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752B1 - 중화물 운반선 - Google Patents

중화물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752B1
KR101245752B1 KR1020110007004A KR20110007004A KR101245752B1 KR 101245752 B1 KR101245752 B1 KR 101245752B1 KR 1020110007004 A KR1020110007004 A KR 1020110007004A KR 20110007004 A KR20110007004 A KR 20110007004A KR 101245752 B1 KR101245752 B1 KR 10124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pper tank
lower tank
hinged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581A (ko
Inventor
장민욱
임재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63B35/4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with adjustable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중화물 운반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은, 중화물을 운반하는 중화물 운반선(heavy lift ship)으로서, 갑판의 중앙부에 상기 중화물을 안착하는 안착영역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안착영역과 이격되어 상기 갑판의 선미부에 설치되는 하부 탱크와, 상기 하부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탱크를 포함하는 부력 조절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탱크를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화물 운반선{HEAVY LIFT SHIP}
본 발명은 중화물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블록, 반건조선 및 시추선 등을 해상을 통해 운반하는 중화물 운반선은, 선수부를 제외한 갑판의 대부분이 중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박은, 입항지에서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때 선체 내에 물을 채워 갑판을 수면 아래로 잠수시키게 된다. 이때, 부력공간이 거의 없는 선미부는 상당한 부력을 손실하게 되며, 선박의 전체적인 복원력 및 안정성이 낮아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부에 추가적으로 부력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부력탱크는 상하로 수직한 구조물이어서,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때 장애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해상 도크에서 건조된 반건조선과 같이 폭이 상당한 중화물을 실을 경우, 부력탱크 상단부와의 간섭으로 인해 대형 중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할 때마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부력탱크를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동안 부력탱크를 다른 곳으로 옮김으로 인해 선박의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폭이 넓은 대형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경우에도 부력탱크의 이동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폭이 넓은 대형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경우에도 부력탱크의 이동 없이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중화물 운반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화물을 운반하는 중화물 운반선(heavy lift ship)으로서, 갑판의 중앙부에 상기 중화물을 안착하는 안착영역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안착영역과 이격되어 상기 갑판의 선미부에 설치되는 하부 탱크와, 상기 하부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탱크를 포함하는 부력 조절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탱크를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중화물 운반선이 제공된다.
상기 하부 탱크는,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면과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수용홈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상부 탱크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수용홈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탱크의 상기 저면과 이웃하는 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 각각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좌우측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탱크는, 상기 상부 탱크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상기 상부 탱크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흡배출관; 및 상기 흡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하부 탱크와 상기 상부 탱크 간에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이 이동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폭이 넓은 대형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경우에도 부력탱크의 이동 없이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력탱크를 이동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부력탱크 보관장소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대형 중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 시, 부력탱크로 인한 대형 중화물의 높이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부력 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부력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부력 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부력 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의 부력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부력 조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은 부력 조절부를 위에서 45도 각도로 바라본 모습이고, 도 4는 부력 조절부를 밑에서 45도 각도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100)는, 해상을 통해 중화물을 운반하는 중화물 운반선(heavy lift ship)으로서, 선체(10)와, 부력 조절부(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선수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중화물을 실을 수 있는 갑판(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갑판(12)의 중앙부에는 중화물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영역(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갑판(12)의 아래에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16)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중화물 운반선(100)에 실리는 중화물로는, 선박용 블록, 반건조선 및 시추선 등이 있을 수 있다. 시추선과 같이 해상에 떠있는 해상구조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밸러스트 탱크(16)에 해수를 채워 갑판(12)을 수면 아래로 잠수시킨 후, 중화물을 갑판(12)의 안착영역(14)에 선적한 다음, 밸러스트 탱크(16)에 채워진 해수를 배출하여 선체(10)를 상승시키게 된다.
특히, 밸러스트 탱크(16)에 해수를 채워 갑판(12)을 수면 아래로 잠수시킬 경우, 선체(10)가 균형을 잃을 수 있다. 이 경우, 중화물 운반선(100)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부력 조절부(20)가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부력 조절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0)가 잠수할 때 부력(buoyancy)의 발생을 통해 선체(10)의 균형을 맞추는 부분으로서, 안착영역(14)과 이격되어 갑판(12)의 선미부에 설치되는 하부 탱크(22)와, 하부 탱크(22)의 상측에 배치되며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하부 탱크(2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탱크(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탱크(22) 및 상부 탱크(24) 각각은,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선체(10)가 잠수하거나 수면 위로 상승할 때 필요에 따라 물을 채우거나 빼서 선체(10)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탱크(24)는, 상부 탱크(24)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상부 탱크(24)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흡배출관(24a); 및 흡배출관(24a) 상에 설치되는 펌프(2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배출관(24a)은, 상부 탱크(24)의 내외부가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부 탱크(24)의 내외측면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흡배출관(24a) 상에는 펌프(24b)가 설치될 수 있다. 펌프(24b)는, 상부 탱크(24) 내로 물을 채우거나 상부 탱크(24) 외부로 물을 뺄 수 있도록 물을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탱크(22)도, 상부 탱크(24)와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하부 탱크(22)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뺄 수 있도록 흡배출관(미도시)과 펌프(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부 탱크(22)는 선체(10)로부터 직접 인입되는 파이프(미도시)와 연통됨으로써 하부 탱크(22)에 물을 채우거나 뺄 수도 있다.
상술한 예 외에도 다른 예로서, 부력 조절부(20)는, 하부 탱크(22)와 상부 탱크(24) 간에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연결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미도시)은, 양단부가 하부 탱크(22) 및 상부 탱크(24) 각각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름관일 수 있다.
한편, 부력 조절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영역(14)을 피하여 선체(10)의 좌우측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체(10)의 좌우측부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선체(10)의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조절부(20)의 하부 탱크(22) 및 상부 탱크(24)를 힌지 회동시키기 위해서, 구동부(30)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부 탱크(24)를 하부 탱크(22)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32)와 제2 유압실린더(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탱크(22)에는, 하부 탱크(22)의 상면에 제1 유압실린더(32)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수용홈(36)이 형성되며,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기 상면과 이웃하는 하부 탱크(22)의 면에 제2 유압실린더(34)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압실린더(32)는, 유압(hydraulic fluid pressure)을 가진 유체를 이용하여 큰 출력이나 추력의 직선운동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일단부가 제1 수용홈(36)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부 탱크(24)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압실린더(32)의 몸체부가 제1 수용홈(36) 내측에 힌지결합되고, 제1 유압실린더(32)의 로드(rod)는 상부 탱크(24)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탱크(24)의 저면에는, 제1 유압실린더(32)의 로드가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는 제1 로드 결합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압실린더(32)에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 신축하는 로드는, 상부 탱크(24)를 하부 탱크(22)로부터 밀어 올릴 수 있으며,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부 탱크(24)를 하부 탱크(22)에 대해 힌지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34)도, 제1 유압실린더(32)와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제2 수용홈(38)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부 탱크(24)의 저면과 이웃하는 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부 탱크(24)의 저면과 이웃하는 상부 탱크(24)의 면에는, 제2 유압실린더(34)의 로드가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는 제2 로드 결합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제1 유압실린더(32) 및 제2 유압실린더(34) 각각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압축기(미도시)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압축기는 유체를 가압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가압한 유체를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공급하는 유압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압실린더(32) 및 제2 유압실린더(34) 각각이, 힌지축(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100)의 부력 조절부(2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부력 조절부(20)의 상부 탱크(24)의 저면이 하부 탱크(22)의 상면에 대해 서로 수직이 될 때까지 힌지 회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하부 탱크(22)의 상면과 상부 탱크(24)의 저면이 서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때까지 힌지 회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탱크(24)의 저면과 하부 탱크(22)의 상면이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제1 수용홈(36)에 수용되어 있던 제1 유압실린더(32)의 로드를 신장시킴으로써 상부 탱크(24)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탱크(24)는, 상부 탱크(24)의 저면이 하부 탱크(22)의 상면에 대해 서로 수직이 될 때까지 힌지 회동하게 된다.
상부 탱크(24)의 저면이 하부 탱크(22)의 상면에 대해 수직이 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홈(38)에 수용되어 있던 제2 유압실린더(34)의 로드가 제2 로드 결합부(42)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1 유압실린더(32)는 제1 로드 결합부(40)에서 분리되어 제1 수용홈(36)에 수용되게 된다.
제1 유압실린더(32)가 제1 수용홈(36)에 수용되는 동안, 제2 유압실린더(34)의 로드를 신축시킴으로써 하부 탱크(22)의 상면과 상부 탱크(24)의 저면이 서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부 탱크(24)를 아래로 힌지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화물 운반선(100)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 탱크를 하부 탱크에 대해 힌지 회동시켜 부력 조절부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폭이 넓은 대형 중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할 경우에도 부력 조절부의 이동 없이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력 조절부를 이동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부력 조절부 보관장소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대형 중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 시, 부력 조절부로 인한 대형 중화물의 높이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중화물 운반선 10 : 선체
12 : 갑판 14 : 안착영역
16 : 밸러스트 탱크 20 : 부력 조절부
22 : 하부 탱크 24 : 상부 탱크
24a : 흡배출관 24b : 펌프
26 : 힌지축
30 : 구동부 32 : 제1 유압실린더
34 : 제2 유압실린더 36 : 제1 수용홈
38 : 제2 수용홈 40 : 제1 로드 결합부
42 : 제2 로드 결합부

Claims (6)

  1. 중화물을 운반하는 중화물 운반선(heavy lift ship)으로서,
    갑판의 중앙부에 상기 중화물을 안착하는 안착영역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안착영역과 이격되어 상기 갑판의 선미부에 설치되는 하부 탱크와, 상기 하부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탱크를 포함하는 부력 조절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탱크를 상기 하부 탱크에 대해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탱크는,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면과 이웃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수용홈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상부 탱크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수용홈 내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탱크의 상기 저면과 이웃하는 면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물 운반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 각각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물 운반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좌우측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물 운반선.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탱크는,
    상기 상부 탱크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상기 상부 탱크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흡배출관; 및
    상기 흡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물 운반선.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하부 탱크와 상기 상부 탱크 간에 서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이 이동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물 운반선.
KR1020110007004A 2011-01-24 2011-01-24 중화물 운반선 KR10124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4A KR101245752B1 (ko) 2011-01-24 2011-01-24 중화물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4A KR101245752B1 (ko) 2011-01-24 2011-01-24 중화물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81A KR20120085581A (ko) 2012-08-01
KR101245752B1 true KR101245752B1 (ko) 2013-03-25

Family

ID=4687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04A KR101245752B1 (ko) 2011-01-24 2011-01-24 중화물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586B (zh) * 2021-01-26 2021-08-20 义乌市铂川建筑工程有限公司 基于提升船运面积以及总载重的多级式承载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289A (ja) * 1982-03-26 198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半没水式バ−ジ
JPS5927992U (ja) 1982-08-13 1984-02-21 日本鋼管株式会社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JPS61138794U (ko) 1985-02-19 1986-08-28
JPS62102798U (ko) 1985-12-20 1987-06-30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289A (ja) * 1982-03-26 198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半没水式バ−ジ
JPS5927992U (ja) 1982-08-13 1984-02-21 日本鋼管株式会社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JPS61138794U (ko) 1985-02-19 1986-08-28
JPS62102798U (ko) 1985-12-20 1987-06-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81A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16B1 (ko) 해상 시추 선박
CA2401409A1 (en) Submersible heavy lift catamaran
BRPI1101728B1 (pt) casco de spar que tem um poço central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KR101245752B1 (ko) 중화물 운반선
US9499239B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101390381B1 (ko)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방법
KR20130141163A (ko) 운반작업선
US65611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tion compensated moon pool submerged platform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B2310634A (en) Semi-Submersible Vessels
KR20160017765A (ko)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200492481Y1 (ko)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US7707954B2 (en) Floating dry dock system
KR102312883B1 (ko)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713855B1 (ko)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CN108059009B (zh) 用于船舶货物转运的转驳平台及其建造方法
KR100985442B1 (ko) 레일이 구비된 부양식 독
KR101334324B1 (ko) 선박
JPH0322357B2 (ko)
SG188786A1 (en) Offshore drill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