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535A -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535A
KR20210081535A KR1020190173604A KR20190173604A KR20210081535A KR 20210081535 A KR20210081535 A KR 20210081535A KR 1020190173604 A KR1020190173604 A KR 1020190173604A KR 20190173604 A KR20190173604 A KR 20190173604A KR 20210081535 A KR20210081535 A KR 2021008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scaffold
dismantling
mast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동규
박동일
최재민
이정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535A/ko
Publication of KR2021008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의 해체를 위한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이송시키는 발판 이송부; 및 상기 발판 이송부를 상기 마스트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SCAFFOLD DISASSEMBLE APPARATUS FOR CARGO AND DIS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화물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창의 단열 작업 시 사용되는 발판의 해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이러한 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 예컨대 대략 -163℃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감소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LNG는 LNG 수송선에 실려서 바다를 통해 운반되어 육상 소요처에 하역되거나,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에 실려서 바다를 통해 운반되어 육상 소요처에 도달한 후 재기화되어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될 수 있는데, LNG 수송선과 LNG RV에는 LNG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화물창이 구비된다.
또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LNG 화물창이 구비된다.
여기서,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화물창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화물창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화물창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LNG 화물창은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단열재가 화물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된다.
단열재가 화물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독립탱크형 화물창은 MOSS형과 IHI-SPB형으로 나뉘며, 단열재가 화물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멤브레인형 화물창은 G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뉘어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3405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09. 10. 16.
일반적으로, 이중 멤브레인형 화물창은 선체의 내벽에 단열층이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창(10)은 선체의 벽체를 이루는 구성이 화물창(1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선체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 블록(11)이 화물창(10)의 바닥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선체의 측벽을 이루도록 바닥 블록(11)의 좌우 횡방향 양측단에 결합되는 사이드 쉘 블록(12)이 화물창의 측벽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사이드 쉘 블록(12)의 상단에는 화물창(10)의 내부 공간을 밀폐 차단할 수 있도록 트렁크 데크 블록(13)이 결합되어 화물창의 천장벽을 이룬다.
바닥 블록(11)의 전후 종방향 양측단에는 별도의 벌크 헤드 블록(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화물창(10)이 하나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화물창(10)의 내측 벽면에는 외부 단열을 위해 별도의 단열층(IL)이 형성되는데, 이는 단열 재질의 단열 박스와 인바(Invar)강이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단열층은 화물창(10)이 기본 구조를 이루도록 제작된 후, 선박의 안벽 건조 과정에서 단열층 시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단열층(IL)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LNG 화물창(10)의 내부에 단열층 시공을 위한 별도의 단열 작업용 발판(30)이 설치된다.
발판(30)은 다수개 층의 작업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작업대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확보된다. 작업자는 이러한 다수개 층의 작업대를 통해 단열층 시공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발판(30)은 작업자가 수작업(Manual handling)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피스 바이 피스(Piece by piece)로 볼트 또는 핀 연결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발판의 해체를 위해서는 발판의 구성 피스를 모두 해체하여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Cage 크기 3x1m)를 이용하여 최상층부터 한층 씩 발판을 해체하면서 내려온다.
발판이 모두 해체가 되었을 때 화물창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안벽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창 내부에서 상부부터 제거한다. 이 엘리베이터는 메인 데크(Main deck)에 행잉(hanging) 타입으로 설치 된다.
이 경우 화물창 내의 엘리베이터 케이스 크기 및 허용 중량의 제약사항이 있어 대형화 발판 이동이 불가하여, 발판 해체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물창의 단열 작업 시 사용되는 발판의 해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창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의 해체를 위한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로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이송시키는 발판 이송부; 및 상기 발판 이송부를 상기 마스트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판 이송부는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노레일 플랫폼;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은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은 4개가 마련되고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의 하부에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은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화물창의 상부 내벽에 맞닿게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단부는 횡단면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상기 화물창의 상부 내벽에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4개가 마련되어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가스돔의 해치부 또는 상기 화물창의 상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가스돔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를 수직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물창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의 해체를 위한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내부에 마스트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스트부에 상기 발판을 이송하기 위한 발판 이송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판 이송부에 상기 발판을 연결하여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상기 발판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판 이송부를 연결하는 단계에는 상기 마스트부 하부에 상기 발판 이송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설치한 후,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된 모노레일 플랫폼을 승강시켜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이송된 발판은 상기 화물창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물창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 이송부를 상기 마스트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 이송부를 분리하는 단계에는 상기 마스트부 하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서 해체한 후 상기 화물창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물창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 이송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트부를 상기 가스돔으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에 설치된 발판 이송부를 이용하여 모듈화된 발판의 이송이 가능하여 발판의 해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화물창의 외부에 마련되는 안벽 크레인이나 윈치 같은 이송 장치 없이도 화물창의 내부에서 발판 이송부를 이용하여 발판과 그 외 다른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안벽 크레인 대기 시간이 필요 없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해체 장치가 화물창 내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판 해체 장치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모노레일 플랫폼이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해체 장치를 이용한 발판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노레일 플랫폼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 해체 장치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해체 장치가 화물창 내부에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판 해체 장치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모노레일 플랫폼이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해체 장치를 이용한 발판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노레일 플랫폼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판 해체 장치를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화물창(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의 내측 벽면에 단열층 시공작업을 위한 다수개의 발판(3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발판(30)은 모듈형태로 대형화시켜 옥외에서 발판 설치 작업 시 또는 화물창(10) 내에서 발판(30) 해체작업 시 작업일정 및 시수 단축을 도모하도록 한다.
즉, 다수개의 발판(30) 각각은 복수의 수직, 수평, 그리고 대각 프레임(미부호)이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어 모듈형태를 가지며, 다수개의 발판(30)은 화물창(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층을 형성한다.
또한, 화물창(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F1) 및 화물창(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최상부에 위치하는 층(F2)에서는 다수개의 발판(30)이 해당층의 수평영역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발판(30)에 의해 9개의 층이 형성되고, 3층(F1) 및 9층(F2)에서는 해당층의 수평 영역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발판(30)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화물창(1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3층(F1)에서 해당층의 수평 영역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발판(30)이 설치됨으로써, 해당층은 화물 발판(30)의 설치 또는 해체 작업 시 구조물 이송을 위한 물류이송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10) 내의 발판 해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는 마스트부(110)와, 고정부(120)와, 발판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마스트부(110)는, 가스돔(20)의 영역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발판 이송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돔(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111)와,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111)를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포스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포스트(111)의 상단부는 가스돔(20)의 내부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 포스트(11)의 하단부는 화물창(10)의 상부 일측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포스트(111)의 상단부는, 도 3에 도시된, 가스돔(20)의 해치부(21)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때, 베이스 포스트(111)는 가스돔(20)의 개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트부(110)를 가스돔(20)의 영역에 설치 시, 마스트부(110)는 안벽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스돔(2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으며, 발판 해체 작업 완료 시, 다시 말해, 후술하는 발판 이송부(130)의 사용이 완료되면, 발판 이송부(130)를 분리하고, 안벽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스돔(2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120)는 후술하는 발판 이송부(130)를 마스트부(110)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마스트부(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화물창(10)의 내부에 연장 형성되어 발판 이송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해체 장치는, 발판 이송부(130)를 화물창(10)의 내부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로서, 승강수단은 와이어(wire) 또는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마스트부(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판 이송부(130)는 고정부(120)에 의해 마스트부(110)에 연결 지지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판(30)을 화물창(10)의 하부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 이송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노레일 플랫폼(131)과, 모노레일 플랫폼(13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133)과, 모노레일(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발판(30)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135)를 포함한다.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복수의 프레임을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으로 용접 또는 볼트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화물창(10)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30)에 기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0)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될 수 있다.
발판 해체 작업 시, 전술한 승강수단에 의해 모노레일 플랫폼(131)을 상승시키고 고정부(120)를 통해 모노레일 플랫폼(131)을 마스트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마스트부(110)에 마련된 전술한 승강 수단에 의해 발판(30)의 해체 작업 완료 후에 화물창(10)의 하부로 하강될 수 있다.
모노레일(13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되어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하부에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호이스트(135)는 모노레일(1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발판(3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모노레일(133) 각각에 마련된 호이스트(135)는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모노레일(133)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할 수 있으나, 발판(3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판(30)을 들어올리거나 발판(30)을 화물창(10)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작업 시에는 각 모노레일(133)에서 발판(30)의 승강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4개의 모노레일(133)이 개별적으로 운용되는 경우와 같이, 모노레일 플랫폼(131)에 비대칭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시소(Seesaw)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노레일 플랫폼(131)에 마련된 모노레일(133) 각각에 하중이 다르게 가해지면,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비대칭 하중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고정부(120)에 의해 마스트부(110)에 고정되는 구조이나, 고정부(120)는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시소 동작으로 인한 측방향 응력에는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플랫폼(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화물창(10)의 상부 내벽에 맞닿게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대(13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대(131a)는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상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31a) 중 적어도 일부는 모노레일 플랫폼(131)에 비대칭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화물창(10)의 상부 내벽을 가압하여 모노레일 플랫폼(131)이 비대칭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물창(10)의 상부 내벽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열층에 국부 응력이 작용되면 단열층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대(131a)의 상단부는 횡단면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어 화물창(10)의 상부 내벽에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131a)의 가압력으로 인한 화물창(10) 내벽의 단열층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대(131a)는 윈기둥이나 다각기둥 형태의 파이프(pipe)로 마련되거나, 모노레일 플랫폼(131)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31a)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31a)가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소정 면적을 갖는 별도의 플레이트(미부호)가 지지대(131a)의 상단부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총 4개가 마련될 수도 있고,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각 선단마다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31a)의 설치 위치 또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시소 동작으로 인한 응력의 발생 또는 모노레일 플랫폼(13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화물창(10)의 내부에서 최상부에 배치되는 발판(30)을 해체한 후 호이스트(135)를 해체된 발판(30)의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135)에 해체된 발판(30)을 고정시킨 후 화물창(10)의 하부로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발판(30)을 3층(F1)으로 하강시키고, 화물창(10)의 측벽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10a)를 통해 화물창(1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모노레일 플랫폼(131)에 4개의 모노레일(13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판(30)은 4개가 한 번에 화물창(10)의 하부, 즉, 3층(F1)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은, 화물창(10)의 가스돔 내부에 마스트부(110)를 설치하는 단계와, 발판(30)을 이송하기 위한 발판 이송부(130)를 마스트부(110)에 연결하는 단계와, 발판 이송부(130)에 발판(30)을 연결하여 화물창(10)의 하부로 발판을 이송하는 단계와, 화물창(10)의 하부로 이송된 발판을 화물창(10)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10a)를 통해 화물창(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이송부(130)를 연결하는 단계에는, 마스트부(110) 하부에 발판 이송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미부호)을 설치한 후, 화물창(10)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9층, F2)에 배치된 모노레일 플랫폼(131)을 승강시켜 마스트부(110)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은, 발판 해체 작업 완료 시, 다시 말해, 후술하는 발판 이송부(130)의 사용이 완료된 후, 발판 이송부(130)를 마스트부(11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판 이송부(130)를 분리하는 단계에는, 마스트부(110) 하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창(10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화물창(10)의 내부에서 해체한 후 화물창(10)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10a)를 통해 화물창(1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 이송부(130)가 분리된 마스트부(110)는 안벽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스돔(2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에 설치된 발판 이송부를 이용하여 모듈화된 발판의 이송이 가능하여 발판의 해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화물창의 외부에 마련되는 안벽 크레인이나 윈치 같은 이송 장치 없이도 화물창의 내부에서 발판 이송부를 이용하여 발판과 그 외 다른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안벽 크레인 대기 시간이 필요 없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마스트부
111 : 베이스 포스트
113 : 연결 포스트
120 : 고정부
130 : 발판 이송부
131 : 모노레일 플랫폼
131a : 지지대
133 : 모노레일
135 : 호이스트

Claims (15)

  1. 화물창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의 해체를 위한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로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내부에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이송시키는 발판 이송부; 및
    상기 발판 이송부를 상기 마스트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및 대각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모듈 형태인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송부는,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노레일 플랫폼;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은,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은 4개가 마련되고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의 하부에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은,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화물창의 상부 내벽에 맞닿게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단부는 횡단면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상기 화물창의 상부 내벽에 면접촉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4개가 마련되어 상기 모노레일 플랫폼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가스돔의 해치부 또는 상기 화물창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부는,
    상기 가스돔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포스트를 수직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10. 화물창 내부 단열층 시공작업 시 화물창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발판의 해체를 위한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내부에 마스트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스트부에 상기 발판을 이송하기 위한 발판 이송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판 이송부에 상기 발판을 연결하여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상기 발판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송부를 연결하는 단계에는,
    상기 마스트부 하부에 상기 발판 이송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설치한 후,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된 발판 중 최상부 발판에 배치된 모노레일 플랫폼을 승강시켜 상기 마스트부에 연결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이송된 발판은 상기 화물창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물창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송부를 상기 마스트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송부를 분리하는 단계에는,
    상기 마스트부 하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창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물창의 내부에서 해체한 후 상기 화물창의 일측에 마련된 사이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물창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이송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트부를 상기 가스돔으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방법.
KR1020190173604A 2019-12-24 2019-12-24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20210081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04A KR20210081535A (ko) 2019-12-24 2019-12-24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04A KR20210081535A (ko) 2019-12-24 2019-12-24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35A true KR20210081535A (ko) 2021-07-02

Family

ID=7689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04A KR20210081535A (ko) 2019-12-24 2019-12-24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5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05B1 (ko) 2007-11-15 2009-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05B1 (ko) 2007-11-15 2009-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369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시스템 발판 조립체
WO2013002125A1 (ja) 低温タンクの建設方法及び低温タンク
EP2247888B1 (en) A liquefied gas tank with a central hub in the bottom structure
KR20210081535A (ko)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102452419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132069B1 (ko)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200482095Y1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220170140A (ko) 발판 구조물용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JP7557060B2 (ja) Lng貨物倉の断熱作業用の足場構造物並びに足場構造物の設置方法及び解体方法
KR102452414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04525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04526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KR2022014020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WO2023067741A1 (ja) 洋上設備
KR20220059595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운용방법
KR20220059597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20220059594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운용방법
KR20220059596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운용방법
US20240227991A1 (en) Work platform for performing a cable operation on a vessel deck
KR102581639B1 (ko) 발판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지지방법
KR20230083564A (ko)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방법
KR20220135753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운용방법
KR20180003577U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