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735A -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735A
KR20150050735A KR1020130130997A KR20130130997A KR20150050735A KR 20150050735 A KR20150050735 A KR 20150050735A KR 1020130130997 A KR1020130130997 A KR 1020130130997A KR 20130130997 A KR20130130997 A KR 20130130997A KR 20150050735 A KR20150050735 A KR 2015005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ull
temporary
natural gas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910B1 (ko
Inventor
공광홍
원광민
양해웅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선체와 독립형 저장탱크를 별도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선체에 임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에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임시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옮겨 상기 선체에 탑재하되, 상기 임시 지그를 상기 임시 레일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정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정위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VESSEL HAVING INDEPENDENT TYPE CONTAINER FOR LNG AND BUI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Natural Gas, 이하 "NG"라 함)를 약 -162℃로 냉각해서 액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NG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NG의 이송 시 LNG로 액화시켜 이송할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일 예로 LNG를 해상으로 수송(운반)할 수 있는 LNG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LNG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형태에 따라 크게 멤브레인형(Membrane Type) 저장탱크와 독립형(Independent Type) 저장탱크로 나뉠 수 있다.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선체와 저장탱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독립형 저장탱크는 선체와 별도로 형성된다.
독립형 저장탱크는 선체와 별도로, 즉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을 건조하는 데에는 선체에 저장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독립형 저장탱크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약 1500톤 내지는 2000톤)이므로, 선체와는 별도로 독립형 저장탱크를 제작한 후 이를 들어올려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크에 설치되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의 용량 한계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수행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현재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하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하측 부분을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에 먼저 탑재한 후, 상측 부분을 다시 탑재하여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900톤 탑재 중량 성능을 가진 갠트리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도크에 건조되어 있는 선체에, 1600톤의 무게를 갖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독립형 저장탱크를 850톤의 무게를 갖는 하측 부분과 750톤의 무게를 갖는 상측 부분으로 분할 제작한 후, 하측 부분을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에 먼저 탑재한 후, 상측 부분을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에 탑재한 후 용접하는 방법으로, 선체에 독립형 저장탱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우선, 독립형 저장탱크를 분할 제작한 후, 이를 나누어 탑재한 후 다시 용접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 일정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크 내부에 건조되어 있는 선체 내부에서 고난이도의 용접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인건비 증가, 공정 일정 증가 등 생산성에 악영향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는 제작된 후 반드시 성능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데, 도크 내부에서 저장탱크가 완성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성능 테스트를 위한 단열 처리, 장비 설치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 10-2012-0139286호 (2012.12.2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조 공정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생산성이 향상된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탑재될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선체와 독립형 저장탱크를 별도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선체에 임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에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임시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옮겨 상기 선체에 탑재하되, 상기 임시 지그를 상기 임시 레일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정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정위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단열 테스트 후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이 완성된 후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레일은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선체의 측벽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레일은, 상기 선체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임시 지그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지그는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양측 상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임시 지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가 설치되는 대차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롤러부를 구동하여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가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는 도크에서 건조되고,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해상 크레인에 의해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 크레인은 상기 임시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들어올리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상기 선체에 옮겨진 후, 해상 크레인, 또는 상기 선체가 건조되는 도크에 설치된 갠트리 크레인, 또는 상기 임시 지그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저장탱크의 정위치 고정이 완료된 후 상기 임시 레일 및 상기 임시 지그를 상기 선체 및 상기 고정형 저장탱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조 공정 일정을 단축한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이 향상된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탑재될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도 1에서 선체에 설치된 임시 레일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에 설치된 임시 지그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임시 지그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하역된 후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하역된 후 임시 레일에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은, 독립형 저장탱크와 선체가 각각 독립적으로 건조된 후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설치되는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독립형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이며, 선박은 독립형 저장탱크가 탑재될 수 있는 부유체로서, 예를 들면,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LNG RV(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vessel),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일 수 있다.
여기서, 선체는 일반적인 선박 건조 과정에 있어서 독립형 저장탱크가 탑재되기 위한 헐(Hull) 구조물 등이 완성되어 있는 상태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독립형 저장탱크는 상기와 같은 선박에 독립적으로 탑재되는 LNG 저장용 탱크로서, 선체와 별도로 제작된 후 선체에 탑재된다.
상기와 같은 선체(도 2, 10)와 독립형 저장탱크(도 3, 20)는 각각 독립된 공간에서 제작된다(S100). 상술한 것처럼 선체는 독립형 저장탱크가 탑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헐 구조물 상태까지 제작될 수 있으며, 독립형 저장탱크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이 완성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선체는 드라이 도크(Dry Dock)과 같은 공간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독립형 저장탱크는 도크가 아닌 안벽과 같은 별도의 작업장에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독립형 저장탱크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이 완성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단열 성능에 대한 테스트를 선체(10)에 탑재하기 전에 별도의 공간에서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조립되는 방법 및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립된 선박에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선체와 저장탱크의 제작상태가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후, 선체에는 임시 레일이 설치되고, 독립형 저장탱크에는 임시 지그를 설치한다(S200).
도 2는 도 1에서 선체에 설치된 임시 레일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에 설치된 임시 지그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임시 지그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0)는 독립형 저장탱크(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선체(10)의 측벽의 상단에는 임시 레일(10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의 측벽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측면을 감싸는 벽으로서, 향후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는 벽을 의미한다.
임시 레일(100)은 선체(10)의 측벽을 따라 선체(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임시 레일(100)은 선체(10)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110)과 지지판(120)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120)은 후술할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임시 지그(200)를 지지하고, 기둥(110)은 지지판(120)을 받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임시 레일(100)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하나의 측벽에 한 쌍이 나란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레일(100)이 상기와 같이 T자 형상으로 하나의 측벽에 한 쌍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모양 및 개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임시 레일(100)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다양한 모양,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시 레일(100)은 선체(10)의 측벽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독립형 저장탱크(20)를 탑재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시점에 선체(10)에 설치되었다가, 향후 독립형 저장탱크(20)를 탑재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선체(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 예로, 임시 레일(100)은 용접으로 선체(10)의 측벽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독립형 저장탱크(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진 모서리의 길이가 짧은 팔각형 형태의 정면을 갖는 입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상부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1)을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21)에는 임시 지그(2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형 저장탱크(20)의 경사면(21)에 임시 지그(2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독립형 저장탱크(20)의 모양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임시 지그(200)는 임시 레일(100)에 지지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지그(200)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양측 경사면에 각각 한 쌍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임시 지그(200)는, 경사면(21)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210), 연결부(21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0), 연장부(220)에 제공되는 대차부(230), 및 대차부(230)에 설치되는 롤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0)는 롤러부(240) 가 임시 레일(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상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0)는, 독립형 저장탱크(20)가 정위치에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 시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측벽과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210)로부터 연장되어 롤러부(240)를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측벽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10)와 연장부(220)가 각각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 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차부(230)는 연장부(220)의 저부에 위치되어 롤러부(240)가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연장부(220)보다 넓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독립형 저장탱크(20)가 해상 크레인이나 도크에 설치된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자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롤러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220)가 롤러부(240)를 지지하기에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대차부(230)에 대응되는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대차부(230)에는 임시 레일(100) 위에 안착되어 독립형 저장탱크(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부(240)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대차부(230)에 선체(10)의 폭 방향으로 한 쌍, 길이 방향으로 한 쌍, 총 4개의 롤러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롤러부(240)는 대차부(23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242), 지지대(242)에 연결되는 회전축부(244), 회전축부(244)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롤러(246), 롤러(246)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롤러부(240)가 임시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248)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46)는 임시 레일(100)의 지지판(120) 위에 안착되어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회전축부(244)의 양측에 제공된 롤러(246)의 폭은 지지판(12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248)은 롤러(246)의 외측면에 부착되되, 롤러(246)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롤러부(240)가 임시 레일(100)에 안착되었을 때, 롤러(246)는 지지판(120)의 상측에 위치하고, 가이드(248)는 지지판(12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롤러(246)의 진행 방향이 임시 레일(110)의 연장 방향과 어긋나더라도 임시 지그(200)가 임시 레일(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임시 레일(100)과 마찬가지로, 임시 지그(200)도 독립형 저장탱크(20)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독립형 저장탱크(20)를 탑재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시점에 독립형 저장탱크(20)에 설치되었다가, 향후 독립형 저장탱크(20)를 탑재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독립형 저장탱크(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 예로, 임시 지그(200)는 용접으로 독립형 저장탱크(20)의 경사면(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시 레일(100)과 임시 지그(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상크레인을 사용하여, 독립형 저장탱크(20)를 들어올린 후, 도크(도 5, 1)에서 건조 중인 선체(10)에 하역할 수 있다(S300).
도 5는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하역된 후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독립형 저장탱크가 선체에 하역된 후 임시 레일에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해상크레인(30)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하역 시, 임시 지그(200)가 임시 레일(1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상크레인(30)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선체(10)로 이동하는 수단은 해상크레인(30)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상크레인(30)은 독립형 저장탱크(20)에 설치된 임시 지그(200)에 체인을 연결하여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체인은 임시 지그(200)에 감기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임시 지그(200)에는 체인이 연결되기 위한 러그(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임시 지그(200)가 임시 레일(100)에 안착된 후 임시 레일(100)을 따라 정위치로 이동한다(S400).
독립형 저장탱크(20)는 해상크레인(3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선체(10)가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에서 건조되는 경우, 해상크레인(30)은 임시 레일(100)에 독립형 저장탱크(20)를 하역한 후, 체인의 결속을 해제하지 않고 그대로 임시 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선체(10)가 드라이 도크에서 건조되는 경우, 드라이 도크에 설치되어 있는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갠트리 크레인은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수평 방향으로 임시 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허용 중량이 독립형 저장탱크(20)를 들어올리는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임시 지그(200)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을 대차부(230)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하역 후 독립형 저장탱크(20)가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이동 과정에서, 롤러부(240)의 가이드(248)가 롤러(246)의 이탈을 방지하는 바,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임시 레일(1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독립형 저장탱크(20)가 임시 레일(100)을 따라 정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위치에서 선체(10)에 독립형 저장탱크(20)를 고정한다.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선체(10)에 다수 개가 탑재될 수 있으므로, 가장 안쪽에 설치될 독립형 저장탱크(20)부터 차례로 탑재할 수 있으며, 상기 S300 단계 및 상기 S400 단계는 모든 독립형 저장탱크(20)가 탑재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S500).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선체(10) 설치 및 정위치 고정이 모두 완료되면, 임시 레일(100)과 임시 지그(200)는 선체(10) 및 독립형 저장탱크(20)로부터 제거된다(S600).
이렇게 제거된 임시 레일(100)과 임시 지그(200)는 향후 다른 선박의 건조에서 다시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형 저장탱크(20)를 모두 설치한 후 각각의 임시 지그(200)를 제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정위치에 고정한 후 임시 지그(200)를 제거하고, 다음에 설치될 독립형 저장탱크(20)에 해당 임시 지그(200)를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임시 레일(100)과 임시 지그(200)의 제거가 완료되면, 후속의 건조 과정을 진행하여, 선박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에 의하면,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선체(10)에 빠르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건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독립형 저장탱크(20)와 선체(10)의 건조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건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 일정을 단축함으로써,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도크 사용비용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설치에 사용되는 임시 레일(100) 및 임시 지그(200)는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그 생산성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독립형 저장탱크(20)를 선체(10)에 탑재하기 전에 단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선체(10)에서 조립하던 방법과 비교하여 매우 수월하게 단열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으며, 그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하여 생산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선체에 저장탱크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2열로 제공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위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체(10')에는 독립형 저장탱크(20')가 탑재될 수 있는 공간이,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존재한다. 즉, 선체(10')의 중앙부분에는 독립형 저장탱크(20')가 탑재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코퍼댐(11')이 제공될 수 있다.
임시 레일(100')은 선체(10')의 측벽뿐만 아니라, 코퍼댐(11')에도 제공될 수 있다. 코퍼댐(11')의 상측에 제공되는 임시 레일(100')은 코퍼댐(11')의 양측에 배치될 독립형 저장탱크(20')의 이동을 모두 안내해야 하므로, 위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총 4개의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선체(10')의 좌측에 탑재되는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선체(10')의 좌측벽에 설치된 임시 레일(100')과 코퍼댐(11')의 좌측에 배치된 임시 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며, 선체(10')의 우측에 탑재되는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선체(10')의 우측벽에 설치된 임시 레일(100')과 코퍼댐(11')의 우측에 배치된 임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독립형 저장탱크(2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임시 지그(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선체(10')에 독립형 저장탱크(20')가 2열로 배치되는 선박이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도크 10, 10' : 선체
100, 100' : 임시 레일 110 : 기둥
120 : 지지판 20, 20' : 독립형 저장탱크
200, 200' : 임시 지그 210 : 연결부
220 : 연장부 230 : 대차부
240 : 롤러부 242 : 지지대
244 : 회전축부 246 : 롤러
248 : 가이드

Claims (13)

  1.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선체와 독립형 저장탱크를 별도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선체에 임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에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임시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옮겨 상기 선체에 탑재하되, 상기 임시 지그를 상기 임시 레일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정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상기 정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단열 테스트 후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이 완성된 후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레일은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선체의 측벽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레일은,
    상기 선체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임시 지그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그는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양측 상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임시 지그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가 설치되는 대차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롤러부를 구동하여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가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도크에서 건조되고,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해상 크레인에 의해 상기 선체로 옮겨지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크레인은 상기 임시 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를 들어올리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저장탱크는 상기 선체에 옮겨진 후,
    해상 크레인, 또는 상기 선체가 건조되는 도크에 설치된 갠트리 크레인, 또는 상기 임시 지그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탱크의 정위치 고정이 완료된 후 상기 임시 레일 및 상기 임시 지그를 상기 선체 및 상기 고정형 저장탱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된 선박.
KR1020130130997A 2013-10-31 2013-10-31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KR10152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997A KR101523910B1 (ko) 2013-10-31 2013-10-31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997A KR101523910B1 (ko) 2013-10-31 2013-10-31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735A true KR20150050735A (ko) 2015-05-11
KR101523910B1 KR101523910B1 (ko) 2015-06-01

Family

ID=5338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97A KR101523910B1 (ko) 2013-10-31 2013-10-31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9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81A (ja) * 1993-09-03 1995-03-14 Shinkurushima Dock:Kk ガントリークレーンのヒール防止装置
WO2010062188A1 (en) * 2008-11-26 2010-06-03 Norwind As A marin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129704B1 (ko) * 2009-09-04 2012-04-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추진축 장착용 대차를 이용한 컨테이너선 추진축의 장착방법
KR101380644B1 (ko) * 2011-12-23 2014-04-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910B1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038C (en) Overhead guide track systems for automated material handling
US9664338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low-temperature tank and low-temperature tank
US20140017051A1 (en) Cask transport assembly
JP7322066B2 (ja) 密閉断熱タンクを組み立てる方法
KR101523910B1 (ko)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JP2008511498A (ja) 圧縮天然ガスの積み込み及び積み下ろしのための方法及び設備
KR20190107463A (ko)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102521438B1 (ko) 래싱 브릿지 운반장치
KR20110134188A (ko)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
KR20150015908A (ko) 블록 이동용 캐리어
KR101516201B1 (ko)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CN113753197B (zh) 一种大重量船体建造时船坞内放置的方法
KR20160002817U (ko) 독립형 카고 탱크의 수직 지지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701900B1 (ko) 다점 계류 시스템
KR100739430B1 (ko) 이동식 부유안벽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20109727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JP2022134260A (ja) コンテナ輸送船及びコンテナの搬送方法
KR102528987B1 (ko)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KR20140111500A (ko) 선박 건조방법
KR102205482B1 (ko) 해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20170105172A (ko) 컨테이너 래싱장치
KR20150133361A (ko) 화물창 검사장비
JPH09136721A (ja) ラック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