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30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308A
KR20150033308A KR20130113146A KR20130113146A KR20150033308A KR 20150033308 A KR20150033308 A KR 20150033308A KR 20130113146 A KR20130113146 A KR 20130113146A KR 20130113146 A KR20130113146 A KR 20130113146A KR 20150033308 A KR20150033308 A KR 2015003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allery
mobile terminal
us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418B1 (ko
Inventor
김민아
김지현
이건섭
남윤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18B1/ko
Priority to US14/336,727 priority patent/US9189193B2/en
Priority to EP14002567.7A priority patent/EP2852135A1/en
Priority to CN201410493427.XA priority patent/CN104461410B/zh
Publication of KR2015003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02Interacting with the operator
    • G06K15/007Interacting with the operator only remotely, e.g. at a host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는,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제1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고, 인화 디바이스와 연결을 제어하여 이미지 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인화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연결된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면서 대부분 사람들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소유하고 있다.
종래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message transmission)이나 음성 통화(voice call)가 주요한 기능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동 단말기는 정보통신 기술 및 컨버전스(convergence) 기술 발전에 따라 복합적인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로 변모하고 있다. 일 예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가 출시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아날로그 방식의 필름 카메라(film camera)를 대체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 기술(camera sensor technology)의 발전을 가져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이동 단말기에 흡수되어 오히려 디지털 카메라를 위협하거나 대체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순수하게 카메라 기능에 집중한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함에 따라 해당 기능의 접근이나 실행 또는 데이터 확인, 인화(print) 등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인화 디바이스(printable device)와 유/무선(wire/wireless)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동 단말기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gallery application)을 실행하여 인화를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메뉴 버튼(menu button)을 선택하여 인화를 요청하면 인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상기 선택된 인화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복잡한 과정을 거침에 따라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해당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재실행이나 재이용을 방해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불만과 제품 구매 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image)의 인화(print) 편의 및 인화 가능한 이미지(printable image)에 대한 제어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화 가능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에 대해 상기 인화 가능한 이미지 또는/및 인화한 이미지에 기초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계하여 어드밴스드 애플리케이션(advanced application) 및 그를 위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어드밴스드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위한 UI/UX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는,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제1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고, 인화 디바이스와 연결을 제어하여 이미지 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인화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연결된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의 일 예는,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인화를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호를 연결되는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image)의 인화(print) 편의 및 인화 가능한 이미지(printable image)에 대한 제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인화 가능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에 대해 상기 인화 가능한 이미지 또는/및 인화한 이미지에 기초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계하여 어드밴스드 애플리케이션(advanced application) 및 그를 위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어드밴스드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위한 UI/UX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6은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인화 내역 갤러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인화 내역 갤러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뷰어블 갤러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타임 갤러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16은 지오 갤러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인텔리전트 갤러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 및 19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한 인텔리전트 갤러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21은 캘린더 갤러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2는 노트북 갤러리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노트북 갤러리에서 앨범 내 이미지를 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4는 이미지들 중 베스트 샷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5 내지 29는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0과 31은 인화 이미지의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2는 인화 내역 및 사진 활용 정보 기반 갤러리 자동 사진 정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원하는 이미지(image)의 인화(print) 편의 및 인화 가능한 이미지(printable image)에 대한 제어 편의를 제공하고, 인화 가능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에 대해 상기 인화 가능한 이미지 또는/및 인화한 이미지에 기초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계하여 어드밴스드 애플리케이션(advanced application) 및 그를 위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stand terminal)에도 적용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제1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고, 인화 디바이스와 연결을 제어하여 이미지 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인화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연결된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상기 제1 갤러리 내 제1 이미지의 인화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편집 팩터를 이용하여 편집 제어,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상에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편집 정보에 기초한 편집 아이콘과 상기 인화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제2 이미지 인화를 위한 연결 및 인화 요청을 위한 인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제어,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대해 시간 정보, 인화 정보, 위치 정보, 피사체 정보 및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의 배치, 크기 및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경우, 각 피사체를 자동 태깅하거나 상기 자동 태깅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태깅되면 해당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 상기 이미지에 기초한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액티브 앨범을 상기 수집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을 리턴(return) 받아 분석하여 베스트 샷 이미지(best shot image)를 선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시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동으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해당 일정에 상기 제2 이미지의 대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신저 상에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상기 실행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출력된 제2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첨부 또는 업로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sensing unit)(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controller)(18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듈화된 일부 구성이 개별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케이블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방송 수신 모듈(111)이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관련 정보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ATSC-M/H(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Mobile Handheld),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113)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한편, 무선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body)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terminal body)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201)와 리어 케이스(rear case)(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 카드 및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232),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 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근접 센서(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으로 구현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 센서(1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사용자 입력부(130)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editing), 인화(print) 등을 수행하고, 상기 편집, 인화 등이 된 이미지를 기초로 갤러리(gallery)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이용 편의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에서 인화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camera application)을 실행한 상태에서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직전 촬영된 이미지 항목을 선택하거나 기 촬영된 이미지가 포함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gallery application) 실행을 통해 선택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선택한 후 메뉴 버튼(menu button)을 통해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인화를 요청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외부의 인화 디바이스들 중 연결 가능한 인화 디바이스를 리스트-업(list-up)하고,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를 통해 이미지를 인화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화까지 여러 단계와 사용자 액션이 요구되어 소정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결국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를 통한 이미지 인화는 복잡하고 어렵다는 인식을 주어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 단계, 시간으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를 인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인화 과정에서 더욱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화 제어 편의성을 높여 제품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도 3(a) 내지 3(c)는 인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를 인화 디바이스(printable device)를 통해 인화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인화 디바이스라 함은,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wire/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인화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통칭한다. 이러한 인화 디바이스로는 포켓 포토(pocket photo), 포트 프린트(photo print), 프린터(printer) 등 그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인화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상 인화 디바이스는, 포켓 포토 디바이스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로 전술한 인화 디바이스 즉, 상기 포켓 포토 디바이스를 통해 인화 가능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화면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통칭한다. 이러한 인화 애플리케이션으로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Gallery application), 노트북 애플리케이션(Notebook application), 퀵 메모(Quick memo) 애플리케이션 등 그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a)는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이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여,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3(a)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를 정렬하여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의 화면은 크게 3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311)은 이동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1 영역(311) 상에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제공업자에 대한 식별 정보, 유/무선 연결 및 그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 설정된 기능 아이콘, 신호 세기, 배터리 정보, 시각 정보 등을 상기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영역(311)은 이동 단말기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312)은 상기 실행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제3 영역(313)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들을 포함한 폴더(folder)의 타이틀 정보(title information), 카메라 모드(camera mode)로 전환하는 아이콘, 공유 아이콘(share icon), 상기 제3 영역(316)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들 중 선택된 이미지를 삭제(delete)하기 위한 휴지통 아이콘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3 영역(313)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수신한 이미지 등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하여 제공한다. 또는, 제3 영역(313) 상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폴더에 속한 이미지들만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를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인화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상에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화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은 제2 영역(312) 상에 또는 제3 영역(31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화 애플리케이션(314)은 이동 단말기의 제2 영역(312)에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함께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3 영역(31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314)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일괄적으로 인화 디바이스 즉, 포켓 포토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와 포켓 포토 디바이스와의 페어링(pairing) 등은 상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에 또는 인화 애플리케이션(314) 선택 시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제3 영역(3130) 상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바로 인화 애플리케이션(315,316)이 제공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포켓 포토 디바이스에서 인화할 수도 있다.
도 3(b)는, 도 3(a)와 다른 인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a)와 3(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도 3(a)와 같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이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제3 영역(313)의 소정 이미지를 선택하면, 도 3(a)와 같은 리스트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된다. 즉,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스트 형식이 아니라 각 이미지가 확대되고 좌/우로 이동하여 다른 이미지를 전환하는 화면으로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미지를 핸들링하면,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가 제공된다. 이때, 만약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통해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 방향으로 핀치 인(pinch in)하면 도 3(b)와 같은 화면이 제공된다. 즉, 상단에는 해당 이미지를 삭제 가능한 휴지통 애플리케이션 제공 영역이 나오고, 하단에는 해당 이미지를 인화하기 위한 인화 애플리케이션(326)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326)의 선택에 따른 인화 과정은 전술한 도 3(a)의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바, 해당 내용을 원용하고 설명을 중복하지 않는다.
도 3(c)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인화 과정을 설명한다. 예컨대,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상태라 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그 기울기 회전에 따라 화면이 대응되게 회전하여 제공한다. 이 경우도,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에 인화 애플리케이션(332,334)의 제공에 대한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회전된 경우, 인화 애플리케이션(332,334)은 화면 하단의 촬영 기능 버튼, 이미지 버튼, 이미지 촬영과 동영상 촬영 사이의 전환 버튼과 함께 소정 위치에 제공된다. 또는 상기와 같은 버튼 제공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제공 중인 이미지의 소정 영역(도 3(c)의 경우 우상단)에 인화 애플리케이션(334)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332,334)은 동시에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인화 애플리케이션(334)이 사용자의 이미지 선택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화 애플리케이션(334)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인화 애플리케이션(332)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이미지들 또는 특정 분류 기준에 따른 모든 이미지(예를 들어, 오늘 촬영한 이미지, 동일 폴더 내의 이미지 등)들을 한꺼번에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반면, 인화 애플리케이션(334)은 이동 단말기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해당 이미지만을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image editing)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도 4 내지 6의 이미지 편집 방법들은 이동 단말기에서 연결된 인화 디바이스를 통해 인화된 이미지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인화 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해 인화 내역을 이용하여 이미지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4 내지 6에서는, 이미지 편집 처리 예를 들어, 인화 시에 적용된 효과(effect)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터(filter)나 효과를 기본으로 적용, 하나의 화면에서 픽업(pick up), 편집, 인화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인화 시에 적용한 효과에 대한 히스토리(history)를 스토리 라인(story line) 형식으로 보여주는 유저 인터페이스(UI), 인화된 이미지로부터 편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다른 이미지에 적용하는 내용들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이미지 편집 처리는 예컨대, 종래에 비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하나의 이미지 인화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고자 하는 화면, 이미지를 선택하는 화면 그리고 인화하고자 하는 화면은 각각 별개로 동작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각 경우에도 하나의 이미지가 아니라 복수의 이미지인 경우에는 편집이 매우 불편하다. 그 밖에, 이동 단말기에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편집을 완료하고, 다른 이미지도 상기 편집 완료된 이미지에 대한 편집 팩터(editing factor)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 다른 이미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편집 팩터를 다시 하나하나 설정하고 적용하여야 하는 등 반복 작업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편집 처리의 불편함 또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필터(filter), 효과 등 편집 팩터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편집 패턴(editing pattern)을 분석하여 이전 편집시 주로 이용되었던 필터나 효과 등 편집 팩터를 기본 설정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른 편집 팩터를 기본 설정으로 제공하면, 다수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 처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미지 편집을 요청하면, 사용자 편집 패턴 분석에 따라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이미지에 대해 예술적 효과는 로모(lomo)를, 조정은 포토샵 효과를 그리고 그림에 날짜, 텍스트 등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주로 맑은 고딕체의 14 포인트 글자 크기와 같은 글꼴 정보를 주로 이용하였다면, 이를 기본 설정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화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기본 설정으로 제공되는 상기 편집 팩터에 대한 아이콘 등을 선택하기만 하면 그대로 편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기본 설정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른 편집 팩터는, 년, 월, 일 등과 같은 시간 단위로 해당 사용자의 편집 패턴을 분석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가장 최근에 적용한 편집 팩터를 상기 편집 팩터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용자가 원하는 팩터들을 편집 팩터로 설정하여 기본 설정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제공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미지 편집 요청시 팝-업 창(pop-up window) 등을 통해 기본 설정 적용 여부에 대해 문의하거나 기본 설정 아이콘 등을 생성하여 반투명으로 편집 대상 이미지상에 오버레이(overlay) 시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로 적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편집, 픽업 및 인화를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이동 단말기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이미지를 선택하고 편집 및 인화까지 여러 단계가 요구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미지를 선택하고, 메뉴 버튼을 눌러 편집을 선택한다. 이후 편집 도구가 제공되면, 원하는 편집 도구를 통해 효과 등 팩터를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 팩터가 적용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다시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메뉴 버튼을 눌러 인화를 선택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인화 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인화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인화하기까지 소정 단계를 거치고 그 과정에서 화면도 전환되는 등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를 최소한의 과정으로 하나의 화면 내에서 최소한의 작업으로 사용자의 이벤트에 따라 이미지가 인화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 내지 6에서는 사용자의 소정 액션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편집을 매우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소정 액션으로 핀치 인 입력(420)을 예시하였다. 즉, 도 4와 같이, 이동 단말기 화면을 통해 이미지(410)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핀치 인 액션(420)을 하면, 이동 단말기는 도 3(b) 및 도 5(a)와 같이 상단에 휴지통을 그리고 하단에 인화 아이콘을 표시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는 기존 크기보다 조금 작아질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410)를 핀치 인 액션(420)을 하면, 이동 단말기는 도 5(a) 또는/및 도 5(b)와 같은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는 인화 모드, 도 5(b)는 편집 모드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이미지(410)를 핀치 인(420)하면, 화면 상단에 휴지통 아이콘(510)이 제공되고, 화면 하단에는 인화할 목록 영역(522)과 인화 아이콘(524)이 제공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 화면의 중단에는 이미지(410-1)를 포함하여 복수의 이미지가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미지를 선택하여 기준선(520) 이하로 드래그&드롭(drag&drop) 액션(515)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이미지는 인화할 목록 영역(522)에 추가된다. 한편, 추가된 인화 이미지 목록은 인화 아이콘(524)의 선택에 따라 추가된 순서에 따라 인화 디바이스를 통해 인화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화 아이콘(524)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별도의 추가 액션이 없어도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와이파이)을 활성화시키고 인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인화 아이콘(524)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인화할 수 있다. 이때, 인화 디바이스가 복수 개 탐색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팝-업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선택된 인화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선택된 인화 디바이스가 포켓 포토인 경우, 몇 장의 이미지를 포켓 포토를 통해 출력 가능한지 여부, 포켓 포토의 현재 전원 온/오프 여부, 인화지의 보충 필요 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화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의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인화 목록(522)은 인화 순서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화 목록(522) 상에서 이미지를 선택하여 드래그&드롭 액션 등을 통해 다시 인화 목록상에서도 다시 이미지 인화의 순서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반대로, 사용자의 인화 목록(522) 상에서 이미지를 소정 시간 계속 선택하고 있거나 상기 액션(515)과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드롭하면 인화 목록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화 아이콘 주위에 인화 목록만을 전체로 볼 수 있는 아이콘을 제공하고 해당 아이콘 선택 시에는 화면이 재구성되어 인화 목록(522) 상의 이미지만 다시 볼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5(b)와 같이 편집&인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와 달리 상단 편집 목록(552) 대신에 인화 목록(522)이 제공될 수도 있어 더욱 편리하게 편집 및 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5(a)를 인화 모드라고 칭한다면, 도 5(b)는 편집&인화 모드로 명명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편집 & 인화 모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핀치 인 액션에 따라 화면이 도 5(a)와 같이 전환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액션(515)이 있는 경우에 인화 목록(522)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와 달리, 사용자가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단 기준선(550)을 넘는 액션(555)을 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단 일부 영역에 상기 사용자 액션(555)에 따른 편집 목록(552)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액션(555)에 따라 편집 목록(552)이 활성화되면, 해당 이미지와 관련하여 편집 도구(570)와 편집되어 인화된 이미지가 소정 영역(560)에 제공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영역(560)에 제공되는 인화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인화 이미지에 적용되었던 모든 편집 팩터가 해당 이미지에 그대로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 영역(560)은 사라질 수도 있고 계속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편집 도구(57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편집 팩터에 대한 도구들이 활성화되어 어떤 팩터들이 적용되었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편집 팩터들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에 어떤 편집 팩터가 추가되었는지 알 수 있고, 추가 편집 등을 원하는 경우에 적절히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편집 목록(552)에 적용된 다양한 편집 팩터를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에 대해 제1 이미지(562)에 적용된 편집 팩터와 제2 이미지(564)에 적용된 편집 팩터를 동시에 한꺼번에 적용하고 싶은 경우 각 이미지(562,564)를 선택함으로써 동시에 편집 팩터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편집 목록(552) 상의 다른 이미지에 대해서도 만약 전술한 이미지에 대한 편집 팩터들을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는 인화 아이콘(524) 주위에 편집 아이콘을 인화 아이콘과 유사하게 제공하고, 편집 목록(552)에서 사용자가 다른 이미지를 선택한 후에 상기 편집 아이콘을 선택하면, 컬러가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하면 해당 이미지에 바로 이전 이미지에 적용했던 편집 팩터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된다. 또는, 더욱 편리하게 편집 목록(552) 상의 복수의 이미지에 동일하게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편집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편집 목록(552) 상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편집 목록(552) 상의 모든 이미지에 동일하게 편집 팩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a)와 6(b)는 예컨대, 전술한 도 5(b)에 대한 상세 도면일 수 있다.
도 6(a)는 전술한 5(b)와 같이, 편집 대상 이미지(612)에 이전 인화 목록(614)을 드래그&드롭함으로써 이전 인화 목록 이미지(614)의 효과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612)에 그대로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6(a)에서는 상기 편집 팩터와 관련된 편집 도구와 추가 편집을 위한 편집 도구(616)가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b)는 도 6(a)에 따라 추가 편집 또는 수정 편집을 위해 적용된 효과가 활성화되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활성화된 효과는 아이콘(622,624)처럼 선택 가능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아이콘(622,624)에 적용된 효과를 선택 가능하도록 편집 도구가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수정하기 위해 각 편집 도구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b) 내지 6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 업로드(upload) 되어 있는 이미지를 인화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댓글, 문장 등 다양한 편집을 할 수 있다.
도 7은 인화 내역 갤러리(print gallery)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데, 이때 각 이미지에 대해 인화 여부를 알 수 없다. 즉, 어떤 이미지가 이미 인화되었던 이미지이고, 어떤 이미지가 아직 인화하지 않은 이미지였는지 알 수 없다. 달리 말하면, 이동 단말기 상에서 인화를 위한 분류 방법이 없다. 일반적으로는 인물 이미지가 가장 많이 인화되고 그 다음으로 풍경이나 물건 등에 대해 인화가 되는데 단지 이러한 추상적인 팩터만으로 실제 어떠한 이미지가 인화되었는지 그 인화 내역을 알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인화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이동 단말기의 촬상 센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등이 정렬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특정 이미지들은 폴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를 하나의 갤러리로 명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는 기존 갤러리에서는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메뉴 버튼을 이용해 세부 정보를 접근하여야 해당 이미지에 대한 인화 내역을 알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인화 내역 갤러리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액션 즉, 이벤트에 따라 갤러리를 여러 단계로 변경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에 따라 갤러리의 단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뉴 버튼이 아니라 사용자의 액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핀치 아웃 또는 핀치 인, 음성 입력, 볼륨 키를 업 또는 다운하면, 상기 갤러리 단계 변경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단계 변경에 따라 단계별로 어떻게 이미지 정보가 구성되는지는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제1 단계로, 이동 단말기는 기 인화를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한 이미지에 대해서만 인화 내역 정보와 편집 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제2 단계로, 인화된 이미지만 분류하여 가장 작은 크기로 제공한다. 제3 단계로, 인화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다른 이미지에 비해 크기를 다르게 하여 상기 인화된 이미지에 대한 타이틀을 오버랩하여 제공한다. 이때, 필요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타이틀이 제거될 수 있다. 제4 단계로, 인화된 이미지에 대해서는 다른 이미지와 달리 크기를 다르게 구성하고 인화 아이콘 또는/및 편집 아이콘을 제공하여 인화, 편집 등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5 단계로, 인화된 이미지만 별도 제공하되 해당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편집 아이콘과 인화 아이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갤러리 상에 다수의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더욱 손쉽고 빠르게 인화 내역 및 인화를 가능하도록 갤러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다수의 이미지 중 인화된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에 갤러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4개의 이미지가 갤러리에 존재하고, 제1 영역(710)에 제1 이미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이미지상에 타이틀(712)이 오버랩되어 제공된다. 한편, 제2 영역(720)에는 편집/인화 내역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편집/인화 내역 정보는 인화한 시간 정보, 인화 매수 정보, 인화를 위한 인화 가능한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정보, 편집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경우, 제2 영역(720)이 편집/인화 내역을 한 번에 모두 출력하기 힘든 경우에는 인화 아이콘(722) 또는 편집 아이콘(미도시) 하단에 펼쳐 보기 아이콘(724)을 통해 해당 화면에서 바로 펼쳐서 한 번에 인지 가능하도록 갤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제1 이미지를 선택하면, 이미지 촬영 정보, 저장 경로 등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2 영역(720)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펼쳐보기 아이콘(724)의 선택과 동일하게 편집/인화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인화 내역 갤러리 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도 8(a)를 통해 사용자가 갤러리가 제공되고 있는 화면상에서 핀치 아웃을 하면, 도 8(b) 내지 8(d) 중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와 같이, 세로 방향의 정렬이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인화 내역 이미지들이 정렬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각 이미지상에는 해당 이미지 타이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c)는 다수의 이미지가 제공되되, 인화/편집 내역이 있는 이미지에 대해서만 인화 아이콘, 편집 아이콘 등이 오버랩되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인화 아이콘, 편집 아이콘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도 4 내지 6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8(d)는 인화된 이미지(들)만 확대되어 화면에 제공되고, 제1 영역에 타이틀 정보가, 제2 영역에 인화 아이콘과 함께 인화 매수 정보 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화 내역 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인화 내역 분류는 예를 들어, 인화 횟수, 인화 날짜 (시간), 인화 위치, 인화시 추가된 댓글(Tagging), 촬영된 사람 수, 촬영 시간, 촬영 위치, 촬영 음성 태깅, 얼굴 인식 기반, 사물 인식 기반, 전면 카메라/후면 카메라 이용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이동 단말기는 인화 내역 또는/및 편집 내역에 기초하여 스토리 갤러리(story gallery)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인화한 이미지는 간직하고 싶거나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들로서 이를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더라도 인화 내역이 있는 이미지들을 상술한 인화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하여 자동 스토리 보드를 생성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리 갤러리는 추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편집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인화 내역, 편집 내역 등에 기초하여 구성 가능한 다양한 갤러리에 대해 기술한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 갤러리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나, 복수의 갤러리가 조합되어 더욱 다양한 갤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뷰어블 갤러리(viewable gallery)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예를 들어, 인화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들의 수에 따라 인물이 많이 포함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인 경우에는 그를 확대해야 각 인물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인물이 많이 포함된 이미지의 경우 주로 이미지를 확대해서 보는 것이 일반적인바, 이에 기초하여 인물이 많이 포함된 이미지는 원래 이미지보다 확대해서 제공하고, 인물이 그보다 적인 이미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원래 이미지와 동등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하여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도 9(a)의 뷰어블 갤러리는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인원 수에 비례하여 이미지 크기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 9(a)가 이미지에 포함된 인원 수를 기준으로 하였다면, 도 9(b)는 인화 횟수를 기초로 뷰어블 갤러리를 구현한 예시이다. 예컨대, 도 9(b)와 같이, 인화 횟수가 3회인 경우, 2회인 경우, 1회인 경우에는 각각 인화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만큼 해당 이미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확대해서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본 이미지와 동등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도 9(a)는 인원수를, 도 9(b)는 인화 횟수를 기초로 하여 뷰어블 갤러리를 구성하였다. 이와 달리 도 9(c)는 인원 수와 인화 횟수와 관계없이 인화 시간을 기초로 하여 뷰어블 갤러리를 구현한 예시이다. 즉, 도 9(c)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인원 수나 인화 횟수는 많으나 인화한 지 오래된 이미지에 비해 최근에 인화한 이미지가 오히려 사용자에게 더욱 관심이 있는 이미지일 가능성이 더욱 많다. 따라서, 이미지의 인화 시간을 기초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인화 이미지를 인화 시간 단위로 분류하여 최근 인화한 이미지는 크게 인화한 지 오래된 이미지는 작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정 단위의 시간 내에 인화한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에는 인원 수, 인화 횟수 등을 참고할 수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9(a)와 9(b)를 조합하여 인원 수와 인화 횟수를 조합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a) 내지 (c)의 경우에는, 상술한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에 관련 이미지 예컨대, 동일한 인물이 적어도 한 명 이상 포함된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식별이 편하도록 그 하단 또는 상단 등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는 비단 인화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아직 인화되지 않은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아직 인화하지 않은 이미지를 파악하여 인화 편의를 도울 수도 있다. 간단하게 인화 아이콘, 편집 아이콘 등을 제공하여 해당 이미지의 인화, 편집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타임 갤러리(time gallery)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타임 갤러리라 함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한 명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갤러리를 구성한 예시이다.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화 내역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갤러리를 구성하여 제공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화면을 통해 제공 중인 인화 이미지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인물이 포함된 경우, 적어도 한 명을 상기 인화 이미지에서 선택 받는다. 이동 단말기는 인화 내역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상기 선택받은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이미지를 시간 정보나 타이틀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순으로 분류하여 갤러리를 구성한다. 이것이 도 10(a) 또는 10(b)와 같은 타임 갤러리이다. 이때, 상기 시간 정보는 예컨대, 촬영된 시간 정보 또는 저장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만약 일부 이미지가 다운로드 받은 경우에는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에 촬영된 시간 정보가 있으면 그를 기초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운로드 받은 시간을 기초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비록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할 때 분류된 리스트가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타이틀 등 이미지에 대해 입력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를 우선하여 그에 기초하여 인화 이미지를 분류하여 타임 갤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갤러리 내에 이미지 중 인화된 이미지로부터 아이가 1살 때, 2살 때, 3살 때와 같이 성장하는 과정을 표현하는 타임 갤러리를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10(b)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연인 사이에 찍은 사진을 기준으로 100일, 200일, 300일 등으로 시간 순으로 구성하여 타임 갤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0(b)는 추가로 해당 시간 정보에 복수의 인화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0(b)를 참조하면, 두 번째 이미지 항목들이 복수이고, 사용자가 해당 두번째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일에 이미지들을 다시 시간 순으로 재구성하여 타임 갤러리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타임 갤러리를 구성함으로써, 인화 시간 또는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변화 히스토리를 한 번에 손쉽게 감상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6은 지오 갤러리(geo gallery)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지오 갤러리는 해당 이미지(들)의 보다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인식 편의를 위해 이미지를 지도와 맵핑하여 갤러리를 구현한 예시이다.
도 1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친구 모임, 가족 여행 등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지도상에 맵핑하도록 하는 제어 구성 화면이다.
사용자가 좌측에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1110)을 선택하고 액션(ex. 길게 누르기 등)을 취하면, 우측에 지도 애플리케이션(1120)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1110)를 실행된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지도상에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면 지오 갤러리(1122)가 생성된다.
도 11에서는 좌측에 이미지 우측에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도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하 구도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액션으로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지오 갤러리를 생성하는 방식을 기술하나,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된 상태에서도 상술한 내용의 반대 방식으로 지오 갤러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오 갤러리는 전술한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액션을 통해 지도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미지의 타이틀이나 그에 관련된 텍스트, 음성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지오 갤러리는 인화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나 인화되지 않은 관련 이미지나 동영상 등이 있는 경우 그를 표시하여 인화를 유도할 수도 있다.
도 12는 각 이미지가 장소와 매핑되어 구현된 지오 갤러리의 일 실시예이다.
도 12(a)에서는 복수의 이미지(1210,1220,1230)가 지도상에 맵핑된 지오 갤러리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에서 각 이미지는 예컨대, 대표 이미지의 개념이며, 이는 후술하는 베스트 샷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표 이미지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서 해당 이미지는 복수의 다른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b)는 도 12(a)의 지오 갤러리에서 하나의 이미지(1210-1)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 이미지(1210-1)가 포함한 다른 이미지(125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하단 즉, 지도 하단에 출력된다. 한편, 도 12(b)에서는 화면 하단에 출력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선택된 이미지(1210-1) 근처에 계층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길게 누르는 등의 액션을 취하면, 바로 삭제 또는 인화가 가능하도록 화면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지오 갤러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a)의 경우, 도 11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된 지오 갤러리이다. 이 경우, 도 13(a)를 참조하면, 지오 갤러리 내 각 이미지(1310,1320,1330)는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3(a)의 지오 갤러리를 통해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다녀온 여행지와 그와 관련된 이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도 13(a)의 경우에는 비록 시간 정보 등을 이미지상에 표시할 수 있으나, 직관적이지 못한 면이 있다.
따라서, 도 13(b)와 같이, 시간 순서에 따라 이미지(1310-1,1320-1,1330-1)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각 이미지 사이에 화살표 등과 같은 인디케이터(1350)를 통해 직관적으로 최근 여행지와 이전 여행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여행지의 이미지를 가장 크게 구성하고, 이전 여행지일수록 이미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4는 지오 갤러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예컨대, 대표 이미지를 대신하여 각 위치에 인디케이터(1410,1420,1430)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는 지도의 축적이 낮아 권역이 넓고 한 권역에 이미지가 많은 경우에 대표 이미지만 출력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미지가 더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기 힘듦으로 이를 대체하기 위함이다.
도 14를 참조할 때, 각 인디케이터(1410,1420,1430)에는 숫자(1412)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인디케이터에 몇 개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또한 각 인디케이터의 컬러, 크기 등을 통해 해당 인디케이터가 포함한 이미지와 최근 여행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여행 단위로 표시도 가능하다. 예컨대, 가족과 함께 일주일 동안 여러 여행지를 두루 방문한 경우에, 각각 개별적으로 지오 갤러리가 생성이 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곳을 언제 방문하였는지 경로를 알기도 힘들고 여행 이후 감상할 때 감성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발지 인디케이터(1430), 제1 도착지, 제2 도착지 등 최종 도착지 인디케이터를 통해 언제 어떤 경로를 여행을 다니며 어디에서 이미지를 많이 촬영하였는지 화살표 인디케이터 등과 함께 표시하면 보다 직관적이고 지오 갤러리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6은 지오 갤러리의 또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오 갤러리를 형성할 수 있는 이미지는 매우 많을 수 있으며, 이를 위치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는 가까운 지역 부근에서 찍은 이미지는 하나의 앨범으로 묶을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날짜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다른 앨범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지도 위치는 가장 최근에 찍은 사진을 중심으로 포커스 된다. 최근에 찍은 순서로 사진이 크게 보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만약 도 15(a)에서 출력할 이미지의 개수와 지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가장 최근 사진 1개만 출력하고, 국내에서 찍은 사진만을 보겠다고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10장 이상의 이미지가 포함된 장소는 앨범 형태로 구현하고, 상기 앨범에 대표 이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식별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10장 이내의 이미지가 포함된 장소는 핀 형태로 제공하고, 숫자 등으로 이미지의 개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핀/앨범 방식의 구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준 이외에 촬영 장소, 촬영 시간 등의 정보도 각 인디케이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a)가 지오 갤러리의 진입 화면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배경에 지도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 찍은 사진이 가장 크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5(b)는 도 15(a)의 지오 갤러리 진입 화면에서 오른쪽 끝의 바(bar)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액션이 있는 경우에 우측에 도 15(a)에서 제공중인 가장 최근 찍은 이미지에 대해 인화한 내역이 제공된다. 이 경우, 도 15(b)는 지도 내의 인화한 앨범의 대표 사진들을 위에서부터 최신 순으로 볼 수도 있다. 리스트 내의 사진 클릭 시 해당 사진을 전체 화면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도 16(b)의 화면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지도에서 보이는 앨범을 클릭하면, 화면 하단에 클릭한 앨범 내의 사진들을 출력한다.
도 16(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도 15(c)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앨범 내의 이미지 클릭 시에 해당 사진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좌우 스크롤 시 이전/다음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백(Back) 키 등을 이용하여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도 16(b)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도에서 핀(Pin)을 더블 탭하는 경우에, 해당 지역으로 화면이 확대 또는 이동되어 대표 이미지 또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들을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도 16(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도를 상하좌우로 스크롤 하는 경우에, 해당 방향의 지역으로 지도가 바뀌며, 해당 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만약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지역 이동시에 해당 지역에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사진이 없습니다.”라는 팝-업을 띄워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지오 갤러리는 맵핑된 이미지의 개수 등에 따라 지도의 축적이 자동으로 결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맵핑된 이미지가 1개라면, 축적도가 높은 즉, 특정 지역이나 구 등만 나타난 확대된 지오 갤러리가 구성되고, 2개라면 더욱 축적도가 낮은 지오 갤러리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도의 축적도 결정은 예컨대, 이미지가 지도상에 맵핑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이미지가 2개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해당 이미지들이 맵핑되는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위치들의 거리에 따라 동시에 출력 가능하도록 지도의 축적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가 소정 개수 이상 지도에 맵핑된 경우에는, 오히려 제공되는 지오 갤러리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축적도를 더욱 낮추거나 혹은 이미지를 대신하여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핀 등을 대신하여 제공함으로써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핀에는 해당 이미지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이미지의 촬영 시간 등을 도시하여 사용자의 인식 편의를 도울 수 있다.
지오 갤러리는,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지오 갤러리를 제공함에 있어서,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지오 갤러리를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다.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다양하게 지도의 축적을 변경 가능하고, GPS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속한 위치의 지도를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연동하여, GPS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속한 위치를 기준으로 그 위치 또는 그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맵핑 가능한 또는 미리 맵핑된 이미지를 지오 갤러리로 제공한다.
또는 지오 갤러리가 제공할 때,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 기반으로 제공하되, 사용자가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을 통해 지도의 축적을 변경하면 그에 따라 지오 갤러리 상에 맵핑된 이미지들이 드러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오 갤러리 상에 하나의 장소에 복수의 이미지가 연동된 경우에는, 그 이미지들의 대표 이미지와 함께 해당 이미지에 연관된 이미지의 개수나 촬영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오 갤러리 상에 복수의 장소에 이미지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지오 갤러리는 각 이미지들을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그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지오 갤러리 상에 최근 촬영된 이미지는 보다 크게 그리고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는 보다 작게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식 편의를 도울 수 있다.
한편, 지오 갤러리는 지도상에 복수의 장소에 각 이미지에 숫자 형태로 순서를 표시하거나 화살표 등을 통해 맵핑된 각 장소를 방문한 순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여행한 순서 등을 쉽게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오 갤러리는 권역별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권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권역을 풀 화면으로 구성하고 맵핑된 이미지를 적절한 크기로 보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권역이라 함은, 국내를 기준으로 하면, 도, 시, 군, 구, 읍, 면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지오 갤러리는 지도에 따라 국내용, 해외용과 같이 구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지오 갤러리는 지도상에 맵핑된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개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은 인텔리전트 갤러리를 구성한 도면이다.
여기서, 인텔리전트 갤러리라 함은 예컨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 그 의도를 파악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이미지 갤러리를 구성하는 예시이다.
도 17(a)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그리고 도 17(b)는 인텔리전트 갤러리를 구성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메시지 작성 및 전달을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과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전화 통화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최근 통화 목록 및 통화 목록으로부터 가장 많이 통화를 한 사람을 파악한다. 이동 단말기는 이렇게 파악된 사람이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이동 단말기의 홈 화면 또는/및 잠금 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한다. 한편, 통화 목록에는 통화 성공한 내용, 통화 실패한 내용, 메시지 송수신 내용이 모두 제공되는데, 이 경우 통화 실패한 내용은 인텔리전트 갤러리 구성 시에 참고할 수 있다. 즉, 통화에 실패한 것이 사용자가 받지 못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피하는 경우라면 해당 사람을 인텔리전트 갤러리 구성에서 제외한다. 이 경우, 다수의 사람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상기 통화 실패한 사람이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인텔리전트 갤러리 구성 시 제외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 내용 역시, 해당 사람과 주고받은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한다. 예컨대, 메시지 내용이 주로 업무적이거나 논쟁을 하는 등의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를 송수신 받는 사람을 역시 상기와 같이 제외할 수 있다. 반면에, 해당 메시지에 이모티콘과 따뜻한 메시지가 많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에 인텔리전트 갤러리에 포함되도록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내용이나 통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 또는 목소리 크기(dB) 등을 통해 인텔리전트 갤러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분석 팩터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미리 설정된 디폴트 팩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주로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의도 분석에 기초한 인텔리전스 애플리케이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더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인화 횟수, SNS 댓글, 영상 통화 등의 태깅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인텔리전트 갤러리는 도 17(b)와 같이, 홈이나 잠금 화면뿐만 아니라 별도의 갤러리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7(b)가 최근 통화한 사람과 함께 찍은 이미지 중에 인화 횟수가 많은 이미지를 홈 또는 잠금 화면으로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도 17(b)의 잠금 화면이나 홈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해당 사람을 선택하면,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창이 도 18과 같이 바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7(b)로부터 전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주로 설명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특정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고 가정하자.
메시지로 대화하는 상대방이 예컨대, 전술한 도 1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주 대화하는 상대방인 경우에는, 메시지 창이 제공되면 바로 최근 인화 이미지들이 소정 영역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인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액션(ex, 드래그&드롭)을 취하면 바로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한편, 이러한 내용은 비단, 도 17과 같이 미리 파악된 사용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즉, 사용자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메시지 창이 제공되면, 메시지 창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인화 이미지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메시지를 분석하여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인물 정보, 작업 정보 등 다양한 팩터를 기준으로 하여 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 모든 인화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소정 인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액션을 통해 상대방에게 손쉽게 선택된 인화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는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다양한 갤러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8 내지 19에서 이미지들은 영화 필름처럼 슬라이드 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7과 같이, 텍스트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자연어 이해) 기반으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가장 가까운 이미지를 가장 좌측부터 순차로 제공한다. 또는 이미지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부터 시간 순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8 내지 19에서 소정 이미지는 사용자가 선택하면, 크게 보기, 인화 또는 SNS 등에 업로드, 공유 등의 기능일 수행 가능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는 인화 이미지와 상대방 등으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는 동일 영역 또는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제공하되, 수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를 제공하거나 컬러 등을 다르게 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내지 21은 캘린더 갤러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캘린더 갤러리는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또는 일정 관련 애플리케이션(이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가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일정 정보로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타이틀 입력 또는 GPS 등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내에 지도 애플리케이션(또는 지오 갤러리)를 연계하여 실행하고, 해당 위치에 이미지를 맵핑되어 태그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상술한 위치 정보와 이미지 내 피사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앨범은 최초 피사체가 촬영된 시간부터 마지막으로 피사체가 촬영된 시간 사이에 선택 가능하도록 목록에 포함되고 선택 가능한 항목으로 생성된다. 또한, 이러한 항목은 촬영된 이미지 중 대표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여 해당 항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는 상기 대표 이미지(2024)가 선택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제공하고 타이틀 정보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캘린더 갤러리는 월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20이 일 단위의 캘린더 갤러리 구현 예라면, 도 21은 월 단위의 캘린더 갤러리의 구현 예이다.
도 21의 캘린더 갤러리는 인화된 이미지의 촬영된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월의 해당 일에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중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해당 일의 이미지 앨범 형태로 제공한다.
도 21의 캘린더 갤러리로부터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날짜에 일정이 있으면, 화면 내에 해당 일정 정보(2150)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1의 캘린더 갤러리의 각 항목은 해당 일의 인화 이미지의 개수나 인화 횟수에 따라 테두리를 다르게 구현, 테두리 컬러 변경, 해당 일의 이미지가 3D처럼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1의 캘린더 갤러리의 메인 배경 화면은 해당 월에서 가장 인화 횟수가 많은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캘린더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대표 이미지는 반투명, 사용자 선택 등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월에 인화된 이미지가 없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표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 이미지가 배경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대표 이미지라 함은 예컨대, 후술할 베스트 샷 또는 해당 일에 가장 먼저 촬영되고 인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그 밖에 대표 이미지는 해당 일에 이미지 중 인화 내역이 가장 많은 이미지일 수도 있다. 한편, 일정 중에 촬영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 배경 이미지로 대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를 날짜 순으로 보고 싶은 경우, 단순히 날짜 순으로 정렬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찾는 것이 힘들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사진 인화 또는 SNS 업로드 등의 빈도가 많은 이미지를 한눈에 찾기가 힘들다. 또한, 이미지에 대한 시간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시간 정보는 갤러리, 폴더 선택, 사진 선택, 상세 정보 선택 등의 과정을 거쳐야만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의 사용 이력을 바탕으로 캘린더와 연동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갤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해당 날짜의 베스트 샷(Best Shot)과 캘린더를 자동 동기화한다. 즉, 찍은 날짜의 베스트 샷이 자동으로 해당 날짜의 배경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베스트 샷은 인화, 공유 또는 편집이 많은 순을 기초로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화 매수가 많은 이미지, SNS 서비스로 업로드가 많은 이미지가 베스트 샷이 되는 것이다.
또한, 캘린더 갤러리는, 캘린더에서 날짜를 클릭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해당 날짜의 일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기존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 캘린더 갤러리로 구현된 경우에도 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기능을 캘린더 갤러리 기능과 묶어 해당 일정에 관련 이미지를 맵핑할 수도 있다.
만약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 배경을 제공하고, 상기 기본 배경은 반투명, 사용자 색상, 패턴, 기본설정 사진 등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사진은, 상술한 이미지가 없는 날짜의 기본 배경으로 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캘린더 갤러리에 맵핑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도 20과 같이 지오 갤러리가 함께 실행되어 화면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2는 노트북 갤러리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노트북 갤러리에서 앨범 내 이미지를 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노트북 갤러리는 기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전술한 다른 갤러리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편의상 캘린더 갤러리와 연동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2(a)는 캘린더 갤러리의 일 실시예이고, 도 22(b)는 도 22(a)의 캘린더 갤러리와 연동하여 앨범을 생성 및 저장하는 노트북 갤러리의 일 실시예이다. 한편, 도 22(a)의 캘린더 갤러리는 전술한 도 20 내지 2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2(a)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20 내지 21에 의해 각 날짜에 대표 이미지가 제공되고 해당 대표 이미지는 해당 날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캘린더 갤러리가 제공된 이후 날짜 또는 해당 날짜의 대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액션을 취하면 도 22(b)와 같이 노트북 갤러리를 자동으로 실행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액션은 드래그&드롭, 핀치 인/핀치 아웃, 길게 누르기 등 다양한 액션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22(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 대표 이미지를 길게 누르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대표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노트북 애플리케이션 상에 드롭하면, 해당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 해당 날짜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앨범(2252)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상기 앨범은 노트북 갤러리의 특성상 사진 노트(photo note)라 칭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2(a)에서 선택된 대표 이미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카테고리의 이미지들이 포함된 경우에는 캘린더 갤러리의 이미지들 분류에 따라 자동으로 복수 개의 앨범들이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2013년 3월 16일에 오전에는 강남역에서 오후에는 종로에서 찍은 사진들이 존재하고, 비록 시간 순서에 따라 강남역에서 찍은 이미지가 대표 이미지로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복수의 대표 이미지가 구분하여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들이 노트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앨범 형태로 노트북 갤러리를 생성한다.
도 22(b)를 참조하면, 생성된 노트북 갤러리 앨범은 대표 이미지, 시간 정보 및 타이틀 등 텍스트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22(b)의 노트북 애플리케이션은 동기화 버튼(2260)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동기화 버튼을 누르면 캘린더 갤러리의 일 단위, 월 단위의 모든 이미지들이 대표 이미지를 기준으로 앨범들(2254,2256)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한편, 자동 생성되는 앨범들은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로 생성될 것이다.
도 22에서 노트북 갤러리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여 노트북 갤러리에서 앨범 또는 앨범 내 이미지들을 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a)는 앨범들을 포함한 노트북 갤러리의 일실시예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노트북 갤러리 상의 하나의 앨범에 대해 액션을 취하면, 이동 단말기는 도 23(b)와 같은 팝-업 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액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드롭, 핀치 인/핀치 아웃, 길게 누르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노트북 갤러리 상의 앨범을 길게 누르면, 도 23(b)의 팝-업 창을 제공하는데 상기 팝-업 창은 포켓 포토를 이용하여 인화하기, 공유하기, 삭제하기, 해당 앨범 보호하기, 해당 앨범 내보내기, 홈 스크린상에 추가하기 등 다양한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23(b)에 도시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항목에 따른 다음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도 23(b)에서 포켓 포토를 통해 인화하기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하자. 이동 단말기는 먼저 인화 디바이스 즉, 포켓 포토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상기 페어링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앨범의 이미지의 개수를 파악하고, 페어링된 포켓 포토와 현재 출력 가능한 매수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출력 가능한 이미지 개수에 비해 앨범 내 이미지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포켓 포토에 대한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액션을 요구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액션이라 함은 예컨대, 포켓 포토 내 인화지의 충전 등이 될 것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 또는 그와 관계없이 해당 앨범이 선택되면, 전체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앨범 내 일부 이미지만을 출력할 것인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이미지만 출력하는 경우에는 그 선택 편의를 위해 해당 앨범 내 각 이미지를 선택 가능하도록 노트북 갤러리 상에서 오버레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포켓 포토와 관련하여 인화 여부 등에 판단 내용은 다른 갤러리에서 인화시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24는 이미지들 중 베스트 샷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 복수의 이미지가 있는 경우 어떤 이미지를 인화할지 고르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린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목원에 놀러 가서 많은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여기서, 일부 몇 장을 인화 디바이스를 통해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모든 이미지를 하나하나 확인하여 가장 잘 나온 사진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은 이미지의 수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명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고려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베스트 샷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정하여 추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에서 베스트 샷을 결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인화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선명하게 잘 촬영되고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사진일 것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각 이미지에 대해 점수를 환산하여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조건 내의 사진들 중에서 베스트 샷 후보를 원하는 개수만큼 자동으로 결정하여 추천함으로써 모든 이미지를 하나하나 확인하고 선택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추천되는 각 베스트 샷 후보에 대해서는 유저의 액션에 따라 해당 베스트 샷의 이전, 이후 등의 연결된 이미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베스트 샷 후보를 바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베스트 샷 결정을 위한 점수 계산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해당 이미지 내 구도, 흔들림 정도, SNS 등 공유 또는 업로드 횟수, 타인에게 사진 전송 횟수, 갤러리에서 해당 이미지 호출 횟수 등을 각 베스트 샷 팩터로 하여 각 이미지에 대해 점수를 종합하여 점수가 높은 이미지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의 베스트 샷 후보를 선정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베스트 샷 후보를 선정함에 있어서, 일정 기간, 일정 시간, 얼굴 태깅을 통한 인물, 카테고리 또는 폴더, 전체 사진, 추천 개수 등을 또 다른 팩터로 하여 상기 베스트 샷 후보 선정에 참고할 수 있다.
도 24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베스트 샷의 일 실시예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각 이미지가 서로 다른 크기로 제공되는데, 이는 베스트 샷의 순위와 관계 있을 수 있다. 즉, 전술한 점수 환산에 따라 최상위의 베스트 샷은 크기를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후순위의 베스트 샷 후보는 크기를 작게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이동 단말기는, 주간 베스트 샷, 월간 베스트 샷 등을 갤러리 진입 시에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5 내지 29는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30은 도 24와 유사한 방식으로 베스트 샷 방식도 함께 참조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갤러리를 통해 이미지를 보는 중에 일부 이미지들은 바로 공유 또는 인화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복잡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이 피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여러 사람과 사진 촬영 후, 인화를 위한 베스트 샷을 선정하는 경우에 그 선정에 곤란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인화할 이미지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면 별도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나 SNS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불편함을 준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액티브 앨범을 자동 생성하여 간단하게 해결하고자 한다.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티브 앨범은 도 25와 같이, 갤러리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에서 피사체가 여러 사람인 경우에 태그되는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태그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로부터 태그되는 사람의 정보는 예컨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참고한다.
이러한 액티브 앨범은 예컨대, 인화 디바이스 즉, 포켓 포토와 연결되는 사람이 호스트 또는 서버가 되어 생성하고, 태그된 사람의 이동 단말기와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한다. 상기 소정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DLNA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되는데, 이때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이미지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액티브 앨범 전송 이후 그 응답을 위한 리턴 채널을 포함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 가능하다.
도 25를 참조하여, 액티브 앨범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5(a)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자동 태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이고, 도 25(b)는 사용자에 의해 태그가 추가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도 25(a)는 피사체(사람)가 3명(2512,2514,2516)이 찍혔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는 두 개의 피사체(2512,2514)만 태깅하였다. 이는 예컨대, 나머지 피사체가 이동 단말기가 태깅할 만큼 크기가 크지 않거나 피사체의 속성에 따를 수 있다. 이후, 도 25(b)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태깅되지 않은 피사체(2516-1)를 선택하여 태깅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태깅 시에, 다양한 정보를 참고할 수 있는데, 예컨대, 주소록이나 갤러리들 내에 이미지들로부터 태깅을 위한 이미지를 참고하거나 이전에 태깅한 이력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도 25(b)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동으로 태깅 추가한 경우에는 다음 태깅시에 참고할 수 있다.
도 26에서는 도 25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의해 태깅된 피사체에 대해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고 해당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액티브 앨범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도 2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고, 액티브 앨범 생성에 포함된 피사체에 대한 이동 단말기 정보, 주소 정보 등을 추출하여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액티브 앨범은 예컨대, 각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에서 도 26(b)와 같은 형태로 출력될 것이다. 한편, 상기 액티브 앨범은 MMS, 카카오톡 등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나 트위터, 페이스 북의 SNS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자동 전송된다.
전술한 도 26과 같이, 액티브 앨범이 전송되고 나면, 전송된 액티브 앨범을 통해 베스트 샷을 선정하기 위한 응답이 요구된다. 이러한 응답은, 해당 네트워크의 리턴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며, 도 27과 같이, 전송된 액티브 앨범의 이미지들(2712,2714,2716,2718)가 한꺼번에 제공되고, 각 이미지는 식별자(2720)와 베스트 샷 선호도 아이콘(ex. 하트)(2732,2734)가 제공된다. 여기서, 선호도 아이콘은 속이 찬 하트(2732)와 속이 빈 하트(2734)가 제공되는데, 전자는 선호한다는 의미를 후자는 선호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빈 하트를 선택하면 상기 빈 하트는 속이 찬 하트로 변경이 되고, 추후 그 선택에 따라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앨범을 구성하고 있는 각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6의 액티브 앨범은 실시간으로 선호도 아이콘에 따라 화면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6에서 식별자 2번 이미지가 가장 선호하는 베스트 샷 후보였으나, 선호도 선정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다른 식별자 이미지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선호도 선택에 따른 이미지의 구도가 실시간으로 변경되고 그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27에서는 도 26의 액티브 앨범상에서 댓글을 달 수 있으며, 이는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앨범 내 각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결과와 댓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액티브 앨범상에서 각 베스트 샷 후보 이미지에 대해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편집은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으며, 호스트에 의해 채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편집의 승인 여부는 호스트가 가질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호스트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앨범 전송 이후, 도 26 또는 27과 같은 화면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 사용자 또는 호스트에 의해 편집 관련 댓글이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편집 아이콘을 통해 편집 도구를 호출하고 액티브 앨범상에서 편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과정은 실시간으로 액티브 앨범을 전송받은 각 이동 단말기에도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 등은 비단 호스트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액티브 앨범을 수신한 다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단, 호스트 이동 단말기가 아닌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편집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해당 이미지가 베스트 샷으로 선정되면, 선정된 베스트 샷 이미지를 인화하는 호스트 이동 단말기로 해당 편집에 이용된 편집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29(a)와 같이, 도 25 내지 28 과정을 통해 최종 액티브 앨범에 대한 베스트 샷 후보 선정 투표가 종료되면, 액티브 앨범이 종료되었음을 호스트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29(a)에서 호스트 이동 단말기는 보기를 선택하면, 도 29(b)와 같이, 최종 선정된 베스트 샷 이미지와 그에 대한 텍스트 예컨대, “2번 사진이 가장 많은 표를 얻었습니다. 인화할까요?”라는 텍스트와 출력 매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출력 또는 액티브 앨범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도 30과 31은 인화 이미지의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0과 31은 예를 들어, 도 25 내지 29의 액티브 앨범 이후의 처리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0과 31에서는 자동으로 쉽게 인화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 이동 단말기는, 인화한 이미지의 원본을 타인과 공유하려면, 여타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야 하여 불편함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액티브 앨범에서 자동 태깅 또는 수동 태깅에 의해 추가된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한번에 동시에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인화 이미지를 전송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호스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인화 디바이스 즉, 포켓 포토를 통해 인화 요청을 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이미지를 통해 태깅된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동시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태깅된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가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즉, NFC, 블루투스, USB 케이블, DLNA, 스마트쉐어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전송하고,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MMS, 카카오톡 등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별도로 인화 요청이나 인화 이미지의 다른 이동 단말기로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단지 갤러리 내 이미지(3110)에서 각 피사체(3112,3114,3116)를 태깅함으로써 인화 디바이스(3122), 상기 피사체 이동 단말기(3124, 3126)로 이미지가 전송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호스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로부터 자신을 태깅함으로써 자동으로 인화 디바이스를 통한 이미지의 인화를 요청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31(b)의 경우에는, 특히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아닌 복수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파노라마 이미지를 공유하는 내용이다. 예컨대, 파노라마 샷 촬영 시 채워야 하는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기기 간 페어링 시 파노라마 샷 촬영 영역을 함께 채움으로써 파노라마 영역 확대 가능하다. 이는 트랙킹 시 함께 촬영 및 영상 공유하고자 하는 트랙킹 영상을 함께 촬영하고 공유하거나 경마나 스포트 경기 등에서 함께 촬영한 사진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쳐서 보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갤러리 내의 사진을 크게 하나씩 보고자 하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32는 인화 내역 및 사진활용 정보 기반 갤러리 자동 사진 정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 내에는 매우 많은 이미지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저장 공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는 결국 이동 단말기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가 있다.
도 32에서는 자동 사진 정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미리 갤러리에서 보고자 하는 사진 개수(예: 30개)를 지정하면,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된 각 이미지에 대해 등급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등급은 예를 들어, 인화 내역, 공유 횟수, 전체 화면으로 본 횟수, 촬영 시간 등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미리 사용자가 보호 기능을 설정해 둔 이미지는 상기 등급이 설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도 32(a)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각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다. 이때, 각 이미지는 동일한 크기로 이동 단말기는 저장된 모든 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화면 하단에는 인디케이터들이 출력되는데 이는 등급 관련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출력 이미지의 분류를 위한 기준이 된다. 한편, 각 인디케이터는 그 지시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컬러, 크기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좌측 인디케이터는 하루 전, 다음은 이틀 전, 그 다음은 일주일 전, 그 다음은 한 달 전, 마지막으로 일년 전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동 정리하고 싶으며, 이를 위해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상기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들만 출력되고 나머지는 이동 단말기 화면에서 사라진다.
이후 사용자는 분류된 이미지들로부터 보관할 즉, 정리하지 않을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반대로 정리할 이미지를 선택한 후 도 32(b)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좌우로 움직여 마치 사용자가 손으로 터는 액션(제스처)을 취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들만 제외하고 나머지 이미지들이 자동으로 정리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정리되는 이미지들은 바로 삭제가 될 수도 있고, 압축 파일 형태로 되어 크기 등을 축소할 수도 있다.
도 32(c)에서는 전술한 사용자의 이미지 정리 요청에 따라 등급별로 가장 등급이 높은 즉, 보유할 우선순위가 높은 이미지부터 차례로 정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등급이 높은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이미지에 비해 해상도, 크기, 테두리 컬러 등이 차별화될 수 있다.
도 32(d)는, 도 32(c)에서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등급을 수동으로 변경한 예시이다. 즉, 도 32(c)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자동으로 각 이미지에 대해 등급을 매겨 자동 정렬을 한다. 다만, 이는 반드시 사용자의 니즈나 의도에 모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중간에 사용자가 변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정렬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정렬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조정되는 경우에, 그 재조정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는 등급을 재계산하여 전체 이미지의 정렬 순서를 다시 재조정할 수도 있고, 다음번 사용자의 요청시에 해당 내용을 히스토리 데이터로 참고할 수 있다.
도 32(e)는, 최종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 정리가 종료된 경우, 취소 또는 완료 버튼을 통해 정리 절차를 종료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정한 개수를 넘어서는 사진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압축(zip) 파일처럼 묶고, 이를 선택하면, 압축 파일 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30: 사용자 입력부
151: 터치스크린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제1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고, 인화 디바이스와 연결을 제어하여 이미지 인화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인화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연결된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상기 제1 갤러리 내 제1 이미지의 인화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편집 팩터를 이용하여 편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상에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편집 정보에 기초한 편집 아이콘과 상기 인화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제2 이미지 인화를 위한 연결 및 인화 요청을 위한 인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대해 시간 정보, 인화 정보, 위치 정보, 피사체 정보 및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의 배치, 크기 및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경우, 각 피사체를 자동 태깅하거나 상기 자동 태깅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태깅되면 해당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기초한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액티브 앨범을 상기 수집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을 리턴 받아 분석하여 베스트 샷 이미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시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동으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해당 일정에 상기 제2 이미지의 대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신저 상에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상기 실행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출력된 제2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첨부 또는 업로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및 액션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 또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내 저장된 이미지를 포함한 제1 갤러리가 포함된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2 갤러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갤러리의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인화를 요청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호를 연결되는 인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갤러리 내 제1 이미지의 인화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편집 팩터를 이용하여 편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는, 해당 이미지상에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편집 정보에 기초한 편집 아이콘과 상기 인화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제2 이미지 인화를 위한 연결 및 인화 요청을 위한 인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는, 시간 정보, 인화 정보, 위치 정보, 피사체 정보 및 작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의 배치, 크기 및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 내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경우, 각 피사체를 자동 태깅하거나 상기 자동 태깅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태깅되면 해당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기초한 액티브 앨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액티브 앨범을 상기 수집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피사체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리턴 받는 단계와,
    상기 리턴 받은 응답을 분석하여 베스트 샷 이미지를 선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에 시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동으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과 노트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해당 일정에 상기 제2 이미지의 대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신저 상에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갤러리 내 제2 이미지를 상기 실행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고, 출력된 제2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첨부 또는 업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0130113146A 2013-09-24 2013-09-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46A KR102065418B1 (ko) 2013-09-24 2013-09-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4/336,727 US9189193B2 (en) 2013-09-24 2014-07-2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editing second gallery image using editing information used for printing first gallery image
EP14002567.7A EP2852135A1 (en) 2013-09-24 2014-07-23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10493427.XA CN104461410B (zh) 2013-09-24 2014-09-24 移动通信系统、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46A KR102065418B1 (ko) 2013-09-24 2013-09-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308A true KR20150033308A (ko) 2015-04-01
KR102065418B1 KR102065418B1 (ko) 2020-01-13

Family

ID=5126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146A KR102065418B1 (ko) 2013-09-24 2013-09-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89193B2 (ko)
EP (1) EP2852135A1 (ko)
KR (1) KR102065418B1 (ko)
CN (1) CN10446141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6824B2 (en) 2017-11-13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WO2022014834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6186A (ja) * 2014-03-13 201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44136A (ko) * 2014-06-16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매뉴얼 제공 방법
US9191482B1 (en) * 2015-01-30 2015-11-17 David Sidbury Watch, mobile telephone and video camera system
CN110941736B (zh) * 2015-03-27 2023-05-0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照片显示方法、装置和移动设备
CN106162689A (zh) * 2015-04-01 2016-11-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控制系统、方法及具有通信功能的充电器
CN106303286B (zh) * 2015-05-22 2020-0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图片处理方法、发送方法、处理装置及发送装置
US10380563B2 (en) * 2015-05-27 2019-08-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01614A1 (en) * 2015-06-04 2016-12-07 Lg Electronics Inc. Fundraising through group of participants using mobile device
KR102409202B1 (ko) * 2015-07-21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폴더 내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170013555A (ko)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05093B (zh) * 2015-07-28 2019-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库中图片处理的方法及装置
KR20170016215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8269B1 (ko) 2015-11-16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094507A (ja) 2015-11-18 2017-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6283B2 (ja) * 2015-11-18 2020-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08069A1 (en) 2016-01-19 2017-07-20 Regwez, Inc. Masking restrictive access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JP6772505B2 (ja) * 2016-03-25 2020-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17175516A (ja) 2016-03-25 2017-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5867983A (zh) * 2016-04-19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在图库应用中提供印制服务的方法和装置
CN105930112A (zh) * 2016-04-19 2016-09-0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在相机中提供印制服务的方法和装置
CN105930111A (zh) * 2016-04-19 2016-09-0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在钱包应用中提供印制服务的方法和装置
CN105930110A (zh) * 2016-04-19 2016-09-0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在壁纸应用中提供印制服务的方法和装置
CN106154223B (zh) * 2016-08-20 2019-12-03 西南大学 室内导航方法及室内导航系统
CN106685462B (zh) * 2017-03-10 2022-08-19 品骏控股有限公司 一种一体机
JP6650117B2 (ja) * 2017-03-22 2020-0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キーオーバーライドプログラム
JP6628105B2 (ja) * 2017-03-22 2020-0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370840A (zh) * 2017-08-17 2017-11-21 深圳增强现实技术有限公司 名片管理系统及增强现实终端
US10712921B2 (en) * 2018-04-09 2020-07-14 Apple Inc. Authoring a collection of images for an image gallery
CN108596105B (zh) * 2018-04-26 2023-02-03 李辰 增强现实书画系统
JP7159615B2 (ja) * 2018-05-22 2022-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CN108874325B (zh) * 2018-05-24 2021-06-11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数据打印方法及系统
CN108959888B (zh) * 2018-07-09 2021-1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操作控制方法及装置
JP6874040B2 (ja) * 2018-07-27 2021-05-1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プログラム作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作成端末機器
JP7053422B2 (ja) * 2018-09-19 2022-04-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7381564B2 (ja) * 2019-03-27 2023-1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20242882A1 (en) * 2019-05-31 2020-12-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pdating a background for home and wake screen user interfaces
CN110719584B (zh) * 2019-09-02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近距离传输信息的方法和电子设备
US11252274B2 (en) * 2019-09-30 2022-02-15 Snap Inc. Messaging application sticker extensions
CN111324249B (zh) * 2020-01-21 2020-12-0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素材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539647B1 (en) * 2020-06-17 2022-12-27 Meta Platforms, Inc. Message thread media gall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99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미리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와 인쇄용 미리보기의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768B1 (en) * 2000-06-27 2004-05-18 Johnson William J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information capture
JP2007140897A (ja) * 2005-11-18 2007-06-07 Fujifilm Corp 画像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93590A (ja) 2006-01-19 2007-08-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受付端末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119857B2 (ja) * 2007-10-25 2013-01-16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5317590B2 (ja) * 2008-09-01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149212B2 (ja) * 2009-01-28 2013-02-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77845A (ja) 2009-09-30 2011-04-14 Fujifilm Corp サムネイル画像振り分け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53974B2 (en) 2010-08-11 2017-01-24 Apple Inc. Media/voice binding protocol and related user interfaces
JP5218876B2 (ja) 2011-02-28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指示装置及び印刷指示システム
JP5353933B2 (ja) 2011-03-25 2013-1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659901B2 (ja) * 2011-03-25 2015-0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859102B1 (ko) 2011-09-16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99A (ko) * 2008-12-16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미리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와 인쇄용 미리보기의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6824B2 (en) 2017-11-13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WO2022014834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1410B (zh) 2019-05-21
CN104461410A (zh) 2015-03-25
US9189193B2 (en) 2015-11-17
US20150085317A1 (en) 2015-03-26
KR102065418B1 (ko) 2020-01-13
EP2852135A1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4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1615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136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정보 관리방법
KR10145598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CN10468356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387016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WO2021212922A1 (zh) 一种对象拖拽方法及设备
US9128939B2 (en) Automatic file naming on a mobile device
EP280191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125330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1853730B2 (en) Mini program data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34609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603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5793809A (zh) 通信用户界面系统和方法
WO2015060470A1 (ko)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896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016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anatomy using an electronic mobile device transparent display screen
KR20150057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6755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201400725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400990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A2757610C (en) Automatic file naming on a mobile device
KR1019845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4428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