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534A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534A
KR20150038534A KR20157005391A KR20157005391A KR20150038534A KR 20150038534 A KR20150038534 A KR 20150038534A KR 20157005391 A KR20157005391 A KR 20157005391A KR 20157005391 A KR20157005391 A KR 20157005391A KR 20150038534 A KR20150038534 A KR 2015003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housing
security device
hold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치 이케야
토모히로 히코사카
케이고 츠보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29Bent or angled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errules comprising functional element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보안기(31)는, 보안기(31)가 장착되는 페룰(21)이 하우징(51)의 페룰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51)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계지 창(58)과 고정 훅(63)에 의한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장착되는 광섬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에 사용되는 회로의 수를 줄이고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광섬유 통신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광섬유 통신 시스템으로써, 광섬유의 단부에 접속되는 페룰(ferrule)과 페룰에 장착되고 광섬유를 유지하는 보안기(protector)가 마련된 광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광 커넥터는, 보안기가 페룰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수용하는 구부러진 형상의 배선 경로를 갖고 보안기가 광 리셉터클(receptacle)에 접합하여, 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광 커넥터로써, 힌지형 직각 굽힘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힌지형 직각 굽힘 커넥터는 광 케이블의 선단에 고정되는 페룰, 광 케이블의 굽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굽힘 가동 수단, 및 페룰과 굽힘 가동 수단을 피복하는 플러그 프레임을 포함하고, 굽힘 가동 수단을 구성하는 힌지 베이스가 스톱 링(stop ring) 내로 감합된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70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3345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 커넥터에서는, 차량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이 광섬유의 굽힘부를 수용하는 보안기에 가해질 경우, 페룰이 광 리셉터클로부터 떨어져 광 통신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유사하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광 커넥터에서는, 차량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이 광섬유의 굽힘부를 수용하는 굽힘 가동 수단에 가해질 경우, 페룰이 플러그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광 통신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이 광 커넥터에 가해지는 경우라도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는 이하의 구성 (1) 및 (2)를 특징으로 한다.
(1) 광 커넥터로,
광섬유의 선단에 고정돠는 페룰;
페룰 상에 장착되고, 페룰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 형상(bend-shaped) 배선 경로를 포함하는 보안기;
상대 커넥터에 대한 접속부로 기능하는 선단측을 갖고, 기단측에 페룰 및 보안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을 위치결정하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 및
하우징 상에 홀더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 및 홀더에 마련되는 계지 유닛을 포함하고,
보안기는, 홀더가 계지 유닛에 의해 홀더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가 장착된 페룰이 페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구성 (1)에 따른 광 커넥터에서, 계지 유닛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계지 창과, 홀더에 형성되고 계지 창에 진입하여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는 훅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훅을 포함하고,
보안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보안기는 고정 훅에 대해 훅 부분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는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다 작아,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 (1)에서, 광 커넥터는 광섬유를 보안기에 의해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어 좁은 공간에 배선할 수 있고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안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폐룰의 위치결정 및 이동을 규제(페룰의 탈락 방지)하는 홀더의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페룰이 떨어지는 것에 의한 광 통신 불량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2)에서, 광 커넥터는 보안기가 고정 훅에 대한 훅 부분의 돌출 방향에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도록 하고, 보안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가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가 작도록 한다. 따라서, 훅 부분이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페룰을 위치결정하고 페룰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홀더의 계지 상태의 해제가 하우징에 대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규제되어, 홀더의 탈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외력을 받은 경우라도,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독하는 것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제거한 상태로 뒤쪽에서 본 광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의 보안기 분할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광 커넥터의 하우징을 하우징의 기단측 상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횡단면도이다.
도 10(A)는 가-계지시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계지시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가-계지시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제거한 상태로 뒤쪽에서 본 광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보안기의 보안기 분할체의 측면도이고, 도 8은 광 커넥터의 하우징을 하우징의 기단측 상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횡단면도이고, 도 10(A)는 가-계지시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계지시 광 커넥터에서 하우징의 기단측의 확대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가-계지시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11)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코드(13)의 단부에 접속된다. 광섬유 코드(13)는,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장착되는 광섬유 통심 시스템에서 신호선을 구성한다. 광섬유 코드(13)는 코어와 클래드(clad)를 포함하는 광섬유의 외주를 피복하도록 구성된다. 광 커넥터(11)는 접속 상대인 통신 시스템의 상대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된다. 따라서, 광섬유 코드(13)의 광섬유의 단면과 상대 커넥터에 마련된 광 수발광 유닛(미도시) 사이에서 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부 근처가 구부러진 광섬유 코드(13)는 광 커넥터(11)를 향해 있다. 따라서, 광섬유 코드(13)는 차량 내 좁은 레일 공간에서 배선을 할 수 있다.
광 커넥터(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ferrule, 21), 보안기(protector, 31), 하우징(51) 및 홀더(holder, 61)를 포함한다.
그 중심부에 섬유 삽입 홀(22)을 포함하는 페룰(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광섬유 코드(13)의 단부는 섬유 삽입 홀(22) 내로 삽입되고 섬유 삽입 홀(22)에 고정된다. 한 쌍의 위치결정 플랜지부(23)는 페룰(21)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계지 플랜지부(24)는 이 페룰(21)의 후단에 형성된다. 한 쌍의 위치결정 플랜지부(23) 및 계지 플랜지부(24)는 페룰(21)의 외주 방향을 따르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광섬유 코드(13)는 그 단부가 위치결정된 페룰(21)의 섬유 삽입 홀(22) 내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광섬유 코드(13)를 페룰(21)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광섬유 코드(13)를 페룰(21)에 고정하는 기술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11)의 보안기(31)에는, 각각 보안기 절반의 일부인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이 마련된다.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일단측은 페룰(21)이 배치되는 접속단(33)으로서 설정되고,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타단측은 광섬유 코드(13)가 인출되는 인출단(34)으로서 설정된다.
서로 조립된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에는,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형상을 따라 그 내에 만곡 형상(bend-shaped)의 배선 경로(35)가 형성된다. 페룰(21)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 코드(13)는 배선 경로(35)에 수용된다. 배선 경로(35)에 수용되는 광섬유 코드(13)는 배선 경로(35)를 따라 안내되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안기(31)의 인출단(34)으로부터 인출된다. 배선 경로(35)는 광섬유 코드(13)의 최소 허용가능 만곡 반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반경의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각각에 마련된 배선 경로(35)의 일부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주변 벽을 형성하는 내주벽(35a)과 외주벽(35b) 사이에 형성된다. 내주벽(35a)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주변 벽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부분이고, 외주벽(35b)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주변 벽의 뒤쪽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의 배선 경로(35)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는 내주벽(35a)과 외주벽(35b) 사이에 놓인 공간이고, 이 공간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이 서로 조립되기 전에,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의 측방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배선 경로(35)의 일부는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의 측방 측으로부터 광섬유 코드(13)로 삽입되어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의 배선 경로(35)의 일부에는, 외주벽(35b)측으로 돌출되는 코드 계지 훅(cord locking hook, 36)이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의 측방 측 상에 위치되는 내주벽(35a)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 코드 계지 훅(36)에 의해, 배선 경로(35)의 일부에 수용된 광섬유 코드(13)가 계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섬유 코드(13)가 배선 경로(35)의 일부에 유지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 코드(13)가 배선 경로(35)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 각각에는, 노치부(notched portion, 37)가 접속단(33)측 상에 형성된다. 노치부(37)가 형성되어 외주벽(35b)은 내주벽(35a)보다 길게 접속단(33)측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광섬유 코드(13)가 배선 경로(35)에 수용되고 페룰(21)이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접속단(33)에 배치될 때, 페룰(21)의 후단면이 외주벽(35b)의 단면과 인접하고 내주벽(35a)의 단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페룰(21)의 후단면과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노치부(37)는 계지 홀(38)을 형성한다.
보안기 분할체(32a)의 일측에는, 보안기 분할체(32b)의 타측으로 돌출하는 계지 피스(41)가 내주벽(35a) 및 외주벽(35b) 각각의 외면측 상에 형성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계지 홀(42)은 계지 피스(41)에 형성된다. 또한, 보안기 분할체(32b)의 타측에는, 계지 훅(44)이 내주벽(35a) 및 외주벽(35b) 각각의 외면측 상에 형성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측방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계지 훅(44)이 계지 피스(41)의 계지 홀(42)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이 서로 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때,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측방 측들이 차단되어, 배선 경로(35)가 형성된다.
또한, 보안기(31)의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각각에는, 내주벽(35a)의 외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유지 훅(retaining hook, 45)이 내주벽(35a)에서 접속단(33) 부근에 형성된다.
하우징(51)과 홀더(61)는 합성 수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홀더(61)가 하우징(51)에 대해 장착된다.
하우징(51)의 기단측은 보안기(31)가 장착되는 장착단(51a)으로 설정되고, 페룰(21)과 보안기(31)의 접속단(33)이 삽입되는 삽입 홀(54)이 장착단(51a)측 상에 위치되는 단면 기판(53)에 형성된다. 이어서, 보안기(31)의 접속단(33)과 페룰(21)이 하우징(51)의 삽입 홀(54) 내로 삽입될 때, 각 보안기 분할체(32a 및 32b)에 형성된 유지 훅(45)은 삽입 홀(54)을 관통하고 삽입 홀(54)의 가장자리 부분을 계지한다(도 4 참조). 더욱이, 하우징(51)에서, 장착단(51a)의 대항하는 측인 선단측은 접속부(51b)로서 기능하고, 이 접속부(51b)는 타 커넥터에 접속된다. 접속부(51b)는 앞뒤 방향으로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 홀(55)을 포함하고, 장착단(51a)으로부터 삽입된 페룰(21)의 선단부는 관통 홀(55) 내로 삽입된다.
하우징(51)에는, 페룰 수용 공간(S)이 장착단(51a) 측 상에 형성된다. 장착단(51a)으로부터 삽입된 페룰(21)과 보안기(31)의 접속단(33)은 이 페룰 수용 공간(S)에 수용된다.
하우징(51)의 장착단(51a) 측에는, 개구부(56)가 그 일면에 형성되고, 홀더(61)가 이 개구부(56) 상에 장착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삽입 홀(54) 내로 삽입되고 페룰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페룰(21)과 보안기(31)의 접속단(33)은 이 개구부(56)로부터 노출된다.
더욱이, 하우징(51)을 구성하는 측벽(57)에는, 계지 창(계지 유닛)(58) 및 슬라이드 그루브(59)가 하우징(51)의 내측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그루브(59)는 홀더(61)가 개구부(56) 상에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측벽(57)의 내면에 구멍이 뚤리도록 구성된다.
하우징(51)의 개구부(56) 상에 장착되는 홀더(61)는, 하우징(51)의 개구부(56)와 거의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홀더 판부(62)를 포함한다. 홀더 판부(62)의 양측 부분에는, 고정 훅(계지 유닛)(63)이 홀더(61)가 개구부(56) 상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고정 훅(63)은 홀더 판부(6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임시 훅 부분(훅 부분)(64) 및 완료 훅 부분(훅 부분)(65)을 포함한다. 임시 훅 부분(64)은 고정 훅(63)의 선단에 배치되고, 완료 훅 부분(65)은 임시 훅 부분(64)으로부터 홀더 판부(62) 상에 형성된다. 임시 훅 부분(64)은 고정 훅(63)으로부터 돌출하는 치수가 완료 훅 부분(65)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홀더(61)를 하우징(51)의 개구부(56) 내로 감합하는 것에 의해, 고정 훅(63)의 임시 훅 부분(64)과 완료 훅 부분(65)이 하우징(51)의 측벽(57)의 계지 창(58)으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계지 창(58)을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분(58a)에 순차적으로 계지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기(31)와 홀더(61)가 하우징(51)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안기(31)는 고정 훅(63)에 대해 임시 훅 부분(64) 및 완료 훅 부분(65)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위치되며, 다시 말해, 임시 훅 부분(64)과 완료 훅 부분(65)의 돌출 방향과 마주보는 두 개의 고정 훅들(63) 사이에 위치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기(31)와 고정 훅(63) 사이의 간극 치수(G)는 임시 훅 부분(64)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A)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고정 훅(63)이 구부러지고 계지 치수(A)를 넘어 변위되는 경우라도, 계지 치수(A) 이상의 변위는 간극 치수(G)와 접촉하게 되는 보안기(31)로 인해 규제된다. 이러한 이유로, 임시 훅 부분(64)은 반드시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된다. 따라서, 폐룰(21)의 위치결정과 유지를 수행하는 홀더(61)가 하우징(51)에 대해 계지된 상태에서, 그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 훅 부분(65)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B)는 고정 훅(63)과 보안기(31) 사이의 간극 치수(G)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하우징(51)의 장착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슬라이드 레일(66)이 홀더(61)의 홀더 판부(62)에서 고정 훅(63)의 근방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홀더 판부(62)에서, 홀더(61)가 하우징(51) 상에 장착될 때, 하우징(51)의 장착 방향으로 돌출하는 페룰 계지 훅(67)과 페룰 유지 돌기(68)가 하우징(51)과 마주보는 면 상에 형성된다.
폐룰 계지 훅(67)은 하우징(51)에 대해 페룰(21)을 삽입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홀더(61)를 하우징(51) 상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51) 내로 삽입된 페룰(21)이 계지되고, 즉, 페룰 계지 훅(67)이 계지 홀(38)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계지 플랜지부(24)의 후단면이 페룰 계지 훅(67)에 의해 계지된다. 따라서, 폐룰(21)이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축 방향에서 폐룰의 이동이 규제되어 유지된다.
폐룰 유지 돌기(68)는 하우징(51)에 대해 보안기(31)를 삽입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홀더(61)를 하우징(51) 상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페룰 유지 돌기(68)는 한 쌍의 위치결정 플랜지부(23) 사이 및 하우징(51) 내로 삽입되는 두 개의 페룰(21) 사이로 들어간다. 따라서, 페룰(21)의 정렬 방향의 이동이 하우징(51) 및 홀더(61)의 페룰 유지 돌기(68)에 의해 규제되고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페룰(21)이 하우징(51)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광 커넥터(11)를 조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페룰(21)이 단부에 고정되는 광섬유 코드(13)가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배선 경로(35)에 수용된다. 이어서,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의 측방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계지 훅(44)이 계지 피스(41)의 계지 홀(42)에 계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섬유 코드(13)는, 최소 허용가능 만곡 반경 이상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보안기(31)의 배선 경로(35)에 수용된다. 따라서, 광섬유 코드(13)의 굽힘부는 최소 허용가능 만곡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안기(31)에 의해 보호된다.
다음으로, 보안기(31)의 접속단(33)으로부터 돌출하는 페룰(21)이 하우징(51)의 삽입 홀(54) 내로 삽입된다. 이 때,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계지 상태가 하우징(51)에 설정되어, 홀더(61)가 개구부(56) 내에 감합되고 고정 훅(63)의 임시 훅 부분(64)이 계지 창(58)으로 들어간다.
페룰(21)은 그 선단부가 관통 홀(55)의 기결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지점까지 삽입되고, 보안기(31)의 접속단(33)은 삽입 홀(54)을 통해 하우징(51)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안기(31)의 보안기 분할체들(32a 및 32b)에 형성된 보유 훅(45)이 삽입 홀(54)을 통과하고 하우징(51)에서 페룰 수용 공간(S)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이 보유 훅(45)은 하우징(51)의 단면 기판(53)에서 삽입 홀(54)의 가장자리 부분에 계지된다. 따라서, 보안기(31)는 하우징(51)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하우징(5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보안기(31)는 고정 훅(63)에서 임시 훅 부분(64)과 완료 훅 부분(65)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31)와 고정 훅(63) 사이의 간극 치수(G)는, 임시 훅 부분(64)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A)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고정 훅(63)이 계지 치수(A) 이상으로 구부러지고 변이되는 경우라도, 계지 치수(A)를 넘는 변이는 간극 치수(G)와 접촉하게 되는 보안기(31)로 인해 규제된다. 이러한 이유로, 임시 훅 부분(64)은 반드시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된다. 따라서, 페룰(21)을 위치결정하고 보유하는 것을 수행하는 홀더(61)가 하우징(51)에 대해 계지된 상태에서, 상술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 후, 도 3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계지 상태에서 홀더(61)는 하우징(51) 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61)에서 고정 훅(63)의 완료 훅 부분(65)은 계지 창(58)에 들어가는 본-계지 상태로 설정된다. 이 때, 완료 훅 부분(65)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B)는 고정 훅(63)과 광 커넥터(11)의 보안기(31) 사이의 간극 치수(G) 이하이다. 따라서, 홀더(61)는 하우징(51) 내로 충분히 삽입된다.
이와 같이, 홀더(61)가 하우징(51) 내로 삽입되어 본-계지 상태가 하우징(51)에 대해 설정될 때, 홀더(61)의 페룰 계지 훅(67)이 계지 홀(38)로 들어가고, 그 후 페룰(21)의 계지 플랜지부(24)의 후단면에 계지된다. 따라서, 페룰(21)은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보유된다. 따라서, 페룰 유지 돌기(68)가 두 개의 페룰(21) 사이로 들어가서 페룰(21)의 정렬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페룰(21)이 하우징(51)에 유지된다.
또한, 홀더(61)가 하우징(51) 상에 장착될 때, 홀더(61)의 슬라이드 레일(66)은 하우징(51)의 슬라이드 그루브(59)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홀더(61)가 덜걱거리지 않고 폭 방향에서 하우징(51)에 대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커넥터(11)에 따르면, 보안기(31)는 광섬유 코드(13)가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고 광섬유 코드(13)의 굽힘부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보안기(31)를 하우징(5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페룰(21)의 위치결정과 보유를 수행하는 홀더(61)의 하우징(51)에 대한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페룰(21)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광 통신 불량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안기(31)가 돌출 방향에서 고정 훅(63)의 임시 훅 부분(64)과 완료 훅 부분(65)에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31)와 고정 훅(63) 사이의 간극 치수(G)는 임시 훅 부분(64)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A)보다 작다. 따라서, 고정 훅(63)이 계지 치수(A) 이상으로 만곡되고 변이되는 경우라도, 계지 치수(A)를 넘는 변이는 간극 치수(G)와 접촉하게 되는 보안기(31)에 의해 규제된다. 이러한 이유로, 임시 훅 부분(64)은 반드시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된다. 따라서, 페룰(21)의 위치결정과 보유를 수행하는 홀더(61)가 하우징(51)에 대해 계지된 상태에서, 상술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 커넥터(11)는 외력이 광 커넥터(11)에 가해지더라도 광섬유 코드(13)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보안기(31)가 하우징(51)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안기(31)와 고정 훅(63) 사이의 간극 치수(G)는, 임시 훅 부분(64)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A)보다 작게 구성된다. 간극 치수(G)는, 완료 훅 부분(65)이 계지 창(58)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B)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안기(31)가 하우징(5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홀더(61)가 하우징(51)에 완전히 계지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커넥터(11)의 조립 순서는 페룰(21)이 하우징(51)에 포함된 상태에서 홀더(61)를 본-계지 상태에 있도록 하고, 그 후 보안기(31)는 하우징(51)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선 등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각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재료, 형상, 크기, 숫자, 배열 위치 등은 임의적이며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의 실시형태의 특징을 간략히 요약하여 이하의 각 설명 [1] 및 [2]에 나열한다.
[1] 광 커넥터로,
광섬유(광섬유 코드(13))의 선단에 고정되는 페룰(21);
페룰 상에 장착되고, 페룰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 형상 배선 경로를 포함하는 보안기(31);
상대 커넥터에 대한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선단측을 갖고 그 기단측 상에 페룰과 보안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수용 공간(S)을 포함하는 하우징(51);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페룰 수용 공간에 페룰을 위치시키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61); 및
홀더를 하우징 상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과 홀더에 마련되는 계지 유닛(고정 훅(63), 계지 창(58))을 포함하고,
보안기는, 홀더가 계지 유닛에 의해 홀더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가 장착된 페룰이 페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구성 [1]에 따른 광 커넥터에서,
계지 유닛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계지 창(58)과, 홀더에 형성되고 계지 창에 들어가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58a)에 계지되는 훅 부분(임시 훅 부분(64) 및 완료 훅 부분(65))을 포함하는 고정 훅(63)을 포함하고,
보안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보안기는 고정 훅에 대해 훅 부분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는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다 작아,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도면 또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벋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2년 9월 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194483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는 외력이 광 커넥터에 가해지더라도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 광섬유 통신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광 커넥터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11: 광 커넥터
13: 광섬유 코드(광섬유)
21: 페룰
31: 보안기
35: 배선 경로
51: 하우징
51b: 접속부
58: 계지 창(계지 유닛)
58a: 가장자리 부분
61: 홀더
63: 고정 훅(계지 유닛)
64: 임시 훅 부분(훅 부분)
65: 완료 훅 부분(훅 부분)
A, B: 계지 치수
G: 간극 치수
S: 페룰 수용 공간

Claims (2)

  1. 광섬유의 선단에 고정되는 페룰;
    페룰 상에 장착되고, 페룰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 형상 배선 경로를 포함하는 보안기;
    상대 커넥터에 대한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선단측을 갖고, 그 기단측 상에 페룰과 보안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페룰 수용 공간에 페룰을 위치시키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 및
    홀더를 하우징 상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과 홀더에 마련되는 계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기는, 홀더가 계지 유닛에 의해 홀더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가 장착된 페룰이 페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유닛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계지 창과, 홀더에 형성되고 계지 창에 들어가고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에 계지되는 훅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훅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상기 보안기는 고정 훅에 대해 훅 부분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는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다 작아,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KR20157005391A 2012-09-04 2013-09-03 광 커넥터 KR201500385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4483A JP6068881B2 (ja) 2012-09-04 2012-09-04 光コネクタ
JPJP-P-2012-194483 2012-09-04
PCT/JP2013/073702 WO2014038556A1 (ja) 2012-09-04 2013-09-03 光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534A true KR20150038534A (ko) 2015-04-08

Family

ID=5023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5391A KR20150038534A (ko) 2012-09-04 2013-09-03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3006B2 (ko)
EP (1) EP2894500B1 (ko)
JP (1) JP6068881B2 (ko)
KR (1) KR20150038534A (ko)
WO (1) WO20140385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06A (ko) 2021-03-29 2022-10-06 남상엽 운송 수단용 광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881B2 (ja) * 2012-09-04 2017-01-25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16100286A (ja) 2014-11-25 2016-05-3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照明装置、および発光装置
WO2017022085A1 (ja) 2015-08-04 2017-0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接続部品
CN112034569A (zh) 2015-08-13 2020-12-04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连接部件
JP6919894B2 (ja) * 2017-09-25 2021-08-18 北川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CN107976749A (zh) * 2017-11-02 2018-05-01 温州意华接插件股份有限公司 导光结构及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8902B1 (en) * 1985-12-26 1993-04-07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US6072613A (en) * 1995-08-21 2000-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Opto module
SE506319C2 (sv) * 1995-08-21 1997-12-01 Ericsson Telefon Ab L M Kontaktfjäder samt anordning vid en elektrooptisk krets
SE504811C2 (sv) 1995-08-21 1997-04-28 Ericsson Telefon Ab L M Kopplingsdon samt anordning vid elektrooptisk krets
US6130983A (en) * 1998-12-23 2000-10-10 Cheng; Yu-Feng Rotatable L-shaped fiber optic connector
GB2357857B (en) * 1999-12-27 2003-06-18 Yazaki Corp Connector having pivotably accommodated optic fibre ferrule
DE60127581T2 (de) * 2000-07-03 2008-01-31 Yazaki Corp. Optisches Ringnetzwerk, optischer Steckverbinder und Hybridsteckverbinder
JP2002341182A (ja) * 2001-05-14 2002-11-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光コネクタ
JP4064784B2 (ja) * 2002-10-16 2008-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04288545A (ja) * 2003-03-24 2004-10-14 Yazaki Corp コネクタ用プロテクタ
JP4733660B2 (ja) 2007-03-20 2011-07-27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ンジ式直角曲げコネクタ
JP4482591B2 (ja) * 2008-03-28 2010-06-16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20100284656A1 (en) * 2009-05-07 2010-11-11 Ofs Fitel, Llc Short profile optical connector
JP5599237B2 (ja) * 2010-06-23 2014-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5562155B2 (ja) 2010-07-20 2014-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068881B2 (ja) * 2012-09-04 2017-01-25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06A (ko) 2021-03-29 2022-10-06 남상엽 운송 수단용 광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7464A1 (en) 2015-06-25
JP6068881B2 (ja) 2017-01-25
US9323006B2 (en) 2016-04-26
WO2014038556A1 (ja) 2014-03-13
JP2014048656A (ja) 2014-03-17
EP2894500A4 (en) 2016-04-06
EP2894500B1 (en) 2019-11-06
EP2894500A1 (en)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8534A (ko) 광 커넥터
JP4128824B2 (ja) 光コネクタ
US9279940B2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US8851763B2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CA2744098A1 (en) Security system for optical plug-in connector
US8845209B2 (en) Optical connector with vertical opening prevention ribs
JP2006215276A (ja) 光コネクタ
US9563025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itting structure
US20140348472A1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metal case for optical connector
US9146363B2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US9116316B2 (en) Optical connector, 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KR20160035008A (ko) 광 커넥터, 커넥터 본체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3652621B2 (ja) 光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光中継コネクタ
JP5562155B2 (ja) 光コネクタ
CN110888198B (zh) 光纤衰减器
JP5508103B2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
JP6483785B1 (ja) 把持部材
JP2002182075A (ja) 光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5582228B2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1112767A (ja) 光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40001151A (ko) 광 루프백 커넥터
JP2013064959A (ja) 光コネクタ
JP201906095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