 제 5 콘택트(200d, 200e)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다섯째, 커넥터(C)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디(100)의 제 1 감합 구멍(141)에 커버(400)가 감합되고, 제 2 감합 구멍(142)에 시일부(500)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커버(400)의 시일부(500)에 대한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400)의 돌기(420)는 시일부(50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커버(400)의 시일부(50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C)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4, 제 5, 제 6 콘택트(200d, 200e, 200f)가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의 제 1 방향(X)의 한쪽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1, 제 2, 제 3 콘택트(200a, 200b, 200c)가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의 제 1 방향(X)의 다른쪽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제 2 콘택트가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3~제 6 콘택트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콘택트(200a)가 고착부(210a)와, 접점부(220a)와, 테일부(230a)를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콘택트는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콘택트의 접점부(220a)는 고착부(210a)의 구멍(211a)의 제 1 가장자리에 연접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콘택트의 접점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의 접점부는 고착부의 제 2 방향의 일단에 연접되고 제 1 방향의 한쪽측으로 경사지면서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콘택트의 접점부는 고착부 구멍의 제 2 가장자리에 연접되고 제 1 방향의 한쪽측으로 경사지면서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콘택트의 접점부도 제 1 콘택트의 접점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제 6 콘택트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및 상술한 설계 변형예에서는 제 1 스토퍼(300a)가 제 1, 제 2 콘택트(200a, 200b) 사이에 개재되고, 제 1 스토퍼(300a)의 접촉부(320a)가 제 1 콘택트(200a)의 접점부(220a)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스토퍼는 절연성을 갖고,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또한 제 1 콘택트의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촉부(320a)의 제 1 방향(X)의 치수가 기부(310a)의 제 1 방향(X)의 치수보다 작다고 했다. 그러나, 기부의 제 1 방향의 치수와 접촉부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부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기부의 제 1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및 상술한 설계 변형예에서는 제 1 스토퍼(300a)는 커버(40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스토퍼는 커버와 별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 1 스토퍼는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직접 협지됨으로써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스토퍼가 커버에 형성된 접속 구멍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스토퍼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제 2 스토퍼는 제 1 스토퍼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제 2 스토퍼 이외의 스토퍼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제 3 콘택트 사이 및/또는 제 5, 제 6 콘택트 사이에 스토퍼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가 제 2 콘택트 및/또는 제 5 콘택트 접점부의 탄성 변형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및 상술한 설계 변형예에서는 커버(400)가 보디(100)의 제 1 감합 구멍(141)에 감합되고, 시일부(500)가 보디(100)의 제 2 감합 구멍(142)에 충전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커버 및/또는 시일부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커버는 제 1 감합 구멍에 감합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및 상술한 설계 변형예에서는, 보디(100)는 메인 보디(110)와, 볼록부(120)와, 접속 구멍(130)과, 제 1, 제 2 감합 구멍(141, 142)과, 수용홈(151, 152, 153, 154, 155, 156)과, 수용 구멍(161, 162, 163, 164)과, 유지부(170)를 갖는다고 했다. 그러나, 보디는 제 1, 제 2 콘택트를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유지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제 2 콘택트가 보디 내에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보디의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제 1 스토퍼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제 2 콘택트 및 제 1 스토퍼가 보디에 인서트 성형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및 상술한 설계 변형예에서는 보디(100)의 접속 구멍(130)의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에 제 1 감합 구멍(141)이, 제 1 감합 구멍(141)의 제 2 방향(Y)의 다른쪽측에 제 2 감합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제 1 감합 구멍 및/또는 제 2 감합 구멍은 생략 가능하다. 제 2 감합 구멍만이 생략될 경우, 커버가 제 1 감합 구멍에 감합됨으로써 보디의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이 폐쇄된다. 또한, 접속 구멍이 보디를 제 2 방향으로 관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커버는 보디의 접속 구멍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일부가 보디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 및 커버를 덮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계 변경된 커버 및/또는 시일부도 생략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계 변경된 커버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스토퍼와 별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C)는 잭 커넥터라고 했지만, 잭 이외의 커넥터[예를 들면, USB 커넥터, HDMI(등록 상표) 커넥터, 광 커넥터, IC 카드 커넥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C)에 접속 가능한 메이팅 커넥터가 플러그라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이팅 커넥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한 어떠한 타입의 커넥터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방향(X)은 커넥터(C)의 폭 방향, 제 2 방향(Y)은 커넥터(C)의 길이 방향, 제 3 방향(Z)은 커넥터(C)의 높이 방향이라고 했다. 그러나, 제 1, 제 2, 제 3 방향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을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하고, 제 2 방향을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하고, 제 3 방향을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보디 110 : 메인 보디
120 : 볼록부 130 : 접속 구멍
141 : 제 1 감합 구멍 142 : 제 2 감합 구멍
151~156 : 수용홈 161~164 : 수용 구멍
170 : 유지부 171 : 유지 구멍
200a : 제 1 콘택트 210a : 고착부
220a : 접점부 230a : 테일부
200b : 제 2 콘택트 210b : 고착부
220b : 접점부 230b : 테일부
200c : 제 3 콘택트 210c : 고착부
220c : 접점부 230c : 테일부
200d : 제 4 콘택트 210d : 고착부
220d : 접점부 200e : 제 5 콘택트
210e : 고착부 220e : 접점부
230e : 테일부 200f : 제 6 콘택트
210f : 고착부 220f : 접점부
230f : 테일부 300a : 제 1 스토퍼
310a : 기부 320a : 접촉부
300b : 제 2 스토퍼 310b : 기부
320b : 접촉부 400 : 커버
410 : 커버 본체 420 : 돌기
500 : 시일부

Claims (10)

  1.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콘택트의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2 콘택트와,
    절연성을 갖는 제 1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점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제 1, 제 2 콘택트 사이에 개재한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접촉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치수와 상기 기부의 제 1 방향의 치수가 상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콘택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유지한 상기 보디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디는 상기 보디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관통한 접속 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스토퍼가 상기 커버에 연접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커버에 연접되며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한쪽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보디는 접속 구멍과,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접속 구멍에 연통되는 제 1 감합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감합되며 또한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을 폐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고착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고착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부는 상기 고착부의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시일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디는 상기 제 1 감합 구멍의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연통되는 제 2 감합 구멍을 더 갖고 있고,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 2 감합 구멍에 충전되며 또한 상기 커버를 덮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 2 방향의 다른쪽측에 볼록 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돌기가 상기 시일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와,
    절연성을 갖는 제 2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는 접점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보디의 상기 접속 구멍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한쪽측 부분에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접속 구멍 내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디의 상기 접속 구멍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다른쪽측 부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콘택트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콘택트의 접점부가 상기 접속 구멍 내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 5 콘택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제 4, 제 5 콘택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4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탄성 변형 방향측에 상기 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57004577A 2012-09-07 2013-09-05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50052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6800 2012-09-07
JP2012196800A JP5934065B2 (ja) 2012-09-07 2012-09-07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PCT/JP2013/073862 WO2014038605A1 (ja) 2012-09-07 2013-09-05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019A true KR20150052019A (ko) 2015-05-13

Family

ID=5023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577A KR20150052019A (ko) 2012-09-07 2013-09-05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95347A1 (ko)
EP (1) EP2894729A4 (ko)
JP (1) JP5934065B2 (ko)
KR (1) KR20150052019A (ko)
CN (1) CN104620449A (ko)
TW (1) TW201433024A (ko)
WO (1) WO2014038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3987A (zh) * 2013-01-22 2014-07-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2344836B1 (ko) 2015-05-12 202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그의 제작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799943B (zh) * 2016-09-07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端口
US10158190B1 (en) * 2017-11-10 2018-12-18 Dongguan Teconn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ype-c conn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JP7360920B2 (ja) * 2019-12-06 2023-10-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224Y2 (ko) 1973-03-24 1978-05-16
US4737113A (en) * 1986-05-19 1988-04-12 Telzon, Inc. Jack assembly having a unitary housing
JPS6385890U (ko) * 1986-11-26 1988-06-04
JPH01122284U (ko) * 1988-02-15 1989-08-18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DE19730484C1 (de) * 1997-07-16 1998-10-22 Siemens Ag Leiterplatten-Nullkraftsteckverbinder
US5938478A (en) * 1998-02-05 1999-08-17 Telect, Inc. Jack assembly & panel system
TW417886U (en) * 1999-06-16 2001-01-01 Molex Inc Improved structure of connector
JP3683151B2 (ja) * 2000-02-04 2005-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ジャック
TW476466U (en) * 2000-09-29 2002-0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770127Y (zh) * 2004-12-14 2006-04-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8159425A (ja) * 2006-12-25 2008-07-10 Hosiden Corp ジャック
CN201113066Y (zh) * 2007-07-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498826U (zh) * 2009-07-20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785119B1 (en) * 2009-10-18 2010-08-3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US7901251B1 (en) * 2009-11-13 2011-03-0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connector
ES2575236T3 (es) * 2011-12-13 2016-06-27 Huawei Device Co., Ltd. Conector de auriculares impermeable
CN102957035B (zh) * 2012-01-13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TWM458750U (zh) * 2012-12-28 2013-08-01 Tuton Technology Co Ltd 聲音插座及具有聲音插座的音效輸出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20449A (zh) 2015-05-13
TW201433024A (zh) 2014-08-16
US20150295347A1 (en) 2015-10-15
WO2014038605A1 (ja) 2014-03-13
JP2014053165A (ja) 2014-03-20
EP2894729A1 (en) 2015-07-15
JP5934065B2 (ja) 2016-06-15
EP2894729A4 (en)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622B1 (ko) 커넥터
US8678863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0690610B (zh) 防触碰触头组件
KR20150052019A (ko)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FI126552B (en) plug
US94846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691665B1 (ko) 실드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US9505313B2 (en) Vehicle-side connector with a relay-circuit unit
CN203707414U (zh)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US8951073B2 (en) Audio jack connector preventing grounding contact from deflection
US20230042553A1 (en) Connector
KR20220155904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WO2020059210A1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TWM502975U (zh) 電連接器
JP2014053165A5 (ko)
KR20210045379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US850046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CN101640334B (zh) 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7332002B (zh) 电连接器
WO2011081822A3 (en) Smart card connector
KR20140051056A (ko)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KR20190055576A (ko) 피메일 단자 스프링
US7828604B1 (en) Connector assembly
JP2023044297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