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448A -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448A
KR20150035448A KR20140129215A KR20140129215A KR20150035448A KR 20150035448 A KR20150035448 A KR 20150035448A KR 20140129215 A KR20140129215 A KR 20140129215A KR 20140129215 A KR20140129215 A KR 20140129215A KR 20150035448 A KR20150035448 A KR 2015003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passage
recovery
drive shaft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080B1 (ko
Inventor
요시오 기모토
도루 오오니시
겐고 사카키바라
유키 요코이
다카히사 반
료오 마츠바라
노리유키 신토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5003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31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72Discharg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회수 및 공급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회수 통로, 공급 통로, 환형 공간,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갖는다. 상기 입구 포트는 상기 회수 통로 중 작동 회수 통로와 연통가능하다.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공급 통로 중 작동 공급 통로와 연통가능하다.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일 때, 회수 단계의 압축 챔버에 잔류하는 냉매 가스는 상기 작동 회수 통로를 통해 회수되고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의 압축 챔버로 공급된다. 한편, 경사 각도가 최대 보다 적을 때, 잔류 냉매 가스는 더 이상 공급 단계 압축 챔버로 공급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본 발명은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6-117365호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이하, 단순히 "압축기"라 함)를 개시하고 있다. 압축기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 실린더 블록, 드라이브 샤프트, 사판, 경사각 변경 기구, 6개의 피스톤, 용량 제어 밸브, 및 회수 및 공급 기구를 갖는다.
실린더 블록은 그 내에 드라이브 사프트의 축 주위로 6개의 실린더 보어를 갖는다. 전방 하우징은 그 내에 크랭크 챔버를 갖는다. 후방 하우징은 그 내에 각 실린더 보어와 연통 가능한 흡입 챔버 및 토출 챔버를 갖는다. 드라이브 샤프트는 전방 하우징 및 실린더 보어를 통해 연장하고 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사판은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 그리고 크랭크 챔버 내에 장착된다. 사판은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으로 크랭크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경사각 변경 기구는 링크 기구 및 요동 변환 기구를 포함한다. 링크 기구는 러그 부재, 지지 아암 및 핀으로 구성된다. 러그 부재는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 그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크랭크 챔버 내의 사판의 전방측에 위치된다. 지지 아암은 러그 부재 후단측에 형성되어 러그 부재와 사판을 연결한다. 각 피스톤은 이의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 내에 수용되고 그에 의해 압축 챔버가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된다. 요동 변환 기구는 스러스트 베어링, 요동판 및 커넥팅 로드로 구성된다. 각 피스톤은 요동 변환 기구를 통해 사판에 연결되어 피스톤은 사판의 회전으로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용량 제어 밸브는 크랭크 챔버의 압력을 제어한다.
회수 및 공급 기구는 각 실린더 보어에 대한 연통 통로 및 바이패스 홈으로 구성된다. 6개의 연통 통로가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되고 연통 통로의 수는 실린더 보어의 수와 동일하다. 각 연통 통로는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되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멍과 이의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이패스 홈은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 장착된 회전 밸브의 외주연부의 일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임의의 2개의 인접하는 연통 통로가 드라이브 샤프트와 동기식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밸브의 바이패스 홈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압축기의 작동 시에, 드라이브 샤프트 상의 사판의 회전은 각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한다.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또는 피스톤의 후진 행정의 단계 동안, 냉매 가스는 실린더 보어 내로 흡인된다.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에서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또는 피스톤의 전진 행정의 단계 동안, 실린더 보어 내의 냉매 가스는 압축되어 실린더 보어 밖으로 토출된다. 전진 행정의 단계 동안, 토출 단계 후에도 실린더 보어 내에 잔류하는 잔류 냉매 가스의 재팽창이, 흡입 챔버로부터의 냉매 가스의 흡입 전에, 일어난다. 토출 단계의 종료로부터 재팽창 단계의 종료 후의 실린더 보어 내에 형성되는 압축 챔버가 회수 단계의 압축 챔버 또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될 것이다. 냉매 가스의 압축 동안 실린더 보어 내에 형성된 압축 챔버가 공급 단계의 압축 챔버 또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될 것이다. 그 내에 회수 단계 압축 챔버를 갖는 실린더 보어는 회수 단계의 실린더 보어 또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될 것이다. 그 내에 공급 단계 압축 챔버를 갖는 실린더 보어는 공급 단계의 실린더 보어 또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될 것이다.
이 압축기에서, 크랭크 챔버 내의 압력은 용량 제어 밸브에 의해 변경되고,경사각 변경 기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대한 사판의 경사각을 변경한다.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각 피스톤의 행정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당 냉매 가스의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압축기에서,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는 연통 통로 및 잔류 냉매 가스 바이패스 홈을 통해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와 연통될 수 있어, 회수 단계 압축 챔버 내의 잔류 냉매 가스는 회수되고 이렇게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로 공급된다. 따라서, 잔류 냉매 가스의 재팽창이 방지되고 체적 효율이 개선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사판이 최대 경사각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할 때 경사각이 최대 각보다 작을 때 소음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잔류 냉매 가스의 회수 및 공급은 압축 챔버 내의 냉매 가스의 온도가 높은 온도의 잔류 냉매 가스에 기인하여 증가되게 하고 따라서 압축을 위해 요구되는 동력이 증가된다. 그 결과, COP(성능 계수)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작동시 정숙함 및 개선된 COP를 달성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하우징, 드라이브 샤프트, 사판, 경사각 변경 기구, 복수의 피스톤, 제어 기구, 및 회수 및 공급 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그 내에 드라이브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크랭크 챔버를 갖는다. 드라이브 샤프트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사판은 크랭크 챔버 내에서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경사각 변경 기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대한 사판의 경사각을 변경한다. 복수의 피스톤은 사판의 회전에 따라 각 실린더 보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각 실린더 보어에 복수의 압축 챔버를 형성한다. 각 피스톤이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 내에서 이동될 때, 재팽창 단계, 흡입 단계, 압축 단계 및 토출 단계가 대응하는 압축 챔버에서 발생한다. 제어 기구는 경사각 변경 기구를 제어한다. 회수 및 공급 기구는 하나의 압축 챔버에 냉매 가스를 회수하고, 회수된 냉매 가스를 다른 하나의 압축 챔버로 공급한다. 하나의 압축 챔버는 토출 단계의 종료로부터 재팽창 단계의 종료까지의 단계에 있고, 회수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된다. 다른 하나의 압축 챔버는 압축 단계에 있고, 공급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된다. 하나의 실린더 보어는 그 내에 회수 단계 압축 챔버를 갖고,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된다. 다른 하나의 실린더 보어는 그 내에 공급 단계 압축 챔버를 갖고,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된다. 회수 및 공급 기구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와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연통 통로를 갖는다. 회수 및 공급 기구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와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연통 통로를 갖는다. 회수 및 공급 기구는 사판의 경사 각도의 최대값에서 연통 통로를 개방하고, 사판의 경사 각도의 최소값에서 연통 통로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일 예의 형태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이후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 목적 및 장점과 더불어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후의 기재를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압축기의 회수 및 공급 기구를 도시하는, 도 1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Ⅲ-Ⅲ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 1의 압축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 1의 압축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압축기의 드라이브 샤프트 및 샤프트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사판이 최대 경사각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상사점 위치와 하사점 위치의 피스톤을 도시하는 도 1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사판이 최대 경사각 보다 작은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상사점 위치와 하사점 위치의 피스톤을 도시하는 도 1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사판이 도 1의 압축기의 최대 경사각 위치에 있을 때 드라이브 샤프트의 각 위치와 압축 챔버 내의 압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사판이 도 1의 압축기의 최대 경사각보다 작은 위치에 있을 때 드라이브 샤프트의 각 위치와 압축 챔버 내의 압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샤프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샤프트 스토퍼를 갖는 도 10a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샤프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샤프트 스토퍼를 갖는 도 11a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샤프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샤프트 스토퍼를 갖는 도 12a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샤프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샤프트 스토퍼를 갖는 도 13a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이다. 압축기는 차량에 장착되고 에어 컨디셔너를 위한 냉각 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하우징(1), 드라이브 샤프트(3), 사판(5), 경사각 변경 기구(7), 5개의 피스톤(9), 제어 기구(11) 및 회수 및 공급 기구(1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듯이, 하우징(1)은 전방 하우징(15), 후방 하우징(17), 전방 하우징(15)과 후방 하우징(17)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 블록(19)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15), 후방 하우징(17), 실린더 블록(19)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1)는 복수의 관통 볼트(23)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크랭크 챔버(25)는 전방 하우징(15)과 실린더 블록(19) 사이에 형성된다. 보스(15A)는 전방 하우징(15) 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시일 장치(27)는 보스(15A) 내에 구비된다. 제1 샤프트 구멍(15B)은 보스(15A)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드 베어링(29)은 제1 샤프트 구멍(15B) 내에 구비된다. 전방 하우징(15)은 내부에 크랭크 챔버(25)가 제1 샤프트 구멍(15B)과 연통하도록 관통하는 오일 통로(15C)를 갖는다.
후방 하우징(17)은 내부에 입구(17A), 출구(17B), 흡입 챔버(31) 및 토출 챔버(33)를 갖는다. 흡입 챔버(31)는 후방 하우징(17)의 중앙에 인접한 위치에 입구(17A)와 연통하도록 후방 하우징(17A) 내에 형성된다. 토출 챔버(33)는 후방 하우징(17)의 외주연부에 인접한 위치에 출구(17B)와 연통하도록 후방 하우징(17) 내에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 하우징(17)은 내부에 토출 챔버(33)가 크랭크 챔버(25)와 연통하도록 관통하는 공급 통로(35)를 갖는다. 용량 제어 밸브(37)는 공급 통로(35) 내에 구비된다. 용량 제어 밸브(37)는 크랭크 챔버(25)의 압력을 제어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4에 도시하듯이, 실린더 블록(19)은 내부에 5개의 실린더 보어(19A, 19B, 19C, 19D, 19E)를 갖는다.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는 실린더 블록(19)의 원주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듯이, 5개의 리테이너 홈(37A, 37B, 37C, 37D, 37E)은 실린더 블록(19) 내에 각각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리테이너 홈(37A 내지 37E)은 후술하는 흡입 리드 밸드(47A)의 리프트량을 조절한다.
도 1에 도시하듯이, 실린더 블록(19)은 이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 구멍(19F)을 갖는다. 스프링 챔버(19G)는 실린더 블록(19) 내에 형성된다. 스프링 챔버(19G)는 크랭크 챔버(25)와 제2 샤프트 구멍(19F)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39A)은 크랭크 챔버(25)의 전방을 향해 사판(5)을 최소 경사각 위치(도 1의 2점 쇄선으로 도시)로 가압하도록 스프링 챔버(19) 내에 구비된다.
실린더 블록(19)은 내부에 도 3에 도시된 회수 통로(41A, 41B, 41C, 41D, 41E) 및 도 4에 도시된 공급 통로(43A, 43B, 43C, 43D, 43E)를 갖는다. 회수 통로(41A 내지 41E) 및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후술한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21)는 실린더 블록(19)과 후방 하우징(17) 사이에 위치하여,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후방 단부를 폐쇄한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21)는 밸브 플레이트(45), 흡입 밸브 플레이트(47), 토출 밸브 플레이트(49) 및 리테이너 플레이트(51)를 포함한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에 대한 흡입 포트(21A)가 밸브 플레이트(45), 토출 밸브 플레이트(49) 및 리테이너 플레이트(51)를 통해 형성된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에 대한 토출 포트(21B)가 밸브 플레이트(45) 및 흡입 밸브 플레이트(47)를 통해 형성된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는 흡입 포트(21A)를 통해 흡입 챔버(31)와, 토출 포트(21B)를 통해 토출 챔버(33)와 각각 연통한다. 연통 구멍(21C)은 밸브 플레이트(45), 흡입 밸브 플레이트(47), 토출 밸브 플레이트(49) 및 리테이너 플레이트(51)를 통해 형성된다.
흡입 밸브 플레이트(47)는 밸브 플레이트(45)의 전방에 구비된다. 흡입 밸브 플레이트(47)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흡입 포트(21A)를 개방 및 폐쇄하는 흡입 리드 밸브(47A)를 갖는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49)는 밸브 플레이트(45)의 후방에 구비된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49)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토출 포트(21B)를 개방 및 폐쇄하는 토출 리드 밸브(49A)를 갖는다. 리테이너 플레이트(51)는 토출 밸브 플레이트(49)의 후방에 구비된다. 리테이너 플레이트(51)는 토출 리드 밸브(49A)의 리프트량을 조절한다.
드라이브 샤프트(3)는 보스(15A) 및 하우징(1)의 후방부를 통해 연장된다.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전방부는 보스(15A) 내에서 시일 장치(27)를 통과해 연장되고 드라이브 샤프트(3)의 후방부는 제2 샤프트 구멍(19F)의 내주연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샤프트(3)는 회전축 O에서 회전 가능하다.
러그(lug) 플레이트(53) 및 사판(5)은 드라이브 샤프트(3)에 장착된다. 러그 플레이트(53)는 실질적으로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러그 플레이트(53)는 드라이브 샤프트(3)에 압입되고, 슬라이드 베어링(29)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전방부는 슬라이드 베어링(29)에 의해 지지되고 러그 플레이트(53)는 드라이브 샤프트(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스러스트 베어링(57)은 러그 플레이트(53)와 전방 하우징(15) 사이에 구비된다.
러그 플레이트(53)는 러그 플레이트(5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아암(55)을 갖는다. 러그 플레이트(53)는 한쌍의 아암(55) 사이에 경사면(53A)을 갖는다.
사판(5)은 환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면(5A) 및 후방면(5B)을 갖는다. 사판(5)의 전방면(5A)은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가 되었을 때, 러그 플레이트(53)와 접하도록 하는 정지면(5C)을 갖는다. 삽입 구멍(5D)은 사판(5)의 중앙에 형성된다. 드라이브 샤프트(3)는 삽입 구멍(5D)을 통하여 삽입된다.
사판(5)은 사판(5)의 전방면(5A)으로부터 러그 플레이트(53)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사판 아암(5E)을 갖는다. 경사각 변경 기구(7)는 사판 아암(5E), 러그 플레이트(53)의 아암(55) 및 러그 플레이트(53)의 경사면(53A)을 포함한다. 러그 플레이트(53)는 아암(55) 사이에 삽입된 사판 아암(5E)을 통하여 사판(5)과 연결된다. 따라서, 사판(5)은 러그 플레이트(53)와 함께 크랭크 챔버(25)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각각의 사판 아암(5E)의 단부는 경사면(53A)과 접촉되어 있다. 사판 아암(5E)은 각각의 경사면(53A)에 접하여 미끄러진다. 따라서, 사판(5)은 피스톤(9)이 그 상사점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도 1의 양끝에 화살 표시된 점선이 가리키는 최대 경사각 위치와 최소 경사각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설명을 위하여, 도 1에 아암(55) 및 사판 아암(5E) 중 하나만을 도시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각 변경 기구(7)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복귀 스프링(39B) 및 스프링 시트(157)는 러그 플레이트(53)와 사판(5) 사이에 구비된다. 스프링 시트(157)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가 되었을 때, 사판(5)과 접하게 된다. 제2 복귀 스프링(39B)은 사판(5)을 실린더 블럭(19) 쪽으로 가압한다.
드라이브 샤프트(3)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전방 단부로부터 그 후방 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축방향 통로(3A)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축방향 통로(3A)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축방향 통로(3A)와 연통되는 반경방향 통로(3B)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통로(3A)는 축방향 통로(3A)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대경부(300) 및 대경부(300)를 제외한 축방향 통로(3A)의 다른 부분의 소경부(301)를 갖는 단차형으로 형성된다. 대경부(300)의 후방 단부는 샤프트 스토퍼(59)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반경방향 통로(3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3)의 외주연면에서 개구를 갖는 제1 샤프트 구멍(15B)에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59)는 단차형 실린더 형상을 갖고, 그 내에 연결 통로(59A)를 갖는다. 샤프트 스토퍼(59)는 그 외주연부에, 샤프트 스토퍼(59)의 전방 단부가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로 압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전방 단부 피팅부(59B)와, 샤프트 스토퍼(59)의 후방 단부가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로 압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후방 단부 피팅부(59C)와, 전방 단부 피팅부(59B)와 후방 단부 피팅부(59C)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59D)를 갖는다. 전방 단부 피팅부(59B) 및 중간부(59D)는 대략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플랜지부(59E)는 샤프트 스토퍼(59)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9E)의 외경은 후방 단부 피팅부(59C)의 외경 및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의 내경보다 크다. 샤프트 스토퍼(59)에서, 후방 단부 피팅부(59C) 및 플랜지부(59E)의 외경은 전방 단부 피팅부(59B) 및 중간부(59D)의 외경보다 크다.
샤프트 스토퍼(59)는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로부터 소경부(301)를 향하여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샤프트 스토퍼(59)를 삽입함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 내로 압입된다. 이러한 경우, 후방 단부 피팅부(59C) 및 전방 단부 피팅부(59B)는 대경부(300)의 벽면 및 소경부(301)의 벽면에 각각 도트로 해칭 표시된 부분이 끼워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59)의 플랜지부(59E)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후방 단부면에 접한다. 따라서, 플랜지부(59E)는 드라이브 샤프트(3)와 밸브 형성 플레이트(2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축방향 통로(3A) 내로 샤프트 스토퍼(59)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는 샤프트 스토퍼(59)의 연결 통로(59A)와 밸브 형성 플레이트(21)의 연통 구멍(21C)을 통해 흡입 챔버(31)와 연통된다. 블리드 통로(30)는 반경방향 통로(3B), 소경부(301), 연결 통로(59A) 및 연통 구멍(21C)에 의해 형성된다. 크랭크 챔버(25)는 블리드 통로(30)및 오일 통로(15C)를 통하여 흡입 챔버(31)와 연통할 수 있다. 제어 기구(11)는 유출 통로(30), 공급 통로(35) 및 변위 제어 밸브(37)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샤프트(3)는 후방 단부가 흡입 챔버(31)로 개구된 블리드 통로(3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59)의 중간부(59D)는 환형 공간(61)이 중간부(59D) 주위에 형성되도록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위치한다. 샤프트 스토퍼(59)의 전방 단부 피팅부(59B)는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에 끼워지고, 샤프트 스토퍼(59)의 후방 단부 피팅부(59C)는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끼워진다. 따라서, 환형 공간(61)은 소경부(301) 및 연통 구멍(21C)에 인접한 대경부(300)의 일부분으로부터 분할 또는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 공간(61)은 샤프트 스토퍼(59)에 의해 블리드 통로(3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3)는 이를 관통하면서 환형 공간(61)과 연통하는 입구 포트(63) 및 출구 포트(65)를 그 후방 단부에 구비한다. 입구 포트(63) 및 출구 포트(65)는 하기에 기술된다.
피스톤(9)은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각각에는, 피스톤(9)과 그 대응하는 밸브 형성 플레이트(21) 사이에 압축 챔버(67)가 형성된다.
피스톤(9)이 그 실린더 보어의 하사점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 보어의 압축 챔버(67)에 재팽창 단계 및 흡입 단계가 유도된다. 피스톤(9)이 그 실린더 보어의 상사점을 향에 이동함에 따라, 압축 챔버(67)에 압축 단계 및 토출 단계가 유도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토출 단계의 종료로부터 재팽창 단계의 종료까지의 단계에 있는 압축 챔버(67)는 회수 단계의 압축 챔버(67A) 또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서 작용한다. 압축 단계에 있는 압축 챔버(67)는 공급 단계의 압축 챔버(67B) 또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서 작용한다.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 중,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를 형성하는 실린더 보어는 회수 단계의 실린더 보어(190) 또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로서 작용하고,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를 형성하는 실린더 보어는 공급 단계의 실린더 보어(191) 또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실린더 보어(19A)에 형성된 압축 챔버(67)가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서 작용할 경우, 실린더 보어(19A)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로서 작용한다. 유사하게, 실린더 보어(19A)에 형성된 압축 챔버(67)가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서 작용할 경우, 실린더 보어(19A)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로서 작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9A)가 각 피스톤(9)에 형성된다. 각 리세스(9A)에 반구형 슈즈(shoes; 69A 및 69B)가 구비된다. 사판(5)의 회전은 슈즈(69A 및 69B)를 통해 피스톤(9)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된다.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도 3에 도시된 회수 통로(41A 내지 41E), 도 4에 도시된 공급 통로(43A 내지 43E), 도 2에 도시된 환형 공간(61), 입구 포트(63), 및 출구 포트(6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는 그 내부에, 샤프트 스토퍼(59) 주위에 형성된 환형 공간(61)에 의해 형성된 회전 통로, 회수 통로(41A 내지 41E)의 각각을 향해 환형 공간(61)으로부터 연장하는 입구 포트(63), 및 공급 통로(43A 내지 43E) 중 하나를 향해 환형 공간(61)으로부터 연장하는 출구 포트(65)를 구비한다. 회수 통로(41A 내지 41E) 및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회전 통로와 연통가능하다. 따라서,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 및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는 연통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통로(41A 내지 41E)는 제2 샤프트 구멍(19F)으로부터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를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회수 통로(41A 내지 41E) 중, 회수 통로(41A)는 리테이너 홈(37A)을 통해 실린더 보어(19A)와 연통한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19A)는 회수 통로(41A)를 통해 제2 샤프트 구멍(19F)과 연통한다. 또한, 실린더 보어(19A)에 형성된 회수 챔버(67)는 제2 샤프트 구멍(19F)과 연통한다. 회수 통로(41A)와 유사하게, 회수 통로(41B 내지 41E)는 리테이너 홈(37B 내지 37E)을 통해 실린더 보어(19B 내지 19E)와 각각 연통한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19B 내지 19E)는 회수 통로(41B 내지 41E)을 통해 제2 샤프트 구멍(19F)과 각각 연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홈(37B 내지 37E)을 통해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각각 연통하는 회수 통로(41A 내지 41E)는 상사점(T)보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21)에 근접한 위치를 포함하는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로 각각 개방된다. 회수 통로(41A 내지 41E) 중, 입구 포트(63)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한 회수 통로는 회수 시에 실제로 작동하는 작동 회수 통로(410)로서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제2 샤프트 구멍(19F)으로부터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를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실린더 블록(19)에서 회수 통로(41A 내지 41E)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한다. 공급 통로(43A 내지 43E) 중, 공급 통로(43A)는 실린더 보어(19A)와 연통한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19A)는 공급 통로(43A)를 통해 제2 샤프트 구멍(19F)과 연통한다. 또한, 압축 챔버(67)는 공급 통로(43A)를 통해 제2 샤프트 구멍(19F)과 연통한다. 유사하게, 공급 통로(43B 내지 43E)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차례로 실린더 보어(19B 내지 19E)와 각각 연통한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19B 내지 19E)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차례로 공급 통로(43B 내지 43E)를 통해 제2 샤프트 구멍(19F)과 각각 연통한다.
공급 통로(43A 내지 43E) 중,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포트(65)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한 공급 통로는 공급 시에 실제로 작동하는 작동 공급 통로(430)로서 작용한다.
사판(5)이 최대 경사각 위치에 있고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 내의 피스톤(9)이 상사점 위치에 위치하면,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내주연면에 대한 공급 통로(43A 내지 43E) 각각의 개구는, 개구가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 내의 피스톤(9)의 주연면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포트(63)는 환형 공간(61)으로부터 회수 통로(41A 내지 41E) 중 하나를 향해 각각 드라이브 샤프트(3)의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포트(63)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주연면에 개방된다. 입구 포트(63)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주연면 상에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리세스(63A)와, 제1 리세스(63A)의 바닥면을 통해 제공되고 환형 공간(61) 내로 드라이브 샤프트(3)의 대경부(300)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연통 통로(63B)를 포함한다. 회수 통로(41A 내지 41E)의 작동 회수 통로(410)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입구 포트(63)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포트(65)는 환형 공간(61)으로부터 공급 통로(43A 내지 43E) 중 하나를 향해 드라이브 샤프트(3)의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출구 포트(65)는 입구 포트(63)보다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주연면에 개방된다. 출구 포트(65)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주연면 상에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리세스(65A)와, 제2 리세스(65A)의 바닥면을 통해 제공되고 환형 공간(61) 내로 연장되는 제2 연통 통로(65B)를 포함한다. 공급 통로(43A 내지 43E)의 작동 공급 통로(430)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출구 포트(65)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회수 통로(410)는 입구 포트(63), 환형 공간(61) 및 출구 포트(65)를 통해 작동 공급 통로(430)와 연통 가능하다. 출구 포트(65)는 입구 포트(63)보다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개방되므로, 작동 회수 통로(410)는 출구 포트(65)와 연통되는 것이 방지되고, 작동 공급 통로(430)는 출구 포트(65)와 연통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출구(17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통해 콘덴서(71)에 연결된다. 콘덴서(71)는 파이프를 통해 팽창 밸브(73)에 연결된다. 팽창 밸브(73)는 파이프를 통해 증발기(75)에 연결된다. 증발기(75)는 파이프를 통해 입구(17A)에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기는 콘덴서(71), 팽창 밸브(73) 및 증발기(75)에 의해 공기 조화기용 냉각 회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압축기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에 의해 구동된 사판(5)의 회전은 피스톤(9)이 각각의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 내에 인입된 냉매 가스를 압축한다. 가변 용량 압축기에서, 압축 챔버(67)의 커패시티는 사판(5)의 경사각에 의해 변하는 피스톤(9)의 행정 길이에 따라 변한다. 토출 챔버(33)로 토출된 냉매 가스의 일부는 공급 통로(35)를 통해 크랭크 챔버(25) 내로 인입된다. 크랭크 챔버(25) 내의 냉매 가스는 오일 통로(15C)와 블리드 통로(30)를 통해 흡입 챔버(31) 내로 유동한다. 그리고, 드라이브 샤프트(3), 슬라이드 베어링(29) 및 스러스트 베어링(57)은 냉매 가스 내에 함유된 윤활유에 의해 계속해서 윤활된다. 크랭크 챔버(25)는 블리드 통로(30)를 통해 흡입 챔버(31)와, 그리고 공급 통로(35)를 통해 토출 통로(33)와 연통 가능하여, 크랭크 챔버(25)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크랭크 챔버(25) 내 압력이 용량 제어 밸브(37)에 의해 증가되면, 사판(5)의 경사각은 경사각 변경 기구(7)에 의해 감소된다. 그에 따라, 피스톤(9)의 행정 길이는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 당 토출 용량이 감소된다.
반면, 크랭크 챔버(25) 내 압력이 용량 제어 밸브(37)에 의해 감소되면, 사판(5)의 경사각은 경사각 변경 기구(7)에 의해 증가된다. 그에 따라, 피스톤(9)의 행정 길이가 증가되고,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 당 토출 용량은 증가된다.
현 실시예의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각 피스톤(9)의 상사점 위치(T)의 위치가 사판(5)의 경사각에 상관없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경사각 변경 기구(7)에 의해 실시된다. 즉, 각 피스톤(9)의 상사점 위치(T)는 사실상 피스톤(9)의 행정 길이에 무관하게 유지된다.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로 되고 그에 따라 피스톤(9)의 행정 길이가 최대로 되면, 피스톤(9)은 도 6에 도시된 상사점 위치(T)와 하사점 위치(U1) 사이에서 이동한다.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피스톤(9)의 행정 길이가 감소하면, 피스톤(9)은 도 7에 도시된 상사점 위치(T)와 하사점 위치(U2)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각 피스톤(9)이 상사점 위치(T)와 하사점 위치(U2)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사각은 설정값으로서 설정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 내에 남은 잔류 냉매 가스는 회수되고,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 공급된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라이브 샤프트(3)의 각 위치의 범위(D1)에서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로부터 잔류 냉매 가스가 회수된다. 회수된 잔류 냉매 가스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각 위치의 범위(D2)에서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에 공급된다. 즉, 드라이브 샤프트(3)의 각 위치의 범위가 범위(D1)에 있을 때,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서 작용을 하며, 실린더 보어(19A)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로서 작용을 한다. 드라이브 샤프트(3)의 각 위치가 범위(D2)에 있을 때,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서 작용을 하며, 실린더 보어(19A)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로서 작용을 한다. 다른 실린더 보어(19B 내지 19E)가 각각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 또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로서 작용을 하는 각 위치의 범위는 서로 상이하다.
다음은, 잔류 냉매 가스가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로부터 회수되고, 회수된 냉매 가스가 실린더 보어(19D)의 압축 챔버(67)에 공급되는 실시예를 사용하여 회수 및 공급 기구(13)에 의해 실행되는 냉매 가스의 회수 및 공급을 설명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 보어(19A)의 압축 챔버(67)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서 작용을 하며, 실린더 보어(19D)의 압축 챔버(67)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서 작용을 한다. 실린더 보어(19A)는 회수 단계 실린 보어(190)로서 작용을 한다. 실린더 보어(19D)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로서 작용을 한다. 실린더 보어(19A)와 연통하고 있는 회수 통로(41A)는 입구 포트(63)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하다. 따라서, 회수 통로(41A)는 작업 회수 통로(410)로서 작용을 한다. 실린더 보어(19D)와 연통하고 있는 공급 통로(43D)는 출구 포트(65)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가능하다. 따라서, 공급 통로(43D)는 작업 공급 통로(430)로서 작용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2개의 반대 방향 화살표는 실린더 보어(19A, 19D)의 피스톤(9)의 이동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회수 및 공급 기구(13)에 의해,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 및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 연통 통로와 연통가능하다. 연통 통로는 리테이너 홈(37A 내지 37E), 회수 통로(41A 내지 41E), 입구 포트(63), 환형 공간(61), 출구 포트(65), 및 공급 통로(43A 내지 43E)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샤프트(3)의 회전 동안, 회수 통로(41A)가 작업 회수 통로(410)가 되었을 때, 또는 회수 통로(41A)가 입구 포트(63)를 통해 환형 공간(61)과 연통하게 될 때,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의 잔류 냉매 가스는 도 6에 실선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 홈(37A) 및 작업 회수 통로(410)를 통해 환형 공간(61)으로 흘러 회수된다. 출구 포트(65)가 드라이프 샤프트(3)의 회전에 따라 작업 공급 통로(430)와 연통하게 될 때, 환형 공간(61)에 회수된 냉매 가스는 작업 공급 통로(430)를 통해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흐른다. 그 다음,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서 압축 단계가 일어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이고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190)의 피스톤(9)이 상사점 위치에 위치될 때, 그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내주면에 대한 공급 통로(43A 내지 43E) 각각의 개구는,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191)의 피스톤(9)의 주연면에 의해 개방이 폐쇄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왕복 이동 동안의 각각의 피스톤(9)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각각 간헐적으로 연통가능하다. 그러므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이고 피스톤(9)이 하사점 위치(U1)를 향하여 이동할 때, 작업 공급 통로(430)를 통해 흐르는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흐르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의 잔류 냉매 가스는 작업 회수 통로(410)를 통해 회수될 수 있고, 회수된 냉매 가스는 작업 공급 통로(430)를 통해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흡입 챔버(31)로부터 인출된 냉매 가스 및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서 함께 압축된다.
한편, 사판(5)이 최대 경사각 미만인 경사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9)의 행정 길이는 경사각이 최대인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이 경우에, 피스톤(9)의 하사점 위치(U2)는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에 대한 공급 통로(43A 내지 43E)의 개구의 후방에 각각 위치된다. 그러므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보다 미만일 때는, 피스톤(9)이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하사점 위치(U2)로 각각 이동할 때에도, 공급 통로(43A 내지 43E)는 피스톤(9)의 주연면에 의해 폐쇄되고, 그 결과 작업 공급 통로(430) 내의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 공급될 수 없다.
따라서,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각각의 피스톤(9)의 왕복 운동에 따라 연통 통로를 연통가능 또는 연통불가능하도록 허용한다.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사판(5)의 경사 각도의 최대값에서 연통 통로가 연통가능하도록 허용하고 사판(5)의 경사 각도의 최소값에서 연통 통로가 연통불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 미만이고 작업 회수 통로(410)와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 사이의 연통 영역이 제로인 경우, 잔류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고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의 잔류 냉매 가스는 실질적으로 더 이상 회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 챔버(31)로부터 흡인되는 냉매 가스만이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서 압축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인 경우,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의 잔류 냉매 가스가 회수되고 회수된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공급된다. 그 결과, 압축 챔버(67)의 잔류 냉매 가스의 재팽창은 사판(5)이 그 최대 경사각 위치에 있는 경우 재팽창 단계 동안 재팽창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챔버(67)의 압력은 잔류 냉매 가스의 어떠한 회수 및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각 압축 챔버(67)의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 미만이 되는 경우, 잔류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도 9의 그래프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 미만인 위치에 있는 경우의 압축 챔버(67)의 압력과, 드라이브 샤프트(3)의 각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잔류 냉매 가스의 회수 및 공급이 이루어지는 비교예로서 내부 압력파의 실선 커브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의 내부 압력파는 급격하게 변화되고 실선 커브에 변곡점(P)이 존재한다. 변곡점(P)의 생성은 압축기의 잡음을 야기한다.
또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 미만이고 잔류 냉매 가스의 회수 및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압축 챔버(67)의 냉매 가스의 온도는 더 높아지기 쉽고 따라서 압축에 필요한 전력은 더 커지고 COP는 악화된다.
실선 커브에 비해, 점선 커브는 잔류 냉매 가스의 어떠한 회수 및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재팽창 동안 실린더 보어의 압력파가 잔류 냉매 가스의 회수 및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적절하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내부 압력파의 실선 커브에 도시된 변곡점(P)은 실린더 보어에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잡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 미만인 상태로 압축기가 작동중인 경우, 압축 챔버(67)의 냉매 가스의 온도는 저하될 수 있고 압축에 필요한 전력은 어떠한 잔류 냉매 가스도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낮춰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잡음이 억제된 상태로 작동되고 COP가 향상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으로부터 감소됨에 따라, 연통 통로의 연통 영역을 감소시키고,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사판(5)의 경사각이 소정값으로 되는 경우, 연통 통로를 완전히 폐쇄한다.
사판(5)의 경사각의 최대값에서, 잔류 냉매 가스는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 공급된다. 한편,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으로부터 감소됨에 따라, 연통 통로의 연통 영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부터 회수되는 잔류 냉매 가스의 유동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공급되는 회수된 냉매 가스의 유동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회수 및 공급 기구(13)는, 사판(5)의 경사각이 소정값이 되는 경우, 연통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고, 잔류 냉매 가스의 어떠한 회수 및 공급도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 및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이 각각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판(5)의 경사각이 소정값이 되는 경우, 잡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COP가 향상될 수 있다. 연통 통로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의 사판(5)의 경사각의 소정값은 사판(5)의 최소 경사각일 수도 있고 또는 사판(5)의 최대 경사각과는 다른 경사각의 범위에서 설계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사판(5)의 경사각의 최소값을 제외한 값이 소정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와 상관없이, 연통 통로는 사판(5)의 경사각의 최소값에서 완전히 폐쇄된다.
샤프트 스토퍼(59)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에 단지 압입됨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3)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환형 공간(61)은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 내에 형성되고, 샤프트 스토퍼(59)에 의해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 내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환형 공간(61)은 드라이브 샤프트(3) 내에 형성될 수 있고, 환형 공간(61)을 통해 유동하는 잔류 냉매 가스는 블리드 통로(30)를 통해 크랭크 챔버(25)로 더 나아가서는 흡입 챔버(31)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블리드 통로(30)는 샤프트 스토퍼(59)에 의해 환형 공간(61)을 포함하는 회전 통로로부터 분리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는 샤프트 스토퍼(5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압축기의 제조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와 밸브 형성 플레이트(21)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따라서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제2 실시예
다음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압축기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샤프트 스토퍼(59)가 도 10a에 도시된 샤프트 스토퍼(77)로 대체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축기와 다르다. 샤프트 스토퍼(59)와 유사하게, 샤프트 스토퍼(77)는 단차형 실린더 형상이고 내부에 연결 통로(77A)를 구비한다. 샤프트 스토퍼(77)는 그 외주연부에, 샤프트 스토퍼(77)의 전방 단부가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로 압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전방 단부 피팅부(77B)와, 샤프트 스토퍼(77)가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로 압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와, 전방 단부 피팅부(77B)와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77D)를 구비한다. 전방 단부 피팅부(77B)와 중간부(77D)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다.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의 후방 단부에는 플랜지부(77E)가 형성된다. 플랜지부(77E)의 외경은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의 외경과,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의 내경보다 더 크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통로(77A)는 전방 단부 피팅부(77B)로부터 플랜지부(77E)로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된 샤프트 스토퍼(77) 내에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77)는 링 홈(770)을 구비한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의 외주에 형성되고, 링 홈(770) 내에 O 링(771)이 제공된다. O 링(771)은 본 발명의 밀봉 부재에 대응한다. O 링(771)은 드라이브 샤프트(3)를 밀봉하고 냉매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브 샤프트(3)와 샤프트 스토퍼(77) 사이에 제공된다.
샤프트 스토퍼(77)를 대경부(300)로부터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를 향해 삽입함으로써, 샤프트 스토퍼(77)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로 압입된다. 이 경우에, 도 10a에 도트 해칭으로 표시된 영역에서 전방 단부 피팅부(77B)는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에 끼워맞춤된다. O 링(771)은 대경부(300)의 내벽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샤프트 스토퍼(77)가 드라이브 샤프트(3)에 압입됨으로써,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는 샤프트 스토퍼(77)의 연결 통로(77A)와 밸브 형성 플레이트(21)의 연통 구멍(21C)을 통해 흡입 챔버(31)와 연통한다. 제2 실시예의 압축기에서, 블리드 통로(30)는 반경방향 통로(3B), 소경부(301), 연결 통로(77A) 및 연통 구멍(21C)에 의해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77)의 중간부(77D)는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위치하여, 환형 공간(61)이 중간부(77D)의 주위에 형성된다. 환형 공간(61)은 소경부(301)와 대경부(300)의 후방 단부에 의해 분리되고, 중간부(77D)에 의해 블리드 통로(30)로부터 분리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유사한 부품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데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환형 공간(61)은 O링(771)에 의해 밀봉되어, 환형 공간(61)을 통해 유동하는 회수된 냉매 가스가 블리드 통로(30)를 통해 크랭크 챔버(25) 및 흡입 챔버(31)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링(771)을 제공함으로써, 대경부(300)와 샤프트 스토퍼(77)의 후방 대직경 원통형부(77C)의 고정밀도로의 기계가공없이도 성공적으로 환형 공간(61)을 밀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압축기는 용이하고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효과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효과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다음은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의 압축기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샤프트 스토퍼(59)가 도 11a에 도시된 샤프트 스토퍼(79)로 대체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축기와 다르다. 샤프트 스토퍼(79)는 또한 단차형 실린더 형상이고 내부에 연통 통로(79A)를 구비한다. 샤프트 스토퍼(79)는 그 외주부에, 샤프트 스토퍼(79)의 전방 단부가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로 압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전방 단부 피팅부(79B)와, 후방 단부 피팅부(79C)가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로 압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후방 단부 피팅부(79C)와, 전방 단부 피팅부(79B)와 후방 단부 피팅부(79C)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79D)를 구비한다. 전방 단부 피팅부(79B)와 중간부(79D)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다. 후방 단부 피팅부(79C)의 후방 단부에는 플랜지부(79E)가 형성된다. 플랜지부(79E)의 외경은 후방 단부 피팅부(79C)의 외경과,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의 내경보다 더 크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통로(79A)는 전방 단부 피팅부(79B)로부터 플랜지부(79E)로 일정한 직경으로 샤프트 스토퍼(79)에 형성된다.
에 따른 압축기에서, 소경부(301)의 후방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의 내주연면에 형성된 환형 홈에 시일 부재(81)가 구비된다. 시일 부재(81)는 본 발명의 시일 부재에 대응한다.
샤프트 스토퍼(79)는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로부터 소경부(301)를 향해 샤프트 스토퍼(79)를 삽입시킴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 내로 압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방 단부 피팅부(79B)는 도 11a의 두 개의 점선 사이에 샤프트 스토퍼(79) 상의 영역에서 시일 부재(81)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반면, 후방 단부 피팅부(79C)는 도 11a에서 도트 해칭으로 표시된 영역에서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의 후방 부분 안에 끼워진다. 따라서, 샤프트 스토퍼(79)가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 내에 압입됨으로써,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는 샤프트 스토퍼(79)의 연통 통로(79A)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21)의 연통 구멍(21C)을 통해 흡입 챔버(31)와 연통한다. 블리드 통로(30)는 반경방향 통로(3B), 소경부(301), 연통 통로(79A) 및 연통 구멍(21C)에 의해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79)의 중간부(79D)가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위치하여, 환형 공간(61)이 중간부(79D) 주위에 형성된다. 환형 공간(61)은 소경부(301)와 대경부(300)의 후방 단부에 의해 분리되고, 중간부(79D)에 의해 블리드 통로(30)로부터 분리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의 대응물과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지칭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환형 공간(6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경우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79)의 전방 단부 피팅부(79B) 주위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 상에 구비된 시일 부재(81)에 의해 시일된다. 시일 부재(81)의 제공은 샤프트 스토퍼(79)의 전방 단부 피팅부(79B)와 소경부(301)를 고정밀도로 기계 가공하지 않고 환형 공간(61)을 성공적으로 시일되게 한다. 그러므로, 압축기는 쉽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효과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효과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아래에서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의 압축기를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샤프트 스토퍼(59)가 도 12a에 도시된 샤프트 스토퍼(83)로 교체된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축기와 상이하다. 도 2와 도 12b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보다 축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83)는 단차형 실린더 형상이고, 내부에 연결 통로(83A)를 갖는다. 샤프트 스토퍼(83)는 전방 단부 피팅부(83B) 및 후방 단부 피팅부(83C)를 갖고, 이는 전방 단부 피팅부(83B) 및 후방 단부 피팅부(83C)가 대경부(300) 내로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83)는 전방 단부 피팅부(83B)와 후방 단부 피팅부(83C)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 중간부(83D)를 더 갖는다. 중간부(83D)의 외경은 전방 단부 피팅부(83B) 및 후방 단부 피팅부(83C)의 외경보다 작다. 플랜지부(83E)는 후방 단부 피팅부(83C)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부(83E)의 외경은 전방 단부 피팅부(83B) 및 후방 단부 피팅부(83C)의 외경보다 크고, 대경부(300)의 내경보다 크다. 샤프트 스토퍼(83) 내의 연결 통로(83A)는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83)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압입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단부 피팅부(83B)는 대경부(300)의 전방 부분에 끼워지고, 후방 단부 피팅부(83C)는 대경부(300)의 후방 부분에 끼워진다. 따라서, 샤프트 스토퍼(83)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의 대경부(300)에 압입되어,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는 연결 통로(83A) 및 연통 구멍(21C)을 통해 흡입 챔버(31)와 연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블리드 통로(30)는 반경방향 통로(3B), 축방향 통로(3A)의 소경부(301), 연결 통로(83A) 및 연통 구멍(21C)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부(83D)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에서 볼 때 대경부(300)의 거의 중심에 형성되고 환형 공간(61)은 중간부(83D) 주위에 형성된다. 환형 공간(61)은 대경부(300)의 전방 단부 및 대경부(300)의 후방 단부에 의해 분리되고, 중간부(83D)에 의해 블리드 통로(30)로부터 분리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의 대응물과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지칭한다.
전방 단부 피팅부(83B) 및 후방 단부 피팅부(83C)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는, 샤프트 스토퍼(83)가 쉽게 만들어질 수 있어, 압축기는 쉽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효과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효과와 동일하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의 압축기가 설명될 것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샤프트 스토퍼(59)가 도 13a에 도시된 샤프트 스토퍼(85)로 대체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축기와 다르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통로(3A)는 제1 소경부(302), 대경부(303) 및 제2 소경부(304)를 갖는다. 제1 소경부(302) 및 제2 소경부(30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제1 소경부(302)는 도 1에 도시된 반경방향 통로(3B)와 그 전방 단부에서 연통된다. 도 13b에 도시된 대경부(303)는 제1 소경부(302)와 그 전방 단부에서 연통되고, 제2 소경부(304)와 그 후방 단부에서 연통된다. 대경부(30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대경부(300)보다 축방향으로 짧게 형성된다. 제2 소경부(304)의 후방 단부는 드라이브 샤프트(3)의 후방 단부면에 개구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85)는 원통 형상이며, 관통하는 연결 통로(85A)를 갖는다. 샤프트 스토퍼(85)는 그 외주연부에 전방 단부 피팅부(85B)와 후방 단부 피팅부(85C)를 구비하는데, 전방 단부 피팅부(85B)와 후방 단부 피팅부(85C)가 제1 소경부(302)와 제2 소경부(304)에 각각 압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중간부(85D)가 전방 단부 피팅부(85B)와 후방 단부 피팅부(85C) 사이에 형성된다. 전방 단부 피팅부(85B), 후방 단부 피팅부(85C) 및 중간부(85D)는 실질적으로 둥일한 외경을 갖는다. 플랜지부(85E)는 후방 단부 피팅부(85C)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부(85E)의 직경은 후방 단부 피팅부(85C)와 제2 소경부(304)의 직경보다 크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스토퍼(85)의 연결 통로(85A)는 전방 단부 피팅부(85B)에서 플랜지부(85E)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된다.
샤프트 스토퍼(85)는, 제2 소경부(304)로부터 제1 소경부(302)를 향해 샤프트 스토퍼(85)를 드라이브 샤프트(3) 내로 삽입함으로써 압입된다. 이 경우에, 샤프트 스토퍼(85)는 도 13a에 도트 해칭으로 표시된 영역에서 각각 제1 소경부(302)와 제2 소경부(304)에 끼워진 전방 단부 피팅부(85B)와 후방 단부 피팅부(85C)에 의해 삽입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샤프트(3)의 축방향 통로(3A)에 압입된 샤프트 스토퍼(85)에 의해, 제1 소경부(302)는 연결 통로(85A)와 연통 구멍(21C)을 통해 흡입 챔버(31)에 연통된다. 블리드 통로(30)가 축방향 통로(3B), 제1 소경부(302), 연결 통로(85A) 및 연통 구멍(21C)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부(85D)는 대경부(303) 내에 배치되어, 환형 공간(61)이 중간부(85D) 주위에 형성된다. 환형 공간(61)은 제1 소경부(302)와 제2 소경부(304)에 의해 분리되고, 중간부(85D)에 의해 블리드 통로(30)로부터 분리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전방 단부 피팅부(85B), 후방 단부 피팅부(85C) 및 중간부(85D)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므로, 샤프트 스토퍼(85)는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축기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압축기의 저비용이 달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다른 효과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효과와 동일하다.
본 발명이 제1 내지 제5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하에 예로 든 바와 같은 대체예로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급 통로(43A 내지 43E)가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에 개구된 위치는, 각각의 공급 통로(43A 내지 43E)가 사판(5)의 경사각이 감소하여 피스톤(9)의 행정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피스톤(9)에 의해 점차 폐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값보다 작을 때, 작업 회수 통로(410)와 작업 공급 통로(430) 사이의 연통 영역이 점차 감소된다. 그러므로,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 내로 공급되는 회수된 냉매 가스의 흐름은 사판(5)의 경사각의 감소로 점차 감소된다.
게다가 연통 통로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부터 회수되는 잔류 냉매 가스를 위해 각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연통하는 전용의 회수 통로와,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에 공급되는 잔류 냉매 가스를 위해 각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연통 가능한 전용의 공급 통로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통 통로는, 연통 통로가 실린더 보어(19A 내지 19E)와 연통 가능하고 회수 단계 압축 챔버(67A)로부터 회수된 잔류 냉매 가스와 공급 단계 압축 챔버(67B)로 공급된 잔류 냉매 가스가 연통 통로를 통해 교대로 유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경사각 변경 기구(7)는, 사판(5)의 경사각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링크 기구 또는 다양한 형태의 요동 운동 전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구(11)는 경사각 변경 기구(7)를 제어할 수 있는 변위 제어 밸브 또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7)

  1.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이며,
    축을 갖는 드라이브 샤프트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가 상기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를 지지하고, 상기 축 주위로 복수의 실린더 보어와, 크랭크 챔버를 내측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크랭크 챔버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한 사판과,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경사각 변경 기구와,
    상기 사판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 보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각각의 실린더 보어에 복수의 압축 챔버를 형성하고, 각각이 대응 실린더 보어에서 이동될 때 재팽창 단계, 흡입 단계, 압축 단계 및 토출 단계가 대응 압축 챔버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경사각 변경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와,
    상기 압축 챔버 중 하나에서 냉매 가스를 회수하고 회수된 냉매 가스를 다른 압축 챔버에 공급하는 회수 및 공급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압축 챔버는 상기 토출 단계의 종료로부터 재팽창 단계의 종료까지의 단계에서 회수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되고, 상기 다른 압축 챔버는 압축 단계에서 공급 단계 압축 챔버로서 정의되고, 상기 실린더 보어 중 하나는 회수 단계 압축 챔버를 내측에 갖고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되고, 상기 실린더 보어 중 다른 것은 공급 단계 압축 챔버를 내측에 갖고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로서 정의되고,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회수 단계 실린더 보어와 공급 단계 실린더 보어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는 연통 통로를 갖고,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각각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연통 통로를 개폐하고,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의 최대값에서 상기 연통 통로가 연통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의 최소값에서 상기 연통 통로가 연통할 수 없게 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상기 경사 각도가 최대값으로부터 감소됨에 따라 상기 연통 통로의 연통 영역을 저감시키고,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상기 경사 각도가 미리 결정된 값이 될 때 상기 연통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흡입 챔버를 내측에 갖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후방 단부가 상기 흡입 챔버에 개방되고 상기 크랭크 챔버와 흡입 챔버 사이에 연통을 제공하는 블리드 통로를 갖고, 상기 회수 및 공급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실린더 보어와 연통된 복수의 회수 통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실린더 보어에 연통된 복수의 공급 통로와, 상기 회수 통로 중 하나와 상기 공급 통로 중 하나 사이에서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에 형성된 회전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내주연면은 블리드 통로를 제공하고 외주연면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에 회전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부재를 구비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드 통로 및 상기 회전 통로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통로는 상기 실린더 부재 주위에 환형으로 형성된 환형 공간과, 상기 환형 공간으로부터 상기 회수 통로 중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입구 포트와, 상기 환형 공간으로부터 상기 공급 통로 중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재는 전방 단부 피팅부와, 후방 단부 피팅부와, 상기 전방 단부 피팅부와 후방 단부 피팅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환형 공간에 대면하는 중간부를 내측에 갖고, 상기 전방 단부 피팅부 및 후방 단부 피팅부 중 하나 이상은 압입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에 고정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샤프트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40129215A 2013-09-27 2014-09-26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611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0884 2013-09-27
JP2013200884A JP6201575B2 (ja) 2013-09-27 2013-09-27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48A true KR20150035448A (ko) 2015-04-06
KR101611080B1 KR101611080B1 (ko) 2016-04-08

Family

ID=5267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215A KR101611080B1 (ko) 2013-09-27 2014-09-26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9206B2 (ko)
JP (1) JP6201575B2 (ko)
KR (1) KR101611080B1 (ko)
CN (1) CN104514697B (ko)
DE (1) DE102014219429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351A (ko) * 2020-06-15 2021-12-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기 주입 피스톤 압축기
WO2024076028A1 (ko) * 2022-10-06 2024-04-11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554B2 (ja) * 2012-11-02 2015-07-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型圧縮機
JP6477441B2 (ja) * 2015-11-20 2019-03-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KR20190011213A (ko) * 2017-07-24 2019-02-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881375B2 (ja) 2018-03-30 2021-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CN110821778B (zh) * 2018-08-10 2021-05-07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活塞式压缩机
KR20200086068A (ko) * 2019-01-08 2020-07-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JP7160001B2 (ja) * 2019-08-29 2022-10-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6295B2 (ja) 1991-09-02 1997-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冷凍装置用斜板式圧縮機
JP3080265B2 (ja) * 1992-05-20 2000-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3111689B2 (ja) * 1992-09-30 2000-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機構
JP3080279B2 (ja) * 1992-10-05 2000-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3080278B2 (ja) 1992-10-05 2000-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3083002B2 (ja) * 1992-10-30 2000-09-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3182944B2 (ja) 1992-12-11 2001-07-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H06221264A (ja) * 1993-01-25 1994-08-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08109880A (ja) * 1994-10-11 1996-04-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の動作制御システム
JP4399994B2 (ja) 2000-11-17 2010-01-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
JP3896822B2 (ja) 2001-11-12 2007-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型圧縮機
JP3985507B2 (ja) * 2001-11-22 2007-10-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型圧縮機
JP2003254231A (ja) 2001-12-25 2003-09-10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
JP4103822B2 (ja) 2003-10-29 2008-06-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JP5033372B2 (ja) 2006-07-26 2012-09-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圧縮機
JP5741554B2 (ja) 2012-11-02 2015-07-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型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351A (ko) * 2020-06-15 2021-12-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기 주입 피스톤 압축기
WO2024076028A1 (ko) * 2022-10-06 2024-04-11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3263A1 (en) 2015-04-02
CN104514697A (zh) 2015-04-15
KR101611080B1 (ko) 2016-04-08
JP2015068187A (ja) 2015-04-13
US9759206B2 (en) 2017-09-12
CN104514697B (zh) 2017-02-22
JP6201575B2 (ja) 2017-09-27
DE102014219429A1 (de) 2015-04-02
DE102014219429B4 (de)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08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7530797B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7918656B2 (en) Suction throttle valve of a compressor
KR101541998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20150260175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60108244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EP2354548A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US10815980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EP1744059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070059183A1 (en) Control valve for clutch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8215924B2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11047373B2 (en) Piston compressor including a suction throttle
US20160252084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7088113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7120103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7151037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US11015587B2 (en) Piston compressor
JP2016169700A (ja) 可変容量圧縮機
WO2017169642A1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4125994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202103220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US20170276126A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swash plate compressor
JP2021032201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1918383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21032202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