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213A - 비디오 콜 센터 - Google Patents

비디오 콜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213A
KR20150046213A KR20157007056A KR20157007056A KR20150046213A KR 20150046213 A KR20150046213 A KR 20150046213A KR 20157007056 A KR20157007056 A KR 20157007056A KR 20157007056 A KR20157007056 A KR 20157007056A KR 20150046213 A KR20150046213 A KR 20150046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all
television
cal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598B1 (ko
Inventor
토마스 알. 올젠
Original Assignee
올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젠 엘엘씨 filed Critical 올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4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디오 콜 중앙 프로세스 및 시스템은 훨씬 적은 보조 스테프를 가지고, 복수의 동시 비디오 콜러들로부터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비용 절감적인 비디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콜 센터{VIDEO CALL CENTER}
우선권 주장
이 출원은 2012년 8월 20일 출원 된 US 특허 출원 번호 13 / 589,64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다수의 인터넷 비디오 콜(video call)을 통합시키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프로덕션을 위한 프로세스 및 시스템과 관련된 컨퍼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Skype와 같은 서비스/소프트웨어를 통해 저렴한 화상전화의 출현은 콜러(caller) 기반의 토크 라디오의 비디오 버전에 대한 가능성을 연다. 비디오 전화는 텔레비전 뉴스와 제한된 수의 인터뷰 프로그램에 사용되었지만, 쇼에 전화하는 많은 시청자를 가지는 프로그램들은 최근까지 유행되지 않았는데, 이는 생산 및 기술적 복잡성과 시청자를 위해 증가된 시청 옵션들에 의해서 세분화된 시청자들로부터의 수익 제한과 관련된 비용 이익 문제 때문이다.
상업적 비디오 프로그램은 수익이 프로그램 비용을 초과할 때 경제적으로 성공하지만, 비디오 출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청자는 세분화되고 있으며, 종종 이용 가능한 수입은 줄어들고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콘텐츠 서비스가 비용의 압력을 받고 있으며, 정식 기반에서 원래의 콘텐츠를 생성할 여유가 없으며, 이전에 방영된 재상영 기록된 콘텐츠로 격하되고 있으며, 그러한 콘텐츠는 대체 시청 옵션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출현과 함께 줄어든 수익을 가진다. 이것은 2차 및 3차 케이블 네트워크 및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낮 기간 동안 특히 사실이며, 그리고 일부는 주요 시청 기간에서도 작동한다. 오리지널 생방송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출구에 대해서 엄두도 내지 못할 만큼 비싸다.
프로그램 비용들의 주요 구성은 프로그램의 라이브 제작에서 발생하는 것들이며, 기술적인 장비의 비용, 멀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콘텐츠의 획득, 및 인원을 포함한다. 기술적인 제작 인원의 수는 주로 더 넓은 스튜디오들의 운용과 연결된 제작의 복잡성, 일반 용도를 위해서 디자인된 제어실 및 이에 따라 프로그램 타입과 상관없이 높은 수준의 최소 스태프를 요구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 라이브 제작을 위한 기본 스튜디오는 기술 감독의 최소 기술 인인원(복잡한 비디오 입력으로부터 스위치 하는), 오디오 엔지니어, 및 비디오 스트림으로 다양한 이름과 제목들의 제작 및 삽입을 담당하는 캐릭터 제너레이터 오퍼레이터를 요구한다. 추가로, 프로덕션 스태프는 필수적이며, 프로듀서와 적절한 이름들과 같은 것들이 캐릭터 제너레이터 운용자에게 제공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다양한 제작 보조자를 포함한다. 일 년 동안 하나의 단일 시프트에 대한 하나의 텔레비전 스튜디오를 운용하는 인건비는 온에어 탤런트에 대한 지급 전에 50만 달러이상이 소요된다. 반대로, 라이오 프로덕션은 훨씬 적은 인건비가 요구되는데, 주로 온에어 탤런트가 그/그녀 스스로 "보드(board)"를 제어기를 운용하기 때문이며, 그리고 별도의 오디오 인력, 기술 감독 또는 캐릭터 제너레이터 오퍼레이터에 대한 요구가 없기 때문이다. 토크 라디오 포멧의 경우, 프로듀서가 일반 공중으로부터 들어오는 오디오 콜을 미리 스크린하고 조정하기 위해 온에어 탤런트와 함께 작업한다.
요약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상이한 콜러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콜을 연결하기 위한 둘 이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들과,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들로부터 생성된 비디오를 전통적인 텔레비전 제작 장치에 수용가능한 비디오 포멧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컨버터,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콜을 선택하기 위해 온에어 탤런트(on-air talent)에 의해서 사용되는 선택 모듈, 및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을 위한 비디오 콜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엔코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공중파, 비디오 스트리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방송, 전송, 또는 연결은 셀룰라, 모바일 위성, 와이파이, 마이크로 웨이브 또는 다른 모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무선 또는 유선 기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하나의 비디오 콜에 전용된다.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하나의 비디오 콜을 만들거나 받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측면에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컴퓨터 스크린에서 비디오 콜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고, 비디오 컨버터는 비디오 콜을 라이브 텔레비전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추출하고 그리고 변환시킨다.
다른 일 측면에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이, 콜러에 대한 식별 문자(text identification)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Video call Text Overlay)를 생성하고, 비디오 콜 위에 그러한 식별 문자를 위치시키고, 그리고 비디오 컨버터는 비디오 콜을 비디오 콜과 이제 통합된 문자를 가지는 라이브 텔레비전에 사용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시킨다.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위한 식별 문자를 준비한다. 일 측면에서, 식별 문자는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식별 문자는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위한 식별 문자를 준비한다.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비디오 콜에 임베드(imbeded)된 정보를 모으고,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그러한 정보를 준비한다.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위한 준비와 온에어 탤런트를 위한 별개의 디스플레이 둘 다에 실시간으로 프로듀서 노트의 진입을 허용한다.
다은 측면에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다른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을 통해서 운전된 데이타 베이스와 통신하거나 정보를 저장한다. 각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떨어진 데이타 베이스에 기 저장된 정보를 도시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는 표준 컴퓨터 비디오 출력을 통해서 비디오의 선택된 부분을 취하고, 비디오를 보통의 텔레비전 생성 장치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러한 비디오 변환기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또한 콜 컴퓨터의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특화된 변환기 카드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텔레비전 비디오 믹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텔레비전 믹싱 모듈은 별개의 비디오 콜들로부터 생성된 다양한 텔레비전 비디오 사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측면에서, 선택 모듈은, 별도의 콜들로부터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콜을 선택하기 위해,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선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모든 콜러들이 서로 서로 그리고 온에어 탤런트를 들을 수 있도록,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으로, 그래서 개별 콜러들에게 별개의 오디오 리턴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오디오 믹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비디오 콜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과 그리고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장치 유닛에 대한 선택적인 프로듀서 중앙제어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프로듀서로부터 주제에 대한 텍스트 메세지나 또는 콜러의 캐릭터들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코디네이션에 필요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온에어 탤런트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온에어 탤런트를 포토그래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선택 모듈은 온에어 탤런트가 필요 시 복수의 콜러들의 개별 오디오를 추가하고, 필요시 한 단일 콜러에 대해 오디오 시스템을 복구하고, 필요시 모든 콜러들로부터의 오디오를 중지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를 선택모듈이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인체 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대기중인 다수의 콜러들로부터 한 콜러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선택하거나, 대기중인 다수의 콜러들로부터 동시 대화를 위해 적어도 두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된 콜러의 하나는 주요 게스트이며, 다른 선택된 콜러들은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각각 적어도 두 콜러 채널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key)들을 가질 수 있다. 온에어 탤런트는, 콜러들에 해당되는 키들을 홀딩(holding)하고 있다가 대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동시에 키들을 릴리즈(releasing)하는 것에 의해서, 동시 대화를 위한 적어도 두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두 콜러의 오디오가 지속되는 동안 온에어 탤런트가 독립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중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은 분리된다.
다른 측면에서, 온에어 탤런트는 방송중인 모든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중지시키고, 비디오 사진을 온에어 탤런트의 사진으로 되돌리거나, 필요시 단일 콜러에 대한 오디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비디오 콜을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에서 모니터 및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프로듀서 컨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별개의 오디온 톤이 각각의 중앙 처리 유닛(콜 CPU)에 할당되고, 그리고 시스템은 각각의 콜러들에 관련된 콜 CPU를 구분하기 위해 복수의 별개의 주파수들의 톤을 이용하거나, 둘 이상의 개별 콜러들과 관련된 콜 CPU들의 특정 조합을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주파수들의 이용은 특정 콜러들로부터 오디오가 결합 될 때, 불협화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전에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톤은 대응하는 콜러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콜 CPU를 통해서 인바운드(inbound)된 경로의 테스트하기 위해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은 인바운드된 콜을 구분하고 테스트할 톤들과 코드들의 사용을 위해 자동화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인터넷을 통한 상이한 콜러들로부터의 복수의 별개의 비디오 콜들을 수신하고 걸러내는 것; 각 비디오 콜과 콜러들에 대해 식별 문자,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 같은 것을 결정하고 입력하는 것; 그리고 복수의 콜들로부터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콜을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이용 가능한 콜러들의 사진들과 그들의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온에어 탤런트를 위해 터치 스크린에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 온에어 비디오 콜러를 바꾸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온에어 탤런트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콜러의 사진을 두드려 온에어 비디오 콜러를 바꿀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비디오 콜이 접수되었을 때, 각 콜러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가 온스크린(on-screen) 박스에 입력된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콜러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추출된 콜러의 정보로부터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프로듀서에 의해 비디오 콜 선택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의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비디오 콜 신호로부터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비디오 분배기에 생방송을 위해 비디오 콜 신호로부터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기 전에 문자 입력을 집어 넣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기 전에, 문자 입력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 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비디오의 생성 전에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문자 입력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의 위치들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개별 비디오 콜들을 구분하기 위해 복수의 별도의 주파수들의 톤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는 둘 이상의 개인 비디오 콜들의 특정 조합들을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코드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텔레비전 비디오"는 아날로그, 디지털, 컴포넌트, 컴포지트 및 SDI 포함한 전통적인 텔레비전 생방송의 프로덕션의 기술적 측면에서 사용되는 어떤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며, DVI, HDMI 및 VGA와 같은 비디오 출력에 기초한 컴퓨터로부터 변환 후 이들 타입의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지만, DVI, HDMI 및 VGA와 같은 통상적인 컴퓨터 비디오 모니터 출력을 생성하는 종래의 컴퓨터에서 영상 처리는 제외한다. 텔레비전 비디오의 문맥에서, 용어 비디오를 텔레비전 비디오로 "변환하다", "변환한다", 또는 "변환하는 것"은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다", "생성한다", 또는 "생성하는 것"과 동의어이다.
용어는 "한" 및 "하나"는 달리 명시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면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및 어떤 형태의 포함하다, 일 예로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 것", "가지다"( 및 어떤 형태의 가지다, 일 예로 "가진다", "가지는 것"), "포함하다(include)"(및 어떤 형태의 포함하다, 일 예로 "포함한다", 포함하는 것"), 그리고 "함유하다"(contain)(어떤 형태의 함유하다, 일예로 "함유한다", "함유하는 것")는 개방단 연결 동사이다.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요소를 "포함하다", "가지다", "포함한다" 또는 "함유한다"는 방법 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요소들을 소유하며, 단지 하나 또는 이상의 요소들을 소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한 또는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다", "가지다", "포함한다" 또는 "함유한다"는 방법의 한 단계 또는 한 장치의 한 요소는 이들 하나 또는 이상의 특징들을 소유하며, 단지 이들 하나 또는 이상의 특징을 소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어떤 한 방식에서 구체화된 한 장치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러한 방식에서 구체화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로 또한 구체화될 수 있다.
다른 특징 및 관련 이점이 첨부 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3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4는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5는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7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8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9는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10은 비디오 콜 센터 시스템을 도시 한 도면이다.
비디오 콜 센터 프로세스 및 시스템은 복수의 동시 비디오 콜러들로부터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비디오 프로그램을 생성 할 수 있다. 관련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는 방송중인 복수의 동시 콜러를 추적하고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온에어 텔런트는 터치스크린으로 선택된 콜러들의 비디오 믹싱을 할 수 있다. 관련된 비디오 콜러들의 오디오 스위칭 및 컨퍼런싱은 특화된 스위칭 제어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콜 센터 프로세스 및 시스템은 오늘날 분할된 비디오 분배에 이용 가능한 상대적으로 저수준의 경제로 작동하는 콜인 비디오 프로그램의 개발을 허여할 수 있다. 라이브 비디오 콜인 프로그램의 생산은 토크 라디오에서 보여지는 프로듀서와 온에어 탤런트를 포함하는 두 명 정도로 적은 사람들로 작동할 수 있다.
프로듀서는 들어오는 별개의 인터넷 비디오 콜을 걸러서 조합하고, 문자 정보(예를 들어, "빌, 시카고")를 각각의 콜에 대해서 컴퓨터 비디오 디스플레이에 삽입하고, 그래서 비디오 콜을 방송하는데 즉시 필요한 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몇몇 구체 예에서, 문자는 컴퓨터 비디오가 텔레비전 비디오로 변환되기 전에 삽입될 수 있다.
온에어 탤런트는 물리적으로 터치스크린(및/또는 컨퍼런스 믹서 제어기) 및 특별한 오디오 장치를 통해서 방송될 콜을 선택할 수 있다. 사진에 삽입된 문자 정보를 가지고, 온에어 탤런트는 다른 어떤 정보 없이, 터치 스크린을 두드려 부드럽게 새로운 콜러로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제 빌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빌, 시카고는 어떤가요)
시스템은 다수의 주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A는 각 비디오 콜러에게 실시간으로 다음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비디오 콜 CPU)(여기서부터 비디오 콜 CPU의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실질적인 기계를 포함한다.)일 수 있다.
a) 인터넷을 통해서 비디오 콜(관련된 오디오와 함께)을 걸거나 수신하는 것;
b) 콜러에 대해 선택된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예를 들어, 빌, 시카고)를 생성하고 그러한 문자를 수동 또는 자동 입력으로부터 비디오 콜 위에 위치시키는 것,
c) 문자를 가진 콜 비디오를 텔레비전 생방송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스크린 상에 비디오 크기 및 위치를 선택하는 것,
d) 비디오 콜에 대해 임베드된 정보를 모으고, 그러한 정보를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
e)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b)로부터 선택된 식별 문자를 준비하는 것,
f) 데이타 베이스 저장 준비와 탤런트를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프로듀서 메모의 진입을 허가하는 것,
g) 로칼 데이터베이스에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것,
h) 상이한 중앙 처리 유닛을 통해서 운용중인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정보와 통신하거나 저장하는 것,
i) 로컬 또는 원격 데이타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j) 콜러에 오디오를 리턴하는 것, 및
k) 콜러에게 비디오를 리턴하는 것.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콜 CPU는 방송중 또는 방송 준비 중인 각각의 별개의 콜러에 전용화될 수 있다. 콜 CPU의 수는 특정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대해서 스크린 프로세스와 큐를 대기하고 있기를 원하는 콜의 숫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블록 B는 텔레비젼 비디오 변환기이며, 이것은 CPU/Block A(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포함)의 표준 컴퓨터 비디오 출력(예를 들어, DVI or VGA)을 통해서 비디오의 선택된 부분을 취하며, 그 비디오를 노말한 텔레비전 프로덕션 장치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텔레비전 비디오 신호, 예를 들어, 시리얼 디지털 인터페이스(SDI)를 통한 비디오로 변환시킨다. 비디오 변환기는 독립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비디오 콜 CPU의 컨테이너 내부에 추가적인 프로세스 또는 보드로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는 각CPU에 전용화될 수 것이지만, 그러나 다양한 비디오 콜 입력들이 단일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에 의한 가공을 위해서 서브-스위치들을 통해서, 미리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온에어 텔런트가 이용할 수 있는 콜 선택의 수를 제한할 것이지만, 그러나 필요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들의 수를 줄여줄 것이다.
블록 C는 복수의 콜 CPU와 관련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 소스로부터 또는 생산에 필요한 다른 비디오 소스로부터 다양한 텔레비전 사진들의 선택을 허용하는 텔레비전 비디오 믹싱 장치들이다. 블록 C의 비디오 출력은 방송 준비를 위해 블록 F로 가고 그리고 또한 각 비디오 콜 CPU에 직접적으로 돌아가거나(컴퓨터에서 수용가능한 비디오 포멧으로 역변환된 뒤에), 또는 문자 생성 시스템을 경유해서 콜러에게 현재 방송중인 사진과 이에 더하여 콜러에 대한 문자 정보를 제공한다.
블록 D는 블록 C를 통해서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진 블록 A와 B를 통해서 제공된 복수의 콜러로부터 방송될 다음 콜러를 선택하기 위해서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선택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의 다수의 박스 내 비디오는 각각의 기다리는 콜러로부터 오며, 그리고 각각의 그러한 콜러의 비디오는 블록 A(c)로부터 콜 텍스트 오버레이 구별기(빌,시카고)를 포함한다.
블록 E는 각 비디오 콜 CPU에게(그리고 뒤로 개별 콜러들에게) 별개의 오디오 리턴을 제공하여, 그들 스스로를 제외하고는 모든 콜러가 서로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특화된 오디오 믹서이다. 이것은 그/그녀에게 되돌아 오는 콜러의 목소리 리턴에서 유의미한 그리고 매우 복잡한 지연에 이를 수 있는 인터넷 비디오 콜링에서 다양한 가공과 전송 지연 때문에 필수적이다. 그러한 구별된 리턴 오디오 입력은 트레이드에서는 오디오 매트릭스 또는 "믹스드 마이너스"로 알려져 있다.
블록 F는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하기 위한 최종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제조하기 위한 엔코딩 프로세스/유닛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블록 F는 비디오 믹싱 장치, 블록 C의 출력단에서 통합된다.
블록 G는 비디오 콜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별개의 CPU이며, 비디오 콜 CPU에 대한 선택적인 프로듀서 중앙 제어이다.
블록 H는 주제 또는 콜러의 특징에 대한 프로듀서로부터의 문자 메시지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조합하는 필수적인 다른 정보를 함유하는 탤런트용 정보 스크린이다. 그러한 메시지는 또한 비디오 콜 데이터 베이스, 블록 G로부터 회수해 온 콜러 정보를 통합한다.
블록 I는 온에어 탤런트 또는 다음 생산되는 프로그램에 관련된 다른 비디오 소스를 포토그래핑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들이다.
블록 J는 탤런트가 필요시 복수의 콜러의 오디오를 추가하고, 단일 콜러에게 오디오 시스템을 복원하고, 또는 필요시 모든 오디오를 정지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특화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믹서-제어기이다. 블록 E는 오디오 신호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오디오 믹서 전에 일련의 릴레이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온에어 탤런트의 제어거(블록 J)는 오디오 믹서 전에 오디오를 열거나 또는 깨는 일련의 릴레이들(오디오 제어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스크립트를 통해서) 구동하기 위해서 디자인될 수 있다. 릴레이들이 수신하는 오디오 제어 신호들은 오디오 컨트롤 컴퓨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시리얼/RS232 또는 USB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그래서, 오디오 온 및 오프를 스위칭하는 것은 믹서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 K는 블록 C, 비디오 믹서의 텔레비전 비디오 출력을 컴퓨터에 의해서 가공될 수 있는 비디오로 변환한다.
블록 L은 모든 비디오 콜 CPU에 리턴될, 그래서 콜러에 대한 리턴 비디오로서, 블록 K로부터의 비디오에 문자 메시지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추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콜러에 대한 비디오 리턴 프로세스는 텔레비전 비디오의 아날로그로의 변환, 문자 삽입, 및 콜러로의 리턴 전송을 위한 컴퓨터 비디오에 결합된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P는 콜러 텍스트 오버레이의 삽입과 비디오 콜 CPU로부터 또는 만일 각 비디오 콜CPU에 전용화되었다면 텔레비전 비디오 컨버터로부터 비디오 출력(콜러 텍스트 오버레이를 포함해서)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포함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 CPU를 통해서, 비디오 콜 CPU에서 비디오 콜을 모니터 및 제어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프로듀서 컨트롤 포인트이다. 입력 오디오는 모니터링되고 리턴 오디오는 각 콜러와 통신하기 위해서 프로듀서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설치된 비디오 콜 센터의 구체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시, TV 비디오 콜 시스템은 두 사람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의도된다: 프로듀서와 온 카메라 탤런트. 프로듀서 컨트롤 포인트, 블록 P에서의 프로듀서(도 3에 도시된)는 들어오는 콜을 스크린하고, 결정하며, 콜텍스트 오버레이(빌,시카고)를 입력하고, 그리고 블록 H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에 보이도록 탤런트를 위해 주제 및 다른 노트들을 입력한다. 컴퓨터로부터 입력 오디오는 증폭될 수 있다. 프로듀서는 콜& 문자 오버레이가 설립될 때, 콜러를 듣기 위해서 스위치의 "모니터" 쪽을 사용한다. 프로듀서는 준비시 "방송" 쪽으로 스위치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콜이 수신될 때, 프로듀서는 텍스트 입력 박스에 도시와 콜러의 이름을 입력한다. 프로듀서는 또한 주제 또는 적합한 다른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도 4에서 "인커밍 콜 준비")
2) 콜러 정보는 입력 콜 사진 상에 즉각적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 및 폰트(방울 그림자 옵션)로 보여진다(도 4의 "이미지 셋업")
3) 사진은 편집되어 텔레비전 비디오로 변환된다. 콜러의 정보와 함께 항상 사진의 일부인 콜러의 어떤 질문은 빠른 속도의 쇼에서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탤런트에게 이어지는 정확한 입력과 텍스트를 보장할 보조 스태프는 필요하지 않다(도 4 "방송 준비 이미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에어 탤런트는 그/그녀 터치 스크린에서 이용가능한 콜러들의 사진과 비디오 콜러 텍스트 오버레이를 보고, 그리고 원하는 다음 비디오 콜러를 방송 중 원하는 콜러의 사진을 두드리는 것에 의해 선택한다. 그 콜러는 이제 방송된다. 온에어 탤런트는 독립적으로 참여하는 콜러의 복수의 비디오 사진으로부터 선택하는 동안, 특화된 오디오 컨퍼런스 믹서-컨트롤러, 블록 J를 통해서 추가적인 콜러로부터 오디오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온에어 탤런트는 복수의 개별 콜러들이 방송에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온에어 탤런트는 다음 비디오 콜러로 이동을 준비할 때, 컨퍼런스를 무효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진을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비디오 사진의 탤런트 선택은 블록 E 내부의 릴레이에 의해서 허용되는 것과 같은 보이스 활성 스위칭 방식과 오디오-팔로우 비디오의 조합을 통해서 부분적으로 자동화될 수 있다.
비디오 콜 CPU에서 비디오 콜이 수신될 때, 콜러와 접속된 프로듀서는 콜러 텍스트 오버레이를 위해서 스크린의 일부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그러한 텍스트는 비디오 콜 CPU의 스크린의 비디오 콜러 부분에서 비디오 콜러 상의 선지정된 위치에 도시된다. 그러한 텍스트는 목적을 위해서 특정하게 디자인된 온스크린 박스에 입력되거나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양자의 경우, 텍스트는 입력됨에 따라 박스/폼과 콜러의 비디오 상에 보이게 된다. 콜러 ID 정보는 이용가능한 콜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데이터베이스 창에서 셀로서 프로듀서의 컨트롤 스크린상에 보여진다. 추가적인 콜러에 대한 관련된 정보, 리걸 릴리즈(legal release)가 프로듀서에 의해서 데이터 베이스 폼에 입력될 수 있다. 온에어 탤런트를 위한 주제 정보와 노트들이 또한 데이터 베이스 폼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그러나 탤런트를 위한 그러한 정보는 즉시 탤런트 정보 스크린(H)에 전송된다. 콜러 ID 정보는 자동적으로 중앙 데이터 베이스(G)의 검색을 활성화시키며, 그리고 위치된 어떤 정보는 비디오 콜 CPU에서 콜 스크린 프로세스에서 프로듀서에 의한 이용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 폼으로 리턴된다. 비디오 콜 CPU에서 데이터 베이스 폼으로 입력된 새로운 정보는 콜이 종료될 때 중앙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추가적인 관련 프로그램 사항, 예를 들어, 날짜, 방송 시간, 쇼 이름, 탤런트, 프로듀서들이 로그인에서 입력되고, 각 데이터 베이스 입력내에서 보유된다.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는, 빠르게 진행되는 쇼 도중 누가 전화했는지에 대한 혼동이 없음을 확신케 하면서, 전통적인 캐릭터 제너레이션 운전자와 관련 제작 보조자들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전통적으로, 텔레비전 텍스트는 텔레비전형 비디오의 스위칭 프로세스 도중 또는 후에 삽입되며, 이것은 들어오는 콜과 콜에 부착된 이름 사이에서 조합을 요구한다. 현재 구체 예에서, 텍스트는 입력 콜을 넘겨주는 컴퓨터 내에서, 그리고 컴퓨터 비디오가 텔레비전 비디오로 변환되기 전에 삽입된다. 이것은 프로세스를 통해서 텍스트가 콜러의 사진과 함께 머무르는 것을 확신시킨다.
온에어 탤런트에 의한 터치 스크린 콜러 선택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원격 비디오에서 탤런트의 사진을 바꾸는 기술 감독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며, 온에어 탤런트가 비디오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그리고 주문제작된 오디오 컨퍼런스 유닛을 통해 프로그램의 컨텐츠 흐름을 제어하게 한다.
컨퍼런스 믹서-컨트롤러(도 1에서 블록 J)는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것은 온에어 탤런트가, 카메로로부터 내려다보는 것이 없이, 잘못된 버튼을 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면서, 각각의 콜러에 대한 오디오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들은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 패드를 만들기 위해 편리한 손 위치를 위해서 변형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연한 입력 시스템에 커스텀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한 손 또는 양손아래 배치된 일련의 스위치들 또는 스위치 컨트롤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몇몇 선택된 스위치들을 눌러서 방송 중 개인적으로 또는 모여서 위치된 이들 스위치들과 관련된 오디오라는 결과에 이를 것이다. 스위칭 유닛의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이, 온에어 탤런트가 방송하는 동안, 유닛 내로 손이 놓을 때,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손가락 사이에 핀 (100)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200)는 인덱스와 가운데 손가락들의 정확한 위치를 보증하기 위해 촉각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핀들의 대체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리 패달 및/또는 엄지 손가락 아래를 통한 두 번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잠금 및 풀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된 오디오 스위치들이 에러 없이 추가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고, 모든 비-의도된 오디오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7에서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형인 형상(도 6의 (300)) 및 몰딩된 음각 손바닥 캐스트(도 7에서 (400))가 지지체와 별개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손의 보다 더 적합한 위치를 확실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컨퍼런스 컨트롤러 패드는 개별로 인바우드된 콜러들, 예를 들어, 콜러A, 콜러B. 콜러C, 콜러D, 콜러E, 콜러F, 등의 선택을 다룰 수 있다.
선택은 어떤 결합한 콜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콜러의 수는 하나, 둘, 셋, 또는 온에어 탤런트가 원하는 어떤 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퍼런스 컨트롤러 패드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는 온에어 탤런트가 둘 이상의 콜러들을 동시에 방송할 수 있도록 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퍼런스 컨트롤러 패드와 관련된 소프트 웨어는, 선택된 콜러의 나머지가 대기하는 동안, 온에어 탤런트가 복수의 콜러를 동시에 방송하게 할 수 있다. 도 8-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에어 사진은 온에어 탤런트와 여러 콜을 통해서 머물수 있는 중요한 또는 특징적인 콜러의 합산을 보여주며, 그리고 다음 현재 콜러의 세 번째 사진, 또는 대안적으로, 단지 특정된 콜러와 현재의 콜러를 보여준다. 이것은 특징적 게스트로서 예를 들어, 정부 오피셜 또는 작가의 통화의 쉬운 도입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콜러들은 특징적 게스트와 함께 나타나도록 한다.
컨퍼런스 컨트롤러 패드는 쉬운 로케이션을 위해서 손바닥 형상의 아래에 복수의 주요 버튼을 가진다. 도 5-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덟 개 버튼들은 동일한 이름의 콜 CPU로부터 오디오와 비디오를 제어하도록 A-D와 W-Z로 라벨 될 수 있다. 콜러는 적절한 비디오/오디오 입력 및 전송 기능을 가지는 어떤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테블릿, 스마트폰, 또는 다른 모바일 장치로부터 연결될 수 있다. 버튼은 동일한 색상, 예를 들어, 녹색일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칼라의 여덟개의 다른 칼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같은 방식으로 라벨된 노란색이다. 하나의 단일 주요 버튼이 누름 및 해제될 때, 그 콜 컴퓨터와 관련된 콜러는 방송되기 위해 보내진다. 두 콜러를 동시에 올려놓기 위해서, 두 번째 콜러(노란색) 버튼은 눌려져고 아래에 고정되며, 그리고 일차적 콜러 버튼(그린)은 눌려지고 아래로 고정되며, 그리고 양자가 풀려질 때, 조합 키 선택은 오디오 릴레이를 오픈하고 그 조합을 위해서 선결정된 비디오 스위칭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킨다.
트리거는 실질적으로 키/버튼의 풀림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온에어 탤런트가 생방송 도중, 그/그녀의 손가락들을 적절한 키에 놓아두는 것에 의해서 다음 콜러를 취하는 것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며, 그리고 나서 발생할 다음 이벤트를 야기하는 그 순간을 기다리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버튼/키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콜러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중지시키고, 즉각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호스트로 리턴시킬 수 있다. 이 버튼/키는 콜을 종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V 비디오 콜 시스템은 복수의 콜 CPU 또는 사실상 균등물에 연결된 복수의 콜러를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복수의 별도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이들 콜러 장치로부터 콜 CPU를 통해서 받게 된다. 보다 넓은 프로세스는 프로세싱, 콜 선택 및 스위칭/믹싱을 위해서 비디오로부터 오디오를 분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수의 거의 동일한 콜러 CPU 또는 실질적 기계 균등물을 통한 다수의 거의 동일한 통합 신호의 이용은 시스템 설정, 시험, 및 작동의 관리상태 동안 개별적인 결합된 오디오 신호의 어떤 식별을 어렵게 만든다. 전통적으로, 표준 1000 Hz톤은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부분을 식별하고 맞추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경우, 신호를 식별함에 있어서 혼동과 지연을 야기하면서, 다수의 유사한 신호들은 동일한 1000 Hz톤을 전부 이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톤의 동일성이 두 실질적으로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구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입력 신호로 구성된 복합 단 오디오/비디오를 빌딩하는 것은 특히 어려울 수 있다.
해법은 그러한 콜 CPU의 식별을 위한 상이한 주파수의 톤을 제공하고, 그래서 단일 신호가 식별될 때,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코드의 창조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한 상이한 톤들은 콜 CPU내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콜 CPU 에 저장된 이전 기록 파일로부터 플레이백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으며, 콜 CPU에 의해서 수신된 콜을 유래시키고 있는(보내고 있는) 테스트 컴퓨터에서 발생된 신호를 통해서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인바운드 콜을 만들고 있는 테스트 또는 수요자 컴퓨터내에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백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특성의 톤들은 콜CPU의 특정 그룹 또는 뱅크(bank)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4 개의 컴퓨터들의 그룹들은 한 콜 프로듀서/스크리너의 제어하에서 함께 클러스터 될 수 있다. 4 개의 컴퓨터들의 한 그룹이 모든 톤들의 주파수는 통상적으로 피아노에서 "백건(white keys)"예를 들어, A, C, E, G 에 관련될 수 있으며, 반면 콜 컴퓨터의 두 번째 뱅크"bank"는 "흑건(black keys)", A#, C#, F#, G#에 의해서 식별된다. 이것은 만일 테스트가 뱅크들이 분리되어 유지되는 것을 요구할 때, 이들이 결합되어 있다면, 이것은 즉각적인 오디오 불협화음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발명의 범위 및 의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모든 면에서 의도된다.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이, 다른 장점들과 함께, 상기한 모든 측면과 목적을 보유하는 잘 적용된 하나라는 것이 보여질 것이며, 이것은 시스템과 방법에 명백하고 고유하다. 그러한 특성들과 서브 조합은 유용하고, 그리고 다른 특성이나 서브-조합에 대한 참고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고려되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콜CPU가 각각의 콜러에 전용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할지라도, 콜 CPU는 통신과 각 콜러가 별도의 인터넷 비디오 연결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콜러의 비디오/오디오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은 다음의 청구 범위 내에있다.

Claims (51)

  1. 인터넷을 통해 상이한 콜러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콜을 연결하기 위한 둘 이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들;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들로부터의 비디오를 텔레비전 비디오로 변환하기 위한 둘 이상의 비디오 컨버터들;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콜을 선택하기 위해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서 사용되는 선택 모듈; 및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을 위한 비디오 콜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엔코팅 유닛을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각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한 비디오 콜에 전용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한 비디오 콜을 하거나 받기 위해서 사용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이, 비디오 콜을 텔레비전 생방송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컴퓨터 스크린에서 비디오 콜의 크기와 위치를 정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이, 비디오 콜을 비디오 콜과 이제 통합된 문자를 가지는 텔레비전 생방송에 사용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의 변환 전에, 콜러에 대한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그리고 비디오 콜 위에 그러한 식별 문자를 위치시키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이,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식별 문자를 준비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식별 문자는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식별 문자는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식별 문자를 준비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비디오 콜에 대해 임베드된 정보를 모으고, 그러한 정보를 다른 콜 캐릭터들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준비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위한 준비와 온에어 탤런트를 위한 별개의 디스플레이 둘 다에 실시간으로 프로듀서 노트의 입력을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다른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을 통해서 운전된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고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은 원격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허가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텔레비전 비디오 변환기는 표준 컴퓨터 비디오 출력을 통해서 비디오의 선택된 부분을 취하고, 비디오를 보통의 텔레비전 프로덕션 장치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비디오 믹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텔레비전 믹싱 모듈은 비디오 콜들로부터 생성된 다양한 텔레비전 비디오의 선택을 허가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선택 모듈은, 복수의 콜들로부터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콜을 선택하기 위해,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선택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7.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콜러들이 오디오 리턴에서 그들 자신은 아니지만 서로와 온에어 탤렌트를 들을 수 있도록, 각각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으로 그리고 다음 개별 콜러에게로 별개의 오디오 리턴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오디오 믹서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비디오 콜 데이터 베이스와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에 대한 선택적인 프로듀서 중앙제어를 위한 별개의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장치 유닛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 인 텔레비전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주제 또는 콜러의 캐릭터들에 관한 프로듀서로부터의 문자 메세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코디네이션에 필수적인 다른 정보를 함유하는 온에어 탤런트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온에어 탤런트를 포토그래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선택모듈이 온에어 탤런트가 필요 시 복수의 콜러들의 오디오를 추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온에어 탤런트가 필요 시 단일 콜러에 대한 오디오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온에어 탤런트가 필요 시 모든 콜러들로부터의 오디오를 중지시키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인체 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온에어 탤런트가 대기중인 복수의 콜러들로부터 한 콜러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 대기중인 복수의 콜러들로부터 동시 대화를 위해 적어도 두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하나의 선택된 콜러는 주요 게스트이며, 다른 선택된 콜러는 교체될 수 있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적어도 두 콜러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들을 가지며,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온에어 텔런트가, 대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콜러들에 대응되는 키들을 홀딩하고 그런 다음 동시에 키들을 릴리즈하는 것에 의해서 동시 대화를 위한 적어도 두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온에어 탤런트가 양 콜러의 오디오가 지속되는 동안 독립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중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이 분리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가 방송중인 모든 콜러들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중지시키고, 온에어 탤런트의 사진으로 비디오 사진을 리턴시키는 것을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컨퍼런스 컨트롤러는 온에어 탤런트가 필요시 단일 콜러에 대한 오디오 시스템을 선택하도록 더 허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비디오 콜 중앙 처리 유닛에서 비디오 콜들을 모니터 및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프로듀서 컨트롤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2. 제1항에 있어서, 별개의 오디온 톤이 각각의 중앙 처리 유닛(콜 CPU)에 할당되고, 그리고 시스템은 개별 콜러들에 결합된 장치들을 구분하기 위해 별개 주파수들의 다수의 톤을 이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개별 콜러들과 관련된 콜 CPU들의 특정 조합을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코드를 사용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주파수의 이용은 특정 콜러로부터 오디오가 결합될 때, 불협화음을 제공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의 이전에 발생된 톤들이 대응하는 콜러 장치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6. 제32항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의 이전에 발생된 톤들은 콜 CPU를 통해서 인바운드 콜들의 경로를 테스트하기 위해 재생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7. 제33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인바운드 콜을 구분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톤들과 코드들의 사용을 위한 자동화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시스템.
  38. 인터넷을 통해 상이한 콜러들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콜들을 수신하고 걸러내는 것; 각 비디오 콜 및 콜러들에 대해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결정하고 입력하는 것; 및 방송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콜을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39. 제38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콜러들의 사진들과 그들의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온에어 탤런트를 위해 터치 스크린에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0. 제38항에 있어서, 온에어 탤런트에 의해 온에어 비디오 콜러를 전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1. 제38항에 있어서, 온에어 탤런트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콜러의 사진을 두드려 온에어 비디오 콜러를 변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2. 제38항에 있어서,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가 온스크린 박스에 입력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3. 제38항에 있어서, 콜러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4. 제43항에 있어서, 추출된 콜러의 정보로부터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5. 제38항에 있어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프로듀서에 의해 비디오 콜 선택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의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6. 제38항에 있어서, 비디오 콜 신호로부터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7. 제46항에 있어서, 비디오 분배기로 생방송을 위한 비디오 콜 신호로부터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기 전에, 비디오 상에 수신한대로 문자 입력을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8. 제46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비디오를 생성하기 전에, 문자 입력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49. 제35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비디오로의 변환을 위해 생성된 비디오 상에 문자 입력과 식별 문자 또는 비디오 콜 텍스트 오버레이의 위치들이 상이한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50. 제38항에 있어서, 개별 비디오 콜들을 구분하기 위해 복수의 별도의 주파수들의 톤들을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51. 제50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개별 비디오 콜들의 특정 조합들을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코드들을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콜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세스.
KR1020157007056A 2012-08-20 2013-08-14 비디오 콜 센터 KR102223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89,643 US8767031B2 (en) 2012-08-20 2012-08-20 Video call center
US13/589,643 2012-08-20
PCT/US2013/054924 WO2014031408A1 (en) 2012-08-20 2013-08-14 Video call ce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13A true KR20150046213A (ko) 2015-04-29
KR102223598B1 KR102223598B1 (ko) 2021-03-04

Family

ID=5009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056A KR102223598B1 (ko) 2012-08-20 2013-08-14 비디오 콜 센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67031B2 (ko)
EP (1) EP2898673A4 (ko)
JP (3) JP2015534304A (ko)
KR (1) KR102223598B1 (ko)
CN (1) CN104685865B (ko)
AU (4) AU2013306175A1 (ko)
CA (1) CA2883342C (ko)
IL (1) IL237349A0 (ko)
WO (1) WO2014031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4731B2 (en) 2012-08-20 2017-05-16 The Video Call Center, Llc Video call center
IL249818B (en) * 2014-06-30 2022-08-01 The Video Call Center Llc Video call center
WO2016035551A1 (ja) * 2014-09-04 2016-03-10 株式会社リコー 送信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56185B1 (en) 2014-11-10 2017-09-05 Teton1, Llc System for automated call analysis using context specific lexicon
JP6403828B1 (ja) * 2017-04-05 2018-10-10 株式会社ドワンゴ 端末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および生放送配信サーバのプログラム
CN109862193B (zh) * 2019-04-12 2020-10-02 珠海天燕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中来电视频的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175A (ja) * 2001-06-06 200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視聴者映像参加型番組システム
US20070288978A1 (en) * 2006-06-08 2007-12-13 Ajp Enterprises, Llp Systems and methods of customized television programming over the internet
KR20110112686A (ko) * 2010-04-07 2011-10-13 (주)조아영상기술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317A (ja) * 1989-09-13 1991-04-24 Hitachi Medical Corp 画像処理装置
JPH06217019A (ja) * 1993-01-20 1994-08-05 Nec Commun Syst Ltd 多地点tv会議方式
JPH07162822A (ja) * 1993-12-02 1995-06-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多地点間会議発言者表示方式
RU2144283C1 (ru) 1995-06-02 2000-01-10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водом участников в систему конференц-связи
US5790180A (en) * 1995-12-28 1998-08-04 At&T Corp. Video telephone call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6034739A (en) * 1997-06-09 2000-03-07 Evans & Sutherland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three-dimensional garbage matte which enables simplified adjusting of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scene elements
JPH1127649A (ja) * 1997-07-01 1999-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放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番組作成方法
US6272127B1 (en) 1997-11-10 2001-08-07 Ehron Warpspeed Services, Inc. Network for providing switched broadband multipoint/multimedia intercommunication
US7006616B1 (en) * 1999-05-21 2006-02-28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Teleconferencing bridge with EdgePoint mixing
JP4378797B2 (ja) * 1999-06-28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資料提示装置
JP3854759B2 (ja) * 1999-08-31 2006-12-06 株式会社コーチ・トゥエンティワン 電話会議システム
JP2003518840A (ja) 1999-10-29 2003-06-10 ユナイテッド ビデオ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テレビビデオ会議システム
WO2001035557A2 (en) * 1999-11-09 2001-05-17 Highcast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media channel
EP1454281B1 (en) 2001-12-15 2012-02-08 Thomson Licensing Quality of service setup on a time reservation basis
AU2003303107A1 (en) 2002-12-31 2004-08-23 Heimbecher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aller using associated sounds
JP2005039598A (ja) * 2003-07-16 2005-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ラクティブ配信システム
US20070127508A1 (en) * 2003-10-24 2007-06-07 Terry Bah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of video data
US7895087B1 (en) * 2004-04-26 2011-02-22 The Jellyvision Lab,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auction
JP4702959B2 (ja) * 2005-03-28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システム
WO2007146111A2 (en) * 2006-06-08 2007-12-21 Ajp Enterprises, Llp Systems and methods of customized television programming over the internet
JP2010534971A (ja) * 2007-07-26 2010-11-11 ノマド イノベ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全二重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9100193A (ja) * 2007-10-16 2009-05-07 Yamaha Corp 選択支援装置および選択支援システム
DE102008002276B4 (de) * 2007-12-06 2011-02-03 Hochschule für Film und Fernsehen "Konrad Wolf"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Bilddaten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S20090187826A1 (en) * 2008-01-22 2009-07-23 Reality Check Studios Inc. Data control and display system
US9276761B2 (en) * 2009-03-04 2016-03-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media consumption
KR101276199B1 (ko) * 2009-08-10 201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자 참여의 iptv 원격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3159996U (ja) * 2010-03-05 2010-06-10 隆司 内山 双方向テレビ放送装置
US9274595B2 (en) * 2011-08-26 2016-03-01 Reincloud Corporation Coherent presentation of multiple reality and interaction mode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175A (ja) * 2001-06-06 200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視聴者映像参加型番組システム
US20070288978A1 (en) * 2006-06-08 2007-12-13 Ajp Enterprises, Llp Systems and methods of customized television programming over the internet
KR20110112686A (ko) * 2010-04-07 2011-10-13 (주)조아영상기술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15273A1 (en) 2021-09-02
CA2883342C (en) 2020-10-27
JP2015534304A (ja) 2015-11-26
KR102223598B1 (ko) 2021-03-04
JP2022046513A (ja) 2022-03-23
US20140049556A1 (en) 2014-02-20
CA2883342A1 (en) 2014-02-27
CN104685865B (zh) 2018-12-28
EP2898673A1 (en) 2015-07-29
IL237349A0 (en) 2015-04-30
AU2017204840A1 (en) 2017-08-03
US8767031B2 (en) 2014-07-01
CN104685865A (zh) 2015-06-03
JP2019033503A (ja) 2019-02-28
JP7394822B2 (ja) 2023-12-08
AU2019204999A1 (en) 2019-08-01
AU2013306175A1 (en) 2015-03-05
WO2014031408A1 (en) 2014-02-27
EP2898673A4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4822B2 (ja) ビデオ通話センター
EP3446445B1 (en) Caller queue process and system to manage incoming video callers
JP2022046513A5 (ko)
JP2019033503A5 (ko)
AU2023208123A1 (en) Video call center
US9654731B2 (en) Video call center
US20080059999A1 (en) Multi-function display controller
CN106791905A (zh) 一种设置多机位视频直播模式的方法
CN107613376A (zh) 一种直播方法及装置
JPS62154988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