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201B1 -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201B1
KR101516201B1 KR1020130071395A KR20130071395A KR101516201B1 KR 101516201 B1 KR101516201 B1 KR 101516201B1 KR 1020130071395 A KR1020130071395 A KR 1020130071395A KR 20130071395 A KR20130071395 A KR 20130071395A KR 101516201 B1 KR101516201 B1 KR 10151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ank
main body
independent gas
cran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038A (ko
Inventor
공광홍
원광민
양해웅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2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는, 선박 화물창의 인접 위치에 마련되어 독립 가스탱크가 적재되는 브릿지 유닛,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독립 가스탱크를 선박 화물창으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INDEPENDENT GAS TANK MOUNTING APPARATUS FOR BUILDING SHIP AND INDEPENDENT GAS TANK MOUNTING METHOD FOR BUILDING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화물창에 독립 가스 탱크를 탑재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이하에서 'LNG'라 함)의 상태로 운반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LNG는 천연가스를 대략 -160℃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송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은 선박 형태의 해상 석유 시추 설비,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설비(FPSO), 원유 시추선, 가스 시추선, 부유식 액화가스저장선(LNG FSRU) 등으로 나뉠 수 있다.
LNG의 생산저장선박 또는 운반선은 부피가 큰 가스 형태의 천연가스보다는 온도를 강하시켜 액화된 천연가스를 저장하여 부피를 줄여서 많은 양을 저장하여 이동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따라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해서는, LNG를 액화된 천연가스로 만드는 과정에서 온도를 강하시키므로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 탱크(이하에서 '선박 화물창'이라 함)가 필요한 것이다.
선박 화물창은 LNG 수송선 내부에 설치되어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독립 탱크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독립 탱크형에는 MOSS 방식과 SPB(Self-supporting Prismatic Shape IMO Type B) 방식이 있다.
우선, MOSS 방식은 독립된 구(球)형태로 형성되는 저장 탱크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비교적 복잡한 구조물에 해당하는 원통 형태의 스커트(skirt)를 갖는다. 이런 MOSS 방식의 저장 탱크 및 그의 지지체는 구형 또는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SPB 방식은 내부가 비워져 있는 독립 가스 탱크를 구비한다. 따라서 독립 가스 탱크는 상대적으로 많은 내부 보강구조물을 구비하여 자체 중량이 큰 특징이 있다. 또한 독립 가스 탱크는 보통 스테인리스 스틸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내장된 LNG 가스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외주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크에 있는 골리앗 크레인은 탑재 중량이 보통 900톤 내외 정도임에 반해, 독립 가스 탱크의 중량이 보통 1600톤 내외 정도임을 감안하면, 도크에 있는 골리앗 크레인을 이용해서 완성된 독립 가스 탱크를 선박 화물창에 탑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 가스 탱크(30)를 상단(30a)과 하단(30b)으로 분리한 후에, 선박 화물창(20)에 독립 가스 탱크의 하단(30b)을 먼저 탑재한 후에 독립 가스 탱크의 상단(30a)을 탑재하였다. 그리고 독립 가스 탱크(30)의 상단(30a)과 하단(30b)을 용접 결합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선박 화물창 내에서 분리된 독립 가스 탱크의 상단과 하단을 용접 결합하는 것은,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용접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독립 가스 탱크에 대한 용접 작업이 완료된 뒤에도 보온작업이나 기밀성을 검증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8245호(2012.10.26.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 화물창 내에 독립 가스 탱크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장치 및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화물창의 인접 위치에 마련되어 독립 가스 탱크가 배치되는 브릿지 유닛; 및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독립 가스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으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유닛은,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lifting)하는 크레인 본체부; 및 상기 크레인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선박 화물창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이동모듈은, 상기 선박 화물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크레인 본체부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이동부는, 상기 크레인 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본체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독립 가스 탱크를 선박 화물창의 인접 위치에 마련된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선박 화물창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선박 화물창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크레인 본체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선박 화물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유닛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독립 가스 탱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된 독립 가스 탱크를 크레인 유닛을 이용하여 선박 화물창으로 이송함으로써, 선박 화물창 내에 독립 가스 탱크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독립 가스 탱크를 탑재하는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를 이용하여 독립 가스 탱크를 탑재하는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유닛이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가스 탱크가 브릿지 유닛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유닛이 화물창으로 이동되어 독립 가스 탱크를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를 이용하여 독립 가스 탱크를 탑재하는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크레인 유닛이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독립 가스 탱크가 브릿지 유닛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크레인 유닛이 선박 화물창으로 이동되어 독립 가스 탱크를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1)는, 선박 화물창(200)이 인접 위치에 마련되어 독립 가스 탱크(300)가 배치되는 브릿지 유닛(400)과,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으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1)를 이용할 경우,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일체화된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에 곧바로 탑재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독립 가스 탱크(300)란 가스를 수용하는 탱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탱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독립 가스 탱크(300)는 LNG와 같은 액체 화물의 슬로싱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독립 가스 탱크(300)의 측면 상부 및 하부에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진 상부 및 하부 챔퍼(chamfer)를 형성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선박 화물창(200)이란 선체(700)에 있어서 갑판 아래쪽, 선저와 사이에 있는 장소로, 그 전후를 가로 칸막이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하에서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1)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에, 그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레인 유닛(500)은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크레인 유닛(500)은 후술할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는 크레인 본체부(510)와, 크레인 본체부(510)에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를 선박 화물창(200)으로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모듈(530)을 포함한다.
크레인 본체부(510)는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lifting)하며, 크레인 본체부(510)는 지브(Jib)와 호이스트(hoist)를 포함한다.
지브는 크레인 유닛(500)에서 물건을 매달기 위한 암(arm)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한다. 또한 호이스트는 전동기, 감속 장치,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킨 소형의 감아 올리는 기계(권상기)를 의미한다.
본체부 이동모듈(530)은, 크레인 본체부(510)과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를 선박 화물창(20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 이동모듈(530)은, 선박 화물창(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선체(700)에 마련되어 크레인 본체부(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531)과, 크레인 본체부(510)와 크레인 본체부(510)를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53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부 이동부(533)는, 크레인 본체부(510)에 연결되되 제1 가이드 레일(531)를 따라 이동되는 회전 롤러(533a)와, 회전 롤러(533a)와 연결되어 회전 롤러(533a)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533b)를 포함한다.
회전 롤러(533a)는 크레인 본체부(510)에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회전 롤러(533a)는 제1 가이드 레일(531)를 따라 이동되도록 크레인 본체부(510)에 복수 개 연결된다. 구동 모터(533b)는 회전 롤러(533a)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회전 롤러(533a)에 연결되어 제1 가이드 레일(531)을 따라 크레인 본체부(510)가 전진과 후진하도록 가능하게 한다.
한편, 브릿지 유닛(400)은 선박 화물창(200)의 인접 위치에 마련되어, 독립 가스 탱크(300)를 임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릿지 유닛(400)은, 교각(430)과 교각(430)의 상부에 마련되되 본체부 이동모듈(530)의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410)을 포함한다.
교각(430)은 선박 화물창(200)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2 가이드 레일(4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교각(430)은 제2 가이드 레일(41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교각(430)이 선체(700)에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며, 복수의 교각(430) 사이로 독립 가스 탱크(300)가 이송되어 임시 보관된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410)은 교각(4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크레인 본체부(510)는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제2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크 게이트(미도시)와 선박 화물창(200)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모듈카(미도시)를 이용하여 독립 가스 탱크(300)를 도크 게이트(미도시)로부터 선박 화물창(200)의 인접 위치에 설치된 브릿지 유닛(400)으로 이송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1)를 이용한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300)를 탑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300)를 탑재하는 방법은,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의 인접 위치에 마련된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S100)와,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의 상부에서 이동시켜,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에 적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먼저, 독립 가스 탱크(300)를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S100)는, 모듈카(미도시)와 같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독립 가스 탱크(300)를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시킨다. 즉, 독립 가스 탱크(300)는 브릿지 유닛(400)의 복수의 교각(430) 사이로 이송되어 임시 보관된다.
그런 다음에,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에 적재한다(S200).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독립 가스 탱크(300)를 선박 화물창(200)에 적재하는 단계(S200)는,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는 단계(S220)와,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선박 화물창(200)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즉,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고,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선박 화물창(200)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브릿지 유닛(40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독립 가스 탱크(300)을 리프팅하는 단계(S220)는, 브릿지 유닛(400)에 마련되되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연결되어 크레인 본체부(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크레인 본체부(510)를 독립 가스 탱크(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크레인 본체부(510)를 독립 가스 탱크(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본체부 이동모듈(530)을 동작시켜 크레인 본체부(510)를 제1 가이드 레일(531) 및 제2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크레인 본체부(510)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구동 모터(533b)를 동작시켜 회전 롤러(533a)를 구동시키고, 회전 롤러(533a)가 제1 가이드 레일(531) 및 제2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된다.
즉, 크레인 본체부(510)를 독립 가스 탱크(300)가 보관된 브릿지 유닛(400)의 상부로 이동시켜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그리고, 크레인 본체부(510)로 독립 가스 탱크(300)을 리프팅한다.
그리고 크레인 유닛(500)을 선체(700)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선박 화물창(200)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00)는,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는 크레인 본체부(510)를 상대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533)를 이용하여, 크레인 본체부(510)를 제1 가이드 레일(531)을 따라 선박 화물창(200)의 적재 위치에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크레인 본체부(510)는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제1 가이드 레일(531)과 연결된 제2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순차로 이동되어 복수의 교각(430) 사이에 임시 보관된 독립 가스 탱크(300)를 리프팅하고, 제2 가이드 레일(410)과 제1 가이드 레일(531)을 따라 독립 가스 탱크(300)가 적재되는 선박 화물창(200)의 적재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크레인 본체부(510)에 리프팅된 독립 가스 탱크(300)를 하강시켜 선박 화물창(200)에 탑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0 : 선박 화물창 300 : 독립 가스 탱크
400 : 브릿지 유닛 410 : 제2 가이드 레일
430 : 교각 500 : 크레인 유닛
510 : 크레인 본체부 530 : 본체부 이동모듈
700 : 선체 1 :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Claims (9)

  1. 선박 화물창의 인접 위치에 마련되어 독립 가스 탱크가 배치되는 브릿지 유닛; 및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독립 가스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으로 이송하는 크레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유닛은,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lifting)하는 크레인 본체부; 및
    상기 크레인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선박 화물창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이동모듈은,
    상기 선박 화물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크레인 본체부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이동부는,
    상기 크레인 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본체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6. 독립 가스 탱크를 선박 화물창의 인접 위치에 마련된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상기 선박 화물창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선박 화물창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유닛을 상기 선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상기 선박 화물창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크레인 본체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본체부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선체에 마련되되 상기 선박 화물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유닛의 인접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독립 가스 탱크를 리프팅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유닛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크레인 본체부를 상기 독립 가스 탱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1020130071395A 2013-06-21 2013-06-21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10151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95A KR101516201B1 (ko) 2013-06-21 2013-06-21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95A KR101516201B1 (ko) 2013-06-21 2013-06-21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038A KR20140148038A (ko) 2014-12-31
KR101516201B1 true KR101516201B1 (ko) 2015-05-04

Family

ID=5267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395A KR101516201B1 (ko) 2013-06-21 2013-06-21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02B1 (ko) * 2021-04-22 2022-02-14 주식회사 리베코이앤씨 보조 부상장치가 구비된 수상 작업용 바지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296A1 (ja) * 2011-07-25 2013-01-31 Morimoto Nobuyoshi Lng船に搭載されるlng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296A1 (ja) * 2011-07-25 2013-01-31 Morimoto Nobuyoshi Lng船に搭載されるlng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038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7812B1 (en) Multi-function unit for the offshore transfer of hydrocarbons
CN104326065B (zh) 海上钻探船
KR20140025700A (ko)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KR101516201B1 (ko)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장치 및 선박용 독립 가스 탱크 탑재 방법
KR20160001236U (ko)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102424475B1 (ko) Lng 운반 선박 및 lng 운반 선박의 제작 방법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200482095Y1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101148063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KR20110074385A (ko)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
KR20180000319U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쇠 장치
KR20110129698A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135462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KR101623100B1 (ko) 로딩암이 구비된 lng 운반선
JP7280575B2 (ja) 水素供給システムおよび水素供給方法
CN220076629U (zh) 一种箱式二氧化碳储存运输和海底注入平台
KR101225162B1 (ko) 액체화물 하역장치
KR101245752B1 (ko) 중화물 운반선
JP2005014698A (ja) 原油及び清水輸送用タンカー
KR101422624B1 (ko) 잭을 포함하는 독립 탱크용 지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운반선
KR101523910B1 (ko) 액화천연가스용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이의 건조 방법
KR2015003242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리퀴드돔 구역의 밸브장치 핸들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핸들링 시스템
JP6246644B2 (ja) 貨物海上中継用浮体、貨物海上中継システム、貨物海上輸送システム、貨物海上中継方法、及び、貨物海上輸送方法
KR20210081535A (ko) 화물창 내의 발판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20150024508A (ko) 원유의 외내해 분리수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