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139A - 푸드 밀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푸드 밀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139A
KR20150038139A KR20157004257A KR20157004257A KR20150038139A KR 20150038139 A KR20150038139 A KR 20150038139A KR 20157004257 A KR20157004257 A KR 20157004257A KR 20157004257 A KR20157004257 A KR 20157004257A KR 20150038139 A KR20150038139 A KR 20150038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stone
rotation
conical
mill
m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 타니와키
마사테루 야마시타
츠토무 카노
히토시 카토
Original Assignee
네퓨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퓨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네퓨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3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4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과제]
과열 증기에 의해 가열 연화 처리된 각종 식재를 세포의 파괴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스트레이너에 통과시켜 체 거름 처리하며, 식재 본래의 색채, 향기, 미각, 영양가가 그대로 유지된 퓌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등에 바람직한 푸드 밀의 운전 방법, 및 자동 푸드 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해결 수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 내지 마쇄함과 동시에,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여과물 포집부 및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킨다.

Description

푸드 밀의 운전 방법{METHOD FOR OPERATING FOOD MILL}
본 발명은 과열 증기에 의해 가열 연화 처리된 각종 식재(예컨대, 야채, 과일, 곡물 등)를 스트레이너(strainer)에 통과시켜서 체 거름 처리함으로써 퓌레(puree)를 제조하는 경우 등에 바람직한 푸드 밀의 운전 방법 및 자동 푸드 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 중, 네퓌레 주식회사는, 먼저, 과열 증기(예컨대, 120~500℃의 과열 수증기) 분위기 중에서 단시간(예컨대, 30~240초) 가열 연화 처리된 각종 식재(예컨대, 야채, 과일, 곡물 등)를 스트레이너(「스크린」이라고도 함)에 통과시켜서 체 거름 처리함으로써 퓌레를 제조하는 신규한 퓌레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신규한 퓌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체 거름 처리에 앞서, 식재를 고온의 과열 증기로 단시간에, 거의 무산소 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킴으로써, 체 거름 처리에 앞서, 식재를 장시간 삶어 가열 연화시키는 통상의 퓌레와는 다르며, 가열 연화 처리의 과정에 있어서의 식재의 산화나 세포의 파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체 거름 처리에 있어서도, 가열 연화 처리된 식재를 가능한 한 분쇄하지 않고, 그대로 스트레이너에 밀어 넣어 통과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퓌레는 대부분의 세포가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겨지고, 산화에 의한 변질도 적기 때문에, 식재 본래의 색채, 향기, 미각, 영양가가 그대로 유지되는 점 외에 식재에 따라 특유의 부가적 효과(면역 활력 효과, 면역 밸런스 억제 효과, 찻잎 영양가 증강 효과, 대두 영양가 증강 효과)도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특허 문헌 2~5 참조).
그런데, 종래, 이러한 퓌레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푸드 밀로는 수직 공전축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경사 자전축의 둘레를 자전하는 복수의 원통형 용기 내에 동일 용기보다 직경이 작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스트레이너를 배치하고, 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스트레이너 내에 놓여진 연화 처리된 식재를 공전과 자전의 합성 원심력에 의해 원통형 스트레이너의 둘레벽으로 억지로 통과시켜서 체 거름 처리하는 제1 종래 장치(특허 문헌 1, 6 참조), 동일한 원통형 용기의 탑부 입구를 하나로 정리함과 동시에 각 바닥부 출구를 환상 제품 받이부로 연통함으로써, 연화 식재를 탑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용기 내로 공급하면서, 바닥부로부터 여과물(퓌레)과 잔사를 별도로 또는 연속적으로 용기 외로 배출 가능하게 한 제2 종래 장치(특허 문헌 7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형분과 액체분이 혼합된 고액 혼합 원료로부터 고형분과 액체분을 연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는 원추 오목면상 스트레이너(스크린)를 오목면을 상향 수직한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액상물은 원심력에 의해 스트레이너의 경사면을 통과(투과)하는 한편, 고형분은 원심력에 의해 스트레이너의 원추형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 주연부로부터 흘러나오도록(원심력으로 흔들어 날림) 한 제3 종래 장치(특허 문헌 8)가 알려져 있다.
더욱이, 제분기의 분야에 있어서는, 원추 볼록면상의 마찰되는 마찰면을 갖는 하측 맷돌과 원추 오목면상의 마찰되는 마찰면을 갖는 상측 맷돌을 동축으로 상하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것들의 간격에 있어서, 낟알을 분쇄하도록 한 제4 종래 장치(특허 문헌 9)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2009-178168호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2009/154051팜플렛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2011/016432팜플렛 [특허 문헌 4] 일본특허공개공보2011-217641호 [특허 문헌 5] 일본특허공개공보2011-217642호 [특허 문헌 6] 일본특허공개공보2001-299191호 [특허 문헌 7] 일본특허공개공보2010-179265호 [특허 문헌 8] 일본특허공개공보2003-071322호 [특허 문헌 9] 일본특허공개공보2009-248072호
제1 및 제2 종래 장치에 의하면, 원래, 복수 식재의 파쇄 혼합을 목적으로 설계된 장치이기 때문에, 복수 식재의 혼합된 퓌레의 제조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공전을 유지하면서 자전하는 용기에 대하여, 연화 식재의 공급과 여과물 및 잔사의 배출을 연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급/배출 기구를 채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장치가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스트레이너 통과에 필요한 식재 가압력은 공전과 자전의 복잡한 합성 원심력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재 가압력의 조정은 자전 및 공전의 쌍방의 회전수 변경에 의하게 되며, 연화 식재의 성질(밀도, 경도, 크기, 섬유 함유율,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스트레이너 통과에 필요한 최적의 식재 가압력을 얻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 않다.
제3 종래 장치에 의하면, 액체분은 원심력에 의해 스트레이너를 통과하는 한편, 고형분은 원심력에 의해 스트레이너의 원추형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 주연부로부터 흘러나온다는 고액 분리 원리로 본다면, 고형분과 액체분이 명확하게 분리되었거나 또는 고형분에 비해 액체분이 충분히 많다고 하는 고액 혼합 원료에는 비교적 유효하지만, 과열 증기에 의한 연화 처리된 식재와 같이 고형분과 액체분의 결합이 비교적 견고하거나, 또는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은 고액 혼합 원료로부터 고액 분리하는 용도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제4 종래 장치에 의하면, 원추 볼록면상의 마찰되는 마찰면을 갖는 하측 맷돌과 원추 오목면상의 마찰되는 마찰면을 갖는 상측 맷돌을 동축으로 상하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그것들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그것들의 간격에 있어서, 낟알을 분쇄하는 것이 이해되지만, 그 용도는 낟알 등의 건조 입체의 제분에 한정되며, 고액 혼합 원료로부터 고액 분리하는 용도로의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나 시사도 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하측 맷돌과 상측 맷돌에서는 요철 관계가 반대인 경우도 있고, 제3 종래 장치와의 사이에는 결합 저해 요인이 존재한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먼저 일본특허출원2012-108210(2012년 5월 10 일 출원)에 있어서,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맷돌과,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맷돌을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킨 채로,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원추형 볼록면이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면서 상기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해서 이루어지는 신규한 구조의 푸드 밀을 제안하고 있다.
이 푸드 밀에 의하면, 상측 맷돌의 회전 모양, 하측 맷돌의 회전 모양,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선택 조합에 의해, 연화 식재의 성질(밀도, 경도, 크기, 섬유 함유율, 수분 함유율, 종자나 껍질의 유무 등)에 맞추어 다양한 운전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신규한 구조를 갖는 푸드 밀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운전 방법 및 동일 방법을 채용하는 자동 푸드 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명세서의 이하의 기술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하의 기본 구성을 갖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운전 방법은 본 발명자가 먼저 제안한 신규한 구조를 갖는 푸드 밀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이 푸드 밀은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원추대형 오목면을 포함)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맷돌과,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맷돌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킨 채로,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원추형 볼록면이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면서 상기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푸드 밀은 원료 식재를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상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볼록면의 상기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재 공급 통로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통과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부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사를 포집하는 잔사 포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운전 방법은 상기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 내지 마쇄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물 포집부 및 상기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는 그것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개재하는 원료 식재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이나 상하 맷돌의 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고, 회전 속도차의 크기는 일정할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하측 맷돌이 가지는 고액 분리 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원료 식재의 성질, 여과물(퓌레)의 추출 속도, 및 잔사의 배출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잔사의 연속 배출을 의도하는 것이라면, 원심력의 필요로부터 어느 일정 이상의 회전 속도가 요구된다.
더욱이,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와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의 관계에 대해서도,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이나 상하 맷돌의 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에 의한 작용]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급되는 원료 식재(예컨대, 과열 증기에 의한 가열 연화 처리된 식재)는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간격으로 빨려 들어가도록 밀어 넣어진 후,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에 따른 전단력을 의해 파쇄 내지 마쇄되면서,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기인하는 하측 맷돌의 고액 분리 작용에 의해, 여과물(퓌레)과 잔사(껍질이나 씨 등을 포함)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여과물 포집부 및 잔사 포집부로 이끌린다. 이 때, 공급되는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에 따른 변동은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나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조정에 의해, 어느 정도는 흡수되기 때문에, 다양한 성질의 원료 식재에 대해서도 고품질의 여과물(퓌레)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1]
상기의 운전 방법의 기본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속도차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변화」란, 예컨대 정현파나 방형파나 톱니형파에 따른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개재되는 원료 식재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강도는 주기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전단력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의 원료 식재(통상, 형상이나 덩어리의 정도가 불균일)의 파쇄 내지 마쇄가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식재의 폐색 상태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2]
상기의 실시 양태 1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속도의 주기적 변화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는」은, 예컨대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N으로 할 때,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N±ΔN(ΔN는 편차)의 범위에서 예컨대 정현파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측 맷돌상에 예컨대 방사상으로 배열된 여과용 개공은 동일 정회전/역회전이 양방향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마찰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마찰되는 경우에 비해 각 여과용 개공이 잔사에 의한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3]
상기의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에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을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이란, 회전 속도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서 원료 식재의 일시적인 폐색 상태가 일어나더라도,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에 의한 주기적인 진동 내지 충격에 의해, 그러한 폐색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소시켜서, 항상, 원활한 파쇄 내지 고액 분리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4]
상기의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상기 간격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변화」란, 예컨대 정현파나 톱니형파에 따른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확대될 때, 원료 식재는 적극적으로 상하 맷돌 사이로 밀어 넣어짐과 동시에, 잔사가 배출되는 반면에, 상하간의 간격이 축소될 때는, 상측 맷돌이 강하함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서 원료 식재의 파쇄가 진행되므로, 상기 파쇄 작용과 고액 분리 작용이 맞물려 여과물(퓌레)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5]
상기의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상기 간격을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은, 예컨대, 회전 부하가 증대할 때에는 간격을 확대하는 한편, 회전 부하가 감소할 때에는 간격을 축소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파쇄가 진행됨에 따라 부피가 작아져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감소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 과일 등의 식재) 일 때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축소함으로써, 상측 맷돌이 극도로 공전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게 적절히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근채류 등의 딱딱한 식재)일 때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구동 모터가 과부하 상태가 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운전 방법의 실시의 양태 6]
상기의 운전 방법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이란, 예컨대, 상측 맷돌 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증대할 때는 상측 맷돌 또는 하측 맷돌 자체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근채류 등의 딱딱한 식재)일 때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상측 맷돌이나 하측 맷돌의 구동 모터가 과부하 상태가 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상기 운전 방법이 자동적으로 실시되도록 제어부나 구동부를 구성함으로써 자동 푸드 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자동 푸드 밀은,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맷돌과,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정회전/역회전이 모두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맷돌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킨 채로,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원추형 볼록면이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면서 상기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이 자동 푸드 밀은 원료 식재를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상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볼록면의 상기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재 공급 통로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통과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부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사를 포집하는 잔사 포집부와, 1 또는 2 이상의 구동원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운동,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운동, 및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접리 운동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및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상기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간격이 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구동원이 되는 1 혹은 2 이상의 서보 모터와, 그것들의 서보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상측 맷돌의 회전 운동, 하측 맷돌의 회전 운동, 상하 맷돌간의 간격 접리 운동으로 각각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개의 운동에 대해 각각 별개의 서보 모터 및 동력 전달 기구를 대응시키면, 제어가 쉽게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부의 소정 조작으로 지정되는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을 각각 인식하고, 그러한 목표치에 대응하여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지령치를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와, 이 연산 처리부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치에 근거하여 각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서보 드라이버(서보 앰프라고도 함)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연산 제어부로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제어 기능을 C언어 등의 PC언어로 결합시킨 퍼스널 컴퓨터(PC)나 목적으로 하는 제어 기능을 러더 도면 언어 등의 PLC언어로 결합시킨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로 구성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를 PC로 구성할 경우에는, PC에 설치된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을 그대로 조작부로 이용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를 PLC로 구성할 경우에는, PLC시스템에 통상 결합시키는 터치 패널 구성의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을 조작부로 이용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에 의한 작용]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소정 조작으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을 지정하면, 제어부의 작용으로 구동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각각 지정된 내용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 내지 마쇄함과 동시에,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물 포집부 및 상기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자동 푸드 밀에 의하면, 상하 맷돌의 회전 모양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상하 맷돌의 어느 일방은 정지시킨 채로 다른 쪽만을 회전시키거나,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맷돌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회전 속도를 최고 속도까지 상승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를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하는 다양한 운전 형태를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운전 상태를 찾아내기 위한 튜닝 조작,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원료 식재가 막혔을 때나 여과공이 막혔을 때 등의 해소 조작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1]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변화」란, 예컨대 정현파나 방형파나 톱니형파에 따른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개재되는 원료 식재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강도는 주기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전단력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서 원료 식재(통상, 형상이나 덩어리의 정도가 불균일)의 파쇄가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폐색 상태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2]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차의 변화는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진다」라는, 예컨대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N으로 할 때,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N±ΔN(ΔN는 편차)의 범위에서 예컨대 정현파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하측 맷돌상에 예컨대 방사상으로 배열된 여과용 개공은 동일하게 정회전/역회전이 양방향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마찰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마찰되는 경우에 비해 각 여과용 개공이 잔사에 의한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3]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에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이 생기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이란, 회전 속도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하측 맷돌 및/또는 상측 맷돌의 회전에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서 원료 식재의 일시적인 폐색 상태가 일어나더라도,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에 의한 주기적인 진동 내지 충격에 의해, 그러한 폐색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소시켜서, 항상, 원활한 파쇄 내지 고액 분리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4]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변화」란, 예컨대 정현파나 방형파나 톱니형파에 따른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확대될 때, 원료 식재는 적극적으로 상하 맷돌 사이로 밀어 넣어짐과 동시에, 잔사가 배출되는 반면에, 상하간의 간격이 축소될 때는, 상측 맷돌이 강하함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서 원료 식재의 파쇄가 진행되므로, 상기 파쇄 작용과 고액 분리 작용이 맞물려 여과물(퓌레)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5]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이란, 예컨대, 회전 부하가 증대할 때에는 간격을 확대하는 한편, 회전 부하가 감소할 때에는 간격을 축소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하측 맷돌 및/또는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파쇄가 진행됨에 따라 부피가 작아져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감소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 과일 등의 식재) 일 때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축소함으로써, 상측 맷돌이 극도로 공전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게 적절히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근채류 등의 딱딱한 식재) 일 때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구동 모터가 과부하 상태가 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6]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이란, 예컨대, 상측 맷돌 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증대할 때는 상측 맷돌 또는 하측 맷돌 자체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기능 선택 조작만으로, 하측 맷돌 및/또는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하측 맷돌 및/또는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 원료 식재(예컨대, 근채류 등의 딱딱한 식재) 일 때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서서히 확대함으로써, 상측 맷돌이나 하측 맷돌의 구동 모터가 과부하 상태가 되는 사태를 회피하거나, 혹은 상측 맷돌의 부하를 파쇄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7]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수를 지정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모양과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모양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상관 관계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수를 자동 지정하는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의 회전 모양과 하측 맷돌의 회전 모양의 상대적인 관계는 유지하면서도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만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면서 최적의 고액 분리점으로의 튜닝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 관계는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수와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수의 차이가 일정하다면, 식재의 마쇄 작용의 정도는 유지하면서 고액 분리 작용만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8]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억 조작에 의해 상측 맷돌 및/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의 현재 지정치, 및/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현재 지정치를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능과,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독출 조작에 의해 상측 맷돌 및/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의 기억치, 및/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기억치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지정치로 설정하는 기능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 및/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의 현재 지정치, 및/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현재 지정치로서 최적의 값을 얻었을 때, 그것들의 최적치를 소정의 메모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이것들을 독출함으로써, 언제라도 최적치로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모리로의 기억, 및 메모리로부터의 독출 설정이 사용되는 식재 품종마다 실행 가능하다고 한다면, 각 식재 품종마다 최적의 운전 상태로의 설정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9]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상기 상측 맷돌, 및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각각에 대응되는 3개의 아날로그 조작자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의 지정 및 간격의 지정은 각각 해당하는 상기 아날로그 조작자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조작자」란, 슬라이드 조작자나 회전 조작자 등과 같이 아날로그치를 지정 가능한 조작자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조작자」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조작자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기의 스크린상에 표시되어 GUI(Graphical User Intrerface)를 구성하는 조작자도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상측 맷돌 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수나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에 맞추어서 최적의 운전 상태를 찾아내기 위한 튜닝 조작 등에 적합하게 된다.
[자동 푸드 밀의 실시의 양태 10]
상기의 자동 푸드 밀의 기본 구성, 및 각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상기 상측 맷돌, 및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각각에 대응되는 3개의 디지털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고, 현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현재의 간격의 확인은 각각 해당하는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맷돌 및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 및 현재의 간격의 확인을 수치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기록해 두거나, 공지된 프리셋 기능을 내장하여 자동적으로 메모리에 기억해 두면, 기존의 원료 식재에 대해서는, 최적의 운전 상태를 용이하게 재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드 밀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공급되는 원료 식재(예컨대, 과열 증기에 의한 과열 연화 처리된 식재)는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간격으로 빨려 들어가도록 밀어 넣어진 후,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에 따른 전단력에 의해 파쇄되면서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기인하는 하측 맷돌의 고액 분리 작용에 의해 여과물(퓌레)과 잔사(껍질이나 씨 등을 포함)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여과물 포집부 및 잔사 포집부로 이끌린다. 이 때, 공급되는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에 따른 변동은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나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조정에 의해 어느 정도는 흡수되기 때문에, 다양한 성질의 원료 식재에 대해서도 고품질의 여과물(퓌레)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푸드 밀에 의하면, 조작부의 소정 조작으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을 지정하면, 제어부의 작용으로 구동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각각 지정된 내용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물 포집부 및 상기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자동 푸드 밀에 의하면, 상하 맷돌의 회전 모양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상하 맷돌의 어느 일방은 정지시킨 채로 다른 쪽만을 회전시키거나,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맷돌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회전 속도를 최고 속도까지 상승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를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는 다양한 운전 형태를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운전 상태를 찾아내기 위한 튜닝 조작,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원료 식재가 막혔을 때나 여과공이 막혔을 때 등의 해소 조작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푸드 밀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2는 자동 푸드 밀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자동 푸드 밀의 일부 파단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하측 맷돌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측 맷돌의 일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전기적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설정용 화면(기본 항목 설정용)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설정용 화면(옵션 항목 설정용)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0은 설정 처리의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1은 기본 항목 설정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2는 옵션 항목 설정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3은 운전 처리의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4는 하측 맷돌 회전 구동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5는 간격 접리 구동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 16은 운전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1)이다.
도 17은 운전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2)이다.
도 18은 운전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3)이다.
도 19는 운전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그 4)이다.
도 20은 원료 식재 안내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홀드 부재의 저면도(그 1)이다.
도 21은 원료 식재 안내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홀드 부재의 저면도(그 2)이다.
도 22는 여과용 개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여과용 개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여과용 개공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원추형 볼록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홀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5(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7은 원추형 오목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7(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9는 원추형 오목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스트레이너 부재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여과용 개공, 미도시)이다.
도 30은 원추형 오목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방법이 적용된 자동 푸드 밀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푸드 밀의 기구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푸드 밀(10A)은 발판(1)에 의해 적당한 높이로 지지된 체 거름 처리부(2)를 가진다. 도 1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체 거름 처리부(2)는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하측 맷돌(201)과,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상측 맷돌(204)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맷돌(201)은 본 예에서는 평탄한 중심영역(201b)과 거의 전체 둘레를 차지하는 경사면(201c)과 평탄한 폭이 좁은 플랜지상 주연부(201e)를 갖는 둔각 원추대형의 금속제 판체(예컨대, 알루미늄제 판, 스텐레스제 판 등)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경사면(201c)에 복수개의 방사상 직선의 각각에 따라 복수의 여과용 개공(201d)을 거의 등간격으로 벌림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갖는 여과면(스트레이너)으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맷돌(204)은 본 예에서는 상면(204g)이 평탄하면서 압압면이 되는 저면(204a)이 원추형 볼록면인 금속제 중 실체(예컨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품, 순수한 스텐레스 제품 등)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 중심 위치에는 1개의 입구공(204e)이, 또한 저면(204a)의 중심 근방에는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3개의 출구공(204b)이 각각 개구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1개의 입구공(204e)과 3개의 출구공(204b) 사이를 연통하도록 내부에서 3개로 분기하는 원료 식재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강성을 갖는 압압면으로서의 기능이 부여됨과 동시에, 1개의 입구공(204e)에서 3개의 출구공(204b)으로 분기하는 식재 공급 통로의 일체 성형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내부에서 복수개로 분기하는 식재 공급 통로는 상측 맷돌(204)의 회전과 함께 원심력의 작용으로 식재 흡입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식재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3개의 출구공(204b)의 각각에는 각각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용돌이 곡선상 내지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식재 안내홈(204c)의 개시점이 접속됨과 동시에, 3개의 식재 안내홈(204c)의 각각의 종료점은 주연부(204d) 근방에까지 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호 204d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플랜지상 주연부이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와, 하측 맷돌(201)은 베어링(20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수직한 샤프트(202)의 상단부에 수평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측 맷돌(201)은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측 맷돌(204)은 승강대(301)에 고정된 베어링(20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매달아 지지된 수직한 원료 식재 공급관(205)의 하단부에, 공급관(205)과 입구공(204e)이 연통하도록 하여, 수평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맷돌(204)은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또한,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은 원추형 오목면과 원추형 볼록면이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키면서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하측 맷돌(201)의 샤프트(202)는 회전 구동계(4)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 구동계(4)는 임의의 속도로의 정회전/역회전이 가능한 제1 서보 모터(401)와, 샤프트(202)에 고정된 종동 풀리(403)와, 제1 서보 모터(401)의 출력축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403) 사이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402)로 구성된다. 한편, 상측 맷돌(204)에 접속된 원료 공급관(205)은 회전 구동계(5)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 구동계(5)는 임의의 속도로의 정회전/역회전이 가능한 제2 서보 모터(501)와, 원료 공급관(205)에 고정된 종동 풀리(504)와, 제2 서보 모터(501)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502)와 종동 풀리(504) 사이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50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은 모두 동력에 의해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쌍방향으로 임의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206)을 지지하는 승강대(3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네 모서리에 배치된 가이드 슬리브(303)를 각각 수직한 가이드 로드(302)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수평 자세를 유지한 채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대(301)는 승강 구동계(6)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이 승강 구동계(6)는 지지대(304)에 대해 장착구(601)를 통해 고정된 제3 서보 모터(602)와, 제3 서보 모터(602)의 회전운동을 수직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볼 나사 샤프트(60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측 맷돌(201)의 원추형 오목면과 상측 맷돌(204)의 원추형 볼록면의 간격은 하측 맷돌(201) 및 상측 맷돌(204)의 회전을 유지한 채로 동력에 의해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푸드 밀(10A)은 원료 식재(예컨대, 과열 증기에 의한 연화 식재) R를 하측 맷돌(201)의 원추형 오목면과 상측 맷돌(204)의 원추형 볼록면의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료 식재 공급 통로를 가진다. 본 예에서는 원료 식재 공급 통로란, 원료 식재 공급관(205)를 경유한 후, 상측 맷돌(204)의 입구공(204e)에서 3개의 출구공(204b)으로 통하는 일련의 통로를 말한다(도 3, 도 5 참조).
이 푸드 밀(10A)은 더욱이,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이 원료 식재(R)를 사이에 두고 회전할 때, 하측 맷돌(201)의 원추형 오목면을 통과(투과)하는 여과물(Q)를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조(207)와,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이 원료 식재(R)를 사이에 두고 회전할 때, 원추형 오목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부 주연(201e)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사(P)를 포집하는 잔사 포집조(20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물 포집조(207)는 본 예에서는 하측 맷돌(201)의 하면 전체 둘레를 포위함과 동시에, 정면에서 보아 앞으로 경사 강하하는 내저면(207b)를 가지며, 이 내저면은 여과물 배출관(207a)에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여과물 배출관(207a)의 선단 바로 밑에 적당한 용기를 세트해 둠으로써, 생성된 여과물(퓌레)을 연속적으로 꺼내 저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사 포집조(208)는 본 예에서는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의 간격으로부터 원심력으로 외부로 방출되는 잔사(P)를 포집함과 동시에, 여과물 포집조(207)를 좌우로부터 개재하도록 분할 가능한 좌우 2개의 저장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각각의 저장통의 내저면(208b)은 좌측의 저장통은 좌측으로 또한 우측의 저장통은 우측으로 각각 경사 강하함과 동시에, 그 경사하는 하단부에는 잔사 배출구(208a)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좌우의 잔사 배출구(208a)의 각각의 바로 밑에 적당한 용기를 세트해 둠으로써, 생성된 잔사(씨, 껍질, 섬유질 등의 고형물)를 연속적으로 꺼내 저장할 수 있다.
이상의 기구적 구성을 갖는 푸드 밀(10A)에 의하면, 고액 분리 작용에 기여하는 하측 맷돌(201)의 여과면의 전면 측에는 간격을 두고 상측 맷돌(204)의 압압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료 식재 공급관(205), 상측 맷돌(204)의 입구공(204e), 및 3개의 출구공(204b)을 순서로 경유하여 양자의 간격으로 공급되는 원료 식재(R)가 예컨대 과열 증기 처리가 끝난 연화 식재(연화 과일, 연화 야채 등)라면, 여과면과 압압면의 상대 회전에 따라, 그것들 2개의 면의 사이에서 서서히 마쇄되어 함유 액분이 추출 내지 짜내고, 이렇게 하여 추출 내지 짜낸 액분을 포함하는 연화 식재는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204a)의 고액 분리 작용에 의해 여과물(퓌레)(Q)은 원추형 오목면(201a)을 투과하여 여과물 포집조(208)로 또한 잔사(섬유, 껍질, 씨 등의 고형물)(P)는 원추형 오목면(201a)의 상단 주연부(201e)로부터 흘러 나와 잔사 포집조(208)로 각각 연속적으로 포집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여과물(퓌레) (Q)은 하측 맷돌(201)의 여과면과 상측 맷돌(204)의 압압면의 사이의 마쇄 작용에 의해 연화 식재를 완만하게 붕괴시키면서 하측 맷돌(201)에 통과시켜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세포가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겨지고, 산화에 의한 변질도 적기 때문에, 식재 본래의 색채, 향기, 미각, 영양가가 그대로 유지되는 점 외에 식재에 따라 특유의 부가적 효과(면역 활력 효과, 면역 밸런스 억제 효과, 찻잎 영양가 증강 효과, 대두 영양가 증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연화 식재의 마쇄에 기여하는 여과면과 압압면의 사이의 찰과 모양은 하측 맷돌(201) 및/또는 상측 맷돌(20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서보 모터(401, 501)를 통해 속도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동력의 속도 제어(속도의 대소, 속도의 주기적인 변동, 간헐 회전 등)에 의해 항상 최적의 찰과 모양을 선택함으로써, 연화 식재의 성질(밀도, 경도, 점도, 크기, 섬유·종자·껍질 등의 함유율, 수분 함유율 등)의 여하에 관계없이, 식재 본래의 색채, 향기, 미각, 영양가가 그대로 유지된 퓌레를 고품질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식재(R)의 공급과 여과물(Q) 및 잔사(P)의 배출을 연속적으로 하면서도, 그 기본 구조는 하측 맷돌(201)과 상측 맷돌(204)을 상하 대향 배치하여, 적어도 어느 일방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만 하는 간단한 것이기 때문에 염가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분해나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고, 게다가 기본적으로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종형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면적도 비교적으로 작아도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하측 맷돌(201)의 원추형 오목면(201a)과 상측 맷돌(204)의 원추형 볼록면(204a)의 간격을 회전을 유지한 채로, 동력에 의해 확대 및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당초의 간격은 넓게 설정해 두고, 원료 식재가 충분히 충전된 후는, 해당 간격을 동력에 의해 서서히 좁히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해당 간격을 주기적으로 광협 변동시키는 등의 동적 제어에 의해 원료 식재의 성질(밀도, 경도, 크기, 섬유·종자·껍질 등의 함유율, 수분 함유율 등)의 여하에 관계없이, 원료 식재의 찰과 작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방법이 적용된 자동 푸드 밀의 상기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푸드 밀(10)의 전기적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푸드 밀(10)은 1 또는 2 이상의 구동원을 포함함과 동시에, 하측 맷돌(201)의 회전 운동, 상측 맷돌(204)의 회전 운동, 및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접리 운동을 가져오는 구동 기구(상세는 후술)와, 조작부(7)와, 조작부(7)에 있어서의 소정 조작에 응답하여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8)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기구는 본 예에서는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제1의 서보 모터(M1)(401)를 포함하는 제1의 구동계(4)와, 제2의 서보 모터(M2)(501)를 포함하는 제2의 구동계(5)와, 제3의 서보 모터(M3)(602)를 포함하는 제3의 구동계(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의 서보 모(M1)(401), 제2의 서보 모터(M2)(501), 및 제3의 서보 모터(M3)(60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하측 맷돌(201)의 회전 모양, 상측 맷돌(204)의 회전 모양,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임의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7)는 본 예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시스템(PLC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프로그래머블 표시기라고도 한다)(PT)에 각종의 표시 램프나 조작 보턴 등의 이른바 「표시부품」을 적절히 내장(프로그램한다)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조작부의 설정용 화면의 일예가,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을 구성하는 터치 패널상에는 소정의 전환 조작에 응답하여, 기본 항목 설정용의 화면(도 7 참조)과 옵션 항목 설정용의 화면(도 8 참조)이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항목 설정용의 화면에는 위로부터 차례로 상측 맷돌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 하측 맷돌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상측 맷돌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은 좌우로 2 분할되어 있고, 좌측의 영역에는 위로부터 차례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rpm)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4), 상측 맷돌의 현재 회전수(rpm)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7), 및 상측 맷돌의 현재 부하(%)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1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영역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측 맷돌 목표 회전수 설정용의 슬라이드식 조작자(701)이 배치되고, 그 상하 이동 궤적을 따르도록 하여, 직선상 눈금이 부설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의 설정 가능 레인지는 ±1000rpm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회전수의 표시에는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가 부여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하측 맷돌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도, 좌우로 2 분할되어 있고, 좌측의 영역에는 위로부터 차례로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rpm)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5), 하측 맷돌의 현재 회전수(rpm)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8), 및 하측 맷돌의 현재 부하(%)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1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영역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하측 맷돌 목표 회전수 설정용의 슬라이드식 조작자(702)가 배치되고, 그 상하 이동 궤적을 따르도록 하여, 직선상 눈금이 부설되어 있다. 이 예에서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의 설정 가능 레인지는 ±1000rpm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회전수의 표시에는 마찬가지로,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가 부여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하 맷돌간의 간격 관련 항목의 표시 영역은 좌우로 2 분할됨과 동시에, 좌측의 영역에는 위로부터 차례로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mm)을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6) 및 상하 맷돌간의 현재 간격(mm)을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70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영역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 설정용의 슬라이드식 조작자(703)가 배치되고, 그 상하 이동 궤적을 따르도록 하여, 직선상 눈금이 부설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운전 중에 있어서의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의 설정 가능 레인지는 0~40mm의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치 표시기(704, 705, 706)의 표시 내용을 시인하면서 슬라이드식 조작자(701, 702, 703)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목표가 되는 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 목표가 되는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 및, 목표가 되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크기를 가능하게 설정 내지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예에 있어서는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는 「+350」rpm,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는 「+300」rpm, 상하구간 간격은 「15」mm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 항목 설정용의 화면에는 3행×3열의 매트릭스상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1 행은 옵션 항목으로서의 「불규칙 회전 모드」로, 제2 행은 옵션 항목으로서의 「주기적 변화 모드」로, 또한 제3 행은 옵션 항목으로서의 「부하 추종 모드」로 각각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1 열은 제어 대상으로서의 「상측 맷돌」로, 제2 열은 제어 대상으로서의 「하측 맷돌」로, 또한 제3 열은 제어 대상으로서의 「간격」으로 각각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행렬 매트릭스의 각 교점 위치에는 해당하는 「제어 대상」에 관하여 「옵션 항목」을 선택하는지 아닌지를 지정하기 위한 ON/OFF 조작용의 조광식 푸쉬 보턴(712~718)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열째의 제1 내지 제3 행에 배치된 조광식 푸쉬 보턴(712, 714, 716)의 어느 것을 압압 조작함으로써. 상측 맷돌에 관하여, 「불규칙 회전 모드」, 「주기적 변화 모드」, 「부하 추종 모드(하측 맷돌 추종)」의 어느 것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열째의 제1 내지 제3 행에 배치된 조광식 푸쉬 보턴(713, 715, 717)의 어느 것을 압압 조작함으로써, 하측 맷돌에 관하여, 「불규칙 회전 모드」, 「주기적 변화 모드」, 「부하 추종 모드(상측 맷돌 추종)」의 어느 것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제3 열째의 제3 행에 배치된 조광식 푸쉬 보턴(718)을 압압 조작함으로써, 상하 맷돌간의 간격에 관하여, 「부하 추종 모드(상측 맷돌 추종)」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불규칙 회전 모드」, 「주기적 변화 모드」, 「부하 추종 모드(하측 맷돌 추종)」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에 도 16~도 1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으로 되돌아와, 제어부(8)는 본 예에서는 하측 맷돌 및 상측 맷돌의 회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간격이 되도록, 더욱이,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소정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옵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내장된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시스템(PLC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시스템(PLC 시스템)은 도시를 생략하지만, 이 예에서는 빌딩 블록형의 것이 채용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CPU 유닛, 1 또는 2 이상의 입출력 유닛, 더욱이, 1 혹은 2이상의 고기능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고기능 유닛의 하나로서 제1~ 제3 의 서보 모터(M1~M3)를 구동하기 위한 3축 구성의 모션 컨트롤 유닛(서보 앰프 기능을 내장)이 포함되어 있다.
조작부(7)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 1 혹은 2 이상의 입출력 유닛, 제1 내지 제3 의 서보 모터를 구동하는 모션 컨트롤 유닛은 CPU 유닛에 의해 통괄 제어된다. 즉, CPU 유닛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그램을 격납시킨 사용자 프로그램 메모리, 입출력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입출력 메모리, PLC로서의 기능(사용자 프로그램 실행 기능, 입출력 갱신 기능, PT의 관리 등의 주변 서비스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시스템 프로그램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하측 맷돌 및 상측 맷돌의 회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간격이 되도록, 더욱이,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소정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옵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모션 컨트롤 유닛에 대하여 필요한 지령치를 주도록 사용자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다.
이렇게 하여 짜여진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제어부(8)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전원 투입에 의해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도시하지 않은 모드 절환 스위치의 조작을 독출함으로써(스텝 10), 동작 모드가 「설정 모드」인지 「운전 모드」인지를 판정한다(스텝 20). 이후, 판정 결과가 「설정 모드」인지 또는 「운전 모드」인지에 따라, 소정의 설정 처리(스텝 30) 또는 운전 처리(스텝 40) 중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실행된 후,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에 관한 그 외의 공통 처리(스텝 50)를 실행하고는, 이상의 일련의 동작이 반복 실행된다.
설정 처리(스텝 30)의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지정 항목을 독출함으로써(스텝 301), 지정 항목이 「기본」인지 「옵션」인지를 판정한다. 이후, 판정 결과가 「기본 항목」인지 또는 「옵션 항목」인지에 따라, 소정의 기본 항목 설정 처리(스텝 303) 또는 옵션 항목 설정 처리(스텝 304) 중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실행된 후, 그 외의 공통 처리(스텝 305)를 실행하고는, 이상의 일련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기본 항목 설정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항목 지정을 독출함으로써(스텝 3031), 항목 지정이 「상측 맷돌」, 「하측 맷돌」, 「상하 간격」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3032, 3034, 3036). 이후, 판정 결과에 따라, 목표 회전수 설정 처리(스텝 3033), 목표 회전수 설정 처리(스텝 3035), 또는 목표 상하 간격 설정 처리(스텝 3037) 중 어느 하나이 실행됨으로써,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 지정된 상측 맷돌 목표 회전수, 하측 맷돌 목표 회전수, 및 목표 상하 간격이 각각 소정의 설정용 메모리에 격납된다.
옵션 항목 설정 처리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에서의 항목 지정을 독출함으로써(스텝 3041), 항목 지정이 「상측 맷돌」, 「하측 맷돌」, 「상하 간격」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3042, 3044, 3046). 이후, 판정 결과에 따라, 상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 하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5), 또는 상하 간격에 관한 부하 추종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7)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여기서, 상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에 있어서는, 옵션의 내용이 「불규칙 회전 설정」, 「주기적 변화」, 「부하 추종」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고(스텝 3043a, 3043c, 3043e),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불규칙 회전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b), 주기적 변화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d), 부하 추종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f) 중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그것들의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b, 3043d, 3043f)가 실행되면, 소정의 설정용 메모리상에 설치된 해당하는 옵션 플래그의 내용이 “0”에서 “1”로 세팅된다. 따라서, 이들의 플래그 상태를 참조함으로써, 설정된 옵션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5)의 내용은 대상이 되는 항목 지정이 「하측 맷돌」인 것을 제외하고, 상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3)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 간격에 관한 부하 추종 옵션 설정 처리(스텝 3047)가 실행되면, 소정의 설정용 메모리상에 설치된 해당하는 옵션 플래그의 내용이 “0”에서 “1”로 세팅된다. 따라서, 이 플래그 상태를 참조함으로써, 설정된 옵션의 내용이 「부하 추종」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되는 운전 처리(스텝 4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처리의 제너럴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설정 내용 읽기 처리(스텝 401)가 실행됨으로써, 설정 처리(스텝 30)에서 설정된 각종의 데이터(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 하측 맷돌의 회전 방법 및 회전수, 상하 맷돌간의 간격, 상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내용, 하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 내용, 상하 맷돌간의 간격에 관한 옵션 설정 내용 등)의 읽기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독출된 상기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측 맷돌 회전 구동 처리(스텝 402), 상측 맷돌 회전 구동 처리(스텝 403), 및 간격 접리 구동 처리(스텝 404)가 순서대로 실행되게 된다.
하측 맷돌 회전 구동 처리(스텝 402)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위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측 맷돌에 관한 옵션 설정의 유무가 판정된다(스텝 4021). 여기서, 하측 맷돌에 관하여 옵션 설정이 「무」라고 판정되면(스텝 4021 「무」), 계속해서, 설정 회전 속도와 변동분(이 경우, 변동분의 값은 제로)에서 서보 모터 지령치가 생성되고(스텝 4028), 이렇게 하여 생성된 지령치는 도시하지 않은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 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1 서보 모터(M1)의 회전 속도가 서보 제어되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목표 회전 속도에 이끌리게 된다(도 16(a) 참조).
또한, 이 때, 제1 서보 모터(M1)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부하가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독출되고, 이것이 적당한 타이밍으로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로 보내짐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터미널상의 수치 표시기(707, 710)에는 하측 맷돌에 관한 현재 회전수(rpm) 및 회전 부하(%)가 수치 표시된다.
하측 맷돌에 관하여 옵션 설정이 「유」라고 판정되면(스텝 4021「유」), 계속해서, 설정된 옵션의 내용이, 「펄스상 불규칙 회전」, 「주기적 변화」, 또는 「상측 맷돌 부하 추종」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4022, 4023, 4024).
여기서, 「펄스상 불규칙 회전」라고 판정되면(스텝 4022 YES), 계속해서, 펄스상 변화에 대응하는 변동분의 생성 처리(스텝 4025)가 실행된다. 그러면, 미리 준비된 펄스상의 속도 변화를 설정된 회전 속도에 대해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속도 변동분이 생성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속도 변동분은 지령치 생성 처리(스텝 4028)에서의 지령치 생성에 이용된다. 그 후, 변동분이 가미된 지령치는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 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1 서보 모터(M1)의 회전 속도가 서보 제어되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펄스상 불규칙 회전을 포함한 목표 회전 속도에 이끌리게 된다(도 18(a) 참조).
또한, 「주기적 변화」라고 판정되면(스텝 4023 YES), 계속해서, 주기적 변화에 대응하는 변동분의 생성 처리(스텝 4026)가 실행된다. 그러면, 미리 준비된 주기적인 속도 변화(이 예에서는 정현파상 속도 변화)를 설정된 회전 속도에 대해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속도 변동분이 생성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속도 변동분은 지령치 생성 처리(스텝 4028)에서의 지령치 생성에 이용된다. 그 후, 변동분이 가미된 지령치는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 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1 서보 모터(M1)의 회전 속도가 서보 제어되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정현파상 속도 변화를 포함한 목표 회전 속도에 이끌리게 된다(도 17(a) 참조). 또한, 도 17(a)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상측 맷돌 회전수의 주기적 변동(전자)은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상대 회전수가 항상 정이 되는 영역에서 행해졌을 때의 것이며, 파선으로 도시되는 상측 맷돌 회전수의 주기적 변동(후자)은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후자에 의하면, 하측 맷돌상에 예컨대 방사상으로 배열된 여과용 개공은 동일하게 정회전/역회전 양방향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마찰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마찰되는 경우에 비해 각 여과용 개공이 잔사에 의한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측 맷돌 부하 추종」이라고 판정되면(스텝 4024), 도시하지 않은 모션 콘트롤러로부터 독출하는 상측 맷돌 회전 부하의 변화가 요구되며, 그 변화를 지우는 데에 필요한 하측 맷돌의 속도 변동분의 생성 처리(스텝 4027)가 실행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속도 변동분은 지령치 생성 처리(스텝 4028)에서의 지령치 생성에 이용된다. 그 후, 변동분이 가미된 지령치는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 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1 서보 모터(M1)의 회전 속도가 서보 제어되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의 변동을 지우기 위한 속도 변화를 포함한 목표 회전 속도에 이끌리게 된다(도 19 참조).
또한, 상측 맷돌에 관한 속도 제어에 대해서는, 이상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측 맷돌에 관한 처리(스텝 4021~402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간격 접리 구동 처리(스텝 404)의 상세 플로우차트(flow chart)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위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하 맷돌간의 간격에 관한 옵션 설정의 유무가 판정된다(스텝 4041). 여기서, 간격에 관하여 옵션 설정이 「무」라고 판정되면(스텝 4041 「무」), 계속해서, 설정된 목표 간격과 변동분 (이 경우, 변동분의 값은 제로)으로부터 서보 모터 지령치가 생성되며(스텝 4044), 이렇게 하여 생성된 지령치는 도시하지 않은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3 서보 모터(M3)의 회전 속도가 서보 제어되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목표 간격에 이끌리게 된다(도 16(b)~도 18(b) 참조).
또한, 이 때, 현재의 간격의 크기가 별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며, 이것이 적당한 타이밍으로 조작부(7)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터미널(PT)로 보내짐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터미널상의 수치 표시기(709)에는 현재의 상하 맷돌간의 간격(mm)이 수치 표시된다.
상하 맷돌간의 간격에 관하여 옵션 설정이 「유」라고 판정되면(스텝 4041 「유」), 계속해서, 설정된 옵션의 내용이 「상측 맷돌 부하 추종」인 것을 확인한 후(스텝 4042 YES), 도시하지 않은 모션 콘트롤러로부터 독출하는 상측 맷돌 회전 부하의 변화가 요구되며, 그 변화를 지우는 데에 필요한 간격 변동분의 생성 처리(스텝 4043)가 실행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간격 변동분은 지령치 생성 처리(스텝 4044)에서의 지령치 생성에 이용된다. 그 후, 변동분이 가미된 지령치는 모션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된다(스텝 4029). 그러면, 모션 컨트롤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제3 서보 모터(M3)의 회전이 서보 제어되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의 변동을 지우기 위한 값에 이끌리게 된다(도 19 참조).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처리(스텝 30)와 운전 처리(스텝 40)는 별개로 실행하는 것처럼 기재하였지만, 실제로는, 설정 처리(스텝 30)와 운전 처리(스텝 40)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온라인 설정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시분할적으로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운전 모드 중에도 설정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주기한다.
마지막으로, 이상 설명한 기구적 구성 및 상기적 구성을 포함한 자동 푸드 밀의 동작을 특히 도 16~도 1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지금,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300rpm, 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350rpm,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15mm로 설정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기본 항목 설정용 화면에 있어서, 슬라이드식 조작자(701, 702, 703)를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350rpm,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300rpm,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15mm로 설정한다. 그러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의 작용에 의해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350rpm,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300rpm,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15mm로 이끌린다. 이를 위해, 이러한 상태에서,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간격에 원료 식재(예컨대, 과열 증기로 가열 연화 처리된 야채, 과일, 곡류 등)를 공급하면,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간격에 막히는 원료 식재는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차 50rpm의 속도로 마쇄 내지 파쇄되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고액 혼합물은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 300rpm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고액 분리되며, 여과물(퓌레)은 여과물 포집조(207)로, 잔사는 잔사 포집조(208)로 각각 이끌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과물(퓌레)의 생산 효율을 관찰하면서 도 7에 도시된 기본 항목 설정 화면에서 슬라이드 조작자(701, 702, 703)를 적절히 조작하면서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운전 상태로의 튜닝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400rpm로 증가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옵션 항목 설정용 화면에 있어서, 예컨대, 상측 맷돌에 관하여, 옵션으로서 「주기적 변화」를 채용해야 하는 조광식 푸쉬 보턴(714)를 ON 조작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400rpm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폭 내에서 정현파상으로 주기적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옵션으로서 「주기적 변화」를 채용하면,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는 주기적으로 변동하게 되므로, 마쇄력 내지 파쇄력을 주기적으로 변동시킴으로써, 간격으로의 잔사의 막힘이나 여과용 개공의 막힘을 방지하면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300rpm라고 하면, 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주기적인 변동이 이루어지며, 하측 맷돌상에 예컨대 방사상으로 배열된 여과용 개공은 동일하게 정회전/역회전 양방향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마찰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마찰되는 경우에 비해 각 여과용 개공이 잔사에 의한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400rpm로 증가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옵션 항목 설정용 화면에 있어서, 예컨대, 하측 맷돌에 관하여, 옵션으로서 「불규칙 회전」을 채용해야 하는 조광식 푸쉬 보턴(712)를 ON 조작하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는 +400rpm를 정상 상태로 하면서도, 주기적으로 임펄스(inpulse)상에 순간 증가하여 불규칙 회전이 생기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옵션으로서 「불규칙 회전」을 채용하면,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는 주기적으로 임펄스(inpulse)상에 변동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회전 중의 상측 맷돌에 충격을 주기적에 가함으로써, 마쇄 내지 파쇄를 촉진하면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400rpm로 증가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옵션 항목 설정용 화면에 있어, 예컨대, 상하 맷돌간의 간격에 관하여, 옵션으로서 「부하 추종(상측 맷돌 추종)」를 채용해야 하는 조광식 푸쉬 보턴(718)을 ON 조작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15mm를 정상 상태로 하면서도,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여 속도가 저하하는 경우에는, 회전 부하의 증가를 지우도록 증가하게 되는 한편, 원료 식재의 파쇄 내지 마쇄가 진행되어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가 감소하여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회전 부하의 감소를 지우도록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옵션으로서 「부하 추종(상측 맷돌 추종)」를 채용하면,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항상 최적의 마쇄 내지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증감하기 때문에, 마쇄 내지 파쇄를 촉진하면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할 수 있다.
[하측 맷돌 추종 자동 설정 모드]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측 맷돌의 회전수(회전 방향 포함), 하측 맷돌의 회전수(회전 방향 포함)는 개별적으로 지정하도록 하였지만, 상측 맷돌의 회전수와 하측 맷돌의 회전수의 차이(마쇄 작용에 영향)는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하측 맷돌의 회전수(고액 분리 작용에 영향)만을 변화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측 맷돌 회전수의 하측 맷돌 추종 자동 설정 모드가 편리하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용 화면(기본 항목 설정용)에는 상측 맷돌 영역에 대응하여 1개의 조광식 푸쉬 보턴(A)(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 푸쉬 보턴(A)이 ON된 상태에서 조작자(702)의 조작으로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변경하면,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는 푸쉬 보턴(A)가 ON된 시점에 있어서의 상측 맷돌 목표 회전수와 하측 맷돌 목표 회전수의 차이를 유지한 채로, 연동하여 변경된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가 +350 회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가 +300 회전 때에(상측 맷돌350-하측 맷돌300=50), 푸쉬 보턴(A)가 ON되면, 그 후, 조작자(702)의 조작으로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300→+400로 변경하면,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는 +350→+450으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상측 맷돌450-하측 맷돌400=50). 또한, 이러한 자동 변경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우차트(flow chart)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생각은, 상측 맷돌의 회전수와 하측 맷돌의 회전수의 차이를 유지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상측 맷돌의 회전 모양(주기적 변동, 불규칙 회전 등)과 하측 맷돌의 회전 모양(주기적 변동, 불규칙 회전 등)의 상대적 관계를 유지한 채로,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의 변경에 추종시켜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도, 넓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하측 맷돌의 회전수와 상측 맷돌의 회전수의 사이에 n배의 관계를 유지한다고 하는 예를 생각할 수 있다.
[프리셋 모드]
이상의 예에서는, 상측 맷돌의 회전수(회전 방향 포함), 하측 맷돌의 회전수(회전 방향 포함), 및 상하 간격을 그때마다에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였지만, 과거의 최적치에 맞추어서 그것들의 값을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프리셋 모드가 편리하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용 화면(기본 항목 설정용)에는 선택된 식재 품종에 대응하는 식재 품종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치 키(도시하지 않음)와, 입력된 식재 품종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와, 상측 맷돌용의 기억 스윗치(B1)와 독출 스윗치(B2)(도시하지 않음)와, 하측 맷돌용의 기억 스윗치(C1)와 독출 스윗치(C2)(도시하지 않음)와, 간격용의 기억 스윗치(D1)와 독출 스윗치(D2)(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예컨대, 어느 식재 품종(식재 품종 번호 115)에 대하여, 상측 맷돌 회전수, 하측 맷돌 회전수, 상하 간격에 대한 현재치(예컨대, 최적치)를 기억시키는 경우에는, 수치 키에 의해 식재 품종 번호「115」를 입력하여 수치 표시기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상측 맷돌의 기억 스윗치(B1), 하측 맷돌의 기억 스윗치(C1), 상하 간격의 기억 스윗치(D1)를 ON 조작한다. 그러면, 그 ON 시점의 상측 맷돌 현재 회전수, 하측 맷돌 현재 회전수, 상하 간격의 값은, 각각 PLC의 데이터 메모리상의 해당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격납된다. 후일, 해당 식재 품종에 관하여, 상측 맷돌 회전수, 하측 맷돌 회전수, 상하 간격의 각각을 과거에 기억시킨 최적치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수치 키에 의해 식재 품종 번호 「115」를 입력하여 수치 표시기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상측 맷돌의 독출 스윗치(B2), 하측 맷돌의 독출 스윗치(C2), 상하 간격의 독출 스윗치(D1)를 ON 조작한다. 그러면, PLC의 데이터 메모리상의 해당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측 맷돌의 회전수 데이터, 하측 맷돌의 회전수 데이터, 상하 간격의 간격 데이터가 독출되고,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 상하 간격의 목표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오페레이터는 과거의 최적치로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리셋 모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우차트(flow chart)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러 가지 변형예]
원료 식재 안내홈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복수의 출구공(204b)의 각각으로부터 1개의 소용돌이 곡선상의 식재 안내홈(204c)을 연장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단일의 출구공으로부터 복수개의 직선상 안내홈(204c)이 전체적으로 방사상이 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여과용 개공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회전 방향으로 대응시켜서 절기편(cut and raised piece)이 형성된 여과용 개공(201f)로 함으로써, 이러한 절기편에 원료 식재가 걸림으로써, 마쇄 작용이 촉진됨과 동시에, 액분의 개공 통과 작용을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용 개공(201d)로서, 입구측 개구가 큰 직경이며, 출구측 개구가 작은 직경이 되도록 구멍의 내벽을 테이퍼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여과용 개공(201d)은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오목면(201a)에 개구하는 입구측 개구는 큰 직경으로 되며, 또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오목저면에 개구하는 출구측 개구는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여과용 개공(201d)의 내벽은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상 내벽을 갖는 여과용 개공(201d)에 의하면, 출구측 개구의 내경을 여과물의 투과에 필요한 최소 직경으로 했다고 하더라도, 출구측 개구의 통과 저항은 지극히 작은 것에 더하여, 입구측 개구에서 출구측 개구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짜는 효과도 더해지기 때문에, 연화 식재의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 이외에, 입구측 개구가 대직경이기 때문에, 연화 식재가 입구측 개구에 들어가 걸리거나, 또는 말려들기 쉬우며, 그 결과, 식재의 마쇄 작용도 촉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테이퍼상의 내벽으로서, 입구측 개구에서 출구측 개구로 연속하는 구성의 것을 채용하였지만, 구멍 가공상의 문제로부터 그러한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테이퍼상 내벽의 가공이 곤란한 경우에는, 입구측 개구에서 출구측 개구의 약간 앞까지는, 서서히 내경이 축경하는 테이퍼상 내벽으로서, 그 앞은, 종전대로 비교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통형 내벽을 남겨도 무방하다. 그러한 테이퍼상 내벽이어도, 구멍의 전체 길이가 등 지름인 경우에 비해 충분히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동계의 구성으로는, 벨트 구동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기어 구동 방식 그 외의 공지된 구동 방식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계와 구동원을 1대 1에 대응시키는 일 없이, 적당한 변속 또는 동력 분배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1개의 구동원을 복수의 구동계에 대응시킬 수도 있다.
홀드 부재(201)의 원추형 볼록면 및/또는 원추형 오목면에는, 필요에 따라 원료 식재의 마쇄 내지 잔사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방사 직선상 또는 소용돌이 곡선상의 돌조, 산점상의 돌부, 둥그스름한 돌부, 파상의 요철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원추형 볼록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홀드 부재의 일예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 부재(204A)의 원추형 볼록면(204a)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폭 영역으로 구획되며, 그것들의 세폭 영역 중에서, 주방향으로 1개 두고 서로 이웃하는 세폭 영역을 단면 타원호상(도 22 참고)으로 얕게 깎음으로써,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204j)가 형성되고, 그것들의 방사상 홈(204j)에 의해 끼는 영역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 홀드 부재(204A)의 원추형 볼록면(204a)에는 방사상의 홈(204j)과 방사상의 평탄면이 주방향으로 교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주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홀드 부재(204A)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되는 원추형 오목면이 평탄한 스트레이너 부재(201)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요철 구조를 원추형 볼록면(204a)에 가지는 홀드 부재(204A)에 의하면, 입구공(204e), 3개의 출구공(204b)을 경유하여, 홀드 부재의 원추형 볼록면(204a)과 스트레이너 부재의 원추형 오목면(201a)의 간격으로 도입되는 연화 식재는 더욱이, 식재 안내홈(204c)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거의 균일하게 방사상 홈(204j)에 분배되며, 각 방사상 홈(204j)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옮겨지면서 원추형 볼록면(204a)과 원추형 오목면(201a)(도 4 참조)의 상대 회전에 의해 마쇄 처리되어 식재로부터 액분이 추출되며, 스트레이너 부재의 고액 분리 작용에 제공되게 된다. 이 때, 각 방사상 홈(204j)은 연화 식재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연화 식재의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규제하기도 되기 때문에, 원추형 볼록면(204a)과 원추형 오목면(201a)의 상대 회전에 의한 마쇄 작용을 촉진하는 이점이 있다.
원추형 오목면에 방사상 홈을 갖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일예가 도 19~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부재(201A)의 원추형 오목면(201a)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세폭 영역으로 구획되며, 그것들의 세폭 영역 중에서, 주방향으로 1개 두고 서로 이웃하는 세폭 영역을 단면 타원호상에 얕게 깎음으로써,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201f)이 형성되며, 그것들의 방사상 홈(201f)에 의해 끼는 영역은 평탄면(201g)으로 되어 있다(도 22 참조). 이를 위해, 이 스트레이너 부재(201A)의 원추형 오목면(201a)에는 방사상의 홈(201f)과 방사상의 평탄면(201g)이 주방향으로 교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주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21 참조). 이 스트레이너 부재(201A)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되는 원추형 볼록면이 평탄한 홀드 부재(204)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요철 구조를 원추형 오목면(201a)에 가지는 스트레이너 부재(201A)에 의하면, 입구공(204e), 3개의 출구공(204b)을 경유하여, 홀드 부재의 원추형 볼록면(204a)(도 5 참조)과 스트레이너 부재의 원추형 오목면(201a)의 간격으로 도입되는 연화 식재는 더욱이, 식재 안내홈(204c)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거의 균일하게 방사상 홈(201f)으로 분배되며, 각 방사상 홈(201f)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운반되면서 원추형 볼록면(204a)과 원추형 오목면(201a)의 상대 회전에 의해 마쇄 처리되어 식재로부터 액분이 추출되며, 스트레이너 부재의 고액 분리 작용에 제공되게 된다. 이 때, 각 방사상 홈(201f)은 연화 식재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연화 식재의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규제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원추형 볼록면(204a)과 원추형 오목면(201a)의 상대 회전에 의한 마쇄 작용을 촉진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방사상 홈 부착의 홀드 부재(도 17의 204A)와 방사상 홈이 없는 스트레이너 부재(도 4의 201)의 조합 사용, 및 방사상 홈이 없는 홀드 부재(도 5의 204)와 방사상 홈 부착의 스트레이너 부재(도 19의 201a)의 조합 사용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물론, 방사상 홈 부착의 홀드 부재(도 17의 204A)와 방사상 홈 부착의 스트레이너 부재(도 19의 201A)의 조합을 사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어서, 더욱 개량된 홀드 부재(204B)와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조합에 대하여, 도 23~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추형 볼록면 상연부 외주에 스크레이퍼부를 갖는 홀드 부재(204B)에 대하여,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것들의 도면에 있어, 도 17 및 도 18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에 따라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홀드 부재(204B)에 있어서는, 원추형 볼록면(204a)의 상연부 외주에 스크레이퍼부(204k)가 90도 간격으로 4군데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부(204k)는 회전 방향과 대향하는 경사면에 의해 스트레이너부(201B)와의 상대 회전시에 후술하는 잔사를 건져올려 제거 내지 긁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추형 오목부의 상부 외주에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를 갖는 스트레이너 부재(201B)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것들의 도면에 있어, 도 19 및 도 20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경사면(201c)상에 배치되는 여과용 개공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도 2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 부재(201B)에 있어서는, 원추형 오목부(201a)의 상부 외주에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가 설치되어 있다.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의 경사면(201c)의 상연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환상 수직벽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다수의 여과용 개공(201d)을 배치함으로써, 보조 스트레이너로서 기능하도록 한 것이다.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와 원추형 경사면(201c)의 사이에는 환상 수평부(201h)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듯이, 이 환상 수평부(201h)에는 원추형 오목면(201a)의 고액 분리 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잔사가 퇴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드 부재(204B)와 스트레이너 부재(201B)를 조립한 상태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위에 홀드 부재(204B)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동축에 중첩한 상태에서 양자를 예컨대 동일 방향으로 상대속도 차이가 생기도록 회전시키면, 홀드 부재(204B)의 원추형 볼록면(204a)과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원추형 오목면(201a)의 간격에 공급된 연화 식재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원추형 볼록면(204a)과 원추형 오목면(201a)의 상대속도 차이를 가지고 마쇄되어, 연화 식재로부터 액분이 추출 내지 짜낸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액분은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경사면(201c) 상에 배치된 여과용 개공(201d)을 지나 외부로 꺼내진다. 한편, 아직 다소는 액분을 포함하는 잔사는 원심력에 의해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경사면(201c)을 따라 상승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스트레이너 부재(201A)의 상부 주변으로부터 환상 수평부(201h) 상으로 방출된다(도 27 참조). 이렇게 하여 환상 수평부(201h) 상으로 방출되는 액분을 포함한 잔사는, 더욱이,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의 내주면에 퇴적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의 내주면으로 밀림으로써, 잔사에 함유하는 액분은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에 배치된 다수의 여과용 개공(201d)을 지나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환상 수평부(201h)상에 퇴적되는 잔사는 홀드 부재(204B)의 상부 외주에 배치된 4개의 스크레이퍼부(204k)에 의해 주기적으로 건져 올려지고,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를 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신규한 구조를 갖는 홀드 부재(204B)와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조합 사용에 의하면, 홀드 부재(204B)와 스트레이너 부재(201B)의 간격으로 공급되는 연화 식재는 스트레이너 부재의 경사면(201c)에 배치된 여과용 개공(201d)뿐만 아니라, 환상 보조 스트레이너부(201i)에 배치된 여과용 개공(201di)에 의해서도 액분 추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액분 추출 효율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홀드 부재(204)로는 강성을 갖는 압압면이나 식재 안내 통로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중실체(solid body)에 한정하지 않고, 원추 볼록면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금속판(예컨대, 스텐레스판 등)을 배후로부터 리브 구조로 보강하는 등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 때는 원료 식재 공급 통로는 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드 밀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공급되는 원료 식재(예컨대, 과열 증기에 의한 과열 연화 처리된 식재)는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의 간격으로 빨려 들어가도록 밀어 넣어진 후,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에 따른 전단력에 의해 파쇄되면서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기인하는 하측 맷돌의 고액 분리 작용에 의해 여과물(퓌레)과 잔사(껍질이나 씨 등을 포함)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여과물 포집부 및 잔사 포집부로 이끌린다. 이 때, 공급되는 원료 식재의 성질(예컨대, 밀도, 경도, 함수량, 점도, 종자나 껍질의 다소 등)에 따른 변동은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나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조정에 의해 어느 정도는 흡수되기 때문에, 다양한 성질의 원료 식재에 대해서도 고품질의 여과물(퓌레)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푸드 밀에 의하면, 조작부의 소정 조작으로 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을 지정하면, 제어부의 작용으로 구동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상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하측 맷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은 각각 지정된 내용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물 포집부 및 상기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자동 푸드 밀에 의하면, 상하 맷돌의 회전 모양 및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상하 맷돌의 어느 일방은 정지시킨 채로 다른 쪽만을 회전시키거나,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맷돌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회전 속도를 최고 속도까지 상승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속도 차이를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제로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키는 다양한 운전 형태를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운전 상태를 찾아내기 위한 튜닝 조작,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원료 식재가 막혔을 때나 여과공이 막혔을 때 등의 해소 조작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 발판
2 : 체 거름 처리부
3 : 베어링 지지 기구
4 : 구동계(하측 맷돌 회전용)
5 : 구동계(상측 맷돌 회전용)
6 : 구동계(상측 맷돌 승강용)
7 : 조작부
8 : 제어부
10 : 자동 푸드 밀
201 : 하측 맷돌
201a : 저면(원추형 오목면)
201b : 원형 중심 영역
201c : 경사면
201d : 여과용 개공
201e : 주연부
202 : 샤프트
203 : 베어링
204 : 상측 맷돌
204a : 저면(원추형 볼록면)
204b : 출구공
204c : 식재 안내홈
204d : 주연부
204e : 입구공
205 : 원료 식재 공급관
206 : 베어링
207 : 여과물 포집조
207a : 여과물 배출관
208 : 잔사 포집조
208a : 잔사 배출구
209 : 지주
301 : 승강대
302 : 가이드 로드
303 : 가이드 슬리브
304 : 지지대
401 : 제1 서보 모터
402 : 타이밍 벨트
403 : 종동 풀리
501 : 제2 서보 모터
502 : 구동 풀리
503 : 타이밍 벨트
504 : 종동 풀리
601 : 장착구
602 : 제3 서보 모터
603 : 볼 나사 샤프트
701 : 슬라이드식 조작자(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 설정용)
702 : 슬라이드식 조작자(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수 설정용)
703 : 슬라이드식 조작자(상하 맷돌간의 목표 간격 설정용)
704 : 수치 표시기(상측 맷돌의 목표 회전 수의 표시용)
705 : 수치 표시기(하측 맷돌의 목표 회전 수의 표시용)
706 : 수치 표시기(목표 간격 표시용)
707 : 수치 표시기(상측 맷돌의 현재 회전 수의 표시용)
708 : 수치 표시기(하측 맷돌의 현재 회전 수의 표시용)
709 : 수치 표시기(현재 간격 표시용)
710 : 수치 표시기(상측 맷돌의 현재 부하 표시용)
711 : 수치 표시기(하측 맷돌의 현재 부하 표시용)
712 : 조광식 푸쉬 보턴(상측 맷돌의 불규칙 회전 옵션 설정용)
713 : 조광식 푸쉬 보턴(하측 맷돌의 불규칙 회전 옵션 설정용)
714 : 조광식 푸쉬 보턴(상측 맷돌의 주기적 변화 옵션 설정용)
715 : 조광식 푸쉬 보턴(하측 맷돌의 주기적 변화 옵션 설정용)
716 : 조광식 푸쉬 보턴(상측 맷돌의 부하 추종 옵션 설정용)
717 : 조광식 푸쉬 보턴(하측 맷돌의 부하 추종 옵션 설정용)
718 : 조광식 푸쉬 보턴(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부하 추종 옵션 설정용)
A : 승강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 : 잔사
Q : 여과물
R : 원료 식재

Claims (24)

  1.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맷돌;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맷돌;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킨 채로,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원추형 볼록면이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더욱이
    원료 식재를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상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볼록면의 상기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재 공급 통로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통과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사를 포집하는 잔사 포집부;를 포함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으로서,
    상기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회전 속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맷돌과 하측 맷돌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원료 식재를 파쇄 내지 마쇄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을 이용하여 파쇄된 원료 식재를 여과물과 잔사로 분리하고, 상기 여과물 포집부 및 상기 잔사 포집부에 각각 포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차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의 주기적 변화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에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그것들의 상하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격리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상하 맷돌간의 상기 간격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그것들의 상하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격리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상하 맷돌간의 상기 간격을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상기 하측 맷돌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의 여과면에 설치된 여과용 개공은 입구측 직경이 크고 출구측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내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맷돌의 원추형 볼록면과 상기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방사상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의 운전 방법.
  10. 여과면이 되는 원추형 오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맷돌;
    압압면이 되는 원추형 볼록면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원추 중심 축선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맷돌;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서로의 원추 중심 축선을 동축에 정합시킨 채로,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원추형 볼록면이 간격을 두고 상하 대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더욱이
    원료 식재를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과 상기 상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볼록면의 상기 간격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재 공급 통로;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통과하는 여과물을 포집하는 여과물 포집부;
    상기 하측 맷돌의 상기 원추형 오목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사를 포집하는 잔사 포집부;
    1 또는 2 이상의 구동원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운동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이, 상기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회전 속도가 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차의 변화는 상하 맷돌간의 회전 속도차 제로를 중심으로 정회전/역회전이 일정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에 펄스상의 불규칙 회전이 생기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그것들의 상하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격리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동 기구는 추가로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접리 운동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상기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간격이 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그것들의 상하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격리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동 기구는 추가로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접리 운동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상기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간격이 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부하에 따라 상기 하측 맷돌 및/또는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지정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모양과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모양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상관 관계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를 자동 지정하는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 관계는 상기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와 상기 상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차이가 일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과 상기 상측 맷돌은 그것들의 상하 간격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접근 또는 격리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동 기구는 추가로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접리 운동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하 맷돌간의 간격이 상기 조작부의 소정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간격이 되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억 조작에 의해 상측 맷돌 및/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현재 지정치, 및/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현재 지정치를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능과,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독출 조작에 의해 상측 맷돌 및/또는 하측 맷돌의 회전 속도의 기억치, 및/또는 상하 맷돌간의 간격의 기억치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지정치로 설정하는 기능이 추가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의 기억, 및 메모리로부터의 독출 설정은 사용되는 식재 품종마다 실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적어도 상기 하측 맷돌 및 상기 상측 맷돌의 각각에 대응되는 2개의 아날로그 조작자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속도의 지정은 각각 해당하는 상기 아날로그 조작자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22.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적어도 상기 하측 맷돌 및 상기 상측 맷돌의 각각에 대응되는 2개의 디지털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고, 현재의 회전 속도의 확인은 각각 해당하는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23.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맷돌의 여과면에 설치된 여과용 개공은 입구측 직경이 크고 출구측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내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푸드 밀.
  24.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맷돌의 원추형 볼록면과 상기 하측 맷돌의 원추형 오목면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방사상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 밀.
KR20157004257A 2012-07-24 2013-05-30 푸드 밀의 운전 방법 KR20150038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3552 2012-07-24
JPJP-P-2012-163552 2012-07-24
PCT/JP2013/065099 WO2014017168A1 (ja) 2012-07-24 2013-05-30 裏漉し機の運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139A true KR20150038139A (ko) 2015-04-08

Family

ID=4999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4257A KR20150038139A (ko) 2012-07-24 2013-05-30 푸드 밀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50201785A1 (ko)
EP (1) EP2878237A4 (ko)
JP (1) JP5799349B2 (ko)
KR (1) KR20150038139A (ko)
CN (1) CN104486976A (ko)
AU (1) AU2013294352A1 (ko)
IL (1) IL236774A0 (ko)
MX (1) MX2015001072A (ko)
PH (1) PH12015500132A1 (ko)
WO (1) WO20140171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89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1861B2 (ja) * 2013-08-05 2019-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臼およびそれを備えた飲料製造装置
CN105233917B (zh) * 2015-11-07 2017-07-11 李菊 一种豆沫加工机
CN106824412A (zh) * 2017-03-20 2017-06-13 杨明铮 一种钝刀式厨余清理机
CN108772167A (zh) * 2018-06-06 2018-11-09 江苏祥瑞药业有限公司 一种克拉霉素胶囊原料粉碎研磨装置
CN110618619B (zh) * 2018-06-19 2023-04-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方法、烹饪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40018B2 (en) * 2019-03-13 2022-09-13 Trade Fixtures, Llc Viscous food product grinding and dispensing system
CN111956048B (zh) * 2020-09-02 2021-09-10 邹友明 快速榨汁机
CN112169914B (zh) * 2020-10-12 2023-06-02 张宏悦 磨盘自动调节间隙的方法及系统
CN114587140B (zh) * 2020-12-03 2024-05-2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饮品制备方法及料理机
CN112691753B (zh) * 2020-12-10 2022-03-01 连云港泽鑫食品配料有限公司 一种用于清理磷酸盐结块的破碎装置
CN112774846A (zh) * 2020-12-26 2021-05-11 安徽浩瀚星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回收无害化处理装置
CN112775149B (zh) * 2020-12-26 2023-08-01 贵州鑫茂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新能源汽车用电池的回收处理系统
CN112844549B (zh) * 2021-01-27 2023-01-13 南京中隐客归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茯苓研磨成粉装置
CN114100216A (zh) * 2021-11-12 2022-03-01 赵端阳 一种食品微生物检测用滤膜装置
CN114160277B (zh) * 2021-12-09 2022-12-13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效的中药磨粉机
CN114054187A (zh) * 2022-01-18 2022-02-18 徐州和润电子材料有限公司 适用于光伏锡膏原料的研磨机
CN115318387A (zh) * 2022-08-13 2022-11-11 周磊 一种益生菌粉的制备系统及制备工艺
CN115445723B (zh) * 2022-10-26 2023-10-03 东至安东昭潭机制砂生产有限公司 一种可同步清洁石粉的砂粒修型制砂机
CN115975795B (zh) * 2023-03-20 2023-05-30 威海市宇王集团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胶原蛋白功能肽提取装置
CN116236810B (zh) * 2023-05-09 2023-07-18 山东冠森高分子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研磨功能的对硝基苯酚钠结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3567A (en) * 1978-04-25 1979-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uicer
US4605173A (en) * 1984-04-04 1986-08-12 Edmonds Harvey A Size reduction machine
US4773599A (en) * 1985-04-04 1988-09-27 Quadro Engineering Incorporated Series of screens for a size reduction machine
DE3817689A1 (de) * 1988-05-25 1989-12-07 Krauss Maffe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aftgewinnung
US5330113A (en) * 1993-03-29 1994-07-19 Quadro Engineering Inc. Underdriven size reduction machine
US5405094A (en) * 1994-01-31 1995-04-11 Poser; Kimberly Multi-staged size reduction machine
US5479851A (en) * 1994-05-25 1996-01-02 Breville Pty Ltd. Fruit and vegetable juicer
TW288995B (ko) * 1994-10-12 1996-10-21 Nippon Kouatsu Electric Co
JP3379003B2 (ja) * 1994-12-02 2003-02-17 正次 高岡 粉砕機
US5607062A (en) * 1995-08-18 1997-03-04 Quadro Engineering Inc. Screen module for preparing cosmetics nested screens of different mesh sizes
EP0785025B1 (fr) * 1996-01-19 2000-02-09 Frewitt Maschinenfabrik AG Machine à granuler
US6367723B1 (en) * 2000-02-07 2002-04-09 The Fitzpatrick Company Size reduction machine having an adjustable impeller and screen holder
JP3759688B2 (ja) 2000-04-24 2006-03-29 ジャパンホームサプライ株式会社 食用粉の混練方法
JP2003071322A (ja) * 2001-08-30 2003-03-11 Yanagiya:Kk 縦型ストレーナ
CN2722783Y (zh) * 2004-09-08 2005-09-07 张明仕 兼具榨汁及榨泥功能的蔬果压榨机
CN2838472Y (zh) * 2005-09-19 2006-11-22 林国齐 榨汁机研磨盘
JP2009248072A (ja) * 2008-04-11 2009-10-29 Kanriu Kogyo Kk 製粉機
CN201230809Y (zh) * 2008-05-15 2009-05-06 谢宗钦 双轴式果菜机
EP2319520B1 (en) 2008-06-19 2013-03-20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Immunostimulating agent
EP2293877B1 (en) * 2008-06-26 2017-11-29 Frewitt fabrique de machines S.A. Conical reducing apparatus
JP5297218B2 (ja) 2009-02-06 2013-09-25 株式会社ファイブプラネット 加工装置
JP2009178168A (ja) 2009-05-18 2009-08-13 Pai Corporation:Kk 破砕加工食品
KR20120049164A (ko) 2009-08-06 2012-05-16 네퓨레 코포레이션 면역밸런스제어제
JP5519379B2 (ja) * 2010-04-07 2014-06-11 ネピュレ株式会社 茶葉の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茶葉加工品
JP5651365B2 (ja) 2010-04-07 2015-01-14 ネピュレ株式会社 大豆の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大豆加工品
JP5760398B2 (ja) 2010-11-15 2015-08-12 富士通株式会社 光スイッチ駆動回路、光スイッチ及び光切替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89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희토류 고형분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01072A (es) 2015-07-14
IL236774A0 (en) 2015-03-31
JP2014039793A (ja) 2014-03-06
CN104486976A (zh) 2015-04-01
PH12015500132A1 (en) 2015-03-16
WO2014017168A1 (ja) 2014-01-30
JP5799349B2 (ja) 2015-10-21
US20150201785A1 (en) 2015-07-23
EP2878237A4 (en) 2016-06-08
EP2878237A1 (en) 2015-06-03
AU2013294352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8139A (ko) 푸드 밀의 운전 방법
JP5895269B2 (ja) 裏漉し装置
EP27393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olive paste for oil extraction
GB2124893A (en) Juice extractor
JP2014039793A5 (ko)
JP5900830B2 (ja) 裏漉し装置
EP2338357A1 (en) Machine for obtaining oil
CN102783902A (zh) 一种自动排渣榨汁机及其排渣榨汁方法
CN102813443B (zh) 一种用于果蔬加工机的磨盘滤网结构
CN210974671U (zh) 一种天然产物多糖成分制备装置
CN210646718U (zh) 一种医药中间体的粉碎装置
CN113855618A (zh) 一种中药面膜加工工艺
CN106539506A (zh) 下压式渣汁分离装置及其搅拌器与刀具模组
CN206565204U (zh) 一种茶叶炒茶机
CN219580735U (zh) 一种新型多种组织匀浆仪
CN109013005A (zh) 一种用于生产鱼饲料的破碎机
EP3984425B1 (en) Coffee grinder
UA16366U (en) Device to produce pulpy juice from the vegtable raw material
KR20130112459A (ko) 곡물 분쇄 장치
US413014A (en) Ore-mill
CN112471554A (zh) 一种美白草本植物的加工方法
SU1063837A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корнеплодов
JPS61206417A (ja) 調理機
KR20150131609A (ko) 착즙기
JP2000254528A (ja) 家庭用精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