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964A - 환체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환체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964A
KR20150032964A KR20130112333A KR20130112333A KR20150032964A KR 20150032964 A KR20150032964 A KR 20150032964A KR 20130112333 A KR20130112333 A KR 20130112333A KR 20130112333 A KR20130112333 A KR 20130112333A KR 20150032964 A KR20150032964 A KR 20150032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ing
molding
movement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영
Original Assignee
임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영 filed Critical 임미영
Priority to KR2013011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2964A/ko
Publication of KR2015003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shaping by moulding, extrusion, pressing, e.g. pellet-mi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죽재료를 사용하여 환체(丸體)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고정 설치된 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배면에 원호단면의 전방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안내레일의 양단 중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종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전방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후방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성형판과; 상기 전방성형판이 초기 배치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종단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다른 종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순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성형판을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성형구동부와;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순방성형구동과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성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단하고 형태성이 개선된 환체를 제작할 수 있고 환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환체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환체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Spherical Body}
본 발명은 환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루재료로 반죽된 반죽재료를 사용하여 환체(丸體)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취식용이, 정량 복용 등의 목적으로 환약(丸藥), 세라믹볼, 다시마환, 민들레환 등과 같이 둥근 환(丸)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있으며, 이를 위해 환체제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30은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1, 도32, 도33 및 도34는 각각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판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5는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종래의 환체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0)와, 지지체(110)에 설치된 전방성형판(121) 및 후방성형판(124)과, 전방성형판(121)에 결합된 전방성형보조판(122)과, 후방성형판(124)에 결합된 후방성형보조판(125)과,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을 이동시키는 판구동부(130)와, 지지체(110)에 설치된 재료가압부(161)를 갖는 장환생성부(160)와, 판구동부(130)와 재료가압부(16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80)와, 지지체(110)에 설치된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 및 분리위치검출센서(138)와, 후술하는 작동판(144)에 설치된 접근위치검출센서(139)와, 재료가압부(161)에 설치된 상승위치검출센서(175) 및 하강위치검출센서(176)와, 조작부(180)의 조작배치상태와 센서(138, 39, 71, 72, 75, 76)의 검출신호에 따라 판구동부(130)와 재료가압부(161)를 제어하는 제어부(177)를 갖고 있다.
지지체(110)는 메인프레임(111)과, 메인프레임(111)에 결합된 지지판(112), 반죽관지지판(113) 및 실린더지지판(114) 및 전방프레임(115)을 갖고 있다.
메인프레임(111)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프레임(111a)과, 수평프레임(111a)에 기립 설치된 수직프레임(111b)과, 수직프레임(111b)의 후방에 배치된 부속설비프레임(111c)을 갖고 있다.
지지판(112)은 수직프레임(111b)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1b)에 고정되어 있다.
반죽관지지판(113)은 수평프레임(111a)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1b)에 고정되어 있다.
반죽관지지판(113)은 중앙영역에 관이동안내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지지판(114)은 반죽관지지판(113)의 상측에서 수평프레임(111a)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1b)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프레임(115)은 지지판(112)을 통과하여 수직프레임(111b)에 고정된 4개의 수평바(115a)와, 2개의 수평바(115a)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바(115b)와, 한 쌍의 수직바(115b)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바(115c)를 갖고 있다.
전방성형판(121)은 테프론 등의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전면에 원호단면의 전방성형홈(121a)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방성형판(121)은 후술하는 지지봉(141)을 통해 수직프레임(111b)에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성형판(121)의 설치는 전방성형홈(121a)이 전방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후방성형판(124)은 테프론 등의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배면에 후방성형홈(124a)이 전방성형홈(121a)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방성형판(124)은 지지봉(141)을 통해 전방성형판(121)의 전방에서 수직프레임(111b)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후방성형판(124)의 설치는 후방성형홈(124a)이 전방성형홈(121a)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전방성형보조판(122)은 배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안내관(122a)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방성형보조판(122)은 슬라이딩안내관(122a)을 통해 후술하는 안내봉(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성형판(121)에 결합된다.
후방성형보조판(125)은 지지봉(141)이 관통하도록 후방성형판(12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방성형보조판(125)은 지지봉(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판구동부(130)는 후방성형판(124)을 전방성형판(121)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분리 이동시키는 접근분리구동부(140)와, 전방성형판(121)을 후방성형판(1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개방복귀구동부(150)를 갖고 있다.
접근분리구동부(140)는 4개의 간격바(144a)를 통해 후방성형판(124)에 결합된 작동판(144)과, 양단이 지지판(112)과 보조바(115c)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봉(141)과, 지지봉(141)에 설치된 스토퍼(142) 및 스프링(143)과, 지지블럭(149)을 통해 수평바(115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작동봉(145)과, 작동판(144)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핀(146) 및 작동관(147)과, 접근분리감속기(148a)와 접근분리커플링(148b)을 통해 작동봉(145)에 연결된 접근분리모터(148)를 갖고 있다.
작동판(144)은 후방성형판(124)의 전방영역에서 후방성형판(124)에 나란하도록 후방성형판(124)에 결합된다.
각 지지봉(141)은 작동판(144)과 전방성형판(121)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지지봉(141)은 스토퍼(142)의 설치영역에 조절나사산(141a)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42)는 조절나사산(141a)에 결합된 스토퍼너트(142a)와, 스토퍼너트(142a)의 전방에 설치된 스토퍼와셔(142b)를 갖고 있다.
스토퍼너트(142a)가 조절나사산(141a)에 결합되는 위치는 전방성형홈(121a)과 후방성형홈(124a)이 접촉할 때 후방성형보조판(125)이 스토퍼와셔(142b)에 접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스토퍼와셔(142b)는 분리배치상태(전방성형판과 후방성형판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후방성형홈과 전방성형홈이 접촉하여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상태)에 도달할 때 후방성형판(124)에 접촉하도록 지지봉(141)에 설치된다.
스프링(143)은 한 쌍의 스프링지지와셔(143a)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143)의 압축은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의 분리배치상태와 접근배치상태에서 후방성형판(124)을 전방성형판(121)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스프링(143)의 압축상태는 스프링지지관(143b)과 스프링지지너트(143c)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지지와셔(143a)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너트(143c)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후방성형판(124)에 대한 스프링(143)의 탄성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작동봉(145)은 외표면에 작동나사산(145a)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판(144)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각 작동핀(146)은 핀헤드(146a)와, 핀헤드(146a)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된 핀다리부(146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작동핀(146)은 핀헤드(146a)가 작동판(144)과 후방성형판(124)의 사이영역에서 작동판(144)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작동판(144)에 결합된다.
작동관(147)은 내표면에 작동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부(147a)와, 작동관부(147a)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147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작동관(147)은 작동판(144)과 후방성형판(124)의 사이영역에서 작동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나사산(145a)에 맞물리도록 작동판(144)에 결합된다. 여기서 작동관(147)과 작동판(144)의 결합은 플랜지(147b)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핀(146)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동관(147)은 플랜지(147b)를 통해 핀다리부(14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접근분리모터(148)는 동작전압의 극성에 따라 작동봉(145)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접근분리구동부(140)에 의해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개방배치상태(후방성형홈과 전방성형홈이 전방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후방성형판(124)을 전방성형판(1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후방성형판(124)을 전방성형판(121)에 대하여 분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개방복귀구동부(150)는 수직프레임(111b)에 나란하도록 지지판(112)에 설치된 구동타이밍풀리(151) 및 종동타이밍풀리(152)와, 구동타이밍풀리(151)와 종동타이밍풀리(152)에 결합된 타이밍벨트(153)와, 개방복귀감속기(155)와 개방복귀커플링(156)을 통해 구동타이밍풀리(151)에 연결된 개방복귀모터(154)를 갖고 있다.
타이밍벨트(153)는 전방성형보조판(122)에 결합되어 있다.
개방복귀모터(154)는 동작전압의 극성에 따라 구동타이밍풀리(1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방복귀구동부(150)에 의해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전방성형판(121)을 후방성형판(1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후방성형판(124)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전방성형판(121)을 후방성형판(1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장환생성부(160)는 재료가압부(161)에 더하여 반죽관지지판(113)에 설치된 반죽관(162)과, 조임링(164)을 통해 반죽관(162)의 하단에 설치된 장환금형(163)을 갖고 있다.
반죽관(162)은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접근배치상태에 있을 때 전방성형홈(121a)과 후방성형홈(124a)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반죽관(162)은 관이동안내공(113a)을 통해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장환금형(163)은 가락공(163a)이 형성되어 있고, 가락공(163a)이 반죽관(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반죽관(162)의 하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락공(163a)의 수는 전방성형판(121)의 크기가 커지면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가압부(161)는 실린더지지판(114)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61a)와, 유압실린더(161a)에 유압유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161b)와, 유압실린더(161a)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가압헤드(161c)를 갖고 있다.
유압실린더(161a)는 복동식(double-acting)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실린더구동부(161b)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실린더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펌프,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펌프와 실린더사이 및 실린더와 저장탱크사이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방식의 유로제어밸브 등을 가지고, 피스톤로드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가압헤드(161c)는 반죽관(16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헤드(161c)는 피스톤로드가 왕복 이동할 때 반죽관(162)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상승위치와 장환금형(163)에 근접하는 하강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있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는 장공이 형성된 센서브라켓(174)과 장공을 통과하도록 지지판(112)에 결합된 한 쌍의 볼트(173)를 통해 지지판(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의 설치위치는 제1청소면(126c)이 후방성형홈(124a)의 전 길이구간을 통과하고 제2청소면(127c)이 전방성형홈(121a)의 전 길이구간을 통과할 때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접촉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는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 쌍의 볼트(173)와 센서브라켓(174)을 통해 지지판(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의 설치위치는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접근배치상태에 있다고 가정할 때 전방성형판(121)이 점유하는 위치에 전방성형판(121)이 도달할 때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접촉되도록 선택된다.
분리위치검출센서(138)는 작동판(144)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전방프레임(115)에 설치되어 있다.
접근위치검출센서(139)는 작동관(147)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작동판(144)에 설치되어 있다.
상승위치검출센서(175)와 하강위치검출센서(176)는 각각 유압실린더(161a)의 몸통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80)는 조작패널상에 마련된 온오프버튼(181) 및 장환생성버튼(183)을 갖고 있다.
제어부(177)는 입력단에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 상승위치검출센서(175), 하강위치검출센서(176), 접근위치검출센서(139), 분리위치검출센서(138), 온오프버튼(181) 및 장환생성버튼(183)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회로부(178)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회로부(178)는 제어부(1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사이,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사이 및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 오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어부(177)는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의 배치상태를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접근구동과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의 배치상태를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개방구동과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의 배치상태를 개방배치상태에서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판구동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7)는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분리배치상태에 있을 때 가압헤드(161c)가 상승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이동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통해 실린더구동부(161b)를 제어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환체제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36 내지 도4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압헤드(161c)는 상승위치에 있고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은 분리배치상태에 있으며, 작동관(147)은 작동판(144)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관이동안내공(113a)을 통해 반죽관(162)을 앞으로 잡아당겨 반죽재료를 반죽관(162)의 내부에 주입한 후 다시 가압헤드(161c)의 하측으로 반죽관(162)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온오프버튼(181)과 장환생성버튼(18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버튼(181)과 장환생성버튼(18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1).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1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가압헤드(161c)가 하강한다(도36 참조). 가압헤드(161c)의 하강구간은 장환생성버튼(183)의 온상태 조작시간과 비례한다. 사용자는 가압헤드(161c)의 하강에 따라 장환(216)이 전방성형홈(121a)과 후방성형홈(124a)의 사이로 진입하면 장환생성버튼(183)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장환생성버튼(183)이 오프상태가 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2).
다음에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3).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접근분리모터(14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접근분리모터(14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후방성형판(124)은 스프링(14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전방성형판(121)을 향해 전방성형판(1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37 참조). 여기서 후방성형판(124)이 이동할 때 작동관(147)도 전방성형판(121)을 향해 이동한다.
후방성형판(124)이 이동하여 후방성형판(124)과 전방성형판(121)이 접근배치상태가 되면 스토퍼(142)에 의해 후방성형판(124)의 이동이 중지된다. 후방성형판(124)과 전방성형판(121)이 접근배치상태가 될 때 장환(216)은 각 전방성형홈(121a)에서 절단된다. 이하 전방성형홈(121a)에서 절단된 장환부분을 절단환(217)이라고 한다.
후방성형판(124)의 이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접근분리모터(148)가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작동관(147) 혼자 전방성형판(121)을 향해 이동한다(도38 참조). 작동관(147)의 이동은 접근위치검출센서(139)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관(147)이 접근위치검출센서(139)에 접촉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4).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개방복귀모터(15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개방복귀모터(15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성형판(121)은 좌측으로 전방성형판(1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39 참조).
전방성형판(121)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각 절단환(217)은 전방성형홈(121a)과 후방성형홈(124a)의 내표면에 가압된 상태로 구르게 되고, 이에 따라 환체(218)가 형성된다(도40 참조). 형성된 환체(218)는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전방성형판(121)의 좌측 이동은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에 접촉할 때 전방성형홈(121a)과 후방성형홈(124a)이 가장 많이 개방되는 개방배치상태가 된다.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171)에 접촉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5).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접근분리모터(14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접근분리모터(14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관(147) 혼자 전방성형판(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41 참조). 작동관(147)의 혼자 이동은 작동관(147)이 작동판(144)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관(147)이 작동판(14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접근분리모터(148)가 역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후방성형판(124)은 작동관(147)과 함께 스프링(14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전방성형판(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42 참조). 후방성형판(124)의 이동은 작동판(144)이 분리위치검출센서(138)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판(144)이 분리위치검출센서(138)에 접촉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접근분리모터(1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6).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개방복귀모터(15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개방복귀모터(15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성형판(121)은 우측으로 이동한다(도43 참조).
전방성형판(121)의 우측 이동은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에 접촉할 때 전방성형판(121)과 후방성형판(124)이 분리배치상태가 된다.
전방성형보조판(1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172)에 접촉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개방복귀모터(15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S107).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1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제어부(177)는 가압헤드(161c)가 하강위치로 하강하여 하강위치검출센서(17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S101 내지 S107단계를 반복한다.
하강위치검출센서(17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1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가압헤드(161c)가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가압헤드(161c)가 상승위치로 상승하면 상승위치검출센서(175)로부터 제어부(177)에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상승위치검출센서(175)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77)는 전원공급부(179)와 실린더구동부(1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8)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온오프버튼(181)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반죽재료를 반죽관(162)의 내부에 다시 주입한 후 온오프버튼(181)과 장환생성버튼(18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환체제조장치는 2009년 특허출원 제50345호(발명의 명칭 : 환체제조장치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환체제조장치에 따르면, 후방성형판(124)과 전방성형판(121)이 접근배치시키는 동작에 의해 절단된 장환이 제1성형판(121)과 제2성형판(124) 중 어느 일방의 판면방향 이동동작에 의해 압착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환체성형과정에서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가 작아지고 절단된 장환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가 작아지고 절단된 장환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적어지면 완성된 환체의 형태성이 나쁘고(환체가 완전한 구(球)가 되기 어렵고 외표면이 미려하지 못함) 단단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재료입자사이의 결합력이 적음) 환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가 제한되며(된 반죽 재료의 경우 환체 형성이 어려워짐), 환체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형태성을 개선하기 위해 점결재를 많이 넣게 되면 입자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복용시 분해시간이 길어진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단하고 형태성이 개선된 환체를 제작할 수 있고 환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환체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환체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반죽재료를 사용하여 환체(丸體)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고정 설치된 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배면에 원호단면의 전방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안내레일의 양단 중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종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전방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후방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성형판과; 상기 전방성형판이 초기 배치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종단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다른 종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순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성형판을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성형구동부와;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순방성형구동과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성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환체생산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구동부는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판이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이반되는 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후이반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홈이 상기 전방성형홈에 접촉하여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역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이반시키는 역방향성형후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후이반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을 포함하도록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형구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순방향성형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성형구동부는 상기 전방성형판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이 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성형판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이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성형판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와, 상기 후방성형판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방성형판과 함께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캠지지판과 직선상의 성형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및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성형안내면이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캠홈부와 상기 후방성형판이 순방향과 역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상기 성형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및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지지판에 고정 결합된 롤러캠과 상기 롤러캠이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상기 성형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및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에 가압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캠지지판을 상기 후방성형판의 전방을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구비한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 상기 순방향성형구동 및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이 실시되도록 상기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에 따라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는 직선상의 롤러캠안내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롤러캠안내면이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캠홈부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부는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이 상기 롤러캠안내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캠홈부지지바에 설치되는 제1캠홈부와,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 및 상기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일부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이 상기 롤러캠안내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캠홈부지지바에 설치되는는 제2캠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후방성형홈과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후방성형판을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후방성형홈과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구동을 통해 환체를 형성함으로써, 환체성형과정에서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가 많아지고 절단된 장환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커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가압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관지지판을 도시한 도면,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6, 도7,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성형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
도16, 도17, 도18, 도19, 도20, 도21, 도22, 도23, 도24, 도25, 도26, 도27, 도28 및 도2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0은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31, 도32, 도33 및 도34는 각각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판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35는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
도36, 도37, 도38, 도39, 도40, 도41, 도42, 도43 및 도44는 각각 종래 환체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가압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관지지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6, 도7,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성형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고정 설치된 전방안내레일(21) 및 후방안내레일(22)과, 전방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방성형판(23)과, 후방안내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후방성형판(24)과, 지지체(10)에 설치된 재료가압부(81)를 갖는 장환생성부(80)와, 지지체(10)에 설치된 수집함(26)과, 전방성형판(23)과 후방성형판(24)을 이동시키는 성형구동부(30)와, 성형구동부(30)와 재료가압부(8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5)와, 재료가압부(81)와 성형구동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를 갖고 있다.
지지체(10)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1a)과 다수의 수평프레임(11b)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지지체바디부(11)와, 지면에 나란하도록 지지체바디부(11)에 설치된 상판부(12a), 중간판부(12b) 및 하판부(12c)와, 하판부(12c)의 상면에 기립설치된 후방수직판(13)과, 후방수직판(13)의 전방영역에서 후방수직판(13)에 나란하게 배치된 전방수직판(14)과, 전방수직판(14)의 배면에 결합된 캠홈부지지바(15)와, 전방수직판(14)을 후방수직판(13)에 대하여 지지하는 간극판(16)과, 상판부(12a)의 저면에 매달려 있는 반죽관지지판(18)을 갖고 있다.
후방수직판(13)은 중앙영역에 연락창(13a)이 형성되어 있다.
반죽관지지판(18)에는 관이동안내홈(18a)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캠홈부지지바(15)는 직선상의 롤러캠안내면(15a)을 갖도록 형성되고, 롤러캠안내면(15a)이 후방성형판(24)에 나란하도록 지지체바디부(11)에 설치된다.
전방안내레일(21)은 상하 한 쌍이 나란하게 전방수직판(14)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다.
후방안내레일(22)은 상하 한 쌍이 전방안내레일(21)에 정렬되게 후방수직판(13)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전방성형판(23)은 배면에 원호단면의 전방성형홈(23a)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방성형판(23)이 초기 배치된 전방안내레일(21)의 종단(좌측단)에서 전방안내레일(21)의 다른 종단(우측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순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후방성형판(24)은 전면에 전방성형홈(23a)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후방성형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구동부(30)는 전방성형판(23)과 후방성형판(24)을 각각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40)와, 후방성형판(24)을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60)를 갖고 있다.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40)는 간극판(16)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간극판(16)에 설치된 구동타이밍풀리(41) 및 종동타이밍풀리(42)와, 구동타이밍풀리(41)와 종동타이밍풀리(42)에 결합된 타이밍벨트(43)와, 구동타이밍풀리(41)에 연결된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와, 전방성형판(23)의 전면에 결합된 전방보조판(45)과, 전방보조판(45)의 전면에 결합된 전방레일결합부재(46) 및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와,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에 결합된 전방벨트결합부재(48)와, 후방성형판(24)의 배면에 결합된 후방보조판(49)과, 후방보조판(49)의 배면에 결합된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와,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에 결합된 후방벨트결합부재(52)와, 후방보조판(49)과 후방수직판(13)의 사이 영역에서 후방보조판(49)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과,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의 배면에 결합된 후방레일결합부재(54) 및 지지판연결봉(55)과, 지지체(10)에 설치된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 및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와,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58)를 갖고 있다.
구동타이밍풀리(41)와 종동타이밍풀리(42)는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영역에 배치되고 타이밍벨트(43)의 내표면이 전방벨트결합부재(48)의 벨트결합요철부와 후방벨트결합부재(52)의 벨트결합요철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타이밍벨트(43)는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와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를 통해 전방성형판(23)과 후방성형판(24)에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압의 극성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동타이밍풀리(41)와의 사이에 감속기가 개재될 수 있다..
전방레일결합부재(46)는 상하 한 쌍이 전방안내레일(21)에 정렬되도록 전방보조판(45)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전방성형판(23)은 전방레일결합부재(46)를 통해 전방안내레일(2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방성형판(23)은 전방안내레일(21)의 좌측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방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는 디귿자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벨트결합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벨트결합부재(48)는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의 벨트결합요철부와 타이밍벨트(43)사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벨트통과홈부재(47)에 결합되어 있다.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는 디귿자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벨트결합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벨트결합부재(52)는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의 벨트결합요철부와 타이밍벨트(43)사이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후방벨트통과홈부재(51)에 결합된다.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은 후방보조판(49)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후방보조판(49)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다.
후방레일결합부재(54)는 상하 한 쌍이 후방안내레일(22)에 정렬되도록 후방보조판(49)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다.
후방성형판(24)은 후방레일결합부재(54)를 통해 후방안내레일(2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방성형판(24)은 후방안내레일(22)의 우측단으로부터 시작하여 후방안내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연결봉(55)은 연락창(13a)을 통과하는 길이구간을 갖고 있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는 후술하는 제1캠홈부(61)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는 후방성형판(24)과의 이격거리에 반응하는 근접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는 후술하는 제2캠홈부(62)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는 후방성형판(24)과의 이격거리에 반응하는 근접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58)는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스위칭회로부 등을 가지고 제어부(27)로부터 입력되는 모터구동개시신호에 따라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의 정방향 회전 구동과 역방향 회전 구동을 실시한다.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60)는 후방성형판(24)에 나란하도록 지지판연결봉(55)의 종단에 결합된 캠지지판(63)과, 캠홈부지지바(15)에 설치된 캠홈부(61, 62)와, 캠지지판(63)에 결합된 롤러캠(64)과,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의 배면에 결합된 안내판연결봉(65) 및 전후진전방안내관(66)과,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에 나란하도록 안내판연결봉(65)의 종단에 결합된 전후진안내판(67)과, 전후진안내판(67)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전후진안내판(67)의 배면에 결합된 전후진후방안내관(68)과, 전후진후방안내관(68)에 진입하도록 캠지지판(63)의 배면에 결합된 전후진안내봉(69)과, 후방보조판(49)의 배면에 결합된 블럭연결봉(71)과, 블럭연결봉(71)의 종단에 결합된 안내블럭(72)과, 캠지지판(63)을 후방성형판(24)의 전방을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73)를 갖고 있다.
캠지지판(63)은 후방성형판(24)의 후방영역(후방수직판의 후방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캠지지판(63)은 지지판연결봉(55)을 통해 후방성형판(24)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판연결봉(55)이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을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성형판(24)과 함께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캠홈부(61, 62)는 제1캠홈부(61)와 제2캠홈부(62)로 분할되어 있다.
제1캠홈부(61)는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과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61c)이 형성되어 있다.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은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61c)은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캠홈부(61)는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61c)이 롤러캠안내면(15a)에 정렬되도록 캠홈부지지바(15)에 설치된다.
제1캠홈부(61)의 설치는 제1캠홈부장공에 삽입되는 나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2캠홈부(62)는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 및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이 형성되어 있다.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은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은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캠홈부(62)는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이 롤러캠안내면(15a)과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61c)에 정렬되도록 캠홈부지지바(15)에 설치된다.
제2캠홈부(62)의 설치는 제2캠홈부장공에 삽입되는 나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롤러캠(64)은 후방성형판(24)이 순방향과 역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 성형안내면(61c, 62c),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 및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캠지지구(64a)를 통해 캠지지판(63)에 고정 결합된다.
안내판연결봉(65)은 캠지지판(63)을 관통한다.
전후진전방안내관(66)은 내부에 지지판연결봉(55)이 통과하도록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의 배면에 결합된다.
블럭연결봉(71)은 순역방향이동안내판(53)을 통과하도록 후방보조판(49)의 배면에 결합된다.
안내블럭(72)은 상단에 전후진안내홈(72a)이 절취형성되어 있고, 전후진안내홈(72a)에는 안내판연결봉(65)이 삽입되어 있다.
탄성가압부(73)는 양단이 캠지지판(63)과 전후진안내판(67)에 탄성 접촉되도록 수축상태의 코일스프링을 전후진안내봉(69)에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73)에 의해 롤러캠(64)이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 성형안내면(61c, 62c),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 및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에 가압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6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성형판(24)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캠(64)은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 제1캠홈부(61)의 성형안내면의 일부 구간(61c), 제2캠홈부(62)의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 및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에 순차적으로 가압접촉하게 된다. 제1캠홈부(61)와 제2캠홈부(62)를 분리시켜 롤러캠안내면(15a)에도 가압접촉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성형판(24)이 순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캠(64)은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 제2캠홈부(62)의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 제1캠홈부(61)의 성형안내면의 일부 구간(61c),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 및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에 순차적으로 가압접촉하게 된다. 제1캠홈부(61)와 제2캠홈부(62)를 분리시켜 롤러캠안내면(15a)에도 가압접촉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롤러캠(64)이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과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에 접촉하는 동안 후방성형판(24)과 전방성형판(23) 사이의 초기이격거리(전방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초기이격거리)는 그대로 유지된다.
롤러캠(64)이 제2캠홈부(62)의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 및 제1캠홈부(61)의 성형안내면의 일부 구간(61c)에 접촉하는 동안 후방성형판(24)과 전방성형판(23)과의 이격거리(전방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이격거리)는 제로가 된다.
롤러캠(64)이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에 접촉하는 동안 후방성형판(24)과 전방성형판(23)과의 이격거리(전방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이격거리)는 감소된다.
롤러캠(64)이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에 접촉하는 동안 후방성형판(24)과 전방성형판(23)과의 이격거리(전방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이격거리)는 증가된다.
장환생성부(80)는 재료가압부(81)에 더하여 반죽관지지판(18)에 설치된 반죽관(82)과, 조임링(84)을 통해 반죽관(82)의 하단에 설치된 장환금형(83)을 갖고 있다.
반죽관(82)은 전방성형판(23)과 후방성형판(24)이 접근배치상태에 있을 때 전방성형홈(23a)과 후방성형홈(24a)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반죽관(82)은 관이동안내홈(18a)을 통해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장환금형(83)은 가락공(83a)이 형성되어 있고, 가락공(83a)이 반죽관(8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반죽관(82)의 하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락공(83a)의 수는 전방성형판(23)의 크기가 커지면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가압부(81)는 상판부(12a)에 설치된 유압실린더(81a)와, 유압실린더(81a)에 유압유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81b)와, 유압실린더(81a)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가압헤드(81c)와, 유압실린더(81a)에 설치된 상승위치검출센서(81d) 및 하강위치검출센서(81e)를 갖고 있다.
유압실린더(81a)는 복동식(double-acting)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실린더구동부(81b)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실린더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펌프,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펌프와 실린더사이 및 실린더와 저장탱크사이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방식의 유로제어밸브,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스위칭회로부 등을 가지고, 제어부(27)로부터 입력되는 실린더구동개시신호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유압실린더(81a)를 구동한다.
가압헤드(81c)는 반죽관(8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헤드(81c)는 피스톤로드가 왕복 이동할 때 반죽관(82)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상승위치와 장환금형(83)에 근접하는 하강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있다.
상승위치검출센서(81d)와 하강위치검출센서(81e)는 각각 유압실린더(81a)의 몸통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승위치검출센서(81d)와 하강위치검출센서(81e)는 마그네틱 센서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유입실린더의 피스톤에 자석편을 부착함).
조작부(25)는 조작패널상에 마련된 온오프버튼(25a) 및 장환생성버튼(25b)을 갖고 있다.
제어부(27)는 입력단에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 상승위치검출센서(81d), 하강위치검출센서(81e), 온오프버튼(25a) 및 장환생성버튼(25b)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실린더구동부(81b) 및 모터구동부(58)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6 내지 도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방성형판(23)은 전방안내레일(21)의 좌측단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성형판(24)은 후방안내레일(22)의 우측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온오프버튼(25a)과 장환생성버튼(25b)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제어부(27)는 미리 설정된 하강구간만큼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도록 실린더구동부(81b)를 제어한다.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면 가압헤드(81c)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가락공(83a)을 통해 장환이 배출된다. 장환은 맨 아래에 있는 전방성형홈(23a)과 후방성형홈(24a)에 도달하는 높이로 배출된다(도16 참조).
다음에 제어부(27)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모터구동부(58)를 제어한다(S1).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이밍벨트(43)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타이밍벨트(4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성형판(23)은 전방레일결합부재(46)의 도움을 받아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성형판(24)은 후방레일결합부재(54)의 도움을 받아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전방성형판(23)이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성형판(24)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 순방향성형구동,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순방향성형후이반구동 및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61b)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후방성형홈(24a)과 전방성형홈(23a)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후방성형판(24)이 전방성형판(23)에 접근하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도17, 도18, 도19 및 도20참조).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제1캠홈부(61)의 성형안내면의 일부 구간(61c) 및 제2캠홈부(62)의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순방향성형구동, 즉 후방성형홈(24a)과 전방성형홈(23a)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도21, 도22, 도23, 도24 및 도25 참조).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순방향성형후이반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후방성형판(24)이 전방성형판(23)으로부터 이반되는 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도26 및 도27 참조).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도28 및 도29 참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이 완료될 때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로부터 제어부(27)를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다음에 제어부(27)는 좌이동위치검출센서(5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다시 미리 설정된 하강구간만큼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도록 실린더구동부(81b)를 제어한다(S2).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면 가압헤드(81c)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가락공(83a)을 통해 장환이 배출된다. 장환은 맨 아래에 있는 전방성형홈(23a)과 후방성형홈(24a)에 도달하는 높이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어부(27)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모터구동부(58)를 제어한다(S3).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이밍벨트(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타이밍벨트(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성형판(23)은 전방레일결합부재(46)의 도움을 받아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성형판(24)은 후방레일결합부재(54)의 도움을 받아 순방향으로 이동한다.
전방성형판(23)이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성형판(24)이 순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역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역방향성형전접근구동, 역방향성형구동,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후이반구동 및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62b)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62a)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전접근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후방성형홈(24a)이 전방성형홈(23a)에 접촉하여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후방성형판(24)이 전방성형판(23)에 접근하는 역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제2캠홈부(62)의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62c), 제1캠홈부(61)의 성형안내면의 일부 구간(61c)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구동, 즉 후방성형홈(24a)과 전방성형홈(23a)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후이반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후방성형판(24)이 전방성형판(23)으로부터 이반하는 역방향성형후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롤러캠(64)의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61a)에 대한 가압접촉 동작에 의해 초기위치복귀구동의 역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 즉 전방성형판(23)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된다.
역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이 완료될 때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로부터 제어부(27)를 검출신호가 입력된다(S4).
다음에 제어부(27)는 우이동위치검출센서(57)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다시 미리 설정된 하강구간만큼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도록 실린더구동부(81b)를 제어한다(S5).
이후 제어부(27)는 가압헤드(81c)가 하강위치로 하강하여 하강위치검출센서(81e)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S1 내지 S5단계를 반복한다.
하강위치검출센서(81e)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7)는 상승위치검출센서(81d)로부터 검출될 때까지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도록 실린더구동부(81b)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하강위치검출센서(81e)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44)가 정지하도록 모터구동부(58)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온오프버튼(25a)과 장환생성버튼(25b)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반죽재료를 반죽관(82)의 내부에 다시 주입한 후 온오프버튼(25a)과 장환생성버튼(25b)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동작,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후방성형홈(24a)과 전방성형홈(23a)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후방성형판(24)을 전방성형판(23)에 접근시키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후방성형홈(24a)과 전방성형홈(23a)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구동을 통해 환체를 형성함으로써, 환체성형과정에서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가 많아지고 절단된 장환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커지게 된다.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가 많아지고 절단된 장환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커지면 완성된 환체의 형태성이 개선되고 환체가 단단해질 될 뿐만 아니라(재료입자사이의 결합력이 커짐) 환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범위가 증가되며(된 반죽 재료의 경우도 환체 형성이 가능해 짐), 환체생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환체가 단단해지면 점결재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복용시 분해시간을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단계에서도 환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체생산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성형판(23)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 이동과 후방성형판(24)의 역방향 또는 순방향 이동을 수행하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40)를 별도로 마련하고 후방성형판(24)이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캠지지판(63)과, 캠홈부(61, 62), 롤러캠(64) 및 캠지지판(63)을 통해 전방성형판(23)에 접근하거나 또는 전방성형판(23)으로부터 이반되도록 함으로써, 성형구동부(3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순방향성형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선상의 롤러캠안내면(15a)을 갖는 캠홈부지지바(15)를 포함하도록 지지체(10)를 구성하는 한편 캠홈부(61, 62)를 두개로 분할하여 캠홈부지지바(1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 결합함으로써, 재료에 따라 절단된 장환의 회전회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지지체 11 : 지지체바디부
13 : 후방수직판 14 : 전방수직판
21 : 전방안내레일 22 : 후방안내레일
23, 121 : 전방성형판 24, 124 : 후방성형판
25 : 조작부 27, 177 : 제어부
30 : 성형구동부 40 :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
41, 151 : 구동타이밍풀리 42, 152 : 종동터이밍풀리
43, 153 : 타이밍벨트 44 : 성형판순역방향구동모터
53 : 순역방향이동안내판 56 : 좌이동위치검출센서
57 : 우이동위치검출센서 58 : 모터구동부
60 :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 61, 62 : 캠홈부
63 : 캠지지판 64 : 롤러캠
67 : 전후진안내판 69 : 전후진안내봉
73 : 탄성가압부 82, 162 : 반죽관
90, 161 : 재료가압부 91, 160 : 장환생성부
130 : 판구동부 140 : 접근분리구동부
148 : 접근분리모터 150 : 개방복귀구동부
154 : 개방복귀모터

Claims (4)

  1. 반죽재료를 사용하여 환체(丸體)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고정 설치된 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후방안내레일과;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배면에 원호단면의 전방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안내레일의 양단 중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종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후방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전방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후방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성형판과;
    상기 전방성형판이 초기 배치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종단에서 상기 전방안내레일의 다른 종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순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순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과 상기 후방성형판을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성형구동부와;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순방성형구동과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성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동부는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판이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이반되는 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후이반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홈이 상기 전방성형홈에 접촉하여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에 접근시키는 역방향성형전접근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전접근구동과 상기 후방성형홈과 상기 전방성형홈이 협조해서 원형단면의 환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 및 상기 후방성형판을 상기 전방성형판으로부터 이반시키는 역방향성형후이반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후이반구동과, 상기 전방성형판의 역방향 이동 동작과 상기 후방성형판의 순방향 이동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역방향성형후직선이동구동을 포함하도록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동부는 상기 전방성형판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이 순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성형판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성형판이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성형판을 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와, 상기 후방성형판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방성형판과 함께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캠지지판과 직선상의 성형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및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성형안내면이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캠홈부와 상기 후방성형판이 순방향과 역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상기 성형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및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지지판에 고정 결합된 롤러캠과 상기 롤러캠이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 상기 성형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및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에 가압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캠지지판을 상기 후방성형판의 전방을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구비한 후방성형판전후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구동,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구동, 상기 순방향성형구동 및 상기 초기위치복귀구동이 실시되도록 상기 성형판순역방향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직선상의 롤러캠안내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롤러캠안내면이 상기 후방성형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캠홈부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부는 상기 순방향성형전직선이동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전접근안내면과 상기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안내면의 일부구간이 상기 롤러캠안내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캠홈부지지바에 설치되는 제1캠홈부와, 상기 순방향성형후이반안내면, 상기 순방향성형후직선이동안내면 및 상기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일부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안내면의 나머지 구간이 상기 롤러캠안내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캠홈부지지바에 설치되는는 제2캠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KR20130112333A 2013-09-23 2013-09-23 환체제조장치 KR20150032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333A KR20150032964A (ko) 2013-09-23 2013-09-23 환체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333A KR20150032964A (ko) 2013-09-23 2013-09-23 환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64A true KR20150032964A (ko) 2015-04-01

Family

ID=5303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333A KR20150032964A (ko) 2013-09-23 2013-09-23 환체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29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9874A (zh) * 2021-07-09 2021-10-22 江苏桂柳牧业丰县有限公司 一种饲料滚圆用的一体装置
KR20230139226A (ko) * 2022-03-25 2023-10-05 광동제약 주식회사 환약 제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9874A (zh) * 2021-07-09 2021-10-22 江苏桂柳牧业丰县有限公司 一种饲料滚圆用的一体装置
KR20230139226A (ko) * 2022-03-25 2023-10-05 광동제약 주식회사 환약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2356B (zh) 电冰箱门胆封槽成型模
CN208696080U (zh) 一种新型钢材制备用的模具成型机
KR20150032964A (ko) 환체제조장치
CN212976527U (zh) 一种注塑冲压工件落料装置
CN212665382U (zh) 座椅头枕金属杆与弹簧销的装配工装
CN109126265A (zh) 一种方便拆卸滤盖的滤芯壳
CN206351519U (zh) 一种上模自动旋转的立式注塑机
CN105107994B (zh) 一种机械自动化制扣装置
CN203235803U (zh) 合页装饰头冲压机构
CN205466933U (zh) 一种骨架脱模机构
CN108839378A (zh) 一种便于更换的模具
CN104309078A (zh) 一种带升降机构的注塑机取料机械手
CN208946542U (zh) 一种带顶针先复位机构的模具
CN107440262B (zh) 一种全自动上拉头机
CN208261687U (zh) 一种冷柜后面板自动铆接机
CN113564819A (zh) 一种多轴式模板机
CN208643777U (zh) 一种制作手机外壳冲压设备
CN207756622U (zh) 一种五金配件制造用挤压成型装置
CN219052652U (zh) 一种电子元器件加工模具
KR20100131642A (ko) 환체제조장치
CN108907002A (zh) 一种连续模送料装置
CN105013944A (zh) 一种对翻孔凹模机构
CN109397644A (zh) 一种可调节的注塑模具顶出装置
CN220461923U (zh) 一种汽车零部件冲压模具
CN110064704A (zh) 一种实现四极方轴一体化铆合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