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56A -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56A
KR20140051056A KR1020130112702A KR20130112702A KR20140051056A KR 20140051056 A KR20140051056 A KR 20140051056A KR 1020130112702 A KR1020130112702 A KR 1020130112702A KR 20130112702 A KR20130112702 A KR 20130112702A KR 20140051056 A KR20140051056 A KR 2014005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ongue
portions
connector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사사키
타카유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넥터는, 보디(100), 제1콘택트(200a) ~ (200f) 및 제2콘택트(300a) ~ (300e)를 구비하고 있다. 보디(100)는, 제1면(121)을 가지는 설부(120)를 가지고 있다. 제1콘택트(200a) ~ (200f)는, 제1접점부(210a) ~ (210f)를 구비하며, 제2콘택트(300a) ~ (300e)는, 제2접점부(310a) ~ (310e)를 가지고 있다. 제1접점부(210a) ~ (210f) 및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커넥터는, 보디와, 상기 보디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제2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보디는, 메인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에 형성된 제1, 제2설부(舌部)를 가지고 있다. 제2설부의 상, 하면에는, 복수의 홈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는, 제1설부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는 제1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제2콘택트는, 제2설부의 홈에 수용되어 있고, 또한, 선단부가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10-10129호 공보
상기 커넥터는 제1, 제2설부가 메인 보디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는, 제1접점부가 제1설부로부터 노출하도록 보디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2콘택트는, 제2접점부가 제2설부의 홈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보디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제1, 제2설부의 나열 방향의 치수 증대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정 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보디와, 상기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1, 제2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디는, 메인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제1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설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설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한쪽의 제1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제1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제2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방향으로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l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 제2콘택트의 제1, 제2접점부가 보디의 설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제2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접점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 제2접점부는, 제3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접점부를 설부의 동일한 제1면으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의 제3방향의 치수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제1, 제2상대방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제1, 제2접점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접점부가 제1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할 경우에, 제2접점부가 제1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2접점부가 제2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할 경우에, 제1접점부가 제2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서, 상기 커넥터는, 제1, 제2접점부가 동일한 제1면으로부터 노출하고, 또한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접점부의 쌍방을 제3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시켜, 접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제2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콘택트는, 절곡부와, 제1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콘택트 본체는,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접혀 구부러져 있고, 또한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콘택트 본체는, 상기 절곡부와 연접되고,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에 접혀 구부러져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접점부의 상기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콘택트의 절곡부가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접혀 구부러지고, 제1콘택트의 제1콘택트 본체가 제2접점부의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제3방향의 치수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접점부보다도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콘택트는, 연장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접점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의 한쪽으로 뻗어 있고, 또한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접점부의 사이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2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가 제2접점부와 접촉한 상태(접속 상태)에서, 제2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가 제1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제2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가 연장부와 접촉한다. 즉, 접속 상태로부터, 제2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가 제1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였다고 해도, 제2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와, 제2콘택트와의 접속이 유지되므로, 상기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3, 제4콘택트를 또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방향의 한쪽의 제2면과,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방향의 다른 한쪽의 제3면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콘택트는, 제3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콘택트는, 제4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접점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3, 제4접점부가 설부의 제2,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제3, 제4콘택트를 추가하더라도, 설부의 제2, 제3방향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커넥터의 제2, 제3방향의 치수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설부의 상기 제2, 제3면은, 상기 제1방향의 한쪽의 앞부분과,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의 뒷부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접점부는, 상기 제2면의 상기 뒷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제3면의 상기 뒷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3, 제4접점부가 설부의 제2, 제3면의 뒷부분(즉, 설부의 근원부의 제3방향의 한쪽, 다른 한쪽의 측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 제4접점부가 설부의 보강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설부의 비틀림내구성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2, 제3면의 상기 앞부분은, 상기 앞부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방향의 한쪽으로 점차 저감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2, 제3면의 상기 앞부분에 의해서, 설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상기 제3, 제4콘택트는, 제3, 제4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 제4콘택트 본체는,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1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2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테일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 제2테일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의 실장 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1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2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3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4테일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테일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 ~ 제4테일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의 실장 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는, 상기 메인 보디에 고착된 통 형상의 실드(shield) 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부는, 상기 실드 케이스 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대방 커넥터가 실드 케이스 내에 삽입되면,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가, 설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한 제1접점부 및/또는 제2접점부와 접촉한다.
상술한 커넥터는, 상기 보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통 형상의 실드 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디는, 상기 메인 보디에 설치된 통부(筒部)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부는, 상기 통부 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대방 커넥터가 보디의 통부 내에 삽입되면,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가, 설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한 제1접점부 및/또는 제2접점부와 접촉한다.
상기 제2콘택트를, MicroUSB의 규격에 준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술한 어느 한가지 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소정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 바닥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도 la 중의 2a-2a단면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도 la 중의 2b-2b단면도.
도 2c는 상기 커넥터의 도 la중의 2c-2c단면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보디 및 제1, 제2콘택트의 정면, 바닥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3b 상기 커넥터의 보디 및 제1, 제2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며, 상기 보디를 투과시킨 도면.
도 4a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콘택트의 정면, 바닥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콘택트의 평면도.
도 5a는 상기 커넥터의 실드 케이스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실드 케이스의 배면, 바닥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의 보디 및 제1 ~ 제4콘택트의 정면, 바닥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상기 커넥터의 보디 및 제1 ~ 제4콘택트의 정면, 바닥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 제4콘택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 제4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C)에 대하여 도 1a ~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l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커넥터(C)는, 2종류의 규격에 대응한 멀티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C)는, 보디(100)와, 제1콘택트(200a) ~ (200f)와, 제2콘택트(300a) ~ (300e)와, 실드 케이스(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C)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제1방향 Y는 커넥터(C), 보디 및 제1, 제2콘택트의 길이 방향이며, 후술하는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의 끼우고 떼기 방향이다. 제2방향 Z는 커넥터(C)의 높이 방향이다. 제3방향 X는 커넥터(C), 보디 및 제1, 제2콘택트의 폭방향이다. 제2방향 Z는 제1방향 Y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제3방향 X는 제1방향 Y 및 제2방향 Z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보디(100)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디(100)는, 도 2a ~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보디(110)와 설부(120)를 가지고 있다. 메인 보디(11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블록이다. 메인 보디(110)는, 플레이트(111)와, 볼록부(112)와, 걸어맞춤 오목부(113)와, 한쌍의 걸어맞춤 오목부(114)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111)는,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플레이트(111)의 제1방향 Y의 한쪽 면(앞면)에 볼록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12)는, 실드 케이스(400)의 내형에 대응한 대략 육각형이다. 볼록부(112)의 외형은, 플레이트(111)보다도 외형이 작다. 볼록부(112)의 제3방향 X의 한쪽 및 다른 한쪽에는, 걸어맞춤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11)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 면(뒷면)의 중앙부에는, 걸어맞춤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설부(120)는, 메인 보디(110)의 볼록부(112)의 제1방향 Y의 한쪽 면(앞면)에 돌출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설부(120)는,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설부(120)는, 제1면(121)과, 복수의 가이드 볼록부(122)를 가지고 있다. 제1면(121)은, 설부(120)의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면(아래쪽 면)이다. 제1면(121)은, 제1방향 Y의 한쪽 영역(앞부분)과,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영역(뒷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면(121)의 뒷부분에는, 가이드 볼록부(122)가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볼록부(122)는 제1방향 Y로 뻗어있는 돌출된 줄기이다.
제1콘택트(200a) ~ (200f)는, 도 2c,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200a) ~ (200f)는, 상술한 2종류의 규격 중, 한편의 규격에 준거하고 있다. 제1콘택트(200a) ~ (200f)는,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절곡부(220a) ~ (220f)와,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와, 제1테일부(240a) ~ (240f)를 가지고 있다.
제1접점부(210a) ~ (210f)는, 제1방향 Y 및 제3방향 X로 뻗어있는 판이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단면인 접촉면(아래쪽 면)을 가지고 있다. 제1접점부(210a) ~ (210f)는, 상기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121)의 앞부분으로부터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즉, 제1접점부(210a) ~ (210f)는,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접점부(21Oa) ~ (210f)의 상기 접촉면은, 설부(120)의 제1면(121)보다도 제2방향 Z의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도 2b 및 도 2c참조). 즉, 제1접점부(210a) ~ (210f)는, 설부(120)의 제1면(121)으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제1접점부(210a) ~ (210f)의 제1방향 Y의 한쪽 부분(선단부)은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위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설부(120)에 매립되어 있다. 이로써, 제1접점부(210a) ~ (210f)와 설부(12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설부(120)의 제1콘택트(200a) ~ (200f)에 대한 유지력이 증대하고 있다.
절곡부(220a) ~ (220f)는, 제1접점부(210a) ~ (210f)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위쪽)으로 뻗은 판이다. 즉, 절곡부(220a) ~ (220f)는,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위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절곡부(220a) ~ (22f)는,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는, 절곡부(220a) ~ (220f)와 연접되고,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접혀 구부러진 판이며, 보디(100)(메인 보디(110) 및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는, 제1판(231a) ~ (231f)과, 제2판(232a) ~ (232f)과, 제3판(233a) ~ (233f)과, 제4판(234a) ~ (234f)과, 제5판(235a) ~ (235f)를 가지고 있다. 제1판(231a) ~ (231f)은, 절곡부(220a) ~ (220f)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곡부(220a) ~ (220f)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2판(232a) ~ (232f)은 , 제1판(231a) ~ (231f)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판(231a) ~ (231f)으로부터 제3방향 X로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판(232a) ~ (232c)은, 제3방향 X의 한쪽으로 뻗어 있고, 제2판(232d) ~ (232f)은,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판(233a) ~ (233f)은, 제2판(232a) ~ (232f)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판(232a) ~ (232f)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4판(234a) ~ (234f)은, 제3판(233a) ~ (233f)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판(233a) ~ (233f)으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제4판(234c)과 제4판(234d)의 사이에는, 간격이 비어 있다. 제5판(235a) ~ (235f)은, 제4판(234a) ~ (234f)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4판(234a) ~ (234f)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5판(235c)과 제5판(235d)의 사이에는, 간격이 비어 있다.
제1테일부(240a) ~ (240f)는,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와 연접되고,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테일부(240a) ~ (240f)는,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의 제5판(235a) ~ (235f)과 연접되고,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와의 사이에는 틈이 생기고 있다.
제2콘택트(300a) ~ (300e)는, 도 2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콘택트(300a) ~ (300e)는, 상술한 2종류의 규격중 다른 한쪽의 규격(예를 들면, MicroUSB의 규격)에 준거하고 있다. 제2콘택트(30Oa) ~ (300e)는, 제2접점부(310a) ~ (310e)와,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와, 제2테일부(330a) ~ (330e)와, 연장부(340a) ~ (340e)를 가지고 있다.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1방향 Y 및 제3방향 X로 뻗은 판이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단면인 접촉면(아래쪽 면)을 가지고 있다. 제2접점부(310a) ~ (310e)는, 상기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121)의 상기 뒷부분의 가이드 볼록부(122) 사이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즉,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1접점부(210a) ~ (210f)보다도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에서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접점부(310a) ~ (310e)와 제1접점부(210a) ~ (210f)는, 도 la 및 도 2a ~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과 설부(120)의 제1면(121)은 하나의 면이다(도 2b 참조).
연장부(340a) ~ (340e)는,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제1방향 Y의 일단부와 연접되고, 또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연장부(340a) ~ (340e)의 제3방향 X의 치수는,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제3방향 X의 치수보다도 작다. 연장부(340a) ~ (340e)는, 제2방향 Z의 한쪽의 단면인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연장부(34Oa) ~ (340e)는, 상기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121)의 상기 앞부분으로부터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부(340a)가 제1접점부(210a), (2lO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b)가 제1접점부(2lOb), (210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c)가 제1접점부(210c), (210d)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d)가 제1접점부(210d), (210e)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e)가 제1접점부(210e), (210f)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a) ~ (340e)의 접촉면의 높이 위치는,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의 높이 위치와 대략 같다. 연장부(340a) ~ (340e)의 제1방향 Y의 한쪽 부분(선단부)은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위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설부(120)에 매립되어 있다. 이로써, 연장부(340a) ~ (340e)와 설부(12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설부(120)의 제2콘택트(300a) ~ (300e)에 대한 유지력이 증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340a) ~ (340e)의 선단부를 접혀 구부렸다고 해도, 연장부(340a) ~ (340e)의 제3방향 X의 치수 상술한 대로이므로, 연장부(340a) ~ (340e)의 선단부가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는,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제1방향 Y의 타단부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보디(100)(메인 보디(110) 및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는, 제1판(321a) ~ (321e)과, 제2판(322a) ~ (322e)과, 제3판(323a) ~ (323e)을 가지고 있다. 제1판 (321a) ~ (321e)은, 제2접점부(310a) ~ (310e)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1판(321a) ~ (321e)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의 제1판(231a) ~ (231f)의 제2방향 Z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의 제1판(231a) ~ (231f)은,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1판(321a) ~ (321e)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틈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제2판(322a) ~ (322e)은, 제1판 (321a) ~ (321e)과 연접되고, 또한 상기 제1판(321a) ~ (321e)으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판(323a) ~ (323e)은, 제2판(322a) ~ (322e)과 연접되고, 또한 상기 제2판(322a) ~ (322e)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판(323a) ~ (323e)은, 제1콘택트 본체(230c)의 제5판(235c)과 제1콘택트 본체(230d)의 제5판(235d)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테일부(330a) ~ (330e)는,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테일부(330a) ~ (330e)는,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제3판(323a) ~ (323e)과 연접되고,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테일부(330a) ~ (330e)는,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와의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있다. 제1테일부(240a) ~ (240f)와 제2테일부(330a)~ (330e)는, 제3방향 X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테일부(240a) ~ (240f)와 제2테일부(330a) ~ (330e)가, 상기 커넥터(C)가 구비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기판의 전극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자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디지탈비디오카메라,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 폰 등의 휴대단말 장치가 있다.
실드 케이스(400)는, 도 1a ~ 도 2c 및 도 5a ~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통이다. 실드 케이스(400)는, 바닥판(410)과, 한 쌍의 내판(內板)(420)과, 한 쌍의 외판(430)과, 한 쌍의 되접음부(440)와, 천정판(450)과, 한 쌍의 날개부(460)와, 로킹 레버(470)를 가지고 있다.
바닥판(41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이 바닥판(410)의 제3방향 X의 양쪽 단부에 내판(420)이 연접되어 있다. 내판(420)은, 바닥판(410)의 상기 양쪽 단부로부터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위쪽)으로 뻗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내판(420)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걸어맞춤편(42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421)은, 내판(420)의 상기 단부로부터 외판(430)을 향하여 뻗어 있다.
천정판(45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이 천정판(450)의 제3방향 X의 양쪽 단부에 외판(430)이 연접되어 있다. 외판(430)은, 천정판(450)의 상기 양쪽 단부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으로 뻗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외판(430)은 내판(4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판(430)의 제1방향 Y의 한쪽 단부와 내판(420)의 제1방향 Y의 한쪽 단부에, 대략 U자 형상의 되접음부(440)가 연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되접음부(440)의 한쪽 단부가 내판(420)의 제1방향 Y의 한쪽 단부와 연결되고, 되접음부(440)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외판(430)의 제1방향 Y의 한쪽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외판(430)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내판(420)의 걸어맞춤편(421)이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구멍(431)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410), 내판(420), 외판 (430) 및 천정판(450)이 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수용 공간(S)를 구획하고 있다. 바닥판(410), 내판(420), 외판(430) 및 천정판(450)의 내형은, 보디(100)의 볼록부(112)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디(100)의 설부(120)가 수용 공간(S) 내에 삽입되고, 볼록부(112)가 바닥판(410), 내판(420), 외판(430) 및 천정판(450) 내에 끼워맞춰지고, 보디(100)의 플레이트(111)가 내판(420), 외판 (430) 및 천정판(450)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단면과 맞닿고 있다. 천정판(450)에는, 제2방향 Z의 한쪽에 볼록부의 한쌍의 당접부(451)가 형성되어 있다. 당접부(451)가 보디(100) 걸어맞춤 오목부(114)에 수용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114)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면과 맞닿고 있다. 또, 천정판(450)의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단부의 중앙부에는, 로킹 레버(470)가 연접되어 있다. 로킹 레버(470)는, 제2방향 Z의 한쪽에 접혀 구부러지고 있고, 보디(100)의 걸어맞춤 오목부(113)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즉,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가, 당접부(451)와 로킹 레버(470)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되고 있다. 이 바닥판(410), 내판(420), 외판(430), 천정판(450), 메인 보디(110) 및 설부(120)가, 수용 공간(S)의 일부의 공간인 접속 구멍(S1)을 구획하고 있다.
날개부(460)는, 외판(430)의 제2방향 Z의 한쪽 단부와 연접되어 있다. 각 날개부(460)는, 대략 L자 형상의 기초부와, 한쌍의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초부는, 상기 단부와 연접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기초부의 외측의 끝에 제1방향 Y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한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이 날개부(460)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체 또는 기판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커넥터(C)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콘택트(200a) ~ (200f)와 제2콘택트(300a) ~ (300e)를 준비한다. 그 후, 제1콘택트(200a) ~ (200f)와 제2콘택트(300a) ~ (300e)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수용시킨다. 이때,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제2접점부(310a) ~ (310e)를, 제3방향 X로 엇갈리도록 배치한다. 이와 함께, 연장부(340a)를 제1접점부(210a), (210b)의 사이에 배치하고, 연장부(340b)를 제1접점부(210b), (210c)의 사이에 배치하며, 연장부(340c)를 제1접점부(210c), (210d)의 사이에 배치하고, 연장부(340d)를 제1접점부(210d), (210e)의 사이에 배치하며, 연장부(340e)를 제1접점부(210e), (210f)의 사이에 배치한다.
그러면,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의 일부 (제l판(231a) ~ (231f))가,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일부 (제1판(321a) ~ (321e))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다.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제3판(323a) ~ (323e)이, 제1콘택트 본체(230c)의 제5판(235c)과 제1콘택트 본체(230d)의 제5판(235d)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 제2테일부(330a) ~ (330e)가,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의 사이의 틈에 배치되며, 제1테일부(240a) ~ (240f) 및 제2테일부(330a) ~ (330e)가 일렬로 배열된다.
그 후, 상기 금형 내에 절연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절연 수지에 제1콘택트(200a) ~ (200f)와 제2콘택트(300a) ~ (300e)를 인서트 성형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경화한 것이 보디(100)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 절곡부(220a) ~ (220f), 제1콘택트 본체(23Oa) ~ (230f)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 및 연장부(340a) ~ (340e)가 보디(100) 내에 매립된다. 이때, 제1접점부(210a) ~ (210f)의 접촉면,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접촉면 및 연장부(340a) ~ (340e)의 접촉면이, 보디(100)의 설부(120)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한다. 제1접점부(210a) ~ (210f)의 접촉면과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접촉면은,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된다. 연장부(340a) ~ (34Oe)의 접촉면은 제1접점부(210a) ~ (210f)의 접촉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테일부(240a) ~ (240f) 및 제2테일부(330a) ~ (330e)가, 보디(100)로부터 돌출한다
그 후, 실드 케이스(400)를 준비한다. 이 실드 케이스(400)는, 로킹 레버(470)가 접혀 구부러져 있지 않고,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그 후, 실드 케이스(400)의 수용 공간(S)에 보디(100)의 설부(120)를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부터 삽입하고, 메인 보디(110)의 볼록부(112)를 실드 케이스(400)에 끼워 맞춘다. 이때, 메인 보디(110)의 플레이트(111)가 실드 케이스(400)와 맞닿는다. 이와 함께, 실드 케이스(400)의 당접부(451)가 보디(100)의 걸어맞춤 오목부(114)에 삽입되어, 메인 보디(110)와 맞닿는다. 그 후, 로킹 레버(470)를 접어 구부려서, 메인 보디(110)의 걸어맞춤 오목부(113)에 걸어 맞춘다. 이로써, 로킹 레버(470)가 메인 보디(110)와 맞닿는다.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가 당접부(451)와 로킹레버(470)에 끼워 유지된다.
이하, 상기 커넥터(C)에 제1, 제2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가 접속되는 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상대방 커넥터는, 제1콘택트(200a) ~ (200f)에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제1상대방 콘택트와, 설부(120)가 끼워맞춤 가능한 접속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제2상대방 커넥터는, 제2콘택트(300a) ~ (300e)에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제2상대방 콘택트와, 상기 접속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제3상대방 커넥터는, 상기 제1, 제2상대방 콘택트와, 상기 접속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제1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S1)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1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맞춰지고, 제1상대방 콘택트가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이로써, 제1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와 접속된다.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상대방 콘택트는,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이것으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은 연장부(340a) ~ (340e)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2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S1)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2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맞춰지고, 제2상대방 콘택트가 설부(120)의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볼록부(122)에 안내되어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이로써, 제2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와 접속된다(접속 상태).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상대방 콘택트는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2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해도, 제2상대방 콘택트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연장부(340a) ~ (340e)의 상기 접촉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2상대방 콘택트와 제2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된다.
제3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S1)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3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 맞추어져서, 제1상대방 콘택트가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하고, 제2상대방 콘택트가 설부(120)의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볼록부(122)에 안내되어 제2콘택트(300a) ~ (3OOe)의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이로써, 제3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와 접속된다(접속 상태).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상대방 콘택트는,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이것으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은 연장부(340a) ~ (340e)와 접촉하지 않고, 제2상대방 콘택트는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3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하여도, 제2상대방 콘택트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연장부(340a) ~ (34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2상대방 콘택트와 제2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C)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의 커넥터를 예시한다. 상기 비교예의 커넥터는, 제1, 제2접점부가 설부의 제2방향의 다른 면(윗면, 아랫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이 경우, 실드 케이스의 설부의 제2방향의 한쪽을 제1상대방 커넥터의 외형에 맞추고, 실드 케이스의 설부의 제2방향의 다른 한쪽을 제2상대방 커넥터의 외형에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비교예의 커넥터의 제2방향의 치수 커진다. 또, 종래예의 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C)는, 제1콘택트(200a) ~ (200f)의 제1접점부(210a) ~ (210f) 및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가, 설부(120)의 동일한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400)의 내형을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 중 가장 큰 상대방 커넥터의 외형에 맞추면 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C)는, 종래예 및 비교예의 커넥터에 비해, 제2방향 Z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접점부(210a) ~ (210f) 및 제2접점부(310a) ~ (310e)가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1콘택트(200a) ~ (200f)는, 절곡부(220a) ~ (220f)가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으로 접혀 구부러지고,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의 일부가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일부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접점부(210a) ~ (210f) 및 제2접점부(310a) ~ (310e)를 설부(120)의 동일한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C)의 제3방향 X의 치수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접점부(210a) ~ (210f) 및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에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2, 제3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하여도, 제2, 제3상대방 커넥터의 제2상대방 콘택트와, 커넥터(C)의 제2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되므로, 상기 커넥터(C)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제1테일부(240a) ~ (240f) 및 제2테일부(330a) ~ (330e)가, 보디(100)로부터 돌출하여, 일렬로 줄지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판의 실장 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콘택트(200a) ~ (200f) 및 제2콘택트(300a) ~ (3OOe)가, 보디(100)에 한 번에 인서트 성형되므로, 상기 커넥터(C)의 생산 공정이 간략화되어 상기 커넥터(C)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C')에 대하여 도 6a ~ 도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커넥터(C')는, 아래의 제1 ~ 제3차이점으로 상위한 이외는, 실시예 1의 커넥터(C)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실시예 2의 커넥터(C')도, 2종류의 규격에 대응한 멀티 커넥터이다. 제1차이점은, 보디(100')의 설부(120')의 형상이 보디(100)의 설부(120)의 형상과 상위한 것이다. 제2차이점은, 제1콘택트(200a), (200f)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제3, 제4콘택트 (500), (600)가 추가되어 있는 것이다. 제3차이점은, 제1콘택트(200b) ~ (200e) 및 제3, 제4콘택트 (500), (600)가 2종류의 규격 중의 한쪽의 규격에 준거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2의 커넥터(C')의 상기 제1 ~ 제3차이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커넥터(C')의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구성 부재의 설명에 대하여서는 생략한다. 또, 도 6a 및 도 6b에는, 실드 케이스(400)와 동일한 실드 케이스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또, 도 6a 및 도 6b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방향 Y, 제2방향 Z 및 제3방향 X가 나타나 있다.
설부(120')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보디(110)의 볼록부(112)의 제1방향 Y의 한쪽의 면(앞면)에 돌출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설부(120')는,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설부(120')는, 선단부와, 근원부와, 제1면(121')과, 제2면(123')과, 제3면(124')과, 복수의 가이드 볼록부(122')를 가지고 있다. 제1면(121')은, 설부(120')의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면(아래쪽면)이다. 제1면(121')은, 제1방향 Y의 한쪽의 영역(앞부분)과,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영역(뒷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면(121')의 앞부분은, 설부(120')의 선단부의 아래쪽 면에 상당한다. 제1면(121')의 뒷부분은, 설부(120')의 근원부의 아래쪽 면에 상당한다. 제1면(121')의 뒷부분에는, 가이드 볼록부(122')가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볼록부(122')는 제1방향 Y로 뻗는 돌출된 줄기이다.
설부(120')의 제1면(121')의 상기 뒷부분의 가이드 볼록부(122')의 사이로부터,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이 노출하고 있다. 제2콘택트(300a)의 연장부(340a)는, 제1접점부(210b)의 제3방향 X의 한 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콘택트(300e)의 연장부(340e)는, 제1접점부(21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콘택트(300b) ~ (300d)의 연장부(340b) ~ (340d)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즉, 연장부(340b)는 제1접점부(210b), (210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c)는 제1접점부(210c), (210d)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40d)는 제1접점부(210d), (210e)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설부(120')의 제2면(123')은, 제1방향 Y의 한쪽의 영역(앞부분(123a'))과,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영역(뒷부분(123b'))을 가지고 있다. 설부(120')의 제3면 (124')은, 제1방향 Y의 한쪽의 영역(앞부분(124a'))과,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의 영역(뒷부분(124b'))을 가지고 있다. 앞부분(123a')은, 설부(120')의 선단부의 제3방향 X의 한쪽의 측면에 상당한다. 앞부분(124a')은, 설부(120')의 선단부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의 측면에 상당한다. 앞부분(123a'), (124a')은, 상기 앞부분(123a'), (124a') 사이의 제3방향 X의 거리가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점차 저감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앞부분(123a'), (124a')은 C면으로 되어 있다. 뒷부분(123b')은, 설부(120')의 근원부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 측면에 상당한다. 뒷부분(124b')은, 설부(120')의 근원부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의 측면에 상당한다.
제3콘택트(500)는, 도 6a ~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콘택트(500)는, 제3접점부(510)와, 절곡부(520)와, 제3콘택트 본체(530)와, 제3테일부(540)를 가지고 있다.
제3접점부(510)는, 제1방향 Y 및 제2방향 Z로 뻗은 판이며, 제3방향 X의 한쪽의 단면인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제3접점부(510)는, 상기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2면(123')의 뒷부분(123b')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3접점부(510)는, 제2콘택트(300a)의 제2접점부(310a)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접점부(510)의 접촉면과 설부(120')의 제2면(123')의 뒷부분(123b')은 하나의 면이다.
절곡부(520)는, 제3접점부(510)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의 단면(윗면)의 후단부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제3방향, X의 한쪽에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절곡부(520)는,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3콘택트 본체(530)는, 절곡부(520)와 연접된 판이며,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 내에 매립되고, 또한 제1콘택트(200b)의 제1콘택트 본체(230b)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콘택트 본체(530)는, 제1판(531)과, 제2판(532)과, 제3판(533)과, 제4판(534)을 가지고 있다. 제1판(531)은, 절곡부(520)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곡부(520)로부터 제3방향 X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2판(532)은, 제1판(531)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판(531)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판(533)은, 제2판(532)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판(532)으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4판(534)은, 제3판(533)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판(533)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테일부(540)는, 제3콘택트 본체(530)와 연접되고,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테일부(540)는, 제3콘택트 본체(530)의 제4판(534)과 연접되고,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3테일부(540)는, 제1콘택트(200b)의 제1테일부(240b)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4콘택트(600)는, 도 6a ~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콘택트(600)는 제3콘택트(500)의 대칭 형상이다. 제4콘택트(600)는, 제4접점부(610)와, 절곡부(620)와, 제3콘택트 본체(630)와, 제4테일부(640)를 가지고 있다.
제4접점부(610)는, 제1방향 Y 및 제2방향 Z로 뻗은 판이며,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의 단부면인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제4접점부(610)는, 상기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3면(124')의 뒷부분(124b')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4접점부(610)는, 제2콘택트(300e)의 제2접점부(31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4접점부(610)의 접촉면과 설부(120')의 제3면(124')의 뒷부분(124b')은 하나의 면이다.
절곡부(620)는, 제4접점부(610)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의 단부면(윗면)의 후단부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절곡부(620)는,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4콘택트 본체(630)는, 절곡부(620)와 연접된 판이며,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 내에 매립되고, 또한 제l콘택트(200e)의 제1콘택트 본체(23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4콘택트 본체(630)는, 제1판(631)과, 제2판 (632)과, 제3판(633)과, 제4판(634)을 가지고 있다. 제1판(631)은, 절곡부(620)와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곡부(620)로부터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2판(632)은, 제1판(631)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판(631)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3판(633)은, 제2판(632)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판(632)으로부터 제2방향 Z의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4판(634)은, 제3판(633)과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3판(633)으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어 있다.
제4테일부(640)는, 제4콘택트 본체(630)와 연접되고,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뻗은 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테일부(640)는, 제4콘택트 본체(630)의 제4판 (634)과 연접되고, 보디(100')의 메인 보디(110)로부터 제1방향 Y의 다른 한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4테일부(640)는, 제1콘택트(200e)의 제1테일부(24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커넥터(C')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콘택트(200b)~(200e), 제2콘택트(300a) ~ (300e), 제3콘택트(500) 및 제4콘택트 (600)를 준비한다. 그 후, 이들 콘택트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수용시킨다. 이 때,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제2접점부(310a) ~ (310e)를, 제3방향 X로 엇갈리도록 배치한다. 이와 함께, 연장부(340a)를 제1접점부(210b)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하고, 연장부(340b)를 제1접점부(210b), (210c)의 사이에 배치하며, 연장부(340c)를 제1접점부(210c), (210d)의 사이에 배치하고, 연장부(340d)를 제1접점부(210d), (210e)의 사이에 배치하며, 연장부(340e)를 제1접점부(21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한다. 제3접점부(510)를 제2접점부(310a)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하고, 제4접점부(610)를 제2접점부(31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한다.
그러면, 제1콘택트 본체(230b) ~ (230e)의 일부(상기 제1판)가,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일부(상기 제1판)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다.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상기 제3판이, 제1콘택트 본체(230c)의 상기 제 5판과 제1콘택트 본체(230d)의 상기 제 5판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콘택트 본체(530)가 제1콘택트 본체(230b)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4콘택트 본체(630)가 제1콘택트 본체(23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다. 또, 제2테일부(330a) ~ (330e)가,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의 사이의 틈에 배치되고, 제3테일부(540)가 제1테일부(240b)의 제3방향 X의 한쪽에 배치되며, 제4테일부(640)가 제1테일부(240e)의 제3방향 X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1테일부(240b) ~ (240e), 제2테일부(330a) ~ (330e), 제3테일부(540) 및 제4테일부(640)가 일렬로 배열된다.
그 후, 상기 금형 내에 절연 수지를 사출해서, 상기 절연 수지에 제1콘택트 (200b) ~ (200e), 제2콘택트(300a) ~ (300e), 제3콘택트(500) 및 제4콘택트(600)를 인서트 성형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경화된 것이 보디(100')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 절곡부(220b) ~ (220e), 제1콘택트 본체(230b) ~ (230e)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 연장부(340a) ~ (340e)와, 제3콘택트(500)의 제3접점부(510), 절곡부(520), 제3콘택트 본체(530)와, 제4콘택트(600)의 제4접점부(610), 절곡부(620), 제4콘택트 본체(630)가 보디(100) 내에 매립된다. 이 때, 제1접점부(210b) ~ (210e)의 접촉면,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접촉면 및 연장부(340a) ~ (340e)의 접촉면이, 보디(100')의 설부(120')의 제l면(121)으로부터 노출한다. 제1접점부(210b) ~ (210e)의 접촉면과 제2접점부(310a) ~ (310e)의 접촉면은,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된다. 제1접점부 (210b) ~ (210e)의 접촉면이, 연장부(340a) ~ (340e)의 접촉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콘택트(500)의 제3접점부(510)의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2면(123')으로부터 노출하고, 제4콘택트(600)의 제4접점부(610)의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3면(124')으로부터 노출한다. 제1테일부(240a) ~ (240f), 제2테일부(330a) ~ (330e), 제3테일부 (540) 및 제4테일부(640)가 보디(100')로부터 돌출한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드 케이스(400)와 동일한 실드 케이스를 보디(100')에 부착한다.
이하, 상기 커넥터(C')에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가 접속되는 순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드 케이스의 바닥판, 내판, 외판, 천정판, 메인 보디(110) 및 설부(120')가, 상기 수용 공간(S)의 일부의 공간인 접속 구멍을 구획하고 있다.
제1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1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맞춰지고, 제1상대방 콘택트가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의 상기 접촉면, 제3콘택트(500)의 제3접점부(510)의 상기 접촉면 및 제4콘택트(600)의 제4접점부(610)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설부(120')의 제1면(121') 위에 있어서, 제1상대방 콘택트는,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이것으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은 연장부(340a) ~ (340e)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2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2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제2상대방 콘택트가 설부(120')의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볼록부(122')에 안내되어,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이로써, 제2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와 접속된다(접속 상태).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설부(120')의 제1면(121') 위에 있어서, 제2상대방 콘택트는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2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하여도, 제2상대방 콘택트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연장부(340a) ~ (34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2상대방 콘택트와 제2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된다.
제3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의 상기 접속 구멍에 삽입된다. 그러면, 설부(120')가 제3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제1상대방 콘택트가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의 상기 접촉면, 제3콘택트(500)의 제3접점부(510)의 상기 접촉면 및 제4콘택트(600)의 제4접점부(610)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제2상대방 콘택트가 설부(120')의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볼록부 (122')에 안내되어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이로써, 제3상대방 커넥터가 커넥터(C')와 접속된다(접속 상태).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제2접점부(310a) ~ (310e)는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설부(120')의 제1면(121') 위에 있어서, 제1상대방 콘택트는,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이것으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뻗은 연장부(340a) ~ (340e)와 접촉하지 않고, 제2상대방 콘택트는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3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하여도, 제2상대방 콘택트가 제2콘택트(300a) ~ (300e)의 연장부(340a) ~ (340e)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2상대방 콘택트와 제2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된다.
상술한 커넥터(C')는, 제1콘택트(200b) ~ (200e)의 제1접점부(210b) ~ (210e) 및 제2콘택트(300a) ~ (300e)의 제2접점부(310a) ~ (310e)가, 설부(120')의 동일한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3, 제4콘택트 (500), (600)의 제3, 제4접점부 (510), (610)가, 설부(120')의 제2, 제3면(123'), (124')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드 케이스의 내형을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 가운데 가장 큰 상대방 커넥터의 외형에 맞추면 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C')는, 종래예 및 비교예의 커넥터에 비해, 제2방향 Z의 치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접점부(210b) ~ (210e) 및 제2접점부(310a) ~ (310e)가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1콘택트(200b) ~ (200e)는, 절곡부(220b) ~ (220e)가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접혀 구부러져, 제1콘택트 본체(230b) ~ (230e)의 일부가 제2접점부(310a) ~ (310e) 및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의 일부의 제2방향 Z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접점부(210b) ~ (210e) 및 제2접점부(310a) ~ (310e)를 설부(120')의 동일한 제1면(121')으로부터 노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해도, 상기 커넥터(C')의 제3방향 X의 치수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3, 제4콘택트 (500), (600)의 제3, 제4접점부 (510), (610)가 설부(120')의 제3방향 X의 제2, 제3면 (123'), (124')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제3, 제4콘택트 (500), (600)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커넥터(C')의 제2방향 Z 및 제3방향 X의 치수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3, 제4접점부(510), (610)가 설부(120')의 제2, 제3면 (123'), (124')의 뒷부분(123b'), (124b')(근원부의 제3방향 X의 한쪽, 다른 한쪽의 측면)에 매립되어 설부(120')를 보강하는 보강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설부(120')의 비집고 들어가는 강도가 향상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커넥터(C')의 비틀림 내구성 강도도 향상한다.
또, 제1접점부(210b) ~ (210e) 및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3방향 X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제3, 제4콘택트 (500), (600)의 제3, 제4접점부 (510), (610)가 설부(120')의 제3방향 X의 제2, 제3면 (123'), (12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에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2, 제3상대방 커넥터가 외부로부터 충격 등을 받아서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이동하여도, 제2, 제3상대방 커넥터의 제2상대방 콘택트와, 커넥터(C')의 콘택트(300a) ~ (300e)와의 접속이 유지되므로, 상기 커넥터(C')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설부(120')의 제2, 제3면 (123'), (124')의 앞부분(123a'), (124a')이 C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설부(120')를 제1, 제2, 제3상대방 커넥터의 접속 구멍에 끼워맞추기 쉬워진다.
또, 제l테일부(240b) ~ (240e), 제2테일부(330a) ~ (330e), 제3테일부(540)및 제4테일부(640)가 보디(100')로부터 돌출해서 일렬로 줄지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판의 실장 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콘택트(200b) ~ (200e), 제2콘택트(300a) ~ (300e) 및 제3, 제4콘택트 (500), (600)가, 보디(100')에 한 번에 인서트 성형되므로, 상기 커넥터(C')의 생산 공정이 간략화되어 상기 커넥터(C')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C), (C')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보디(100)는, 메인 보디(110)와, 설부(120)를 가지며, 메인 보디(110)가, 플레이트(111)와, 볼록부(112)와, 걸어맞춤오목부(113)와,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14)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보디(100')는, 메인 보디(110)와, 설부(120')를 가지며, 메인 보디(110)가, 플레이트(111)와, 볼록부(112)와, 걸어맞춤오목부(113)와,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14)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보디는, 메인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제1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설부를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디는, 메인 보디에 형성된 통부를 또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설부는, 통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부, 메인 보디 및 설부가 제1, 제2 및/또는 제3상대방 커넥터가 삽입 가능한 접속 구멍을 구획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설부(120)는, 제1면(121)과 복수의 가이드볼록부(122)를 가지는 것으로 했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설부(120')는, 제1면(121')과, 복수의 가이드볼록부(122')와, 제2면(123')과, 제3면(124')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설부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한쪽의 제1면을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이드 볼록부(122)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설부(120')의 제2면(123')의 앞부분(123a')과, 설부(1 20')의 제3면(124')의 앞부분(124a')은, 상기 앞부분(123a'), (124a') 사이의 거리가 제1방향 Y의 한쪽으로 점차 저감하도록 경사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설부의 제2면, 제3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부의 제2면, 제3면은, 제l방향으로 뻗는 평탄한 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설부의 제2면의 앞부분과, 설부의 제3면의 앞부분은, 상기 앞부분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 Y의 한쪽으로 점차 저감하도록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콘택트(200a) ~ (200f)는, 제1접점부(210a) ~ (210f)와, 절곡부(220a) ~ (220f)와,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와, 제1테일부(240a) ~ (240f)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1콘택트 (200b) ~ (200e)는, 제1접점부(210b) ~ (210e)와, 절곡부(220b) ~ (220e)와, 제1콘택트 본체(230b) ~ (230e)와, 제1테일부(240b) ~ (240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콘택트는, 하기 제1, 제2사항을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사항은, 제1콘택트가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는 것이다. 제2사항은, 제1콘택트가, 보디의 설부의 제1면에서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1접점부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절곡부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접점부(210a) ~ (210f)는, 제1방향 Y 및 제3방향 X로 뻗은 판이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단면인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 (121)의 앞부분으로부터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1접점부(210b) ~ (210e)는, 제1방향 Y 및 제3방향 X로 뻗은 판이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단면인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121')의 앞부분으로부터 제3방향 X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접점부는, 보디의 설부의 제1면에서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l접점부는, 접촉면 이외의 부분이 설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접점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범위 등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접점부의 외형도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콘택트 본체(230a) ~ (230f)는, 제1판(231a) ~ (231f)과, 제2판(232a) ~ (232f)과, 제3판(233a) ~ (233f)과, 제4판(234a) ~ (234f)와, 제5판(235a) ~ (235f)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1콘택트 본체 (230b) ~ (230e)는, 제1판(231b) ~ (231e)과, 제2판(232b) ~ (232)과, 제3판(233b) ~ (233e)과, 제4판(234b) ~ (234e)과, 제5판(235b) ~ (235e)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콘택트 본체는, 보디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콘택트 본체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가 제2접점부의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가 생략되는 경우, 제1콘택트 본체는 제1접점부와 연접되고, 또한, 제2콘택트 본체의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콘택트 본체의 외형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콘택트 본체는, 제1방향으로 뻗은 형상 또는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와 같은 계단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제2콘택트(300a) ~ (300e)는, 제2접점부 (310a) ~ (310e)와,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와, 제2테일부(330a) ~ (330e)와, 연장부(340a) ~ (340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콘택트는, 하기 제1, 제2사항을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사항은, 제2콘택트가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는 것이다. 제2사항은, 제2콘택트가,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2접점부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연장부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제2접점부(310a) ~ (310e)는, 제1방향 Y 및 제3방향 X로 뻗은 판이며, 제2방향 Z의 한쪽(아래쪽)의 단면인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1면(121)의 뒷부분의 가이드 볼록부(122) 사이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접점부는, 설부의 제1면에서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제2접점부는 제3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1열 또는 2열로 배치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접점부가, 제1접점부 보다도 제1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접점부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범위 등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접점부의 외형도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제2콘택트 본체(320a) ~ (320e)는, 제1판 (321a) ~ (321e)과, 제2판(322a) ~ (322e)과, 제3판(323a) ~ (323e)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콘택트 본체는, 보디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콘택트 본체의 외형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콘택트 본체는, 제1방향으로 뻗은 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3콘택트(500)는, 제3접점부(510)와, 절곡부(520)와, 제3콘택트 본체(530)와, 제3테일부(540)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콘택트는, 설부의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3접점부를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3콘택트는, 제3접점부와, 보디에 매립되고, 제1 또는 제2콘택트 본체의 제3방향의 한쪽에 배치된 제3콘택트 본체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제3콘택트는, 제3접점부와, 보디에 매립되고, 제1 또는 제2콘택트 본체의 제3방향의 한쪽에 배치된 제3콘택트 본체와, 제3테일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4콘택트(600)는, 제4접점부(610)와, 절곡부(620)와, 제3콘택트 본체(630)와, 제4테일부(640)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콘택트는, 설부의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4접점부를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4콘택트는, 제4접점부와, 보디에 매립되고, 제1 또는 제2콘택트 본체의 제3방향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 제4콘택트 본체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제4콘택트는, 제4접점부와, 보디에 매립되고, 제1 또는 제2콘택트 본체의 제3방향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 제4콘택트 본체와, 제4테일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3접점부(510)는, 그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2면(1 23')의 뒷부분(123b')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접점부는, 설부의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3접점부는, 설부의 제2면의 앞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접점부는, 접촉면 이외의 부분이 설부의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3접점부의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범위 등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접점부의 외형도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4접점부(610)는, 그 접촉면이 설부(120')의 제3면(1 24')의 뒷부분(124b')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120')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접점부는, 설부의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4접점부는, 설부의 제3면의 앞 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4접점부는, 접촉면 이외의 부분이 설부의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4접점부의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의 형상이나 범위 등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접점부의 외형도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테일부(240a) ~ (240f)와, 제2테일부(330a) ~ (330e)는, 제3방향 X로 1열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2테일부(330a) ~ (330e)가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의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1테일부(240b) ~ (240e), 제2테일부(330a) ~ (330e), 제3테일부 (540) 및 제4테일부(640)가 제3방향 X로 1열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2테일부 (330a) ~ (330e)가 제1테일부(240c)와 제1테일부(240d)의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테일부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제2콘택트가, 보디 내에 매립된 기판 또는 접속부(예를 들면, 케이블이나 접속 핀 등)에 보디 내에서 접속되는 경우, 제1, 제2테일부는 생략 가능하다. 또, 제1, 제2테일부는, 보디로부터 돌출하며, 교대로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테일부가 보디로부터 돌출해서 제1위치에서 1열로 배열되며, 제1테일부가 보디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제1위치 보다도 제1 방향 Y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의 제2위치에 있어서 1열로 배열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제4테일부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3, 제4테일부는, 제1테일부 사이, 제2테일부 사이 또는 제1, 제2테일부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 제4테일부를 상기 제1위치 및/또는 제2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테일부는, 보디로부터 제3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드 케이스는 생략 가능하다. 또, 실드 케이스는 보디를 부분적으로 덮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드 케이스는 메인 보디의 외주 전체를 덮는 통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실드 케이스는, 그 내부에 설부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삽입되지 않는 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가 통부를 가지는 경우, 실드 케이스는, 메인 보디 및 통부의 외주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보디의 일부(예를 들면, 메인 보디 또는 통부)를 덮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커넥터(C), (C')의 각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제2콘택트 및/또는 실드 케이스는, 도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제2콘택트는 동일한 규격에 대응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제3, 제4콘택트와, 제2콘택트가 동일한 규격에 대응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 제4콘택트가 다른 규격에 대응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 제4콘택트는, 보디 내에 인서트 성형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콘택트의 적어도 한쪽이, 보디에 형성된 구멍 또는 홈에 삽입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 제4콘택트의 적어도 하나가, 보디에 형성된 구멍 또는 홈에 삽입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방향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방향은 제1방향과 교차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방향은, 제1, 제2방향과 교차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는, 제1, 제2상대방 커넥터만이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는, 제 1 또는 제2상대방 커넥터와 제3상대방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보디
110: 메인 보디
120: 설부
121: 제1면
200a ~ 200f: 제1콘택트
210a ~ 210f: 제1접점부
220a ~ 220f: 절곡부
230a ~ 230f: 제1콘택트본체
240a ~ 240f: 제1테일부
300a ~ 300e: 제2콘택트
310a ~ 310e: 제2접점부
320a ~ 320e: 제2콘택트본체
330a ~ 330e: 제2테일부
340a ~ 340e: 연장부
400: 실드(shield) 케이스
100': 보디
110: 메인 보디
120': 설부
121': 제1면
123': 제2면
124': 제3면
500: 제3콘택트
510: 제3접점부
520: 절곡부
530: 제3콘택트본체
540: 제3테일부
600: 제4콘택트
610: 제4접점부
620: 절곡부
630: 제4콘택트본체
640: 제4테일부
Y: 제1방향
Z: 제2방향
X: 제3방향

Claims (16)

  1. 보디와,
    상기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1, 제2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는, 메인 보디와,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제1방향의 한쪽으로 뻗은 설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설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한쪽의 제1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l콘택트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1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2접점부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접점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제2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2방향의 다른 한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으며, 또한,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접되고,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접점부의 상기 제2방향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제1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는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는,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접점부 보다도 상기 제1방향의 다른 한쪽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접점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의 한쪽으로 뻗어있고, 또한, 상기 설부의 상기 제1면의 상기 제1접점부의 사이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연장부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3, 제4콘택트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설부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방향의 한쪽의 제2면과,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방향의 다른 한쪽의 제3면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콘택트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3접점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4콘택트는, 상기 설부의 상기 제3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된 제4접점부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의 상기 제2, 제3면은, 상기 제1방향의 한쪽의 앞부분과, 상기 제 1방향의 다른 한쪽의 뒷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3접점부는, 상기 제2면의 상기 뒷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제3면의 상기 뒷부분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설부 내에 매립되어 있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면의 상기 앞부분은, 상기 앞부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으로 점차 저감하도록 경사져 있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콘택트는, 상기 보디 내에 매립된 제3, 4콘택트 본체를 부가하여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1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2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테일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1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2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3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4콘택트는, 상기 메인 보디로부터 돌출한 제4테일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테일부는,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에 고착된 통형상의 실드 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설부가 상기 실드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통형상의 실드 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는, 상기 메인 보디에 설치된 통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설부가 상기 통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택트는, MicroUSB의 규격에 준거하고 있는 커넥터.
  16.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
KR1020130112702A 2012-10-22 2013-09-23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KR20140051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2754A JP2014086208A (ja) 2012-10-22 2012-10-22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12-232754 2012-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56A true KR20140051056A (ko) 2014-04-30

Family

ID=4955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02A KR20140051056A (ko) 2012-10-22 2013-09-23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13498A1 (ko)
EP (1) EP2722938A1 (ko)
JP (1) JP2014086208A (ko)
KR (1) KR20140051056A (ko)
CN (1) CN103779689A (ko)
TW (1) TW2014241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6187B2 (en) * 2013-04-18 2015-02-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5680268A (zh) * 2016-03-28 2016-06-15 深圳市无相电子科技有限公司 双面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078B3 (de) * 2003-12-10 2005-03-10 Lumberg Connect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bzw. Steckverbindung
TWM305483U (en) * 2006-08-16 2007-01-2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 connector
US7559805B1 (en) * 2008-06-24 2009-07-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contacts
US7972151B2 (en) * 2009-01-05 2011-07-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tacts
US7988495B2 (en) * 2009-11-25 2011-08-02 Dnova Corporation Connector
CN102270795A (zh) * 2010-06-03 2011-12-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公连接器及其应用的连接器组件
JP3178073U (ja) * 2012-01-19 2012-08-30 長盛科技股▲分▼有限公司 複数の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4139A (zh) 2014-06-16
US20140113498A1 (en) 2014-04-24
JP2014086208A (ja) 2014-05-12
EP2722938A1 (en) 2014-04-23
CN103779689A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73962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lignment feature
US83230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contacts
EP2405537B1 (en) Surface mount multi-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2509982B (zh) 具有连接器扩展模块的连接器组件
US20140206209A1 (en) Reversible usb connector
CN112086780B (zh) 夹层式电连接器
CN108701922A (zh) 电连接器
KR101916966B1 (ko) 커넥터
CN103311709B (zh) 用于电子装置的触头
EP2320526B1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202585882U (zh) 具有对准导引特征的电连接器壳体以及电连接器组件
CN102324644B (zh) 单一型电触头
US8388364B2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CN101517839B (zh) 电连接器用的拾取帽
CN108281813B (zh) 电连接器
KR20150022662A (ko)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US10020618B2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provided with same
KR20140051056A (ko)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EP2894729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CN202308627U (zh)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US20130196541A1 (en) Contact impedance adjusting method, contact,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200039557A (ko)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KR20200039556A (ko) 플로팅 b2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