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44B1 - 가스연료 추진선박 - Google Patents

가스연료 추진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44B1
KR101380644B1 KR1020110140719A KR20110140719A KR101380644B1 KR 101380644 B1 KR101380644 B1 KR 101380644B1 KR 1020110140719 A KR1020110140719 A KR 1020110140719A KR 20110140719 A KR20110140719 A KR 20110140719A KR 101380644 B1 KR101380644 B1 KR 10138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gas
fuel tank
flow path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066A (ko
Inventor
박주신
전민성
김태우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Abstract

가스연료 추진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선체의 갑판 위에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연료탱크와, 가스연료탱크의 적층을 위해 선체의 갑판 위에 마련된 적층안내부재와, 가스연료탱크의 연료를 선체 내부의 엔진 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선체에 설치된 연료공급관을 포함하고, 가스연료탱크는 연료를 수용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외측에 컨테이너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수직빔들과 복수의 수평빔들을 갖춘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연료공급관과 연결되는 연료공급유로와, 용기부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수직빔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가스배출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연료 추진선박{GAS FUEL PROPULSION SHIP}
본 발명은 가스연료 추진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연료탱크를 선체의 갑판 위에 원하는 수량만큼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고, 연료탱크의 폭발 시 선체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연료 추진선박에 관한 것이다.
LNG(Liquefied Natural Gas)와 같은 가스를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기존의 석유계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 비하여 연료비를 줄일 수 있고, 질소산화물이나 황산화물 같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적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해양운송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바람에 힘입어 최근 그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통상적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엔진실 근처나 선체 내부의 일정공간에 가스연료탱크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가스연료탱크를 선체 내부에 설치한 선박은 큰 부피의 가스연료탱크가 선체 내부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선체 내부공간의 활용이 제한적인 결점이 있다. 특히 장기간 운항하는 선박은 연료탱크의 용적도 커야 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또 운항도중에 만에 하나 가스의 폭발이 생길 경우 심한 선체 손상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98387호(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선박은 가스연료탱크를 선체의 갑판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 선박은 가스연료탱크가 갑판 위에 설치됨으로써 통상의 경우보다 위험을 줄이고 선박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박도 가스연료탱크를 단지 갑판 위에 설치한 정도이기 때문에 여전히 폭발에 따른 위험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 선박의 장기간 운항을 위해서는 가스연료탱크 내에 많은 양의 연료를 채워야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스연료탱크는 그 크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연료의 저장에 제한적인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10-2009-098387호(2009.09.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연료탱크를 선체의 갑판 위에 원하는 수량만큼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저장용량을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연료탱크의 가스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료탱크의 폭발 시 선체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연료 추진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갑판 위에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연료탱크와,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적층을 위해 상기 선체의 갑판 위에 마련된 적층안내부재와,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연료를 상기 선체 내부의 엔진 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연료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연료를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외측에 컨테이너의 형태의 육면체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수직빔들과 복수의 수평빔들을 갖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수직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연료공급관과 연결되는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용기부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직빔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가스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복수개가 상하로 연이어 적층되고, 상기 적층안내부재는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진입안내를 위해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마련된 경사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가스연료탱크는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가 밀봉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를 갖춘 수직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연료공급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연료공급유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직빔의 상단에 마련되며 내면이 계단형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 홈형 접속부와, 상기 수직빔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홈형 접속부로 진입하여 접속될 수 있는 돌출형 접속부와, 상기 홈형 접속부의 내측에 설치된 제1패킹과, 상기 돌출형 접속부의 외면에 설치된 제2패킹과, 상기 제2패킹을 결합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봉효과를 높이도록 상기 돌출형 접속부 외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용기부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가스배출유로로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개방하고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폭발 시 폭발을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층안내부재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폭발방호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갑판 상부에 마련된 거주구 후방 선미 측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연료를 공급할 때 갑판 상부의 가스연료탱크 설치영역에 원하는 수량의 가스연료탱크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연료공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연료의 저장용량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가스연료탱크를 선박에 탑재할 때는 가스연료탱크의 프레임이 적층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가스연료탱크의 적층 과정에서 연료공급유로가 접속되면서 엔진 쪽으로의 연료공급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가스배출유로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연속된 가스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가스연료탱크 주위에 폭발방호벽이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연료탱크의 폭발 시 폭발을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연료탱크의 폭발이 생기는 경우에도 선체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가스연료탱크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가스연료탱크 및 그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3의 A부분 상세도로, 도 5는 연료공급유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연료공급유로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도 3의 B부분 상세도로, 도 7은 연료공급유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연료공급유로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와, 선체(1) 후방에 마련된 추진기(2) 및 러더(3)와, 추진기(2)의 구동을 위해 선체(1) 내부에 설치된 엔진(4)를 구비한다. 선체(1)의 갑판(5) 상부에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6)가 마련되고, 거주구(6) 후방의 갑판(5) 위에는 엔진(4)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액화상태의 연료가스가 채워진 가스연료탱크들(20)이 설치된다.
선체(1) 내부에는 가스연료탱크(20)로부터 엔진(4)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공급관(10) 및 액화된 연료를 기화시켜 엔진(4)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12)가 설치된다. 연료공급기(12)는 연료를 공급하는 고압펌프와 액화상태의 연료를 연소 가능한 상태로 기화시키는 기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관(10)은 갑판 위에 적층되는 가스연료탱크(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입구가 갑판(5) 쪽으로 연장된다.
가스연료탱크(20)는 갑판(5) 위에 복수개가 상하 또는 횡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체(1)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선박의 출항 전에 연료를 공급할 때 빈 가스연료탱크(20)를 선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연료가 채워진 새로운 가스연료탱크(20)를 탑재시키는 방식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선박의 운항거리를 고려하여 적정 수량의 가스연료탱크(20)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선박의 연료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운항거리 등을 고려해 연료 저장량을 쉽게 변경하기 위함이다.
가스연료탱크(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상태의 연료를 수용하는 용기부(21)와, 용기부(21)의 외측에 컨테이너 형태의 육면체를 이루도록 연결된 프레임(22)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연료탱크(20)는 용기부(21)가 규격화된 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용기부(21)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차량운송이나 하역이 용이하며 여러 개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용이하다.
프레임(22)은 용기부(21)의 양단 쪽에서 복수의 수직빔(23)과 복수의 수평빔(24)이 사각틀형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다수의 연결부재(25)에 의해 용기부(21)의 외면에 연결됨으로써 가스연료탱크(20)가 전체적으로 컨테이너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는 컨테이너형을 이루는 프레임(22)의 일 예를 제시한 것일 뿐 프레임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은 연료탱크의 크기나 요구되는 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2)의 수직빔들(23) 중 하나에는 연료공급유로(26)가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유로(26)는 한 쪽 수직빔(23)에 매설된 배관형태일 수 있고, 연결배관(27)에 의해 용기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 연료공급유로(2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연료탱크(20)를 상하로 연이어 적층할 때 상호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직빔(23)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료공급유로(26)가 마련된 수직빔(23)의 상부와 하부에는 연료공급유로(26)의 개폐를 위해 각각 개폐밸브(28a,28b)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밸브들(28a,28b)을 통해 평소에는 유로를 폐쇄하고, 가스연료탱크(20)를 선박에 탑재한 상태에서 개폐밸브들(28a,28b)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각 개폐밸브(28a,28b)는 수동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수동식 밸브이거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연료공급유로(26)가 마련된 수직빔(23)의 상단과 하단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연료탱크(20)가 연이어 적층될 때 상호 연료공급유로(26)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가 마련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는 수직빔(23)의 상단에 마련되는 홈형 접속부(31)와, 수직빔(23)의 하단에 마련되어 홈형 접속부(31)로 진입하여 접속될 수 있는 돌출형 접속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또 홈형 접속부(31)는 내경이 계단형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밀봉 결합을 위해 그 내측에 설치된 제1패킹(31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형 접속부(32)는 그 외면에 설치된 제2패킹(32a)과, 제2패킹(32a)을 결합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봉효과를 높이도록 그 외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들(31,3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연료탱크(20)가 적층될 때 상호 대응하여 접속됨으로써 연료공급유로(26)를 밀봉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돌출형 접속부(32)가 홈형 접속부(31)로 진입하면서 유로가 연결되고, 제1패킹(31a)과 제2패킹(32a)이 접속되는 부분의 틈새를 밀봉한다. 특히 제1패킹(31a)과 제2패킹(32a)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으로써 접속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틈새에 밀착되도록 변형됨으로써 접속부분의 밀봉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돌출형 접속부(32)와 홈형 접속부(31)를 예시하였으나, 접속부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부는 가스연료탱크(20)의 적층 시 유로를 밀봉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될 것이므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도 3의 B부분의 상세도로, 갑판(5) 위에 돌출하는 연료공급관(10)의 입구와 그 위에 적층되는 가스연료탱크(20)의 수직빔(23)에 마련된 연료공급유로(26)의 접속관계를 나타낸다. 이 부분도 앞서 언급한 홈형 접속부(31)와 돌출형 접속부(32)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갑판(5) 위로 약간 돌출하는 연료공급관(10)의 입구가 전술한 홈형 접속부(31)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가스연료탱크(20)의 수직빔(23) 하단부에 마련된 돌출형 접속부(32)와 밀봉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 가스연료탱크(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부(21) 내에 생기는 가스를 배출시켜 용기부(21)의 내부 압력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가스배출유로(35)를 구비한다. 가스배출유로(35)는 복수의 수직빔들(23) 중 연료공급유로(26)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수직빔에 내에 배관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스배출유로(35)는 연결배관(36)을 통해 용기부(21)의 상측 내부(가스영역)와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연결배관(36)에는 용기부(21)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방하고 설정 압력 미만일 경우 폐쇄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37)가 설치된다. 압력조절밸브(37)는 용기부(21) 내부의 압력에 따라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가스연료탱크(20) 내부의 압력이 늘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가스배출유로(3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연료탱크(20)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호 접속되어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수직빔(23)으로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과 하단에는 상호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된다. 이 접속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료공급유로(26)의 접속부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배출유로(35)를 통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이처럼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연소장치(미도시)로 안내된 후 연소되거나 선박 내부 필요처로 이송되어 다른 용도로 쓰일 수 있고, 재액화장치에서 액화된 후 다시 연료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선박의 갑판(5) 위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연료탱크(20)를 쉽게 적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적층안내부재(40)가 마련된다. 적층안내부재(40)는 갑판(5)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다. 각 적층안내부재(40)는 가스연료탱크(20)의 프레임(22)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41)과, 가스연료탱크(20)의 진입 안내를 위해 안내홈(41)의 상단에 마련된 경사안내부(42)를 구비한다.
적층안내부재(40)는 가스연료탱크(20)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빔(23)의 안내 및 지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각 수직빔(23)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지지바(43)에 의해 상호 지탱하도록 연결된다. 또 이러한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판(5) 위에 측방으로 연속하여 마련됨으로써 다수의 가스연료탱크(20)를 갑판(5) 위에 병렬로 적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연료탱크(20)를 갑판(5) 위에 탑재할 때 경사안내부(42)에 의해 프레임(22)의 진입이 안내될 수 있고, 진입 후에는 적층안내부재(40)의 안내홈(41)에 의해 프레임(22)의 하강이 안내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탑재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연료탱크(20)를 상하로 연이어 적층할 때 상측 연료탱크와 하측 연료탱크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연료공급유로(26) 및 가스배출유로(35)도 상호 밀봉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적층안내부재(40)의 외측에는 가스연료탱크(20)가 만에 하나 폭발할 경우를 대비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폭발방호벽(50)이 마련된다. 폭발방호벽(50)은 갑판(5) 위에 적층된 가스연료탱크(20)의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가 되도록 적층안내부재(40)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다. 이러한 폭발방호벽(50)은 가스연료탱크(20)가 폭발할 경우 폭발을 상방으로 유도함으로써 선체(1)나 거주구(6)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폭발방호벽(50)은 폭발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 강철판재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선체(1)의 갑판(5) 위에 고정된 형태이거나 그 일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 그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기기조작 등을 위해 일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폭발방호벽(50)의 상부에는 평소 가스연료탱크(20)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별도의 덮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연료 추진선박은 연료를 공급할 때 갑판(5) 상부의 가스연료탱크(20) 설치영역에 원하는 수량의 가스연료탱크(20)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연료공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연료의 저장용량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 가스연료탱크(20)를 선박에 탑재할 때는 가스연료탱크(20)의 프레임(22)이 적층안내부재(40)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고, 적층 과정에서 각 가스연료탱크(20)의 연료공급유로(26)가 접속되면서 엔진(4) 쪽으로의 연료공급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적층 과정에서 각 가스연료탱크(20)의 가스배출유로(35)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연속된 가스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1: 선체, 4: 엔진,
5: 갑판, 10: 연료공급관,
12: 연료공급기, 20: 가스연료탱크,
21: 용기부, 22: 프레임,
23: 수직빔, 26: 연료공급유로,
28a,28b: 개폐밸브, 31: 홈형 접속부,
32: 돌출형 접속부, 35: 가스배출유로,
37: 압력조절밸브, 40: 적층안내부재,
41: 안내홈, 42: 경사안내부,
50: 폭발방호벽.

Claims (8)

  1. 선체의 갑판 위에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연료탱크와,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적층을 위해 상기 선체의 갑판 위에 마련된 적층안내부재와,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연료를 상기 선체 내부의 엔진 쪽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연료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연료를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외측에 컨테이너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수직빔들과 복수의 수평빔들을 갖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수직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연료공급관과 연결되는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용기부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직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마련된 가스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가스연료탱크는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기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가 상호 밀봉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료공급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를 갖춘 수직빔의 상단과 하단에 마련된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직빔의 상단에 마련되며 내면이 계단형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 홈형 접속부와, 상기 수직빔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홈형 접속부로 진입하여 접속될 수 있는 돌출형 접속부와, 상기 홈형 접속부의 내측에 설치된 제1패킹과, 상기 돌출형 접속부의 외면에 설치된 제2패킹과, 상기 제2패킹을 결합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봉효과를 높이도록 상기 돌출형 접속부 외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복수개가 상하로 연이어 적층되고,
    상기 적층안내부재는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진입안내를 위해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마련된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연료공급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연료공급유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용기부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가스배출유로로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개방하고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료탱크의 폭발 시 폭발을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층안내부재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폭발방호벽을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료탱크는 상기 갑판 상부에 마련된 거주구 후방 선미 측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료 추진선박.
KR1020110140719A 2011-12-23 2011-12-23 가스연료 추진선박 KR10138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19A KR101380644B1 (ko) 2011-12-23 2011-12-23 가스연료 추진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19A KR101380644B1 (ko) 2011-12-23 2011-12-23 가스연료 추진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66A KR20130073066A (ko) 2013-07-03
KR101380644B1 true KR101380644B1 (ko) 2014-04-08

Family

ID=4898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719A KR101380644B1 (ko) 2011-12-23 2011-12-23 가스연료 추진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910B1 (ko) * 2013-10-31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RU2607893C2 (ru) * 2014-01-07 2017-01-11 Дэу Шипбилдинг Энд Марин Инджинир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ного газа корабля
CN105564588A (zh) * 2014-11-10 2016-05-11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Lng燃料运输船
JP2023157594A (ja) * 2022-04-15 2023-10-26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082A (en) * 1982-05-27 1985-11-12 Grey Vincent G Offshore incineration of hazardous waste materials
KR20100112857A (ko) * 2009-04-10 2010-10-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
KR20110032062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연료공급시스템
KR20110082670A (ko) * 2010-01-12 2011-07-20 (주)영창에프앤티 고압 유체 이송용 커플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082A (en) * 1982-05-27 1985-11-12 Grey Vincent G Offshore incineration of hazardous waste materials
KR20100112857A (ko) * 2009-04-10 2010-10-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
KR20110032062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연료공급시스템
KR20110082670A (ko) * 2010-01-12 2011-07-20 (주)영창에프앤티 고압 유체 이송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66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117B1 (ko) 엘엔지 추진 선박
CN110099842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US10976007B2 (en) Fuel tank arrangement of a marine vessel
JP6589210B2 (ja) 燃料タンクのイナーティング方法及び浮体
KR101876977B1 (ko) 선박용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방법
KR101380644B1 (ko) 가스연료 추진선박
JP6901567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KR101380643B1 (ko) 가스연료 추진선박
KR20160005919A (ko)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KR20190143683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80071579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79112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79215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79216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30023987A (ko) 선박의 가스 벤팅 및 퍼징 시스템
KR102061930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335579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68378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79217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469938B1 (ko) 선박
KR102488377B1 (ko) 선박
KR102459475B1 (ko) 선박
KR102459476B1 (ko) 선박
CN113710951B (zh) 液化气贮存罐及船舶
KR102160848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