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883B1 -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 Google Patents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83B1
KR102312883B1 KR1020210044452A KR20210044452A KR102312883B1 KR 102312883 B1 KR102312883 B1 KR 102312883B1 KR 1020210044452 A KR1020210044452 A KR 1020210044452A KR 20210044452 A KR20210044452 A KR 20210044452A KR 102312883 B1 KR102312883 B1 KR 10231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ified body
floating dock
remodeled
hu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철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63B83/2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or conversion to a different use, e.g. for converting tankers into a FPSO-FL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63B2019/086Stern ports, e.g. for ferries or Ro-Ro-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 선박이 개조되어 형성되고, 선체 블록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개조 본체; 개조 본체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개조 본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개조 본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선체 블록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유닛; 및 개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개조 본체의 흘수선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유닛을 포함하고, 개조 본체의 수용 공간은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됨으로써 확보되고, 지지 유닛은,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부; 일단이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부재; 일단이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 및 피스톤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체 블록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REMODELED FROM DECREPIT VESSEL}
본 발명은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다. 이러한 선박 건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블록 공법이 등장하였다.
블록 공법이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블록들을 지상에서 먼저 조립시킨 후, 조립된 블록을 다시 순차적으로 도크 또는 바지선에 탑재한 후 하나의 선박을 건조하는 공법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블록들을 그 형상에 따라 각각의 공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으로 완성시키고, 그 다음에 완성된 블록들에 대한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장이 완료된 블록들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블록들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피이(Pre-Erection, 이하, 'PE'라고 함.) 작업이라 한다.
대부분의 조선소에서는 선박에 필요한 많은 블록들을 먼저 PE 작업을 통해서 대형 블록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대형 블록을 도크 내부로 운반하여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크 회전율을 높이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도크란 선박을 수리 및 건조하기 위해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이며, 크게 드라이 도크와 플로팅 도크로 구별된다.
먼저, 드라이 도크란 선박 건조를 위한 육상 구조물로서, 해상에 접안되어 있는 도크 게이트를 개폐시켜, 도크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도크 내부로부터 물을 빼낼 수 있는 작업장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플로팅 도크란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로서,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면 플로팅 도크는 해수 중으로 잠수하고, 밸러스트 탱크에서 해수를 배출하면 플로팅 도크는 부유되는 형태를 갖는다.
종래의 플로팅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 방법은, 육상에서 크레인의 최대 용량에 근접하도록 대형 블록들을 제작한 다음, 제작된 대형 블록들을 플로팅 도크에 탑재한다. 도크에 탑재된 대형 블록들이 서로 용접되어 선박이 완성되면, 플로팅 도크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공급하여 플로팅 도크를 해수면 아래로 잠수시킨 후, 완성된 선박을 진수한다.
이와 같이, 플로팅 도크는 드라이 도크와는 다르게 선박 건조를 위한 부지나 기초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선박 건조 기간이 비교적 짧아 선박 건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조된 선박의 진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플로팅 도크를 신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있는 플로팅 도크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후 선박이 개조되어 형성되고, 선체 블록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개조 본체; 상기 개조 본체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개조 본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선체 블록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유닛; 및 상기 개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조 본체의 흘수선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됨으로써 확보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부재; 일단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선체 블록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선체 블록이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유닛; 상기 개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체 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 및 상기 개조 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유닛, 상기 지지 유닛, 상기 밸러스트 유닛, 상기 개폐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연결축 부재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실린더 부재를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 및 상기 링크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 및 상기 링크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해저면에 구비되는 앵커 부재; 및 상기 앵커 부재 및 상기 개조 본체의 외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라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노후 선박의 선미부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부재; 및 상기 개조 본체와 상기 도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접촉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선체 블록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한 상기 선체 블록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노후 선박을 개조하여 플로팅 도크가 제작되므로, 플로팅 도크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비용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철거하여 선체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플로팅 도크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시설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플로팅 도크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나머지는 철거하지 않고, 플로팅 도크에 요구되는 시설물로 그대로 활용함에 따라, 플로팅 도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지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에 선체 블록이 수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에 선체 블록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의 지지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의 지지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1)는 개조 본체(10), 고정 유닛(20), 지지 유닛(30), 밸러스트 유닛(40), 개폐 유닛(50), 이동 유닛(60) 및 제어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조 본체(10)는 개조 대상이 되는 노후 선박이 개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선체 블록(2)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노후 선박은 노후화된 중고 선박 또는 폐선박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데크, 화물창 등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된 선체를 구비하는 탱커선, 선적 화물선, 컨테이너선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조 본체(10)를 개조하기 위한 개조 대상이 수명이 다한 노후 선박인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명이 다하지 않아서 운항은 가능하나 경영난 등의 사정으로 인해 폐기된 선박 등이 개조 본체(10)로 개조될 수도 있다.
노후 선박의 선체를 개조하여 개조 본체(10)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노후 선박의 선체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데크, 화물창 등이 철거됨으로써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가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노후 선박의 선미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트랜섬(transom)이 철거됨으로써, 개조 본체(10)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는 개조 본체(10)에서 건조된 건조 선박(미도시)이 진수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부에는 후술할 개폐 유닛(50)의 도어 부재(5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한편, 노후 선박의 선체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데크, 화물창 등이 철거됨으로써 확보되는 수용 공간(11)은 선체 블록(2)이 탑재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후 선박의 선체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철거하는 것만으로, 노후 선박의 선체가 그대로 플로팅 도크(1)에서 선체 블록(2)이 탑재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개조 본체(10)는 물 속으로 가라앉거나, 물 위로 떠오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조 본체(10)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밸러스트 유닛(40)의 밸러스트 탱크(41)에 평형수가 공급되면, 개조 본체(10)는 물 속으로 가라앉고, 밸러스트 탱크(41)의 평형수가 밸러스트 탱크(41)로부터 배출되면, 개조 본체(10)는 물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고정 유닛(20)은 개조 본체(10)를 해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유닛(20)은 해저면에 구비되는 앵커 부재(21) 및 앵커 부재(21)와 개조 본체(10)의 외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라인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앵커 부재(21)가 해저면에 박혀 고정되고, 이러한 앵커 부재(21)와 개조 본체(10) 사이에 연결된 고정 라인 부재(22)를 통해 개조 본체(10)가 해수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유닛(30)은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선체 블록(2)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유닛(30)은 개조 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부(31), 일단이 연결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부재(32), 일단이 실린더 부재(32)의 타단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33), 피스톤 부재(3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체 블록(2)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34) 및 실린더 부재(32)를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1)는 개조 본체(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311) 및 연결 브라켓(31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부재(32)는 내부에 피스톤 부재(33)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 부재(32)는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선체 블록(2)이 수용되기 이전에는 개조 본체(10)의 내측벽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선체 블록(2)이 수용되면, 회전 구동부(35)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부재(32)가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실린더 부재(32)는 개조 본체(10)의 내측벽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 부재(32)는 연결축 부재(31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링크부(321) 및 링크부(3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부(321) 및 연장부(3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 부재(31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링크부(321)의 형상에 의해 실린더 부재(32)가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피스톤 부재(33)는 길이 방향에 따른 일단이 실린더 부재(32)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어 실린더 부재(32)에 인입되거나, 실린더 부재(32)로부터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부재(33)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져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 부재(33)는 전기를 이용한 방식, 공압을 이용한 방식 및 유압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동되어 실린더 부재(32)의 타단에 인입되거나 실린더 부재(32)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접촉 부재(34)는 선체 블록(2)의 외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선체 블록(2)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부재(34)에 의해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수용된 선체 블록(2)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촉 부재(34)는 선체 블록(2)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피스톤 부재(3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부재(34)의 단부는 힌지 브라켓(341)에 관통 결합된 힌지축 부재(34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재(34)는 충격의 흡수 및 완화가 가능한 완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구동부(35)는 개조 본체(10)의 내측면 및 링크부(32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기어(351) 및 개조 본체(10)의 내측면 및 링크부(321)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 기어(351)와 치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기어(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351)는 링크부(32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랙 기어일 수 있다.
제2 기어(352)는 개조 본체(1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기어(351)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실린더 부재(32)를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352)는 구동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제2 기어(352)가 구동되면, 제2 기어(352)가 제1 기어(351)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기어(352)에 의해 실린더 부재(32)가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밸러스트 유닛(40)은 개조 본체(10)의 흘수선을 조절할 수 한다. 이를 위해, 밸러스트 유닛(40)은 개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41) 및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41)와 연결되는 펌프(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후 선박의 선체에 기 설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및 펌프가 플로팅 도크(1)에 요구되는 밸러스트 탱크(41) 및 펌프(42)로서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밸러스트 탱크(41)는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일 수 있으며, 펌프(42)는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펌프일 수 있다.
펌프(42)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41)로 평형수를 공급하거나,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41)에 공급된 평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42)를 구동시켜 밸러스트 탱크(41)에 평형수가 채워지면, 개조 본체(10)가 물 속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개조 본체(10)에 마련된 수용 공간(11)로 선체 블록(2)이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선체 블록(2)이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으로 진입되면, 펌프(42)를 다시 구동시켜서 밸러스트 탱크(41)의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선체 블록(2)이 탑재된 개조 본체(10)가 물 위로 떠오를 수 있다.
개폐 유닛(50)은 선체 블록(2)이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 유닛(50)은 개조 본체(10)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개조 본체(10)의 일단은 개조되기 이전의 노후 선박의 선미부에 해당한다.
이러한 개폐 유닛(50)은 노후 선박의 선미부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된 위치, 예컨대, 개조 본체(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부재(51) 및 개조 본체(10)와 도어 부재(5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유닛(60)은 선체 블록(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60)은 지상에서 제작된 선체 블록(2)을 개조 본체(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유닛(60)은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유닛(60)은 개조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60)은 크레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유닛(70)은 고정 유닛(20), 지지 유닛(30), 밸러스트 유닛(40), 개폐 유닛(50) 및 이동 유닛(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70)은 개조 본체(1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개조 본체(10)의 타단은 개조되기 이전의 노후 선박의 선수부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어 유닛(70)은 일 예로 컨트롤 룸(Control room) 전체이거나, 컨트롤 룸 내부에 설치된 수치연산 및 분석 제어가 가능한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등의 전자식 연산기기, 또는 이러한 연산기기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 외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통신장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1)는 노후 선박을 개조하여 제작되므로, 플로팅 도크(1)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비용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철거하여 선체 블록(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플로팅 도크(1)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시설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플로팅 도크(1)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나머지는 철거하지 않고, 플로팅 도크(1)에 요구되는 시설물로 그대로 활용함에 따라, 플로팅 도크(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지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1')을 설명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1')는 개조 본체(10), 고정 유닛(20), 지지 유닛(30'), 밸러스트 유닛(40), 개폐 유닛(50), 이동 유닛(60) 및 제어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개조 본체(10), 고정 유닛(20), 밸러스트 유닛(40), 개폐 유닛(50), 이동 유닛(60) 및 제어 유닛(7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지지 유닛(3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호는 원용하기로 한다.
지지 유닛(30')은 연결부(31), 실린더 부재(32), 피스톤 부재(33), 접촉 부재(34), 회전 구동부(35) 및 감지 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연결부(31), 실린더 부재(32), 피스톤 부재(33), 접촉 부재(34) 및 회전 구동부(35)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감지 부재(36)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감지 부재(36)는 개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대한 선체 블록(2)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부재(36)는 접촉 부재(34)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부재(35)는 접촉 부재(34)와 선체 블록(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감지 부재(36)에서 측정된 값은 제어 유닛(7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70)은 감지 부재(36)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회전 구동부(35)를 구동시킴으로써, 실린더 부재(32)가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32)의 회전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 유닛(70)은 감지 부재(36)의 측정값을 기초로 하여 실린더 부재(32)에 대한 피스톤 부재(33)의 입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70)은 접촉 부재(34)가 선체 블록(2)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피스톤 부재(33)가 실린더 부재(32)로부터 인출되거나, 피스톤 부재(33)가 실린더 부재(32)로 인입되도록 피스톤 부재(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2: 선체 블록
10: 개조 본체 11: 수용 공간
12: 반목 20: 고정 유닛
21: 앵커 부재 22: 고정 라인 부재
30, 30': 지지 유닛 31: 연결부
32: 실린더 부재 33: 피스톤 부재
34: 접촉 부재 35: 회전 구동부
36: 감지 부재 40: 밸러스트 유닛
41: 밸러스트 탱크 42: 펌프
50: 개폐 유닛 51: 도어 부재
52: 연결 부재 60: 이동 유닛
70: 제어 유닛 311: 연결 브라켓
312: 연결축 부재 321: 링크부
322: 연장부 341: 힌지 브라켓
342: 힌지축 부재 351: 제1 기어
352: 제2 기어

Claims (7)

  1. 노후 선박이 개조되어 형성되고, 선체 블록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개조 본체;
    상기 개조 본체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개조 본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선체 블록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유닛; 및
    상기 개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조 본체의 흘수선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노후 선박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됨으로써 확보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부재;
    일단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선체 블록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선체 블록이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유닛;
    상기 개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체 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 및
    상기 개조 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유닛, 상기 지지 유닛, 상기 밸러스트 유닛, 상기 개폐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연결축 부재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실린더 부재를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 및 상기 링크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개조 본체의 내측면 및 상기 링크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해저면에 구비되는 앵커 부재; 및
    상기 앵커 부재 및 상기 개조 본체의 외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 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노후 선박의 선미부에 기 설치된 시설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철거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부재; 및
    상기 개조 본체와 상기 도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접촉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선체 블록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개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한 상기 선체 블록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1020210044452A 2021-04-06 2021-04-06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10231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52A KR102312883B1 (ko) 2021-04-06 2021-04-06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52A KR102312883B1 (ko) 2021-04-06 2021-04-06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883B1 true KR102312883B1 (ko) 2021-10-13

Family

ID=7815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452A KR102312883B1 (ko) 2021-04-06 2021-04-06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408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20160148762A (ko) * 2015-06-16 2016-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5624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흘수 조절이 가능한 무밸러스트 선박
KR20170054815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잭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체블록의 조립 배치방법
KR102173166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408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블록 탑재 방법
KR20160148762A (ko) * 2015-06-16 2016-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5624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흘수 조절이 가능한 무밸러스트 선박
KR20170054815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잭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체블록의 조립 배치방법
KR102173166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41273B2 (en) Service Space
JP2008501568A (ja) チューブを用いた自動バラストシステムを備える船舶
EP2786931A1 (en) Thruster system and ship including same
KR20010108293A (ko) 고 수축 가능형 해양 스러스터
US4084529A (en) Floating dry dock with lifting pontoons
CN205801474U (zh) 一种用于船舶的声呐的升降装置
WO2017058098A1 (en) A mobile d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2312883B1 (ko)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101302037B1 (ko) 부유식 도크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US4409917A (en) Rotating pontoon
DK178601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table working platform and a vessel thereof
RU2326786C1 (ru) Судно-док
KR20130141163A (ko) 운반작업선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5401B1 (ko)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245752B1 (ko) 중화물 운반선
KR20150083517A (ko) 해상 lng 벙커링 터미널
US4341174A (en) Bow dock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2195892B1 (ko) 모듈형 사이드 스러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4098541A1 (en) Semi-submersible-type immersed tube transportation and mounting integrated ship and construction process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