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463A - 트러스 비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러스 비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463A
KR20190107463A KR1020180028741A KR20180028741A KR20190107463A KR 20190107463 A KR20190107463 A KR 20190107463A KR 1020180028741 A KR1020180028741 A KR 1020180028741A KR 20180028741 A KR20180028741 A KR 20180028741A KR 20190107463 A KR20190107463 A KR 20190107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guide member
truss
upper gu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069B1 (ko
Inventor
김현수
윤원준
이동주
허지행
최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6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1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comprising members of special, e.g. composite, cross-section or with lugs or the like or lateral apertures for supporting or attaching othe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작업을 위한 트러스 비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에 다층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 상기 트러스구조물을 해당 위치에 설치 또는 해체하도록, 상기 트러스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싱장치;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잭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 비계 시스템{Truss Scaffolding System}
본 발명은 트러스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무색 투명한 액체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다. 반면 액화석유가스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천연가스와 마찬가지로 무색무취이고 가정용, 업무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는데,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에 의해 1/600의 부피로 줄어들고,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에 의해 프로판은 1/260, 부탄은 1/230의 부피로 줄어들어 저장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운반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하고, 필요 시 저장된 LNG를 LNG 운반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해상에서 LNG 운반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는, LNG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일명,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상선이나 해양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NO 96형과 Mark Ⅲ형으로 나눠지며, 독립탱크형 저장탱크는 모양에 따라 구형(球形)인 MOSS형과 각형기둥형인 SPB형으로 나눠진다.
상선이나 해양구조물을 포함하는 선박에 일체를 이루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선박 내에 형성되며,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형성 작업을 작업자가 선박 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트러스 비계 시스템이 사용된다.
여기서,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LNG 운반선의 저장탱크와 같은 대형구조물이 완성되기 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접근 및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건축물과 같은 대형구조물의 작업을 위해 대형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작업용 비계장치와, 압력용기, 탱크나 돔 등의 대형구조물의 내부 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내부 작업용 비계장치로 구분되며, 이들은 작업 형태, 설치 구조 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대형구조물의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대형구조물의 곳곳에 설치되는 기둥과, 기둥에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과, 자재 탑재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한 승강장치로 구성된다. 트러스구조물은 다층으로 설치된다.
대형구조물이 LNG 운반선의 저장탱크인 경우, 트러스구조물은 선박의 외부에서 제조된 후 선박의 데크를 형성하기 전에 선박 내로 인입되어 설치되고, 저장탱크 형성 작업이 모두 수행되면 해체되어 저장탱크의 일부에 임시로 형성한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기존의 비계 시스템은 LNG 화물창 벽면에 단열재 시공을 위하여 화물창 네 벽면 가까이에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탱크 중앙부는 비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다층의 트러스 구조물에서의 인원/자재 이송을 위한 승강장치의 경우 트러스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둥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어느 한쪽에 치우쳐 설치될 수 밖에 없어, 엘리베이터로부터 특정 작업위치까지의 자재 이송 또는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길게 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적재 공간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자재 이송량이 제한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존의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대부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설치/해체에 따른 공수 및 공기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해체에 따른 공수 및 공기를 절감하고, 승강장치로부터 특정 작업위치까지의 동선을 축소하고, 자재 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작업을 위한 트러스 비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에 다층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 상기 트러스구조물을 해당 위치에 설치 또는 해체하도록, 상기 트러스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싱장치;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잭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자재 탑재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한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대형구조물의 여유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둥;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를 해당 위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픽싱장치; 및 상기 승강대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잭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둥 및 상기 제2기둥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레그를 복수 개로 연결시켜 설치되며, 상기 레그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산;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며, 타단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싱장치는, 상기 잭업장치의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상부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제1상부가이드부재;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하부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제1하부가이드부재; 상기 제1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하부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 지지하고,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잭업장치는,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상부가이드홀과,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상부가이드부재; 상기 픽싱장치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하부가이드홀과,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하부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교호적으로 승강 및 고정되도록,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는,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도록, 어느 하나가 상기 제2고정부재 또는 상기 제3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면 다른 하나가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홈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홈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은,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유압장치는, 상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형구조물은, 선박에 구비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트러스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싱장치 및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는 잭업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어, 설치/해체에 따른 공수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제2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승강대를 마련하고, 승강대를 픽싱장치와 잭업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시키도록 승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승강장치를 대형구조물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승강장치로부터 모든 작업위치까지의 동선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승강대의 크기를 임으로 조절 제작할 수 있어, 자재 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은, 일정 길이를 갖는 규격화된 레그를 이용하여 제1기둥 또는 제2기둥을 설치할 수 있어, 대형구조물의 다양한 사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하중을 고려할 경우 기존의 트러스 구조물의 다수의 레그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영역 확대로 인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의 기둥 및 승강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대형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이 대형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의 기둥 및 승강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대형구조물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이 대형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비계 시스템(1)은, 대형구조물(10)의 내부 벽면 작업을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기둥(100), 트러스구조물(200), 픽싱장치(300), 잭업장치(400), 유압장치(500), 승강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형구조물(10)은,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상선이나 해상의 일정 지점에 부유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구조물을 포함하는 선박 내에 설치되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육상에 설치되는 압력용기, 탱크나 돔 등일 수 있다.
기둥(100)은, 후술할 트러스구조물(200) 또는 후술할 승강장치(6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대형구조물(10)의 바닥으로부터 천장 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목적에 따라 제1기둥(100a), 제2기둥(1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기둥(100a)은, 대형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 내부 벽면 근처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기둥(100a)에는 후술할 픽싱장치(300) 및 후술할 잭업장치(400)에 의해 후술할 트러스구조물(200)이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기둥(100b)은, 대형구조물(10)의 여유 공간, 예를 들어, 대형구조물(10)의 중앙 공간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제2기둥(100b)에는 후술할 픽싱장치(300) 및 후술할 잭업장치(400)에 의해 후술할 승강장치(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제1기둥(100a) 및 제2기둥(100b)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레그(110)를 복수 개로 연결시켜 설치될 수 있다.
레그(11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산(111)과, 수나사산(111)과 대응되며, 타단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112)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홀(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절홀(113)은 후술할 잭업장치(400)의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제2하부가이드부재(420) 사이의 승강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트러스구조물(200)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 및 자재를 운반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기둥(100a)에 다층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트러스구조물(2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220)과, 메인프레임(2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편(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러스구조물(200)은, 대형구조물(10) 외부에서 제작되어 내부로 인입되며, 후술할 픽싱장치(300) 및 후술할 잭업장치(400)에 의해 저층에서부터 고층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대형구조물(10)의 내벽 작업이 완료되면 해체되어 대형구조물(10)의 하부 측벽에 마련되는 출구(2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대형구조물(10)이 선박에 구비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인 경우, 트러스구조물(200)은 8층 내지 10층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2층 또는 3층이 베이스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출구(20)는 베이스 층이 형성되는 측벽에 임시로 마련될 수 있다.
픽싱장치(300)는, 트러스구조물(200)을 해당 위치에 설치 또는 해체하도록, 트러스구조물(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픽싱장치(300)는, 후술할 승강장치(600)의 승강대(610)를 해당 위치로 승강시키도록, 승강대(6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픽싱장치(300)는 후술할 잭업장치(400)의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따라 승강할 수 있으며, 제1상부가이드부재(310), 제1하부가이드부재(320), 지지대(330), 결합돌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상부가이드부재(310)는, 후술할 잭업장치(400)의 제2하부가이드부재(4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상부가이드홀(3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하부가이드부재(320)는, 후술할 지지대(330)에 의해 제1상부가이드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하부가이드홀(321)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330)는, 제1상부가이드부재(310)와 제1하부가이드부재(320) 사이를 지지 고정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330) 각각에는, 제1고정부재(701)가 삽입되는 삽입홀(3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고정부재(701)는, 트러스구조물(200) 또는 후술할 승강장치(600)의 승강대(610)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삽입홀(331)로부터 분리되어 승강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고정부재(701)는, 트러스구조물(200) 또는 승강대(610)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삽입홀(331)을 통해 레그(110)의 조절홀(113)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트러스구조물(200) 또는 승강대(610)를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에 고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701)는, 한 쌍의 지지대(330)와 별개로 제작되거나 한 쌍의 지지대(3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돌기(340)는, 한 쌍의 지지대(330)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트러스구조물(200) 일부 또는 후술할 승강장치(600)의 승강대(610)의 일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340)는, 트러스구조물(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편(23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승강대(610)가 상기한 트러스구조물(200)로 구성될 경우 트러스구조물(200)의 결합편(23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잭업장치(400)는, 트러스구조물(200)이 결합된 상태의 픽싱장치(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잭업장치(400)가 트러스구조물(200)의 설치 작업에 적용되는 경우, 잭업장치(400)는 트러스구조물(200)이 설치 위치에서 픽싱장치(300)에 의해 고정되면 픽싱장치(300)로부터 분리시켜 다른 트러스구조물(200)의 설치 작업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잭업장치(400)는, 후술할 승강장치(600)의 승강대(610)가 결합된 상태의 픽싱장치(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잭업장치(400)가 승강장치(600)에 적용되는 경우, 잭업장치(400)는 트러스구조물(200)의 설치 작업 때와는 달리 승강장치(600)가 해체되기 전까지는 픽싱장치(300)와 함께 승강장치(600)의 하나의 구성 요소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잭업장치(400)는, 픽싱장치(300)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따라 승강할 수 있으며, 제2상부가이드부재(410), 제2하부가이드부재(420),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상부가이드부재(410)는,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상부가이드홀(411)과, 제2고정부재(702)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4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하부가이드부재(420)는, 픽싱장치(300)의 제1상부가이드부재(3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하부가이드홀(421)과, 제3고정부재(703)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422)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30)는,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제2하부가이드부재(420)가 교호적으로 승강 및 고정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제2하부가이드부재(420) 사이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구동부(430) 각각은, 제2하부가이드부재(420)의 하면에 연결되는 실린더(431)와,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의 상면에 연결되며, 실린더(431) 내부를 왕복하는 피스톤(432)을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유압장치(5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잭업장치(400)에서,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제2하부가이드부재(420)는, 트러스구조물(200) 또는 후술할 승강장치(600)의 승강대(610)를 승강시키도록, 어느 하나가 제2고정부재(702) 또는 제3고정부재(703)에 의해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에 고정되면 다른 하나가 구동부(430)의 작동에 의해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따라 승강 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702)는, 제2상부가이드부재(410)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제1삽입홈(41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상부가이드부재(410)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제1삽입홈(412)을 통해 레그(110)의 조절홀(113)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제2상부가이드부재(410)를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에 고정되게 한다.
또한, 제3고정부재(703)는, 제2하부가이드부재(420)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제2삽입홈(42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하부가이드부재(420)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제2삽입홈(422)을 통해 레그(110)의 조절홀(113)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제2하부가이드부재(420)를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702)는,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별개로 제작되거나 제2상부가이드부재(4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3고정부재(703) 역시 제2하부가이드부재(420)와 별개로 제작되거나 제2하부가이드부재(4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고정부재(702) 및 제3고정부재(703)는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자동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감지장치, 제어장치 등의 자동시스템을 구축함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유압장치(500)는, 한 쌍의 구동부(43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431)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510)와, 유압펌프(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600)는, 자재 탑재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600)는, 모든 작업위치까지의 자재 이송 및 작업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형구조물(10)의 여유 공간 예를 들어, 트러스구조물(200)이 내부 벽면을 따라 둥글게 배치되는 경우 대형구조물(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기둥(100b), 승강대(610), 픽싱장치(300), 잭업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기둥(100b)은, 대형구조물(10)의 여유 공간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승강대(6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기둥(100b)은, 전술할 바와 같이 레그(110)를 복수 개로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승강대(610)는, 복수 개의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픽싱장치(300) 및 잭업장치(400)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대(610)는, 상기한 트러스구조물(2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대(610)를 구성하는 구조물을 주변 환경에 따라 그 크기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고,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제2기둥(100b), 픽싱장치(300) 및 잭업장치(400)를 설치하면 되므로, 기존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적재 공간이 제한되지 않는다.
픽싱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610)를 해당 위치로 승강시키도록, 승강대(6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잭업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610)가 결합된 상태의 픽싱장치(300)를 승강시키도록, 픽싱장치(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트러스구조물(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싱장치(300) 및 픽싱장치(3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기둥(100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픽싱장치(300)를 승강시키는 잭업장치(400)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어, 설치/해체에 따른 공수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2기둥(10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승강대(610)를 마련하고, 승강대(610)를 픽싱장치(300)와 잭업장치(400)를 이용하여 승강시키도록 승강장치(600)를 구성함으로써, 승강장치(600)를 대형구조물(10)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승강장치(600)로부터 모든 작업위치까지의 동선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승강대(610)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제작할 수 있어, 자재 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정 길이를 갖는 규격화된 레그(110)를 이용하여 제1기둥(100a) 또는 제2기둥(100b)을 설치할 수 있어, 대형구조물(10)의 다양한 사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작업 하중을 고려할 경우 기존의 트러스 구조물의 다수의 레그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영역 확대로 인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러스 비계 시스템 10: 대형구조물
20: 출구
100: 기둥 100a: 제1기둥
100b: 제2기둥 110: 레그
111: 수나사산 112: 암나사산
113: 조절홀 200: 트러스구조물
210: 메인프레임 220: 보강프레임
230: 결합편 300: 픽싱장치
310: 제1상부가이드부재 311: 제1상부가이드홀
320: 제1하부가이드부재 321: 제1하부가이드홀
330: 지지대 331: 삽입홀
340: 결합돌기 400: 잭업장치
410: 제2상부가이드부재 411: 제2상부가이드홀
412: 제1삽입홈 420: 제2하부가이드부재
421: 제2하부가이드홀 422: 제2삽입홈
430: 구동부 431: 실린더
432: 피스톤 500: 유압장치
510: 유압펌프 520: 제어부
600: 승강장치 610: 승강대
701: 제1고정부재 702: 제2고정부재
703: 제3고정부재

Claims (10)

  1.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작업을 위한 트러스 비계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형구조물의 내부 벽면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에 다층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
    상기 트러스구조물을 해당 위치에 설치 또는 해체하도록, 상기 트러스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픽싱장치;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잭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자재 탑재 및 작업자 탑승을 위한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대형구조물의 여유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둥;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를 해당 위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픽싱장치; 및
    상기 승강대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픽싱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픽싱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잭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 및 상기 제2기둥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레그를 복수 개로 연결시켜 설치되며,
    상기 레그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산;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며, 타단부에 형성되는 암나사산;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장치는,
    상기 잭업장치의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상부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제1상부가이드부재;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하부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제1하부가이드부재;
    상기 제1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하부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 지지하고,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장치는,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상부가이드홀과,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상부가이드부재;
    상기 픽싱장치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하부가이드홀과,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마련되는 제2하부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교호적으로 승강 및 고정되도록,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는,
    상기 트러스구조물 또는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도록, 어느 하나가 상기 제2고정부재 또는 상기 제3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면 다른 하나가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을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삽입홈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승강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가 승강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삽입홈을 통해 상기 레그의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상기 제2기둥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은,
    상기 제2하부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제2상부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은,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유압장치는,
    상기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구조물은,
    선박에 구비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1020180028741A 2018-03-12 2018-03-12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10213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41A KR102132069B1 (ko) 2018-03-12 2018-03-12 트러스 비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41A KR102132069B1 (ko) 2018-03-12 2018-03-12 트러스 비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63A true KR20190107463A (ko) 2019-09-20
KR102132069B1 KR102132069B1 (ko) 2020-07-08

Family

ID=6806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41A KR102132069B1 (ko) 2018-03-12 2018-03-12 트러스 비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666A (zh) * 2020-07-11 2020-10-13 潘岳燕 一种钢结构厂房桁架组装加工系统
CN114482024A (zh) * 2022-03-20 2022-05-13 陈政杰 缺陷灌注桩中部的中空孔内钢筋笼绑扎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127A (ko) 2022-03-25 2023-10-0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잭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739A (ja) * 1996-10-17 1998-05-12 Penta Ocean Constr Co Ltd 構造物の昇降方法及び装置
JP2002331989A (ja) * 2001-05-11 2002-11-19 Chuo Build Industry Co Ltd Lng船防熱工事用足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739A (ja) * 1996-10-17 1998-05-12 Penta Ocean Constr Co Ltd 構造物の昇降方法及び装置
JP2002331989A (ja) * 2001-05-11 2002-11-19 Chuo Build Industry Co Ltd Lng船防熱工事用足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666A (zh) * 2020-07-11 2020-10-13 潘岳燕 一种钢结构厂房桁架组装加工系统
CN114482024A (zh) * 2022-03-20 2022-05-13 陈政杰 缺陷灌注桩中部的中空孔内钢筋笼绑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069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463A (ko)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101986382B1 (ko)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WO2013002125A1 (ja) 低温タンクの建設方法及び低温タンク
KR20140025700A (ko)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CN104452790A (zh) 一种带裙板的沉箱及其在气浮拖航时的调节方法
NO20111267A1 (no) Sklibjelkeinnretning for lasting og transport av store strukturer
US20190127188A1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167916B1 (ko) 복합형 엘엔지 독립 탱크
KR101122350B1 (ko) 쌍동선형 엘엔지 플로터
KR20180095015A (ko) 모듈러 멤브레인 lng 탱크
KR10263828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1135462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KR102452414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20100127460A (ko) 심층수 흡입용 라이저 조립체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상기 라이저 조립체의 설치 방법
KR10168304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육상 및 해상용 액체화물 운반장비
CN219728487U (zh) 一种大型成品油船甲板货油管路辅助安装设备
KR102404526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20210081535A (ko)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101516201B1 (ko)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200469781Y1 (ko) Lng 저장탱크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KR102421140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제조방법 및 선박
KR20190000689U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240082327A (ko) 해상 설비
KR10148894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그것의 건조 방법
KR20240081951A (ko)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박스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