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96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6966B1 KR101916966B1 KR1020120128603A KR20120128603A KR101916966B1 KR 101916966 B1 KR101916966 B1 KR 101916966B1 KR 1020120128603 A KR1020120128603 A KR 1020120128603A KR 20120128603 A KR20120128603 A KR 20120128603A KR 101916966 B1 KR101916966 B1 KR 101916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s
- rectilinear
- straigh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컨택트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210a), (220a)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컨택트(210a), (220a)는, 접점부(211a), (221a)와, Y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212a), (222a)와, X, Y 및 -Z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213a), (223a)와, 중간부(214a), (224a)와 -Z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15a), (225a)와, -Z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216a), (226a)와, 테일부(217a), (227a)를 지니고 있다. 제1직선부는 (222a)가 (212a)보다 길다. 제2직선부는, 직선부(222a), (212a)의 길이의 차이의 분만큼, (226a)가 (216a)보다 짧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210a), (220a)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컨택트(210a), (220a)는, 접점부(211a), (221a)와, Y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212a), (222a)와, X, Y 및 -Z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213a), (223a)와, 중간부(214a), (224a)와 -Z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15a), (225a)와, -Z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216a), (226a)와, 테일부(217a), (227a)를 지니고 있다. 제1직선부는 (222a)가 (212a)보다 길다. 제2직선부는, 직선부(222a), (212a)의 길이의 차이의 분만큼, (226a)가 (216a)보다 짧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차동쌍을 구성하는 대략 L자 형상의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제1, 제2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면서도 상기 제1직선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고 있다.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는,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다. 이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중간부에는 절곡부(折曲部)가 설치되어,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는,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와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와의 차이의 치수분만큼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보다도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제2컨택트의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제1, 제2컨택트 사이에 비틀림(skew)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는,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에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제1, 제2컨택트의 형상이 크게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제1, 제2컨택트를 한번에 프레스 성형하기 어려워, 프레스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복수개 필요하게 된다. 이것이 상기 커넥터의 비용 상승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1, 제2컨택트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꺾어구부린, 즉,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고 있다.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1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여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가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가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제1, 제2컨택트의 제2절곡부가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제1, 제2절곡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는,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제2컨택트의 테일부는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고,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제1, 제2컨택트 전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1, 제2컨택트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컨택트는, 전체가 대략 평행한 형상이므로, 한번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를 작성하기 위한 금형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커넥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컨택트 전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고 있다.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1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2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가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제1만곡부가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1, 제2컨택트의 제2만곡부가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제1, 제2만곡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는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제2컨택트의 테일부는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고,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제1, 제2컨택트 전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1, 제2컨택트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제2컨택트는, 전체가 대략 평행한 형상이므로, 한번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를 작성하기 위한 금형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커넥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컨택트 전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는, 상기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와 상기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량만큼, 상기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보유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상기 제2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제3컨택트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3컨택트가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상기 제2방향 또는 상기 반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3컨택트가, 제1, 제2컨택트의 접지(ground) 컨택트 또는 유사적인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 간의 영역에 배치된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3컨택트가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컨택트에 의해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 간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저감된다. 또한, 제3컨택트는, 데드 스페이스인 상기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3컨택트가 추가되었다고 해도, 제1, 제2커넥터의 제2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대해서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여,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3컨택트의 직선부가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3컨택트의 경사부가 제1, 제2직선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 간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3컨택트의 직선부가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대해서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3컨택트가 제1, 제2컨택트의 접지 컨택트 또는 유사적인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의 경사부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제2컨택트의 제1, 제2절곡부 및 중간부, 또는, 제1, 제2만곡부 및 중간부는, 제1, 제2직선부에 비해서 임피던스가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3컨택트의 경사부가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절곡부 및 중간부, 또는 제1, 제2만곡부 및 중간부의 임피던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하는 제2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1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고, 제2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한 상태에서, 제1, 제2절곡부를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생기는 제1, 제2컨택트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하는 제2본체와, 상기 제3컨택트의 경사부를 보유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3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제1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고, 제2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한 상태에서, 제1, 제2컨택트의 제1, 제2절곡부가 절곡됨으로써, 제3컨택트의 경사부를 보유한 제3본체가 제1,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커넥터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제1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고, 제2본체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한 상태에서, 제1, 제2절곡부를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생기는 제1, 제2컨택트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커넥터는,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외형부(shell)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형부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의 근방에 배치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임피던스 조정부가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절곡부 및 중간부, 또는 제1, 제2만곡부 및 중간부의 임피던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커넥터는,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외형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된 중간부와 상기 외형부 사이에 설치된 유전체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유전체가 제1, 제2컨택트의 본체로부터 노출된 중간부와 외형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절곡부 및 중간부, 또는 제1, 제2만곡부 및 중간부의 임피던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커넥터는, 상기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제2차동쌍과, 상기 제1, 제2차동쌍 사이에 배치된 제4컨택트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가 상기 제1차동쌍의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 사이, 상기 제2차동쌍의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 사이, 상기 제1차동쌍의 상기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제4컨택트 사이 및 상기 제2차동쌍의 상기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제4컨택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컨택트의 경사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컨택트의 직선부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 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절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만곡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경우, 상기 중간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1c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1d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 제3본체 및 제1, 제2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 제3본체 및 제1, 제2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본체 및 제1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본체 및 제1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a는 상기 커넥터의 제2본체 및 제2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제2본체 및 제2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5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정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배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c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우측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d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좌측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e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평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f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밑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g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을 도 5c 중의 β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1b 중의 6a-6a 단면도;
도 6b는 도 1b 중의 6b-6b 단면도;
도 6c는 도 1b 중의 6c-6c 단면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1c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1d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 제3본체 및 제1, 제2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 제3본체 및 제1, 제2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본체 및 제1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본체 및 제1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a는 상기 커넥터의 제2본체 및 제2컨택트 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제2본체 및 제2컨택트 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5a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정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배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c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우측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d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좌측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e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평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f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의 밑면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g는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컨택트 군을 도 5c 중의 β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로, 제1, 제2컨택트 군의 컨택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1b 중의 6a-6a 단면도;
도 6b는 도 1b 중의 6b-6b 단면도;
도 6c는 도 1b 중의 6c-6c 단면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한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실장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는 본체(100)와, 제1, 제2컨택트 군(200a), (200b)과, 외형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1a 내지 도 2b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이 X 및 -X방향, 상기 커넥터의 깊이 방향이 Y 및 -Y방향, 상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이 Z 및 -Z방향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Y 및 -Y방향이 X 및 -X방향과 직교하고, Z 및 -Z방향이 Y 및 -Y방향, 및 X 및 -X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Y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1방향에, X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에, -X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2방향의 반대 방향에, -Z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3방향에 상당하고 있다.
본체(100)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수지제의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를 구비하고 있다.
제1본체(100a)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110a)와, 후단부(120a)와, 1쌍의 암(arm)(30a)을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110a)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선단부(110a)의 X방향의 면에는, 5개의 오목부(111a) 및 4개의 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1a)는, -Y방향 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오목부로서, Z 및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홈(112a)은 Y 및 -Y방향으로 연장된 긴 홈으로, 이웃하는 오목부(111a) 사이의 Y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단부(120a)는, 선단부(110a)의 Y방향의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대략 직각삼각형상의 판이다. 후단부(120a)의 X 및 -X방향의 치수는 선단부(110a)보다도 작다. 후단부(120a)의 -X방향의 면에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걸림 구멍(121a)와 걸림 오목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구멍(121a)은 직사각형상의 구멍이다. 걸림 오목부(122a)는, Z 및 -Z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의 오목부이며, 걸림 구멍(121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후단부(120a)의 -Z방향의 단부에는 직사각형상의 절결부(123a)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120a)의 절결부(123a)의 Y방향 측의 부분에는, X방향의 면으로부터 -X방향의 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끼워맞춤 구멍(124a)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120a)의 사변부는 경사면을 지니고 있다.
1쌍의 암(30a)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부(120a)의 Z방향의 단부와, 후단부(120a)의 절결부(123a)의 가장자리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도록 X방향으로 연장된 직방체이다. 암(130a)의 대향면에는 걸림 구멍(131a)(1개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110a)의 Y방향의 단부와, 후단부(120a)와 암(130a)에 의해, 수용 공간(α)이 구획되어 있다.
제2본체(100b)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의 판이다. 제2본체(100b)의 -Y방향의 단부면의 하부(-Z방향 측의 단부)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돌출부(110b)가 설치되어 있다. 제2본체(100b)의 -X방향의 면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원기둥 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설치되어 있다. 제2본체(100b)의 사변부는 경사면을 지니고 있다.
제1컨택트 군(200a)은, 도 5a 내지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제4컨택트(230a) 및 제1, 제2컨택트(240a), (250a)를 지니는 USB3.0용의 컨택트 군이다. 제1, 제2컨택트(210a), (220a)는, TX+, TX- 신호용 컨택트로서, 서로 이웃하는 제1차동쌍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전체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제1, 제2컨택트(240a), (250a)는, RX+, RX- 신호용 컨택트로서, 서로 이웃하는 제2차동쌍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제2컨택트(240a), (250a)의 전체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제4컨택트는, 접지 컨택트로서, 제1, 제2차동쌍 사이(즉, 제2컨택트(220a)와 제1컨택트(24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컨택트(210a)는 접점부(211a)와, 제1직선부(212a)와, 제1절곡부(213a)와, 중간부(214a)와, 제2절곡부(215a)와, 제2직선부(216a)와, 테일부(217a)를 구비하고 있다. 제2컨택트(220a)는 접점부(221a)와, 제1직선부(222a)와, 제1절곡부(223a)와, 중간부(224a)와, 제2절곡부(225a)와, 제2직선부(226a)와, 테일부(227a)를 지니고 있다. 제4컨택트(230a)는 접점부(231a)와, 제1직선부(232a)와, 제1절곡부(233a)와, 중간부(234a)와, 제2절곡부(235a)와, 제2직선부(236a)와, 테일부(237a)를 지니고 있다. 제1컨택트(240a)는 접점부(241a)와, 제1직선부(242a)와, 제1절곡부(243a)와, 중간부(244a)와, 제2절곡부(245a)와, 제2직선부(246a)와, 테일부(247a)를 지니고 있다. 제2컨택트(250a)는 접점부(251a)와, 제1직선부(252a)와, 제1절곡부(253a)와, 중간부(254a)와, 제2절곡부(255a)와, 제2직선부(256a)와, 테일부(257a)를 지니고 있다.
접점부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에 (211a), (221a), (231a), (241a), (251a)의 순서로 -Z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매립된(고정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으로서, 선단부(110a)가 대응하는 오목부(111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는,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에 연속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의 판이다.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12a)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제1직선부(232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제1직선부(242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32a)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제1직선부(252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42a)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는,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 및 후단부(120a)에 매립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의 X방향 측의 면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부(120a)의 X방향 측의 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의 X방향 측의 면과 후단부(120a)의 X방향 측의 면은 일치한다.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는,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X, Y 및 -Z방향(즉,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는 후단부(120a)의 사변면(제1본체(100a)의 경사면)으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는,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에 연속하고 또한 X, Y 및 -Z방향(즉,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의 판이다.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는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는,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된 긴 길이의 판이다. 제2직선부(226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와 제1직선부(212a)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2직선부(216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제2직선부(236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32a)의 길이 치수와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2직선부(226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제2직선부(246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42a)의 길이 치수와 제1직선부(232a)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2직선부(236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제2직선부(256a)의 길이 치수는, 제1직선부(252a)의 길이 치수와 제1직선부(242a)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2직선부(246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는, 제2본체(100b)에 매립되고 또한 제2본체(100b)의 사변면에서부터 -Z방향의 단부면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다.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는 제2본체(100b)의 사변면에서부터 Y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즉,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가, 제1, 제2본체(100a), (100b) 밖에 배치되어 있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는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매립된 제2본체(100b)는, 도 3a 및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에 대향 배치된다. 제1, 제2본체(100a), (100b) 사이의 영역(즉,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영역)이, 제2컨택트 군(200b)을 배치하기 위한 영역으로 된다.
테일부(217a), (227a), (237a), (247a), (257a)는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된 판이다. 테일부(217a), (227a), (237a), (247a), (257a)는 이 순서로 Y방향으로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테일부(217a), (227a), (237a), (247a), (257a)가 상기 기판의 제1관통 구멍(through hole) 전극에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직선부(212a), (222a) 간의 거리, 제1절곡부(213a), (223a) 간의 거리, 중간부(214a), (224a) 간의 거리, 제2절곡부(215a), (225a) 간의 거리 및 제2직선부(216a), (226a) 간의 거리는 대략 동일하다. 상기 제1, 제2컨택트(240a), (250a)의 제1직선부(242a), (252a) 간의 거리, 제1절곡부(243a), (253a) 간의 거리, 중간부(244a), (254a) 간의 거리, 제2절곡부(245a), (255a) 간의 거리 및 제2직선부(246a), (256a) 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다.
제3본체(100c)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110c)과, 설부(舌部)(120c)와, 플레이트(130c)를 지니고 있다. 플레이트(130c)는 블록(110c) 및 설부(120c)에 연이어 설치된 직각삼각형의 판이다. 플레이트(130c)의 X 및 -X방향의 치수는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의 X방향의 면에는, 제2본체(100b)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끼워맞춤 오목부(131c)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의 -X방향의 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132c)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끼워유지된 상태에서,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끼워맞춤 오목부(131c)에 끼워맞춤되고, 끼워맞춤 볼록부(132c)가 제1본체(100a)의 끼워맞춤 구멍(124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의 사변부는 경사면을 지니고 있다.
블록(110c)은 Z 및 -Z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상의 직방체이다. 블록(110c)의 Z 및 -Z방향의 치수는 제1본체(100a)의 암(130a)의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블록(110c)은 제1본체(100a)의 수용 공간(α)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블록(110c)의 Z 및 -Z방향의 단부에는, 걸림 클릭(111c)(1개 도시됨)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클릭(111c)은 제1본체(100a)의 암(130a)의 걸림 구멍(131a)에 걸려있다. 블록(110c)의 -X방향의 면에는 직사각형상의 걸림 구멍(112c)이 형성되어 있다. 설부(120c)는 블록(110c)의 -Z방향의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이다.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와, 해당 단부에 직교하는 -Z방향의 단부를 지니고 있다.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와 블록(110c) 간의 거리는, 제1본체(100a)의 -Z방향의 암(130a)의 Z 및 -Z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이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와 블록(110c) 사이에,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Z방향의 암(130a)가 삽입되어 있다. 암(130a)이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와 블록(110c)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와 암(130a)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의 Y방향의 단부면에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돌출부(121c)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끼워유지된 상태에서, 걸림 돌출부(121c)가 제2본체(100b)의 걸림 돌출부(110b)에 걸린다.
제2컨택트 군(200b)은, 도 5a 내지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대략 L자 형상의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를 지니는 USB 2.0용의 컨택트 군이다. 제3컨택트는 (210b), (220b), (230b), (240b)의 순서로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3본체(100c)에 보유되어 있다. 제3컨택트(210b)는 Vbus용 컨택트이다. 제3컨택트(220b), (230b)는 Data-용, Data+용 컨택트이며, 서로 이웃하는 차동쌍을 구성하고 있다. 제3컨택트(240b)는 GND용 컨택트이다.
제3컨택트(210b)는 접점부(211b)와, 직선부(212b)와, 경사부(213b)와, 테일부(214b)를 지니고 있다. 제3컨택트(220b)는 접점부(221b)와, 직선부(222b)와, 경사부(223b)와, 테일부(224b)를 지니고 있다. 제3컨택트(230b)는 접점부(231b)와, 직선부(232b)와, 경사부(233b)와, 테일부(234b)를 지니고 있다. 제3컨택트(240b)는 접점부(241b)와, 직선부(242b)와, 경사부(243b)와, 테일부(244b)를 지니고 있다.
접점부(211b), (221b), (231b), (241b)는 X방향으로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이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는 접점부(211b), (221b), (231b), (241b)에 연속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의 판이다. 경사부(213b), (223b), (233b), (243b)는,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에 연속하고 또한 Y 및 -Z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된 긴 형상의 판이다. 경사부(213b)의 길이 치수는 경사부(223b)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경사부(223b)의 길이 치수는 경사부(233b)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경사부(233b)의 길이 치수는 경사부(243b)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테일부(214b), (224b), (234b), (244b)는, 경사부(213b), (223b), (233b), (243b)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된 판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213b), (223b), (233b), (243b)는, 이 순서로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는 이 순서로 제3본체(100c)의 블록(110c)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경사부(213b)의 Z방향의 경사면(213b1)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130c)의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 이외의 부분은, 블록(110c)으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점부는 (211b), (221b), (231b), (241b)의 순서로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테일부는 (244b), (254b), (234b), (214b)의 순서로,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테일부(244b), (254b), (234b), (214b)는 상기 기판의 제2관통 구멍 전극에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부(213b), (223b), (233b), (243b)의 길이 치수는 테일부(244b), (254b), (234b), (214b)의 선단의 높이 위치가 동일 높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블록(110c)이 제1본체(100a)의 수용 공간(α)에 끼워맞춤되면서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끼워유지된 상태에서,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가, 제1컨택트 군(200a)의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해당 제1컨택트 군(200a)의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영역에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 이외의 부분 및 접점부(211b), (221b), (231b), (241b)가 제1본체(100a)의 대응하는 홈(112a)에 삽입되고, 해당 직선부(212b), (222b), (232b), (242b)가 대응하는 홈(112a)의 Z 및 -Z방향의 벽면 사이에 -X방향(제1컨택트 군 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보유된다. 이 상태에서, 직선부(212b)는 제1직선부(212a), (222a) 사이의 X방향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22b)는 제1직선부(222a), (232a) 사이의 X방향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32b)는 제1직선부(232a), (242a) 사이의 X방향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42b)는 제1직선부(242a), (252a) 사이의 X방향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접점부(211b), (221b), (231b), (241b)는 홈(112a) 내에서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X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중공 배치된다. 경사부(213b), (223b), (233b), (243b)는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에 배치된다. 테일부(244b), (234b), (224b), (214b) 및 테일부(217a), (227a), (237a), (247a), (257a)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경사부(213b)는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130c)의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된 제3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의 경사면(213b1)은, 도 5c, 도 5d 및 도 5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가 제1, 제2본체(100a), (100b)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에 기인해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높아지기 쉬운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도 5g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는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5g에 있어서, 경사부(213b)와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간의 거리가 D1, 경사부(213b)와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 간의 거리가 D2, 경사부(213b)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간의 거리가 D3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D1, D2 및 D3은,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I1)와, 본 커넥터에 요구되는 기준 임피던스(I2)(예를 들어, 90 내지 100Ω) 간의 차이에 따라서 조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D1≒D2 또는 D1≒D3에 있어서, 임피던스(I1)가 기준 임피던스(I2)보다도 높을 경우, D1<D2 및 D1<D3으로 되도록 조정한다. D1≒D2 또는 D1≒D3에 있어서, 임피던스(I1)가 기준 임피던스(I2)보다도 낮을 경우, D1>D2 및 D1>D3으로 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도 5g에서는 D1<D2 및 D1<D3으로 되어 있다.
외형부(3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형부(300)는, 각진 통부(310)와,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연장부(320)와, 백커버(330)와, 1쌍의 걸림부(340)와, 1쌍의 제1다리부(350)와, 제2다리부(360)를 지니고 있다.
각진 통부(310)는, X 및 -X방향의 판과, Z 및 -Z방향의 판을 구비하고 있다. 각진 통부(310)가,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 1쌍의 암(30a) 및 제3본체(100c)의 블록(110c)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각진 통부(310)의 X방향의 판이 블록(110c)에, -X방향의 판이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에,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이 Z방향의 암(130a)에 맞닿고 있다.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이, 암(130a)과 제3본체(100c)의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 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있다(도 1c 참조). 각진 통부(310), 선단부(110a), 1쌍의 암(30a) 및 블록(110c)이, 상대측 커넥터(USB 2.0 플러그 커넥터 또는 USB 3.0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가능한 슬롯을 구획하고 있다.
각진 통부(310)의 X방향의 판은 1쌍의 제1걸림편(311), 제2걸림편(312), 1쌍의 제3걸림편(313) 및 단락(段落)부(314)를 지니고 있다. 각진 통부(310)의 -X방향의 판은 1쌍의 제1걸림편(311) 및 1쌍의 제3걸림편(313)을 지니고 있다.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은 제1걸림편(311)을 지니고 있다. 제1걸림편(311)은, 상기 판의 -Y방향의 단부의 일부가 커팅됨으로써 작성된 절결편으로서,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걸림편(312)은, X방향의 판의 -Y방향의 단부의 걸림편(311) 사이의 부분이 커팅됨으로써 작성된 절결편으로서,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제2걸림편(311), (312)은 슬롯에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의 오목부에 걸림 가능하다. 제3걸림편(313)은, X, -X방향의 판의 Y방향의 단부의 일부가 커팅되어, X, -X방향으로 절곡된 탭이다. 단락부(314)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의 판의 -Y방향의 단부의 제3걸림편(313) 사이의 부분이, X방향으로 절곡된 대략 U자 형상의 돌기부이다. X방향의 판의 제3걸림편(313)은 제3본체(100c)의 걸림 구멍(112c)에 걸려있다. -X방향의 판의 제3걸림편(313)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본체(100a)의 걸림 구멍(121a)에 걸리고, 단락부(314)는 제1본체(100a)의 걸림 오목부(122a)에 걸려있다.
연장부(320)는 각진 통부(310)의 X 및 -X방향의 판의 Y방향의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대략 직각삼각형상의 판이다. 연장부(320) 사이에,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의 이외의 부분, 제2본체(100b) 및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가 수용되어 있다. -X방향의 연장부(320)는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의 이외의 부분에, X방향의 연장부(320)는 제2본체(100b)에 맞닿아 있다. 연장부(320)의 사변부의 사이에는 개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부(320)의 사변부에는, 외측에 볼록한 형상의 볼록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백커버(330)는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의 Y방향의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백 커버(330)는 연장부(320)의 개방부를 폐쇄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백커버(330)는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근방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백커버(330)는,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가 떨어진다. 즉, 백커버(330)가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걸림부(340)는, 백커버(330)의 X 및 -X방향의 단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백커버(330)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직사각형상의 판이다. 걸림부(340)에는 절결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40)가 연장부(320)의 외면에 맞닿고, 연장부(320)의 볼록부(321)가 걸림부(340)의 절결부(341)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백커버(330)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제1다리부(350)는 연장부(320)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다리부(360)는 백커버(330)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제2다리부(350), (360)는 상기 기판의 제3관통 구멍 전극에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제2다리부(350), (360)가 기판의 제3관통 구멍 전극에 접속됨으로써, 외형부(300)가 접지 접속된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조립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를 준비한다. 이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는,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가 절곡되기 전의 상태(즉,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한 상태)이다.
그 후,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를 금형 내에 넣고, 해당 금형 내에 절연 수지를 유입하고,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를 절연 수지에 삽입(insert) 성형한다. 그러면,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접점부가, (211a), (221a), (231a), (241a), (251a)의 순서로 제1본체(100a)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는 동시에,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직선부가, (212a), (222a), (232a), (242a), (252a)의 순서로 제1본체(100a)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된다. 이때,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는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의 오목부(111a)로부터 노출된다.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의 X방향 측의 면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의 X방향 측의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이것과 함께,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제2본체(100b)에 매립된다. 이것에 의해,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제2본체(100b)의 경사면으로부터 -Z방향의 단부면에 걸쳐서 관통한다.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테일부가 (217a), (227a), (237a), (247a), (257a)의 순서로 일렬로 배치된다.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는, 제1, 제2본체(100a), (100b) 사이에 해당 제1, 제2본체(100a), (100b)로부터 노출된다.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직선부(212a), (222a), 제1절곡부(213a), (223a), 중간부(214a), (224a), 제2절곡부(215a), (225a) 및 제2직선부(216a), (226a) 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제1, 제2컨택트(240a), (250a)의 제1직선부(242a), (252a), 제1절곡부(243a), (253a), 중간부(244a), (254a), 제2절곡부(245a), (255a) 및 제2직선부(246a), (256a) 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진다.
한편,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를 준비한다. 그 후,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를 금형에 넣고, 당해 금형 내에 절연 수지를 유입하고,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를 절연 수지에 삽입 성형한다. 그러면,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경사부가 (213b), (223b), (233b), (243b)의 순서로 제3본체(100c)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는 동시에,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직선부의 Y방향의 단부가 (212b), (222b), (232b), (242b)의 순서로 제3본체(100c)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된다. 이때,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 이외의 부분이, 제3본체(100c)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한다.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테일부는, 제3본체(100c)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244b), (254b), (234b), (214b)의 순서로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3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의 경사면(213b1)이 제3본체(100c)의 경사면(플레이트(130c)의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된다.
그 후,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접점부(211b), (221b), (231b), (241b) 및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 이외의 부분을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의 홈(112a)에 삽입한다. 그러면, 직선부(212b), (222b), (232b), (242b)가 선단부(110a)의 홈(112a)의 Z 및 -Z방향의 벽면 사이에 보유된다. 이 상태에서, 직선부(212b)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직선부(212a), (222a) 사이의 X방향 측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22b)는 제2, 제4컨택트(220a), (230a)의 제1직선부(222a), (232a) 사이의 X방향 측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32b)는 제4, 제1컨택트(230a), (240a)의 제1직선부(232a), (242a) 사이의 X방향 측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직선부(242b)는 제1, 제2컨택트(240a), (250a)의 제1직선부(242a), (252a) 사이의 X방향 측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과 함께, 제3본체(100c)의 블록(110c)을 제1본체(100a)의 수용 공간(α)에 끼워맞춤시키고,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를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에 맞닿게 한다. 그러면, 블록(110c)의 걸림 클릭(111c)이, 제1본체(100a)의 암(130a)의 걸림 구멍(131a)에 걸린다. 플레이트(130c)의 끼워맞춤 볼록부(132c)이 후단부(120a)의 끼워맞춤 구멍(124a)에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3본체(100c)가 제1본체(100a)에 짜맞추어지게 된다.
그 후,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를 X, Y 및 -Z방향으로 절곡시킨다. 그러면,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가 X, Y 및 -Z방향으로 향한다. 그 후,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를 -Z방향으로 절곡시킨다. 그러면,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Z방향으로 향하고, 제2본체(100b)가 제3본체(l00c)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제2본체(100b)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제3본체(100c)의 끼워맞춤 오목부(131c)에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제3본체(100c)의 설부(120c)의 걸림 돌출부(121c)가 제2본체(100b)의 걸림 돌부(110b)에 걸린다. 테일부가, (217a), (244b), (227a), (234b), (237a), (224b), (247a), (214b), (257a)의 순서로 Y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는,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의 경사면의 Y방향 측에 배치된다. 제3본체(100c)의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된 제3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의 경사면(213b1)은,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근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D1, D2 및 D3은,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와,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의 다른 부분의 임피던스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가 짜맞추어진다.
그 후,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외형부(300)를 준비한다. 이 외형부(300)는, 백커버(330)가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에 대해서 평탄한 상태이고, 걸림부(340)가 백커버(330)에 대해서 평탄한 상태이다. 즉, 백커버(330)가 연장부(320) 사이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있다. 그 후,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를 개방부로부터 외형부(30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외형부(300)의 각진 통부(310) 내에 제1본체(100a)의 선단부(110a),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 1쌍의 암(30a) 및 제3본체(100c)의 블록(110c)이 수용되고, 연장부(320) 사이에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 이외의 부분, 제2본체(100b) 및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가 수용된다. 이때, 각진 통부(310)의 X방향의 판이 블록(110c)에, 각진 통부(310)의 -X방향의 판이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에,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이 Z방향의 암(130a)에 맞닿는다. 통부(310)의 -Z방향의 판이 암(130a)과 제3본체(100c)의 설부(120c)의 -Z방향의 단부 간의 간극에 삽입된다. 이것과 함께, X방향의 연장부(320)가 제2본체(100b)에, -X방향의 연장부(320)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의 -Y방향 측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맞닿는다. X방향의 판의 제3걸림편(313)은 제3본체(100c)의 걸림 구멍(112c)에, -X방향의 판의 제3걸림편(313)은 제1본체(100a)의 걸림 구멍(121a)에 걸리고, 단락부(314)는 제1본체(100a)의 걸림 오목부(122a)에 걸린다.
그 후, 백커버(330)와 각진 통부(310)의 Z방향의 판 사이의 부분을 -Z방향으로 절곡시켜, 백커버(330)에 개방부를 폐쇄시킨다. 그 후, 외형부(300)의 1쌍의 걸림부(340)를 절곡시켜, 외형부(300)의 연장부(320)에 맞닿게 한다. 그러면, 연장부(320)의 돌출부(321)가 걸림부(340)의 절결부(341)에 걸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외형부(300)의 제1, 제2다리부(350), (360)를 기판이 대응하는 제3관통 구멍 전극에 삽입해서 접속시킨다. 이것과 함께, 테일부(217a), (244b), (227a), (234b), (237a), (224b), (247a), (214b), (257a)를 기판이 대응하는 제1, 제2관통 구멍 전극에 삽입해서 접속시킨다.
이하, 상기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USB 2.0 플러그 커넥터 또는 USB3.0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해당 커넥터의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USB2.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의 슬롯에 삽입되면, USB2.0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가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접점부(211b), (221b), (231b), (241b)에 각각 접촉한다. 그러면,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직선부(212b), (222b), (232b), (242b)가 -X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접점부(211b), (221b), (231b), (241b)가 홈(112a) 내에서 -X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때, 외형부(300)의 제1, 제2걸림편(311), (312)이 USB2.0 플러그 커넥터의 오목부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USB2.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다.
USB2.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의 슬롯으로부터 빠지면, 제1, 제2걸림편(311), (312)과 USB2.0 플러그 커넥터의 오목부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가 X방향으로 복원되고, 접점부(211b), (221b), (231b), (241b)가 홈(112a) 내에서 X방향으로 변위된다.
USB3.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의 슬롯에 삽입되면, USB3.0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가,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에 각각 접촉한다. 이때, 외형부(300)의 제1, 제2걸림편(311), (312)이 USB3.0 플러그 커넥터의 오목부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USB3.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다. 또,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직선부(212b), (222b), (232b), (242b)가 USB3.0 플러그 커넥터에 압압되어, -X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접점부(211b), (221b), (231b), (241b)가 홈(112a) 내에서 -X방향으로 변위된다.
USB3.0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의 슬롯으로부터 빠지면, 제1, 제2걸림편(311), (312)과 USB3.0 플러그 커넥터의 오목부의 걸림이 해제된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는 상기 압압이 해제되어, X방향으로 복원된다. 접점부(211b), (221b), (231b), (241b)는 홈(112a) 내에서 X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접점부(211a), (221b)가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직선부(212a), (222a) 가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절곡부(213a), (223a)가 X, Y 및 -Z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중간부(214a), (224a)가 X, Y 및 -Z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절곡부가 (215a), (225a)가 -Z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직선부(216a), (226a)는 -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테일부(217a), (227a)는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가, 제1직선부(212a)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고, 제2직선부(226a)의 길이 치수가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와 제1직선부(212a)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2직선부(216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전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직선부(212a), (222a), 제1절곡부(213a), (223a), 중간부(214a), (224a), 제2절곡부(215a), (225a) 및 제2직선부(216a), (226a) 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컨택트(240a), (250a)도, 제1, 제2컨택트(210a), (220a)와 같이, 제1, 제2컨택트(240a), (250a) 간의 비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제1, 제2컨택트(240a), (250a)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해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는, 전체가 대략 평행한 형상이므로, 한번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를 작성하기 위한 금형 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가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의 -Z방향 측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외형부(300)의 백커버(330)가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의 Z방향 측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본체(100a), (100b)로부터 노출되는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고, 제1, 제2컨택트(210a), (220a) 사이 및 제1, 제2컨택트(240a), (250a)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는, USB3.0의 규격에 대응한 고속 디지털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인 것에 대해서,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는, USB 2.0의 규격에 대응한 저속 디지털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이다. 이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가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가 데드 스페이스인 상기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커넥터의 X 및 -X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 및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가 제1본체(100a)에,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제2본체(100b)에 매립되어 있다.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경사부(213b), (223b), (233b), (243b) 및 직선부(212b), (222b), (232b), (242b)의 Y방향의 단부가 제3본체(100c)에 매립되어 있다. 직선부(212b), (222b), (232b), (242b)를 제1본체(100a)의 홈(112a)에 삽입하면서, 제1, 제3본체(100a), (100b)를 조합시킨 후,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를 절곡시킴으로써, 제3본체(100c)의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끼워유지 된다. 따라서,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를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해당 제1컨택트 군(200a)의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영역에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 및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가 제1본체(100a)에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제2본체(100b)에 매립된 상태에서,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가 절곡되므로,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절곡에 의해 생기는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는,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210a), (220a)와, 제4컨택트(230a)와,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240a), (250a)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커넥터는, 적어도 전체 길이가 대략 동일한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제2컨택트(210a), (220a) 및 제1, 제2컨택트(240a), (250a)의 어느 쪽인가 한쪽은 생략가능하다. 또한, 제3컨택트(230b)는 생략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접점부(211a), (221a)는 제1본체(100a)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는,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가 제1본체의 홈 또는 구멍에 압입될 경우에는,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가 제1본체의 홈 또는 구멍 내에 수용되어,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직선부(212a), (222a)는, Y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본체(100a)에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는, 접점부에 연속하고, Y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1절곡부(213a), (223a)는, X, Y 및 -Z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는,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Y방향과 직교하는 X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는, X방향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X, Y 및 Z방향으로, X, -Y 및 -Z방향으로, 또는, X, -Y 및 Z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중간부(214a), (224a)는, 제1절곡부(213a), (223a)에 연속하고 또한 X, Y 및 -Z방향으로 직접 선형상으로 길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제1, 제2절곡부에 연속하고 또한 해당 제1, 제2절곡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X방향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X, Y 및 Z방향으로, X, Y 및 -Z방향으로, X, -Y 및 -Z방향으로, 또는, X, -Y 및 Z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는, X방향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X, Y 및 Z방향으로, X, -Y 및 -Z방향으로, 또는, X, -Y 및 Z방향으로 직접 선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2절곡부(215a), (225a)는, 중간부(214a), (224a)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제2절곡부는,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Y방향 및 X방향과 직교하는 -Z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컨택트의 제2절곡부는, Y 및 -Z방향, -Y 및 -Z방향, X, Y 및 -Z방향, X, -Y 및 -Z방향, -X, Y 및 -Z방향, -X, -Y 및 -Z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절곡부(212a), (222a), 중간부(214a), (224a) 및 제2절곡부(215a), (225a)는, 제1, 제2본체(100a), (100b)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 중간부 및 제2절곡부는, 본체 내에 매립 또는 수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 단독, 중간부 및 제1절곡부, 또는, 중간부 및 제2절곡부가 본체로부터 노출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제2직선부(216a), (226a)는, 제2절곡부(215a), (225a)에 연속하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는, -Z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가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는,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222a)의 길이 치수와 제1컨택트의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 간의 차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분만큼, 제1컨택트의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컨택트(210a), (220a)의 테일부(217a), (227a)는, 제2직선부(216a), (226a)에 연속한 판으로서,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컨택트의 테일부는,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또한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일부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기판 표면의 전극 등에 표면실장가능하게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는,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로 치환가능이다. 전술한 제1, 제2컨택트의 제2절곡부는,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로 치환가능하다. 이 경우, 중간부는 제1, 제2만곡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직선부는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식별 번호 <0084> 내지 <0092>에 기재한 사항은, 제1, 제2컨택트(240a), (250a)에도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제1, 제2컨택트는, 차동쌍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싱글 엔드용의 컨택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4컨택트(230a)는, 접점부(231a), 제1직선부(232a), 제1절곡부(233a), 중간부(234a), 제2절곡부(235a), 제2직선부(236a) 및 테일부(237a)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컨택트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컨택트의 접점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제1직선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제1절곡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중간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제2절곡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제2절곡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제2직선부는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컨택트의 테일부는 제1, 제2컨택트의 테일부와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컨택트의 제1, 제2절곡부는, 제1, 제2컨택트와 마찬가지로, 제1, 제2만곡부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는, 제1컨택트 군(200a)의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와 해당 제1컨택트 군(200a)의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컨택트는, 본체에 보유되어 있고 또한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X 또는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컨택트가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에 X 또는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경우, 제3컨택트는 제1, 제2컨택트에 대한 접지 컨택트 또는 유사적인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컨택트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3컨택트는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컨택트는, 접점부, 직선부, 경사부 및 테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컨택트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컨택트의 직선부는, 탄성변형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컨택트의 접점부 및 직선부가 본체에 탄성불능으로 보유 또는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가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의 -Z방향 측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가 본체 내에 배치될 경우, 제3컨택트(210b)의 경사부(213b)가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의 -Z방향 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제2컨택트의 제1, 제2절곡부가 제1, 제2만곡부로 치환되었을 경우, 상기 실시예와 같이, 경사부가 제1만곡부, 중간부 및 제2만곡부의 -Z방향 측 근방에 배치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사부가 제1만곡부, 중간부 및 제2만곡부의 -Z방향 측 근방에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D1, D2 및 D3은, 제1, 제2컨택트(210a), (220a), (240a), (250a)의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임피던스(I1)와, 본 커넥터에 요구되는 기준임피던스(I2)와의 차이에 따라서 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D1, D2 및 D3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컨택트의 경사부가,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만으로도,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 중간부 및 제2절곡부의 임피던스와, 본 커넥터에 요구되는 기준 임피던스와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절곡부(213a), (223a), (23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35a), (245a), (255a)의 형상(예를 들면, 굽힘 정도 등), 또는 경사부(213b)의 두께 치수(X 및 -X방향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1, 제2컨택트의 제1절곡부, 중간부 및 제2절곡부의 임피던스와, 본 커넥터에 요구되는 기준 임피던스와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사부(213b)의 경사면(213b1)이, 제3본체(100c)의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경사부는, 경사면이 본체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제2컨택트의 제1, 제2절곡부가, 제1, 제2만곡부로 치환되었을 경우, D1, D2 및 D3의 관계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D1, D2 및 D3의 관계를 본 단락의 기재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준 임피던스(I2)는 90Ω 내지 100Ω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컨택트가 싱글 엔드용의 컨택트일 경우, 기준 임피던스는 45Ω 내지 50Ω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100)는,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를 지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체는, 제1, 제2컨택트를 보유할 수 있는 절연체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체는, 제1, 제2컨택트의 접점부 및 제1직선부를 보유하는 제1본체와,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하는 제2본체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3컨택트를 생략하거나, 또는, 제3컨택트를 제1 또는 제2본체에 보유시키도록 설계 변경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본체(100a)에,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접점부(211a), (221a), (231a), (241a), (251a) 및 제1직선부(212a), (222a), (232a), (242a), (252a)가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본체는,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를 보유할 수 있는 절연체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본체에 형성된 홈 또는 구멍에, 제1, 제2컨택트의 제1직선부가 압입되는 양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본체(100b)에,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제2직선부(216a), (226a), (236a), (246a), (256a)가 제2본체(100b)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2본체는,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를 보유할 수 있는 절연체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본체에 형성된 홈 또는 구멍에, 제1, 제2컨택트의 제2직선부가 압입되는 양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본체(100c)에, 제3컨택트(210b), (220b), (230b), (240b)의 경사부(213b), (223b), (233b), (243b) 및 직선부의 Y방향의 단부(212 b), (222b), (232b), (242b)가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본체는, 제3컨택트의 경사부를 보유할 수 있는 절연체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본체에 형성된 홈에, 제3컨택트의 경사부가 압입되는 양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본체(100c)의 블록(110c)이 제1본체(100a)의 수용 공간(α)에 끼워맞춤되고, 플레이트(130c)가 제1본체(100a)의 후단부(120a)와 제2본체(100b)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3본체는 제1,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는 외형부(3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외형부(300)는 생략가능하다. 또, 외형부는, 도전성을 지니고 또한 제1, 제2컨택트 또는 제1, 제2, 제3컨택트를 보유하는 본체를 둘러쌀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형부는, 주조된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형부는, 절연 수지로 구성되고, 그 면 위로 도전 금속이 증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형부(300)의 백커버(330)가, 제1절곡부(213a), (223a), (243a), (253a), 중간부(214a), (224a), (244a), (254a) 및 제2절곡부(215a), (225a), (245a), (255a)의 Z방향 측 근방에 배치되어, 임피던스 조정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임피던스 조정부는, 외형부의 일부이며 또한 제1, 제2컨택트의 중간부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된 중간부와 상기 외형부 사이에 설치된 유전체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제4컨택트(210a'), (220a'), (230a'), (240a'), (250a')의 중간부(214a'), (224a'), (234a'), (244a'), (254a')와 백커버(330)' 사이에 제1, 제2, 제3본체(100a), (100b), (100c)와 같은 절연 수지로 구성된 유전체(4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중의 (213a'), (223a'), (233a'), (243a'), (253a')는 제1, 제2, 제4컨택트의 제1절곡부, (215a'), (225a'), (235a'), (245a'), (255a')는 제1, 제2, 제4컨택트의 제2절곡부, (213b)는 제3컨택트의 연장부, (320')는 외형부의 연장부이다.
또, 상기 실시예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커넥터는, 테일부 또는 기판에 케이블을 접속해서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X 및 -X방향과 Y 및 -Y방향과 Z 및 -Z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붙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X 및 -X방향과 Y 및 -Y방향과 Z 및 -Z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임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제2컨택트는 프레스 성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컨택트는 주조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본체
100a: 제1본체
110a: 선단부
120a: 후단부
130a: 암
100b: 제2본체
100c: 제3본체
110c: 블록
120a: 설부
130a: 플레이트
200a: 제1컨택트 군
2l0a: 제1컨택트
211a: 접점부
212a: 제1직선부
213a: 제1절곡부
214a: 중간부
215a: 제2절곡부
216a: 제2직선부
217a: 테일부
220a: 제2컨택트
221a: 접점부
222a: 제1직선부
223a: 제1절곡부
224a: 중간부
225a: 제2절곡부
226a: 제2직선부
227a: 테일부
230a: 제4컨택트
231a: 접점부
232a: 제1직선부
233a: 제1절곡부
234a: 중간부
235a: 제2절곡부
236a: 제2직선부
237a: 테일부
240a: 제1컨택트
241a: 접점부
242a: 제1직선부
243a: 제1절곡부
244a: 중간부
245a: 제2절곡부
246a: 제2직선부
247a: 테일부
250a: 제2컨택트
251a: 접점부
252a: 제1직선부
253a: 제1절곡부
254a: 중간부
255a: 제2절곡부
256a: 제2직선부
257a: 테일부
200b: 제2컨택트 군
210b 내지 240b: 제3컨택트
211b 내지 241b: 접점부
212b 내지 242b: 직선부
213b 내지 243b: 경사부
214b 내지 244b: 테일부
300: 외형부
310: 각진 통부
320: 연장부
330: 백커버(임피던스 조정부)
340: 걸림부
350: 제1각부
360: 제2각부
100a: 제1본체
110a: 선단부
120a: 후단부
130a: 암
100b: 제2본체
100c: 제3본체
110c: 블록
120a: 설부
130a: 플레이트
200a: 제1컨택트 군
2l0a: 제1컨택트
211a: 접점부
212a: 제1직선부
213a: 제1절곡부
214a: 중간부
215a: 제2절곡부
216a: 제2직선부
217a: 테일부
220a: 제2컨택트
221a: 접점부
222a: 제1직선부
223a: 제1절곡부
224a: 중간부
225a: 제2절곡부
226a: 제2직선부
227a: 테일부
230a: 제4컨택트
231a: 접점부
232a: 제1직선부
233a: 제1절곡부
234a: 중간부
235a: 제2절곡부
236a: 제2직선부
237a: 테일부
240a: 제1컨택트
241a: 접점부
242a: 제1직선부
243a: 제1절곡부
244a: 중간부
245a: 제2절곡부
246a: 제2직선부
247a: 테일부
250a: 제2컨택트
251a: 접점부
252a: 제1직선부
253a: 제1절곡부
254a: 중간부
255a: 제2절곡부
256a: 제2직선부
257a: 테일부
200b: 제2컨택트 군
210b 내지 240b: 제3컨택트
211b 내지 241b: 접점부
212b 내지 242b: 직선부
213b 내지 243b: 경사부
214b 내지 244b: 테일부
300: 외형부
310: 각진 통부
320: 연장부
330: 백커버(임피던스 조정부)
340: 걸림부
350: 제1각부
360: 제2각부
Claims (16)
-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컨택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고 있으며,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여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컨택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구비한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는,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와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와의 차이와 동일한 치수분만큼,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보유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상기 제2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3컨택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컨택트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제3컨택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지니고 있으며,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절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절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절곡부에 연속하여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제1, 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절연성을 지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전체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컨택트와,
상기 본체에 보유된 제3컨택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3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부와,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접점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큰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1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1만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1만곡부에 연속하는 중간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만곡부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된 제2만곡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만곡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길이 치수를 지니는 제2직선부와,
해당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테일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테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제1, 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5항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컨택트는,
접점부와,
해당 제3컨택트의 상기 접점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에 대해서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연속하고,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는 테일부를 구비한 것인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컨택트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 및 상기 제1직선부를 보유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보유하는 제2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와 별체(別體)인 것인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 및 상기 제1직선부를 보유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2직선부를 보유하는 제2본체와,
상기 제3컨택트의 상기 경사부를 보유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된 제3본체를 구비한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외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외형부는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중간부 근방에 배치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지니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외형부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기 중간부와 상기 외형부 사이에 설치된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3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제2차동쌍과,
상기 제1, 제2차동쌍 간에 배치된 제4컨택트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가 상기 제1차동쌍의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 사이, 상기 제2차동쌍의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 사이, 상기 제1차동쌍의 상기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4컨택트 사이 및 상기 제2차동쌍의 상기 제1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4컨택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접점부 및 상기 제1직선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3컨택트의 상기 경사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있으며,
상기 제3컨택트의 상기 직선부가 상기 제1, 제2컨택트의 상기 제1직선부 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것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01594A JP5802561B2 (ja) | 2012-01-06 | 2012-01-06 | コネクタ |
JPJP-P-2012-001594 | 2012-0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1196A KR20130081196A (ko) | 2013-07-16 |
KR101916966B1 true KR101916966B1 (ko) | 2018-11-08 |
Family
ID=4745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8603A KR101916966B1 (ko) | 2012-01-06 | 2012-11-14 |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821195B2 (ko) |
EP (1) | EP2613411B1 (ko) |
JP (1) | JP5802561B2 (ko) |
KR (1) | KR101916966B1 (ko) |
CN (1) | CN103199385B (ko) |
TW (1) | TWI53968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30394B2 (ja) * | 2012-01-26 | 2015-12-09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の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
US8668524B2 (en) * | 2012-04-27 | 2014-03-11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WO2015095869A1 (en) * | 2013-12-20 | 2015-06-25 | Molex Incorporated | Connector with tuned terminal beam |
DE102018218629B4 (de) * | 2018-10-31 | 2022-03-31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gewinkelten Steckverbinders, abgewinkelter Steckverbinder und Sensor |
BE1026802B1 (de) * | 2018-11-26 | 2020-06-25 | Phoenix Contact Gmbh & Co | Steckverbinder |
US11316304B2 (en) * | 2019-09-07 | 2022-04-26 | Dongguan Luxshare Technologies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performance |
US11682864B2 (en) * | 2020-04-15 | 2023-06-20 | Molex, Llc | Shielded connector assemblies with temperature and alignment controls |
JP6931731B1 (ja) * | 2020-08-17 | 2021-09-0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14957657U (zh) * | 2021-04-23 | 2021-11-30 |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 高速连接器 |
US11764534B2 (en) * | 2021-05-05 | 2023-09-19 |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 Type C female side conn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0303B2 (ja) | 1997-12-08 | 2001-03-26 | 大豊建設株式会社 | 発破用管体および発破方法 |
JP2007035587A (ja) | 2005-07-29 | 2007-02-08 | Jst Mfg Co Ltd | コネクタ |
US20090258539A1 (en) | 2008-04-09 | 2009-10-15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
JP2011138775A (ja) * | 2009-12-30 | 2011-07-14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コネク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40327B2 (ja) * | 1993-09-17 | 1997-08-1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の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る等長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 |
US6394818B1 (en) * | 2001-03-27 | 2002-05-28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Power connector |
US6814590B2 (en) * | 2002-05-23 | 2004-11-09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Electrical power connector |
US7476108B2 (en) * | 2004-12-22 | 2009-01-13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Electrical power connectors with cooling features |
US7425145B2 (en) * | 2006-05-26 | 2008-09-16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Connectors and contacts for transmitting electrical power |
US7726982B2 (en) * | 2006-06-15 | 2010-06-01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Electrical connectors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
JP3150303U (ja) * | 2008-04-09 | 2009-05-07 |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 電気コネクタ |
CN201230095Y (zh) * | 2008-04-21 | 2009-04-2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D610548S1 (en) * | 2009-01-16 | 2010-02-23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Right-angle electrical connector |
JP4795444B2 (ja) * | 2009-02-09 | 2011-10-19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2
- 2012-01-06 JP JP2012001594A patent/JP5802561B2/ja active Active
- 2012-11-13 TW TW101142208A patent/TWI539689B/zh active
- 2012-11-14 KR KR1020120128603A patent/KR1019169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19 EP EP12250182.8A patent/EP2613411B1/en active Active
- 2012-12-31 US US13/731,300 patent/US8821195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01-04 CN CN201310001277.1A patent/CN10319938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0303B2 (ja) | 1997-12-08 | 2001-03-26 | 大豊建設株式会社 | 発破用管体および発破方法 |
JP2007035587A (ja) | 2005-07-29 | 2007-02-08 | Jst Mfg Co Ltd | コネクタ |
US20090258539A1 (en) | 2008-04-09 | 2009-10-15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
JP2011138775A (ja) * | 2009-12-30 | 2011-07-14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コネク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78115A1 (en) | 2013-07-11 |
CN103199385A (zh) | 2013-07-10 |
EP2613411B1 (en) | 2015-02-25 |
JP5802561B2 (ja) | 2015-10-28 |
EP2613411A1 (en) | 2013-07-10 |
CN103199385B (zh) | 2016-08-31 |
KR20130081196A (ko) | 2013-07-16 |
US8821195B2 (en) | 2014-09-02 |
JP2013143195A (ja) | 2013-07-22 |
TWI539689B (zh) | 2016-06-21 |
TW201342718A (zh)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6966B1 (ko) | 커넥터 | |
JP4647675B2 (ja) | コネクタ | |
US10644457B2 (en) | Connector assembly | |
JP5351751B2 (ja) | コネクタ | |
US9356401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frame | |
CA2686911C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contact mounting and compensation boards | |
FI126806B (en) | Coupling | |
TWI500220B (zh) | A shielded housing and a connector with the housing | |
CN105226424B (zh) | 连接器端子和包括该连接器端子的连接器 | |
US20190296491A1 (en) | Connector structure | |
KR20110108236A (ko)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
EP2538498B1 (en) |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 |
EP2621025B1 (en) | Contact impedance adjusting method, contact,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US7611361B2 (en) |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 |
EP3787132A1 (en) | Connector shielding with a circumferential retent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EP2624377B1 (en) | Communication adapter | |
JP2014086208A (ja) |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 |
JP5615234B2 (ja) | シールド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 |
TW201025758A (en) | Connecter | |
TWI651904B (zh) | 電連接器 | |
CN109428234B (zh) | 电连接器 | |
JP4599373B2 (ja) | 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 |
TWM429226U (en) |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