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101A -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101A
KR20150047101A KR1020140141519A KR20140141519A KR20150047101A KR 20150047101 A KR20150047101 A KR 20150047101A KR 1020140141519 A KR1020140141519 A KR 1020140141519A KR 20140141519 A KR20140141519 A KR 20140141519A KR 20150047101 A KR20150047101 A KR 2015004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sin
weight
alkyl group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키 다이마츠
가츠히코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3C3-(meth)acrylate, e.g. (iso)prop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크릴산메틸 50 ∼ 95 중량%, 하기 식 (Ⅰ)
Figure pat00004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 나프틸기,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또는 디시클로펜테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5 ∼ 50 중량% 및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0.1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온도 300 ℃, 하중 1.2 ㎏ 에서 측정되는 멜트 볼륨 플로우 레이트가 50 ∼ 240 ㎤/10 min 이고,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아크릴계 수지의 양이 50 ∼ 9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 ∼ 50 중량부인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A RESIN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A MOLDED ARTICLE AND A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하지만, 내열성이 그다지 충분하지는 않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아크릴계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혼합하여 내열성을 개선시키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메타크릴산메틸 단위의 적어도 50 % 가 신디오택틱 배치에 있는, 신디오택틱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혼합물은 투명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3 ∼ 40 중량% 와 폴리카보네이트 60 ∼ 97 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을, 미량형 고전단 성형 가공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 혼합물도 투명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84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96196호
상기 서술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혼합물은 투명성이 양호하지는 않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혼합물을, 우수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는 도광판 등의 광학 부재의 원재료로서 사용하는 데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크릴산메틸 50 ∼ 95 중량%, 하기 식 (Ⅰ)
Figure pat00001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 나프틸기,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또는 디시클로펜테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5 ∼ 50 중량% 및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0.1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온도 300 ℃, 하중 1.2 ㎏ 에서 측정되는 멜트 볼륨 플로우 레이트가 50 ∼ 240 ㎤/10 min 이고,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아크릴계 수지의 양이 50 ∼ 9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 ∼ 50 중량부인 수지 조성물.
(2)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나프틸,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및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상기 (1)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상기 단관능 단량체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sec-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 ∼ 300000 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혼합물을, 180 ∼ 320 ℃ 의 온도에서, 10 ∼ 300 sec-1 의 전단 속도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7)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도광판.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구비한 성형체가 얻어진다. 우수한 투명성을 구비한 성형체는 광학 부재, 특히 도광판의 원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산메틸 50 ∼ 95 중량%, 하기 식 (Ⅰ)
Figure pat00002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 나프틸기,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또는 디시클로펜테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5 ∼ 50 중량% 및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0.1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소정량의 아크릴계 수지와, 멜트 볼륨 플로우 레이트 (MVR) 가 소정의 범위인 소정량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한다.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50 ∼ 95 중량%,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이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5 ∼ 50 중량% 및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이하, 단관능 단량체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0.1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의 식 (Ⅰ) 에 있어서의 R2 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 나프틸기,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또는 디시클로펜테닐기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디시클로펜테닐기가 바람직하다.
R2 에 있어서의 시클로알킬기로는, 탄소수가 5 ∼ 12 인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로는,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나프틸,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및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메트)아크릴」은 「아크릴」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R2 로 나타내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의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치환기인 「시클로알킬기」로는, 탄소수 5 ∼ 12 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시클로알킬기」의 수 및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 (H) 가 상기 탄소수 5 ∼ 12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로 나타내는 「시클로알킬기」로는, 탄소수 5 ∼ 12 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수산기, 아미노기, 술폰기 등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의 「시클로알킬기」로는, 탄소수 5 ∼ 12 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치환기인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알킬기」의 수 및 시클로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 (H) 가 상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로 나타내는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의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페닐기」의 수 및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 (H) 가 페닐기로 치환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질기, 페네틸기 등).
R2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수산기, 아미노기, 술폰기 등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의 페닐기의 치환기인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알킬기」의 수 및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로는, 예를 들어, o-톨릴기, m-톨릴기, p-p-톨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로 나타내는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의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나프틸기」의 수 및 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 (H) 가 나프틸기로 치환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1-나프틸에틸기, 2-나프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로 나타내는 「나프틸기」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수산기, 아미노기, 술폰기 등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의 나프틸기의 치환기인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인 「알킬기」의 수 및 나프틸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나프틸기, 에틸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2 로 나타내는 「디시클로펜타닐기」 및 「디시클로펜테닐기」는 각각 알킬기, 수산기, 아미노기, 술폰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치환기인 「알킬기」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의 수 및 「디시클로펜타닐기」 및 「디시클로펜테닐기」에 있어서의 치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R2 는, 아크릴계 수지에 지환식 탄화수소, 및/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2 는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및 디시클로펜테닐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기 및 페닐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 (Ⅰ) 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 (R1 = 수소 원자, R2 = 시클로헥실기),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R1 = 메틸기, R2 = 시클로헥실기), 아크릴산페닐 (R1 = 수소 원자, R2 = 페닐기), 메타크릴산페닐 (R1 = 메틸기, R2 = 페닐기), 아크릴산나프틸 (R1 = 수소 원자, R2 = 나프틸기), 메타크릴산나프틸 (R1 = 메틸기, R2 = 나프틸기),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R1 = 수소 원자, R2 = 디시클로펜타닐기),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R1 = 메틸기, R2 = 디시클로펜타닐기), 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 (R1 = 수소 원자, R2 = 디시클로펜테닐기),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 (R1 = 메틸기, R2 = 디시클로펜테닐기)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 (R1 = 수소 원자, R2 = 시클로헥실기),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R1 = 메틸기, R2 = 시클로헥실기), 아크릴산페닐 (R1 = 수소 원자, R2 = 페닐기), 메타크릴산페닐 (R1 = 메틸기, R2 = 페닐기)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R1 = 메틸기, R2 = 시클로헥실기) 및 메타크릴산페닐 (R1 = 메틸기, R2 = 페닐기) 이다.
상기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알킬,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 아크릴산알킬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로는, 탄소수 2 ∼ 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sec-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산알킬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tert-부틸, 아크릴산sec-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알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비닐시안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시안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단관능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의 함유 비율은, 아크릴계 수지의 투명성 및 내후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50 ∼ 95 중량% 이고, 60 ∼ 90 중량% 가 바람직하고, 70 ∼ 8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의 함유 비율은 5 ∼ 50 중량% 이고, 10 ∼ 40 중량% 가 바람직하고, 15 ∼ 3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의 함유 비율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투명성이 낮아진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Ⅰ) 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수지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투명성이 낮아진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단관능 단량체의 함유 비율은 0.1 ∼ 20 중량% 이고, 0.1 ∼ 10 중량% 가 바람직하고, 0.1 ∼ 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단관능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의 고온에서의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가 열분해되기 쉬워진다. 상기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단관능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20 중량%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내열성이 낮아진다.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할 때의 중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괴상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중합에는 통상적으로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연쇄 이동제가 사용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라우로일퍼옥사이드, 1,1-디(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의 양은 단량체의 종류, 그 비율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는, 예를 들어, n-부틸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메르캅탄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연쇄 이동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의 양은 단량체의 종류, 그 비율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할 때의 중합 온도는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기계적 강도가 양호해지는 점에서, 70000 ∼ 30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00 ∼ 25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000 ∼ 2000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는 온도 230 ℃, 하중 3.8 ㎏ 에서 측정되는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 (MFR) 가 0.1 ∼ 30 g/10 min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20 g/10 min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 이 0.1 g/10 min 미만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의 유동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어, 용융 혼련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MFR 이 30 g/10 min 을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계 수지에는,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 이외에,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중합 억제제, 산화 방지제, 난연화제, 보강제 등의 첨가제, 상기 공중합체 이외의 중합체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시켜도 된다. 아크릴계 수지에 첨가제, 중합체 등을 함유시킬 때, 아크릴계 수지 총량에 대한 상기 공중합체의 함유 비율이 95 ∼ 99.999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온도 300 ℃, 하중 1.2 ㎏ 에서 측정되는 MVR 이 50 ∼ 240 ㎤/10 min 이고, 60 ∼ 230 ㎤/10 min 이 바람직하고, 70 ∼ 220 ㎤/10 min 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220 ㎤/10 min 이 더욱 바람직하다. MVR 이 50 ㎤/10 min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MVR 이 240 ㎤/10 min 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2 가 페놀과 카르보닐화제를 계면 중축합법이나 용융 에스테르 교환법 등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 카보네이트 프레폴리머를 고상 에스테르 교환법 등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 고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개환 중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가 페놀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퀴논, 레조르시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통칭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3-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4-비스(4-하이드록시페닐)-2-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o-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5,7-디메틸아다만탄,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폭사이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파이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케톤,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가 페놀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가 페놀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스페놀 A 의 단독 사용이나, 비스페놀 A 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및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2 가 페놀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보닐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스겐 등의 카르보닐할라이드,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에스테르, 2 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 등의 할로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보닐화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는,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중합 억제제, 산화 방지제, 난연화제, 보강제 등의 첨가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외의 중합체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시켜도 된다.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한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아크릴계 수지의 양이 50 ∼ 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8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부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의 향상이 불충분해진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수지 조성물은 240 ℃ 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지의 용융 점도 (ηA) 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용융 점도 (ηB) 의 비 (ηA/ηB) 가 0.4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이면,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보다 균일하게 용융 혼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혼합물을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지 혼합물의 용융 혼련시의 온도 및 전단 속도로는, 이들 수지를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점에서, 온도는 통상적으로 180 ∼ 320 ℃, 바람직하게는 200 ∼ 300 ℃ 로 하고, 전단 속도는 통상적으로 10 ∼ 300 sec-1, 바람직하게는 30 ∼ 150 sec-1 로 한다. 용융 혼련에 사용하는 기기로는, 통상적인 혼합기,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축 혼련 압출기, 2 축 혼련 압출기, 리본 블렌더, 헨셀 믹서, 밴버리 믹서, 드럼 텀블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2 축 혼련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또, 용융 혼련은, 필요에 따라,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용화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착색제, 발포제, 활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확산제 등의 관용의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또, 소량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혼합물의 용융 혼련시에 첨가해도 되고, 용융 혼련의 전 또는 후에 첨가해도 된다.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한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합계 함유량은 70 ∼ 99.995 중량% 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투명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함으로써, 예를 들어, 광학 부재, 커버 재료, 수지 글레이징 재료 등의 원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우수한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 특히 도광판의 원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성형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구비하는 성형체가 얻어진다. 우수한 투명성을 구비하는 이 성형체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 커버 재료, 수지 글레이징 재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우수한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부재, 특히 도광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성형은,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미리 용융 혼련된 수지 혼합물을, 그 용융 혼련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성형해도 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펠릿상 등으로 한 후, 사출 성형기, 유압 프레스, 압출 성형 등의 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기 내에서 용융 성형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참고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각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얻어진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의 각종 물성의 측정 및 평가는 하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 (MFR)>
얻어진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 JIS K 7210 에 준거하여, 온도 230 ℃, 하중 3.8 ㎏ 에서 측정하였다.
<멜트 볼륨 플로우 레이트 (MVR)>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 대해, ISO 1133 에 준거하여, 온도 300 ℃, 하중 1.2 ㎏ 에서 측정하였다.
<외관>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외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광선 투과율>
얻어진 성형체를 폭 50 ㎜, 길이 50 ㎜ 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 투과율계 ((주)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HR-100」) 를 사용하고, JIS K 7361-1 에 준거하여, 전체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장광로 전체광선 투과율>
얻어진 성형체를 폭 5 ㎜, 길이 200 ㎜ 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 분광 광도계 ((주) 히타치 하이테크 필딩 제조의「히타치 분광 광도계 U-4000」) 를 사용하여, 광로 길이 200 ㎜ 에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커트 연화 온도>
얻어진 성형체를 20 ㎜ × 20 ㎜ 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 JIS K 7206 의 B50 법에 준거하여, 하중 50 N 및 승온 속도 50 ℃/시간의 조건에서 비커트 연화 온도 (VST) 를 측정하였다.
<흡수율>
얻어진 성형체를 폭 30 ㎜, 길이 30 ㎜ 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 90 ℃ 에서 48 시간 진공 건조시키고, 다시 23 ℃ 습도 55 % 환경하에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이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킨 시험편의 중량을 W0 으로 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수 중에 3000 시간 침지시켰다. 이 3000 시간 침지시킨 시험편의 중량을 W1 로 하였다. 그리고, 이 W0 과 W1 로부터 식 : 흡수율 (%) = (W1 - W0)/W0 × 100 에 기초하여,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 (A-1), (A-2) 및 (A-3) 을 사용하였다.
아크릴계 수지 (A-1), (A-2) 및 (A-3) 은 이하와 같이 조제하였다.
참고예 1
[아크릴계 수지 (A-1) 의 제조]
메타크릴산메틸 (MMA) 79 중량%,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CHMA) 20 중량%, 아크릴산메틸 (MA) 1 중량%, 개시제로서 라우릴퍼옥사이드를 MMA 와 CHMA 의 총합에 대해 0.2 중량%, 연쇄 이동제로서 n-옥틸메르캅탄을 MMA 와 CHMA 의 총합에 대해 0.2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어서, 혼합물 100 중량부, 이온 교환수 285 중량부, 현탁 안정제로서 1.2 중량%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수용액 0.18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80 ℃ 에서 3 시간 현탁 중합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슬러리상의 반응액을 탈수기에 의해 탈수, 세정한 후, 건조시켜, 비즈상의 아크릴계 수지를 얻었다. 다시, 얻어진 비즈상의 아크릴계 수지를 2 축 혼련기 (TEX-30, (주) 니혼 제강소 제조) 로, 회전수 200 rpm (전단 속도 120 sec-1), 250 ℃ 의 실린더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고, 용융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후에 스트랜드 커터로 절단하여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1) 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1) 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40000 이고, MFR 은 1.6 g/10 min 였다.
참고예 2
[아크릴계 수지 (A-2) 의 제조]
MMA 를 84 중량%, CHMA 를 15 중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2) 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2) 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40000 이고, MFR 은 1.3 g/10 min 였다.
[아크릴계 수지 (A-3) 의 제조]
메타크릴산메틸 (MMA) 95 중량%,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CHMA) 4 중량%, 아크릴산메틸 (MA) 1 중량%, 개시제로서 라우릴퍼옥사이드를 MMA 와 CHMA 의 총합에 대해 0.2 중량%, 연쇄 이동제로서 n-옥틸메르캅탄을 MMA 와 CHMA 의 총합에 대해 0.2 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어서, 혼합물 100 중량부, 이온 교환수 285 중량부, 현탁 안정제로서 1.2 중량%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수용액 0.18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80 ℃ 에서 3 시간 현탁 중합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슬러리상의 반응액을 탈수기에 의해 탈수, 세정한 후, 건조시켜, 비즈상의 아크릴계 수지를 얻었다. 다시, 얻어진 비즈상의 아크릴계 수지를 2 축 혼련기 (TEX-30, (주) 니혼 제강소 제조) 로, 회전수 200 rpm (전단 속도 120 sec-1), 250 ℃ 의 실린더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고, 용융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후에 스트랜드 커터로 절단하여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3) 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상의 아크릴계 수지 (A-3) 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40000 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B-1) 및 (B-2) 를 사용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B-1) 및 (B-2) 는 이하와 같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B-1) : 스미토모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 제조의 「칼리버 301-40」. MVR 이 40 ㎤/10 mi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B-2) : 스미토모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 제조의 「칼리버 200-80」. MVR 이 80 ㎤/10 min.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
[수지 조성물의 제조]
표 1 에 나타내는 종류 및 중량의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2 축 혼련 압출기 ((주) 니혼 제강소 제조의 「TEX-30SS」, 스크류의 길이 (L) 와 스크루의 직경 (D) 의 비 (L/D) = 41) 를 사용하여, 회전수 100 rpm (전단 속도 81 sec-1), 250 ℃ 의 실린더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였다. 2 축 혼련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토출된 직후의 용융물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250 ∼ 255 ℃ 의 범위 내였다. 용융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에 스트랜드 커터로 절단하여, 펠릿상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종류 중량
(중량부)
종류 중량
(중량부)
실시예 1 A-1 70 B-2 30
실시예 2 A-1 60 B-2 40
실시예 3 A-2 60 B-2 40
비교예 1 A-1 60 B-1 40
비교예 2 A-1 70 B-1 30
비교예 3 A-3 70 B-2 40
[성형체의 제조]
상기 펠릿상의 수지 조성물을 40 ㎜φ 1 축 압출기 (와타나베 플라스틱스 기계 (주) 제조의 「VS40-28 형 벤트 압출기」) 를 사용하여, 회전수 60 rpm, 250 ℃ 의 실린더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고, 용융물을 판상으로 압출하여, 두께 2 ㎜ 의 판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수지 조성물의 외관, 그리고 성형체의 전체광선 투과율, 장광로 전체광선 투과율, 비커트 연화 온도 및 흡수율을 표 2 에 정리한다.

수지 조성물 성형체
외관 전체광선
투과율(%)
장광로 전체광선 투과율(%) VST
(℃)
흡수율
(%)
실시예 1 무색투명 91 77 116 1.0
실시예 2 무색투명 91 76 120 0.8
실시예 3 무색투명 91 76 120 0.8
비교예 1 무색투명 90 57 121 0.8
비교예 2 무색투명 90 64 117 1.0
비교예 3 백탁 50 20 120 0.8

Claims (7)

  1.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크릴산메틸 50 ∼ 95 중량%, 하기 식 (Ⅰ)
    Figure pat00003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로 치환된 알킬기, 나프틸기, 알킬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또는 디시클로펜테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5 ∼ 50 중량% 및 이들 이외의 단관능 단량체 0.1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이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온도 300 ℃, 하중 1.2 ㎏ 에서 측정되는 멜트 볼륨 플로우 레이트가 50 ∼ 240 ㎤/10 min 이고,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아크릴계 수지의 양이 50 ∼ 9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양이 5 ∼ 50 중량부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나프틸,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및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단량체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sec-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 ∼ 300000 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혼합물을, 180 ∼ 320 ℃ 의 온도에서, 10 ∼ 300 sec-1 의 전단 속도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도광판.
KR1020140141519A 2013-10-23 2014-10-20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KR20150047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9864 2013-10-23
JP2013219864A JP6166147B2 (ja) 2013-10-23 2013-10-23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01A true KR20150047101A (ko) 2015-05-04

Family

ID=5301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519A KR20150047101A (ko) 2013-10-23 2014-10-20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6147B2 (ko)
KR (1) KR20150047101A (ko)
CN (1) CN104559002B (ko)
TW (1) TWI6379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273A (ko) * 2014-06-03 2017-02-06 주식회사 쿠라레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CN107207822A (zh) * 2015-01-30 2017-09-26 株式会社可乐丽 甲基丙烯酸类树脂组合物和使用该树脂组合物的层叠体
JP7450876B2 (ja) 2020-02-27 2024-03-18 帝人株式会社 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9239A1 (de) * 1987-06-06 1988-12-15 Roehm Gmbh Vertraegliche polycarbonat-polymethacrylat-mischungen
US5200492A (en) * 1990-10-29 1993-04-06 Kuraray Co., Ltd. Polymer blends
JP3215719B2 (ja) * 1992-06-18 2001-10-09 株式会社クラレ 重合体組成物
DE4223983A1 (de) * 1992-07-21 1994-01-27 Roehm Gmbh Verträgliche Polymermischungen aus Co-Polycarbonaten und Methacrylat-Copolymerisaten
JPH06313089A (ja) * 1993-04-30 1994-11-08 Kuraray Co Ltd 重合体組成物
EP2006326A4 (en) * 2006-03-29 2009-07-22 Mitsui Chemicals Inc OLEFINBLOCK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01454210B (zh) * 2006-05-25 2011-12-07 阿科玛股份有限公司 透明的聚碳酸酯混合物
KR20090039612A (ko) * 2007-10-18 2009-04-22 제일모직주식회사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JP2011052157A (ja) * 2009-09-03 2011-03-17 Kaneka Corp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蛍光黄緑フィルム
JP5897249B2 (ja) * 2010-08-31 2016-03-30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736187B2 (ja) * 2011-02-15 2015-06-17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2201831A (ja)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1832A (ja)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CN103214775B (zh) * 2012-01-20 2015-06-10 Lg化学株式会社 用于光学膜的树脂组合物、偏光器保护膜和包括该偏光器保护膜的液晶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59002A (zh) 2015-04-29
TWI637996B (zh) 2018-10-11
TW201533134A (zh) 2015-09-01
CN104559002B (zh) 2018-02-16
JP6166147B2 (ja) 2017-07-19
JP2015081295A (ja)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6187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1980418B1 (ko)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성형체
JP5897249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80063052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BRPI0811491B1 (pt) composição, processo para fabricar uma composição, artigo, métodos de fabricar um artigo, e de formar um artigo e uso de um polímero acrílico não-reticulado
KR20120066446A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12201832A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KR20150047101A (ko)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성형체 및 도광판
KR101651719B1 (ko) 광확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확산 수지 조성물
JP5334496B2 (ja) 抗菌性を有する積層シート
JP200017843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8056798A (ja) 透明樹脂成形品および各種製品
JP2015182414A (ja) 加飾用フィルム
KR10143608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JP6680213B2 (ja) 樹脂組成物
JP2010053220A (ja) 透明性と抗菌性に優れた携帯情報端末用キートップ
JP2007204554A (ja) 光学用樹脂成形品およびそれからなる導光板および拡散板
JP201807645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7230147A (ja) 光学用多層樹脂成形品、それからなる導光板および拡散板
JP2010053219A (ja) 抗菌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把手部品
CN108026349B (zh) 具有改善的机械性能的热塑性组合物
JP2015183158A (ja) メタクリル樹脂、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14125571A (ja) 表層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059308B2 (ja) 透明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透明樹脂成形品
JP2022033019A (ja) 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