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919A -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 Google Patents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919A
KR20160005919A KR1020140085007A KR20140085007A KR20160005919A KR 20160005919 A KR20160005919 A KR 20160005919A KR 1020140085007 A KR1020140085007 A KR 1020140085007A KR 20140085007 A KR20140085007 A KR 20140085007A KR 20160005919 A KR20160005919 A KR 20160005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fuel
tank
cabin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909B1 (ko
Inventor
옥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9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63B2019/245Loose or removable fasten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hatch covers to coamings, sil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는, 해치코밍이 마련되는 화물 탱크; 상기 해치코밍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해치코밍을 개폐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커버가 이동하는 제1 방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해치커버와 어긋나게 마련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는, 선체의 하부 공간을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화물 탱크의 공간이 줄어 들지 않으면서, 이종 연료 엔진을 위한 연료 탱크를 마련할 수 있어, 운반 가능한 화물 적재량이 감소되지 않아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Structure for storage tank of marine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벌크 캐리어(bulk carrier),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의 각종 선박에서는 추진 연료로서 액체연료인 벙커C유 등의 중유(HFO)(혹은 MDO)를 사용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연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중유 등을 연소시킬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요구는 범세계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중유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추진장치에 대한 규제 역시 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 고갈이나 국지적인 정세불안 등의 요인으로 유가가 상승할 경우, 중유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비가 급증하는 문제가 있는 등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각종 선박의 연료유로서, 중유(혹은 MDO)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는 대신에 액화 또는 가스 상태의 가스연료인 LNG(혹은 LPG, CNG, DME 등)와 같은 청정연료를 사용하거나, 중유(혹은 MDO)의 가격이 비싸지거나 환경보호상 요구되는 기준이 높은 경우에는 LNG(혹은 LPG, CNG, DME 등)를 연료로서 주로 사용하고 중유(혹은 MDO)의 가격이 싸지거나 환경 기준이 낮은 경우에는 중유(혹은 MDO)를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이 선박에 마련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벌크 캐리어에 마련되는 LNG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는, 곡물, 광석 등이 적재되는 화물 탱크가 마련되는 선체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어, 연료 탱크가 차지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만큼 화물 탱크의 공간이 줄어 운반 가능한 화물 적재량이 줄어 선박의 운항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갑판의 하부에 화물 탱크와 연료 탱크가 서로 인접하게 마련됨에 따라, 연료 탱크로부터 누수된 휘발성 가스 등의 물질이 화물 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침적되는 경우, 항구에서 화물 로더(loader)에 의해 광석을 화물 탱크 내에 쏟아 부을 시 화물 탱크의 바닥부분과 광석과의 충돌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발화되어 화재의 우려가 있어 안정성 위험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치커버의 이동경로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데크 하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고, 연료 탱크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등의 물질이 화물 탱크에 적재될 우려가 적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는, 해치코밍이 마련되는 화물 탱크; 상기 해치코밍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해치코밍을 개폐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커버가 이동하는 제1 방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해치커버와 어긋나게 마련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치코밍에 인접하여 상갑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선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상갑판 상에 마련되되, 상기 선실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실을 지지하는 복수의 피로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복수의 상기 피로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로티부는, 상기 선실과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어 상기 선실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선실을 지지하며 내측에 계단이 마련되는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는, 선체의 하부 공간을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화물 탱크의 공간이 줄어 들지 않으면서, 이종 연료 엔진을 위한 연료 탱크를 마련할 수 있어, 운반 가능한 화물 적재량이 감소되지 않아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가 상갑판 상에 마련되되 선실의 하부에 마련되어, 해치커버의 상부를 헬리데크 또는 이동통로로 이용할 수 있어, 한정된 선박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연료 탱크와 화물 탱크가 상갑판을 기준으로 상하분리되어 이격됨에 따라, 연료 탱크 내의 가스 등의 물질이 화물 탱크로 유입될 우려가 줄어 들어, 화물 탱크에 석탄과 같은 화물을 선적시 화물에 의한 충돌에 따른 스파크로 인한 화재 발생이 감소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가 마련되는 벌크 캐리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가 마련되는 벌크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가 마련되는 벌크 캐리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가 마련되는 벌크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100)는 화물 탱크(110), 해치커버(120) 및 연료 탱크(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벌크 캐리어(1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컨테이너선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가능하다. 벌크 캐리어(10)는 상갑판(11) 상에 승무원들이 거주하는 선실구역이 마련되며, 선실구역에 포함되는 선실(12)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선실(12)은 선미(또는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화물 탱크(110)에 간섭되지 않도록 복수의 화물 탱크(110) 중 선미 측에 인접한 화물 탱크(110)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실(12)은 복수의 피로티부(piloti part, 140)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의 피로티부(140) 사이에는 후술되는 연료 탱크(130)가 마련된다. 여기서 피로티부(140)는 기둥으로서, 방을 이루는 선실(12)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선실(12)의 하부 즉, 상갑판(11) 상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연료 탱크(1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갑판(11) 상에서 길이방향의 공간은 일반적으로 후술되는 화물 탱크(110)의 해치코밍(111)의 개폐를 위한 해치커버(120)의 동작을 위해 다른 장비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우나, 본 실시예에서는 피로티부(140)를 마련함으로써, 상갑판(11) 상의 선실(12)의 하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선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선실(12)은 피로티부(140)의 상부로 배치되면서 선실(12)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선실(12)의 층을 증축하거나 선실(12)의 폭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로티부(140)는 선실(12)을 지지하면서, 연료 탱크(130)가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피로티부(140)는 복수의 기둥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기둥부재(141)와 제2 기둥부재(142)를 포함하며, 제2 기둥부재(142)는 제1 기둥부재(141)에 비하여 단면적이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기둥부재(142)의 내측에는 계단(142A)이 형성되어 승무원이 선실(12)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화물 탱크(110)는 상갑판(11)의 하부에 마련되되 해치코밍(111)이 마련된다. 화물 탱크(110)는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곡물, 광석 등과 같이 별도로 포장되지 않은 화물을 분립 상태로 적화 수송하도록 저장하며, 각각의 화물 탱크(110)는 화물이 유출입되도록 해치코밍(111)이 마련되는 것이다. 해치코밍(111)은 화물 탱크(110)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되어 해치커버(120)가 안착된다.
해치코밍(111)은 화물 탱크(110)의 내부와 외부를 통하는 통로 기능을 가지며, 해치코밍(111)의 높이 결정 기준은 화물 탱크(110) 내의 시야를 상갑판(11)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높이가 우선되며, 이는 벌크 캐리어(10)의 종류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치코밍(111)이 선실(12)의 시야에 마련되도록 높이가 설치됨은 물론, 연료 탱크(130)가 해치코밍(111)과 해치커버(120)의 이동경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마련되어 화물 탱크(110)에 저장된 화물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화물 탱크(110)에 인접하게 전 길이에 걸쳐 선박의 발라스트 워터 탱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벌크 캐리어(10)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선박 평형수를 싣기도 한다.
이러한, 화물 탱크(110)는 상갑판(11)을 사이에 두고서 연료 탱크(130)와 분리되어 서로 이격됨으로써, 연료 탱크(130) 내의 가스 등의 물질이 화물 탱크(110)로 유입될 우려가 줄어 들어, 화물 탱크(110)에 석탄과 같은 화물을 선적시 화물에 의한 충돌에 따른 스파크로 인한 화재 발생이 감소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해치커버(120)는 해치코밍(111)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치코밍(111)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해치커버(120)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이루어져, 해치코밍(111) 상에서 벌크 캐리어(10)의 좌우인 폭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며, 해치커버(1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치코밍(111)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치커버(120)가 슬라이딩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벌크 캐리어(10)는 상갑판(11) 상에 해치커버(120)가 좌우 슬라이딩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60m의 폭을 가지는 벌크 캐리어(10)일 수 있다. 이때, 벌크 캐리어(10)의 폭의 길이는 해치커버(120)의 가로길이(벌크 캐리어의 폭 방향)의 2배에 해당하여, 해치커버(120)가 벌크 캐리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도 해치커버(120)가 해치코밍(111)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여 해치코밍(111)을 전면 개방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평면도), 해치코밍(111)을 덮는 해치커버(1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해치커버(120) 중 하나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갑판(11)의 공간을 가로막는 것과 같다(식별부호 120A). 또한, 해치커버(120)는 해치코밍(111)을 폐쇄한 상태에서 헬리콥터가 비상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로 이용될 수도 있고, 해치커버(120) 상에 핸드레일(도시하지 않음), 족장(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되어 승무원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해치커버가 좌우 슬라이딩되어 해치코밍을 전면 개방하기 어려운 벌크 캐리어의 경우에는, 즉 벌크 캐리어의 폭이 60m 이하인 경우에는 해치커버가 폴딩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치코밍은 벌크 캐리어의 폭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나 벌크 캐리어의 폭의 절반 이상의 가로길이를 가지고, 해치커버는 해치코밍(111) 상에서 앞뒤(또는 좌우)로 접히는 형태로 이루어져 해치코밍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해치커버가 이동하는 제1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져 해치코밍(111)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갑판 상에서 해치코밍(111)의 좌우는 승무원의 이동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연료 탱크(130)는 해치커버(120)가 이동하는 제1 방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해치커버(120)의 제1 이동방향에 어긋나게 마련된다.
연료 탱크(130)는 예를 들어 이중연료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 공급하기 위한 중유, 디젤유, LNG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130)는 LNG를 저장하는 탱크가 복수로 마련되거나, 중유, 디젤유와 같은 오일이 저장되는 탱크와 LNG를 저장하는 탱크가 각각이 마련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많은 양의 LNG를 저장하고 비상시를 위해 복수의 LNG 탱크로서 선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중연료엔진은 연료공급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포함되는 장비로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연료공급시스템은 펌프(도시하지 않음),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중연료엔진을 통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추력을 위한 프로펠러(14)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엔진룸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엔진룸(13)은 연료 탱크(130)가 마련되는 상갑판(11)의 하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프로펠러(14) 외에도 벌크 캐리어(10)에는 러더(15)가 마련되어 운항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시스템의 펌프는 부스팅 펌프(Boosting Pump)와, 고압 펌프(High Pressure Pump)를 포함할 수 있고, 연료 탱크(130)에서 이중연료엔진까지 연료공급라인(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연료 탱크(130)에서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LNG는 부스팅 펌프에 의해 가압된 뒤,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이중연료엔진에서 요구하는 온도로 높아져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30)는 벌크 캐리어(10)가 운항되는 과정에서 벌크 캐리어(10) 상에서 수요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로 이용되며, 예를 들어 실린더 형의 탱크로서 고압에 견디는 진공 단열 탱크(타입 C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30)는 상갑판(11) 상에 마련되되, 선실(1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탱크(130)는 선실(12)을 지지하는 복수의 피로티부(140)의 내측에 마련되어 해치커버(120)로부터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갑판(11)의 하부 공간을 화물 탱크(110)의 적재 공간으로 최대로 활용하도록 하며, 연료 탱크(130)가 선체에 마련될 수 있어, 운반 가능한 화물 적재량이 감소되지 않아 선박의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벌크 캐리어 11: 상갑판
12: 선실 13: 엔진룸
14: 프로펠러 15: 러더
100: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110: 화물 탱크
111: 해치코밍 120: 해치커버
130: 연료 탱크 140: 피로티부
141: 제1 기둥부재 142: 제2 기둥부재
142A: 계단

Claims (4)

  1. 해치코밍이 마련되는 화물 탱크;
    상기 해치코밍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해치코밍을 개폐하는 해치커버; 및
    상기 해치커버가 이동하는 제1 방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해치커버와 어긋나게 마련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코밍에 인접하여 상갑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선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상갑판 상에 마련되되, 상기 선실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을 지지하는 복수의 피로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복수의 상기 피로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티부는,
    상기 선실과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어 상기 선실을 지지하는 제1 기둥부재; 및
    상기 제1 기둥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선실을 지지하며 내측에 계단이 마련되는 제2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KR1020140085007A 2014-07-08 2014-07-08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갖는 벌크 캐리어 KR10201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07A KR102017909B1 (ko) 2014-07-08 2014-07-08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갖는 벌크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07A KR102017909B1 (ko) 2014-07-08 2014-07-08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갖는 벌크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19A true KR20160005919A (ko) 2016-01-18
KR102017909B1 KR102017909B1 (ko) 2019-09-03

Family

ID=5530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07A KR102017909B1 (ko) 2014-07-08 2014-07-08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를 갖는 벌크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9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556A (ko) * 2017-07-25 2019-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049388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110067A (ko) * 2018-03-19 2019-09-2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압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2020050135A (ja) * 2018-09-27 2020-04-02 今治造船株式会社 船舶
WO2021008619A1 (zh) * 2019-07-18 2021-01-2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双燃料油船供气系统及油船
CN112356976A (zh) * 2020-11-23 2021-02-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双燃料散货船的上层建筑
RU2787609C1 (ru) * 2019-07-18 2023-01-11 Шанхай Вайгаоцяо Шипбилд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газа нефтеналивного танке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видов топлива и нефтеналивной танке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504A (ko) * 2005-04-13 2006-10-18 추지 헤비 인더스트리즈 해치 커버 장치
KR20090083557A (ko) * 2008-01-30 2009-08-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갑판 상부 연료유 탱크 배치 구조
KR20090098387A (ko) * 2008-03-14 2009-09-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추진용 청정연료저장탱크를 상갑판에 구비한 선박
KR20130035049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504A (ko) * 2005-04-13 2006-10-18 추지 헤비 인더스트리즈 해치 커버 장치
KR20090083557A (ko) * 2008-01-30 2009-08-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갑판 상부 연료유 탱크 배치 구조
KR20090098387A (ko) * 2008-03-14 2009-09-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추진용 청정연료저장탱크를 상갑판에 구비한 선박
KR20130035049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556A (ko) * 2017-07-25 2019-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90049388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110067A (ko) * 2018-03-19 2019-09-2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압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2020050135A (ja) * 2018-09-27 2020-04-02 今治造船株式会社 船舶
WO2021008619A1 (zh) * 2019-07-18 2021-01-2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双燃料油船供气系统及油船
RU2787609C1 (ru) * 2019-07-18 2023-01-11 Шанхай Вайгаоцяо Шипбилд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газа нефтеналивного танке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видов топлива и нефтеналивной танкер
CN112356976A (zh) * 2020-11-23 2021-02-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双燃料散货船的上层建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909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1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KR20160005919A (ko) 부유 구조물의 연료저장탱크 구조
US20120238161A1 (en) Floating structure with fuel tank for gas fuel
KR102137917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50082929A (ko) Lng 연료탱크가 구비된 벌크선
KR20210137881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102076411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170039B1 (ko) 선박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380644B1 (ko) 가스연료 추진선박
KR20190011562A (ko) 선박
KR102279216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79215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183926B1 (ko) 선박
KR102279217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335579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68378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60538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077913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077914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97871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268425B1 (ko) 선박
KR102183927B1 (ko) 선박
WO2022234177A1 (en) Fuel storage and supply system for marine vessel
KR20190011548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